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과 관련된 사회 윤리적 문제(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장지영,문지영,유호숙,최경희,Joseph Krajcik,김성원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7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 윤리적인 문제, 즉 원자력 발전, 생명공학, 기후변화 맥락에 따라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의 세 가지 요소인 생태학적 세계관, 사회 도덕적 공감, 사회적 책임감을 중심으로 인간과 자연과 의 관계성, 지속가능한 발전, 도덕 윤리적 민감성, 다양한 관점에 대한 포용, 공감적 배려, 책임의식, 행 동의지 등의 8가지 하위요소를 도출하였다.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의 세 가지 요소와 이들의 하위 요소를 기준으로 설문 문항을 만들었으며, 이를 SSI 맥락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중학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맥락에 따른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SSI 맥락 중 기후변화에 대한 중학생들 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 태학적 세계관과 사회적 책임감 요소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사회 도덕적 공감 요소 는 SSI 맥락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 자들은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SSI 수업을 할 때에 과학 교사는 맥락에 따른 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을 인식하고, 이를 수업에 반영하여 효 과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SSI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사회 도덕적 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논의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s global citizens (i.e. ecological worldview, social and moral compassion, and socioscientific accountability) of Socioscientific Issues (SSI). We developed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20 Likert-type items to gauge their preceptions of the three different SSI contexts (i.e. nuclear power generation, bio-technology, climate change), and administered them to 225 9th grade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showed relatively high scores for ecological worldview but scored low on social and moral compassion across the SSI contexts. In addition, participants presented much higher scores for ecological worldview and socioscientific accountability regarding the issues of climate change. The participant responses indicated that they perceived more inter-connectedness with the environment and felt the responsibility of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more to prevent further devastation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compared to nuclear power generation or biotechnology.

      • KCI등재

        2007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21세기 글로벌 과학적 소양의 탐색

        Gao, Lei,김은진,문공주,김성원,Krajcik, Joseph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2

        Science education focuses on improving the scientific literacy of students; this is a primary go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Recently, scientific literacy has been re-conceptualized for the twenty-first century. There are five dimensions: habits of mind, character and values, science as a human endeavor, meta-cognition, and scientific knowledge. Each dimension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 of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the view point of twenty-fir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We used a twenty-fir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rubric. The rubric involved three dimensions: habits of mind, character and values, and science as a human endeavor. The authors applied the rubric to twelve (six from Grade 1 and another six from Grade 2),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s a result, it was noted that most of the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involved content concerning the 'habits of mind'; this included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There was not, however, sufficient content concerning 'character and values' and science as a human endeavor, except in one publication. As twenty-first century citizens, students need to gain 'character and values' and 'science as a human endeavor' training in the science curriculum for daily life. It is suggested, therefore, that, as twenty-first century citizenship educators and researchers, we have to emphasis and develop curricula and teaching materials that consider all dimensions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and not focus only on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234 words) 21세기의 과학 교육은 미래 시민을 양성하기 위하여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Choi et al.(2011)은 이를 재개념화하여 21세기 과학적 소양(21st scientific literacy)을 제안하였다. 21세기에 필요한 글로벌 과학적 소양은 과학 지식, 과학적 사고습관, 과학에서의 가치관, 과학 본성의 이해, 초인지 사고와 자기주도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조화되어있으며, 각 영역은 3가지 하위 영역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21세기 과학적 사고습관, 과학에서의 가치관, 과학 본성의 이해의 3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출간된 중학교 1,2 학년 각 6종, 총 12권의 과학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과학교과서에는 토론․토의․논의, 발표 및 제안과 같은 활동, 그리고 정보 처리 능력에 포함되는 활동 등 과학적 사고습관에 포함되는 요소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 본성의 이해 영역 중 과학 지식의 생성 및 특성을 알리고 과학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내용 역시 상당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과학과 관련된 사회문제를 다루며 행동변화에 영향을 주는 과학에서의 가치관 영역은 매우 적게 다루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바탕을 두고 앞으로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과서 외의 수업자료와 실제 수업현장 녹화 등을 통해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교육이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지 평가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된 교육의 방향의 모색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과학과 관련된 사회 윤리적 문제(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장지영 ( Ji Young Jang ),문지영 ( Ji Yeong Mun ),유호숙 ( Hyo Suk Ryu ),최경희 ( Kyung Hee Choi ),( Joseph Krajcik ),김성원 ( Sung Wo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8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 윤리적인 문 제, 즉 원자력 발전, 생명공학, 기후변화 맥락에 따라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의 세 가지 요소인 생태학적 세계관, 사회 도덕적 공감, 사회적 책임감을 중심으로 인간과 자연과 의 관계성, 지속가능한 발전, 도덕 윤리적 민감성, 다양한 관점에 대한 포용, 공감적 배려, 책임의식, 행 동의지 등의 8가지 하위요소를 도출하였다.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의 세 가지 요소와 이들의 하위 요소를 기준으로 설문 문항을 만들었으며, 이를 SSI 맥락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중학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맥락에 따른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SSI 맥락 중 기후변화에 대한 중학생들 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 태학적 세계관과 사회적 책임감 요소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사회 도덕적 공감 요소 는 SSI 맥락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 자들은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SSI 수업을 할 때에 과학 교사는 맥락에 따른 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을 인식하고, 이를 수업에 반영하여 효 과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SSI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사회 도덕적 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논의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s global citizens (i.e. ecological worldview, social and moral compassion, and socioscientific accountability) of Socioscientific Issues (SSI). We developed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20 Likert-type items to gauge their preceptions of the three different SSI contexts (i.e. nuclear power generation, bio-technology, climate change), and administered them to 225 9th grade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showed relatively high scores for ecological worldview but scored low on social and moral compassion across the SSI contexts. In addition, participants presented much higher scores for ecological worldview and socioscientific accountability regarding the issues of climate change. The participant responses indicated that they perceived more inter-connectedness with the environment and felt the responsibility of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more to prevent further devastation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compared to nuclear power generation or biotechnology.

      • KCI등재

        21세기 과학적 소양 평가기준 개발 및 교과서 내용 분석에의 적용

        문공주 ( Kong Ju Mun ),문지영 ( Ji Yeong Mun ),조미영 ( Mi Young Cho ),정윤숙 ( Yoon Sook Chung ),김성원 ( Sung Won Kim ),( Joseph Krajc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는 21세기 과학적 소양을 탐색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교과서 내용 분석에 적용하였다. 21세기 과학적 소양의 하위 영역으로 과학적 사고습관(habits of mind), 과학에서의 가치관(character and value), 과학 본성의 이해(science as human endeavor)를 설정하고, 각 하위 영역에 대한 평가 요소와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기준은 21세기 과학적 소양이 교육 상황에서 실제 실현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개발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과학 교과서 내용에서 21세기 과학적 소양의 3개 영역에 관련 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 과학적 사고 습관에 관련된 내용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과학에서의 가치관과 과학본성의 이해에 관련 된 내용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개발된 21세기 과학적 소양 평가 기준은 교과서 내용 분석 외에도 교실 수업 평가, 교사 평가, 교수-학습 자료의 평가에 활용하여 현장 과학 수업 실행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developed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assessment instrument and applied it to explore the contents of seven Korean science textbooks. The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assessment instrument involved three dimensions (habits of mind, character and values, science as human endeavor). Each dimension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Five science education experts assessed the content of textbook using criteria. We discussed issues in which the examiners responses did not match and reached an agreement on initial disagreement. As a result, we found that most Korean textbook contained contents on habits of mind, especially,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We also found that most materials lacked information about character and values and science as human endeavor. Based on the result, we suggest that researchers and science educators need to consider all dimensions of the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when they develop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rubric for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can be adopted as an assessment tool for examining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