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치원 말년의 역사적 발자취 : -가야산 은둔 이후를 중심으로-

        최영성 ( Choi Young-sung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3 No.-

        지금까지 고운 최치원의 말년 행적은 『삼국사기』에 실린 「최치원 열전」의 내용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료가 부족하여 충분히 밝혀지지 못했고, 사실과 다르게 인식되어 온 것도 있다. ‘속세를 떠나 신선이 되었다’는 것은 한갓 전설에 불과하다. 이 글에서는 최치원이 政界를 은퇴하고 가야산 해인사에 들어간 이후의 삶과 발자취에 대해 고찰하였다. 주요 자료로는 해인사에서 저술한 역대 화엄 고승들의 전기, 특히 『法藏和尙傳』을 꼽을 수 있다. 이들 자료에 따르면, 최치원은 가야산에 들어간 뒤 세속과의 소통의 길을 어느 정도 열어 놓은 상태에서 불교 관계 저술에 힘썼다. 賢俊·希朗등 고승들과도 활발하게 교유하였다. 해인사 시절 그는 華嚴思想에 심취하면서도 세상을 걱정하는 憂患意識을 끝까지 지켰다. 겉모습은 유학자이지만 내면적으로는 불교, 특히 화엄의 세계에 심취하였다. 그는 불교의 화엄사상과 유교의 忠君愛國사상으로 쓰러져 가는 신라를 붙들어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救國과 護國을 위해 저술에 매진하였다. 가장 심혈을 기울인 저술은 義湘의 전기인 『浮石尊者傳』, 賢首의 전기인 『법장화상전』이었다. 최치원의 말년 행적은 학술, 종교 활동의 연속이었다. 그는 수년 동안 병고에 시달리면서도 학자로서의 삶을 포기하지 않았다. ‘나약한 지식인’, ‘가야산 신선’으로 표현되는 최치원의 말년 이제 이미지는 바뀌어야 한다고 본다. Traces of Goun Choi Chiwon’s latter years have not been thoroughly examined due to lack of research materials. Choi Chiwon’s biography on Samguk Sagi is widely known. Cho Chiwon’s latter years have been recognized different from the truth so far, which is ‘he left the mundane world and became a hermit.’ However, it is only a legend. This research examines Choi Chiwon’s life and traces left after he retired from politics and went into Gayasan Haeinsa. Main research data referenced are biographies of great monks in Huayan School written at Haeinsa, particularly Beopjanghwasangjeon (法藏和尙傳). According to these data, Choi Chiwon was somewhat open to communication with the mundane world after his going into Gayasan and pursued writings on Buddhism. He actively interacted with great monks such as Hyeonjun (賢俊) and Huirang (希朗). While he was at Haeinsa, he was absorbed in Huayan thoughts but he also kept his worries about the world. He was a Confucian scholar outwardly but internally immersed in Buddhism, especially the world of Huayan. Judging that he could restore Silla where Buddhist Huayan thoughts and Confucian idea of loyalty and patriotism collapsed, he strived for writings. His most laborious writings were Buseokjonjajeon (浮石尊者傳), the biography of Uisang (義湘) and Beopjanghwasangjeon, that of Hyeonsu (賢首). Choi Chiwon spent his latter years entirely with scholarly and religious activities. Though he suffered from sickness for years, he did not give up on his life as a scholar. Images of his latter years wrongly symbolized with ‘weak intellect’ and ‘Gayasan hermit’ should be corrected.

      • KCI등재

        고운 최치원의 생애 재고찰 - 생애의 중요한 몇 장면들 -

        최영성 ( Choi Young-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1

        한국사상사, 철학사에서 거봉의 위치에 있는 최치원은 그 명성에 비해 생애와 사상이 제대로 조명되지 못하였다. 최치원 연구의 기본이 되는 생애 연구는 아직도 여러 단계를 넘어야 한다. 『삼국사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넘어서 괄목할 만큼 진보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 글에서는 최치원의 일생에서 중요한 몇 장면, 특히 당나라에 있을 때의 활동을 주로 고찰하였다. 문헌 자료는 최치원이 남긴 제1차 자료를 중심으로 하였다.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① 최치원이 태어난 해는 지금까지 알려진 857년이 아니라 855년이다. ② 12세에 조기 유학하여 14세 때 신라 조정의 추천으로 당나라 국자감에 입학하였다. ③ 조기 유학에는 최치원의 친형인 현준(賢俊)스님의 도움이 있었다. ④ 빈공진사(賓貢進士) 시험에 급제한 해는 874년, 최치원 20세 때의 일이다. ⑤ 880년에 고병의 휘하에 들어가 그의 서기(書記)가 되어 약 4년간 종사하였다. ⑥ 884년 8월에 당나라를 떠나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를 잇는 해안선을 따라 귀국하였다. 약 7개월이 걸렸다. 이런 사실들은 최치원의 학문 역정을 재구성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귀국 후의 활동은 이후의 과제로 추진할 것이다. As an eminent figure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Choi Chi-won`s life or thought has not been properly studied in spite of his prominence. Research on his life, which serves as basic for study on Choi Chi-won, still requires a lot of work to be done. Study on his life has hardly progressed beyond information presented on Samguksaki. This article studies a few significant scenes in Choi Chi-won`s life, mainly his activities while being in Tang Dynasty. Primary data left from Choi Chi-won is adopted as references. Through detailed analysis on Gyewonpilgyeongjip (桂苑筆耕集),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obtained. ① The year when Choi Chi-won was born is 855, not the year of 857 which has been widely known until now. ② He went to Tang at the early age of 12 and entered Tang`s Kukjagam at 14 with Silla Court`s recommendation. ③ He was supported by his brother Buddhist priest Hyeonjun (賢俊) during his study in Tang. ④ It was the year of 874 when he passed the bingongjinshi (賓貢進士) examination at the age of 20. ⑤ In 880, he came under the supervision of Gobyeong (高騈) and became his scribe and served for 4 years. ⑥ Leaving Tang in August 884, he returned to home country along the shoreline between Shandung and Liaodung peninsula, which took approximately 7 months. These facts are expected to be greatly helpful to restructure his scholarly journey. Activities after his coming back are to be further studied afterwards.

      • KCI등재후보

        일본의 고문헌을 통해 본 독도 -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와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를 중심으로 -

        최영성 ( Choi Young S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4 No.-

        독도 관련 국내외 문헌은 매우 많다. 일본 측에서 한국 측 자료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상황에서는 지난날 일본에서 나온 문헌 자료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독도 관련 자료 가운데 일본 측 자료로는, 사이토 호센(齋藤豊仙)이 1667년에 엮은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가 가장 오래 된 기록이다. 이후 1779년에 나가쿠보 세키스이(長久保赤水)가 펴낸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改正日本輿地路程全圖)」는 객관성의 측면에서 거의 첫손에 꼽힌다. 이들 자료에 보이는 독도에 관한 기록과 표기는 그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 그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삼단 논법이 도출되었다. ① 일본이 말하는 다케시마(竹島: 울릉도)는 조선의 영토다. ②마츠시마(松島: 독도)는 다케시마의 부속 섬이다. ③ 따라서 다케시마와 마츠시마는 조선의 영토다. 위 두 자료에서 핵심이 되는 대목은 ‘見高麗, 猶雲州望隱州’ 아홉 글자다. 이 글에서는 아홉 글자를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고증하였다. 그 결과 17세기 이래 일본인들이 독도와 울릉도를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였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Plenty of documents on Dokdo were found in and out of Korea. In a situation that Japan would not acknowledge any document from Korea, literature materials from ancient Japan retains extremely high importance. Among Japanese materials on Dokdo the earliest one is 『Onshu Shicho Goki,(Records of Observation in Oki province』 which was compiled by Saito, Hosen in 1667. Kaisei Nihon yochi rotei zenzu(Revised Complete Map of Japanese Lands and Roads) which was produced by Nagakubo, Sekisui later in 1779 is regarded as virtually the most objective. Records and marks on Dokdo found in these materials can be guaranteed in their objectivity. Analysis result about these materials drew a syllogism as follows. ①Takeshima(Ulleungdo) mentioned in the Japanese materials is the territory of Joseon. ② Matsushima(Dokdo) is a dependency of Takeshima. ③ Therefore, Takeshima and Matsushima are the territories of Joseon. The essential part of the materials above is 9 Chinese characters, ‘見高麗, 猶雲州望隱州``. This paper ascertained the 9 characters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as a result, discovered the Japanese have appreciated that Dokdo and Ulleungdo were Joseon``s territory since 17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서호(西湖) 이총(李摠)의 생애와 역사의식

        최영성 ( Choi Young-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 No.69

        조선 전기 청담파(淸淡派)의 대표적 학자인 서호(西湖) 이총(李摠: ?∼1504)에 대한 전문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참혹하게 세상을 떠난 뒤 그와 관련된 자료들이 거의 대부분 인멸되었기 때문이다. 『성종실록』·『연산군일기』 등에 실린 기록은 부정적인 것들이 주를 이룬다. 서호 이총은 왕실의 종친이다. 비판정신이나 개혁정신과 거리가 있는 길을 걸었다면 자신은 물론 부친과 다섯 형제가 참혹한 죽음을 당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나라를 근심하고 백성의 고통에 상심하는 우국충정이 넘쳤다. 훈구파(勳舊派)의 부정과 비리에 저항하는 역사의식이 투철하였다. 뜻이 맞는 사람들과 함께 국정을 비판하기도 하고, 시와 술로써 비분강개함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풍류객(風流客)은 그의 진면목이 아니다. 이총은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동문들 중에서도 남효온(南孝溫)과 가장 친하였다. 두 사람은 몸은 둘이었지만 마음은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총은 기본적으로 유학을 공부한 유자다. 그는 김종직을 통해 조선 도학(道學)의 적통을 이었다. 그러나 ‘유자’의 테두리 안에서만 그를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는 유학을 공부하면서도 노자(老子)·장자(莊子) 등의 고고(孤高)한 학풍을 좋아하였고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여겼다. 이것은 청담파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성향이다. 이들은 부정과 불의가 판을 치는 현실에 상심하면서 옛날의 이상적인 사회를 그리워하는 시국관, 역사관을 가졌다. 이런 사고 속에는 복고적 성향의 개혁 사상이 자리잡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총의 생애를 중심으로, 그의 정신세계와 역사의식에 대하여 폭넓게 살펴보았다. 동료이자 장인이기도 한 남효온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조명하여, 조선 전기 4대 학파의 하나인 청담파의 학문적 사상적 특징을 밝혀내는 데 주력하였다. The study of Seo-Ho (西湖) Lee Chong (李摠: ?∼1504),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School of Cheong Dam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has not been conducted in earnest. It was because most of the related references were destroyed after he died horribly after being implicated in Mu Oh Sa Hwa. (戊午士禍, a massacre held by the School of Hun-Gu, centered on Yoo Ja-Gwang, towards the School of Sarim centered on Kim Jong-Jik in the 4th year (1498) of Yeonsan-Gun) In < the Annals of King Seongjong > and < the Diary of Yeonsan-Gun >, there are mainly negative records. Seo-Ho Lee Chong is the royal family. If he went to a different path other than criticism or reformation, his father, five siblings and himself would not have been killed horrendously. Lee Chong was full of patriotic sentiment, and concerned about the country and grieved over people’s sufferings. He had thorough histor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School of Hun-Gu’s illegality and corruption. Therefore, he met with people who had the same intentions to criticize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expressed his sorrowful resentment with poetry and alcohol. His true character is not a man who appreciate the arts. Lee Chong is a writer for Kim Jong-Jik (金宗直). He was very close with Nam Hyo-On (南孝溫) out of his classmates. They had two bodies but had one mind. Lee Chong was a scholar who basically studied Confucianism. He became a direct descent of moral philosophy of Joseon through Kim Jong-Jik.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im only within the boundary of ‘a scholar who studied Confucianism.’ While he was studying Confucianism, he like the lofty academic style of Laozi (老子) and Zhangjia (莊子), and he regarded authority and honor as vulgar. That is a common tendency from scholars from the School of Cheong Dam. They grieve on the reality struck with illegality and injustice. They have a view of the state of affairs and a view of history that yearned for the ideal society of the past. In these thoughts, a retro-minded reformation ideology was placed. Focused on Lee Chong’s life, this abstract examined his mind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extensively. Focusing on Nam Hyo-On, who is a colleague as well as an artisan, the paper focused on revealing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of Cheong Dam, one of the four major schools o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정신보론(鄭臣保論) -남송 성리학의 고려 전래와 관련하여-

        최영성 ( Young Sung Cho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6

        본고는 한국 성리학의 전래와 기원에 관한 것이다. 고려 고종 24년(1237)에 남송(南宋) 출신의 학자 정신보(鄭臣保)가 오늘의 서산 간월도(看月島)에 정착하여 고려 학인들에게 이정(二程)의 성리학을 전파하였다는 자료를 검증하고 확인하였다. 이에 따르면 안향(安珦)에 의해 성리학이 처음으로 고려에 전해졌다고 알려진 1290년보다 53년 앞선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학계에서 공인을 받으면 성리학사는 고쳐 써야 할 것으로 본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고려 유학사의 변화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어 정신보의 생애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정신보가 남송의 명문 포강정씨(浦江鄭氏) 가문의 후예라는 점과 포강정씨의 후손답게 춘추사상(春秋思想)과 의리정신에 투철하였음을 부각시켰다. 이밖에 정신보 학통의 전승 과정과 후세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서도 추론하였다. This article is on the introduction and origin of Korean Neo-Confucianism. In this article, it is verified and clarified that a scholar named Jeong, Sin-bo (鄭臣保) from Southern Song settled on today`s Seosan Ganwoldo (看月島) in the year of 1237 (24th year of the king Gojong in Korean Dynasty) and he introduced the Neo-Confucianism both by Jeong, Myung-do (程明道) and Jeong, Yi-cheon (程伊川) who are also called Double Jeong to Korean scholars. Based on these facts, it overturns the history that Anhyang (安珦) first introduced Neo-Confucianism to Korean Dynasty in the year of 1290 even with 35 years ahead. When this gains official approval by the academia,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seems to be rewritten. This article first examines changes in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with three stages and then concentrates on the life of Jeong, Sin-bo. It presents that Jeong, Sin-bo was a descendant of a Southern Song`s noble family named Pogang Jeong (浦江鄭氏) and he committed to Chunqiu thoughts (春秋思想) and spirit of loyalty (義理精神) naturally as the posterity of Pogang Jeong. Lastly, it also infers the transmission of Jeong, Sin-bo`s scholastic mantle and his influence on the posterity.

      • KCI등재

        사상사(思想史)의 맥락에서 본 19세기 심설논쟁(心說論爭) -사칠논쟁(四七論爭)에서 심설논쟁(心說論爭)까지-

        최영성 ( Choi Young-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조선성리학사를 보면 수백년 동안 굵직한 주제의 논쟁이 이어졌다. 16세기 중반에 시작되었던 사단칠정 논쟁은 ‘정(情: 감정)’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18세기 초에 등장했던 호락논쟁(湖洛論爭)은 사람과 사물의 ‘성(性: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주안이 있었다. 이 두 논쟁은 이후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쟁점이 확실하게 부각되면서 조선 성리학의 특징적 부면이 아울러 잘 드러났다. 18세기 중엽 이래로 서양세력이 밀려오면서 조선성리학은 서양 세력에 맞설 논리를 개발해야 했다. 성리학에서의 주리론(主理論)이 그 대응 논리의 하나로 제기되었다. 특히 ‘심(心)’에 대한 각종 논의들이 폭넓게 다루어졌다. 심(心)이 성(性)과 정(情)을 통섭한다는 의미의 심통성정(心統性情)의 개념으로부터, 심을 ‘리(理)’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 심은 기본적으로 ‘기(氣)’라는 주장이 나와 대립하였다. 또 심과 명덕(明德)은 같은 개념인가 다른 개념인가의 문제, 명덕은 ‘리’로 보아야 하는가, ‘기’로 보아야 하는가의 문제들이 제기되어 학계를 뜨겁게 달구었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 말기의 심설논쟁을 사단칠정논쟁, 호락논쟁과 함께 ‘조선성리학의 3대 논쟁’으로 규정하고 그 위상과 실상, 의의를 조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심설논쟁은 단순히 이론 논쟁에서 그치지 않았다. ‘시사성(時事性)’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서양과 일본 세력을 배척하는 운동, 의병운동과 독립운동 등에도 직, 간접으로 영향을 끼쳤다. 심설논쟁은 사칠논쟁이나 호락논쟁에 비해 논쟁의 성격이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 게다가 자료의 체계적인 정리를 필요로 한다. 삼대 논쟁에 대한 상호 비교문제는 조선성리학의 특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주제의 하나다. Joseon Neo-Confucianism had important disputes throughout its hundred years of history. Starting in mid-16th century, Four-Seven Dispute focused on ‘Qing (情, emotion)’ while Horak Dispute that emerged in early 18th century put emphasis on whether people and things have the same ‘Xing (性, nature).’ These two disputes lasted until late Joseon. In that process, their issues were clearly recognized and consequently, characteristics of Joseon Neo-Confucianism were well demonstrated. With Western power surging in since mid-18th century, Joseon Neo-Confucianism should develop logic to cope with the Western power. One of responding logics was Zhulilun (主理論, theory of reason) in Neo-Confucianism. Diverse discussions particularly on ‘Xin (心, mind)’ were expansively made. From the notion of Xin Tong Xing Qing (心統性情) that Xin converges with Xing and Qing, an argument that Xin should be seen as ‘Li (理, reason)’ and another that Xin is basically ‘Qi (氣, force of nature)’ were up against each other. The academia heated up with issues raised such as whether Xin and Mingde (明德, bright virtue) are the same notion and whether Mingde should be seen as ‘Li’ or ‘Qi’, etc. Defining morality dispute in the late Joseon along with Four-Seven Dispute and Horak Dispute as ‘three major disputes in Joseon Neo-Confucianism,’ this paper focuses on clarifying their status, actuality and significance. Morality dispute was not only a theoretical dispute. It has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topicality.’ I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movements against Western and Japanese power, loyal troop’s activities and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Compared to Four-Seven Dispute and Horak Dispute, morality dispute is more complex and expansive. In addition, it requires systematic organization of data. Intercomparison of three major disputes is one of key topics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Joseon Neo-Confucianism.

      • KCI등재

        백파(白坡) 김구락(金龜洛)의 생애와 학문

        崔英成 ( Choi Young-su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동방학 Vol.0 No.43

        조선 말기 율곡학파의 학문 전통을 계승하여 기호성리학의 매듭을 지은 간재(艮齋) 전우(田愚)는 3천 명에 달하는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남녘의 제주에서부터 북방의 간도(間島)에 이르기까지, 또 동쪽으로 영남 지역에까지 전국적으로 제자들이 분포하였다. 이것은 전우의 위상이 어느 정도였는가를 보여준다. 본고는 전우의 문인 가운데 한 사람인 백파 김구락의 생애와 학문을 조명한 것이다. 부안 출신 유학자로 이름이 있었던 김구락은 16세 때인 1912년에 전우의 문하에 들어가 만 십년간 수학하였다. 그의 부친은 간재가 강학하던 계화도(界火島)에 곤학당(困學堂)이란 서당을 지어 줄 정도로 교육열이 대단하였다. 김구락은 전우의 학문과 사상을 충실히 이어받았다. 시국관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교육을 통해 구국(救國)하라는 간재의 가르침을 잘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는 사상적으로 폭이 다소 넓어 불교의 승려들과 교유를 Ⅵ하였으며, 유교와 불교의 만남을 모색하기도 했다. 또 예(禮)와 함께 악(樂)을 중시하였다. 일생토록 풍류를 즐겨 적지 않은 시문을 남겼다. 본고는 아직 조명이 안 된 유학자를 학계에 소개한다는 데 일차적 의의가 있다. 향후 학문과 사상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Ganjae Jeon Woo, who succeeded the academic tradition of Yulgok School and completed the Neo-Confucianism of Kiho, educated as many as 3,000 pupi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southern Jeju to Kando in the North, and to the Youngnam region in the east, his disciples were scattered nationwide. This shows how influential Jeon Woo's position was.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studies of Baekpa Kim Gu Rak, who was one of Jeon Woo's literary men. Kim Gu Rak, who was renowned for being a Confucian scholar from Buan, joined Jeon Woo's school in 1912 when he was 16 and studied under him for about a decade. His father was so enthusiastic about education that he built a seodang(village school) called Gonhakdang(困學堂) in Gyehwado(界火島) where Ganjae was pursuing his studies. Kim Gu Rak succeeded to Jeon Woo's studies and thoughts devotedly. His views on the state of national affairs were not much different. It seems that he kept up with Ganjae's teaching which is to save the country through education. Yet, he had a wider range of thoughts and kept company with Buddhist monks, and sought Confucianism meeting with Buddhism. Moreover, he pu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proprieties and pleasure. He appreciated and enjoyed arts for his lifetime and left behind many poems. This study is primarily significant for introducing a Confucian who has not been examined to the academic world. I expect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further analyze his studies and thoughts in the future.

      • KCI등재

        18세기 노론 낙학파(洛學派)의 현실인식과 대응논리 -『성리대전』에 대한 황윤석의 인식을 중심으로-

        최영성 ( Young-sung Cho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조선 후기 집권 노론의 낙학파는 성리학의 이념으로 국정을 이끌면서 종래의 ‘정신적’ 측면에 급급했던 데서 벗어나 ‘물질’에 대한 관심으로 정계와 학계의 분위기를 전환했다. 이런 움직임을 주도했던 세력이 김원행(金元行)을 중심으로 한 석실서원(石室書院) 계통의 학인들이었다. 그러나 소수의 진보적 학자-북학론자들을 제외한 대다수 낙학파 학자들은 청나라의 실체를 내심 인정하면서도 종래의 성리학적 전통에서 벗어 나지는 못하였다. 그들은 정권의 존립 기반을 위태롭게 하는 북학론을 수용하기 어려웠다. 종래의 성리학적 전통과 조선중화주의의 이념을 지키면서도 청나라의 문화 수준에 이를 방안을 모색하였고, 그 과정에서『성리대전』에 집약된 경세학 체계의 복구를 대안으로 인식하였다. 황윤석은 낙학파의 이런 대응논리를 대변하였던 성리학자다. 그는 성리학의 범주 안에 들어 있는 상수학의 가치를 재발견하였고, 『성리대전의』중요성을 다시 부각했다. Nakron School of the ruling Noron Party in late Joseon Dynasty was at the helm of state with Neo-Confucian ideology and it came out of being obsessed with conventional ``spiritual`` aspects and changed both political and academic atmosphere with interests in ``matters.`` The power leading such a change was scholars in Seoksil Seowon (石室書院) which centered around Kim Won-Haeng (金元行). However, except for few progressive scholars-Bukhak scholars (北學論者), most of Nakron scholars secretly acknowledged the actuality of Qing Dynasty but they failed to get out of old Neo-Confucian traditions.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accept Bukhak theory which jeopardized the existence of administration. They sought plans both to keep Neo-Confucian traditions and Sinocentrism in Joseon and to reach the cultural level of Qing Dynasty and in that process, they recognized restoration of the statecraft study (經世學) summarized on Seongridaejeon as an alternative. Hwang Yun-Seok is a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 in such response of Nakron. He rediscovered value of the science of xiangshu in the Neo-Confucian category and highlighted importance of Seongridaejeon yet again.

      • KCI등재

        진흥왕순수비의 재검토

        최영성(Choi, Young-sung)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3 No.-

        진흥왕순수비에 대한 전문 연구가 있어온 지 오래되었다. 그러나 종합적 연구는 매우 드물고, 사상적 측면에서 접근한 것은 전무하다시피하다. 필자는 진흥왕순수비를 사상의 관점에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순수비의 내용을 보면 유교사상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민족 고유사상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표명되어 있다. 최치원(崔致遠)이 말한 ‘풍류(風流)’의 실재를 증언한 것이 황초령비와 마운령비다. 진흥왕순수비에서는 ‘순수한 바람’(純風)과 ‘오묘한 변화’(玄化)를 말하면서 ‘바람’과 ‘변화’의 철학을 가지고 정치의 도리를 논하였다. 순수비 내용은 한 마디로 『주역』관괘(觀卦)에 나오는 ‘성방관민(省方觀民)’ 바로 그것이다. 『주역』관괘의 내용은 임금의 ‘순수’ 행위를 철학적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진흥왕순수비와 관련시켜 볼 수 있다. 순수비에 기록된 내용은 유가 계열의 고전으로 꼽히는 『백호통의(白虎通義)』「순수(巡狩)」조에 나오는 것을 실천한 것이다. 먼저 순수의 목적이 ‘민심 탐방’(訪採民心)에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네 계절의 가운데 달(四仲月)인 8월에 맞추어 순수를 하였으며, 돌을 깎아 기념물을 세우는 행사를 그대로 실천하였다. 『백호통의』내용이 6세기 신라에서 실행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re have long been professional researches on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 However, comprehensive ones are very rare and almost none is done with approach from ideological aspects. The author thinks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 should be examined from the ide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ntents of Sunsubi Monument, positive attention on nation’s own t houghts is e xpressed while i ts m ainstream is f ormed with Confucian ideas. What testifies the existence of ‘Poongryu’ (風流) mentioned by Choi Chi-won is Hwangchoryeong Monument and Maunryeong Monument.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 states ‘pure wind’ (純風) and ‘subtle change’ (玄化) and it discusses reason of politics with philosophies of ‘wind’ and ‘change.’ The content of Sunsubi Monument, in a word, is ‘Seongbang-gwanmin’ (省方觀民, looking around every direction and studying people’s lives) which is on Gu?ngua on Zhouyi. The content of Gu?ngua on Zhouyi can be related to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 in that it philosophically explains King’s act of ‘Sunsu’ (King’s examining around the country). What is documented on Sunsubi Monument is the practice of the article Sunsu on Bai hu tong i (白虎通義) which is considered a Confucian c lassic. First, it clarifies that the purpose of Sunsu is to ‘examine public sentiment’ (訪採民心). In addition, Sunsu was conducted on August, the middle month in four seasons, and the ceremony to erect a memorial by carving out a stone was also fulfilled. It should be noticed that the content of Bai hu tong i was implemented in 6th century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