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생애 순혜택으로 측정한 국민연금 초기 수급자들의 소득재분배
최기홍,신승희,Choi, Ki-Hong,Shin, Seung-Hee 한국통계학회 2015 응용통계연구 Vol.28 No.4
향후 고령사회에서 노후소득보장의 중요성은 소득양극화로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사회보장 제도인 국민연금은 대다수 국민들의 노후 소득보장과 함께 소득재분배를 담당하고 있다. Kim (2002), Kim 등 (2003), 그리고 Hong (2013) 등이 국민연금의 소득재분배 기능이 미흡할 수 있음을 보였지만 최근 Choi (2015)은 그 원인이 국민연금 기본연금액 산식의 구조적 취약점에 기인한다는 의견을 제기하였다. 본고는 현재 국민연금의 약 300만 노령연금수급자를 중심으로 개인별 이력자료와 2013 재정계산의 장기재정추계에서 관련 세대의 2014년 이후 수급에 대한 분석으로 국민연금 초기 수급자들의 생애순혜택에 의한 소득재분배 측정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수급자 이력자료에 나타난 소득대체율로 측정한 소득재분배는 누진적이지만 그것은 초기 가입자들의 특성상 소득분위별 가입기간의 차이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 남은 생애기간에 대한 급여를 장기재정추계 모형으로 보완하여 측정한 생애 순혜택은 크게 역진적으로 나타난다. 소득계층별 가입기간의 차이가 더 큰 이후 세대들에서는 그 역진성이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국민연금의 소득재분배에 대한 재검토가 요청된다. The importance of the old age income security will increase for an aging society due to the deepening income polarization. The National Pension(NP) is a representative Social Security scheme in charge of old age income security as well as income redistribution for the insured. Studies by Kim (2002), Kim et al. (2003), and Hong (2013) have reported the possibility of unsatisfactory income redistribution of the NP. Recently Choi (2015) attributed those results to an unnoticed defect in the benefit formula. This study is a test for the unsatisfactory income redistribution of the current National Pension using early participants who have now become pensioners. The method aggregates cohorts and combines individual history data before the year 2013 and the results of the actuarial projection model of the 2013 after the year 2014. The results are divided by measures taken. The redistribution is obviously progressive by the income replacement rate; however, it is significantly regressive when measured by the net benefit theoretically as more plausible. Considering the effect of differing lifetime contribution year among income classes, the regressive redistribution will prevail more in the future pensioners.
화력발전소 효율개선 측정에 대한 디비지아분해기법의 적용
최기홍,Choi, Ki-Hong 한국환경경제학회 2000 자원·환경경제연구 Vol.9 No.5
Since improved thermal efficiency reduces capacity requirements and energy costs, electricity producers often treat thermal efficiency as a measure of management or economic performance. The conventional measure of the thermal efficiency of a fossil-fuel generation system is the ratio of total electricity generation to the simple sum of energy inputs. As a refined approach, we present a novel thermal efficiency measure using the concept of the Divisia index number. Application of this approach to the Korean power sector shows improvement of thermal efficiency of 1.1% per year during 1970-1998. This is higher than the 0.9% improvement per year given by the conventional method. The difference is attributable to the effect of fuel substitution. In the Divisia decomposition context, we also show the limitations of the popular $T{\ddot{o}}rnqvist$ index formula and the superiority of the Sato-Vartia formula.
최기홍 ( Ki Hong Choi ) 한국재정학회 2013 재정학연구 Vol.6 No.3
보고는 장기재정추계 모형을 이용하여 국민연금의 세대간회계를 작성하고 국민 연금의 재정분석에 대한 응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8년 국민연금 장기재정추계 모형에 의한 시험적 분석으로 부터 세 가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세대간회계에 의한 제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진단에는 장기적 규제상태와 동태적효율성(dynamic efficiency)의 자정이 요구된다. 둘째, 그러한 이론에 따른 국민연금의 세대간회계는 현재의 제도가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지 못함을 나타낸다. 셋째, 가입자의 과거 국민연금 이력(history) 자료를 세대별로 분석한 결과로 확장된 세대간회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초기 가입자들과 최근의 가입자들 간에는 상당한 수익성의 격차를 보인다. 본 연구의 확장된 세대간회계와 거의 동일한 분석이 미국의 사회보장청에서 세대간 수익성(money`s worth across cohorts)의 측정에 사용되며 그 결과들은 연금개혁 논의에서 중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확장된 세대간회계는 당면한 국민연금 재정안정화 정책의 세대간형평성 평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methodology of generational accounting to the National Pension, which is the central social security pension of our country. The objective of the generational accounting is to evaluate the sustainability and intergenerational equity of government transfer programs in the aging society, which is based on the projection of income and expenditure by generations to the very distant future. The generational accounts of the National Pension estimated from the baseline projection of the 2008 actuarial valuation show negative values for all generations who are living in the reference year 2008, implying that the current system is not sustainable regardless of the generational account of the future generation. Thus instead of the sustainability of the scheme, the focus is moved to the measurement of intergenerational equity using the fact that complete historical data is available in digital form for the insured and pensioner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It is to build a complete lifetime data by linking the historical values to the projected ones by cohorts. The data set enables various cohort-specific benefit/cost analyses for the current cohorts as of reference year 2008. It is remained as a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develop this methodology as a policy evaluation model for the reform proposals that would be prepared in the near future, which is already exploited in the US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for the OASDI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