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팀장의 리더십 유형과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서성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38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 기업에서 운영되고 있는 팀제라는 조직 구조하에서 팀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요구되는 팀장의 리더십 유형 및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팀 효과성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팀 운영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팀의 효과를 좌우하는 여러 요인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팀장의 리더십이다. 팀장의 리더십이 팀의 성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팀과 리더십, 그리고 팀제의 효과성에 대한 적절한 인식 부족으로 팀장의 팀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육성해오지 못했다. 또한 팀의 효과성에 초점을 맞춘 팀 리더십의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 항공사' 객실 승무 조직의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에 대한 연구와 함께,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팀 구성원의 가치관 분석이 수반될 때 팀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팀장의 리더십 발휘가 가능하다고 보고, 팀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팀 구성원의 가치관이 팀장의 리더십과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토대로 다음 5 개의 연구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팀장의 리더십 유형,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팀 구성원의 가치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팀장의 리더십 유형은 팀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팀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팀장의 리더십 유형과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팀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팀 구성원의 가치관은 팀장의 리더십 유형과 팀 효과성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 구성원의 특성이 팀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치관, 연령, 직책, 성별, 기혼여부, 근속 연수 등 팀 구성원의 다양한 특성들을 파악함에 따라 단기간에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충분한 노력이 주어진다면 큰 효과를 올릴 수 있는 요인들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팀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팀 구성원 파악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팀장의 리더십 유형은 변혁적 리더십은 물론 거래적 리더십도 팀 효과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볼수 있다. 이는 팀장이 보다 다양한 리더십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근거를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팀장이 발휘하는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가 높을수록 팀 몰입도는 높으나 팀 생산성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즉 변혁적 리더십의 모든 요소가 팀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과도한 팀장의 카리스마는 오히려 팀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을 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즉, 단순한 리더십의 강화보다는 유형별 리더십의 개발이 보다 더 팀 효과성을 증대 시키는 중요한 방법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넷째,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매체의 유형이나 대상 범위가 집적적이고 소집단을 이용한 발생회수가 많을 때 팀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팀내 커뮤니케이션의 발생회수가 많을수록 팀의 효과성이 증대 됨에 따라 팀장은 팀내 커뮤니케이션 관리를 통한 팀 효과성 증대를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다섯째, 구세대 가치관을 가진 팀 구성원이 신세대 가치관을 가진 팀 구성원보다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 팀 효과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구세대 가치관을 가진 팀 구성원 대부분 팀내 직책이 높거나 근무 경험이 많은 파트 리더들임을 감안해 볼 때 팀장이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이들의 역할 비중이 높다는 것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세대 가치관을 가진 팀 구성원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해야 함은 물론, 팀 구성원들이 어떠한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리더는 이들의 생각에 부합되는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근거를 시사해 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두 가지 모두 팀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팀장들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두 가지 모두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팀장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은 물론 거래적 리더십을 팀원들에게 효과적으로 발휘해 줄 수 있도록 해주는 팀제 환경에 대한 지원 시스템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급속한 외부 환경 변화와 팀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 하기 위해 그리고 성공적인 팀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팀 구성원들의 가치관, 열망, 동기 등을 파악하여 이들의 특성을 살리면서 융화될 수 있는 면모를 다질 수 있도록 그에 따른 팀장의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 속에서 팀내에는 팀 구성원의 자질에 따라 컴퓨터 네트워크 중심의 팀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함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사용하며 그들 커뮤니케이션 방법 상호간에 갈등과 균형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팀 커뮤니케이션의 활용은 팀조직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하부구조로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팀의 나아갈 방향을 원조해준다. 즉, 팀 내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은 팀이 보다 협력적이고 생산적인 일에 몰입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도록 해주므로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팀장의 리더십의 능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K 항공사'에만 국한 되었지만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른 항공사들을 포함한 확장된 연구가 시도되어져야 한다. 세계 유수 항공사와의 무한 경쟁의 양상은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항공업계에서의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조직 개개인의 잠재력은 물론, 조직 개발, 팀장의 리더십 개발 등 인적 자원의 개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특히 고객유치 및 노선 확충을 위한 항공사간의 글로벌 얼라이언스 체제하에 'K 항공사'의 정통한 객실 서비스 품질 구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매진하는 현상황에서는 선진 항공사와의 인적 자원의 개발에 대한 비교 분석이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리더십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리더십과 팀 효과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팀 효과성에 차이를 보이는 다양한 리더십의 연구로 인해 효과적인 팀제 운영을 위한 팀장의 리더십 유형을 찾는 노력은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팀제 운영이 지속 되어가는 한, 팀 조직의 발전 단계에 따른 교육 훈련의 내용이나 방법 등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하여 팀 조직의 효과성 극대화를 위해 적합한 팀장의 리더십 교육이나 팀 단위의 교육훈련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am system, a new leadership form aiming at the reform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was introduced and run in our country, and to make an experimental analysis of how a team leader's leadership affected the team effectiveness. By exploring the leadership effect, it's intended to look for a way to use the team system, team leadership and team communication more successfully in business sector. The most essential of the factors controlling the team effectiveness is the team leadership. It absolutely affects the team effectiveness. In spite of its influence, almost all companies have not effectively fostered team leadership, owing to the lack of exact understanding of the team, the team leadership and the team effectiveness. There is not enough systematic research in this f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pose ways to properly develop team leadership and team effectiveness for 'K' airline's cabin attendant department. This study treated team communication and members' value as important factors effecting team effectivenes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goal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5 subjects were derived. First, how would team leadership style, team communication methods and team members' value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how would team leadership style influence the team effectiveness ? Third, how would team communication methods influence the team effectiveness ? Fourth, how would team leadership style and team communication methods influence the team effectiveness ? Fifth, how would team leadership style and team effectiveness influence depending on their value ?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cas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point out that the team members' attributes have stronger influence on the team effectiveness. It is not that we can succe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taking advantages of the team members' attributes such as value, age, position, gender, marriage and experience, however, certainly they bring some positive effects. Therefore, in order to run an effective team, the team leader should do a good job in understanding the team members. Second, the team leader's leadership style influences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This reveals that the team leader should develop many kinds of leadership styles to make the team effective. Third, as the team leader demonstrates the charisma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commitment becomes higher. On the other hand, team productivity becomes lower. All factors of transactional leadership can not affect the team effectiveness. Strong charisma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team productivity. It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method to enhance team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leadership styles than the reinforcement of simple leadership. Fourth, team communication methods give much influence on the team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load of direct and focused communication methods. The communication load is found to act on the team effectiveness. This reveals that the team leader should make an effort to control the team communic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team effectiveness. Finally, it proves the facts that the old generation has more influenced than the new generation by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lmost all of the old generation have high positions, they are well-experienced part leaders. We can assume they have core positions on the team leadership. Therefore, especially for the old generation, team leader should display effectively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Also, this reveals that team leader should show the effective leadership according to team members' valu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ut forwards. First, the team leader's leadership style gives much influence on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So,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bout the objective and definite methods in which a team leader can display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to his/her team member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about team-based organization's environment in which a team leader can expert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transactional leadership to his/her team members in order to enhance the team leader's performance. Second, to flexibly and speedily cope with rapid change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of team members, to set up the effective team,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eam leader's effective leadership style in which he/she should understand team members' value, desire, motivation and cheer up and harmonize their features. Third, a new leadership paradigm is required in the information era. There are simultaneously conflict and harmony among team communication methods. They us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computer networking depending on members' competence. Using team communication is a basis in the running of an effective team. Effective communication can support the goal of team. The communication methods in an organization should create a job environment that promotes team cooperation and commitment , so it should developed as an effective tool to maximize team leader's leadership and performance. Fourth, this study is limited to 'K' Airline company but it is hoped that it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on other diverse airline companies. Unlimited competition among the advanced airlines causes rapid changes. In the airline industry, an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 power, requir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ch as members' potentiality, organization systems and team leader's leadership. Especially, it is required the comparable analysi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mong advanced airlines. Because 'K' Airline company is striving for the excellent cabin service and the enhancement of the competitiveness under the current atmosphere of Global Alliances. Fifth, for team leadership, it is required that we research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leadership styles for team effectiveness. Since the various leadership styles effect on the team effectiveness, it is very meaningful for the effort of searching for the team leader's leadership style for the effective run of the team system. Finally, as long as the team system continues,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maximize the team effectiveness through continued study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with respect to team systems.

      • 아동이 지각한 가족체계와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오정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04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체계와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우울을 이해하고 예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첫째, 아동의 개인배경 변인(성별, 학년, 출생순위,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아동의 우울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둘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체계 및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과 아동의 우울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셋째, 아동의 개인배경 변인과 아동이 지각한 가족체계 및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은 아동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생 5·6학년 아동 523명(남 258명, 여 26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검사도구로는 가족체계를 측정하기 위해 Olson, Portner와 Lavee(1985)가 개발한 FACESⅢ를 김미애(1997)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 검사는 Satir의 이론 중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유형을 주축으로 김주분(1994)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고, 아동의 우울검사는 Kovacs와 Beck(1977)이 개발한 아동용 우울검사(CDI)를 조수철과 이영식(1990)이 번안한 척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평균검증(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의 사후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아동의 우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아동 우울의 전반에서는 성별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으나, 하위영역 중 흥미상실에서 남자 아동이 다소 높은 우울수준을 보였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6학년 아동들이 5학년 아동들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기비하적인 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아동의 우울은 경제적 수준이 낮은 가정의 아동이 경제적 수준이 보통이거나 높은 가정의 아동보다 더 높은 우울을 보였다.둘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체계와 아동의 우울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과 아동의 우울 간에는 부모의 회유형 의사소통방식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개인배경변인, 가족체계,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동 우울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 아버지의 평가형 의사소통방식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세 변인의 설명력(R2)은 32.3%였다. 우울 전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이었고, 다음으로 아버지의 평가형 의사소통, 가정의 경제적 수준 순서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본 연구에서 아동의 개인배경변인 뿐 아니라, 가족체계와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동의 우울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 따라서 높은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의 유지와 부모의 열린 의사소통방식은 아동의 우울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of family systems and dysfunctional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 as they are perceived by children.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depression levels based on demographics - gender, grade, birth order and the family's economic status?Second, are ther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depression, family systems and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Third, are there effects of demographics, family systems and dysfunctional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 on children's depression?With the given questions, a total of 523 elementary school students(258 boys, 265 girls ; 5th and 6th graders) from Seoul and Kyonggi province were involved in the investigation. The tools of investigation were Olson, Portner & Lavee's FACESⅢ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Evaluation Scale Ⅲ, 1985, translated by Kim, Mi Ae, 1997), Kim Ju Bun's Dysfunctional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 (based on Satir's theory) as well as Kovacs and Beck's CD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1977, translated by Jo, Su Cheol, and Lee, Young Sik, 1990).The SPSS 10.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the areas of frequency, t-test, one-way ANOVA, scheffe` contras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of all, there are some demographic trends observable. Gender differences were seen in a greater loss of interest among males, grade differences observed in that sixth graders have lowered self-esteem and children of poorer families are more likely to suffer greater levels of overall depression.Secondly, family systems do correlate with children's depression.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 congruent stance i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children's depression. Dysfunctional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 (excepting parental placating method)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ren's depression.Lastly,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children's depression, followed by a high father's computing method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he third key factor is low economic status. These three most significant factors result in predictable depression 32.3% among children.Through such results, it can be observed that maintenance of high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have a very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depression levels.

      • Let's Talk about Sex: How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Family Sexual Communication Impact Adolescents' and Emerging Adults' Sexual Outcomes

        Isaacs, Alyssa Marie University of Minnesota 2012 해외박사(DDOD)

        RANK : 2894

        This study has three primary goals. The first goal is to propose and test a new operationalization of family sexual communication. The second goal is to utilize this new measure to investigate how family sexual communication impacts adolescents' and emerging adults' sexual beliefs, sexual behaviors, sexual self efficacy, and sexual communication with their partner.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us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Theory to formulate predictions regarding how general family communication impacts sexual outcomes and test these predictions. The new operationalization that is proposed is the Family Sexual Communication Scale. This scale consists of three subscales that measure the frequency, quality and content of family sexual communication.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this measure demonstrated strong psychometric properties. For the 326 participants in this study, family sexual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sexual beliefs, sexual behavior, sexual self efficacy and sexual communication with their partner. Results from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 that the content of family sexual communication was the strongest and most consistent predictor of participants' sexual beliefs and sexual behaviors whereas frequency and quality were predictive of sexual self efficacy and quality and content were predictive of sexual communication with a partner.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Theory proved to be a useful theory to apply when investigating how general family communication impacts sexual outcomes. The predictions derived from the theory were all partially or fully supported, and the theory allows for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in this study. Participants from pluralistic and consensual families had higher levels of sexual self efficacy, partner sexual communication and safe sex than participants from protective and laissez faire families. Participants from laissez faire families had the lowest levels of sexual self efficacy and partner sexual communication while also having high rates of unprotected sex, group sex, and hook ups/one night stands. Gender differences are examined as is the interaction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family sexual communication.

      • 부부의사소통을 위한 비폭력대화 프로그램 사례연구

        정경희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894

        본 연구는 부부간 의사소통을 통한 친밀감을 형성하고, 건강한 부부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기능적인 가족체계를 형성하기 위해 Rosenberg의 비폭력대화 방식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부부관계 형성의 바람직한 모델을 찾아보고자 한다. 부부가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기능적 의사소통으로 바꾸면 문제는 상당부분 해결 될 것으로 보고 비폭력대화 부부 집단상담을 구성하였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미 이전에 부부상담을 경험한 적이 있는 30, 40대 부부 3쌍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집단상담을 진행하였다. 비폭력대화 집단상담은 Rosenberg(2003)의 비폭력대화 이론을 부부 집단에 맞게 구성한 반구조화 집단상담으로서 매주 하루 3시간씩 4주간(8회기, 12시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집단상담을 통해 경험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현상학적·심리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의사소통 유형검사, 집단 전과정 녹취, 경험보고서, 집단 후기, 추후모임 질문지 작성 후 녹취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상학적·심리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폭력 대화 부부 집단상담을 통해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배우자의 이야기도 있는 그대로 경청하면서 정중하고도 솔직한 관심을 보이고,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원하는지 명확히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상대방을 탓하던 이전의 역기능적 대화방식을 버리고 자신과 배우자의 긍정적 욕구를 표현하고 알아줌으로써 낮은 자존감에서 오는 이중 메시지 전달방식이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대화방식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비폭력대화를 주제로 한 부부 집단상담을 통해 부부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되면서 부부 간에 따뜻한 친밀감이 생성되고 처음 상담실을 찾았던 남편 폭력과 폭언 문제, 자녀문제, 친인척 갈등 등이 상당 부분 해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appropriate and idealistic model of spouse communication which will help establish an intimate and healthy spouses relationship and "functional family structure" based on healthy communication between spouses. With the hypothesis that changing dysfunctional communication into functional one will solve most of the conflicts between spouses, this study employed the Nonviolence Communication Group Counselling of Rosenberg and observed the effects. I assumed that the conflict between couples could be resolved if the method of couple communication is changed from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o functional communication. A couple counseling was conducted on three couples in their 30s to 40s who reported that they were willing to resolve the conflict and had experienced similar sorts of counseling before. After the couple counseling, I introduced them to a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gave the counseling to those who wanted it. Nonviolence Communication Group Counseling is semi-structured group counseling designed appropriately for couples, which is based on Nonviolence Conversation Theory of Rosenberg(2003). It was conducted 3 hours per day for 4 weeks (8 sessions, 12 hours). I analyzed the process of their experiences and changes by phenomen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I collected the data from the tests of communication types, recordings all of the counseling, reports from experiences, an afternote of group counseling, and a questionnaires after the end of all the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rough Nonviolence Communication Couple Group Counseling, the couples truly expressed themselves by hearing what his/her spouse talked about and showing their polite and deep concern to each other. Furthermore, each spouse became able to express clearly what they wanted in a given situation. Second, they got rid of their prior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hich consisted mostly of blaming his/her spouse. Their method of communication was transformed from conveying double messages out of low self-esteem into integrating their speech and action by recognizing the desires of himself/herself and his/her spouse. Third, thanks to the progress of the communication skills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e Group Counseling, based on Nonviolence Communication, the relationships of the couples became more intimate. Through this process, the sources of marital conflicts which at first prompted them to visit the counsellor, that is, violence and verbal abuse of the husbands, problems with their children, problems with in-laws and relatives, were resolved to a large extent.

      •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인식 유형 연구 : 서비스 인카운터 중심으로

        조성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890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dining culture has become deeply embedded in our lives. As the frequency of dining out increases, the level of demand is also increasing as consumers have more opportunities to encounter a variety of forms of dining out. They also lavishly spend on expensive meals to enjoy the taste and service. Fine Dining Restaurant is a type of restaurant that belongs to a luxury dining group. As a result, customers can experience not only the taste but also the atmosphere, the brand, the accompanying customers, and the high-quality human service through the restaurant visit. Therefore, it is recognized as a premium restaurant with high expectations rather than a regular restaurant. Human communication at the fine dining restaurant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hat determine custo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Everything is delivered through communications, including ordering, information offering, inducement of purchase, and knowledge of the products offered by the service employee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customer. Among them nonverbal communication means communicating in two-way through nonverbal methods except language. The classifica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is divided into physical language, body language (kinesics), paralanguage, and proxemics. In Fine Dining Restaurant, non-verbal communication often results in service failure or customer dissatisfaction due to an error in interpretation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service employee. The service employee whose prepared or trained nonverbal communication for customer satisfaction may also serve as an unpleasant or unnecessary factor for the customer to feel.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we examine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customers and service employees from the point of view on non-verbal communication among the communication encountered in service encounters, which is the service contact point of Fine Dining Restaurant. The research method applied Q methodology,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for dealing with and measuring individual subjectivity such as human values or beliefs. Al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present a service quality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type of results. Therefore, the merging method of merging different research methodologies was used to identify additional information. We conducted the survey by developing Q-tool, a research hypothesis assessment tool, and compared the distribution size by type of perception of service employee and customer, and the perception of service employee groups and customer group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them. A study of types of service employee and customer perception examined using Q methodology found five types of service employee and three types of customer. Each type was recognized as a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service for nonverbal communication and had unique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 of each group. For the type of employee Type 1 is a 'friendly service oriented’ type of employee. This type of employee is the type that values the kindness and attitude that is based on sincerity, with the strong willingness to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 among the nonverbal factors. Mainly, they want to convey kindness as physical language and paralanguage​. Type 2 is a 'utilizing good sense to manage the mood’ type of employee. This type of employee pursues stable services at a certain distance rather than at an attitude trying closer to the customer, even though they are serving to satisfy the customer. They are friendly but concerned about inconveniences with one-way services. Therefore, they are the type of people who use their good senses to take account of the situation around the customer. Type 3 is a 'professional service oriented’ type of employee. This type of employee places the most importance on body language, professional language, and professional gestures based on core products. It is also characterized that this type of employee recognizes the quality of service that conveys a visually rich image important. Type 4 is a 'trust-maintenance-oriented' type employee whose purpose is to maintain trust in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behavior, manner, and attitude, which are the body language of service employee visually. This type of employee tends to seek an equal communication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And they think that a restaurant is not just a service space but a memorable place and reveal sincerity in behavior than words. Type 5 is a 'service attitude oriented' type of employee. This type of employee thinks smiles are the most meaningful in communication with the body language of facial expressions. And they are the types of people who value the appearance among the physical language, express kindness in body language with behavior and attitude and pursue the neatness and calm of the physical language. 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regarding with characteristics of each perception type of customer. Type 1 is a 'fine service oriented’ type of customer. They have a perception of high-quality service for fine dining restaurants where "it should offer high-quality service that meets the name value of fine dining and differentiate regular restaurants.” They have a perception of high-quality service for fine dining restaurants where "it should offer high-quality service that meets the name value of fine dining and differentiate it from regular restaurants.” Type 2 is a 'professional service oriented’ type of customer. This type of customer pursues professional services i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service employee in restaurants through body languages such as gestures, and an active attitude. They are the type who feels quality of service mainly in body language, and they feel respect as a customer because they perceive the service to focus on me. Type 3 is a 'Visual Amenity-oriented’ type of customer. This type of customer is orient​ed toward the services shown in nonverbal communication. They think physical languages are the most important and they place importance on facial expression among body languages. They are also a type who avoids deep communication with service employees and are characterized by a more protective attitude due to placing more importance on the environment of dining with accompanying people. The commonality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s was that it was expressed and recognized as a criterion for service quality value. Service employee communicated nonverbal, providing services to customer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of value pursued as the quality of service. Customers have developed the quality of service value they seek as they recognize it as a clue and experience the message of service employees in the area that they see and feel while receiving the service from the employees in the restaurant. The big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s was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on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both, despite the same situation. The customer is the primary target for the communication of the service employee. However, there is the difference that the accompanying party was the primary target of the customer, and the service personnel is left off from 1:1 communication as the second target. It developed Q-Tool and surveyed to identify the general distribution of the type as follows: The distribution size of nonverbal communication types of service employees was most common with type 2 'utilizing good sense to manage the mood,' followed by type 4 'trust- maintenance -oriented,' type 1 'friendly service oriented', type 5 'service attitude oriented' and type 3 'professional service oriented.’ The results of a review of the typ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among service employe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icated that the types of percep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among service employees wer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age, experience, income level, customer transaction, and education level of respondents. However, differences in type by gender were not significant. In the customer group, type 1 'fine service oriented'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ype 2 'professional service oriented,' type 3 'Visual Amenity-oriented,' but was not meaningful in demographics. Comparisons of perception in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s both represent a positive average score above the average, but a lower average score of customer perception compared to that of service employee, indicating room for improvement. Based on this, it presented a strategy for quality management of nonverbal communication service in fine dining restaurant. Based on the result type of Q methodology presented by employees and customers, it was proposed as a way to present a strategy for deploying service types that are appropriate by the tendency by applying service employees' types of service quality perception to customers' one. First, who is the target? Second, what is the target's request? Third, what can we do for them? Appropriate types of service employees were arranged for each type as a problem-solving method for them. The perception of current service workers was reflected in the fact that they received and utilized subjective statements of service employees through specific interviews utilizing Q methodology as the subjectivity research method. We also foun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ach other because the process of surveying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s has become dualized. It is meaningful that we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define the concept of non-verbal communication through comparison. Using this system, high-quality services specialized in service quality management can be developed. The merging methodology study was also meaningful in a methodological way since it was possible to study the relevance of common factors by developing an assessment tool to see how much the types found were distributed. The type of service employee allocation by customer type can represent response strategy information based on the tendency when establishing a service strategy and implement high-quality services that improved in typical and one-way human services. The discovery of the type of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s indicated a subjective practical perception of each party's position. Based on this perception, it will be able to provide higher quality services if service education is conducted regularly. However, it was partly an achievement that the Q methodology was used to discover the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s,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n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and incorporate it into the R study perspective, but​, it only compared simpl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on the R method, in which each type of feature can be established as a hypothesis to verify the impact relationship with a wider variety of variables. There will result in more specific Gap results if they measure and compare expectations as well as the percep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when presenting each other's perception in comparisons of perception between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s. And since it was designed to compare the types of service employees and customers in the restaurant, communication was focused on human factors. However, if the factor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re included together, it will help develop the service strategy of the overall restaurant as well as human services. 외식산업의 발달로 외식문화가 우리 생활에 깊이 자리 잡았다. 외식의 빈도수가 늘어감으로써 외식 소비자는 다양한 외식의 형태를 접할 기회가 많아져 요구 수준 또한 높아지고 있다. 맛과 서비스를 즐기기 위해 고단가의 식사비도 아낌없이 지출을 하기도 한다.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은 고급 외식군에 속하는 레스토랑 형태로써 고객은 레스토랑 방문을 통해 레스토랑의 맛에 경험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더 나아가 분위기나 브랜드, 동행하는 고객들 그리고 고급 인적 서비스 등 다양한 경험을 한다. 그래서 일반 레스토랑 보다는 기대감이 큰 프리미엄 레스토랑 형태로 인식되고 있다.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에서 인적 커뮤니케이션은 고객의 만족과 불만족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중 하나이다. 고객과 접촉하는 접점에서 서비스 종사원이 전달하는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제공, 구매유도, 지식 등 모든 것은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전달된다. 그 중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은 언어를 제외한 다른 비언어 방법을 통해서 양방향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구분은 외양언어, 신체언어, 의사언어, 공간언어로 구분하고 있다.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에서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고객과 서비스 종사원의 상호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 해석의 오류로 인하여 서비스 실패나 고객 불만족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고객 만족을 위해 하는 서비스 종사원의 준비된 또는 교육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고객이 느끼기에는 불쾌하거나 불필요한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로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의 서비스 접점인 서비스 인카운터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중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고객과 서비스 종사원의 주관적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인간이 갖고 있는 가치나 신념 등의 개인 주관성을 다루고 측정하는데 효과적인 방법론인 Q방법론을 적용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유형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품질관리 전략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받고자 부수적인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서로 다른 연구 방법론을 병합하는 병합방법론을 활용 하였다. 이를 위해 Q-tool 연구 가설 사정도구를 만들어 서베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서비스 종사원과 고객의 인식 유형별 분포 크기 및 서비스 종사원 집단과 고객 집단의 인식을 비교를 하고 의미성을 고찰하였다. Q방법론을 이용하여 살펴본 서비스 종사자와 고객 인식 유형의 연구 결과서비스 종사원은 5개의 유형, 이용고객은 3개의 유형으로 발견되었는데 각각의 유형들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으로 받아들여졌고 각 집단 간의 관점으로 독특한 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우선 종사원 유형을 살펴보면 제 1유형은 ‘친절한 서비스 지향형’ 이다. 비언어적인 요소 중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 성향으로 진정성에 기반을 두고 나오는 친절한 태도와 자세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이다. 특히 친절성을 신체언어와 유사언어로써 전달하려고 한다. 제 2유형은 ‘센스 있는 분위기 조절형’ 이다.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를 하면서도 고객과의 밀착된 서비스 느낌보단 다소 거리를 두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추구하는 유형이다. 친절성을 갖고 있으나 일방적인 서비스로 불편을 끼칠 부분을 염려하는 스타일이다. 그래서 이들은 고객 상황을 고려를 하여 센스를 발휘하는 유형이다. 제 3유형은 ‘전문가적 서비스 추구형’이다. 이들은 핵심 상품을 중심으로 한 신체언어와 유사언어인 전문적인 말투, 전문적인 제스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한 시각적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전달하는 서비스 품질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점이 특징 이였다. 제 4유형은‘신뢰감 유지형’으로 시각적으로 서비스 종사원의 신체언어인 행동과 자세 태도 등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 신뢰감을 유지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고객과의 동등한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요구하는 성향이 강하다. 그리고 단순 서비스 공간이기보단 추억할 수 있는 곳으로 생각하고 말보단 행동으로 보여주는 성실성이 보여지는 유형이기도 하다 제 5유형은 ‘서비스 애티튜드 중심형’이다. 신체언어인 얼굴 표정에 미소를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의미있게 생각하는 유형이다. 그리고 외양언어의 외모에 대한 부분을 중요시하며 신체 언어에서도 행동과 자세로 친절함을 표현하고 외양언어에서 주는 깔끔함과 차분함을 추구하는 유형이다. 다음은 고객 인식 유형별 특징에 관한 내용이다. 제 1유형은 ‘파인 서비스 지향형’이다. 다양한 목적으로 레스토랑을 이용하면서 고비용을 소비함으로써 갖게 되는 기대감이 높은 수준을 갖고 있다. “파인 다이닝 이라고 칭하려면 고품질 서비스가 제공 되어야 한다” 는 일반 레스토랑과는 차별된 높은 서비스 품질 인식을 갖고 있는 유형이다. 제 2유형은 ‘프로페셔널리티 서비스 지향형’이다. 레스토랑에서 서비스 종사원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 신체언어인 제스처와 적극적인 자세를 통해 전문성적인 서비스를 지향하는 유형이다. 신체언어에서 주로 서비스 품질을 느끼는 유형이며 나에게 집중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고객으로써 존중감을 느낀다. 제 3유형은 ‘비주얼 어메니티 지향형’이다.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 보여지는 부분에 서비스를 지향 한다. 외양언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신체언어 중에서 표정에서 중요도를 두고 있다. 서비스 종사원과의 깊은 커뮤니케이션을 기피하는 유형으로 본인과 동행인과 함께하는 식사 분위기를 보다 중요시하여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비스 종사원과 고객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공통점은 서비스 품질가치 기준로써 표현되고 인식을 한다는 것이였다. 서비스 종사원들은 서비스 품질에 대한 추구하는 가치를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었다. 고객은 레스토랑에서 종사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 받으면서 보이고 느끼는 부분을 단서로 서비스 품질을 인식하고 서비스 종사원들의 메시지를 경험하게 되면서 추구하는 서비스 품질가치를 형성 하였다. 서비스 종사원과 고객의 인식의 큰 차이점은 같은 상황을 보면서도 서비스 종사원과 고객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관점 차이가 컸다. 서비스 종사원의 커뮤니케이션 대상으로 고객은 제1의 대상이였지만, 반면에 고객은 같이 동행한 일행이 제1의 대상이고 서비스 종사원은 제2의 대상으로 1:1 커뮤니케이션에서 벗어나는 점이 차이점 이였다. 다음은 유형의 일반적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Q-Tool을 개발하여 서베이 조사하였다. 서비스 종사원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분포크기는 제 2유형 ‘센스 있는 분위기 조절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제 4유형 ‘신뢰감 유지형’, 제 1유형 ‘친절한 서비스 지향형’, 제 5유형 ‘서비스 애티튜드 중심형’, 제 3유형 ‘전문가적 서비스 추구형’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종사원들의 인식유형을 살펴 본 결과는 서비스 종사원들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인식 유형은 응답자들의 나이, 경력, 소득수준, 객 단가, 교육수준의 따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유형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고객집단에서는 제 1유형 ‘파인 서비스 지향형’이 가장 높았고 제 2유형 ‘프로페셔널리티 서비스 지향형’ 제 3유형 ‘비주얼 어메니티 지향형’순 으로 나타났으나 인구 통계학적으로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서비스 종사원과 고객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인식 비교는 모두 보통이상의 긍정적인 평균 점수가 나왔으나 서비스 종사원의 인식에 비해 고객인식 평균 점수가 낮음으로써 개선의 여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바탕으로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품질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종사원과 고객에게서 나온 Q방법론 유형결과를 바탕으로 고객의 서비스 품질 인식 유형에 서비스 종사원 유형을 대응시키게 함으로써 성향별 적합한 서비스 유형 배치 전략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대상이 누구인가? 둘째, 대상이 요구하는 내용이 무엇인가? 셋째, 그들에게 우리는 무엇을 해 줄 수 있는가? 에 대한 문제해결 방식으로 유형별로 적절한 종사원 유형을 배치하였다.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한 구체적인 인터뷰를 통해서 서비스 종사원의 주관적 진술을 받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현재 서비스 종사자들의 인식이 반영되었다. 또한 서비스 종사원과 고객에 대한 설문과정이 이원화 되었기 때문에 서로의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비교를 통하여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념을 새로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이를 활용하여 서비스 품질 관리면에서 전문화된 고품질의 서비스를 개발 할 수 있다. 또한 병합방법론 연구는 발견된 유형들이 실제 어느 정도 분포하는지를 알아보는 사정도구를 개발하여 일반적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가능하여 방법론적 의의가 있었다. 고객 유형별로 서비스 종사원의 유형 배치는 서비스 전략을 세울 때 성향에 따른 대응전략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형식적이고 일방적인 인적서비스에서 개선된 모습의 고픔질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각 서비스 종사원과 고객의 유형발견은 각 입장의 주관적인 현실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서비스 교육이 정기적으로 이뤄진다면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Q방법론을 이용하여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종사원과 고객의 심층적인 주관적 인식 유형을 발견하고 특성을 고찰 한 후 사정도구를 만들어 R 연구의 관점으로 접목 시켰다는 점이 일부 성과였으나 단순 빈도 분석과 기술 통계량 비교에 그쳤다. 향후 각 유형의 특징을 가설로 설정 하여 좀 더 다양한 변인들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R 방법의 후속 연구가 진행 되어지길 바란다. 서비스 종사원과 고객의 인식 비교에서는 서로의 인식을 나타낼 때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기대치도 함께 측정하여 비교를 한다면 좀 더 구체적인 Gap차이 결과가 나올 것이다. 그리고 레스토랑의 서비스종사원과 고객의 인식유형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였기 때문에 인적요소에 커뮤니케이션 위주로 진행되었으나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의 요소도 함께 포함하여 구분을 한다면 인적 서비스 뿐 아니라 전반적인 레스토랑의 서비스 전략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of the Risk Communicator Style Scale and the Risk Knowledge Index

        Wrench, Jason Steven West Virginia University 2002 해외박사(DDOD)

        RANK : 2878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lack of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area of risk communication.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nd then validate two different scales that could be used for future research in the area of risk communication. The first scale created in this study is the Risk Communicator Style Scale. The scale is based on the technical and democratic models of risk communication described by Fiorino (1989). This study found a conceptual problem with Fiorino's original conceptualization of technical risk communication. Fiorino's original conceptualization of technical communication tried to equate the use of scientific and statistical information with low affective instruction. While this study did not find validity for Fiorino's conceptualization of technical risk communication, the study does conclude that the technical factor created in this study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measuring the extent a risk communicator uses scientific and statistical information during risk communication. Once the correction had been made, the two-factor instrument was then correlated with an individual's belief that a risk was harmful, risk communicator immediacy, risk communicator clarity, risk communication apprehension, receiv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risk communicator credibility. The second scale created in this study is the Risk Knowledge Index, which examines an individual's perceived knowledge about a specific risk situation. This single-factor scale was correlated with an individual's belief that a risk was harmful, risk communicator immediacy, risk communicator clarity, risk communication apprehension, receiv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risk communicator credibility.

      • 임상연구 코디네이터의 커뮤니케이션 : 교육방안제안

        이희정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878

        In the hospital, there are various situation and problem of performing medical treatment and nursing that leads to difficult communication. this study that will be analyzed and confirmed specific communication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by interview of narrative method in conducting clinical trial. as a result of this study,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is the center of communication in clinical trial and has important three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patient․their family member, principal investigator․clinical research associate and other department of hospital. therefore, effective and proper communication are needed for conducting and managing for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also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recogniz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for performing clinical trial that affects to keeping well management and maintaining of quality and process. most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expect that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will be changed for more practicing and applying to real task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program is to deal with various and real situations. this capstone propose an example that it is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guide book of reflecting various and real situations of clinical trial due to interview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also this subject that will be contributed to make and research other communication educations and programs.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range analysis for landslide monitor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Jung, Sunghwa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876

        In this study, an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wireless sensor network (WSN) system was proposed for the efficient and rational landslide monitoring. The WSN system consists of a sensor node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 gateway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web server. To invetigate the practical relationship between connectivity of network device and mountain topography, the communication range analysis considering wide area of mountain slope terrain for the arranegement method was conducted. The emphasis was on classifying the chang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defined by slope angle, tree density, weather, and radio interference considering various factors of wave propagation. In order to create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 two natural slope test beds (Mt. Ansan, Mt. Kuryongsan) and two man-made slope test beds (Giljung reservoir, Yonsei University) were built to conduct a series of experimental tests. A series of process were conducted so that special attentions were proposed for detailed constructing method of WSN for landslide monitoring. For the selection of the measurement area, stability analysis of mountain slope was carried out through YS-Slope model (Jeong, 2014), using the mechanism of landslide occurrence by rainfall. It is shown that the communication range is mainly affected by slope angle and tree density. In case of slope angle, the communication range is reduced by maximum 45% compared to horizontal surface. And a simple method was proposed for determining communication range. As a result, quantitative and scientific optimal arrangement method was proposed by using results of experimental tests and landslide stability analysis model, YS-Slope (Jeong et al., 2014). Especially, essential measurement points were derived by using analysis results, and set as the measurement area. It is found that, to place the network devices optimally, the mesh topology is highly applicable for mountain area which has quite complex terrain. For verifying proposed method, the application of method was performed on practical target area. From the verifying results, data collecting rate obtained from the WSN system was stable (more than 95%), and applicability for actual field was also verified. Finally, it is also found that proposed method has more efficiency than conventional method. 본 연구에서는 산지사면에 대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Wireless Sensor Network, WSN) 시스템의 고도화된 구축 방법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산지사면에 WSN시스템 구축 시 정량적이고 합리적인 배치를 위한 최적 배치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WSN 장비의 경우, 저전력 기반의 Zigbee 통신 모듈을 사용하였다. 본 모듈의 경우 2.4GHz 대역폭의 고주파를 사용하므로 전파의 파장이 짧고, 직진성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사면을 구성하는 지형상의 경사, 임목밀도, 전파간섭, 호핑 횟수 그리고 날씨 총 5가지를 전파전달의 영향인자로 선정하였고, 2개소의 자연사면 및 2개소의 인공사면을 포함한 총 4개소의 테스트 베드를 운영하여 통신 가시거리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영향인자를 바탕으로 각 테스트 베드의 특성에 맞는 실험을 수행하였고, 영향인자별 통신가시거리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수행된 실험결과, 통신 가시거리의 영향인자를 고려하였을 때 평지에서 수행한 실험결과에 비해, 사면의 경사도를 고려 시 통신 가시거리가 최대 45%, 임목밀도 고려 시 최대 35%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통신 가시거리는 다양한 영향인자 중 사면의 경사도와 임목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대상 산지에 대한 통신 가시거리를 산정하는 간편식을 제안하였다. 통신 가시거리 에 대한 실험결과를 활용한 GIS 기반의 통신 음영지역 분석 (Viewshed analysis)을 수행하였고, 분석 결과를 통해 광역적 지형에 대한 적절한 메쉬 타입 (Mesh type) 의 네트워크 장비배치와 소요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축방법을 바탕으로, 기존의 WSN 구축지역과 비교를 통한 효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구축된 시스템 상, 각 노드에서 계측된 데이터의 수집율이 95% 이상으로 안정적인 통신 상태를 유지하였다. 또한, 동일한 모니터링 지역에 대하여 WSN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운영 상의 비용절감 효과를 나타냈고, 보다 더 많은 계측지점을 운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셀룰러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단말간 직접통신을 위한 효율적인 콘텐츠 분배기법 : Efficient Content Distribution Method for Multi-Device-to-Multi-Devic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유동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875

        Recently, multimedia contents traffic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spread of smart media devices. It causes serious burden on a cellular network (CN) and a base station (BS). The increasing demand for the multimedia contents requires new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can be a solution for wireless multimedia contents distribution and contents sharing without burdening on BS.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local services may utilize mobile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instead of central server based communication for improved multimedia services. In this paper, as an extension of the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we propose multi-device-to-multi-device (MD2MD) communications based on a CN for an efficient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and multimedia content sharing. We find that the hybrid space-time block codes and spatial multiplexing (hybrid STBC-SM) scheme is an efficient transmission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arest-first algorithm which is popular content distribution algorithm in a peer-to-peer communication. We propose a signal construction set of multiple devices using the hybrid STBC-SM transmission scheme. The hybrid STBC-SM provides diversity gain and spatial multiplexing gain in a MD2MD communication systems. Performance results show that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receivers of MD2MD communication in a CN achieve not only improved bit error rate (BER) performance but also higher data rate and even effective throughput.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의 보급의 확산으로 인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트래픽으로 인해 셀룰러 통신망과 기지국의 과부하가 심해지면서 새로운 무선전송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그 중 기지국의 과부하를 줄이면서 콘텐츠의 분배 및 공유를 위해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은 기존의 중앙서버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과는 달리 모바일 P2P 통신과 같은 향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의 장점인 물리적 근접성을 통한 효과적인 콘텐츠의 분배의 장점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이를 확장하여 셀룰러 기반의 MD2MD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셀룰러 기반의 MD2MD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실질적으로 콘텐츠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전송기법들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세 가지의 전송기법은 Hybrid STBC-SM 기법, STBC 기법 그리고 SM 기법이다. 우리는 이 세 가지의 전송기법들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심볼 선택 전략으로 잘 알려진 rarest-first algorithm을 최대한으로 만족하는 하나의 전송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구성된 셀룰러 기반의 MD2MD 네트워크상에서 콘텐츠들의 효과적인 분배에만 중점을 두기 위하여 D2D 및 MD2MD 유저들에게 전용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여 어떠한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가정하였다. 셀룰러 기반의 MD2MD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rarest-first algorithm을 만족하는 전송기법을 찾은 후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하여 본 기법이 다른 나머지 두 가지의 기법에 비해서 향상된 데이터율 뿐만 아니라 비트오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A) deep learning framework for modeling autonomous vehicles' driving behavior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이은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박사

        RANK : 2875

        As the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has advanced, interest in vehicle driving systems such as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autonomous vehicle(AV)’s driving behaviors has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it has become easier to investigate vehicle trajectory data obtained by drones in recent years. Therefore, applying vehicle trajectory data to microscopic traffic models would help to conduct research related to V2V communication and AVs. The previous studies of car-following (CF) and lane-changing (LC) models in microscopic traffic models have been conducted separately. Few studies have considered these two models within the same framework despite the fact that the CF and LC driving behaviors interact with each other. Moreover, the informal causal relationship of driving behaviors has been interpreted unclearly with standardized formula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ocess more accurately for identifying the CF and LC driving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tegrated CF-LC model that predicts the acceleration and the driving lane of every single vehicle based on V2V communication.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put variables for both CF and LC behaviors have been integrated as V2V communication variables. The V2V input variables have been built 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A total of 34 variables includ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have been processed. Second, the trajectory of every single vehicle has been predicted in both time and space dimensions, so that precise traffic analysis could be implemented. Third, a data-driven deep learning method has been adopted to identify the informal causal relationship of driving behavior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has been validated by using field trajectory data obtained from Next Generation Simulation (NGSIM) provided by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Ten minutes of NGSIM data with 1,610 vehicles traveled on the freeway weaving section have been predicted for every 0.1 second. The validation results have shown that model’s predictions are good enough for describing the vehicle driving behaviors, in term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time-space trajectory diagram of the vehicles has been evaluat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a total of 13 indicators (e.g., acceleration, positions of LC implementation, fundamental diagrams of traffic flow) with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CF behaviors, LC behaviors, and traffic flows. Moreover, changes in traffic flows have been analyzed when the proportion of AVs has increased from 0 to 100%.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 charge of comfortable AV driving behaviors has been set to perform with the restricted rapid acceleration rate ranging from -2 to 2 m/s3. Vehicle trajectories of AV Level 5 have been predicted by mounting the ECUs on arbitrary vehicle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a total of 12 indicators (e.g., asymmetric driving behaviors, frequency of LC implementation, time-to-collision) have been evaluated. The traffic condition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as the proportion of AV has increased. This dissertation would serve as valuable information in developing the AV’s driving behavior based on V2V communication. This study has integrated the CF and LC models and verified the availability of V2V communication. A data-driven deep learning method has been applied and the microscopic traffic model that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causal relationship of driving behaviors has been developed. The integrated model would be applicable to simulation analysis under various traffic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