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노현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reaches to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by background variable(the birth rank, academic career of the parents, income level, and income producer)? (2) are th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3) does it how be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academ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of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verify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self-report instruments were administered to 368 students in 5, 6 grade at elementary school in D metro city and 330 instrument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in this research.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scale which referred to the preceding research which the Lee Eun-Young(2006) revises and supplements was used. The academic engagement scale used 15 items in which the Choo Hun-Taek and Sohn Won-Sook(2011) adapted the UWES-S standard and which it remains against the high school student through the validity test. The academic achievement utilized T-score adds up the 4 subject(language, mathematics, society, and science) total score. Data processing required technical statistics to review general trends in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o see difference of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ne-way ANOVA was conducted, with correlation analysis as well to see whether the three variables are related. Lastl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lowing the proces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o see whether the academic engagement has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career of the parents and income level of the parents. Second,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lso,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academic engagement has partial mediation or complet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followings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search. First, it suggests necessity to concrete plan of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have the low academic career and low income level of the parents. Second, in this study, academic engagement has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So, students who do not get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 can be helped to increase their academic engagement.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cademic engagement increasing program. Third, academic engagement influences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so much, teachers and parents help students to increase their academic engagemen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참여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업참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배경변인(출생순위, 부모의 학력, 소득수준, 소득생산자)에 따라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업참여, 학업성취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참여, 학업성취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업참여가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배경변인(출생순위, 부모의 학력, 소득수준, 소득생산자)에 따라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참여, 학업성취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참여, 학업성취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업참여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하는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68명 중 불성실한 응답자와 시험 미응시로 학업성취를 알 수 없는 아동, 한부모 가정인 학생을 제외한 총 330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교육지원활동은 부모의 교육지원에 대한 선행연구(김경희, 1997; 김희복, 1992; 이지연, 1994; 최홍규, 1999)를 참고하여 이은영(2006)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였고 학업참여 척도는 Schaufeli 외(2002)가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Student Version; UWES-S 척도 17문항 중 추헌택과 손원숙(2011)이 번안하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여 남은 15문항을 학업참여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네 과목의 총점을 활용하였고 학년에 따라 검사문항의 난이도가 다르므로 T점수를 학업성취로 나타낸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version 18.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업참여 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합치도 계수인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업참여, 학업성취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출생순위, 부모의 학력, 소득수준, 소득생산자)을 실시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이 인식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참여,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학업참여가 초등학생이 인식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배경변인(출생순위, 부모의 학력, 소득수준, 소득생산자)에 따라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업참여, 학업성취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부모의 학력, 부모의 소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참여, 학업성취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참여, 학업성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업참여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학업참여 전체와 그 하위요소에 따라 부분매개효과 또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력과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 금전적 지원활동이 낮은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업참여가 부분매개 또는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업참여를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학업참여는 학생의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교사와 부모는 학생들의 학업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 경기 북부지역 중학교의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김희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경기 북부지역 중학교의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평가 계획, 평가 내용과 방법, 평가 결과 기록 및 활용으로 나누어 알아보고, 교과 시간에 장애학생 통합 여부에 따른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비교·조사하여 학업성취도 평가가 상대적으로 중요해지는 중등학교에서 나타나는 평가에 따른 문제를 개선하고 통합교육을 가속화시키는 방안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북부 지역 12개 중학교의 일반교과 담당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하여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묻는 설문지를 배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평가의 절차에 따라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계획 단계에서 소수의 교사만이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내용 및 방법에서는 평가조정이 이루어 지지 않은 채 일반학생과 동일한 내용 및 기준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 기록 및 활용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교사가 장애학생에 대한 평가 결과를 따로 점검하고 분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결과에 대한 활용 역시 매우 제한적이었다. 둘째, 중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담당교과 시간에 장애학생 통합 여부에 따라 비교한 결과 정기고사 평가조정과 통지표에 제공되는 정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과시간에 통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평가조정이 이루어지는 비율과 통지표에 제공되는 정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는 평가계획, 평가내용과 방법, 평가결과 기록 등에서 담당교과 시간에 장애학생 통합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되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여야 한다. 평가 지침은 평가 과정이 교육평가의 기본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가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평가 계획단계부터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단계까지 평가의 전 과정이 연계될 수 있는 국가 또는 시·도 단위의 구체적인 시행지침이 있어야 한다. 둘째, 통합학급 학업성취도 평가 관련자들의 평가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 분담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연구 결과,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 관계자들은 평가 과정에서 제한적으로 협력하거나 장애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책임을 통합학급 담임, 특수학급 교사와 공동 평가주체라고 반응하여 장애학생이 평가의 사각지대에 놓일 개연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있어 교사들 간에 평가 주체와 평가 협력자에 대한 인식 부족을 보여주는 것으로 관련자들의 평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평가 과정에서 특수학급 교사, 일반교사, 평가 업무 담당자, 학교 관리자, 교육청 관계자 등의 효율적인 역할 분담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평가 방법을 개선하여야 한다. 연구 결과 교수영역과 평가영역의 불일치로 인해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 장애학생의 학업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하고 일반학생과의 형평성에 어긋나지 않는 합리적인 평가조정 방안, 평가 기준, 평가 유형, 평가결과 처리 방법 등을 개선하여야 한다.

      •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연구

        권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대학환경풍토지각의 특성을 밝히고 어떻게 반영되는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둘째,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넷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와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서울에 소재한 4년제 Y대학교, S대학교, 강원도에 소재한 4년제 K대학교, Y대학교, 충청남도에 소재한 4년제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회수율은 89%였다. 이중 답변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하여 총 48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2.0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인 통계적 기법으로는 각 척도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 Cronbach's 를 분석하였고, 기술통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생들의 대학환경풍토지각은 성별, 학년, 전공, 학비충당방법, 경제적수준, 학교유형, 학교소재지에 따라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학년, 경제적수준, 학비충당방법은 대학환경풍토지각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은 성별, 학년, 전공, 학비충당방법, 경제적수준, 학교유형, 학교소재지에 따라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환경풍토지각과 같이 학년, 경제적수준, 학비충당방법이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에 있어서는 여학생일수록, 지방소재 학교일수록, 고학년일수록, 경제적수준이 높을수록, 장학금을 받는 학생일수록 학업성취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지각은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였으며, 이는 인구통계요인의 통제여부와는 상관없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성취수준에 있어서는 인구통계요인을 통제하였을 경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에 대한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첫째,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은 개인의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둘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는 학생의 지적 수월성과 정의적 행동의 형성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줌으로서 대학생활적응에 직ㆍ간접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는 주관적 학업성취수준을 설명하는 요인이 되지 못한다. 이는 개인적 특성이나 상황은 학업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나, 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환경풍토는 학업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primary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last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and to clarify the related element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scholastic achievement. Under these questions, the study set forth specific objectives as follows : ⑴ What's the differences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⑵ What's the differences to adapt college life of university students? ⑶ What's the differences in subjective scholast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⑷ Which factor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influence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lastic achievement?In order to achieve these questions, survey qu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490 university students from 5 different universities and 485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Cronbach's ,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e were conducted by SPSS 12.0 statistical package.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the preceding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lastic achievement are re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characteristic and condition.Second,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intellectual simplicity and affectioanl behavior in the other way, and consequently,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has become a huge factor i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directly and indirectly.Third,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is not a primary factor to subjective scholastic achievement. In other words, student's characteristic and condition are the primary factors but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is not predicted scholastic achievement.

      • 대전시 일반계 고등학생 학업성취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지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업성취도의 지역 간 격차는 어느 정도 존재하는가?' 라는 의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하였다. 학업성취도 자료 분석과 학업성취도에 따른 거주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사회.경제적 변수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 대전시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학력고사 자료를 표집하여 분석하고 거주지 동별로 지도화하였다. 그리고 대전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조사 자료를 검토,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 자료를 가지고 거주지 특성과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왜 그런 관련이 나타나는지를 연구관련 주요지역에 대해 현지답사를 실시하여 해석하였다. 부모의 학력과 수입, 교육지원 정도, 학생의 학교생활, 부모와 친밀도, 통학거리, 통학 시 교통수단 등의 변수를 가지고 거주지 동별로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연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유성구, 서구의 각 동이 중구, 대덕구, 동구의 각동의 학업성취도에 비해 언어, 수리, 외국어, 사회탐구, 과학탐구 영역에서 높게 나타나 지역격차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통학거리 보다 통학 시 교통수단이 무엇인가에 따라 학업성취도 격차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통학거리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다는 기존의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교통수단 중 임대승합이나 자가용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사회.경제적 배경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부모의 학력이 높고 수입이 많을수록, 부모와 친밀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학력과 수입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넷째, 문화시설이 많은 지역은 학업성취도가 높았고, 자녀를 동반하여 문화체험 활동을 많이 하지 못한 부모의 학생들은 학업성취도가 낮았다. 그리고 학생들은 학교 교사와의 친밀도 보다 친구와의 관계를 중요시 하였고 성적향상에 친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외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초 학력 보충 때문이라고 답하였으며, 학부모들은 교육격차가 생기는 원인에 대해 학생의 기초.기본 학력이 부족하여서라고 답하였다. 자녀교육비는 가정수입을 고려하여 알맞게 지원하고 있었다. 대전시 동.서의 거주지 간 학업성취도 격차는 교육 및 문화시설을 균형있게 배치하면 완화될 것이다.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대전시 전체 동을 대상으로 한 획일적인 교육정책보다는 거주지 동별로 부족한 시설을 보충하고, 보완해 갈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이 한다면 대전시의 공간적 학업성취도 격차는 줄어들 것이다. This study began with a inquire, 'what extent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residential areas exis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ademic achievement data, to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in connec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of various socio-economic elements. For this study, achievement test data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c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residential areas were mapped based on district. A set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to students and parents of Daejeon city general schools and survey resul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With academic achievement data, the relation between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and key elem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reasons of such relation were analyzed through on-site survey on the researched areas. In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various elements such as incom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supporting ability of parents, student's school life, intimacy with parents, transportation distance, and transportation means were studied in connection with residential distri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Yuseong-gu and Seo-gu were higher than those of Jung-gu, Daeduk-gu and Dong-gu in the subject of language, mathematics, foreign language, society, science, and achievement gap between residential areas showed very severe. Second, achievement gap showed higher in terms of transportation means, rather than transportation distance. This result wa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that the relation between transportation dist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s hig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ho are using rental bus or private car were high, and this result showed the importance of socio-economic background. Third, academic achievement were showed high when parents hav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more income, and close intimacy with children. Specially.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of parents were influenced very much for academic achievement. Four, the area where have sufficient cultural facilities showed high academic achievement, but students who have parents enjoying little cultural activities with children showed low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showed that intimacy with friends are very importance rather than school teachers, and friends are influenced deepl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e principal reason that students are doing out-of-school studies was to elevate their poor fundamental scholastic. Educational expenses were supported properly in proportion to family income.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east and west area in Daejeon city will be reduced i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are arranged in balance. To reduce regional gap of academic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nsufficient facilities of each regions, rather than uniform education policy over Daejeon city. With these activities, spatial academic achievement gap of Daejeon city will be highly reduced.

      •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가정·환경·사교육·학습태도)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북구의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선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각급 학교의 진급과 진학과 졸업 등 교육선발과정에서 가장 중시하는 판단의 기초는 학생의 학업성취수준이다. 학업성취수준은 앞 단계의 교육과정을 어느 정도로 학습했는가를 나타내는 평가 자료인 동시에, 다음 단계의 과정을 제대로 이수할 수 있는 학습기초를 갖추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예측자료이기도 하다. 그리고 흔히 한 사람들의 총체적 능력을 가늠하는 척도로도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 학업성취는 상급학교 진학에 큰 영향을 주며 교육기회의 분배와 직결되는 요인임은 물론 장차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육에 관계되는 학생들, 학부모, 교사들에게 학업성취는 가장 큰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의 결정요인은 지능, 가정환경, 학교환경, 사회환경, 사교육, 학습태도와 같이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가정환경, 사교육,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육의 질적인 향상에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과 관련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가정환경이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다. 나.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다. 다. 학습태도가 학업성취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다.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가정의 지위환경, 구조환경 및 과정환경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사교육은 학업성취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가정의 지위환경에 따라 사교육정도는 달라질 것이다. <가설 4> 학생의 학습태도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5>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의 하위요인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근거로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측정도구를 제작하여 울산시에 소재하는 1개 인문계 고등학교, 1개 실업계 고등학교, 46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과 상관분석을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가지고 분석결과를 종합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지위환경은 물리적인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소는 아님을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흔히 가정의 물리적인 요소가 뒷받침 되면 자녀의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것으로 사람을 인식하고 있으나, 인문계학교와 실업계학교를 각각 분리해서 연구를 해보면 흔히 알고 있는 상식과 일치 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문계에 재학 중인 학생이나 실업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가정의 물리적 환경이 대동소이하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이나 상식은 항상 고정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임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구조환경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문계 학교와 실업계 학교 사이에는 구조환경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미묘한 차이를 보이기는 하되, 근본적으로 학습자를 위해 배려를 해주는 경우나 가정의 분위기를 따뜻하게 조성하는 것, 가족구성원간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동질적으로 적용되는 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정에서는 자녀가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 물질적인 요소를 충족시켜주기 보다는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지게 하거나 가족 구성원간에 일체감을 가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과정환경의 경우는 인문계의 경우와 실업계의 경우에 각각 다르게 적용되었는데, 인문계의 경우에는 과정환경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인문계 학생의 경우에 과정환경요인에 따라 학업성취도를 분석하면 학습자 자율에 맡기는 것이 부모가 간섭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의 가정에서는 공부하라고 독촉하거나 야단을 치는 경우가 많은데, 가정에서는 학습자가 자기의 의지와 계획대로 공부하도록 하거나 무리한 야단을 치지 않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가정에서 부모는 학습의 주도자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학습계획을 실천하고 자기의 행동에 책임지도록 조력자 역할을 해야할 것이다. 실업계 학생의 경우에는 과정환경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는데, 이것은 심리적 환경이 학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실업계학생의 특성 때문에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실업계 학교는 대학진학의 목적은 소수이고 대부분의 경우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습자는 학업성취보다는 취업에 관련된 교육에 더 의의를 둘 것이다. 따라서 가정이나 학교에서는 실제에 도움 줄 수 있는 교육을 장려하고 실업계 학생이 가진 목표에 도달 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고 관심 가져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사교육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과외가 학업성취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영어·수학의 경우에 전체 학생의 3분의 2가량이 사교육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는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 사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얘기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더 많은 연구는 다른 논문의 과제로 남기기로 하겠다. 셋째, 과외학습의 경우 부모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과외정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소득수준이 낮더라도 과외를 시키는 비율이 높은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교육비의 과열로 우리사회의 문제점이 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사교육이 줄어들 수 있는 방안을 세우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가정에서는 자신의 자녀를 무리하게 사교육을 시키지 않도록 하는 자세를 가지고. 학생들은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는 학습습관을 길러야 할 것이다. 넷째, 학습자 태도가 어떠하냐에 따라 학업성취의 차이는 그 어떠한 요인보다도 큰 차이가 있음을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는데, 학습에서 제일 중요한 요인은 바로 학습자 자기 자신이다. 집안의 분위기가 좋거나 가족구성원간에 일체감을 가지고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학업성취에 도움을 주는 요소임에 틀림없으나 모든 조건이 잘 구비되어 있더라도 학습자가 의욕이 없거나 공부에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모든 것은 별 소용이 없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는 자신이 학습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가지도록 노력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3 types of variables on a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amily environment (status variables, structural variables, procedural variables), private tutoring and students' attitudes. A sample of 401 students was collected from an academic high school and a business high school located in Buk-ku, Ulsan. Respondents from the two schools are 273 and 128 respectively. Analyses using T-test and correlation revealed 1) while status variables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from the academic high school, the variables have moderate and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from the business high school; 2) structural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from both schools; and 3) procedural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from the academic high school only. Private tutoring, as expected, was found to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is finding, however, is limited to th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attitudes such as concentration in class and personal effort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from both schools.

      • 청소년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언어지능과 다중지능의 관계 및 뇌파분석

        박경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intelligence and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s, 2) to analyzed to differences of brain wave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s. Data were to collected from 300 2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150 elite students are mostly first and second best student in class and another 150 students with inferior scores at school in Seoul. In addition, 20 students with superior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linguistic intelligence and another 20 students with inferior academic achievements and linguistic intelligence were given a test of bran waves.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e study wer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by SPSS 12.0. BrainMap-3D was also used for the process analysis of the brain-wave te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brain activ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linguistic intelligence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s were in order like; Writing (superior group M=25.70, inferior group M=10.34) > Reading (superior group M=278.27, inferior group M=12.98) > Listening (superior group M=27.76, inferior group M=12.72) > Literature (superior group M=25.78, inferior group M=12.05) > Speaking (superior group M=21.78, inferior group M=15.28). 2) The differences in subordinate categories(literature, speaking, reading, listening and writing) of linguistic intelligence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s(superior group and inferior group) were as follows: ① In the category of literature, the degree of the excellent vocabulary ability, understanding ability for literary books and fast understanding about data of actual linguistic inform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perior group. ② In the category of speaking, the degree of the excellent expression ability, a temperate linguistic description ability and a superior linguistic description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perior group. But the other students with inferior academic achieve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inferior levels of investigation ability, expression ability and even fluent linguistic description ability. ③ In the category of reading, the differences in the reading, complicated knowledge beyond their levels, concentration and investigation abilities were highly performed in a high level group on the academic achievement. ④ In the category of liste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 with different scores lie on the fact that the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s have an excellent instantaneous reactionary ability to grasp the intention and practiced to listen to others' opinions. ⑤ In the category of writing, the degree of writing, observing and recording by utilizing various mediu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per group. 3) The difference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between groups were in order of logic mathematic intelligence > self-realization intelligence > human relationship intelligence > musical intelligence > spacial intelligence > physical intelligence, showing a big gap between every category of intelligence. 4) The multiple intelligence in lower academic achievement group were closely correlated the subordinate categories of linguistic intelligence. 5) The levels of brain waves of the students in the superior-score group are remarkably higher than the inferior-score group in the perception intensity and the perception speed. 6) All the students with both superior and inferior academic achievements were generally much more used the left brain. The directions of the future assign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as follows: 1. To increasing the linguistic intelligence of the youth, the education policy should be positively supported for developing the linguistic intelligence program. 2. In order to developing youth multiple intelligence,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their own specialties and aptitudes should be made in every school. 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be developed innovative policies for the improvement of youth linguistic intelligence. Also, the recurrent education for the linguistic educations teachers should be reinforced to helped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each student. so that individually-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may be accomplished. 4. In the further studies, it is need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s of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5. The brain waves testing for searching the intelligence should be more positively conducted for the solved the youth cognitive problems. 본 연구는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언어지능의 하위영역과 다중지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뇌파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중학교 2학년 학생 중 각 반에서 1등과 2등 학생으로 선발한 150명과 전교 하위권 학생 150명을 선발하였고, 학습 능력별로 선발된 총 300명에게 쓰기, 말하기, 듣기, 읽기, 문학으로 세분화한 청소년 언어지능 검사와 다중지능 검사를 하였다. 그리고 학업성취수준과 언어지능이 뛰어난 20명과 학업성취수준과 언어지능이 낮은 20명의 뇌파 검사를 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SPSS 12.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증, 그리고 다변량분석을 하였다. 뇌활성화정도를 보기 위한 뇌파검사처리분석은 BrainMap-3D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언어지능의 수준차이는 쓰기(상위집단 M=25.70, 하위집단 M=10.34) > 읽기(상위집단 M=28.27, 하위집단 M=12.98) > 듣기(상위집단 M=27.76, 하위집단 M=12.72) > 문학(상위집단 M=25.78, 하위집단 M=12.05) > 말하기(상위집단 M=21.78, 하위집단 M=15.28)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수준별(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 따라서 언어지능의 차이를 하위영역별(문학, 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영역)로 세부 변인간에서는 어떻게 다른지를 항목별로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문학영역의 경우 성적이 우수한 집단의 경우에는 또래에 비해 탁월한 어휘력을 갖고 문학책을 잘 이해하는 능력 그리고 실제적인 언어정보 자료의 빠른 이해와 회상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학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이고 있었다. ② 말하기 영역에서는 학업성취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을 적절히 표현하는 절제된 언어구사능력과 함께 표현력과 우수한 언어구사능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 학업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주제에 대한 탐구력과 표현력 그리고 유창한 언어구사능력에서도 비교적 열등한 수준에 처해 있어 이러한 능력을 키워주는 시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③ 읽기 영역에서의 차이는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글을 읽는 과정에서 문법이나 문장의 추구하는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준비가 매우 잘되어 있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고, 또 자신의 수준을 뛰어넘는 어렵고 복잡한 지식이 함유된 내용도 잘 이해하려는 집중력과 탐구력이 높은 수준에서 결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④ 듣기 영역에서의 성적집단 간 차이는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타인의 지시에 대한 정확한 의도와 지시의 요점을 파악하는 순발력이 뛰어나며 동시에 타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듣는 훈련과 연습이 잘 되어 있기에 이를 기반으로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력을 정확히 가리는 힘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쓰기영역에서는 학업성취 수준이 우수한 학생은 쓰기 영역에서도 여러 매체를 활용하여 글쓰기라든지 관찰, 기록 등과 같은 능력이 탁월한 반면 그렇지 못한 학생들은 관심분야나 호기심을 쓰기와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었으며 매체를 활용하여서도 단지 시각적인 측면에 활용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업성취수준에 따라서 다중지능의 하위영역간에는 학업성취가 높은 학생들은 논리수학지능 > 자아성찰지능 > 대인지능 > 음악지능 > 공간지능 > 신체지능의 순으로 각 지능의 영역 간에 큰 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적 집단별로 언어지능 하위요인과 다중지능 하위요인간의 관계성적 상위집단의 경우 언어지능과 다중지능간의 상관이 없거나 낮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성적 하위 집단의 경우 언어지능의 하위영역과 다중지능간에 밀접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업성취수준에 따라서 뇌파수준은 성적 상위집단 아이들이 성적 하위 집단 아이들보다 인지 강도와 인지속도에서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체적으로 보면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 모두 전반적으로 좌뇌를 더욱 더 많이 사용하여 편중된 뇌를 사용함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습은 우리 사회의 학문구조에서 수리력, 계산력 등과 같은 사회적 요구에 대한 필요성을 학생들이 더욱 크게 인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좌뇌의 관련요인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욱 크게 부여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과제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언어지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은 각 학교에 위임하는 소극적인 차원에서 벗어나 종합적이고 적극적인 교육정책 수단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들이 다중지능 계발을 위해서는 특기와 적성을 스스로 찾을 수 있는 문화적이고 교육적인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언제 어디서든지 교육 자료를 확인하고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DB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청소년의 언어지능 향상을 위한 획기적인 정책을 개발해야 하고, 개인별 맞춤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언어교육 담당자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노력이 제고되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도에 따른 언어지능과 다중지능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유아와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따라서 분석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능이 뇌와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뇌와 연결하여 과학적 지능 검사를 하는 경우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았다. 앞으로는 뇌와 연결하여 좀 더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정현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검증하고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4. 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5. 중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6. 고교생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설명해 줄 것이다. 가설 8. 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설명해 줄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 소재 중학교 2학년 195명, 고등학교 2학년 184명 총 379명을 표집하였다. 선정된 379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검사, 학업적 자아개념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는 해당 학교에서 실시한 국어와 수학과목의 1학기 종합성적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 기법은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중ㆍ고교생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적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압력보다 학업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적 자아개념의 향상은 학업성취도 향상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relationship there was among the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their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what influence their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elf-concep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79 students selected from four secondary schools in Wonju city, Kangwon province. They included 195 eighth graders of middle school and 184 high school juniors. They took two tests i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elf-concept. As for academic achievement, their total first-term grad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were adop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0 program,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n'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academic self- concept. Second, the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academic self-concep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urth, the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elf- concep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made a significant prediction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other words, the students had a tendency to be a better performer at school when they found themselves to face a more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their academic self-concept was more excellent. Specifically, academic self-concept had a bigger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did. Consequently, it could be said that improved academic self-concept might more successfully lead to better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 학업증진 집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자아개념,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선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업증진 집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자아개념,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 선 주(2008426003) 본 연구에서는 학업증진 집단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학업자아개념,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학업에 소극적이거나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는 학생, 학업동기가 낮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며, 건강하게 성장하여 성인기 성공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하도록 자신의 시간과 삶을 관리하고 주인으로 살아가도록 돕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의 학업증진 집단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한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한 C중학교 3학년 전체학생 48명중 실험집단 24명과 통제집단 24명, D남자 중학교 3학년 희망자 중 실험집단 22명과 통제집단 22명, 총 실험집단 46명과 통제집단 46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부터 6월까지 8주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학업증진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학교 수업의 하나인 특활활동을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송인섭(1983)이 만든 자아개념 검사에서 하위요인인 학급자아개념, 능력자아개념, 성취자아개념 3개의 변인을 추출하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전과 사후 신뢰도는 Cronbach's Alpha=.897과 .911 이었다. 학업동기는 Herman(1970)의 성취동기검사를 참고하여 염재필(1999)의 학업동기 검사지를 연구 대상 학생인 중학생의 수준에 맞게 몇 가지 예문만 수정하여 5단계 척도에 따라 반응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전과 사후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07과 .882 이었다. 학업성취도는 연구 대상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는 학교에서 실시한 전 학년도 2학기 기말고사와 본 학년도 1학기 기말고사의 점수를 비교하여 학업성취도를 평가하였다. 국민공통 기본 교과목 가운데 학업성취를 위한 핵심적 교과목인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교과의 평균성적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χ2-test, t-test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증진 집단 프로그램 전&#8228;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자아개념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학업자아개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에서는 학업자아개념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프로그램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자아개념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업동기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학업동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에서는 학업동기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프로그램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동기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업성취도에서는 수학과 사회점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수학과 사회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에서는 수학과 사회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학업증진 집단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학업자아개념, 학업동기에 영향을 주었고, 학업성취도는 수학과 사회점수가 향상하였으며, 나머지 과목인 국어, 과학, 영어에서는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평균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업증진 집단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정신적, 실제적 도움을 주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부모의 성취압력과 인지전략, 학업성취의 관계분석 : 학업적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

        홍은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생들의 자기결정 동기유형인 자율적, 통제적 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학생들의 자율적, 통제적 조절을 매개로 수학학업성취와 인지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의 부모의 성취압력척도, 자기결정성동기척도, 인지전략척도, 수학학업성취를 분석하였다.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과 통제적 조절을 통해 인지전략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방식으로 양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하기 위해 부분매개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잡고 이에 대해 완전매개모형과 직접경로모형을 대안모형으로 설정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해 모형의 양호도를 비교 검증한 결과, 인지전략과 학업성취 모두 다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통제적 조절, 자율적 조절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율적 조절은 인지전략과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적 조절은 인지전략과 학업성취 모두에 별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부모의 성취압력이 자기결정성 동기와 인지전략, 학업성취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보인 본 연구 결과는 성취압력은 자율성을 높이거나 낮추는 선행변수는 아니었지만 자기결정성 동기 중 자율적 조절을 높였을 때 정의적 성취에 있어서도 바람직하며 학업성취와 인지전략 사용에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도 정적인 영향을 주어, 간접 효과를 주지 못하는 통제적 조절보다 더 높은 인지적 성취의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 성취목표와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의 예측관계

        권정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과목에 따른 성취목표,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의 예측관계를 알아보고,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수학과 영어 과목으로 분류하여, 고등학교 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설정한 성취목표,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간의 예측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수학에서는 숙달접근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이며, 수행접근이 가장 낮은 평균값을 보인 반면, 영어에서는 수행접근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이고, 숙달접근이 가장 낮은 평균값을 보이는 차이가 드러났다. 수학과 영어 모두 개인적 흥미가 상황적 흥미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으나, 영어가 수학보다 흥미와 자기조절학습의 평균값이 높았다. 둘째, 수학에서는 성취목표가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와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영어에서는 수행회피가 교과흥미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선행연구와 상반되는 결과에 따라 수행회피의 문항 중 이질적인 문항을 삭제한 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행회피와 자기조절학습과의 상관 정도가 낮아졌으며, 학업성취와도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문항을 삭제한 자료를 바탕으로 실시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수학과 영어에서 성취목표는 교과흥미에 다른 예측력을 보였다. 수학에서는 숙달접근과 수행회피가 교과흥미에 정적 예측력을 보인 반면, 영어에서는 숙달접근만이 교과흥미에 정적 예측력을 보였다. 수학에서는 숙달접근, 수행접근, 교과흥미가 자기조절학습에 정적 예측력을 보인 반면, 영어에서는 수행회피가 부적 예측력을 보였다. 수학은 수행접근,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강한 정적 예측력을 보인 반면, 영어는 자기조절학습, 수행접근, 교과흥미 순으로 예측력을 보였으며,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부적 예측력을 보여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교과흥미와 자기조절학습은 매개효과 검증 결과, 수학과 영어에서 교과흥미가 숙달접근, 자기조절학습에서 매개효과를 갖고, 자기조절학습은 영어에서 수행접근과 학업성취, 교과흥미와 학업성취에서 매개효과를 갖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성취목표는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에 예측력을 갖고 있으나 그 양상은 수학과 영어 과목에서 부분적으로 상이하였으며 선행 연구와 반대되는 결과도 제시되었다. 또한 과목에 따라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대학 입시를 앞둔 우리나라 고등학교 여학생이 갖는 과목별 학습 동기와 전략 사용을 이해하고, 향후 교과에 따라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