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5분과 : 환경관리 및 도시녹지 ; 일본의 학교림의 역할과 가치 고찰

        오창길 ( Chang Kil Oh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제2조 제5호에는 학교숲은 「초·중등교육법 」 제2조에 다른 학교와 그 주변 지역에서 국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의 제공 및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국의 근대적인 학교는 교내외에 학교숲이 있었다. 생명의숲·유한킴벌리·산림청의 주도로 1999년부터 학교숲운동이 펼쳐져 2011년까지 957개교(전체 학교 수 11,510개교)의 학교숲을 조성하였다. 한국에서 학교녹화를 둘러싼 운동으로는 「학교숲 운동」, 「학교녹화 사업」, 「학교공원화 사업」, 「녹색학교」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어졌다. (사) 생명의 숲의 「학교숲 운동」, 서울시의 「학교공원화 사업」, 경기도의 「학교숲 조성 사업」, 인천시의 「학교공원화 사업」, 교육부의 「녹색학교(Green School)」, 서울시 교육청의 「친환경 학교 숲 조성 사업」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사)국토녹화 추진기구1)의 「학교림(學校林)운동」, (재)일본생태계협회를 중심으로 진행된「학교비오톱 운동」, (NPO법인) 학교숲의 「학교숲(學校の森)운동」등과 유사하다. 일본의 학교림은 근대적인 학교제도의 발족과 함께 걸어 온 긴 역사가 있다. 근대적인 학교가 들어서면서 학교건축 비용의 부담을 안게 된 지역사회가 향후의 학교운영을 고려하여 기본 재산으로서 확보한 삼림이 학교림의 출발이 된것이다. 메이지(明治)시대의 학교림은 지역의 교육력을 구체화한 존재였다. 한편, 문교행정의 측면에서는 1895년에 방일한 미국의 노스롭 히로시(博士)가 식목일 (ArborDay)을 전하였고, 이것이 문교부차관명으로 일선 학교로 전달되었다. 학교림을 둘러싼 역사는 재산적 역할과 교육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임야(산림)행정과 문교행정에서 관리되어져왔다. 학교림은 학교의 기본 재산 역할과 교육 시설로서 아동·학생의 교육활동에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 1906년에는 학교림이 2023교에 걸쳐 면적이 약5000ha에 이르면서 빠르게 증가하였다. (사) 국토녹화추진기구에서는 1950년부터 학교림운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5년마다 전국 학교림 현황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학교림은 1974년도에는 5256개교 면적28665ha, 2001년도 3312개교, 면적 약2만ha로 감소하고 있다. 2006년 조사에는 3057개교 20105ha로 나타났으며 그중, 학교림을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학교는 약25%, 1183교에 머물고 있다. 전일본 학교환경녹화 콩쿠르는 1974년부터 시작하였고 있다. 학교림의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학교와 학교림의 거리인데 1km 이상인 학교가 73%이다. 학교림의 위치가 교외에 있는 것이 90%가 넘고 있다. 지역별로 학교림의 면적이 차이가 있다. 홋카이도를 비롯하여 농촌과 산촌이 많은 현들이 학교림의 면적이 넓다. 목재수입과 목재소비량의 감소로 인한 삼림·임업을 둘러싼 상황변화는 학교림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목재가격의 저하로 일본 임업은 위축되어지고 학교림은 학교와 지역사회에 역할을 해온 재산 가치는 크게 감소되었다. 재산가치의 저하로 인하여 벌채나 관리가 부실하고 식재→관리→벌채→재식재 라는 순환 고리가 끊어지고 있으며 신규 식재활동도 활발하지 않았다. 이와는 별도로 교육적 역할은 다른 움직임이 생겨났다. 지구환경위기로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산림환경교육의 장으로서 학교교육에 새롭게 평가되고 있다. 학교림의 경제적 가치로는 토지·입목(立木)의 소유 관계와 경제수종 (대부분 침엽수 조림지)이였지만 자연인가 아닌가가 문제되었지만, 산림환경교육의 장으로서는 다양한 생물 관찰이 가능한 활엽수림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국토녹화추진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학교림 조성과 활용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1)교육적 활용을 최우선으로 한다. (2)교육적 활용에서도 환경교육 이용이 제일 많다 (3)총합적인 학습의 시간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4)학교림의 소유는 국가, 도도부현(都道府縣), 시읍면, 개인등 다양하며 시대의 요청에 따라 소유로부터 이용을 우선한다. 최근에는 임야청에서는 「놀이 숲」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학교림 또한 이사업에 적절히 이용하고 있다. 국유림에 있어서의 새로운 제도인 「유우(遊)들의 숲j에 대해서, 새로운 학교림으로서의 이용에 적합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2년부터 시작된 「놀이 숲」 사업의 특징은 (1)교육적 활용을 목적으로 한 단체와 협정을 맺고, (2) 그 활동을 위해서 국유림을 제공하며 (3)토지나 식목에 관한 권리는 상대에게 일체 이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삼림환경교육 실시를 희망하는 단체(학교, 시읍면, 교육청, NPO법인)들이 소유와 관계없이 삼림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놀이 숲」사업은 2006년 현재 학교림도 8개교가 참가하고 있다. 시대적인 변화로 인하여 학교림은 소유에서 활용으로 의미가 변경되고 있으며 교육과 삼림이 새로운 관계 구축을 위한 현장이 요구되얩 있다. 일본의 학교림의 역할과 가치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하고 있다.

      • 일본의 학교림의 역할과 가치 고찰

        오창길,오충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5호에 는 학교숲은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다른 학교와 그 주변 지역에서 국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의 제공 및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국의 근대적인 학교는 교내외 에 학교숲이 있었다. 생명의숲·유한킴벌리·산림청의 주도 로 1999년부터 학교숲운동이 펼쳐져 2011년까지 957개교 (전체 학교 수 11,510개교)의 학교숲을 조성하였다. 한국에서 학교녹화를 둘러싼 운동으로는 「학교숲 운동」, 「학교녹화 사업」, 「학교공원화 사업」, 「녹색학교」라는 이름 으로 진행되어졌다. (사) 생명의 숲의 「학교숲 운동」, 서울 시의 「학교공원화 사업」, 경기도의 「학교숲 조성 사업」, 인 천시의 「학교공원화 사업」, 교육부의 「녹색학교(Green School)」, 서울시 교육청의 「친환경 학교 숲 조성 사업」등 이 있다. 일본에서는 (사)국토녹화 추진기구1)의 「학교림 (学校林)운동」, (재)일본생태계협회를 중심으로 진행된「 학교비오톱 운동」, (NPO법인) 학교숲의 「학교숲(学校の 森)운동」등과 유사하다. 일본의 학교림은 근대적인 학교제도의 발족과 함께 걸어 온 긴 역사가 있다. 근대적인 학교가 들어서면서 학교건축 비용의 부담을 안게 된 지역사회가 향후의 학교운영을 고려 하여 기본 재산으로서 확보한 삼림이 학교림의 출발이 된 것이다. 메이지(明治)시대의 학교림은 지역의 교육력을 구 체화한 존재였다. 한편, 문교행정의 측면에서는 1895년에 방일한 미국의 노스롭 히로시(博士)가 식목일 (ArborDay) 을 전하였고, 이것이 문교부차관명으로 일선 학교로 전달되 었다. 학교림을 둘러싼 역사는 재산적 역할과 교육적 역할 을 하고 있으며 임야(산림)행정과 문교행정에서 관리되어 져왔다. 학교림은 학교의 기본 재산 역할과 교육 시설로서 아동·학생의 교육활동에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 1906년에 는 학교림이 2023교에 걸쳐 면적이 약5000ha에 이르면서 빠르게 증가하였다. (사) 국토녹화추진기구에서는 1950년 부터 학교림운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5년마다 전국 학교림 현황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학교림은 1974년도에는 5256 개교 면적28665ha, 2001년도 3312개교, 면적 약2만ha로 감소하고 있다. 2006년 조사에는 3057개교 20105ha로 나 타났으며 그중, 학교림을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학교는 약 25%, 1183교에 머물고 있다. 전일본 학교환경녹화 콩쿠르 는 1974년부터 시작하였고 있다. 학교림의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학교와 학교림의 거리인데 1km 이상 인 학교가 73%이다. 학교림의 위치가 교외에 있는 것이 90%가 넘고 있다. 지역별로 학교림의 면적이 차이가 있다. 홋카이도를 비롯하여 농촌과 산촌이 많은 현들이 학교림의 면적이 넓다. 목재수입과 목재소비량의 감소로 인한 삼림·임업을 둘러 싼 상황변화는 학교림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목재가격의 저하로 일본 임업은 위축되어지고 학교림은 학교와 지역사 회에 역할을 해온 재산 가치는 크게 감소되었다. 재산가치 의 저하로 인하여 벌채나 관리가 부실하고 식재→관리→벌 채→재식재 라는 순환 고리가 끊어지고 있으며 신규 식재 활동도 활발하지 않았다. 이와는 별도로 교육적 역할은 다른 움직임이 생겨났다. 지구환경위기로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산림환경 교육의 장으로서 학교교육에 새롭게 평가되고 있다. 학교림 의 경제적 가치로는 토지·입목(立木)의 소유 관계와 경제 수종 (대부분 침엽수 조림지)이였지만 자연인가 아닌가가 문제되었지만, 산림환경교육의 장으로서는 다양한 생물 관 찰이 가능한 활엽수림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국토녹화추진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학교림 조성과 활 용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1)교육적 활용을 최우선으로 한다. (2)교육적 활용에서 도 환경교육 이용이 제일 많다 (3)총합적인 학습의 시간으 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4)학교림의 소유는 국가, 도도부 현(都道府縣), 시읍면, 개인등 다양하며 시대의 요청에 따 라 소유로부터 이용을 우선한다. 최근에는 임야청에서는 「놀이 숲」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데 학교림 또한 이사업에 적절히 이용하고 있다. 국유림에 있어서의 새로운 제도인 「유우(遊)들의 숲j에 대해서, 새로운 학교림으로서의 이용에 적합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2년부터 시작된 「놀이 숲」 사업의 특징은 (1)교육적 활용을 목적으로 한 단체와 협정을 맺고, (2) 그 활동을 위해 서 국유림을 제공하며 (3)토지나 식목에 관한 권리는 상대 에게 일체 이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삼림환경교육 실시 를 희망하는 단체(학교, 시읍면, 교육청, NPO법인)들이 소 유와 관계없이 삼림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놀이 숲」사업 은 2006년 현재 학교림도 8개교가 참가하고 있다. 시대적인 변화로 인하여 학교림은 소유에서 활용으로 의미가 변경되고 있으며 교육과 삼림이 새로운 관계 구축 을 위한 현장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일본의 학교림의 역할 과 가치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하고 있다.

      • 合成洗劑의 毒性에 關한 硏究

        朱興珪,崔炯一,吳昌吉 조선대학교 환경연구소 1987 環境公害硏究 Vol.4 No.-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ynthetic detergent concentration on the activation level of activated sludge, the removal rate of COD, and LAS removabilty to BOD and MLSS ind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LAS removability, activated sludge accerlated more 36.35% than simple aeration in 2 days. At 50 ppm of LAS concentration level, difference came out from activated slduge treatment, while there was 9% difference in simple aeration due to the fact the activity level of activated sludge fell(was lowered) because the toxicity of LAS itself affected(influenced on) the acitivity of microoganisms in the water. Activated sludge had normal sludge-moving in 30ppm bat decreasing effect of its moving in 40 ppm and each sludge was crowded around one side and expanded in 50 ppm LAS concentration. COD removal rate was showed decreasing effect from 60∼70ppm, and less the 50% at 140 ppm in LAS concentration. The bubbling phenomena was occured in 0.4g of BOD and MLSS, compared to the 0.2g of BOD and MLSS in 30ppm LAS, it is suggested that LAS removability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induction of BOD and MLSS.

      • KCI등재

        환경교육센터의 위계와 역할에 따른 기능 연구

        차수철(Soo Cheol Cha),정경일(Gyeong Il Jung),이경미(Kyoung Mi Lee),오창길(Chang Gil Oh),장영효(Young-Hyo Chang),이상원(Sang Won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2

        이 연구는 국가환경교육센터, 광역환경교육센터, 기초환경교육센터의 고유의 기능과 위계에 따른 역할을 탐색하고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관련 문헌 분석, 국내외 관련 사례 조사, 유관종사자 간담회, 전문가 설문 조사 및 자문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교육센터 간 위계와 기능 및 역할, 국가-광역-기초환경교육센터 운영 방안, 환경교육센터 활성화를 위한 제반 추진 과제를 제안하였다. 문헌과 사례 조사를 통해 환경교육센터 위계와 관련하여 기본모형과 확장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들은 국가 및 광역환경교육센터는 단일 지정, 광역환경교육센터에 복수의 기초교육센터를 설립하는 확장 모형을 선호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환경교육센터는 연구 개발 및 조사, 네트워크구축 기능에 집중하고, 광역환경교육센터는 교육․양성, 연구 개발 및 조사, 네트워크 구축 기능을 고르게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환경교육센터는 교육ㆍ양성 기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cooperation system of environmental education(EE) centers that facilitate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EE centers at national, regional and local levels. To enact the research, relevant research analysis, case studie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EE centers and personnel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suggests the functions and roles of EE centers based upon the implementation tasks to activate EE at national, regional and local levels. Two models(single model and expansion model) of the EE center hierarchy were design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ies. The EE experts favored the expansion model (a national EE center – a regional EE center–multiple local EE centers).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roles and functions of EE centers, the national EE center was proposed to focus on research development and network construction. The regional EE center was suggested to show balance among education/training, research development, and network construction, while the local EE centers was to play the most roles in education and training functions.

      • KCI등재

        충남 덕산도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도입 방안

        오충현(Oh, Choong-Hyeon),김동효(Kim, Dong-Hyo),오창길(Oh, Chang-Gil),이윤환(Lee, Yun-Hwan),박은하(Park, Eun-Ha)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2

        우리나라는 현재 제공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가 사유지에 의해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정한 보상 대책 등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생태계서비스 지불제를 국내에 도입하는 방안 마련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덕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생태계서비스 지불제(PES :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 시행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덕산도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지불의 주체는 정부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충청남도와 중앙정부가 나누어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불방법은 실비보상이 적합하다. 실비보상을 통해 토지주의 소득감소분에 대해 지불하고 추가적으로 생물다양성 유지 및 증진을 위한 활동이 진행될 경우 이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공익형 지불제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긴밀한 제도 및 재정적 연계가 필요하다. 생태계서비스 지불제는 지방정부 단독으로 시행하기에는 재정, 제도, 사회적 합의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토지주의 소득감소분에 대한 기본지불은 중앙정부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물다양성 증진 이행에 대한 가산지불은 지방정부가 시행하는 합리적이다. 이때 엄격한 생태성과증명 및 이행에 대한 관리를 통해 토지주의 무임승차를 방지해야 한다. 국립산림과학원(2007)에서 제시한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도입 의사결정 흐름도를 통해 덕산도립공원의 PES 도입 타당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제도 도입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덕산도립공원은 여러 가지 환경관련 문제를 가지고 있고, 이는 생태계서비스 지불제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 엄격한 기준과 관리감독이 적용된다면 경제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정치적으로도 수용 및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태계서비스 지불에 대한 잠재적인 구매자와 판매자가 존재하며, 이들 간의 협상이 타결되기 위해서는 적정 지불금액 및 지속적인 비용확보가 필요하다. 덕산도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지불금액은 ‘산림공익기능 가치평가(2013)’를 고려해 산정한 결과 최대 273,837,090원이다. Though various kinds of ecosystem services are provided by private land in Korea, reasonable compensation plan can’t be arrang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rrange introduction plan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PES) for arranging solution about this problem. Thus this study examined PES for Deoksan Provincial Park in Chungcheongnam-do.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The buyers of PES are government and it need to be paid by Chungcheongnam-do and central government. The way of payment is actual expense compensation. Through actual expense compensation, the land owner can be paid decline in income and additional incentives for consisting and increasing biodiversity. These payment systems correspond with basic payment and additional payment. To carry out public payment, the institutional and financial connection are needed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Because of difficulty in conducting PES by local government peremptorily, central government has to pay basic payment about compensating decline in income and local government has to pay additional payment about increasing biodiversity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t this time, it has to prevent ‘Free-riding’ by land owners through strict "Ecological product prove’ and management. The result of considering validity of introduction of PES through ‘Decision making flow diagram of introduction of PES’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7) are that PES of Deoksan Provincial Park is reasonable. Deoksan Provincial Park has many kind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y can be solved by PES. It is also economically reasonable if strict standard and management are applied. It can be accepted and supported politically. The potential buyers and sellers exist about PES and the appropriate payment and securing expense are needed to make negotiation successful between buyers and sellers. The PES in Deoksan Provincial Park is maximum 273,837,090won considering ‘Assessment of value of public function of forest(2013)’.

      • KCI등재

        지역 생태계의 문화서비스로서 생태교육의 가치 평가

        이재영(Jae Young Lee),오충현(Choong Hyun Oh),김인호(In Ho Kim),전정일(Jeong Ill Jeon),오창길(Chang Gil Oh)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4

        지역이나 마을 단위의 환경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생태적 토대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가치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통합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환경(생태)교육과 생태계서비스를 결합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생태계문화서비스의 일부로서 생태교육의 가치나 효과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와 측정요소를 개발하고 측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잠재성을 비오톱, 보호구역, 멸종위기 및 보호종으로 평가하였고, 문화적 매개력은 프로그램 운영 기관과 단체, 환경교육 행사 및 프로그램 수, 지도자 수로 구성하였으며, 생태교육 현행성을 프로그램 참가자 수, 프로그램 참가 시간, 프로그램 참가비로 구성하였다. 하나의 연속적 흐름으로 구성되는 세 가지 평가지표는 생태계문화서비스교육지표라는 틀속에서 통합되었다. 제안된 평가방법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서천 지역에 시범적용한 결과, 2015년에 서천에서는 약 100만 명의 학생들과 시민들이 생태교육을 받았고, 그 경제적 가치는 최소 34억 원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시범적용 과정을 통해 서천 지역에서 생태교육을 활성화하고, 생태계의 교육서비스 잠재력을 현행화하기 위해서는 지도자의 활용과 생태적 자원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o be activated at the local or village level, an integrated approach should be made based on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foundation of the area and confirming its values. By combining ecological education and ecosystem servic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set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nd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value and effect of ecological education as a part of ecosystem cultural services. While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cultural services when compared to the other three ecosystem services, a new framework consisting of three steps of evaluation and three types of measuring elements was developed and proposed. As first step, the potential of ecosystem was evaluated with the degree of biotope, protected area, endangered species, and protected species. Cultural parameters, as second step, were composed of number of environmental education organiz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environmental educators. Finally, actualization indicator of ecological education was made up with number of participants, program participation time, and the program participation fee. The proposed framework, Ecosystem Cultural Service Education Indicators, unify a bundle of measuring elements into the systematic procedural flow. In order to verify its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the proposed evalua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Seocheon area as a pilot.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one million students and citizens received ecological education in Seocheon in 2015 and its economic value was estimated to be at least 3.4 billion Won. It was also found that training and hiring educators or interpreters familiar with regional ecological resource will be the primary way to maximize ecological education as ecosystem cultural service of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