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O 저평가 현상과 기대왜도 선호에 대한 검정

        최정화,조은영 한국재무관리학회 2017 財務管理硏究 Vol.34 No.2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PO underpricing and investor’s skewness preference with IPO stocks in the KSE and KOSDAQ markets between January 2000 and September 2016. We first divide the IPO stocks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expected skewness of the market and then calculate the IPO first-day returns of each group. The difference in the first-day returns between the groups of highest expected skewness (H) and the lowest skewness (L) is 43.2%.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12-month long-term returns between (H) and (L) is -31.7%. The skewness effect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obustness test with the subsampl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ctation bias effect is an additional factor explaining the IPO underpricing in Korean stock market.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들의 극단치의 복권적 수익(lottery payoffs) 선호에 따른 기대왜도(expected skewness) 선호현상이 IPO 저평가 현상에 대한 유의한 행태재무학적인 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검정해 보고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유가증권시장(KSE) 및 코스닥시장(KODAQ)에 신규 상장된 주식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기대왜도에 따라 시장을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기대왜도가 가장 높은 그룹(H)과 낮은 그룹(L)의 첫날 IPO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양 그룹간의 평균 수익률 차이는 43.2%에 달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두 그룹간의 장기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12개월 보유 수익률의 경우 기대왜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간의 수익률 차이는 -31.7%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패턴은 기존의 IPO 저평가를 설명하는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유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행태재무학적 요소인 기대왜도 선호현상이 우리나라 IPO 저평가를 설명하는 유의한 요인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린이집 대체교사의 직무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정화 육아정책연구소 2015 육아정책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ild-care substitute teacher's specific job experience and to analyze their recognition for its experience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reflection on the child care field. It also tried to understand process that the substitute teachers developed their ability as a teacher and its meaning as wel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 substitute teachers in ‘A’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Data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from substitute teacher's individual interviews, documents, and the classroom observation journals. A narrative analysis was adopted to reveal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day care substitute teachers allowed them t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other teachers and the director through work experience in a wide variety of courses. Second, they tended to have four different meanings of the experience as a substitute teacher in the child care center; “proper knowledge of the situation”, “voluntary cooper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role and empathy in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 variety of experiences of substitute teachers gave the importance of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child care filed.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대체교사들의 직무경험을 알아보고 그들이 현장인식과 반성적 사고를 통해 전문성 있는 교사로의 성장을 도모하는지, 그 과정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A육아종합지원센터 소속의 대체교사 3명과 8개월에 걸쳐 심층면담을 하였고, 그들의 수업관찰일지와 문서를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그들의 경험에 관한 의미를 탐구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대체교사들의 직무경험 형태는 이론과 실제의 차이, 다양한 상황 적응에 따른 역할의 변화와 보람, 현장에 대한 이해와 조력으로 나타났다. 대체교사의 직무경험은 다양하고 폭넓은 어린이집 현장 경험과 이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보다 넓은 안목을 갖게 했으며 자신들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긍정적 인식을 구축하게 하였다. 한편 대체교사들의 경험과 변화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기초자료 조사의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 KCI등재

        SNS이용이 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최정화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정치적 매체 및 도구로서 그 잠재력을 주목 받고 있는 SNS의 이용이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 및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있다. 특히 SNS의사회 자본 창출가능성을 주목, SNS이용이 개인 스스로에 대한 정치효능감 인식과 더불어 집단에 대한 정치효능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총 251명의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SNS 이용은 개인 자신에 대한 내재적 정치효능감과 정적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적 정치효능감과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적-내재적 효능감은 다시 오프라인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NS를 친교 및 대인관계를 위해 이용하는 사람들일수록 집단적-내재적 정치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이용은 또한 오프라인 정치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했을 때, 본 연구는 SNS가 제한적이지만 정치참여를 촉진시키는 매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정치에 무관심한 젊은 세대를 어떻게 움직일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SNS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관한 함의를 논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SNS use on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in particular, examines if SNS use promote perception of collective political efficacy, not just personal political efficacy. A survey of 251 college students in a regional university in South Korea reveals that SNS use is positively related to efficacy perception about one’s own political abilities but not related to collective efficacy perceptions. This personal-internal efficacy perception in turn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en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offline. Meanwhile, those who use SNS for socializing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stronger collectiveinternal efficacy. SNS use also directly influenced inten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offline. To sum up, this study suggests that SNS may play a role as an medium to facilitate political process to some extent. Implications to mobilizing politically indifferent college students and the roles SNS may play in the proces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하절기 방서용 농작업모 개발에 관한 연구

        최정화,정영옥,Choi Jeong Wha,Jeong Young Ok 한국의류학회 1990 한국의류학회지 Vol.14 No.4

        Experiment I and II had done to develop the solar heat proof hat for field work in the summer. In the experiment I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veral fabrics was tested to determine which one Is proper to make the solar heat proof hat. On the base of above results in the experiment II three improved solar heat proof hat was deviced and tested solar heat proof effect and compared the existing summer working hat by wearing trials in the environmental chambe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view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ix fabrics (Blue T/C, White poplin, Vapor transfer silver coating nylon taffeta, No vapor trans(or silver coating nylon taffeta, Aluminum coating T/C, Microporous fabric), the light color T/C and no vapor transfer silver coating nylon ta(feta is proper to make improved solar heat proof working hat. 2. Three improved hats that are made of white T/C, grey T/C and no vapor transfer silver coating nylon taffeta have more solar heat proof effect than the existing summer working hat. 3. Among the three improved hats, the improved hat that is made of no vapor transfer silver coating nylon taffeta is most effective to proof the solar heat.

      • KCI등재

        3D 프린팅 기술을 융합한 도자디자인 사례 연구

        최정화,김원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nfluence of 3D printing technology on the formability and artistic value of ceramic work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3D printing technology and a case study of ceramic works that incorporate them creatively. Thu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ceramic works of seven artists and two design teams. First, digital production that incorporates 3D printing technology into works can be applied to data applications and changes, unlike the existing manual methods, and the artist's unique creative artwork is possible. Second, a new paradigm has emerged that expresses the new material, method, advanced digital technology, and more stereoscopic and colorful sculptures out of the traditional ceramic concepts. In the future, I hope to find new methodology that meets the developing digital technology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nd utilization of 3D printing and realizing new value of ceramic design. 본 연구는 3D 프린팅 기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이를 창의적으로 작품에 접목시킨 도자작품 사례분석을 통하여 3D 프린팅 기술이 도자작품의 조형성과, 예술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재조명고자 하였다. 이에 작가 7인과 두 디자인팀의 도자작품 사례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3D 프린팅 기술을 작품에 접목시킨 디지털제작은 기존의 수작업 방식과 달리 데이터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하여 작가의 개성 있는 창작 예술품이 가능하다. 둘째, 새로운 소재와 방식, 첨단 디지털기술로 기존의 도자개념을 벗어난 보다 입체적이고 다채로운 조형물로 표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앞으로 3D 프린팅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활용으로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에 부합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찾아내고 실현하여, 미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가진 도자디자인의 새로운 가치가 재창조되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