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rganizational composition and R&D performance in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Sangyun Han(한상연),Seung Tai Kim(김승태),Kyu Tae Kwak(곽규태) 한국혁신학회 2019 한국혁신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한국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비 투자와 인력구조 특성이 연구개발 성과에 미친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연구분야의 탐색 및 확대, 외부 지식의 유입 등에 주요하게 기여하는 흡수역량으로서의 인력구조 특성에 주목하였다. 이는 출연연 연구개발의 실질적 경쟁자원이 결국 연구개발비 확보와 더불어 개별 출연연에 소속된 연구자들의 역량에 기인할 수밖에 없기에, 출연연 연구자의 인력구조 특성이 연구개발 성과 도출에 직간접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의 연구개발 투자와 인력구조 특성이 연구개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이어 출연연의 인력구조 특성이 연구개발 투자와 연구개발 성과에 미치는 상화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출연연의 전체 인력구조에서 연구자의 비중과 정규직 연구자의 비중이 높을수록, 그리고 여성 연구자의 비중이 커질 수록 연구개발비 투자와 연구개발 성과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 전문성의 관점에서 박사학위를 가진 연구자의 비중 증가도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 연구개발사업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출연연 인력구조의 변화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used a resource-based view to analys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position on the R&D perform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FRIs). We assumed that the composition of each GFRI would eventually be regarded as absorptive capacity and act as a interaction effect variable between R&D investment and performance. We used a 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s (GLS) model with fixed effects to analyse panel data from 115 Korean GFRIs between 2011 and 2015. Our findings show that R&D investment of GFRIs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We also analysed how organizational composition can interact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performance. Th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organizational composition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R&D investment and performan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its limitations, and also highligh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High-growth Firms in Korea and Some OECD countries

        Sangyun Han(한상연),Byungho Son(손병호)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3

        고성장기업은 정의 자체로서 고용 창출에 기여하는 효과가 큰 기업군으로서, 많은 국가에서 이러한 기업군의 육성을 위한 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OECD 주요 국가별 고성장기업 현황과 생애주기 관점의 국가별 지원 정책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높은 고성장기업 비중을 보이고 있으나 추세측면에서 여타 국가들과는 다르게 2011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현황분석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고성장기업 지원정책을 분석한 결과 주요 국가들은 예비 고성장기업의 식별에서부터 성장까지 지원을 통해 육성하고 있었다. 반면, 우리나라는 고성장기업군으로 진입하기 위한 기업의 식별, 적극적 육성 단계의 정책은 부재한 반면, 이미 고성장기업으로 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고성장’이라는 하나의 기업의 학습 경험을 토대로 고성장기업군의 지원·육성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High-growth firms have a large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jobs. So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most of OECD countries, policies ar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o nurture such high-growth firms. In this study, we compare and analyze the status of high-growth firms in OECD countries. We investigate the status of high-growth firms and compare support policies in some OECD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OECD countries are supporting the growth from identification stage of high-growth firms to growth stage.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re is no policy to identify and actively nurture to become a high-growth firm, but all policies were mainly aimed at firms that have become an high-growth firms. Through this analysis, we propose a policy improvement for supporting high-growth firms based on learning experience of ‘high growth’ for the future.

      • KCI등재

        투수블록시설의 유출저감효과 분석 및 강우강도-지속시간 관계 분석

        한상윤(Sangyun Han),길경익(Kyungik Gil) 한국습지학회 2020 한국습지학회지 Vol.22 No.1

        비점오염은 수계에 악영향을 끼치며 그 영향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의 연구와 다양한 효율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LID 시설 중 실제 설치된투수 블록 시설의 강우 유출 억제를 위한 유출 저감율, 저류 강우량 분석 및 유출 지연시간 그리고 최대 유입 및 유출의저감율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를 각 시설 간 비교했다. 불투수블록, 필터형 투수블록, 틈새형 투수블록 순서대로 분석 결과저감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강우강도-유출지연시간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이 그래프를통해 앞으로 설계 시, 본 시설과 유사한 투수블록 시설의 재현 기간에 따른 시설 용량 선정 등의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Non-point pollution adversely affects the water system and its influence is increasing. In order to manage such nonpoint source pollution, the government has conducted studies on LID (Low Impact Development) facilities and various efficiency evaluations. In this study, the actual installed permeable block facility among the various LID facilities was analyzed the effluent reduction rate, the residual rainfall analysis, the runoff duration time and the reduction rate of the maximum inflow and outflow for the rainfall runoff contro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he other faciliti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eduction efficiency is high in order of impermeable block, filter type permeable block, and clearance type permeable block, and the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infall intensity and the runoff duration time is presented. This graph can be helpful in the design of facilities such as the facility capacity selectio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period of the permeable block facility similar to this.

      • KCI등재

        지역대학 중심의 산학협력 성과분석연구 동향 분석 및 통합 연구모델

        한상연(Sangyun Han),이기종(Ki-jong Lee) 한국지방행정학회 2016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3 No.2

        The literature on the performance of regiona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continues to grow. This research is varied and vibrant, yet large and fragmen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amine each of dimensions of regiona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s performance analysis to describe common across dimensions and to develop an integrative model. We conduct meta-analysis of published papers in SSCI, SCI, and journals registered or candidates registered in the NRF during 7-years period from 2009 to 2015. In this article we first organize the burgeoning the performance analysis of regiona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literature into three streams of research: resource based views, regional innovation networking, and institutional and cultural perspective. Second, we synthesize research findings into a model of factors affecting the regiona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s performance. This model highlights the distinction between input, output, and outcome based input-output model. Third, we present potential paths - four agendas - for futureresearch based on the concepts and links that are missing or not well explored in the model.

      • KCI등재

        전략적 제휴 포트폴리오 다양성이 제휴강도와 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상연(Sangyun Han)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1

        급변하는 기업의 대내외 경영환경에서 제휴는 효과적인 경영전략으로서 많은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간 간과되어 온 전략적 제휴 포트폴리오 다양성을 제휴 유형과 파트너 다양성으로 구분하여 성과 및 제휴강도와 성과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부터 2016년 사이 기업활동조사 불균형패널자료 3,209개 제조업 관측치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제휴강도 및 제휴 다양성은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휴 포트폴리오 다양성이 제휴 강도와 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결과는 제휴 유형 다양성만이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기업이 속한 산업별 기술 수준에 따라 4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제휴 포트폴리오 다양성의 조절효과는 첨단기술산업 그룹에서 파트너 다양성이, 중-고 기술산업 그룹에서 제휴 다양성이 제휴 강도와 성과 간의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략적 제휴 포트폴리오 다양성 논의를 제휴 유형으로 확장하였고, 제휴 강도와 다양성이라는 제휴의 양적⋅질적 속성을 동시에 고려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e rapidly changing internal and external management environment of firms, alliances are used by many companies as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This study analyzes the direct effect of the alliance portfolio diversity that has been overlooked on the performance an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sity of alliance and performance. To this end, I conducted unbalanced panel data analysis using 3,209 Korea manufacturing firm observations from 2010 to 2016. The results shows that the intensity of alliance and diversity of alliance portfoli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firm performance. And I find that the intensity of allia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 performance when the diversity of alliance partner increases. In the split sample analysis by OECD R&D intensity standard, the diversity of alliance partner hav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sity of alliance and firm performance in high-technology industries group. However, in case of medium-high technology industries, the intensity of allia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 performance when the diversity of alliance type increa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irms should employ differentiated approaches to manage the diversity of alliance portfolio based on the alliance intensity and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