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韓國 類書의 書誌學的 硏究

        김영선 中央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東洋의 고유한 百科事典類라 할 수 있는 類書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을 밝혔다. 첫째, 중국 類書는 高麗時代 4종, 朝鮮時代 56종이 수입되어, 우리나라에서 校勘의 과정을 거쳐 활용하였으며, 朝鮮時代에는 15종을 복각하였다. 수입된 中國 類書 중 12종은 朝廷의 정책 결정과정에 활용되었다. 둘째, 書目에서 類書類의 類門은 대부분 子部에 속한 類門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朝鮮時代의 {晩齋藏書記}, 日帝時代의 {李王家圖書室藏書目錄}, 현대의 {高麗大學校 漢籍目錄} 등은 子部에서 독립된 별개 類門으로 설정하였다. 반면에 {洪氏讀書錄}은 子部에 속한 類門의 하위항목으로 類書類를 설정하였다. 類書類 類門의 명칭은 {鏤板考}에서 처음으로 類書類가 사용되었으며, 중국의 서목에서 나타나지 않는 類聚類와 抄集類의 명칭이 한국의 고유한 명칭으로 쓰였다. 세째, 類書는 분류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朝鮮時代의 書目에서는 典章類, 諸子類, 字書類, 經濟類, 儒家類, 雜家類, 小學類, 說家類, 掌故類, 六書類, 抄冊部, 雜書部, 雜史類, 正書類, 別史類 등의 類門에 수록되기도 하였고, 日帝時代의 書目에서는 總經類, 野乘類, 記錄類, 儒家類, 隨錄類, 農家類, 叢書雜書類 등의 類門에 분류되기도 하였다. 네째, 韓國 撰述 類書로 조사된 148종은 대부분이 私撰書籍이며, 單冊으로 편찬된 것이 46%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編著者가 밝혀진 類書는 전체의 26%인 39종이며, 編撰 시기가 밝혀진 類書는 17%인 25종뿐이어서 상당수의 類書는 편찬에 관한 사항을 알 수 없다. 韓國 撰述 類書를 용도별로 나누면 一般 檢索用 類書 72종, 詩文 取材用 類書 52종, 科擧 試驗用 類書 5종, 童蒙 敎材用 類書 7종, 日常 參考用 類書가 12종으로 나타난다. 다섯째, 類書의 版種을 구분한 결과 筆寫本이 126종, 木板本이 14종, 金屬活字本 4종, 木活字本이 11종, 匏活字本 1종, 新鉛活字本 2종으로 나타난다. 유서를 편찬한 후 곧바로 간행된 것은 매우 드물며 상당한 기간이 흘러 간행된 것도 많고, 일단 한번 간행된 것은 수차 중복하여 간행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여섯째, 대부분의 類別 類書는 天地人의 三才와 周禮의 職掌 분문 방식인 六典을 기본으로 類門을 나누었으며, 乾道門과 坤道門의 대립 구도로 나눈 것은 소수이다. 초기의 類書 편찬은 자료의 집성에 중점을 두었지만, 18세기 말 청조고증학을 받아들인 북학파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類書는 고증을 통해 사실여부를 밝히려는 변화를 보여준다.

      • 橘山 李裕元의 學問 性向과 類書ㆍ筆記 編纂에 관한 硏究

        권진옥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박사

        RANK : 1917

        본 논문은 19세기 문인지식인이었던 橘山 李裕元(1814-1888)의 학문을 고구하고, 그 학문을 바탕으로 한 類書 및 筆記 編纂에 대한 硏究를 목적으로 하였다. 그는 家學을 바탕으로 국내외의 지식인들과 활발한 학술 교유를 가졌으며, 당대의 학술 조류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다양한 학문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 결과 다양한 유서 및 필기를 편찬하여 사적인 지식 추구는 물론 공적인 지식 공유를 이루어내었다. 이유원의 학문 세계를 조망하는 노력은 그의 학문적 성취를 평가하고 19세기 학술사의 또 다른 지점을 포착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이유원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정치사적, 문화사적 방면에서 축적된 성과에 비해, 그의 학문 태도를 위시한 성과와 평가에 대해서는 비교적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의 가학과 사승 관계, 국내외 지식인들과의 교유를 통한 학문적 토대, 학문의 성향, 저술 활동에까지 연구가 진척된다면 여타 인물상과 아울러 학자적 면모까지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19세기는 지식의 홍수라고 할 만큼 방대한 문헌이 수입되고 또 자생하였다. 또한 청나라 및 일본의 지식인들과의 교유로 인해 상호간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 지식인들은 각자 나름의 방식으로 방대한 지식을 정리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즉 類書와 叢書의 편찬이다. 이 당시 대표적 경화세족이었던 豊山 洪氏 가문과 達城 徐氏 가문, 朴趾源과 연암그룹, 金正喜, 李圭景 등은 자신의 기호에 따라 방대한 자료를 섭렵하여 지식을 정리화하고 체계화하는 데 몰두하였다. 그 결과 고증학 방법론을 차용한 箚記體 필기, 각종 유서와 총서의 기획 및 편찬 등의 성과를 남기게 된다. 이유원은 이러한 학풍의 계열에서 시기적으로 말미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유원은 家學으로서 부친인 李啓朝와 조부인 李錫奎, 외삼촌이었던 朴綺壽 등으로부터 박학을 위한 물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학문과 문학 방면에서는 鄭元容, 徐有榘, 尹定鉉, 申緯 등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외에도 이유원은 노론계 경화사족 지식인들뿐만 아니라 소론계 경화사족 지식인들과도 폭넓게 교유를 맺고 있었다. 또한 구한말의 장서가였던 金世均과도 친한 동료 사이였고, 당대 시문으로도 유명했던 역관 卞鍾運, 卞元圭 등과도 가까운 사이였다. 한편, 국외적으로도 청대 지식인과의 직간접적인 교유를 통해 이유원은 중국인과의 폭넓은 관계를 유지하였고 자연스럽게 청대의 학풍을 접할 수 있었다. 이유원이 박학을 통한 방대한 저술이 있기 된 요인으로, 이렇듯 집안의 장서와 국내외적으로 증여를 받은 각종의 문헌 자료가 중요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유원은 젊은 시절부터 만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저술 편력을 보이고 있다. 저술의 성격으로 구분해 보면, 시문집인 『嘉梧稿略』, 『橘山文稿』, 각종의 유서 및 필기 『林下筆記』, 『體論類編』, 『國朝謨訓』, 『沙礦零金』, 『諸子百雋』, 『戰國策節要』, 『榴夏瑣錄』, 연행록인 『乘槎日錄』, 산수유기 『楓嶽卷』, 『伊珍避暑錄』, 서예금석학 저술 『漢隷䕺薈』, 일기류인 『晩香編』, 중국 사우들과의 간첩 자료 『古簡』, 집안의 家乘 자료인 『李氏金石錄』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종수와 내용면에 있어서 그가 유서 편찬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이유원의 학문 성향에서 주목할 만한 것들은 첫째는 箚記를 바탕으로 한 저술 활동, 둘째는 異字考를 위시한 문헌교감학, 셋째는 박학의 추구와 서예금석학이다. 아울러, 이러한 그의 학문 성향과 연계하여, 그가 전 생애에 걸쳐 편찬한 유서 및 필기를 구체적으로 조명하였다. 일정한 주제 의식 하에서 자료를 모으고, 정리하고, 체계화하는 학문 방법론으로서 유서 편찬은, 방대한 물적 자료와 지속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유원에 있어서 유서의 편찬은 『체론류편』과 『국조모훈』을 저술한 젊은 시기부터 『임하필기』을 완성한 만년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진행되었으니, 그에 있어서 이러한 저술 활동은 평생의 업이라 지칭해도 무방할 듯하다. 역사 관련 유서인 『체론류편』은 방대한 지식을 부문과 조목으로 구별하여 관련 정보를 집적하는 학문 태도를 본격적으로 드러낸 자료라 할 수 있는데, 처음으로 이유원이 자신의 지식 창고를 만들려고 시도한 결과라 하겠다. 제왕학 관련 유서인 『국조모훈』은 『체론류편』과 거의 동시에 진행되었는데, 비록 제왕학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자신의 관심 분야에서는 기민하게 대응하여 관련 지식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학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은 『체론류편』과 마찬가지이다. 이유원의 『임하필기』는 변증적 필기 저술로서, 그의 학문 성향을 잘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 1872년에 일차적으로 정리가 되었고 이후 10여 년간의 추가 작업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1884년에 완성되었다. 현전하는 『임하필기』는 필사본 2종으로 확인이 되는데, 규장각 소장본과 미국 버클리대 동아시아도서관 소장본이 그것이다. 『임하필기』 소재 여러 편들에 대해서는, 우선 편 하나가 온전히 유서의 형태를 보여주는 것들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필기 형태로 저술된 편에 대해서는 案說를 위시한 고증과 변증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유원은 기존 자료를 충실히 인용하면서 비판적인 식견이나 구체적인 명증보다는 개인의 경험이나 견문을 통해 기존 정보를 확충하고 보완하는 방식으로 명물을 변증하였다. 『임하필기』에서 고증하고 변증하는 案說은 대체로 지리, 명물, 서예금석학 방면에 치중하고 있다. 이유원이 편찬한 각종 유서와 『임하필기』의 특징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으로서 매우 다양한 분야의 유서를 각각의 책으로 남기고 있다. 당시에 학문적으로 몇 세대에 걸쳐 성립된 가학의 토대 위에서, 자료와 지식을 축적하고 망라하여 대를 이어 연찬한 경우와는 달리 이유원은 한 개인의 노력과 결실로서 이처럼 많은 유서들을 남기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이유원은 확고한 주제의식 하에 각각의 유서들을 편찬하되, 필요에 따라 주제와 관련된 서적을 두루 참고하여 방증하기도 하고 하나의 텍스트에 집중하여 전편의 요지를 개괄하기도 하였다. 이유원은 유서를 편찬할 때, 그것이 성립된 환경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엮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이유원은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주된 목적은 공공과 실용이었다. 『임하필기』를 두고 총평한 본인과 다른 학자들 역시 이러한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일용행사에 대한 공적인 차원의 담론이라는 평, 경전, 역사서, 시문, 언행, 전장, 패설, 병법, 명물도수 등에 이르는 고증서라는 평을 보더라도 사적인 관심과 표명이 아닌 어디까지나 공공을 위한 지식과 정보의 제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 세대에게 지식 백과사전의 실용서를 제공하고자 했다.

      • 碑誌·哀詞 및 遺書類 硏究 : 특히 한글 遺書類를 中心으로

        권호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박사

        RANK : 1917

        In Ancient literature there has been partly and sporadic research about the genres which deal with the death of the writers or others as direct materials, so the general study of it remains incomplete. Accordingly, In this thesis I have attempted to deal with 'Beizhi,' 'requiem,' and 'testament of will' in order to find out and arrange the features of external representation of death and the attitudes of awakening about it systematically more concretely and generally. First of all, in the case of 'Beizhi,' 'Requiem,' and 'Testament of will' it matters whether they are valuable as literary works by achieving a certain artistic level or not. In regard to this subject, not a little study has been done until now only to prove the problem, so I try to examine 'Myaozhimyong' as a representative genre which is spread in many works of 'Beizhi' and 'Requiem.' By doing so, I could confirm that many works have been made persistently in our country as well as in China. In fact, testaments of will has been discussed about only a few works generally without concrete approach. In this thesis, I could conclude, by concentrating on this point, as follows. 'Testaments of will'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of 'Beizhi' and 'Requiem.' However, they are different in the point that the one was writen ahead of his or her own death and the other was written over others' death. The works of 'Beizhi' and 'Requiem' mainly were written to show admiration and sadness over dead person, while testaments of will expressed the writers' tragic destiny by which they were forced to die. Testaments of will appeared with the backgrounds of certain periods such as prosperity of 'Hangul' in women's rooms, the law to continue generations, admiration toward ancestors and faithful obedience of women which can be regarded as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of Confucianism and people's custom. The previous works were written in Chinese which was not open to women. Therefore, most of women had no means to express their own views except a few women. After creation of Korean letters, translation in Korean appeared so as to perform political teaching, then it came to be popular among women of royal and noble families. At first, they were used in practical purpose such as Korean letter, then developed into works to express inner mind and to report facts. Thus these trends heightened women's capability to compose in Korean to write their views easily. Testaments of will is one of those creative activities. The governing principle of society in those days was based on firm Confucianism. Women, under this thoughts, had to play the greatest role to continue the rite toward their ancestors. Especially, supporting their parents and obeying their husbands were emphasized and the concept of women's submission to their husbands came to be common. So, in the extreme case, women's dying after their husbands' death was supported politically. The testaments of will are the products of this concept. If this was external background, the God, the object to which women repented their fate, forcing them to die, was situated as inner background. The moment of women's death was determined by the rate whether they gave more stress to sincerity to their husband, by which they killing themselves after their husbands, or to filial piety which emphasized the continuity of rite toward ancestors. Sincerity to husbands lead the women to die before husbands' death for getting buried together, while filian piety to die after achieving descendants. Before committing suicide, they experienced the process of conflict such as doubt of human existence and futility of death, then they dared to killing themselves, leaving their wills in their belief that death be their fate and women follow their husbands' death. Following one's huband's death cannot be common. Even though It cannot be understood in the viewpoint of modern value, their faithfulness to their own belief should be considered as noble. However, this is tragic in the universal point of view. Thus the testaments of will let us feel beauty of noblety and tragic resolution. The works of 'Beizhi,' 'Requiem,' and 'Testaments of Will' are by no means trivial in their rates in Korean literature. 'Beizhi' can be included in biographical literature in its form and content, and 'Testament of will' shows many biographical elements In that they deal with one's whole life and has anecdotal characteristics. Also, they should be categorized in the range of essay because they were not limited in individual statement of inner minds or her individual life. In this point, translation in Korean and letters written in Korean played an important role. Comparing the testaments of will with previous poems related with death directly, they are different in their attitude toward life. Particularly, the'Widowers'Poems'and'Wives'Songs'show their wish to leave secular world or to meet another husband for living together until death, while testaments of will confess their minds to rush toward death consistently. The upper 'Beizhi,' 'Requiem,' and 'Testaments of will' can be said to be the products of uncommon troubles of life. The death of associates, family members or young husband make human-beings original doubts of life. And that must be a kind of unbearable situation. The more positively the testaments of will accept the situation full of troubles, the higher the level of literal works' achievement should be.

      • 趙在三의 『松南雜識』 硏究

        양영옥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916

        본고는 趙在三(1808~1866)이 편찬한 『松南雜識』의 백과전서적 類書로서의 성격에 주목하여, 이 저서의 서술방식과 구성내용을 통해 19세기 지식사에서 『송남잡지』의 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재삼은 학계에 거의 알려진 바가 없는 인물로 벼슬에 나간 적이 없는 재야의 학자이다. 『林川趙氏世譜』와 『송남잡지』의 내용을 통해 추적해 본 결과, 임천 조씨 가문은 대대로 명망 높은 인물들을 배출하였고, 조재삼의 학문은 이러한 가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집안의 혼인 관계를 통해 형성된 학풍은 조재삼에게 이어져 小論·小北계 지식인 그룹과의 영향 관계가 확인된다. 『송남잡지』는 조선조 유서의 전통과 발달 과정 속에서 성립되었다. 중국에서 기원한 유서는 송대 이후 대규모의 간행과 보급이 가능해지면서 본격적으로 편찬되었고, 조선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유서가 편찬되었다. 유서는 경사자집의 각종 서적에서 자료를 채록하여 역사 사실, 시문 전고, 박물지리 등 다양한 자료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대에 실전된 서적들의 자료를 집록할 수 있어 전대 유서의 다양한 내용과 형식을 계승하며 발전을 거듭해왔다. 『송남잡지』는 전대의 다양한 저술에서 선별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된 지식을 생성해내고 있다. 특히, 중국 문헌을 인용한 양상을 통해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전대의 유서와 총집을 통해 방대한 문헌을 집록하여 문학 공구서의 역할에 충실할 뿐만 아니라 문헌의 집대성을 이루고 있다. 둘째, 언어·문자와 관련된 소학류의 사전에 해당하는 서적들을 활용하여 물명류 저술들에서 보이는 어휘사전적인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잡가류와 소설가류에 해당하는 서적들을 선별하여 견문학과 박물지리학을 두루 담아내고 있는 필기적 특성을 보여준다. 『송남잡지』에서는 유서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箚記의 방식으로 지식을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탄생시켰다. 즉, 여러 서적들에서 해당 항목과 관련된 사항들을 뽑아 저자가 서술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순서대로 배치하여 하나의 항목을 완성하는 것이다. 또한, 문학 작품을 제시하여 문학적 효용을 추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조재삼은 詩料, 즉 시의 재료에 관심을 가지고 시 작품을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아울러 조선 후기 창작 시화에 보이는 풍속시나 사물시 등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어 이를 통해 사물현상과 생활문화를 이해하려는 태도를 볼 수 있다. 『송남잡지』는 전체를 아우르는 내용이 名物度數를 포괄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항들에 대해 유래를 설명하고 그 기원과 변화 양상을 살피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조재삼이 어원을 추정하는 방식은 문헌자료를 근거로 내세우는 경우와 함께 민간에서 전해들은 이야기를 통해 추정하는 경우도 빈번히 등장하는데, 이는 다른 유서와 변별되는 『송남잡지』만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우리나라 고유의 어휘와 전래 문헌의 기록을 중심으로 엮음으로써 유서로서의 가치를 증대시키고 있고, 각 항목별로 고금의 사적과 물명에 대한 해설을 낱낱이 밝혀 오늘날의 전문용어 해설집과 같은 典故事典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조재삼은 새로운 문물과 기술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보이고 있고, 중국 외의 여러 나라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전시기의 지식정보로부터 당대까지 축적된 정보를 총망라하여 정리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왕의 축적된 지식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적재적소에 기록하여 저술의식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를 통해 저자의 시대 인식뿐만 아니라 당대 현실과 생활상을 바라보는 저간의 사유의 단초까지 엿볼 수 있다. 조재삼은 지방의 재야 지식인으로써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방편으로 『송남잡지』를 편찬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와 견문지식을 두루 활용하여 폭넓고 유연한 지식을 수용함으로써 기존의 유서와 다른 민간 재야의 문인이 만든 유서의 특징을 보여준다. 특히, 당시의 사회상과 풍속을 이해할 수 있는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보여주고, 당대의 생활상을 드러내고 있어 19세기적인 현상을 잘 나타내주는 유서로 평가할 수 있다. 『송남잡지』는 근대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전시기의 다양한 지식을 통합하여 전근대 지식의 총화를 보여줌으로써 19세기의 학술사, 지식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저술임을 입증하고 있다.

      • 金左均 『松澗貳錄』 硏究

        박지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고는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金左均(1810∼1880)이 편집한 백과전서 성격의 類書인 『松澗貳錄』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송간이록』이 19세기 유서류 저작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위상을 차지하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편자 김좌균의 학문 경향과 교유 관계를 추정해보고, 『송간이록』의 자료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安東金氏世譜』를 살펴본 결과 김좌균 집안은 대대로 역사와 관련된 책을 抄書 하였고 혹은 책을 편찬하기도 하였는데, 김좌균은 이러한 집안의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김좌균은 충청도에 거주하면서 충청도 지역 문인들과 교유 했으리라 추측할 수 있는 대목들을 『송간이록』에서 볼 수 있다. 한편, 『송간이록』은 현재 국중본, 경대본, 개인소장본이 전하는데 모두 필사본이다. 국중본은 초고본에 해당하고 경대본과 개인소장본은 동일 세트로 국중본을 편집 증보한 것이다. Ⅲ장에서는 『송간이록』의 구성과 이 책에서 취하고 있는 주요 기록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송간이록』은 53책 131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간이록』은 일반적인 유서 분류 체계에서 벗어나 다른 유서들보다 분류에 있어서 자유롭다. 하지만 책의 구성이 확정되지 않아 분류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편의상 분류 체계를 經·史·子·集으로 해보았다. 그 결과 다른 유서들과 유사한 항목들이 많았고 그 가운에 『송간이록』에서만 볼 수 있는 항목들도 설정되어있다. 이는 『송간이록』이 폭넓은 소재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송간이록』에서는 대부분 변개 없이 원문 그대로를 수록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객관적인 정보 전달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 김좌균의 글로만 구성된 경우에는 해당 항목을 편집하게 된 동기를 밝히고 있다. 이는 『송간이록』의 기본적인 기록 방식으로, 자신의 관점을 적용하여 항목을 설정한 후 관련된 내용을 다른 문헌에서 인용하는 방식이다. Ⅳ장에서는 『송간이록』의 내용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김좌균은 시대의 조류를 따라서 글자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따라서 글자의 뜻과 발음을 기록하였고, 문집이나 사서에 쓰였던 글자 고증과 관련된 기록까지 모두 수록하여 글자사전의 기능을 갖고 있다. 나아가서 사물이나 명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그 연원을 밝히기도 하였다. 또한 김좌균은 여러 시화집이나 문집에서 시화를 인용해 항목을 설정했는데 『송간이록』만의 특징적인 항목이다. 당파와 신분에 구애받지 않고 좋은 시문이 있으면 모두 실었는데, 이는 이 책이 시화집의 기능 또한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좌균은 우리나라의 특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산지별 담배나 과실, 물고기 등에 대해서 기록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지리나 식생활을 파악 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 『송간이록』은 여러 문헌을 바탕으로 한 고증적 글쓰기 방식을 취하고 있고, 내용면에서는 글자·어휘, 시화와 같은 학예에서부터 산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이는 『송간이록』이 이전 시기의 정보를 수용하면서도 19세기 당대의 생활상을 담고 있다. 따라서 『송간이록』은 19세기에 지속적으로 편찬된 유서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으면서도 그 종점에 위치하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 유서필지의 이두 연구

        김영만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1 국내석사

        RANK : 1855

        儒胥必知(which means that intelligentsia and junior officials have to know indispensably) is an old Korean document which was published in the 19th century. It is a collection of writing styles and various sample documents which were used commonly in Korea at that time. For example, there is 上言(a document which was submitted as a petition to the King by the upper class) and 擊錚原情(a document which was also submitted to the King by the upper class to appeal inequities), 單子^(1)(a document which was used as a petition or a lawsuit to a local governer by the upper class), 所志(the writing which was sent to a local governor for a lawsuit by the common people or slaves when authorized by their master), 單子^(2)(the list of ceremonial gifts which were contributed to each ceremony), 告目(the correspondance between senior officials and junior officials), and documents for trade or lending and borrowing, announcements. These documents were written in Hanmun and Idu. Idu had been used from the Silla period until the end of the Yi dynasty. Hanmun is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been given a Korean pronunciation. It has the same meaning and the same grammatical constitutions as in Chinese, while Idu is used to write Korean words or morphemes in characters borrowed from Chinese. So the study on Idu is indispensable in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Silla period, Idu was used as a means to express the Korean language with characters borrowed from the Chinese language. It is believed that an eminent scholar, Seol Chong contributed greatly to developing this writing system. Since Idu had been used incessantly in public documents for over one thousand years, it is an invaluable tool for reflecting Korean pictures from the ancient period to the modern age. Therefore the precise decipherment and linguistical investigation on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some Idu preponderantly among many model writings in 儒胥必知. 1. 矣段 : 矣 reads 의[□i] and is the indication of the possessive case or a reflective pronoun of an animate thing in the ancient Korean language. 段 reads □[t□n; tan] and is the indication of a postposition of absolute or subjective case in the ancient Korean language. 矣段 means 은·는(which is used to connect the subject with the predicate), for it stresses on 段 than on 矣. 2. 矣身 : 矣 raeds 의[□i] as modifying uses of reflective pronoun 身 reads 몸 [m□m] and means human body. 矣身 is the modest word for "I or myself". 3. 是白乎等以 : 是 reads 이 [i] and is the stem of copula "be", 白 reads □[s□lp] and is a prefinal ending of humble mood. 乎 reads 온[on] and is the conjugation of a prefinal ending 오[o] of volitive mood and a modifying ending ㄴ[-n] in the ancient and medieval Korean language, 等(들) corresponds to a formal noun □[t□] and 以로 [lo] is a postposition of causative case. 是白乎等以 means "because of having been (something)". 4. 爲白齊 : 爲(□) is the stem of □다(do) and 白(□) is a prefinal ending which represents modesty, 齊 is a terminative final ending. 爲白齊 is the honorific form of verb "do". 5. 是如(이다) : 是 is the form in which copula "be" is overlapped with prefinal ending □[□i] which represents politeness to the hearer, 如(다) is a terminative final ending. 是如 means "be" or is the honorific form of copula "be". 6. 是如乎(이다온) : It has two usages. 1) One is the form that 乎(온) is added to 是如(the honorific form of copula"be") which was mentioned in the above item. 乎 is the form to add a final ending ㄴ[-n] functioning like present participle to a prefinal ending 오[o] of volitive mood (which has lost its meaning in the present Korean language). 是如乎 is the honorific form of "be and so". 2) In the other usage, 是 is the stem of copula "be" and 如 is a prefinal ending which represents past (which corresponds to 더 in the present Korean language), 乎 is the same as the above item 6-1). 是如乎 means "since it has been (something)". 7. 是如乎故(이다온고로) : 是如乎 is the same as the above item. 故(고로) has the meaning of "by reason of". 8. 是乎乃(이오나) : 是 is the stem of copula "be" and 乎(오) is a prefinal ending of humble mood, 乃 is a final ending functioning like "but". 9. 是乎尾 : 是乎 is the same as the above iem. 尾 is a final ending which means "hence or so". 10. 爲白良結(□□아져) : 爲·白 are the same as the above and means "meaning to do (something)". 爲白良結 is the honorific form of "meaning to do (something). 11. 白去乎 : 白 is the same as the above and 去 is a prefinal ending which represents participial tense, 乎 is the same as in 是如乎. 白去乎 means "since it is what (someone) does". 12. 詮次·善啓 : These are the terms which originated from the ancient Chinese language. 詮次 means "reason and prece dure" and 善啓 means "to instruct rightly". 13. 向敎是事(아이샨일) : 向 is the stem of 지시하다(direct) and 敎是 is the form to add a modifying ending ㄴ[-n] to a prefinal ending 이시 to honor the subject, 事 is a formal noun which means "thing". 14. 望良白內臥乎(□라 □×누온) : 望良 is the stem of 바라다(wish), 白 is the same as the above. 內 seems to be a prefinal ending which represents a certain tense. 臥 is a prefinal ending which represents the progressive tense, and 乎 is the junction of a prefinal ending 오(-o-) of volitive mood and modifying endign ㄴ[-n]. 望良白內臥乎 means "wishing or wished". 15. 事是亦在(일이여견) : 事·是 are the same as the above. 亦 is an adverbial ending in origin but has no paticular function here. 在 is a form to add ㄴ[-n] functioning participially to a prefinal ending 겨 which represents a complete tense. 事是亦在 means "since it is (something)". Classifying the above-mentioned facts according to the form of each morpheme, as follows: 〔1〕Noun words and its inflections 1. noun words (stem): □(noun) 身, 等, 故, 事 (pronoun) 矣, 矣身 2. postposition (suffix): 段, 矣, 以 [2〕Verbal words and their conjugations 1. stems: 是, 爲, 望良, 向, (結) 2. prefinal endings □honorific form: 白, 敎是, 是(이), 乎 tense form: 如, 去, 在, 臥, (內) volitive form: 乎 3. final ending □participial or modifying form: 乎, 在, 敎是(ㄴ) adverbial form: 良, (結), 亦 copulative form: 乃, 尾 terminativeform: 齊, 如

      • 필적감정의 객관적 요건과 일반적인 기하학 및 통계적 방법의 비교 고찰 : 유서대필 사건을 일부 사례로

        고주홍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3

        자백에 의한 진술의 증거능력은 계속적인 논란을 일으키는 작금의 현실에서 객관적이고 올바른 필적감정이 실체적 진실을 판단하는 주요한 과학수사 증거로서의 가치는 이견이 없다. 국내외 역사적으로 드레퓌스와 유서 대필 사건 등은 시대적 상황, 과학적 근거의 부족 및 자의적 판단 등에 의해 제3의 피해자가 나온 실로 안타까운 경우이다. 그러한 이유로 사례의 다각적 검토에 의해 유서 2매를 기본으로 대표적인 자음 9개와 모음 5개를 초성, 중성, 종성 위치별, 필획 구성의 특징을 중심하여 구분하고, 양 당사자 간의 대응된 분량을 비례하여 통계적 방법에 입각한 결과로 분석한 바, 유서는 ‘강기훈’ 명의 제출 필적보다 ‘김기설’명의 제출 필적과 자음에서 9개중 6개, 모음에서 5개중 3개인 두 배 이상의 일치하는 수치를 보여주었다. 아울러 기하학적인 방법에 입각한 개인의 필적 특성에 대한 분류 결과도 같은 견해로 구분되어 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양 당사자 간의 필적 유사 특징 연관성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되고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감정의 증거물 및 대상자 선정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이 재차 요구된다. 이와 같이 기하학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국내 및 일본의 주류적 흐름에서 통계적인 방법의 필요를 보완함으로 감정인의 역량이 범죄자의 현재보다 항상 앞서 나가기를 바란다. There are no objections to the fact that the objective and righteous bibliotics shall be important forensic evidence that will judge the substantial truth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the confession statement arouses continuous disputes. When reviewing the cases, which had occurred at home and abroad, and which will also be significant event from a historical aspect, Dreyfus affair in France and the events of allograph will in Korea shall be very regretful cases, for there were also third victims caused by lack of forensic evidence, arbitrary judgments, and the situation of society in those days. With such causes in mind, two wills were chosen basically to fit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then multilateral reviews were conducted. Nine consonants and five vowels which were significant and typical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of the leading sound, medial sound, and final consonant, and also were divided into, centering on characteristics of stroke composition.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outcomes obtained by statistical method having compared corresponding amounts to the each party to the case revealed that the handwriting samples submitted by the name of ‘Kim o-seol’ had more matched numbers of consonants and vowels than in those of ‘Kang o-hun’ by two times, i.e. six consonants were matched among nines, three vowels were matched among five. In addition,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handwriting based on geometrical method showed same division as the above results. Here, an appraiser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re is relevancy in the characteristics of similarity of the handwritings between the parties, and is required to pay close attention to selection of the subjects, and evidences to be examined as well, having carefully studied the whole situations in a comprehensive manner. It is hoped that the appraiser’s capability and competency will always be superior to those of culprits and be developed faster and greater through means of complementing the requirements of statistical methods so as to address problems and to meet mainstream forensic skills of Korean and Japan, where geometrical methods have been still used.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t needs to elicit the results that will be matched with the basis of scientific and legitimate judgments by pursuing changes in existing methods of practice and by exerting strenuous efforts, not binding him or herself to the present situation, or to the existing theories, which will be the burdens that must be carried on the back of those people who study not only bibliotics, but also forensic science and wish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m with basic ideas of their further studies.

      • 李睟光의 芝峯類說 연구

        임영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3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d all aspects of Chibong Yuseol(芝峯類說) by Yi, Su-kwang(李睟光), including the writer’s background, method of description, method or organization, the main ideas, the work’s significance, and its impact on future generations. This paper conducted such a thorough review because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Chibong Yuseol were rather fragmented and instrumental. Yi was an official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and he was a Confucian intellectual who built up extraordinary knowledge and rich global experience compared to others by accessing more books, interacting more extensively, traveling three times as an envoy, and experiencing the foreign wars twice. Yi believed that the pursuit of erudition is the true way to achieve learning and focused on writing to produce high volume works. This paper grouped the writing works that started from the tradition of Pilgi(筆記) and adopted the Yuseo(類書) system, like the Chibong Yuseol by Yi, into a new category called ‘Yuseol(類說)’. These writing works are categorized together because it would help in highlight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Chibong Yuseol and the follow-up works. In terms of writing style, Yi actively adopted and utilized Chagiche(箚記体) writing from Ming(明) Dynasty and referred to the composition of Chinese Yuseo to compile his Chibong Yuseol. The Chibong Yuseol cites and mentions a large collection of books. Yi was well-read in wide range of book types, including Confucian scriptures, books of history, theory, and medical science that scholars of Joseon(朝鮮) Dynasty traditionally read, as well as biographies, geography books, Chinese medicinal herb books, and Yuseo. Yi also quickly accessed the latest books imported from Ming Dynasty. The Chibong Yuseol was written based on his extensive reading and contains var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four aspects : information about foreign countries, criticism and demonstration on Chinese poetry, critical comments, and Myeongmuldosu(名物度數). The precedents of Yuseol found in the Chibong Yuseol opened up the new horizon for the existing Pilgi. The Chibong Yuseol included the contents of traditional Pilgi while selecting the topics that were not spotlighted in the traditional Pilgi in order to extend Pilgi. In the writing style, the Chibong Yuseol also demonstrated Chagiche writing-based Pilgi to prove how the Chagiche writing develops into works that shows the thoughts of the author. The 󰡔Chibong Yuseol󰡕 also came up with works that adopted Yuseo system to show the precedents of Pilgi category. The flow of Yuseol found in Chibong Yuseol is followed by Seongho-saseol, Songnam-jabji, and Oju-Yeonmunjangjeon-sango. 본고는 李睟光이 저술한 芝峯類說의 저술 배경부터 서술 방식과 구성 방식, 주요 내용, 저술로서의 의의와 후대에 미친 영향력에 이르기까지 지봉유설의 전모를 총체적으로 고찰한 결과물이다. 이러한 고찰을 시도한 것은, 그동안의 지봉유설 연구가 지봉유설 자체에 주목하기보다 주로 󰡔지봉유설󰡕의 일부를 통해 이수광의 사상을 탐구하려는 경향이 강하였기 때문이다. 이수광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반에 걸쳐 관료로 활동하며 발 빠른 독서와 폭넓은 교유, 세 차례의 使行과 두 번의 대외 전쟁이라는 풍부한 국제 경험을 통해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지식을 축적한 유교 지식인이었고, 博學의 추구야말로 자신의 學知를 이루는 길이라는 소신 아래 저술에 힘써 거질의 저작을 남겼다. 본고에서는 그의 지봉유설처럼 筆記의 전통 위에서 출발하여 類書의 체제를 수용한 저작을 ‘類說’이라는 새로운 범주로 설정해보았다. 이는 지봉유설과 그 뒤를 잇는 저작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성을 보다 잘 조명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서였다. 그는 글쓰기 방식 면에서는 明나라 楊愼의 箚記体 글쓰기를 수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중국 유서들의 구성 방식을 참고하여 지봉유설을 편차하였다. 지봉유설에서는 수많은 서적들이 인용되고 언급된다. 그는 조선의 문인들이 전통적으로 읽어오던 經史子集은 물론 醫書, 傳奇, 地理志, 本草書, 유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서적들을 섭렵하였으며, 당시 명나라에서 수입되던 최신 서적까지도 발 빠르게 구독하였다. 그가 폭넓은 독서를 통해 저술한 지봉유설에는 다양한 내용의 지식과 정보가 담겨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해외 국가들에 대한 정보, 한시의 비평과 변증, 산문 비평, 名物度數의 네 가지 측면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지봉유설이 보인 유설로서의 성취는 기존의 필기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었다. 지봉유설은 전통적인 필기로서의 내용도 충실하게 갖추고 있었고 전통적인 필기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소재를 취함으로써 필기의 외연을 넓히기도 하였으며, 저술 방식 면에서도 차기체 글쓰기와 유서의 구성 방식을 결합시킨 선례를 보임으로써 필기가 차기체 글쓰기를 통해 작자의 다양한 사유를 드러내는 저술로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지봉유설이 연 유설의 흐름은 星湖僿說, 松南雜識, 五洲衍文長箋散稿 등에 의해 이어진다. 지봉유설은 조선시대에 널리 읽히며 문학 토론과 학술의 장을 형성하였다. 지봉유설에 수록된 문학 비평은 지속적으로 읽히며 재비평을 촉발해갔다. 지봉유설이 담고 있는 실제 사물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이나 실학파 지식인들에게 재발견되기도 하였고, 서양 국가들에 대한 정보들은 실학파 지식인들이 서양을 이해하고 그들에 대한 사상을 형성하는 바탕이 되기도 하였다. 유설의 계보를 이은 저작들 가운데 李瀷의 성호사설은 그가 고안한 5門의 지식‧정보 분류 체계에 따라 기사를 배치하였으며 차기체 글쓰기를 활용한 분석과 변증, 논술의 측면을 한 걸음 더 발전시킨 저술이다. 趙在三의 송남잡지는 33類의 구성 방식을 가지고 있고 작자의 의견과 논평은 거의 드러내지 않고 차기체 글쓰기를 통해 세상 만물에 대한 지식을 망라하는 데 치력한 저술이다. 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는 유설 중에서 차기체 글쓰기를 활용한 변증과 논술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킨 저작이다.

      • 晚明日用類書中文学文本所反映的文學觀念研究 : 以劉雙松本≪萬寶全書≫為中心

        소항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3

        현재 중국 전통의 문학 자료 중에서 민간의 문학관념을 반영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드문 실정이다. 그래서 學界에서도 고대 민간의 문학관념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 성과가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민간의 문학관념을 반영할 수 있는 적당한 자료를 찾기 위해 당시 민간 생활을 광범위하게 망라하고 있는 日用類書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일용유서는 중국 明淸 시기에 대중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분야를 수집하여 편집한 책이다. 가정생활 지침서 격으로, ‘日用百科全書’라고도 한다. 이러한 책들 중에는 일반 민중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식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민간의 문학 관념을 반영할 수 있는 많은 기초 자료도 포함되어 있다. 본고는 수많은 일용유서 중에서 출판 연대가 이르고 편집의 질과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晚明 시기의 《新板增補天下便用文林妙錦萬寶全書》를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는 《만보전서》의 문학 관련 텍스트를 직접 분석하는 것 외에도 그것의 편찬 특징과 어떤 소재를 선호했는지에 대해도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比較分析法을 채택하여 《만보전서》를 다른 유서와 비교하고 제한된 자료에서 가능한 한 정확하고 전면적으로 그것이 반영하고 있는 민간의 문학관념을 귀납적으로 추론하였다. 본고의 제2장은 일용유서 및 《만보전서》의 소개이다. 일용유서 역사의 발전 과정 및 그 사회적 배경, 독자 분포, 편집 특징을 고찰하여 유쌍송본 《만보전서》의 판본 정보, 편찬 체제 및 주요내용을 논술했다. 본고의 제3장에서는 《만보전서》의 편찬 체제, 즉 각 門類의 분류 순서 및 비중으로 민간생활에 대한 문학의 독특한 지위와 인식을 탐구하였는데, 주로 실용성·공리성의 문학관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韻文자료의 응용 상황을 통해 자료 수집과 편찬을 위한 운문의 역할을 고찰했다. 아울러 詩歌라는 문체에 대한 민간 계층의 실용적 인식이 반영되었음을 파악하였다. 본고의 제4장에서는 《만보전서》의 書名, 序文과 문학 門類 등 문학과 관련된 자료를 통해 민간의 문학 품격, 선호 등의 문학관념을 이끌어냈다. 예를 들면, 《만보전서》의 實用文類는 대체로 화려한 문풍을 추구하는 반면에 娛樂文類는 대개 통속적이면서 흥미롭다. 심지어 어떤 작품은 저속한 경향을 보이기까지 한다. 서로 다른 문체에 대한 민간의 심미적인 성향의 차이가 반영되었다. 제5장은 결론 부분에서는 본고의 논점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부족한 부분도 지적했다. 앞으로 일용유서의 문학관념이라는 연구영역을 계속 발전시켜 나가길 바라는 희망도 피력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