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기후적 접근의 인체 쾌적도를 고려한 가로공간 환경 개선 연구 : 한·중 역사문화관광지구를 사례로

        등수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3951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s are microcosms of urban history, as well as important areas for displaying traditional culture and the humanistic features of the city, and they are the main places of activity for urban residents as well as foreign tourists. In the process of moving towards modern cities, many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s are facing problems such as aging and serious damage to buildings, inadequate public facilities and inconvenient traditional road patterns. In the process of large-scal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cities, human beings have produced many irrational measures, and some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s have been demolished and destroyed, and both cultural loss and environmental damage have hindered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districts and the livability of life. In recent years, countries have begun to protect and reorganis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but focus has been limited to the renovation of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with insufficient efforts to renovate the environment of public spaces. The history and culture of streets and alleys, the architecture and pattern in the street space are all closely related to people, and the street space is also the material carrier of the lifestyle of residents and tourists, and its microclimate environment has a direct impact on human feelings. Microclimate refers to the local climatic conditions of a small range of environments in a living or working place, which consists of four parameters: temperature, humidity, airflow rate and thermal radiation. To measure the degree of adaptation of the human body to the microclimat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concept of human comfort. Human comfort is a meteorological evaluation of comfort in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based on the principle of heat exchange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e microclimate environment and human comfort are closely linked, which in turn affects human mood, fatigue and work efficiency, and in public space also affects the movement and distribution of tourists, so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improve and enhance the microclimate comfort of the street and alley space environment i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dicates that human comfort based on microclimate considerations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residents and many tourists visiting street spaces i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The study selected Jeonju Hanok Village and Yangzhou Dongguan Street as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in Korea and China. Jeonju Hanok Village in Korea is the only well-preserved Hanok community in the city in Korea, and is a tourist attraction built on the basis of its unique historical traditions and cultural heritage, which is of high social and public value in spite of its short history. Dongguan Street in Yangzhou, China, is the best-preserved ancient commercial street with a history of 1,000 years among the cities along the Grand Canal in China, and the whole area is rich in historical relics and humanistic monuments, which is very representative. Therefore, this paper chooses the tourist areas and specific streets of these two different countries, with different histories, cultures and styles, but with many similarities, as typical research objec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a scientific and humane reference for the improvement and optimisa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of Korea and China, as well as in the newly built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in the light of the history of the cities in modern times. Therefore,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reet environment and human comfort by using the microclimatic regulation of various morphological elements in the streets, taking into account the climatic conditions of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zones, and by understand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microclimate and human comfort by the users of the street space, as well as objective microclimatic data. Ultimately, this will guide planners in considering the human perception of the spatial environment i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and mak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in the city. The purpose of each part of the study is summarised as follows. Firstly, by fi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limate factors and human comfort and sorting out microlimate examples,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science and space design is explored. Secondly,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in China and South Korea,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laces are compared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Thirdly, through questionnaire, measurement and simulation, the correlation degree of different form factors on microclimate environment change in the two places was studied respectively, and the shortcomings of street spatial form and environment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fort evaluation. Fourthly, summarise and refine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put forward universal strategies and improving schemes for typical street spaces environment with regard to the microclimat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 taking into account the demand for human comfort, so a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scientific basis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ourism development of South Korea-China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 the background, significance, purpose, object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were clarified,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tudy was visualised through a research flow chart. In addition, by understanding the pioneer research trends, as well as the existing research in various countries. It is found that both the research method and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have certain limitations, and most of the small and medium progressive renewal strategies in urba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are out of empirical planning and design, lacking scientific quantitative data support. The few scientific studies based on climatic environment also lack attention to human comfort. The perspective of spati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urba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districts superimposed on microclimate comfort theory in this study is a combination of both humanity and rationality. It also therefore highlight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chapter II, Firstl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icroclimate and how it is regulated, the application of comfort and evaluation indicators. This is the basis on which this study is conducted. Secondly, the correlation and importance between the human-centred design concept of street space, the research trend of climate environment and the scientific protection of regional space are outlined. Finally, based on the above foundation, an example analysis of regional spatial planning related to microclimate perspective is proposed. It lay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In chapter III,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selected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Hanok Village in Jeonju, South Korea, and Dongguan Street in Yangzhou, Chin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ective street spaces are discussed. Then, a comparative study is conducted in terms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climatic environment of the two places, the street grid and ground texture, the architectural form and courtyard layout, the street interface and landscape nodes. This will lay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subsequent research and simulation study. In chapter IV, 4 representative streets were selected from Jeonju Hanok Village and Yangzhou Dongguan Street respectively for in-depth study to analyse the distribution and spati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elected streets. Comfort survey interviews were first conducted with tourists and aborigines in the two areas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regional human comfort. At the same time,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the microclimate of the study area. Secondly, the simulation software and simulation steps were sorted out and integrated, and the microclimate software ENVI-MET was used to model and simulate the selected study area. The microclimate and comfort conditions of the regional street space and typical alley space are evaluated and analys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maps and comfort indicators. This section is part of the subject interaction. In chapter V, the improving objectives and principles of the street space environment are clarified. Based on the superposition analysis in Chapter 4, the spatial microclimate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study street are summarised and the improvement procedure of the street space is formulated. Based on the microclimate perspective, the improvement principles for improving human comfort i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From the improvement of spatial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regulation of street ventilation environment, and the landscape design of the regional space, the optimisation of the human comfort in the street spac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 will be guided by the strategy. It provides new ideas and methods for the spatial protec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neighbourhoods in the two countries. Finally, in chapter VI, concludes that this study draws conclusions about the improving strategy of street space environment based on microclimate and human comfort enhancement typical of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of different countries, time periods and scales. Propose the shortcoming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nd expansion.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various typ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The final conclusion drawn through this study. Firstly, through the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exami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space, microclimate, human comfort and environmental design is sorted out as follows. Among them, microclimate determines the scope of huma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omfort, and microclimate and human comfort are important indicators for evaluating whether the spatial environment is ecological or no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theory of microclimate and human comfort in spatial design and optimisation. The concepts and applications are clarified. 1. Microclimate consists of four most important parameters: air temperature, air humidity, air velocity (wind speed), and thermal radiation conditions. The regulation of microclimate includes subjective regulation such as human physiology and psychology, and objective regulation such as landscape and architecture. 2 The starting point of researching microclimate is human-centred, and human comfort evaluation of microclimate is indispens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microclimate environment. Among them, the PMV evaluation index is the human body heat load that reflects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human body from the heat balance, which represents the feeling of the vast majority of people in the same environment, and it is the thermal comfort evaluation index recognis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3.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spatial microclimate design cases, it is understood that, whether in ancient times, now or in the future, people have always been attempting to improve the human habitat environment by means of microclimate regulation. Nowadays, in solving the problem of global warming, people are also gradually integrating ecology, environment and urban design together to form sustainable urban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Secondly,The selected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are Hanok Village in Jeonju, South Korea and Dongguan Street in Yangzhou, China. The following pair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elements of the two places are summarised and sorted out, and compared and illustrated. 1.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study sites. Jeonju and Yangzhou are both historical cities with traditional characteristics. Jeonju Hanok Village and Yangzhou Dongguan Street are both representative tourist areas of their respective cities with representative architecture and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 two places were formed in different historical years and in different ways. In the later stage of development, Jeonju Hanok Village developed in a commercial mode. Yangzhou Dongguan Street is a mixed mode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Therefore, the study of the two areas is special and universal, and representative at the same time. 2. Sorting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ite. The layout pattern of Jeonju Hanok Village is a low-rise medium-density structure, which is characterised by a grand scale and a regular base. The street grid is in the shape of a checkerboard, and the roads are relatively spacious in terms of layout and width. The roads are rich in functionality, with plenty of useful and utilisable areas. Yangzhou Dongguan Street has a complete system of streets and lanes, including a main street and many alleys. The street grid is in the shape of a fishbone, and the streets and buildings in the whole area are relatively crowded, with limited space available on the streets. 3. Comparison of the spatial elements of the study site. Jeonju Hanok Village is rich in ground paving materials, and the main road paving is relatively uniform. The architectural styles are diverse, and the layout ㅡ-type, ㄴ-type, and ㄷ-type are predominant. The width of the street is large, and the front and back of the buildings and the height levels are rich, and the skyline is obvious. The overall green vegetation is rich in variety, with fewer shrubs and no lawns. Outside the area is the Quanzhou River, with flowing water features in some sections. Yangzhou Dongguan Street has high uniformity in paving materials and colours. The architectural style in the area is uniform, with the courtyard form dominating. The width of the street is narrow, the building height is 1-2 storeys, and the skyline is relatively gentle. The public landscape rest areas in the area are scattered and small. There are fewer and single types of greenery in the streets. There are canals outside the area and no water features within the area. Thirdly, this study uses three approaches to merge and analyse street microclimate and human comfort: human comfort questionnaire, microclimate field measurements and software simulation. The mechanisms of microclimatic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environment on human comfort indices in the study area were explored separately.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finally derived. 1. Reduced heat perception by visitors occurs mostly in areas with abundant greenery or shade. The sense of sunshine mainly depends on sheltered places. Visitors wind sense is related to street orientation, curvature, openness. Most visitors do not feel humidity significantly, but rather a combination of environment and feeling judgement. The environmental sensations that affect human comfort under September climate factors are, in order, the amount of sunshine, temperature sensation, wind speed sensation, and humidity sensation. Dissatisfaction and comfort reduced spatial factors in order of green planting, building connectivity methods, public rest area distribution and setup, street floor pavement, etc. 2. The actual measurement shows that the whole state street orientation affects th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Dongguan Street in Yangzhou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east and west main streets, and is higher in some areas. The real temperature of the streets in both areas is higher than the air temperature, and the areas with large trees or buildings with large shadows are closer to the air temperature. Humidity is influenced by overall temperature, ventilation, green coverage, water views and area openness. Regarding wind speed, wind speed is low in areas with dense buildings and trees, and slightly higher in open and unshaded areas as well as narrow passages. The order of measured relative comfort in Hanok Village, Jeonju is C Ginkgo Road, B Wumutai Road, A Taejo Road, and D Country School Road. The order of measured relative comfort at Dongguan Street in Yangzhou is H Dongguan Street East Entrance, E Dongguan Street West Entrance, F Ma Juan Lane, and G Guan Lane in that order. 3. The simulation shows that the geometric form elements have an impact on the indices. Street height to width ratio is highest above 3, moderate between 2-3, and unstable below 1. The temperature is higher in the enclosed layout of Jeonju Hanok Village than in the independent layout, and the building enclosure of Yangzhou Dongguan Street is higher than in the regular strip layout. Humidity from high to low is flowing water, plant compound, single plant, open space masonry, and sandy soil. Wind speed is high for road width and low for dense buildings and trees. Changes in width lead to significant changes in wind speed, which increases when the wind blows from wide to narrow. The simulation shows that the average radiant temperature is lower in north-south oriented streets than in east-west oriented streets, and the average radiant temperature is even lower when the buildings are high and the streets are narrow. Large tree planted areas have a strong shading effect, and the average radiation in streets is lower than in areas with low and no plants. Finally, through the above research, based on the principles of urban planning and spatial environment design, the problems of street space i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a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microclimate and human comfor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relevant spatial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enhancement of human comfort in the street spa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from the microclimate perspective. 1. First of all, the street orientation of the whole state needs to focus on optimising the east-west direction of the street. Yangzhou needs to optimise alleys in the north-south direction. Fo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 street orientation can not be changed under the premise of the other elements of the street to optimise, and thus guide the user, to improve the use of comfortable streets. Changing the width to height ratio can be done by dividing wider streets with plants and urban furniture, or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height of buildings on both sides of the street. Secondly, in-street shading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e practicality of the space in different temperature environments, and try to take into account seasonal variables. Shade in summer while ensuring the amount of daylight in winter. Finally, by integrating the ground paving materials of the two areas, the ranking of sunlight absorption as well as water permeability is derived. Thus in areas with higher temperatures permeable materials can be utilised in combination with grass instead of hard paving. For the area with messy pavement and cement filling, the pavement should be unifie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comfort of users. 2. Improvement of wind environment i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First of all, fo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buildings that cannot be demolished or changed or the enclosing wall with high degree of enclosure, it is appropriate to break the enclosing situation. For part of the area, the open-work treatment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is adopted. The level and integrity of the street wal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treet orientation and street width. Areas with high wind speeds adjust flatness or break integrity to disperse and block wind speeds. Streets with low wind speeds can remove buildings at entrances and widen street openings to draw wind into the alley. Secondly, areas with low building density can appropriately increase building density or increase building height and hierarchy. In the plane of the staggered arrangement of the main, before and 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ladder layout, and set aside enough open space for landscape design. Areas with high building density are prone to static wind areas and strong wind areas, so demolish buildings to reduce density, use the staggered form of building height difference to open up space and reduce the degree of street closure. Finally, create a primary ventilation corridor with multiple secondary ventilation corridors based on the size of the block. When building and choosing to renovate the street as a ventilation corridor, the angle between the air duct and the prevailing wind direction is controlled within 45°, and the scale of the air duct should be reasonably set by combining the features such as the function of the site and the form of the buildings along the street. Wide carriageways can use the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plants to guide the wind direction and control the wind speed. Dense building areas can build ventilation corridors to break the spatial closure and reasonably introduce the environmentally dominant wind into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rea. Narrow and convective street, widen the street to control the wind speed. 3, Landscape and recreation area can improve people's visual and psychological level of viewing, provide a larger shade area and bring excellent ventilation and cool performanc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with large space need to focus on optimising important landscape points, whil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areas with compact space need to make small and scattered landscape rest areas to form a complete landscape chain. The important landscape spots in the streets of Hanok Village in Quanzhou and the plants on both sides of the streets are designed in a composite hierarchy, so that the proportion of trees, shrubs and grasses, as well as the seasonal trees and the planting direction are in line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the locality. Yangzhou Dongguan Street adopts the ratio of micro-plants and vertical plants to enhance the microclimate environment and human comfort. Combined with the creation of a water landscape that connects to existing water sources in the neighbourhood, and with plant and animal elements, the water quality is improved while the vitality and life force of the water landscape is enhanc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places, Hanok Village in Jeonju, in addition to the original strip of dynamic water, increase the distribution of water features in the square and other streets. Yangzhou Dongguan Street is proposed to use a large area of static water with a hidden dynamic water feature model. Effectively improve the content and mode of water feature design in the two places to create an ecological micro-environment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urhood. 역사문화관광지구는 도시역사의 축소판이자 전통문화도시의 인문적 면모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역으로 도시민 및 외래관광객이 많이 찾는 장소이다. 현대화 도시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많은 역사문화관광지구가 건축물의 노후화 및 심각한 훼손, 공공시설의 미비, 도로구조로 인한 교통불편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인류는 대규모 도시 건설 및 개발 과정에서 많은 불합리한 조치를 취했으며 일부 역사 및 문화 구역이 철거 및 훼손되었으며 문화 손실과 환경 파괴는 역사 및 문화 관광 구역의 보호, 발전 및 생활 편의성을 저해했다. 최근 몇 년 동안 각국은 역사문화관광지구를 지속적으로 보호하고 정비하기 시작했지만 초점은 건축과 기반시설의 개조에 국한되어 있으며 공공공간의 환경개조가 미흡하다. 가로와 골목길이 담고 있는 역사와 문화, 가로공간의 건축과 구조는 사람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골목 공간은 주민과 관광객의 생활양식의 물질적 운반체이기도 하며, 공간의 미기후 환경은 인체의 감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기후는 온도, 습도, 기류 속도 및 열복사의 4가지 매개변수로 구성된 생활 또는 작업장의 소규모 환경의 국소 기후 조건을 나타낸다. 미기후 환경에 대한 인체의 적응 정도를 측정하려면 인체의 편안함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인체 쾌적도는 인체와 대기 환경 사이의 열교환 원리에 따라 기상학적 관점에서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 편안한지 여부를 평가한다. 미기후 환경과 인체 쾌적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차례로 사람들의 기분, 피로 및 작업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공공 공간에서도 관광객의 행동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므로 역사 문화 관광 지역의 가로 및 공간 환경의 미기후 쾌적도를 개선하고 향상시키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기후를 기반으로 인체 쾌적도를 고려하는 것이 주민과 많은 관광객이 역사문화관광지구를 방문하는 가로공간에 중요한 요소이다. 연구 대상지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 역사문화관광지구인 전주 한옥마을과 양저우 동관길로 선정하였다. 한국의 전주 한옥마을은 한국에서 유일하게 도시에서 잘 보존되어 있는 한옥마을로써, 그 나름의 역사적 전통과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조성된 관광명소로 역사는 짧지만 사회적, 공공적 가치가 높다. 중국 양저우 동관길은 중국 대운하를 따라 조성된 도시 중 가장 잘 보존된 천년의 역사를 지닌 고대 상업가로로, 전 지역에 풍부한 역사유적과 인문 유적지가 남아 있어 대표적인 곳으로 손꼽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가, 역사, 문화, 스타일이 다르지만 유사한 점이 많은 두 대표적인 관광 지역과 그 지역의 가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가 한중 양국의 역사문화관광지구와 현대가 도시역사를 겨냥해 새롭게 조성한 역사문화관광지구의 가로환경 개선과 최적화에 과학적이고 인문적인 참고자료로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총체적 목적은 다양한 역사문화관광지구의 기후조건에 대하여 해당 가로공간 사용자의 미기후 환경, 인체 쾌적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 특성과 객관적인 미기후 데이터 등을 파악하여 가로의 각종 형태요소를 이용하여 미기후를 조절함으로써 가로의 환경과 인체의 쾌적도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역사문화관광지구의 공간환경에 대한 기획자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도시역사문화관광지구의 향후 건설 및 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기후 요인과 인체의 쾌적도 사이의 연관성을 찾고, 미기후의 사례를 정리함으로써 과학과 공간디자인의 연결 가능성을 찾는다. 둘째, 한중 역사문화관광지구에 대한 조사 연구와 분석을 통해 정성적 연구에서 두 지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셋째, 설문조사, 실측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 지역의 상이한 형태요인별 미기후 환경변화에 대한 연관 수준을 연구하고, 쾌적도 평가의 관점에서 가로공간 형태와 환경에 나타난 부족한 점을 분석한다. 넷째, 연구결과를 종합 및 요약하여 역사문화관광지구의 미기후특징에 대하여 인체 쾌적도에 대한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전형적인 가로공간의 보편적 방안과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중 역사문화관광지구의 주거환경보호 및 관광발전에 이론적 근거와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의의, 목적,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을 명확히 하고, 연구 흐름도를 통해 연구의 전체 구조를 시각화한다. 선행연구 동향 파악 및 국가별 기존 연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 연구 방법이나 연구 관점에서 모두 일정한 한계가 있음이 발견하였는데 이는 도시역사문화관광지구의 중소형 점진적 갱신 전략은 대부분 과학적 및 정량적 데이터 지원이 부족한, 단지 경험적 계획 및 설계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후 환경을 기반으로 한 소수의 과학적 연구도 인간이 느끼는 쾌적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의 도시역사문화관광지구의 공간 환경 개선와 미기후 쾌적성 이론을 결합하여 시사하는 관점은 인간성과 합리성의 이중결합으로 따라서 이는 본 연구의 가치와 중요성을 보여준다. 2장에서는 먼저 미기후의 개념과 조절 방법, 쾌적도의 적용 및 평가 지표를 설명한다. 이것이 본 연구 진행의 기초로 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가로공간의 인간중심 설계이념, 기후환경에 대한 연구동향, 지역공간의 과학적 보호 3자 사이의 연관성과 중요성을 요약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미기후의 관점에서 지역공간계획의 사례분석을 진행하여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역사문화관광지인 한국 전주 한옥마을과 중국 양저우 동관길의 역사·문화 배경과 각각의 가로공간의 특징에 대해 논술한다. 그리고 두 지역의 지리적 위치와 기후 환경, 도로망 및 지상 구조, 건물 형태 및 정원 배치, 가로 인터페이스 및 경관 노드 측면에서 비교 연구를 진행한다. 이는 추후 연구 및 시뮬레이션 연구를 위한 실용적인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4장에서는 전주 한옥마을과 양저우 동관길 두 곳에서 각각 4개의 대표적인 가로를 선정하여 정된 가로의 분포 및 공간환경 실태를 분석하는 등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두 곳의 관광객과 주민을 대상으로 쾌적도 조사 및 인터뷰를 수행하여 신체의 쾌족도에 대한 주관적 생각을 알아본다. 동시에 기기를 이용하여 미기후 데이터를 실측한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시뮬레이션 단계를 분류 및 통합하고 ENVI-ME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지의 미기후를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한다. 시뮬레이션 생성도 및 쾌적도 평가 지표에 따라 해당 지역 가로공간, 전형적인 가로공간의 미기후 및 쾌적도 상태를 각각 평가 및 분석한다. 4장은 학제적 연구에 속한다. 5장에서는, 가로공간의 환경 개선 목표와 원칙을 명확히 한다. 제4장에서의 분석을 통해 가로공간의 미기후 환경문제를 연구하고 가로공간의 환경 개선 절차를 수립한다. 미기후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역사문화관광지구의 인체 쾌적도를 향상시키는 환경 개선 원칙을 제시한다. 공간 온도 및 습도 개선, 가로 환기 환경 조정, 지역 공간 경관 설계의 세 가지 방향에서 역사문화관광지구 가로공간의 인체 쾌적도 향상을 위한 환경 개선 지도 방안을 요약하고 역사문화관광지구의 공간보호를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미기후 및 인체 쾌적도 향상에 따른 국가별, 시기별, 규모별 역사문화관광지구 가로공간의 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단점과 개선 및 확장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고, 다양한 역사문화관광지구의 환경 개선 가능성을 탐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람, 공간, 미기후, 인체 쾌적도, 환경설계와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그 중 미기후는 인간의 심리적 편안함과 생리적 쾌적도의 범주를 결정하며 미기후와 인체 쾌적도는 공간환경의 생태화 여부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공간 설계 및 환경 개선에 있어 미기후 및 인체 쾌적도 이론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그 개념과 응용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 1. 미기후는 공기 온도, 공기 습도, 기류 속도(풍속) 및 열복사 이 4가지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를 포함한다. 미기후의 조절방법은 물리적 관점과 심리적 관점으로 구분되며, 인체의 생리적, 심리적 주관적인 조절과 경관, 건축적 객관적인 조절을 포함한다. 2. 미기후 연구의 출발점은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며 미기후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미기후의 인체 쾌적도 평가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PMV 평가지표는 인체의 열균형 편차 정도를 반영하는 인체의 열부하로 동일한 환경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의 감각을 대표하며, 국제 표준 기구에서 인정하는 열 쾌적도 평가 지표이다. 3. 본 연구는 공간미기후설계 사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고대, 현재, 미래를 막론하고 사람들이 미기후 조절을 통해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들은 생태학, 환경학, 도시 디자인을 융합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경관 건축 디자인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관광지구로 한국의 전주 한옥마을과 중국의 양저우 동관길을 선정했다. 두 장소의 공간적 특성과 공간적 요소를 요약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 및 비교하였다. 1. 전주와 양저우 두 도시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고 있다. 전주와 양저우는 모두 유명한 역사적 도시로 천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두 전통적 특색을 지닌 풍경 관광 도시이다. 연구 대상지도 공성을 갖고 있다. 두 역사관광지는 모두 대표적인 건축, 문화유산, 민속적 정취가 어려 있으며 관광산업이 발달해 있다. 이밖에, 연구 대상지의 차이로 두 지역이 형성된 역사적 시간과 형성방식이 다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주 한옥마을이 국가 관광지로 떠오르면서 기존 주민들은 점차 이 지역을 떠났으며, 해당 가로는 점차 상업적으로 발전해 왔다. 반면 양저우 동관길은 주거와 상업이 혼합된 모델로 단지 내에는 여전히 많은 주민들이 생활하고 있다. 따라서 두 지역을 연구하는 것은 특수성과 보편성이 있는 동시에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 2. 연구 대상지의 공간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다. 전주 한옥마을의 배치는 주로 저층 중밀도 구조로 규모가 크고 부지가 규칙적인 특징을 보인다. 가로는 '田(전)'자 바둑판 모양을 형성하였는데 도로 배치와 폭이 넓다. 도로 기능이 다양하고 실용 면적과 사용 가능한 면적이 충분하다. 양저우 동관길은 완전한 골목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주요 가로와 많은 골목을 포함한다. 가로는 '丰(풍)'자 물고기 뼈 모양으로 전체 지역의 가로와 건물이 상대적으로 붐비며 가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다. 3. 두 구역의 공간적 요소는 큰 차이가 있으며 각자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전주 한옥마을은 바닥의 포장재질이 다양하고, 주요 도로의 포장이 통일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건축 양식을 자랑하는데 ㅡ자형, ㄴ형 및 ㄷ형이 주를 이룬다. 가로의 폭이 넓고 건물의 앞뒤와 높낮이가 풍부하며 스카이라인이 뚜렷하다. 구역 밖으로는 전주천이 흐르고, 구역 내 은행로, 오목대길 등 일부 구간에는 물줄기가 흐른다. 양저우 동관길은 도로 포장재와 색상의 통일성이 높다. 건축은 합원(合院)의 형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가로의 폭은 좁고, 건물 높이가 1~2층이며 하늘의 윤곽선이 완만하다. 이 지역의 공공경관 레저공간은 메인 도로의 양측에 흩어져 있으며 그 수가 적고 공간이 작다. 구역 밖에는 운하가 있고 구역 내에는 수경(水景)이 없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인체 쾌적도에 관한 설문조사, 미기후 현장측정,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이 3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가로의 미기후와 인체 쾌적도를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지역의 인체 쾌적도 지수에 대한 온도, 습도 및 바람 환경과 같은 미기후 요인의 영향 메커니즘을 탐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관광객의 열감(熱感) 감소는 주로 녹지가 풍부하거나 차양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한다. 일조감은 주로 그늘진 장소에 의존한다. 관광객들의 풍감은 가로의 방향이나 폭과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관광객은 습도에 대해 명확하게 느끼지 않지만 환경과 느낌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이를 종합하면 9월 기후요인에 따른 인체 쾌적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은 일조량, 온도감, 풍속감, 습도감 순이다. 불만족과 쾌적도 저하의 공간적 요인은 주로 녹화 식재, 건물 연결 방식, 공공 레저공간의 분포 및 설치, 가로의 바닥 포장 등이다. 2. 실측 결과 전주 가로의 방향이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저우 동관길의 온도 분포는 동서 주요 가로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일부 지역은 더 높다. 두 가로의 실제 온도는 공기 온도보다 높으며 큰 나무나 건물의 그림자가 더 큰 지역은 공기 온도에 가깝다. 습도는 전체 온도, 통풍, 녹화 범위, 수경(水景) 및 지역 개방도의 영향을 받는다. 양저우 동관길은 일평균 기온이 높고 가로가 좁고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전체 습도가 전주보다 높다. 풍속은 건물과 나무가 밀집한 지역의 풍속이 약하고, 탁 트여 있고 가려지지 않으며, 좁은 통로의 풍속이 약간 더 크다. 전주 한옥마을 실측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쾌적한 곳은 C 은행로, B 오목대길, A 태조로, D 향교길 순으로 나타났다. 양저우 동관길 실측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쾌적한 곳은 H 동관길 동입구, E 동관길 서입구, F 마간항, G 관항 순으로 나타났다. 3.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다시피 기하학적 형태 요소는 각 지수에 영향을 미친다. 가로의 폭과 높이의 비례가 3 이상이면 온도가 가장 높고, 2~3 사이는 적당하며, 1 미만이면 불안정하다. 전주 한옥마을의 위합식(圍合式) 배치의 경우 온도는 독립적 배치보다 높고, 양저우 동관길 건물의 위합식(圍合式) 배치의 경우 온도는 가지런한 선형 배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습도는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흐르는 물, 식물 복층, 단층 식물, 공지(空地) 벽돌, 모래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로의 폭이 넓고 풍속이 강하며 건물이 밀집되어 있고 나무가 많으면 풍속이 약해진다. 남북 방향의 풍속이 동서 방향의 풍속보다 강하며, 폭 변화로 풍속이 크게 변하고, 바람이 넓은 방향에서 좁은 방향으로 불면 풍속이 점차 강해진다.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남북방향의 가로의 평균 복사 온도는 동서 방향보다 낮고, 건물이 높고 가로의 폭이 좁으면 평균 복사 온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교목 식재구역은 그늘이 많고, 가로의 평균 복사는 낮은 식물 및 무(无)식물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를 통해 도시계획과 공간환경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미기후와 인체 쾌적도의 관점에서 역사문화관광지 가로공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기후 관점에서 본 역사문화관광지 가로공간의 인체 쾌적도 향상을 바탕으로 관련 공간 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1. 첫째, 가로 방향이 상향인 전주에는 동서 방향의 가로 환경 개선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양저우는 남북 방향의 가로에 대한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역사문화관광지구의 가로 방향을 바꿀 수 없다는 전제 하에 가로의 기타 요소를 환경 개선하여 이용자를 유도하고 쾌적한 가로의 이용량을 높일 수 있다. 가로의 폭과 높이의 비례(D/H)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식물과 가로시설물을 이용해 넓은 가로를 구획하거나, 가로 양쪽의 건물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 등이 있다. 둘째, 가로의 차양시설은 다양한 온도환경에서 공간의 실용성을 고려하고 계절적 변수를 고려하여야 한다. 여름에는 햇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겨울의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밖에 건물의 차양 타프를 이용하여 차양할 수 있다. 셋째, 두 곳의 바닥 포장재를 통합하여 일조 흡수 및 투수성의 순위를 정한다. 따라서 온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투수성이 좋은 재료를 초지와 결합하여 경질 포장재를 대체할 수 있다. 무질서하게 포장되고 시멘트로 채워진 구역은 사용자의 심리적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드시 균일하게 포장되어야 한다. 2. 역사문화관광지구의 바람환경 개선은 첫째, 철거하거나 개변이 불가능한 역사문화유산 건축물이나 위합(圍合) 정도가 높은 담장에 대해서는 위합배치를 적절히 허물어뜨릴 수 있다. 일부 영역에 대해서는 현시대의 흐름에 맞는 투각(鏤空) 처리 방식을 채택한다. 가로벽의 평탄도와 완성도는 가로 방향과 가로 폭에 따라 조절한다. 풍속이 강한 지역은 평탄도를 조절하거나 완전성을 깨뜨려 풍속을 분산시키고 차단한다. 풍속이 약한 가로의 경우 진입로 건물을 철거하고 진입로를 확대할 수 있다. 둘째, 건축 밀도가 낮은 지역은 건축 밀도를 적절하게 높이거나 건축 높이와 층차감(層次感)을 높일 수 있다. 평면에서는 주로 엇갈린 배열방식을 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전후 관계는 계단식 배열로, 조경 설계를 위해 충분한 열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건축 밀도가 높은 지역은 정풍(靜風)구역과 강풍(強風)구역이 발생하기 쉬우며, 건물을 철거하여 밀도를 낮추고 건물의 높낮이 차이를 이용한 엇갈린 층 형태로 공간을 개방하여 가로의 폐쇄 정도를 낮춘다. 셋째, 역사문화관광지구의 환기 회랑의 배치는 가로의 온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구역 내에는 일반적으로 1개의 주요 환기 회랑과 2개 이상의 2차 통풍로를 제공해야 한다. 환기 회랑으로 가로를 건설 및 개조할 때 풍로와 풍향의 협각은 45° 이내로 조절하여야 하며, 토지이용기능과 가로변 건축형태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풍로의 척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넓은 차선은 식물의 배열 조합을 이용해 풍향을 유도하고 풍속을 조절할 수 있다. 건물이 밀집된 지역은 환기 회랑의 설치를 통해 폐쇄된 공간을 트이게 하고 합리적으로 환경 주도 바람을 건설 지역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폭이 좁고 대류(對流)가 잘 되는 가로는 가로를 넓혀 풍속을 조절할 수 있다. 3. 조경 및 레저공간은 사람들의 시각적 및 심리적 감상성을 향상시키고 더 큰 차양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뛰어난 환기 및 냉각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공간이 넓은 역사문화관광지구는 중요한 명승지 환경 개선에 집중하고 미기후의 전반적인 개선을 바탕으로 공공레저공간의 이용률을 더욱 높여야 한다. 공간이 밀집된 역사문화관광지구는 공공레저공간의 수를 늘려 작고 흩어져 있는 경관휴게소를 1차 및 2차 연결시켜 완전한 경관체인을 형성해야 한다. 전주 한옥마을 가로의 중요 경관처(景觀處)와 가로 양쪽에 식물을 복합적으로 배치하여 교목, 관목, 초원의 배치 비율과 계절별 수목 및 식재 방향을 현지 실정에 맞게 설계하였다. 양저우 동관길은 미기후 환경과 인체 쾌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미식물(微植物)과 수직 식물을 적절하게 매치하였다. 또한 수경관 조성과 결합하여 주변의 기존 수원을 연결하고 동식물 요소를 결합하여 수질을 개선함과 동시에 수경(水景)의 활력과 생명력을 향상시킨다. 두 가로의 특징에 근거하여, 전주 한옥마을은 선형 동태수(動態水), 양저우 동관길은 넓은 면적의 정태수(靜態水)와 은장식(隱藏式) 동태수(動態水) 수경 모델을 매치하는 방법을 통해 해당 구역의 수경(水景)설계 내용과 패턴을 효과적으로 보완하여 역사문화가로의 생태미환경(生態微環境)을 조성하고 있다.

      • 회복환경을 중국 북경 중심상업지구(CBD)의 공공공간 디자인에 사용한 연구

        주계항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3913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 is a urban functional unit characterized by the high concentration of modern service industries. It serves as an important symbol and landmark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metropolises. With the continuous advancement of urbanization in today's society, the rise of CBDs has greatly improved people's consumption and living standards. However, along with this development comes an increase in work and life pressures, which can harm individuals' physical and mental health if negative emotions are not promptly relieved. The environment and living space are closely related, and "restorative environments" have become a trend in modern environmental design. These environments can restore use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induce self-healing. In this regard, public spaces within CBDs play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A CBD public space with restorative effects can not only provide a place for people to rest but also contribute to their mental recovery and stress relief. Of course, CBD public spaces encompass various elements and can be classified in different ways. They can be categorized based on their forms, such as streets, squares, parks, and water bodies, or based on their functions, such as transportation spaces, gathering spaces, memorial spaces, and commercial spaces.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CBD public spaces and using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methods, three main types of public spaces are prominent in the CBD: urban plaza spaces, public corridor spaces, and urban green spac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Beijing CBD Historical and Cultural Park in China as a vehicle for conducting research on restorative environments. This study adopts an interdisciplinary and comprehensive analytical approach, utilizing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s to explore the theory of restorative environments and its application in public spaces. The article follows four steps to progress: The first step involves starting from the research background, purpose, and significance, and posing research questions. The second step elucidates fundamental theoretical concepts and explores the design principles of restorative public spaces to analyze the issues. Drawing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CBD construction practices, CBD public spaces are selected for case analysis, and the problems and experiences are summarized and generalized. The study proposes the significance of referencing the theory of restorative environments in the design of CBD public spaces. The third step involves conducting relevant questionnaire surveys and on-site investigations. Through preliminary literature research, theoretical and case studies, comparative analysis, on-site investigations, and questionnaire analysis, the study proposes design ideas,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creating restorative environments in the Beijing CBD Historical and Cultural Park in China. The fourth step applies the research findings to simulated design practices in the Beijing CBD Historical and Cultural Park, thereby demonstrating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As CBD public spaces currently lack scientifically unified design principles and guidance from environmental psychology, neuroarchitecture, and other theories, their restorative effects cannot fully meet the demands of the public. Therefore, designers and professionals need to improve and standardize CBD public space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restorative public environment for the high-pressure population in modern CBD areas, enhance people's awareness of environmental psychology, neuroarchitecture, and restorative space design, and learn to alleviate stress and release negative emotions by improving environmental spaces, so as to face life with a positive outlook. This article is main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an introduction. This article introduces the research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restoring the environment in CBD public spaces, analyzes the current research status of restoring the environment in China and internationally, and points out the problems, shortcomings, and differences of current research results. It clarifies the relevant concepts and definitions of this study, and summarizes the research ideas and methods of this article. Chapter 2 is a conceptual analysis and its development process, evolution, and current situation. Summarized the concepts related to the restoration environment and CBD public spaces, as well as classic case studies, to demonstrate the positive impact of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restoration environment on people's physical and mental recovery. Chapter 3 is the conceptual basis, design entry point, and design standards for using the restoration environment as a research tool in the design of CBD public spaces. This chapter focuses on summarizing the design philosophy of people in CBD areas for restoring the environment through on-site surveys, questionnaire surveys, and other methods. Starting from the three dimensions of human physiology, psychology, and spirit, the core concep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which is the design of CBD public spaces for restoring the environment. Guided by the core concept of restoring the environment, this paper further summarizes the design principles and methods of CBD public spaces by analyzing the design entry points and combining relevant theories of public spaces. Chapter 4 is the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y construction of the restoration environment in CBD public spaces. This chapter summarizes and analyzes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restoring the environment in CBD public spaces through a preliminary analysis of users'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needs for the environment, combined with practical cases, and provides relevant design solutions for the CBD Historical and Cultural Park in Beijing, China. Chapter 5 is the follow-up research and outlook of this article. This article serves as a connecting link in the study of restoration environment. On the one hand, based on summarizing and summarizing previous research, it proposes a more comprehensive design method and related characteristics for the restoration environment of CBD public spaces; On the other hand, it serves as a foundation and direction for the subsequ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estoration environment design. 중심상업지구(CBD)는 현대서비스업이 고도로 집중된 도시기능 단위로써, 현대화 대도시 발전의 중요한 상징이자 표지이다. 오늘날 사회의 도시화 과정이 끊임없이 추진 하고 있는 배경에서 중심상업지구(CBD)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사람들의 소비와 생활수준도 크게 제고되었지만, 이에 따른 업무와 생활 스트레스도 따라 증가하여 부정적인 정서가 즉시 해소되지 못해 개인의 몸과 정신건강에 해를 끼쳤다. 환경 공간과 생활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회복환경"은 사용자의 신체와 정신 건강을 회복시키고 자가치유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 공간으로, 현대 환경 공간 디자인의 추세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회복효과를 가지고 있는 CBD 공공공간은 사람들에게 휴게의 장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신회복, 스트레스 완화도 가져다 준다. CBD 공공공간에 포함된 내용이 풍부하고 분류의 방식도 하나뿐이 아니다. 공공공간의 형태에 따라 거리, 광장, 공원, 수역 등 유형으로 나뉘며, 기능에 따라 공공공간을 교통 공간, 집회공간, 기념 공간, 상업 공간 등 유형으로 나뉜다. 이미 건설된 CBD 공공공간 현황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공공공간 분류 방법을 이용해 현재 CBD 공공공간은 크게 공장공간, 공공 갤러리 공간, 도시 녹지 공간이 3가지 유형으로 나위었다. 본문은 중국 북경 CBD 역사 문화 공원을 기반으로 한 "회복환경" 과 관련된 디자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학과 교차 종합 분석의 방법을 이용해 문헌연구, 사례분석, 설문조사 등 연구방법을 회복성이론 및 공공공간의 응용에 적용한 연구를 진행했다. 본문은 4단계를 통해 진행된다. 1단계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및 의의에서 문제를 제기했다. 2단계에서는 기초이론 개념을 해석하고, 회복성 공공공간의 디지인 원칙을 탐구하고 문제를 분석했다. 국내외 CBD건설 실천에 착안해 CBD 공공공간의 사례분석을 진행했고, 문제점과 경험을 총괄하고 귀납하여 회복환경이론하의 CBD 공공공간 디자인 참고의의를 제기했다. 3단계에서는 설문조사와 현지 조사를 진행했고, 사전의 문헌연구, 이론 및 사례 학습, 비교분석, 현지 조사,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중국 북경CBD역사문화공원에서 회복환경의 디자인 아이디어, 디자인 원칙 및 디자인 책략을 제기했다. 4단계에서는 연구결과를 중국 북경CBD역사문화공원의 모의실천에 응용하며, 모의디자인 실천을 통해 연구결과를 논증했다. 그러나 CBD 공공공간은 과학적이고 통일된 디자인 원칙과 환경심리학, 신경 건축학 이론의 지침이 부족하여, 회복효과가 대중의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디자이너와 전문가는 이를 개선하고 규범화 해야 한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CBD구역에서 고스트레스군을 위한 회복성 공공환경 장소를 제공해 줘 사람들이 환경심리학, 신경 건축학 및 회복성 공간디자인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환경 공간을 개선하여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부정적 정서를 풀며 낙관적인 삶을 직면하는 것을 배우게 한다. 본문은 주요하게 다음과 같은 5장의 내용으로 나뉜다. 제1장은 서론이다. 본장에서는 CBD 공공공간에서 회복환경의 연구 배경과 의의를 소개해 중국과 세계에서 회복환경에 대한 연구 현황을 분석했으며, 현단계에서 연구 성과의 문제점, 단점과 차이점을 지적했고, 본 연구의 개념 정의를 명확히 해 본문의 연구 방법과 아이디어를 요약했다. 제2장은 개념 해석과 발전 과정, 변화 과정 및 현황이다. 회복환경과 CBD 공공공간에 관련된 개념 및 사례 분석을 진행해, 회복환경의 경관 특성이 사람의 심신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제3장은 회복환경을 CBD 공공공간 디자인 연구에 이론적 기반, 디자인 착안점과 디자인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장의 포인트는 현장 조사, 설문 조사 등 방법으로 CBD 구역의 사람들이 회복환경에 대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요약했다. 본 연구의 핵심 이념인 회복환경의 CBD 공공공간 디자인은 사람의 생리, 심리와 정신의 3가지 방면에서 출발해 요약했다. 회복환경의 핵심 이념을 기반으로, 다자인 착안점에 대한 분석과 공공공간의 관련된 이론을 결합하여, CBD 공공공간의 디자인 원칙과 방법을 요약했다. 제4장은 CBD 공공공간에서 회복환경의 디자인 원칙과 책략을 구축했다. 본장은 사용자의 생리, 심리과 정신 등 방면에서 환경 수요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고, 실제 사례와 결합하여 CBD 공공공간 회복환경의 원칙과 책략을 요약하고 분석했으며, 중국 북경 CBD 역사 문화 공원에 대한 디자인 책략을 제기했다. 제5장은 본문의 후속 연구와 전망이다. 본문은 회복환경의 연구에 대해 승상계하의 역할을 했으며, 한 편으로는 과거에 대한 연구를 요약하고, 보다 포괄적인 CBD 공공공간 회복환경의 디자인 방법과 관계된 특성을 제기했고, 다른 한 편으로는 회복환경 디자인에 대한 후속 연구과 발전에 기반과 지침 역할을 한다.

      • 몽골 울란바토르시 역사적 구역의 현황 및 관리제도 특성 연구

        Munkhtuvshin Turbat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3659

        현재 몽골 울란바토르시는 급격한 인구 유입 때문에 확산한 게르지역의 빈곤 및 불량지구 확산과 주택 부족 문제 등 도시문제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울란바토르시 정부 주도로 도시재개발 사업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특성 및 역사자원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로 인해 울란바토르시를 대표하는 건축역사자원들이 파괴되고 있으며, 관련 법제도의 미비로 인해 문화재를 고려한 주변 역사문화환경의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몽골은 과거부터 문화재 보존 및 관리를 위해 다양한 법제도와 정책 문서를 수립하였지만, 법제도에서 명시한 목표를 이루는 과정에서 문화재 및 주변의 역사문화환경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정확히 기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 울란바토르시 역사적 구역을 중심으로 현황 및 관리제도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몽ㆍ한 역사문화환경의 개념과 관리제도를 비교하고 울란바토르시 역사적 구역 및 관리계획 현황과 사례대상 간단사원 및 게세르사원 역사적 구역에 대한 관리현황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울란바토르시 내 특별보호구역 중 건축문화유산은 역사적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역사문화환경 관리제도가 구축된 한국에 비해 몽골에서는 문화유산 주변의 역사문화환경에 대한 개념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재 관련 법제도에서는 특별보호구역만을 지정하고 있으며 주변 역사문화환경에 대한 관리는 도시관리계획인 부분계획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울란바토르시 내 역사적 구역 총 8곳 중 생활권 단위로 지정된 간단사원 및 게세르사원에만 유일하게 역사문화환경을 고려한 부분계획이 수립되어 압축본이 공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단사원 및 게세르사원을 제외한 나머지 역사적 구역 주변에서는 건축계획과제를 통한 개별 건축행위에 대한 행위제한 기준이 미비하여 문화재 보존에 악영향을 미치는 개발행위가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사적 구역의 설정 기준이 문화유산 내부경계로부터 문화재 자체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역의 설정 및 범위 확대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성과 법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유일하게 부분계획이 존재하는 간단사원 및 게세르사원 주변에 대해서도 부분계획의 법적인 효력이 없어 토지등소유자들의 무분별한 개발행위를 관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laanbaatar, Mongolia, is facing urban problems such as the spread of poverty and poor districts in the Ger Area due to rapid population influx, and the issue of housing shortag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led by the Ulaanbaatar city government are actively underway. However, development that does not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resources is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architec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that represent Ulaanbaatar. Additionally, due to the lack of related legal systems, proper management of the surrounding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considering cultural assets is not being carried out. While Mongolia has established various legal systems and policy document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ies in the past, it lacks clear guidelines on how to manage cultural properties and the surrounding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goals specified in the leg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the historic sites of Ulaanbaatar, Mongoli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pecial protection zones in Ulaanbaatar, architectural and cultural heritage sites are designated as historic sites, and compared to Korea, which has an established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Mongolia appears to have a poor concept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around cultural heritage sites. Second, The legal system related to cultural heritages designates only special protection zones, and the management of the surrounding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is carried out through the partial plan, which is an urban management plan. Third, out of a total of eight historic sites, a partial plan was established and made public only for Gandan and Geser Temple, which were designated as living area units. Fourth, due to insufficient standards for restricting individual construction activities through architectural planning assignments, development activities tha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were seriously taking place around the remaining historic sites except for Gandan and Geser Temple.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partial plans around Gandan and Geser Temple had no legal effect, making it impossible to manage the indiscriminate development activities of land owners.

      • 역사문화도시내 황리단길의 보행환경 및 보행만족도에 관한 연구

        심훈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3642

        'Act on Improvement of Pedestrian Safety and Convenience' was legislated in 2012 to create the comfortable environments where the pedestrians could walk safely and conveniently and thereby, protect people's life and body, improve their life quality and thus, enhance the public welfare. On the other hand, 'Special Act on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the Ancient Cities' was legislated in 2011 to preserve and promote the historical culture environment of the ancient cities and thereby, recover their identity, improve people's living environment and create energetic historical culture cities. It is perceived that if Hwangridangil should be re-created to have a good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pedestrian factors and satisfaction, it would be a safe and comfortable route for the pedestri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destrian satisfaction at Hwangridangil in Gyeongju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the policy-making for a sa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pedestrians in the historical culture city. For this purpose, its main road (700m) and its living road crossing the main road (350m) were analyzed in terms of separation of pedestrians from the vehicles, mixed uses by pedestrians and vehicles, one-way passage and two-way one. Thus, the factors affecting the pedestrian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road (main road, living road), purpose of visitors (sight-seeing, special purpose), and user (tourist, citizen). After all, 5 pedestria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18 sub-factors were determined to be subject to the independent T-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9 sub-factors regarding users' satisfaction, 4 sub-factors regarding the purpose of visiting and 7 sub-factors regarding type of users were significant.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comparatively analyzed the pedestrian environment of and satisfaction with Hwangridangil in the historical culture city Gyeongju by road, purpose of visiting and user and thereby, provided for some useful data for activation of a safe and comfortabl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historical culture cities. 보행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걸을 수 있는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여 각종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공공의 복리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2012) 제정 되었다. 고도의 역사문화환경을 효율적으로 보존·육성함으로써 고도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고도를 활력있는 역사문화도시로 조성하는데 기여하는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2011) 제정 되었고, 역사와 문화를 함께 보존하고 있는 경주 황리단길을 중심으로 보행자들이 인지하는 보행요소와 보행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보행자 중심으로 보행환경으로 조성되면 보행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권이 확장 된 특성과 보차분리, 보차혼용, 일방통행, 양방통행 등 보행 뚜렷한 차이가 보이는 대표적인 두 도로로 메인도로(700m)와 메인도로와 교차하는 생활도로(350m)를 대상으로 경주 황리단길의 도로별(메인도로, 생활도로), 방문목적별(관광, 특정목적) 이용자특성별(관광객, 경주시민)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도출하여, 역사문화도시와 관광지의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5개의 보행환경 요소와 18개의 세부항목을 선정하여 독립표본 t-검정 결과 황리단길의 보행환경 요소별 만족도에 대한 도로별 만족도 분석 9개의 세부 항목, 방문 목적별 분석에서 4개의 세부 항목 이용자특성별 분석으로는 7개의 세부 항목이 유의한 것으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내 경주 황리단길의 보행환경 및 보행만족도를 도로특성별·방문목적별·이용자특성별로 비교 분석을 통해 역사문화도시와 관광지의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 Informal-Formal Partnerships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Equity and Relationship Building

        Kenimer, Eleanor Michigan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2023 해외박사(DDOD)

        RANK : 3597

        This dissertation aims to address frequent calls for partnerships between informal science learning spaces and formal K-12 science education (e.g. Bevan & Dillon, 2010; Hofstein & Rosenfeld, 1996; NRC, 2009; Stocklmayer et al., 2010) as well as how informal educators and organizations are or are not addressing issues of equity within these types of partnerships. Informal science education (ISE) as a field is very broad, including such activities and contexts as public and family trips to places like museums and nature centers, K-12 school field trips, engagement with science media and more. Although millions of people visit informal science institutions each year (NRC, 2009), there is inequity in who can access these science experiences and for whom the experiences are designed. Partnerships between ISE institutions and schools are one potential way of both enhancing and supplementing school science as well as increasing participation in informal science experiences. Though many scholars call for these types of partnerships, there is little agreement about what kind of features might contribute to a successful and productive partnership.Another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give a voice to informal science educators. Informal science educators (ISErs) are part of the science learning ecosystem but are often not considered in teacher education research. They come from a variety of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refore do not have common educational experiences. While a lot of teacher education research focuses 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potential of those spaces to work with future teachers to think about equity and social justice, there are not equivalent spaces where ISErs might engage in these same discuss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e what kinds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ISErs have around DEI issues so that we might begin to think abou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they might have.This work addresses these problem spaces in three related papers. The first is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informal-formal science education partnerships. Because such partnerships involve two separate institutions with their own objectives, cultures, histories, and communities, I decided to explore the idea of partnerships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which specifically takes into consideration how culture and history may affect human activity. In this first paper I will explain why CHAT is a useful lens through which to think about partnerships as well as provide recommendations for how to create productive partnerships based on this theoretical framework.The second manuscript is a narrative case study of a partnership in formation between a local park system and a public school within a large urban school district in a midwestern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two ISErs. This paper describes in detail the challenges and successes of creating a partnership between two very different systems and the learning that was required of the informal educators to work productively with teachers and students in an urban school context. I will show how CHAT played out in action for these educators including what aspects were instantiated in their work and what was missing that might have contributed to challenges they experienced.The third and final manuscript is a survey and interview study with ISErs who work, at least in part, with K-12 students in urban areas. It focuses on their perceptions around issues of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DEI), what efforts they and their organization have made regarding DEI, whether their organizations are supportive or not when it comes to further efforts, and what barriers they feel exist to making change at their organization or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