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혜국대우 조항과 투자중재 요건과의 관계 재고

        서철원(Suh, Chul-Won)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7 국제경제법연구 Vol.15 No.1

        본고는 ‘국내법원에의 제소’나 ‘국내법원에의 제소 후 일정기간의 경과’라는 요건을 위반한 하자를 MFN 조항을 적용하여 치유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하여 중재판정이 혼란을 보이고 있는 근본원인을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독일-아르헨티나 투자조약이라는 동일한 투자조약을 그 근거로 하고 있으면서, 이 문제에 대하여 상반된 결론을 내린 3개의 사건 - Daimler 사건과 Wintershall 사건, 그리고 Hochtief 사건– 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사건의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혼란의 근본원인은 다음의 두 가지라는 것을 논증하였다. 첫째, ‘국내법원의 제소 후 18개월 경과’라는 절차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을 관할권(jurisdiction)의 문제로 보느냐 아니면 수소가능성(admissibility)의 문제로 보느냐는 시각의 차이이다. 이러한 절차적 요건을 관할권의 문제로 보면, 이를 충족하지 못하였으므로 중재재판부의 관할권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투자조약이 인정하지 않는 관할권을 확대하는 목적으로 MFN 조항을 분쟁해결절차에 적용하지 못한다는 중재판정의 확립된 판례에 따라 관할권 흠결로 사건을 각하하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반면에 이러한 절차적 요건을 수소가능성의 문제로 보면, 중재재판부의 재량으로 그 흠결을 무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다소 혼란을 보이고 있지만, 관할권을 확대하지 않은 목적으로는 MFN 조항을 분쟁해결절차에 적용할 수 있다는 중재판정들의 예에 따라 그 흠결을 보완할 수도 있다. 둘째, MFN 조항의 ‘대우(treatment)’를 해석하는 방법이 비발전적 해석(non-evolutive interpretation)이냐, 발전적 해석(evolutive interpretation)이냐의 차이였다. 즉, ‘대우’의 해석을 투자조약을 체결했을 당시의 체약국의 의사를 확인하는 것이냐, 아니면 해석하는 시점에서의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냐의 차이이다. 전자의 방법에 의하면, 투자조약에 근거한 투자중재가 거의 없었던 시기에 체결된 투자조약의 ‘대우’에는 분쟁해결절차는 포함되지 않고 실체적 권리만이 그 대상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반면에 후자의 방법에 의하면, 투자중재를 투자자 보호의 중요한 수단으로 보는 현재의 시각에 따라, ‘대우’에는 분쟁해결절차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면서 그 범위는 관할권을 확대하는 것이 아닌 범위라고 하여, 기존의 판례들과의 혼란이 해소되게 된다. 이러한 논증을 통하여 이러한 혼란을 결하는 첩경은 국내법원의 제소나 대기기관과 같은 문제가 수소가능성의 문제이냐 아니면 관할권의 문제이냐의 여부와 MFN 조항의 ‘대우’의 해석에 발전적 해석방법을 적용하느냐 아니면 비발전적 해석방법을 적용하느냐의 여부에 그 논의를 집중하는 것이라는 것을 본고의 결론으로 제시한다. As is shown at the author’s 2008 paper and 2010 UNCTAD report on Most-Favoured-Nation Treatment, it was provisional suggestion that MFN clause of investment treaty is applicable to the procedural require of investment arbitration, such as prior reference to the domestic court of host country or 18-month litigation period. But the issue has been more complicated, since some arbitral awards began to make conflicting decisions. Examples of the cases having made conflicting decision are ICS v. Argentina, Daimler v. Argentina, Kiliç İnşaat v. Turkmenistan, ST-AD GmbH v. Bulgaria and Wintershall v. Argentina, though more cases follows the above-mentioned provisional sugges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ore causes of the conflicting dec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FN clause and procedural requirement of investment arbitration. This paper analyses three investment arbitration cases – Daimler v. Argentina, Wintershall v. Argentina, and Hochtief v. Argentina. The award of the last case follows the above-mentioned provisional suggestion, while those of the former 2 cases made conflicting decision. All these cases are based on the same investment treaty, i.e. German-Argentina investment treaty. For this reason, the issues for analysis become more simple, because thos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erms may be minimized. That is why I chose the 3 cases. The conclusion of analysis is that the following 2 reasons are core causes of the conflicting decisions. The first is the difference on the issue on whether procedural requirement of investment is the matter of jurisdiction or admissibility. The conflicting decisions consider it as condition of jurisdiction, while those following the provisional suggestion take it as admissibility issue. The second is the difference on whether the ‘treatment’ of the MFN clause is interpreted by evolutive interpretation way or not. The decisions following the provisional suggestion follow the former way, and interpret ‘treatment’ of the MFN clause as applicable to the dispute settlement clause, for the reason that nowadays investment arbitration becomes important factor of investment protection. The conflicting decisions follow the latter way, and consider it as applicable to only substantial matters. The reason is that as investment arbitration was not actively used at the time of the investment treaty conclusion, the will of the contracting states at that time was that investment arbitration was not considered as part of ‘treatment’.

      • KCI등재

        투자보장협정상 투자자보호와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조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철원(Chul Won Suh) 서울국제법연구원 2011 서울국제법연구 Vol.18 No.1

        경제위기시 취해지는 조치가 외국인 투자자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고 취해질 수 있는가하는 문제를 다루는 논문이다. 이를 위하여 1990년대 말 아르헨티나의 외환위기시에 취해진 조치를 이유로 아르헨티나의 가스산업에 투자한 미국인 투자자들이 ICSID에 제기한 4개의 사건 -Enron사건, CMS사건, LG&E사건, Sempra사건- 을 분석한다. 이 사건들을 분석대상으로 한 이유는 동일한 조치에 1991년에 체결된 미국과 아르헨티나간의 투자보장협정이 적용되어 사안의 차이, 적용되는 조약의 차이에 의한 문제가 없이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4개의 사건에 대한 중재판정 중에서 LG&E 사건의 중재판정은 2001년부터 2003년 사이의 아르헨티나의 조치는 미국과 아르헨티나간의 투자보장협정 제XI조에 의해 허용된다고 하였다. 반면에 나머지 세 사건의 중재판정들은 모든 기간 동안의 아르헨티나의 조치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런 차이를 보인 이유는 투자보장협정 제XI조를 적용하기 위한 요건의 해석과 그 충족여부에 대한 상황의 평가에서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LG&E 사건의 중재판정은 투자협정 제XI조의 요건으로 필수적인 국가이익과 필요한(necessary) 이라는 요건을 독자적인 기준으로 보았다. 반면에 나머지 세 사건의 중재판정은 이들 요건이 추상적인 용어이고 정의가 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국제관습법을 성문화한 국가책임에 관한 ILC 협정초안 제25조의 요건으로 대체하였다. 그리고 ILC 협정초안 제25조의 요건을 적용함에 있어서도 위기의 심각성, 아르헨티나의 조치가 유일한 방법인가의 여부, 아르헨티나가 경제위기에 기여하였는가의 여부에 대한 평가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아르헨티나의 조치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한 3개의 중재판정은 모두 취소위원회에서 취소되었는데 취소의 사유는 모두 차이가 있다. CMS 사건의 취소위원회 결정은 우산조항에서 문제를 이유로 취소하면서, 투자협정 XI조의 요건을 ILC 협정초안 제25조의 요건을 대체한 것은 잘못이지만 명백한 권한의 유월인 취소사유에 해당되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Sempra 사건의 취소위원회 결정은 별개의 규칙인 ILC 협정초안 제25조의 요건으로 투자협정 제XI조의 요건을 대신하는 것으로 취급한 것은 명백한 권한유월이 취소사유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Enron 사건의 취소위원회 권한의 유월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Enron 사건의 취소위원회 결정은 ILC 협정초안 제25조의 적용상의 문제에 취소사유가 있다고 하면서, 동시에 잘못된 해석을 적용한 투자협정 제XI조도 취소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투자협정상의 예외사유와 국제관습법상의 긴급피난은 별개의 규칙으로 이들 두 규칙을 모두 원용할 수 있다. 둘째, 관습법상의 긴급피난으로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조치의 위법성을 조각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우므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셋째, 국제관습법성의 긴급피난을 원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투자협정을 체결할 때 적절하게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투자협정의 긴급상황에 대한 조문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고에서 분석한 사건들에서 동일한 조문에 대해 중재판정마다 달리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투자중재를 하는 중재재판부의 입장에서는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조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제관습법상의 긴급피난의 요건과 투자협정상의 예외조항의 해석에서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analyzes whether a plea of necessity can offer proper solution for the dilemma between host State`s measures facing economic crisis and protection of the foreign investment provided by bilateral investment treaty. It focuses on the 4 cases of ICSID, brought by U.S. investors of Argentine gas distribution industry against Argentine emergency measure to resolve its economic crisis of the late 1990s, such as Enron case, CMS case, LG&E case and Sempra case. These cases arose from same factual background and concerned same legal issues based on the same BIT, Investment Treaty Between U.S and Argentine Republic of 1991. In spite of same factual and legal background,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the awards of the 4 cases. The LG&E Awards held that the measures between 2001 and 2003 was excused by necessity, while those in other period were in breach of the U.S.-Argentina BIT. The other Awards stated that Argentine measures were illegal for all the period and Argentine Republic was obliged to pay compensation. The conflicting result comes mainly from the difference in interpreting relationship between Art. XI of the U.S.-Argentina BIT and Art. 25 of the ILC Draft Articles on International Responsibility, which is intended to codify international customary rules on necessity. In addition, it is also due to the discrepancy in applying the requirements of imminent peril to essential interest, the only way, and non-contribution by the State, to the situation of Argentine Republic. The LG&E tribunal differentiated the terms of the Art. XI of the BIT and the conditions of Art. 25 of the ILC Draft Articles. In contrast, the tribunals in other cases ignored the specific language of Art. XI of the BIT and regarded the requirements of Art. XI of the BIT as the same as those of the Art. 25 of the ILC Draft Articles. The ad-hoc annulment committees of the Enron case, CMS case, and Sempra case, all criticized the ignor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t. XI of the BIT and Art. 25 of the ILC Draft Articles. The effect of the ignorance is,hpwever, not uniform in the 3 decisions of the annulment committee. The Sempra Annulment Committee took this error as a manifest excess of power. The CMS Annulment Committee, decided that the ignorance, though erroneous, did not amount to manifest excess of power. The Enron Annulment Committee focused its analysis on the mistakes in the application of the ILC Draft Art. 25 application. Deciding the error was a cause of annulment, it stated the award on the Art. XI was tainted by same error. Through the analysis of 4 cases, this paper draws following lessons and recommendations: 1. Treaty clause on necessity is different from the necessity under general international law. 2.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 emergency measures in economic crisis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the Art. 25 of the ILC Draft Articles. 3.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conflicting decisions of investment arbitration tribunal, treaty clause on emergency should be as clear and definite as possible. 4. The investment arbitration tribunal is required to have well-balanced approach between regulatory flexibility and investment protection.

      • KCI등재

        나우루 인산염 사건의 분석

        서철원(Suh, Chul Won) 국제법평론회 2012 국제법평론 Vol.0 No.35

        The Essence of Nauru's Claim in this case is that Australia is obliged to rehabilitate lands from shich it extracted phosphate before Nauru' independence in 1968 due to its breach of obligations under trustship agreement and other general international law. Against Nauru' claim, Australia raised seven preliminary objections: 1) objection based on reservation in the its declaration of acceptance of compulsory jurisdiction excluding "any dispute with regard to which the Parties thereto have agreed or shall agree to have recourse to some other method of peaceful settlement; 2) objection of the alleged waiver of claims based on the absence of explicit clause on the rehabilitation in the Agreement on transfer of phosphate industry to the Nauruan people; 3) objection of discharge of all claims arising out of administration of trustship without explicit reservation to the contrary; 4) objection of undue delay(passage of time with regard to the official presentation of the claim); 5) objection of abuse of the process based on alleged inconsistency and lack of good faith an abuse; 6) objection based on the absence of necessary parties(U.K. and New Zealand as member of joint Authority of Trustship over Nauru); and 7) objection of new claims in the written submission which has not been submitted in the Application. Among the 7 objections, only the 7th objection was admitted. After the preliminary judgement, the case was discontinued due to the settlement on September 9, 1993. The case left something disappointed in two aspect. The first is that the case was discontinued before reaching merits judgement. Otherwise, it might have provided a good opportunity to deal with a set of issues which have immense significance to international lawyers, such as self-determination, permanent sovereignty over natural resource,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damage and exploitation of territory under trustship. The second to be disappointed is that the judgement disposed of most objections by heavily relying on the facts with little analysis legal principle. The exception to the general lack of legal analysis of this case is the 6th and the 7th objection. As to the 7th objection, the judgement stipulated the standard for the admission of additional claim: it must have been implicit in the application or must arise "directly out of the question which is the subject-matter of that Application. As to the 6th objection, the judgement re-affirmed and clarified the Monetary Gold rule. It provided that the Court cannot decline to exercise its jurisdiction, for the reason the a finding in the present case might well have implications for the legal situation of the non party to present case if no finding in respect of that legal situation will be indispensable as a basis for the Court's decision.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ree dissenting opinions are appended to the judgement. The essence of the dissenting opinion is that the Court shall decline to exercise jurisdiction when its finding is the de facto finding against absent third party. The findings on the last 2 objection endowed this case with value and significance to remember.

      • KCI등재

        자국법인과 국가간의 투자분쟁에 ICSID 중재를 이용하기 위한 요건

        徐哲源(Chul-Won SUH) 대한국제법학회 2009 國際法學會論叢 Vol.54 No.1

        ICSID는 체약국과 다른 체약국 투자자와의 투자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관이다. 그런데 국제투자의 상당부분은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행해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ICSID 협약은 제25조 2항 (b)의 예외를 규정하여, 국내법인과 국가사이의 투자분쟁을 ICSID 중재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고 있다. 이 예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국내법인이 “외국인의 통제”하에 있을 것과 당사자가 이 국내법인을 외국법인으로 취급한다는 “합의”를 해야 한다. 이 요건들에 대해 ICSID 협약은 아무런 정의를 하지 않고 있고, 판례들도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사안별로 적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요건들을 적용한 사례와 학자들의 견해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합의”의 요건은 비록 예외에 적용되는 요건이지만 상당히 넓게 적용되고 있다. 묵시적인 합의도 인정하고 있으며, 국내법인과 국가간의 ICSID 중재조항을 ICSID 협약 제25조 2항 (b)의 예외에 대한 묵시적 합의로 취급하는 것은 확립된 판례이다. 이외에 국내법인을 외국법인으로 취급하는 국가의 행위도 묵시적 합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둘째, “외국인의 통제”라는 요건은 가능하면 당사자 합의를 존중하도록 유연하게 해석되었다. 그러나 어떠한 합리적인 기준으로도 외국인의 통제가 있다고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이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최소한의 제한효력은 인정하고 있다. 셋째, “외국인의 통제”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공식은 없고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된다고 하지만, 주식의 비율과 관련하여 일정한 기준을 추출할 수 있다. 100%주식 소유는 그 자체로 “외국인의 통제” 요건을 충족하는 충분조건이다. 과반수의 주식소유는 “외국인의 통제”가 있다고 강력하게 추정할 수 있는 증거이다. 실제로 과반수의 주식을 외국인이 소유한 사건에서 외국인의 통제를 부인한 사례는 한 건도 없었다. 50% 미만의 주식소유인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통제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다른 보강증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때 고려되는 것으로는 경영권의 확보, 거부권의 확보, 실제로 회사의 경영에 참가한 정도 등이 지적되고 있다. 넷째, “외국인의 통제”는 실질적인 통제가 아니라 “통제를 할 수 있는 법적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의미는 현지법인과 통제권을 가진 외국인 사이에 형식적인 자회사를 설립하면 이 자회사도 외국인의 통제요건을 충족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국제투자자는 형식적인 법인을 다른 국가에 설립함으로써 그 국가와 투자유치국간의 투자협정의 보호 특히, 국내법인과 국가간의 중재를 ICSID 중재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투자를 보호받을 수 있는 수단이 넓어졌지만, 국가의 입장에서는 외국인이 통제하는 국내기업과의 투자분쟁은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ICSID 중재로 해결하도록 강요받는 가능성이 상존하게 되었다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투자계약서는 물론이고 투자협정에도 그 가능성을 명시적으로 배제하는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ICSID is designed to promote increased flow of international investment by facilitating settlement of investment disputes between a Contracting State and a investor of another Contracting State. But, foreign investors are often required by the law of host country to conduct their business through a locally organized entity. The locally entity can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ICSID jurisdiction provided in Art. 25 (1), without special exception. The exception is provided in Art. 25 (2) (b). Under this exception, in order for investment claims to be brought before ICSID tribunal, the parties must agree that “because of foreign control”, the local entity should be treated as an entity of another Contracting State. The requirements for the exception, "foreign control" and "agreement" are not defined in the ICSID Convention. This paper is to analyse cases and academic comments on the requirements. As for the "agreement", the jurisprudence has taken ICSID arbitration clause between government and the local entity as being implied agreement of Art. 25 (2) (b) exception. It also mentioned the possibility that conducts of the government to treat a local entity as a foreign one, may be considered as implied agreement of the exception. As to the requirement of "foreign control", the first to mention is that it i s adjudi cated to be broad and fl exi ble concept to entertai n the autonomy of the parties to decide ambit of foreign control. But, it sets out limits for the autonomy, under which the decision of the party may not be respected, where the entity is not under foreign control on any reasonable standard. It is said that there is no ready-made formula in deciding the issue of foreign control. A tribunal may regard any reasonable criteria, including voting rights, shareholding, or management. The analysis of the cases, however, shows that majority ownership of shares, in itself, will almost be determinative, while minority shareholding requires other supporting factors for effective control. Another important jurisprudence on foreign control is that it entertains so-called "treaty shopping" for transnational enterprises. The tribunal in Aguas del Turani v. Bolivia defined control not as actual control, but as legal capacity to control. The reasoning means that by establishing cell intermediaries, foreign investor may acquire the protection of any BIT with the host country which provides the ICSID Art. 25 (2) (b) exception. The consequence of such treaty shopping is that the host country must assume the possibility that foreign investor may bring it before ICAID tribunal. To avoid the potential, states should be careful to limit the ambit of foreign control by expressly defining foreign control.

      • KCI등재

        국제투자법에서의 비국가행위자

        서철원(Chul Won Suh) 서울국제법연구원 2010 서울국제법연구 Vol.17 No.2

        The role of non-State Actors in international sphere has increased tremendously. It has diverse shapes in various fields of international law. In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in which the role of non-State Actor is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has some unique features, especially in the dispute resolution and rule-making power of non-State actors. Before analysing the topic, it is necessary to mention the meaning of non-State actor and the ambit of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Non-State actor has various meanings. It may mean all entities of non-State character, includ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regional entities in a State. In this paper, however, it is used to represent private entities, such as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NGOs. Investment international law in this paper encompasses not only international law to encourage and protect international investment, but also that to regulate international investment for public interest. In the former part of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law-making power of non-State actor, the character of its rights under international investment treaty, and the experience of active role of non-State actor in international investment arbitration. The traditional activity of non-State actor in the international-rule making process, is to move its government to reflect its interest in international arena, by providing informations and their opinions, which is also the case in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A distinguished feature in international investment law-making process, however, is that related to the so-called "umbrella clause". Umbrella clause was invented for the purpose of lifting breach of investment contract to that of investment treaty. The scholastic opinions and arbitral awards on the effect of umbrella clause are not consistent. As far as such an effect is recognized, however, it may be argued that private investor has been given the power to make international law on his own investment. As to the character of the right of investors under international investment treaty, it is presented that the substantial and procedural rights of investors are not vested and subject to the subsequent practice of contracting parties to the investment treaty, including subsequent agreed interpretation. With regard to the direct arbitration between investor and host Stat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model of commercial arbitration is not apt to resolve the issues of investment treaty claims. In international investment arbitration, the main concern is the balance between public policy consideration and the investor`s right. Lack of transparency and the closed-door procedure have been criticized, as preventing public welfare from being duly considered in investment arbitration. It has been also contested that due to the threat of filing arbitration for trivial matters, governments hesitate to take measures necessary for public welfare. Some measures has been taken to solve these problems. including those to enhance transparency of arbitration procedure, to allow participation and surveillance of civil society and to limit the abuse of arbitration procedure. Such an experience seems to be a good guidance in attempts to strengthen the procedural right of private entities in other area of international law. It is worthwhile to mention the new movement in the regulation of transnational corporation. The regulation of international investment by a host country has been recognized as due exercise of territorial sovereignty. It has been pointed out by NGOs that some governments fail to reasonably regulate transnational corporations, due mainly to need for foreign investment. NGOs have tried to settle this matter by setting international standard, especially in human rights, environment protection, labour and anti-corruption. Due to the reluctance to recognize private entities as subject of international obligation, however, most of the internat

      • KCI등재

        국내법인의 ICSID 중재청구권과 회사의 권리침해를 이유로 한 주주의 국제투자 중재청구권

        서철원(SUH Chul-Won) 대한국제법학회 2010 國際法學會論叢 Vol.55 No.3

        외교적 보호와 ISD는 국제투자의 주요 구제수단이다. ISD는 외교적 보호권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지만,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행해지는 국제투자의 구제수단으로서의 이용가능성에서도 현저한 차이가 있다. 오늘날 많은 투자가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행해지거나 현지법인 설립을 투자유치국이 의무화하기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투자에 대한 투자 유치국의 조치가 문제되는 것은 회사의 권리를 침해하는 조치와 주주 자신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주주의 권리가 침해된 경우 주주의 본국이 외교적 보호권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제도의 이용성에 있어서는 투자 중재와 큰 차이가 없다. 그런데 회사의 권리를 침해한 경우 외교적 보호권과 투자중재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 외교적 보호권에서는 형식적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회사의 본국이 외교적 보호권을 행사할 수 있다. 따라서 현지법인 설립을 통한 투자에는 투자유치국의 조치에 대해 외교적 보호권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가 없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회사가 소멸한 경우, 회사의 본국이 외교적 보호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 가해국이 회사의 본국인 경우 등 예외적인 경우에는 주주의 본국이 외교적 보호권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런데 투자중재에 있어서는 회사의 국적에서 형식적인 기준을 피할 수 있는 특칙이 넓게 인정되고 있으며, 회사의 권리침해 행위에 대한 주주의 중재 청구는 거의 전면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회사의 국적이 문제되는 것은 그 체약국과 다른 체약국 국민간의 투자중재만 관할하는 ICSID 중재의 경우이다. 이 기준을 예외 없이 적용하면 현지법인 설립을 통한 국제투자는 ICSID 중재를 이용할 수 없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예외가 “국내법인이지만 외국인의 통제를 이유로 외국법인으로 당사자가 합의할 수 있다”는 ICSID 협약 제25조 2항(b) 후단의 특칙이다. 그런데 이 특칙을 적용하기 위한 요건을 관대하게 적용하고 있다. 합의에는 명시적 합의만이 아니라, 묵시적 합의도 포함된다. 묵시적 합의로 인정하는 예도 확대되어 당사자가 ICSID 중재합의를 하였거나 혹은 해당 현지법인이 적용대상인 ICSID 중재에 관한 조항이 투자중재협정이나 투자유치국의 국내법에 있으면 묵시적 합의가 있는 것으로 본다. 외국인의 통제라는 요건은 실질적인 통제권을 다른 체약국의 국민이 가지는 경우만이 아니라 형식적인 통제권을 다른 체약국의 국민이 가지는 것도 외국인 법인이 가지는 것도 이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해당 국내법인이 적용대상이고 ICSID 중재조항을 두고 있는 투자보장협정을 투자유치국과 체결한 국가에 형식적인 법인을 설립하여 투자하면, 회사의 국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회사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이유로 한 주주의 중재청구는 다음의 두 가지 논리로 거의 전면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첫째, 투자보장협정의 적용대상인 투자에 주식의 소유(shareholdings)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주주가 투자보장의 절차적 권리인 투자중재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회사의 계약상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는 동시에 공정대우 등 투자보장협정에서 보장된 주주의 권리도 침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가 된 행위가 회사의 권리를 침해하기도 하지만 주주 자신의 투자협정상의 권리를 침해하므로 주주는 자신의 권리침해를 이유로 한 조약청구를 투자중재를 통하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근거에 의하면 소액주주도 중재청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지법인 설립을 통한 투자에서 구제수단이란 면에서 외교적 보호권과 투자중재는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가 지적된 사건에서, ICJ판례와 중재판례는 외교적 보호권은 일반국제법에 의한 것이고 투자중재는 특별한 협정에 의한 별개의 제도라는 이유로 이러한 차이를 인정하고 있다. 국제투자보호수단으로 대체관계에 있는 양자사이에 이렇게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서로의 차이를 고려한 제도 운영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The right of diplomatic protection, and investor and State direct arbitration (ISD) are two major mechanism for the international investment dispute settlement. There exists, however, a great discrepancy between the two in their availability, in case of international investment through establishment of local company(or other type of share-holding of local company). The diplomatic protection of corporation is exercised by the national State of corporation and not by that of its shareholders. However the State(s) of nationality of shareholders may exercise diplomatic protection for the injury to corporation, in exceptional cases: first, where the company has ceased to exist in its place of incorporation and secondly, where the State of incorporation is itself responsible for inflicting injury on the company. As for the ISD of the ICSID, a local company may be regarded as that of another contracting State under the special rule of the 2nd sentence of the Art. 25 (2)(b), when being satisfied with two conditions: being under foreign control and agreement of the parties to treat the local company as foreign one. The conditions are easy to meet. The requirement of 'being under foreign control' has been decided to meet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direct or indirect, and whether foreign investor was a real interested party or just a cell company. The condition of 'the agreement' has been ruled to be fulfilled not only by express agreement but also implicitly. The tacit agreement includes ICSID arbitration clause in the investment contract of the parties, and investment protection treaty by the host country applicable to the corporation concerned. As for the ISD action of share-holder for injury the rights of corporation, the share-holder is recognized as having jus standi. It might be argued that the action of shareholder is inadmissible as being indirect claim, because he is acting on behalf of the victim company. The arbitral judgements have rejected the 'indirect claim' argument for the two reasons. First, since share is investment and shareholder is investor under the investment protection treaty concerned, share-holder is entitled to the rights provided by the treaty, which include access to international investment arbitration. Second, his claim is his own and not that of the company, because it involves rights deriving from the provisions of the investment protection treaty. So, it is said that cause of action of share-holders is breach of investment protection treaty (treaty-claim), while that of corporation is breach of contract provisions (contract claim). From the reasons just mentioned, even minor shareholder is entitled to such an action. A cell shareholder is also recognized as investor covered by investment treaty. Such a tremendous discrepancy is rationalized by the fact that shareholder's access to arbitration is under special system of investment treaty, while diplomatic protection of national State of shareholder concerns general international customary law. However, such a contrasting difference may provoke antipathy against ISD from capital-importing countries and seems to require adjusting mutu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