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포시 한강 · 염하강 유역의 서비스업 특성에 관한 연구

        임종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김포시 한강․염하강 유역에 위치하고 있는 대곶면․월곶면․하성면 등 농어촌 지역의 변화 과정을 산업의 특성 변화를 중심으로 고찰해보고, 한강․염하강 유역의 특정한 수변 공간인 대명항과 장어마을, 전류리 포구를 중심으로 서비스업 시설의 입지와 운영에 관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 지역의 상업서비스업 및 문화․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입지와 변화, 장소마케팅과 지역 주민의 장소에 대한 인식, 방문객들의 이용행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구체적인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 수변 공간과 서비스업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수변 공간은 김포시가 접하고 있는 한강․염하강 유역에서 일어나는 최근의 계획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춰 하천과 바다를 동시에 포괄할 수 있는 넓은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서비스업은 상업․음식․숙박업 및 문화․여가관련 서비스업, 즉 소비자서비스업을 주요 대상으로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제2장은 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부분으로, 대도시 주변에 위치한 수변 공간의 이용 패턴과 서비스업 특성 변화를 지리적으로 접근한 선행연구들을 이론적 배경으로 정리하였다. 즉, 교외화에 의한 도시주변부의 토지이용과 경관 변화, 신도시 개발에 따른 서비스 경제 활동의 입지 변화와 공간 구조 변화, 교외 지역 주민에 대한 사회 경제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 대도시 주변의 교외 지역에 대한 연구와 함께 농어촌 지역에 대한 연구 등을 정리하였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교외화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교외화에서 서비스 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의 강화 경향, 소득 수준의 향상과 서비스 소비의 증대 등 생활관련 서비스와 문화․오락 관련 서비스가 급속히 신장되는 서비스산업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또한 이들을 3차 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재편되면서 급격한 변동이 일어남에 따라 소득 증대와 여가 기회의 다양화에 의한 소비 양식의 변화, 그리고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도시의 특정한 장소와 가치를 살리는 장소마케팅 등의 시도를 함께 정리하였다. 제3장은 김포시 기본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한강․염하강 유역의 산업 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토지 이용에 있어서 현재 한강․염하강 유역에 인접한 대곶면․월곶면․하성면의 경우 전․답․임야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대지․공장용지․도로 등 도시적 토지 이용은 증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2․3차 산업 위주의 산업 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1990년대 후반 서울의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울의 주변지역으로 기능을 분산하는 정책과 교통 여건의 개선 등의 영향으로 김포시는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한강․염하강 유역의 대곶면․월곶면․하성면 지역에서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도시적 특성의 산업 구조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4장은 한강․염하강 유역에 입지하고 있는 음식․숙박업 등 상업 서비스업과 문화․여가 관련 서비스업 기능체 분석을 통해 특정한 수변 공간의 기능과 토지 이용 특성을 파악하였다. 첫째 염하강 유역의 대명항은 2000년 수도권 유일의 지방 어항으로 승격되면서 상업과 관광 레저 등 도시민을 위한 서비스업 기능이 점차 증가하였다. 특히 대명항이 있는 대명3․4리는 주로 신선한 수산물을 찾는 관광객의 증가로 수산물․건어물 판매, 횟집 등 상업 서비스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상업 서비스업 종사자는 원주민보다 외부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원주민의 경우 반농반어에 종사하던 부모의 대를 이어 사업의 전망을 기대하고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염하강 유역의 장어마을은 염하강 갯벌의 이미지와 문수산 자연 경관을배경으로 장어를 취급하는 음식점들이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상업 서비스업 종사자의 경우 외부인의 비율이 더 높았다. 그러나 해안 철책 등 접근이 불리하고 1997년 신 강화대교 건설로 강화도의 접근이 향상되면서 대명항에 비해 상권이 크게 활성화되지 못했다. 셋째 한강 유역의 대표적 수변 공간인 전류리 포구 일대는 대명항에 비해 수산물 판매나 횟집 등 상권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한강의 제방로를 따라 서울에서의 접근이 가깝고 한옥을 개조한 음식점들이 입지해 있어 조용한 정취를 선호하는 도시민들이 단골이 되어 꾸준히 찾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서울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과 농가형 전원 주택 수요 증가에 따라 전류리 포구 주변에는 최근 부동산 업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넷째, 김포는 오랜 역사적 전통을 지닌 곳으로 한강․염하강 유역의 수변 공간은 이러한 역사적 자원 및 자연 경관을 배경으로 한 문화․여가 관련 서비스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제5장은 한강․염하강 유역의 특정한 수변 공간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장소마케팅 전략과 지역 주민의 인식을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토대로 방문객의 이용 행태를 함께 분석하였다. 김포시는 한강․염하강 유역 수변 공간의 철책, 한강, 생태, 문화, 먹을거리 등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행사 및 축제 등 장소 마케팅 전략을 추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강․염하강 유역의 가장 대표적인 수변 공간인 대명항, 전류리 포구의 상업 서비스업 종사자의 경우는 입지적인 장점 등을 인식하고 있으나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관광과 레저 편의 시설의 확충 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대명항과 전류리 포구 일대의 수변 공간을 찾는 방문객들의 일반적 특성은 대명항을 찾는 방문객들의 소비 패턴이 대중적이고 다양한 반면, 전류리 포구는 고소득층이 많고 방문 횟수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명항과 전류리 포구 모두 음식 맛이 장소의 만족도를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명항 주변의 수변 경관은 방문객들의 만족도와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상에서 김포시 한강․염하강 유역의 수변 공간은 대도시 주변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양호하고 천혜의 자연 경관을 가진 곳이자 동시에 북한 접경 지역으로서 개발과 제한의 특성을 동시에 가진 곳이지만 최근 88올림픽 대로와 연계된 김포 한강제방도 등 교통로의 개선과 도시민의 여가 수요 증대로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가치를 지닌 장소로 변화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연구 지역에 해당하는 한강․염하강 유역의 수변 공간 대부분이 군사 통제 구역으로서 입․출입의 제한이 따르고 있어 수변 공간의 특성 발달에 한계가 있으나 앞으로 한강․염하강 유역이 가지고 있는 자연․역사․문화적 자원의 의미와 가치를 충분히 반영하는 친수공간으로서의 지역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수도권을 대표하는 여가 공간으로서 충분히 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 L-system을 활용한 한강변 레저스포츠 시설

        정우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도시의 발달로 인하여 한강의 수운이 쇠퇴되어 유원지로 조성되어 공공공간이 생겨났으며, 주 5일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여가생활을 하기위해 레저스포츠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 한강 수변공간에서 여가생활을 활용할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한강 수변공간 현황을 분석하여 이용객이 활용하기에 문제가 있는 사이트를 선정후, 분석을 통하여 L-system을 활용하여 해결방안을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도시의 발달로 인하여 자연에서의 여가생활을 즐기기란 어렵다. 또한 환경오염 과 사람들의 자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사람들은 서울의 큰 자연요소인 한강변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한 한강변의 건축과 조경에서는 다양한 변화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하듯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한강변 수상 레저스포츠 시설에 L-system을 활용하여 위치의 특성에 맞추어 수변공간을 새롭게 재구성 하여 본 논문의 취지에 맞는 디자인을 제시한다.

      • 한강변 주거경관의 현대적 변천 과정 : 마포진·용산진·한강진 일대를 중심으로

        이지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하천과 도시’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주제로 그 지역의 기후, 지형, 문화, 역사 등을 알아야 이해가 가능하다. 도시가 발달되기 위해서는 각종 용수를 공급해 주는 하천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오히려 하천이 도시의 발달에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하천이 범람하는 경우는 하천의 특징에 의해 도시의 기능, 경관 등이 달라지게 된다. 우리나라는 여름마다 반복되는 범람의 위험 때문에 대부분의 하천변은 버려진 땅이었다. 그러나 한강변은 조선시대부터 도성과 외부 지역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곳으로 시대마다 사회적 수요가 많았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한강변 일대는 범람에 의한 피해와 증가하는 사회적 수요로 끊임없이 개발이 이루어졌고, 1967년 한강종합개발 사업을 기점으로 나루터라는 전통 경관은 사라지고 주거지화 되었다. 오늘날 한강변 일대는 다양한 유형의 주택들이 집단의 형태로 일정한 권역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다. 주택은 개인의 부, 권력, 사회적 지위 등을 상징하는 그 시대의 사회적 산물로 각각의 시대마다 고유한 주거경관을 형성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통사회의 붕괴, 식민지 지배, 6․25 전쟁 등의 역사적 사건을 겪으면서 매우 독특한 주거경관이 형성되었다. 단층의 초가집, 기와집 중심의 전통적 주거경관은 일본인의 유입으로 2층의 주택과 도시형 한옥이 보급되면서 변화되었다. 그 후 광복, 6․25 전쟁, 급격한 도시화를 겪으면서 불량주택이 급증하였고, 심각한 주택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아파트는 출현한지 불과 20~30년 만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거경관이 되었다. 특히 1960년대 이후에는 경제발달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에 의해 서울의 주거경관은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하였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잘 나타나는 곳이 한강변 일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거경관의 변천상을 대표할 수 있는 곳인 마포진, 용산진, 한강진 일대를 중심으로 한강변이라는 상징적 공간의 주거경관의 현대적 변천 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한강변이 갖는 의미의 시대적 변천 과정과 시대별, 유형별 주거경관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나루터가 발달했던 마포진, 용산진, 한강진 일대는 조선시대부터 도성과 외부지역을 연결해 주는 곳으로 사회적 수요가 많았고, 주거의 역사도 오래되었다. 그러나 한강변 일대는 범람에 의한 피해 때문에 주거지로 기피되던 곳으로 주로 생활수준이 매우 낮은 사람들의 주거지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주거지의 확대가 필요하였고 기술의 발달로 범람의 위험이 없어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주거에 대한 관념이 변함에 따라 ‘조망’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오늘날에는 최고의 주거지로 각광 받고 있다. 마포진 일대는 물화의 집산지로 경강상인의 근거지가 될 정도로 상업이 발달하였고, 일찍부터 대규모의 취락이 형성된 곳으로 교통수단의 발달과 함께 주거지가 확대되었다. 특히 1970년 마포대교의 개통과 1980년 마포로 재개발 사업을 통해 마포로 일대는 오피스 타운으로 변화되었고, 지리적 위치상 도심과 공항과의 인접성으로 인하여 상업기능이 밀집되어, 주거기능과 상업기능이 복합된 주상복합 기능의 건물이 많이 입지하였다. 용산진 일대는 용산 여울의 영향으로 선박의 출입이 용이하지 않고 나루터 주변까지 산지가 발달하여 나루터의 규모도 크지 않아 마포진 일대와는 달리 주로 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육상교통의 발달로 나루터 기능이 소멸되면서 쇠퇴되었다. 현재에도 교통조건이 열악하고 산지라는 지형적 제약 조건 때문에 정체되었으며 마포진 일대와 달리 상업기능은 없어지고 순수한 주거지가 되었다. 한강진 일대는 도성과의 최단거리라는 입지적 특성상 군사적․정치적 기능이 강했던 나루터로 현재에도 한남대교 북단에는 검문소와 군 초소가 있으며, 대사관, 외교통상부 장관 공관 등이 입지하고 있다. 이 곳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거주자의 특성에 따라 주택 유형, 입지, 주거경관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주택의 입지 변화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한남동 UN Village 일대는 경치가 좋아 일제강점기부터 고급 주택지가 되었으며, 1950년대 후반 정부에 의해 외국인 주거지로 조성되면서 대규모의 단독주택이 입지하면서 상류층 주거지가 되었다. 반면 한남로 왼쪽지역과 보광동, 서빙고동은 광복과 6․25 전쟁 이후 경제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거주하면서 서민 주거지가 되었다. 이렇듯 주거경관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각각의 Site와 Situation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며 Site의 변화에 따른 주거경관의 변화는 Situation에 의한 변화보다 크게 진행된다. 한강변 일대의 주거경관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1967년에 실시된 한강종합개발 사업이다. 한강종합개발 사업으로 Site가 변한 동부이촌동 일대는 혁명에 가까울 정도로 주거경관의 변화가 나타났다. 과거에는 한강의 범람 위험으로 버려진 땅이었지만 한강종합개발 사업에 의해 새롭게 주거지가 되었고, 그 곳에 건설된 아파트 단지는 한강변을 포함하여 우리나라 전체 주거경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최근에는 ‘한강 조망권’이라는 새로운 입지 조건이 부각되면서 새로운 주거경관의 형성을 주도하고 있다. 한강은 서울 나아가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며, 우리나라의 역사가 녹아있는 곳으로 6․25 전쟁 이전까지만 하여도 삶의 터전이었다. 그러나 한강종합개발 사업에 의해 한강은 그저 흘러가는 강이 되어버렸고, 과거의 흔적은 지명을 통해서만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즉, 한강은 정부 주도하에 산업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편성하여 급속히 개발되면서 현대화, 편리성, 깨끗함을 추구하였고 그 결과 우리나라를 상징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전통적 경관은 전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이는 까페, 레스토랑 등의 상업시설, 공공기관, 산책로 등이 조성되어 생활화 되어 있고, 전통경관과 현재경관이 조화를 이루어 관광자원화 되어 있는 유럽의 강변과는 다른 모습이다. 유럽은 서안해양성 기후의 특성상 유량이 일정하고 범람의 위험이 없어 강변은 기피되는 대상이 아닌 생활 속의 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우리는 지난 반세기 동안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잃어버렸다. 이번에 추진되고 있는 ‘한강르네상스 사업’은 과거 ‘한강종합개발 사업’을 교훈 삼아 한강이 갖고 있는 문화적 가치, 전통적 아름다움, 하천으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추진되길 바란다.

      • 한강교량 투신자살 방지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최용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2018년 국세청이 발표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국가 연령표준화 자살률 비교에 따르면 한국이 표준인구 10만명당 26.7명으로 OECD 가입국가 중 자살률 1위를 다시 차지(2017년 한국, 2018년 리투아니아)하는 오명을 입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한강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많은 인원이 (2018년 한 해 430여명, 서울소방재난본부)자살기도를 목적으로 찾아오고 있으며, 이런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많은 자살 방지시스템이 동작하고 있으나 자살시도자는 쉽사리 줄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 마련된 법령과 제도는 올바르게 마련되었는지? 운용되고 있는 시스템과 주변여건 상 문제는 없는지? 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자살이 한강으로 집중되고 있는 현상을 한강교량별로 자살시도 발생통계를 통해 자살이 집중되고 있는 한강다리를 확인하고 그 요인으로 사회적 요건(한강 자살 언론보도 전파성, 자살실태분석을 통한 자살인식도) 및 지리적 요건(한강다리 통행량, 대중교통 접근성 으로 추정하였으며, 운용되고 있는 한강교량 투신자살 CCTV감시 시스템, SOS생명의 전화, 자살방지난간, 수난구조대 등 시스템 상호 간 실제 발생한 자살시도자 통계를 바탕으로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각 종 법령과 제도의 틀에서 운용되고 있는 한강 투신자살 방지시스템에 초점을 두고 그 원인을 통계적 추정 방식을 통하여 확인하고 향후 투신자살 방지시스템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근본적인 자살 시도자를 보호하고 투신자살을 줄이는 방향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제어: 한강, 한강교량, 투신자살, 자살방지시스템 Abstract According to the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uicide rate comparison released by the National Tax Service in 2018, Korea ranked fir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with 26.7 per 100,000 people (Korea in 2017 and Lithuania in 2018). Among them, the Han River is visit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about 430 people per year in 2018, Seoul Fire and Disaster Headquarters) for suicide attempts, and many suicide prevention systems are in operation to save these people, but suicide attempts are not easily reduced. So, are the laws and systems in place? Is there any problem with the operating system and surrounding conditions? I started this study out of curiosity about something. In this study, the phenomenon of suicide being concentrated in the Seoul area was identified through statistics on the occurrence of suicide attempts by Han River Bridge, and social requirements (the propagation of Han River suicide media coverage, the recognition of suicide through suicide analysis) and geographical requirements (the traffic volume of Han River bridge,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were estimated as factors. The CCTV monitoring system of Han River bridge's suicide and the prevention of SOS life distress, and suicide. Ultimately, this study focuses on the Han River suicide prevention system, which is operated under the framework of various laws and systems, and aims to find a way to protect fundamental suicide attempts and reduce suicide by identifying the causes through statistical estimation methods and drawing up measures to improve the suicide prevention system in the future. Keywords: Han River, Han River Bridge, Suicide, Suicide Prevention System

      • 한강의 waterfront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강 르네상스 계획 중심으로

        송경섭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Waterfront 개발은 도시의 탈공업화와 교통발달과 선박운송물량의 대형화로 항구 등이 이전함에 따라 도시 내부에 쇠퇴되었던 공간을 활용하여 도시 활력을 되찾고 제조업의 이전으로 발생한 커다란 실업문제를 해결하면서 거주인구를 늘리는 차원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그동안 황폐된 항구들을 중심으로 waterfront 개발계획을 수립하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공과가 있지만 그래도 21C의 바람직한 모델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서울을 되돌아보고 서울에서 그동안 도시계획의 사각지대 즉 Edge로 여겨져 왔던 한강을 중심으로 서울의 도시 활력을 높이고, 한강의 waterfront를 개발함으로서 문화 관광도시로 서울의 한 축의 역할을 자리매김하여 도시경쟁력을 크게 높이고자 한강 르네상스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ECD 국가 중 도시 경쟁력이 하위(29위)인 서울을 선진국 최고 수준인 5위 이내로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으로 한강 waterfront에 대한 전반적인 마스터플랜을 연구 하였다. 세계 각국의 waterfront 개발에 비춰볼 때, 서울이 바다와 접해져 있지 않아 호주 시드니 waterfront와 같은 장엄한 광경을 연출하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여의도에 국제여객선이 들어오면 충분히 waterfront 역할을 해낼 것이며, 용산 국제 업무와 여의도 국제금융이 동시에 개발이 추진되어 발전한다면 더욱 커다란 상승효과를 유발되어 서울의 면모가 일신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한강르네상스는 숨 가쁘게 달려오던 산업시대를 통하여 잃어 버렸던 자연적 가치를 ‘회복’하고 한강에 잠재된 가치를 발굴하여 21C의 새로운 서울을 ‘창조’하는데 그 기조를 두고 한강 waterfront에 대한 전반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였으며, 2015년 까지는 용산, 마곡, 여의도, 잠실 등 대부분이 개발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 하였다. Countries of the world had reflected upon development of new cities which has spread in disorderly manner thus leading to conurbation of cities until first half of 20th Century. From second half of 20th century paradigm of city development has been changed for regeneration of cities geared to more sustainable development. New vitality of cities was tapped on by utilizing degenerated space inside of the cities and as cities being transformed from age of industry mainly focused on manufacturing to service industry it was perceived as a shift toward desirable direction from the dimension of tackling serious problems of unemployment and for expansion of its inhabitants. In this connection countries of the world began to establish plans for development of their waterfront mainly and in such process despite of numerous shortcomings and achievements it is regarded as a desirable model for 2lst century in general. From such perspective currently Han River Renaissance project is being undertaken in Seoul to heighten competitiveness of the city by enhancing vitality of Seoul with focus on Han River which was considered as an edge, a blind spot in city plan meantime. Main focus of Han River Renaissance is with creating a new Seoul in 21st century by recovering natural value and unearthing potential value of Han River which were lost amidst Industrialization Age through which breathless rushing was predominant. In particular in the sector of creation development of Han River's Waterfront is aiming for playing a role of a main pillar for Seoul as a city of culture and sightseeing. In this treatise this author attempted to address the conditions of location of Han River's Waterfront and development scheme in Han River Renaissance Project however specific process for project execution is a subject of further studies which should be undertaken while execution of projects being implemented in future.

      • 寒岡 鄭逑의 禮學思想에 관한 연구

        이청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discussed the Ye(禮) thought of Hangang Jeonggu. First of all, the life of Hangang and the origin of his thought as a Sung Confucianist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Simhak(psychology) and Suyangnon(cultivation theory) were examined and then Hangang's Ye thought. Hangang inherited the academic traditions of Deokgye, Nammyeong, and Toegye. Hangang endeavored to practice the Confucian educational ideology, the JonyangSeongchal, which maintains the human nature. Hangang has written a lot, having interest in a variety of academic fields. In particular, he was interested in Ye(禮). The Hangang's Simhak(psychology) is based on Gyeong(敬) and Ui(義). Hangang maintained that Gyeong(敬) is the essence of mental and physical discipline, and that Jigyeong(持敬) and Chiji(致知) should b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He also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the mind through GyeonguiHyepji(敬義夾持). It becomes a way to realize In(仁) by avoiding self-interest and reaching the level in which the natural laws are revealed. The Simhak(psychology) of Hangang, which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mentality, is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the correct implementation of Ye(禮),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Hangang‘s Yehak thought. The representative Ye book of Hangang is 『OseonsaengYeseolBullyu』, which is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Ye theory of the Song Dynasty's five thinkers. This book helps in the inquiry and reading of various Ye. Hangang's Ye theory adopts an eclectic method, conforming to the archetype of antient Ye and pursuing practicality. Hangang's Yehak is not unconditionally following the old Yeje, but reveals the essence and origin of Ye, and attempts to apply it correctly to the reality. In other words, it is developing into Yehak bearing the practicality such as inquiry of antient ye and its application to reality. Hangang spread Confucian subordination through his research and practice of Yehak. At the time when Hangang was active, the high officials did not follow manners in ceremonial occasions, used popular custom, or practiced Buddhist rituals, and Hangang transformed this Ye into Sung Confucian Yeje based on 『Jujagarye』. In other words, Hangang attempted to correct non-Confucian practices based on the antient Ye. As such, Hangang's Yehak opened a new level and horizon of Yehak in the Joseon Dynasty, and in particular,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Yehak in the Yeongnam region and formed the academic traditions of Yehyang. In addition, Hangang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onfucianism by integrating the Sung Confucianism, Yehak, and Gyeongse theory. In modern society, individual actions based on free will become the ultimate criterion for moral judgment and value judgment. However, problems emerge in social bonds, common good, and social welfare as individualism and liberalism prioritize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whole. This leads to a break in human relation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social evil, and human alienation.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by realizing human-human bonds, a spirit of respect for humanity, or the common good. Ye prioritizes the group or the whole over the individual. Ye attempts to form a society that pursues the common good while living together. Hangang identified Ye as being able to grasp the human nature in life of living together and shaping the culture of our society. He viewed Ye from moral, institutional, and normative aspects, and tried to achieve an ideal human society through their mutual relations. Ye reveals the right human nature, and plays its natural role when morality and order are in harmony and balance. 이 연구는 한강 정구의 예사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한강의 생애와 성리학자로서의 그의 사상의 근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한강 예학의 근거가 되는 심학과 수양론에 대해 고찰한 후 한강의 예사상을 고찰하였다. 한강은 덕계, 남명, 퇴계의 학문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한강은 인간 본성을 유지하는 존양성찰의 성리학적인 교학 이념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했다. 한강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 관심을 갖고 많은 저술을 했다. 특히 그가 관심을 기울인 분야는 예이다. 한강의 심학은 경과 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한강은 경을 심신 수양의 요체라고 하고, 지경과 치지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경의협지를 통한 마음의 함양을 강조한다. 그것은 사욕을 멀리하고 천리가 밝혀지는 경지에 도달하는 것으로 곧 인을 구현하는 방법이 된다. 심성의 함양을 강조하는 한강의 심학은 예의 올바른 시행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한강 예학사상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한강의 대표적인 예서는 『오선생예설분류』로 송대 다섯 사상가의 예설을 종합 분류하여 그것을 정리한 것이다. 이 책은 각종 예의 고증과 열람에 도움을 주고 있다. 한강의 예설은 절충주의적인 방법을 채택하여 고례의 원형에 부합 하면서도 실용성을 추구하고 있다. 한강의 예학은 옛 예제에 대한 무조건적인 추종이 아니라 고례의 탐구를 통해 예의 본질과 근원을 밝히고, 현실에서의 올바른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즉 고례의 고증과 현실에서의 적용이라는 실용성을 지닌 예학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한강은 예학 연구와 실천을 통해 유교적인 예속화을 확산시켰다. 한강이 활동하던 당시의 사대부들은 관혼상제에 있어 예법을 따르지 않고, 속례를 사용하거나 또는 불교적인 의례 등을 행하였는데, 이러한 예를 『주자가례』에 근거한 성리학적인 예제로 변화시켰다. 즉 한강은 고례에 근거하여 비유교적인 관행을 바로잡고자 했던 것이다. 이같이 한강의 예학은 조선 시대 예학의 새로운 수준과 지평을 열었고, 특히 영남지역 예학의 기초를 확립하여 예향의 학풍을 형성하였다. 또한 한강은 성리학과 예학, 그리고 경세론을 종합시켜 한국유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현대사회에 있어 개인의 자유의지에 의한 행동이 도덕적인 판단과 가치판단의 궁극적 기준이 된다. 그러나 개인주의와 자유주의는 전체보다는 개인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사회의 유대감이나 공동선, 사회복지 등에서 문제가 드러나게 된다. 이로 인해 인간관계의 단절, 빈부 격차, 사회악, 인간소외 등이 생겨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인간과 인간 간의 유대 관계, 인간 존중 정신이나 공동선을 실현할 때 해결이 가능하다. 예는 개인보다는 집단이나 전체를 우선한다. 예는 함께 살아가면서 공동선을 추구하는 사회를 이루고자 한다. 한강은 예를 우리 모두가 더불어 함께하는 삶 속에서 본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우리 사회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는 예를 도덕적인 측면과 제도적, 규범적인 측면으로 보고, 이들의 상호 관계를 통해 이상적인 인간사회를 이루려고 하였다. 예는 인간의 올바른 본성을 드러내게 하여 우리 사회가 도덕과 질서가 조화와 균형을 이룰 때 그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강시민공원 지구특성과 자전거 이용자권역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잠실지구와 양화지구를 중심으로

        박정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he concern for the global warming is rising around the world, the low carbon green growth became a new national paradigm in August, 2008. Accordingly, South Korea had a vision to build the low carbon traffic system and create the green value and began building the national bicycle road network with BRT(Bicycle Rapid Transit) as part of the low carbon of traffic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the space syntax, Jamsil Han River with good accessibility and Yanghwa Han River of bad accessibility were set up as a target among 12 Han River civil pa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rage sphere of bicycle road users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s an analytic method of this study and the bicycle movement data that the starting point was located in Seoul was extracted. Also, the users' bicycle passage routes were analyzed through the GIS network analysis. Also,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he user rage sphere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sult was drawn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oper user rage sphere of Han River civil park appeared as 7km, which implies a plan accordi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district-users needs to be made. 한강시민공원의 자전거 이용객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용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서울시에서 많은 노력이 선행되고 있지만 서울시 도심지역과 한강시민공원의 자전거도로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도로 이용객의 이용자권역을 설정하고 규모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space syntax의 접근성 분석을 통해 분석 대상지 2곳을 설정하였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자의 거주지, 접근경로 및 이용자 특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GI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용객의 통행경로 및 이용자권역을 설정하였다. 넷째, SPSS를 활용하여 이용자권역 규모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양화한강시민공원이 잠실한강시민공원보다 이용권역이 더 넓은 형태를 보였다. 둘째, GIS 네트워크 분석과 이용자 수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강시민공원 잠실지구와 양화지구의 적정 이용자권역(통행거리)은 약 7km로 나타났다. 셋째, 잠실의 경우, 연령, 수입, 이용 빈도, 이용목적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화의 경우, 이용 빈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한강시민공원 2개지구는 같은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대상지임에도 불구하고 대상지의 물리적 특성과 이용자 특성에 따라 이용자권역에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잠실과 양화지구 뿐 아니라 한강시민공원 12개 지구에 대한 지역 및 이용자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간 연계가 가능한 새로운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켜야하며 지역여건에 맞는 추진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한강 수계 분지 내 하천수의 화학적 특성 연구

        심은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강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4개 도에 걸쳐 있는 남한 최대의 강으로, 우리 나라 중부에 위치하는 수도권 및 경기 지역의 상수원, 공업ㆍ농업 용수 등으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1999년 한강 수계 분지의 내의 하처수(지표수)의 주요 이온종을 중심으로 지구화학적 수질 평가 자료를 작성함과 동시에 시간의 변천에 따른 하천수 수질 변화의 특성을 규명하고 화학적 특성 변화의 원인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999년 5월-6월 동안 북한강, 남한강, 한강 본류 및 지천에서 61개 시료를 채수하여 pH, TDS Eh와 용존 이온의 화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강 수계 분지 내 하천수의 화학적 특성은 수계 지역 지질의 영향을 1차적으로 받고 있으며 2차적으로 인간 활동에 의한 오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즉, 수계 분지 주변에 편마암류와 화강암류가 분포하고 있는 북한강 하천수에는 Ca, Na, K, HOC_(3), NO_(3), SO_(4) 등의 이온 농도가 높게 나타나며, 수계 분지 주변에 석회암과 금속 광상이 분포하고 있는 남한강 하천수에는 Ca, Mg, Na, HCO_(3), SO_(4) 등의 이온 농도가 높게 나타나 수계 분지내의 지질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한강 상류에서 본류로 감에 따라 Na, Cl, SO_(4) 원소가 증가하는 현상은 인간 활동에 의해 발생한 이들 원소들이 지천에서 유입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Na/Cl 비를 이용한 질량 평형 계산에서 얻어진 한강 본류에서 남한강 하천수와 북한강 하천수의 혼합 비율은 약 60 : 40 으로 한강 본류 하천수의 수질은 남한강 하천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1981년, 1996년 분석 자료와 1999년 하천수의 용존 이온 분석 자료에서 Ca, Mg, K 등 암석 기원 이온종인 양이온 변화는 거의 없의나 SO_(4), NO_(3) 등 광산 폐수 기원이나 인위적인 오염원 원소인 음이온의 변화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6년과 1999년 사이의 하천 수계 분지내 이온종의 함량 변화는 크지 않다. 특히 하천 정화 사업과 환경 단체 활동의 영향으로 남한강 Cl의 경우 1996년보다 1999년에 다소 둔감되는 경향성을 보인다.

      • 한강 소설에 나타나는 서사적 특성의 변화양상

        김선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의 목적은 한강 소설의 서사적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작품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는 데에 있다. 소설이 발표된 시기에 따라 초기작과 후기작으로 나누어 시기별로 인물, 서술 그리고 결말에 어떠한 특징을 지나고 있으며 각각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본고는 문학사에서 유의미한 작품을 생산해낸 것이 분명한 작가 한강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가 아직 미비한 것의 원인을 두 가지로 본다. 첫째는 젊은 작가이고 활발한 작품 활동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작품 전반에 걸친 평가가 이르다고 보는 시선이 그것이다. 두 번째는 한강에 대한 대부분의 평가가 「채식주의자」연작에만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까닭에 한강의 작품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가 아직 나오고 있지 않다. 한강의 소설이 단순히 인물의 상처에 침착한 개인적 기록이 아니라 유려한 문체와 밀도 높은 서정을 동시에 보이고 있으며 발표 작품의 양적, 질적 수준도 문학사적으로 높은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총체적 평가가 필요하다고 본고는 보았다. 먼저 한강 소설에 나타나는 인물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고는 한강 소설의 인물들을 관통하는 공통점을 찾고 초기작에서 후기작으로 가는 동안의 인물의 변화 양상을 통해 한강 작품이 추구하는 주제를 살피고자 하였다. 내면에 잠재된 깊은 상처를 부인하지 못하고 상처가 일상으로 범람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불안과 고통에 빠지는 인물이 주로 등장하는 것이 한강 소설의 특징이다. 이는 근작인 장편소설 『희랍어 시간』에서부터 한강의 첫 소설집『여수의 사랑』에 이르기까지의 공통점이다. 한강은 소설에서 일상적이고 평화로운 삶의 이면에는 내밀하게 숨겨진 고통이 존재한다는 주제의식을 말한다. 초기작이 주로 과거의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인물을 그리고 있으며 후기작으로 갈수록 인물의 현재가 고통의 주원인이며 그 속에서 중심인물은 고립된 상태에 놓인다. 그리하여 후기작의 인물들은 주변 인물과의 소통불능에 빠지며 몰이해의 상태 속에서 고통 받는 양상을 보인다. 초기작과 후기작이 지니는 서술의 변화는 문체적 표현의 변화가 주를 이룬다. 한강은 어떤 제재를 다루더라도 자신만의 고집스런 스타일과 상상력, 주제의식으로 오로지 한강만이 빚어낼 수 있는 이야기를 쓰는 작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한강은 그가 등단한 90년대라는 당시의 문화적 상황과 문단의 흐름과는 다르게 고전적이며 서정적인 소설을 쓰며 주목받기 시작한다. 이야기의 전복이나 기존 소설 양식에 대한 조롱과 같은 90년대 문학의 흐름과 비추어봤을 때 한강의 소설은 이전 시대의 소설 모습을 닮아있는 점에서 고전적이라는 광의를 갖는다. 이후 한강의 소설은 후기작으로 갈수록 본래 자신이 지니고 있던 전통 서사에서 벗어나 파편화된 문체를 드러낸다. 근작에 이르는 동안의 새로운 변화는 인물의 심리적인 정황을 담기 위해 소설의 문체에 있어 이탤릭체, 의문문, 단문 등 다양한 표현을 활용하는 모습이다. 후기의 한강 소설은 견고한 문장 대신에 형식의 다양성을 이끌어내는 방법을 통해 인물의 내면을 밝히는데 주력하고 있는 것이다. 한강 소설의 결말은 진실 탐구의 과정을 보인다. 초기작의 경우 상처의 연원을 소설 속에서 밝히고 인물에게 상처의 연원이 주는 심리적 고통의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그를 통해 외면하던 과거와 상처를 마주봄으로써 고통을 이겨낼 수 있다는 희망을 말하는 소설의 결말을 보인다. 이는 소설 속 인물이 불화하고 있던 세계와 화해를 하기 위한 시도인 것이다. 후기작으로 갈수록 삶의 의지를 보이는 인물들로 변화가 나타난다. 소설의 시작에 있어서는 인물의 불안함에 서술의 초점이 맞춰지지만 결말로 발을 내딛기 시작하면 인물들은 삶의 의지를 보인다. 이는 이전의 소설과 변별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대로 한강은 인물 형상화와 서술 전략 그리고 결말의 양상 등을 통해, 고유한 문학 세계를 형성함으로써 독특한 작가적 면모를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서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하여 작가 한강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고 그의 문학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changes of epic characteristics which appeared on a piece of work, by analyzing the narrative of the novel aspects of the Han-Gang's novel. Depending on the time when novels were published, divided by early works and recent works, and looked about how the aspect of change and what characteristics having on time against character, description and ending. This paper looks into two reasons of the overall rating's lack about writer Han-Gang who obviously produced significant work in literary history. First, evaluation throughout literary work is too early because she is a young writer and showing active work activities. Second, ratings about Han-Gang has been concentrating on "Vegetarian" sequence novel. For this reason, the overall rating for the works of Han-Gang is not out yet. This article watched to need holistic assessment because presents work's level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having high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and Han-Gang's novels is not the personal record which was just digging in people's wounds, but showing high density lyrical and elegant style. In the first instanc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nge of characters that appears Han-Gang novels. This manuscript tried to search commonality piercing Han-Gang novel's characters, look about purposing theme of Han-Gang novel through the changes of personage while going from early works to later works. The special feature of the Han-Gang novel is mainly coming on person who cannot deny deep wounds which is hiding inside, fall into anxiety and pain while undergoing, one's hurts are flooding day-to-day. This is the common point of the full-length novel of recent work "Greek time" to "Love of Yeosu" the first novel of Han-Gang. Han-Gang is saying thematic consciousness in novels that there is the secret hiding pain on the other side of ordinary and peaceful life. Early works principally drawing peoples who cannot escape from wounds of the past, increasingly toward to recent works, the main reason of distress is the character's current and central figure placed in isolation in that situation. So people of recent work showing aspects that indulge in the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surrounding character and suffering pain in the lack of incomprehension. The transition of description from early works of recent works mainly forms changes of stylistic expressions. Han-Gang is evaluated that the writer who only Han-Gang can make a story by her stubborn style and imagination, thematic consciousness when dealing with any sections. Han-Gang begins to attract attention by making classical and lyrical novels unlike cultural situations and the literature circle's flow of the time when she started her literary career of 90's. Han-Gang's novel having the broad meaning of classic which is similar to former century's shape of the novel when compared with the 90's literature flows like overthrowing of the story and ridiculing on the traditional novel form. Toward the recent works, Han-Gang's novel reveals the fragmented literal style away from the traditional narrative that she was carrying. The new change while leading to recent work is the looks of using a variety of expressions in the style of Italic, Questions, Shorts, etc. for maintaining people's psychological conditions. Recent novels of Han-Gang is looks like to focusing on lighting inside of character not by sturdy sentence but by drawing a variety of formats. The end of Han-Gang novels is showing the process of exploration about truth. On early works, it is clarifying the origin of wounds in novels and showing the road of psychological pain that wounds were given to characters. Through that road, ending of novel saying hope that people can overcome pain by facing avoided past wounds. That is the attempt of the character in novel for reconciliation with a world which was discording. At the start of novel, focus of description in onto anxiety of character, but the story begins to go ending, peoples show willing of life. This is the point of discrimination with past novels. From above as this paper looked at, Han-Gang showing unique artistic aspects as shaping character, narrative strategies, and aspects of the ending as forming a unique literary world. This paper focused on narrative characteristics, analyzed the world of Han-Gang's work, and looked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which her literature having.

      • 민선지방자치시대 한강공원의 장소적 담론 연구

        조윤승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한강은 치수라는 명제와 다양한 정책적 요인으로 훼손되었지만, 도시와 연결된 한강은 여전히 우리에게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시대별 한강 개발에 의한 한강의 변화를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사회적 공간으로서 한강공원의 장소적 담론을 고찰해야 한다. 한강의 변화를 세 시기로 나누어, 공원 변화에 주된 영향을 미친 조성주체의 담론 변화와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담론 변화를 시기별로 비교하여 한강 변화의 사회적 의미를 밝혀내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더불어 향후 한강공원의 체계적 활용과 정체성 보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부수적인 목적이다. 이를 세 가지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강의 정치·사회·문화적 변인을 바탕으로, 변화를 주도한 조성 주체의 조성 담론과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 주체의 이용 담론의 변화를 비교·분석한다. 도시공간정책에 대한 선행 연구와 사회적 공간생산이론을 바탕으로, 각 담론을 사회 구조적, 장소적 관점으로 해석한다. 둘째, 분석을 위해 조성 담론은 계획보고서, 문헌자료, 신문매체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이용 담론은 설문조사, 면담조사, 현장관찰을 통해 수집하였다. 셋째, 담론의 변화를 파악하고 한강의 변화와 이용자 행태를 비교·분석하여 추후 정책과 이용관리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대를 일제강점기, 압축성장시대, 민선지방자치시대로 구분하고, 민선지방자치시대는 시장에 따라 5개 시기로 세분하였다. 시대별 연구 대상은 다음과 같다. 일제강점기는 중지도(노들섬)를 중심으로 한강 백사장 일원과 뚝섬유원지를, 압축성장시대는 현재 한강의 구조를 형성한 강변도로와 택지조성, 그리고 여의도 개발과정을 연구하였다. 민선지방자치시대는 1기의 여의도 공원, 2기의 난지한강공원, 3기의 서울숲 공원, 4-5기의 반포한강공원, 마지막으로 5-7기의 이촌한강공원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일제강점기에는 조성 주체인 식민정부가 한강을 주도적으로 활용하며 변화시켰다. 치수를 위한 제방사업, 근대식 교통수단으로 인한 접근성 향상으로 한강은 새로운 여가·문화공간으로 발돋움했다. 그러나 이 시기 이용 주체는 식민권력을 의식하여 조성 주체의 일방적인 정책에 수동적인 행태를 보였고, 이용 담론 역시 그 영향이 거의 없었다. 압축성장시대에 한강은 획일적인 경관 형성으로 자연미가 상실되었으며, 생태계도 파괴되었다. 조성주체는 국가주도의 발전주의적 공간정책을 일방적으로 실행했고, 이용주체는 인식은 가지고 있었으나 여전히 수동적이었다. 한편, 이용자 인식은 치수문제 해결과 고수부지 공원화에 관해서는 일치하였으나 자연성 훼손, 획일화된 공원 이용 등의 쟁점에 관해서는 상충되기도 하였다. 민선시정기에는 훼손된 한강의 자연성 회복과 이용자의 여가·문화활동을 강조하였다. 공원 디자인이 발전하며 다양한 경관이 창출되었고, 공원과 도시를 분리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공원을 도시 속 삶의 공간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민선4기의 한강 르네상스계획을 통해 한강은 단순한 여가공간을 넘어 경관적 랜드마크가 되었으며, 민선5기에는 시민참여가 강조되어 공원 조성부터 운영관리까지 시민들이 참여하게 되었다. 조성주체와 이용주체의 관계는 일방적 관계에서 협업을 통해 평등성을 확보한 균형적인 관계로 변화했는데, 이러한 특성은 민선 후기로 갈수록 두드러졌다. 한강의 자연성 회복과 관련하여 조성주체와 이용주체는 발전된 인식을 보였으나, 보행접근성과 공공성 확보, 주변 역사문화 공간과의 연계 등 극복해야 할 인식 역시 드러났다. 향후 한강공원 발전계획에 이러한 결과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민선4기의 대표공원인 반포한강공원과 민선5기의 대표공원인 이촌한강공원의 이용자 인식을 비교분석한 결과, 반포한강공원은 문화지향적 특성이, 이촌한강공원은 생태지향적 특성이 두드러졌다. 이 특성들의 균형을 유지하며 전략적으로 특성화하는 것이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한강공원을 조성하는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성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강의 변화와 관련 담론의 변화를 연구하였으며, 향후 한강공원 공간조성과 이용관리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앞으로 한강은 기후문제 등 각종 환경문제에 대응하며, 시민의 활동과 생태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나아가 생태, 그리고 역사와 함께 하는 여가·문화공간으로서 도시와 상생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Hangang River connected to the city still shows us various aspects although it has been damaged by water control and various policy factors. Therefore, in order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Hangang Riv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ri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atial discourses of the Hangang Parks as social spac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social meaning of the changes of the Hangang River by dividing its changing time into three periods and comparing the discourse change of the creators who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changes of Hangang Parks and the discourse change of the users using them. In addition, it is a secondary purpose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systematic utilization of Hangang Parks and the preservation of their identity in the future. These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based o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variables of the Hangang River,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iscourses of the creators’ who lead the changes of the parks and ‘the discourses of the users’ using the space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urban spatial policy and social spatial production theory, each discourse is interpreted from the social and spatial perspectives. Second, for analysis, the discourses of the creators were collected through planning reports, literature data, and newspaper media, and the discourses of the user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interview surveys, and field observations. Third, it i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ies and usage management plans by identifying the changes in those discourses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es of the Hangang River and user behaviors. For this purpose, the history of Seoul was divided in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era of compressed growth, and the era of popularly elected municipalities, and the era of popularly elected municipalities was subdivided into five periods according to each mayor. The research subjects of Japanese colonial era are the sandy beach of the Hangang River and Ttukseom Park centered on Jungjido (Nodeulseom), and those of the era of compressed growth are the riverside roads and housing sites that have formed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river,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Yeouido. In the era of popularly elected municipalities,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first period is Yeouido Park, the second period is Nanji Hangang Park, the third is Seoul Forest Park, the fourth-fifth period is Banpo Hangang Park, and finally the fifth-seventh period is Ichon Hangang Park. As a result of the stud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olonial government, the creators, took the lead and changed the Hangang River. It has emerged as a new leisure and cultural space due to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by modern transportation and the embankment project for water control. However, at this era, the users showed a passive behavior by the unilateral policy of the creators, conscious of the colonial power, and the discourses of the users had little effect either. In the era of compressed growth, the natural beauty of the Hangang River was lost due to the uniform landscape formation, and the ecosystem was also destroyed. The creators unilaterally implemented developmental spatial policy. Although the users had awareness of the river, they were still passive. On the other hand, the discourses of the users coincided with the resolution of water control problems and the conversion of the terrace land on the river into parks, but conflicted with issues such as damages to nature and uniform park uses. During the era of popularly elected municipalities, the restoration of the damaged nature of the Hangang River and the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of users were emphasized. With the development of park designs, various landscapes were created, and breaking away from the viewpoint of just separating the parks from the city, the parks were recognized as a living space in the city. Through the Hangang River Renaissance Project of the 4th period, It became a scenic landmark beyond a simple leisure space. In the 5th period, citizen participation was emphasized, and they participated in everything from park creation to operation and manag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ors and the users has changed from a one-sided relationship to a balanced relationship that secures equality through collaboration, and this characteristic becomes more pronounce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era. Regarding the restoration of the nature of the Hangang River, the creators and the users showed advanced perception, but the perceptions that need to be overcome such as securing pedestrian accessibility, publicity, and linking with the surrounding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s were also reveal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user perceptions of Banpo Hangang Park,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ark of the 4th period, and Ichon Hangang Park,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ark of the 5th period, the cultural-oriented characteristics of Banpo Hangang Park and the ecology-oriented characteristics of Ichon Hangang Park were prominent.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s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cally characterizing them will be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olicy to create Hangang Parks as social spaces. This study has studied changes of the Hangang River and related discourses,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reflected in the future Hangang Park space cre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In the future, the Hangang River must respond to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problems, and maintain a balance between citizens' activities and ecology. Furthermore, systematic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so that it can coexist with the city as a leisure and cultural space with ecology and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