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lphi Survey for Revision of Indicators for School Democracy in Gyeongnam

        ( Pool Ip Dong ),( Jiyoung Yoon ),( Minju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2021년은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12년의 무상교육이 완성되고 시행된 첫해로 학교민주주의의 중요성과 이를 진단할 수 있는 지표개발 및 개정의 중요성이 부각된 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에 따라 2019년 개발되었던 경남 학교민주주의 지표를 개정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20명의 패널을 구성하고 학생, 교사, 학부모 7명씩 총 21명에 대한 인터뷰, 8명의 자문단을 중심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개정 경남 학교민주주의 지표의 내용은 핵심가치, 기본원리, 지원의 3개 영역에 대해 자유, 평등, 포용, 자율, 규범정립, 규범실천, 교육, 행·재정의 중분류로 구성되었으며, 개정된 평가지표에 따른 경남 학교민주주의 측정척도는 초등학생(5-6학년) 30문항, 중등학생 31문항, 교원 33문항, 학부모 29문항이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시대적 정서를 반영하여 교육의 3주체가 인식하는 학교민주주의를 진단하고 나아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21 is the first year in which 12 years of free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have been completed and implemente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chool democracy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revising indicators for school democracy. Following this tr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se Indicators for School Democracy in Gyeongnam developed in 2019. For the study,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hrough the 20 experts panel meetings, 21 interview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nd an advisory group discussion. The revised Indicators for School Democracy in Gyeongnam are based on three areas: Core values, basic principles and activity support. It is composed of the middle categories of ‘liberty, equality, inclusion, autonomy, norm establishment, norms practice, education, financi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Delphi study, indicators for School Democracy in Gyeongnam were constructed 30 ite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5-6th grade), 31 ite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33 items for teachers and 29 parents. We expect that the revision of the Indicators for School Democracy in Gyeongnam will contribute to the diagnosis of democracy in schools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school democracy for the future.

      • KCI등재

        유아 교실 속 디지털 사진이 구성하는 다양하고 예측 불가능한 관계와 의미: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중심으로

        Dong, Pool Ip 한국교육인류학회 2019 교육인류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traces diverse education and classroom cultures around digital pictures through the lens of actor-network theory by Bruno Latour. I employed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o observe how human actors (i.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nd nonhuman actors (i.e., digital cameras, digital photos, toys, educational discourse, and parent internet communities) shape and translate their various and complicated networks in South Korean contexts. The study led to the conclusion that as an agentic actor, digital pictures in classrooms actively participate in and change the play and classroom culture. In other words, depending on what digital pictures made their networks with other classroom actors (including human and nonhuman), digital pictures serve as indirect awards for children’s play from teachers in classrooms. Also, digital pictures serve as an infinite space (across time and place) to revisit play and often become a political space to demonstrate teachers’ professionalism to parents. Through a case analysis of complicated and unexpectable network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o various different human and nonhuman actors’ voices in classrooms and education cultures, raising the question of whether education discourses on effective tools for learning and teaching sufficiently covers the diverse possibilities of digital photo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본 연구는 최근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포스트휴먼 사조를 반영한 브루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교육연구에 활용하여 디지털 사진을 둘러싼 유아교실의 다양한 문화들을 관찰하였다. 서울의 만 5세 교실의 다양한 인간행위자들(예: 21명의 유아와 2명의 교사)과 디지털 사진을 비롯한 비인간 행위자들(예: 디지털 카메라, 놀잇감, 교육담론, 부모 인터넷 카페)이 어떻게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변화시켜나가는지 문화기술지적 연구방법들(참여관찰, 심층 인터뷰, 사진과 영상수집)을 통해 관찰,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사진은 유아교실에서의 적극적인 행위주체성을 가진 행위자로 유아교실의 놀이문화와 교실문화를 변화시키고 있었다. 즉, 디지털 사진은 때론 유아주제놀이의 보상이자, 감시자가 되기도 하고, 유아놀이를 재방문할 수 있는 공간이자 교사의 전문성을 부모에게 증명해야 하는 부담스러운 정치적 공간이 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었다. 이러한 복잡하고 다양하며 예측 불가능한 네트워크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기존의 효과적인 교수매체이자 평가방법으로서의 사진에 대한 기존의 교육담론과 인간 중심적 사유에 대한 한계점을 제시하며, 보다 새롭고 복잡한 이해관계 속에서 형성되어지는 교실/교육문화들의 다양한 목소리들에 집중해야 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

        유아들의 자발적인 디지털 카메라 놀이 속 다양하고 복잡한 상호작용 이해하기

        동풀잎(Pool Ip D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발적인 디지털 카메라 놀이의 경험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디지털 카메라를 이해하고, 카메라를 활용하여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4개월 동안 만 5세 유아들(21명)과 함께 놀이하며 바깥놀이시간 유아들의 다양한 카메라 놀이들과 그 변화과정들을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자의 필드노트, 인터뷰 전사본, 사진, 짧은 영상 등을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유아들은 디지털 카메라, 자신들의 몸의 움직임, 주변 인적 물적 환경, 친구들의 움직임, 방향, 빠르기, 거리, 각도 등을 고려하여 신체적, 물리적, 사회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이미지의 왜곡을 즐겼다. 유아들은 때론 예측 불가능한 형태로 놀이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또한 카메라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문화적 담론들과 이미지, 게임 경험 등과의 가상적, 사회적,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만의 독창적이고 즉흥적인 카메라 놀이를 즐기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발적인 카메라 놀이 속 디지털 카메라는 신체적, 사회적, 일상적 실천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이자, 유아들의 신체적, 물리적, 사회적, 가상적, 복합적으로 상호 연결시켜주는 영향력 있는 주체자이며, 유아들의 독창적이고 즐거운 놀이공간이자 학습의 공간임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유아와 디지털 카메라와의 관계를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며 유아들의 디지털 놀이문화와 다양한 학습 가능성을 새롭게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촉구한다. This study is about how young children understand, interact with, and create their play culture in spontaneous digital camera play. To examine these interactions, I focused on 5-year-olds’ (21 children) outdoor plays for four months. As an assistant teacher and a co-player, I traced and analyzed the diverse, complicated, and unexpected process of digital play by observing and participating in their emerging play with a digital camera. As a result, young children physically and socially interacted with a digital camera, peers, environments, momentary body movements and tempos in their emerging camera play. In addition, they enjoyed their distorted images by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changing the distance and angle of the camera as a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s with a digital camera in their everyday lives. Finally, young children also enjoyed creative camera play by virtually and socially interacting with their gaming experiences, social and cultural discourses in their daily practices. In children’s camera play, the digital camera is not only an important medium to connect to their physical, social, and everyday practices, but also an effective agent for physically, socially, and virtually interacting with peers and creative playful learning spaces. In doing so, this study urges teachers, parents,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to look into contemporary young children’s use of digital camera in a new light for understanding their diverse and complicated learning and play culture.

      • KCI등재

        포스트휴먼 생태주의로 바라본 영유아 생태전환교육: 되기(becoming)의 생태전환교육을 위하여

        동풀잎 ( Dong Pool Ip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오늘날 기후위기와 환경오염을 유발한 인간의 책무성을 인정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얽힘과 선순환적 관계의 포스트휴먼 생태주의로 영유아 생태전환교육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 환경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탐색하고,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인본주의적 접근의 환경교육의 한계점(예: 단편적 지식중심, 인간 영웅주의적 환경교육, 영유아 삶과 동 떨어진 생태교육 놀이)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근대 계몽주의적, 식민지적 영유아 환경주의교육의 관점을 탈피하고, 비판적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기반 생태전환교육의 철학적 이해(인간-자연-기술 등에 대한 유기적 일원론적 통찰, 비인간 행위주체성의 인정과 서로를 구성하는 존재들의 존중, 탈인본주의적 환경정의 추구)와 교육적 실천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위기 시대, 기존 환경교육과의 다른 극적인 생태적 전환을 강조하며,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성 속 되기(becoming)의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cknowledges human responsibility forage today’s climate crisi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xplores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lens of posthuman ecology, emphasizing the entanglement and positive connection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t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humanis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education, such as fragmented, knowledge-centric teaching methods, anthropocentric heroism, and ecological play disconnected from the lives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aims to break away from the modern Enlightenment and colonial perspectives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It advocates for a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based on critical posthuman ecology, emphasizing a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organic monistic insights into human-nature-technology relationships, the recognition of non-human agency, respect for the interconnected existence of all beings, and the pursuit of post-anthropocentric environmental justice. In doing so, it underscores a dramatic ecological shift different from tradi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focused on the relationality of humans and non-humans, weather bodies, and becoming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새로운 유아들의 놀이와 학습에 대한 탐구 : 디지털 놀이

        동풀잎 ( Dong Pool Ip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6

        In the posthuman age, young children are faced with a mixed reality tangled up in real and virtual reality. This study focused on young children’s emerging play and learning, which are based on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by exploring the concept of digital play. The researcher critically analyzed the dichotomous approach around young children and digital media (human-nonhuman, natural-culture, digital-analog, real world-virtual world, digital natives-digital immigrants, and educationalnon educational) based on humanistic perspectives. This study argued that posthuman interpretations are needed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various, complicated, and sometimes unpredictable play and learning with/around/through digital media. The posthuman perspectives able us to understand complex, fluid, and hybrid networks with human and nonhuman actors around digital play. Thu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posthuman digital play and various posthuman features of digital play, such as ⒜ attractive agentic actors, and digital media, ⒝ playful learnings across boundaries of digital and analog spaces, ⒞ diverse and multi-layered posthuman languages, and ⒟ becoming children as social and economic actors with dynamic intra-actions through play.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digital play as intra-actions with human and nonhuman actors and to explore educational possibilities in the posthuman age.

      • KCI등재

        유아와 교사의 자유로운 소통 공간으로서의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

        동풀잎(Dong, Pool Ip),전하윤(Jeon, Ha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유아들과 교사들의 소통을 위해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라는 활동을 제안하고, 어떻게 그들이 아바타 만들기를 통해 소통하고 의미를 구성하는지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인 만 4세 유아 11명과 초임교사 1명은 3개월 동안 24회의 아바타 만들기와 관련한 여러가지 활동들(예: 자신의 아바타 만들기, 친구 아바타 만들기, 교사 아바타 만들기, 교사가 유아 아바타 만들기)을 함께 진행하였다.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들(참여관찰, 사진/영상분석, 비구조화된 유아/교사 면담, 아바타 자료 수집, 교사 저널 분석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유아들은 친구와 함께 아바타 속 아이템들에 대한 친구의 의견을 묻고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다양한 협상과 타협을 통해 교감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친구가 만든 아바타 속 다양한 의미들을 듣고 자신만의 의미로 변형, 재창조하며 아바타에 대한 의미들을 새롭게 공유하였다. 교사는 유아들과 아바타 만들기를 통해 그들만의 크고 작은 일상적 서사를 함께 공유하고 대화하면서 서로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시켰을 뿐 아니라, 교사 자신의 모습과 행동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며 보다 열린 태도로 유아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 활동은 자유롭고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포용하며 다양한 의미들이 서로 연결, 배치. 이탈, 변형, 조합, 재창조되는 리좀적(rhizomatic) 소통 공간이자, 화자-타자, 디지털-아날로그, 실제-상상의 경계를 허무는 중요한 사회적 실험공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다양한 소통의 사례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유아들과 교사들의 소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함께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suggests making digital avatars as a communication and empathy space for children and teachers while looking into how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ir avatars in their classroom. Research participants (11 four-year-olds and their female teacher) conducted their various avatar projects for three months. For instance, a child made an avatar representing their teacher and their teacher made an avatar showing the child. And then they shared and introduced their avatars to each other. During their avatar project activities, we collected the data vi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g., participant observa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eacher and children, analyzing avatars, videos, photos, and teacher’s journal). As a result, young children actively asked and listened to their friends’ ideas to make their friends or their avatars. In the process, some children actively tried to negotiate with their friends to select items on the avatar application. Also, children changed and (re)created different and new meanings after listening to friend’s meanings on avatars. Then, they re-shared their new meanings in a creative way. Through making avatars, the teacher and children shared their big and small everyday stories and built strong attachment. For the teacher, listening to her children’s ideas on herself via avatars having her behavior, facial expression, and less communications gave her time for reflective thinking and an open mind on her children despite the busy schedule at school. Making avatar projects provided the teacher and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feel about themselves and others and to express their thoughts in new and open ways for their active and dynamic communication and meaning-making. In the process, they encoded and decoded their avatars with their symbols, signs, ideas, and experiences, which facilitated communications and empathy. As a rhizomatic place of communications, making avatars offered them opportunities to embrace, connect, assemblage, deviate, change, and recreate their different and various experiences and meanings. Moreover, as their vital social experimental space, making avatars broke down boundaries such as listener-speaker, digital-analog, real-imaginat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offer a new lens to understand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using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 KCI등재

        후기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한국 이민자 여아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일상적 실천 이해하기

        동풀잎 ( Dong Pool Ip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2

        한국 이민자 유아들에게 “아름다움, 미 (Beauty)” 라는 의미는 무엇일까? 이 연구는 한국 이민자 여자 유아들이 자신들의 커뮤니티와 문화 속에서 “아름다움” 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들의 문화적 요인들이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여아들의 자기 이미지 (Self-image)와 “아름다움”라는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현재까지 많은 선행연구들은 미디어 영향과 서양 백인 위주의 미의 기준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 많이 이루어졌고, 아시아계 미국인들과 이민자 한국 유아들의 관점을 주목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미국 사회의 한국 이민자로서 그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화적 담론과 가치, 기대들 속에서 어떻게 그들의 의미를 만들고 상호작용하며 살아가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 기술 사례연구로서 미국 북서쪽에 있는 작은 도시에서 이루어졌다. 참여관찰과 인터뷰로 모은 여아들 (7, 8세)의 데이터는 Mindy Blaise, Bronwyn Davies 그리고 Bakhtinian text mapping 등의 다양한 후기구성주의 시각들로 바라보았다. The photo-elicitation 방법으로 여아들의 일상적 내러티브 뿐만 아니라 인터뷰에 사용된 여아들의 그림, 디지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놀이에 있는 그들의 다양하고 아름다움, 예쁨에 대한 담론들과 복합적이고 다양한 이해 만들기 과정에 집중 하였다. 그 결과, 중산층 한국 이민자 여아들은 적극적인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한국인, 가족의 한 구성원, 크리스챤 등으로 자신들을 동일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다양하고 복잡하며 한편으로는 이전의 생각들과 대립되는 방법으로 그들만의 “아름다움”에 대한 생각을 표현하였으며, 그들의 이러한 관점은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다양한 미적 활동을 생각하고 협상 하는지를 보여준다. In this age of increased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ism, what does beauty mean for Korean immigrant children? This research seeks to understand how young Korean immigrant girls understand beauty within their local communities and cultures. It examines how cultural influences shape their self-image and ideas of beauty in everyday life. To date, most attention in the literature has been focused on critical examinations of the effects of media and the White standards of beauty on children. However, there is still little social attention focusing on Asian-American and immigrant children’s perspectives. Therefore, there is more urgency on studies exploring how children navigate disparate cultural expectations. I conducted an ethnographic case study in a small city in the northwest US, including participation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Korean immigrant girls and their parents. To make sense of the data, multiple poststructural theories including Mindy Blaise, Bronwyn Davies, and Bakhtinian text mapping are used. These theories reveal the multiple discourses about beauty in their narrative and works. Results indicate that as middle class Korean immigrant students who identify as Christians, and as active agents in the society, these girls show (a) their power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or mothers, (b) their complex ways in which the girls borrowed and integrated ideas of beauty using local and societal knowledge (c) their different and contradictory subjectivities on the meanings of beauty, and (d) the girls’ strong Korean identity and various agencies showing their own ideas of what is beautiful. Their thoughts reveal how they think about and negotiate the diverse aesthetic activities in their everyday lives.

      • KCI등재후보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서 유아 디자인 교육이 지니는 의미

        동풀잎 ( Dong Pool Ip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8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 No.1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자 디자인의 시대이다. 우리의 문화 대부분은 디자인 된 것들로서 유아에게도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특히 TV, 인터넷, 만화영화, 비디오, 장난감 등은 유아의 또래문화를 이루는 결정적으로 미치는 요소들로 이젠 이들을 미술교육의 소재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미술교육계의 흐름인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유아 디자인 교육을 제안하여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디자인은 유아의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접근할 수 있는 소재로서 일상 속에서 발견하고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유아로 하여금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사회·문화적인 흐름에 기초하여 우리의 삶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험적이고 탐구적인 접근으로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기존의 미술내용영역과의 통합을 이룰 수 있으며 이는 교사의 적극적이고도 체계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삶을 위한 미술로서 디자인 교육은 이제 앞으로 미래사회를 살아갈 유아에게 생활 속에서 디자인을 즐기고 활용하며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미래지향적인 교육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할 것이다. The 21st century of our living world is the age of the design and the culture. The majority of our culture is designed, so that it has a much effect on young children. Especially, since they, tv, internet, cartoon film, video, plaything, and so on., are the factor which has a decisive effect on them to make the young children form a culture of the age, now, this researcher feels a need to bring them into materials of an art educ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ds out about some significance to propose the young children design education from a view-point of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s the latest trends in the art educational world. The design shall be the materials capable of easy finding and accessing to the young children' life and easily find and make an use of them in everyday life. Such course will be able to lead the young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ctively. And also, it can be understood as our shape of living conditions on the basis of the current of society and culture and it promotes the young children' ability of originality and settlement of problems, also, it can integrate them with the fields of the existing contents of art through a process of design and it has to be actively formed as a systematic integrate education by the teachers. As the fine arts for life, the design education shall be promoted for the young children to live in a future society, and also it will take on more importance as a future-oriented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an original men of talent capable of active solving some problems, enjoying designs through the good use of them in their living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디지털 아바타를 통해 유아의 정체성 이해하기: 바흐친(Bakhtin)의 대화주의 이론(Dialogism)과 헤테로글로시아(heteroglossia)개념을 중심으로

        동풀잎 ( Dong¸ Pool Ip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2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디지털 아바타를 통해 유아들의 다양한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바타를 둘러싼 연구자와 유아의 대화와 아바타를 바흐친의 대화주의 이론과 헤테로글로시아의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서울의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21명과 비형식적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Bakhtinian text mapping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은 그들의 가정, 교실, 지역사회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재미있고 유쾌한 자신을 표현하거나, 친한 친구와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하기도 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사물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기도 하였으며, 사물을 통해 자신이 되고 싶은 상상의 모습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디지털 아바타는 또 다른 유아들의 시각적, 사회적 언어이자 헤테로글로시아적 개념으로 다양한 그들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공간이었다. 이데올로기적 존재(ideological becoming)이자 적극적인 의미 생산자로서 유아들은 자신의 관점들과 권위적 성인들의 사회적 담론들, 또래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들만의 사회적 관계와 의미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형성하고 확인하며 때론 변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멀티버스 등 가상세계 속 자신을 나타내는 아바타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유아들의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사회적 정체성을 분석한 기초 연구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identities with digital avatars through Bakhtin’s theory of Dialogism and Heteroglossia.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informal interviews with 21 young children (age five)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for four months, in a daycare center in Seoul, South. Korea. As a result, some children made their scary but fun avatars (e.g., vampire) to express themselves as fun and pleasant in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with peers, parents, and teachers. Also, in the making of digital avatars, they identified themselves as the best friend in their social group by choosing the same avatar items and backgrounds. Others used avatars items to express themselves or what they want to be. This study shows digital avatars as young children’s social and visual language and heteroglossia to reveal their various identities. As ideological becomings and active meaning-makers, young children reveal their perspectives and their own images through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parents, teachers, social discourses, and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fundamental study that analyzes young children’s complex social identities by using avatar-making as a concept of representation in the virtual worlds, such as the multiverse in the digital era.

      • KCI등재

        포스트휴먼 유아-AI 창의성 탐구: 유아, AI, 창의성 새롭게 바라보기

        동풀잎(Dong, Pool Ip)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4

        In light of changing paradigms of creativity, this study examines the complex and ambiguous concept of creativity and criticall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modern human-centered concept. It proposes posthuman young children-AI creativity and actively explores the crea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 and AI from a posthumanism perspective. Moving beyond the dichotomous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this study investigates posthuman young children-AI creativity that can emerge within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AI (e.g., collaborative creativity in mutual relationships, embodied everyday, transcendent and hybrid, multisensory and multimodal creativity), advocating for both as creative actors. This creative fusion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highlights a departure from media education that merely replicates existing knowledge, thereby underscoring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and creative outputs. The study emphasizes that a posthuman lens should be adopted regarding early childhood AI and creativ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