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조 후기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전개양상 연구 : 연암소설과 판소리계 소설 중심

        신태철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773

        조선조 후기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전개양상 연구 본 논고에서는 조선조 후기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전개양상을 양반 작가인 연암의 소설과 동시대의 서민의 작품이라 할 수 있는 판소리계 소설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의 모순과 양반관료들의 인간상 및 서민들의 삶의 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풍자란 현실에 대한 부정적 비평적 태도에 근거를 두고 인간의 제도나 인간과 사회의 악행, 우행, 모순, 불합리 등을 냉소적으로 비난 공격한 후에 이면에는 교정이나 개량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당시의 사회상을 보면 조선의 봉건사회는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서민의 가혹한 수탈에 의지하여 계속 유지되면서 계층간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더구나 양란을 겪으면서 조선사회가 근원적으로 안고 있는 제도적, 내부적 모순이 허물어지게 되었다. 지배 논리가 위협당하고 스스로 지배의 한계성을 노출시켰으며 일반 민중의 각성과 자아 의식의 생성으로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음에도 지배계층의 횡포와 탄압은 곳곳에서 자행되었으며 이러한 불합리와 모순, 부패 등을 문학을 통해서 폭로하고 조소하였다. 연암 소설에서의 풍자성을 대상, 내용, 표현과 표기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풍자의 대상은 개인에서 집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집단이나 집권층에 집중이 되었으며, 둘째, 몰락해가는 이조 양반들의 위선적인 생활을 폭로하고 조롱을 통한 권위의 추락과 신분의식의 변화를 풍자하고 비판했으며 아울러 피지배 계층의 진솔한 인간성과 분수에 맞는 생활을 표현하였다. 셋째로 표현면에 있어서는 양반계층의 부정과 무능 비합리성을 자기 모순과 자기반성을을 위한 아이러니와 냉소, 풍자적인 수법을 이용하였다. 끝으로 표기면과 독자층에서 국문이 아닌 한자로 기록되어 일반 민중들이 접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며 작가의 능력으로 보아 국문표기도 가능했겠지만 작가 자신을 포함하는 특권층의 자기반성의 방편으로 삼고자 한 의도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판소리계 소설에 대한 풍자성을 요약한다. 첫째, 풍자적 수법은 골계와 해학의 웃음을 동반한 차원 높은 풍자를 보이고 있는 바 특히 ‘배비장전’과 ‘춘향전’ 완판본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로 세속적 인간상에 대한 풍자로 양반의 형상은 연암의 양반과 별 다를 바 없지만 양반계층에게 갖은 수모와 끝없는 추락을 통해 원상회복 없이 마무리한다. 또한 풍자의 대상들에게 이상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끝으로 판소리계 소설에서의 풍자는 선의 측면인 상놈과 악의 측면인 양반의 구조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상의 풍자성 전개양상을 통해 조선조 후기 사회에 나타난 사회의 모순과 양반관료들의 인간상, 서민들의 진솔한 생활상 및 의식을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help understanding a satire in the late period of Choson Dynasty's novels. First, I observed the concepts of the satire in many angles for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a satire and researched the motivation and the reasons to emerge the satire in the late period of Choson Dynasty's novels. For instance, in Yeon-am's novels the satire is observed by the point of view of indivisual, periodical, and Silhak thoughts. I chose three satirical novels of Yeon-am's and described them using the plot, representation, objects of satire and critical attitudes. especially through the satire in the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s I observed the notion of it, categories, emerging of facts and studied the satire of 'Chunhangjeon' and 'Bebijangjeon' novels. The main stories are briefly summed up as follows. 1) The satire is the method and art of literature based on negative attitudes of real life, using contradiction, absurdity and stupidity attack human society or social situation afterward it's inner purpose is changed to reform or revise them. 2) In the Korean society, or Oriental countries the origin of the satire is a strong urge to the ruling classes' misdeeds , while in the western society it is originated from Latin word 'Satura Lanx' meaning baskets for the first products fruits a year is a anti-literature form such as various arts and crafts . 3) The traits of satirical literature are based on real life, in deeper meaning it's a social literature form and is accompanied by humors. In addition it's intention is to reform the society and gives the lessons. 4) The motivation of satire expressed in Yeon-am's novels is a in the indivisual situation point of view, his family's falling to the poverty and his upright view of womanhood b. in the periodical situation point of view, after two wars with Japan and China there were people's decline in the standard of living, monetary economy and handicraft manufacturing. c. the new spirits for instance, critical attitudes,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consciousnesses were budded from birth of 'Silhak'. 5) When we observe the traits of satirical literature in 'Heosengjeon' and 'Yangbanjeon' a. Both are stories to satirize and criticize the aristocrat's formalistic and hypocritical life using two characters b. Through Heoseng's commercial business, he criticized those days' social, economic, political absurds ,which was facts of social condition that monopoly was possible. 6) The notions of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s and its emerging facts are a. because common people of Choson Dynasty couldn't protest against aristocrat's power, borrowing literature disclosed and sneered at ruling class's rottenness b. its emerging facts are first because of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industry there were changes in social position. Second, falling down of the breach of discipline in the central government third, with the development of monetary economy and handicraft a sense of class distinction was emerged ,which is also one factor of budding the mass of people's awareness

      • 李箕永 小說의 諷刺性 硏究

        심연무 全州又石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725

        1930년대에 창작된 이기영 소설의 풍자성을 살펴보았다. 1930년대의 일제의 폭압적인 황민화정책에 의해 우리 민족은 말살의 위기에 처했으며, 전쟁수행을 위한 군수물자의 수탈로 한반도의 궁핍화는 더욱 가속화 되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치, 사회, 경제, 종교, 문화계의 저명한 지도자들 가운데 일부는 친일로 기울기도 하였다. 문단적으로는 순수문학의 대두와 카프의 해체가 있었고, 가혹한 일제의 검열은 작품에서 현실에 대한 작가의 주관이 개입된 일체의 정치성 있는 태도를 철저하게 배제하였다. 특히 정치성 강한 집단이었던 카프의 해체와 그 맹원들의 사상적 전향은 그들의 창작태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카프의 주도적 인물이었던 이기영 역시 이러한 상황과 무관할 수는 없었다. 최재서를 비롯한 박영희 등 일부 평론가들은 이 시대의 창작에 대한 대안으로 풍자문학을 제시하게 되며, 이와의 관계유무에 불구하고 이기영도 「인간수업」을 시작하여 풍자성이 짙은 작품들을 쓰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기영의 풍자소설을 그 대상에 따라, 첫째, 진보적 지식인의 좌절고과, 몰역사적인 소시민적 지식인의 부정적 세태를 풍자·비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지식인에 대한 풍자 둘째, 일제치하의 식민지 현실과 일제에 예속된 자본가에 대한 풍자 셋째, 종교를 앞세워 일신의 영화와 안락만을 추구하는 위선적인 목사나 신도들에 대한 풍자의 셋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지식인에 대한 풍자는 「인간수업」의 현호, <고물철학>의 긍제, <유한부인>의 혜원 등을 통하여 드러나고 있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인간수업」은 풍자의 형식이 세르반테스의 「동키호테」와 흡사한 독특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처음에는 풍자의 대상이 되었던 주인공이 결말에 가서는 바람직한 긍정적인 인물로 변화해 버린다. 이는 풍자의 본령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서, 이점은 그의 작품에서 풍자성을 약화내지는 소멸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점은 이기영 풍자소설에서 나타나는 특성의 하나이며, 발생요인은 아래와 같이 몇가지 면에서 살필 수 있다. 첫째는 그의 사상적 전향에서 오는 것으로 강요된 사상의 전향은, 현실과 그 현실에 대한 이념의 혼란을 가져와 그와 같은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면에서는 사회주의리얼리즘에 충실했던 작가가 「고향」의 김희준과는 또 다른 지식인의 전형을 창조하려 한데서 그런 괴리가 왔다고 생각된다. 덧붙여 작가나 당시 문학이론가들의 풍자문학에 대한 피상적이고 안일한 이해도 위와 같은 결과를 가져 왔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점들은 이기영 소설의 주인공인 지식인들이 풍자의 대상으로서만이 아니라 작가와 부합되는 의식을 지닌 인물이 되면서, 그의 소설에서 자식인의 자기풍자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식민지 현실 및 브르조와 풍자에서 작가는 도서빈민들과 유랑민으로 가득찬 주막집의 복로방과 도로공사장을 통하여, 일제의 수탈로 궁핍화된 당시 식민지 현실을 상징적으로 잘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도로공사장에서 일하는 현호는 그 시대의 본질적인 면을 직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는 작가의 견고한 계급의식에서 오는 것으로 민족의 현실보다는 계급투쟁에 더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계급의식은 관념의 노골적이고 직접적인 주입을 가져와 작품의 현실성과 풍자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고 본다. 또 금융자본가인 현석준에 대한 풍자는 「고향」의 안승학에 훨씬 못 미치는데 이에 대하여 김남천은 이기영의 체험과 생활의 일면에서 오는 것으로 그가 도시적인 것보다 농촌적인 것을 다루는데 뛰어났다고 밝히고 있다. 이점 또한 그의 풍자문학의 한 특성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그의 풍자문학의 특성은 그의 문학세계가 우리의 전통적인 고전문학과 접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그가 어린시절에 고대소설과 신소설에 심취했다는 자전적인 기록으로 보아 의당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보인다. 끝으로 기독교에 대한 그의 풍자를 보면 매우 혹독하고 신랄함을 볼 수 있다. 원래 종교의 거룩한 면과, 속물적인 종교인이 이를 따르지 못하는 데서 오는 모순 때문에, 종교가 종종 풍자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이기영의 기독교 풍자는 투철한 계급사상으로 무장된 철저한 사회주의자로서, 종교에 대한 반감이 그대로 드러난 듯하다. 여기에 그가 기독교 계통의 학교에 교원으로 근무했었다는 점과, 당시 저명한 기독교 지도자의 일부가 친일적인 행태를 보인데 대한 지탄과 혐오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풍자의 요인이 된 듯하다. 이상과 같은 풍자의 특성은 그의 동시대에, 같은 상황하에서 작품 활동을 했던 채만식 등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채만식은 식민지적 상황에서 좌절하는 지식인들과, 일제에 순응하는 기회주의적인 인물들을 풍자의 대상으로 삼고, 마치 유격전을 전개하듯이 풍자를 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1930년대 현실을 효과적으로 풍자함으로써, 당시 현실을 부정하고, 개혁되어야 할 것으로 보는 견실한 작가의식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기영은 계급의식의 과잉에서 오는 생경한 관념의 직접적인 노출로, 풍자의 대상을 모호하게 만들고, 풍자의 효과도 반감시키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생각된다. 투철한 사회주의자로써 그가 굳게 견지한 계급성과 당파성은 그의 작품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풍자성이 짙은 작품들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는 문학을 계급투쟁의 무기로 생각하는 프로문학의 목적성에 투철한 것으로, 작품을 획일적이고 도식적인 경향을 갖게 만든다고 볼 수 있다. 카프의 대표적인 작가로 내세울 수 있는 그의 작품과 다른 카프작가들 예컨대 김남천, 한설야 등의 작품은 또 다른 차이를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즉, 이기영의 작품은 김남천이나 한설야 등의 작품보다 더 사회주의리얼리즘의 창작방법에 충실한 도식적이고 획일적인 점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월북후 그의 행정이나 작품에 대하여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러한 사회주의 문학이 갖는 예술상의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그의 풍자작품은 일제하의 그 혹독한 현실에도 굴복하지 않고, 현실의 모순과 질곡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자신의 삶과 시대의 과제에 대해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모습을 여실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분단이 극복된 후, 남과 북의 문학이 한자리에서 허심탄회하게 논의될 때, 그 당시 현실도피나 변절로 얼룩진 우리 문학사에 하나의 새로운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으리라 본다. 이상으로 1930년대 후반에 창작된 이기영의 작품들에 나타난 풍자성을 규명해 보았으나 소루하기 짝이 없어 시급히 수정, 보완할 점이 많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그의 작품에 나타난 도식성의 문제나, 사회주의와 민족주의의 관계는 좀 더 천착해보고, 논의할 필요가 있으나 뒷날로 미룬다.

      • 高麗假傳體作品에 나타난 諷刺性 硏究 : 東文選 所載 作品을 中心으로

        정병한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710

        우리의 古典 諷剌文學은 花王戒(植物의 擬人化), 高麗假傳髓(事物의 擬人化), 朝鮮初期의 假傅體(心性의 擬人化), 朝鮮後期의 朴趾源의 小說로 그 脈絡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硏究는 燕巖 朴趾源의 小說에 集中되고 그 밖의 作品에 關한 硏究는 微微한 편이다. 이에, 筆者는 高麗 假傅體 文學의 諷刺性을 硏究하여 高麗 假傳體 文學과 諷刺文學이 어떤 速繫性을 갖고 發展해 왔는 가를 알아 보았다. 第二章에서는 1. 筆者 나름대로 諷刺의 定義를 내리고 2. 諷刺의 隣接 槪念인 諧謔等 여러가지 웃음에 對해서 살펴보았고 3. 諷刺의 特牲을 當代性, 杜會性, 골계性, 知性, 挑判性, 敎訓性의 6가지로 整理하였다. 第三章에서는 麴醇傅, 孔方傅, 麴先生傳, 淸江使者玄夫傳, 付夫人傳 等의 內容과 諷刺性을 알아 보았다. 1. 高麗中期 以後의 時代相은 武斷政治, 몽고의 優入 등의 잦은 內憂外患과 異性交際와 佛敎의 墮落으로 諷刺文學이 發生할 素地가 있었다. 2. 高麗 假傳體의 作品 構造는 前半部와 後半部로 나뉘는 데, 前半部의 家系의 出生, 平生의 行跡은 客觀的, 歷史的 사실을 허구화하여 微微하나마 골계를 찾아 볼 수 있고, 後半部인 評結部에서는 作者가 主觀的으로 戒世懲人을 目的으로 敎訓的인 內容을 담고 있어 諷刺性이 짙다. 3. 作品의 諷刺 內容은 人間性의 諷刺, 政治家의 횡포 諷刺, 당대 문란한 社會相의 諷刺, 墮落한 佛敎의 諷刺 등이 나타난다. 4. 各 作品에는 諷刺의 特性인 當代性, 社會性, 골계성, 知性, 批判性, 敎訓性 등이 나타나나, 特히 골계성이 微微하여 初期의 諷刺形態인 敎訓性 爲主의 諷刺이다. 5. 高麗 假傅體 作品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1). 麴醇傅, 麴先生傳은 朝鮮王朝에 들어와서 술을 소재로 한 愁城志, 天君演義, 天君本紀와 연결되어 一連의 계보를 이루고 있으며, 2). 淸江便者玄夫傳은 우리나라 最初의 動物擬人의 作品으로 朝鮮後期에 나온 作者 末詳의 장끼전, 두껍전, 서동지전 등에 直接 間接으로 영향을 끼쳤으며, 3). 竹夫人傳은 男女의 貞節과 男女의 좋은 配匹을 가리는 問題와 관련하여 後代의 愛情小說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第四章에서는 諷刺의 方法을 알아본 결과, 1. 各 作品의 共通的인 諷刺 方法은 Allegory의 한 方法인 擬人法을 취하고 있다. 즉 麴醇傅과 麴先生傅은 술을, 孔方傳은 돈을, 淸江使者玄夫傳은 거북이를, 竹夫人傳은 竹製具를 擬人化해서 當代의 社會的 不合理, 矛盾 등을 諷刺하고 있다. 2. 麴醇傅은 술의 否定的인 면을 다룬 反面에, 麴先生傅은 술의 肯定的인 면을 다루어 麴先生傳은 麴醇傅을 parody한 作品으로 볼 수 있다. 3. 孔方傅, 淸江使者玄夫傅, 竹夫人傳은 諷刺的 Allegory로써 天圓地方說을 내포하고 있다. 文學의 二代 機能인 快樂과 敎訓을 함께 주는 文學이 바로 諷刺 文學이다. 훌륭한 諷刺는 때때로 위대한 民主政治家의 수백만 마디의 연설이나 牧師의 意味 深長한 수천만 마디의 說敎보다도 실제로 讀者에게 더욱 큰 效果를 거둘 수 있다. The Satire in the ancient Korean literature is interconnected with Hwawanggye(personify of plant) - Koryo˙ Ga Jeon literature (personify of various things)-Ga Jeon literature in the early Yi dynasty (pers onity of human mind)-Park Chi-won's novel in late Yi dynasty. But, so far the research of satric view has concentrated on Park Chi-won's novels, the other works are neglected. So, this Paper is the study on what relation and advancement between the satire view in Koryo˙ Ga Jeon works and that in the Korean literature is In chapter Ⅱ, the auther 1. Defined the concepts of a satire in his own way. 2. Went over the concept similas to a sitire like humor and loughter,etc. 3. Arranged six satire features in Korean literature such as reality, sociality,comic, intelligence,criticism and instruction. In chapter Ⅲ, this research is the contents of satire works such as Kuksunjion, Kongbangjeon, Kuksbnsangjeon, Chijngkangsajajubujeon, and Chukbuinjeon,and the satire view like this. 1. In late Koryo˙ dynasty, the advanceent of satire literature is due to the military government,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like Monglian invasion,decaded Buddism and an offence aganist public decency,particularly in sex. 2. The structure of Koryo˙ Ga Jeon Works is divided into two main parts,the first half part and the latter half part. In the former, we can find some comic aspects -the birth of a family line, the achiveent of lifetime-by means of fictionalizing the objective and historical fact. In the latter, a verdict part the writer especially looked over the satire through instructive contents for the purpose of goodnes. 3. The main contents of the satire works are the satire of Humanism,tyranic politician,disordered socialic fact of that day and corrupted Ruddism,and so on. 4. Each works contains the satire feature such as reality,sociality,comic,intellisence,criticism and instruction. But it appears mainly instructive elements,early form of satire,for lack of comic elements particulaly. 5. The effects of the Koryo˙Ca Jeon works are like this 1) Kugsunjeon and Kugso˙nsangjeon are made a genealogy, connected with suso˙ngji and changunyeouni and Cho˙ngunbongi which use drinks as a subject material in early Choso˙n dynasty. 2) Chongkangsajahyeonbujeon which is the first Personification works for animals in our country has influenced on Chang- kijeon,Dukupjeon,and So˙dongjijeon,etc,anonymous works in the latter Choso˙n dynasty. 3) Chukbuinjeon may be effected the latter erotic fictions connected with fidelity of men or womwn,and choosing a suitable partner. In chapter Ⅳ. the method of satire as the followings 1. The common satire method of each work is personification, that is , a kind of Allegory:Kugsunjeon and Kugso˙nsangjeon used drinks,Kongbang used money,Chongkangsajahyeonbujeon used turtle and chukbuinjeon used bamboo wares. They all criticize social absurdity and contradiction of that time. 2. The content of Kugsunjeon deals with the negative side of drink,on the ohher, hand,Kugso˙nsangjeon affirmative side of drinks. So we can see,this is the parody of that. 3. Kongbangjeon,Chongkangsajahyeenbujeon and Chukbuinjeon are all satirical allegory and they all contains the theory which heaven is round and earth is angular. The satire gives us a pleasure and a lesson,the two main function of the literature. A great satire can often do more practical good than a hundred speeches by a good democratic politicians,or a thousand sermons by a we11-meaning preaches.

      • 辭說時調와 宋詞의 諷刺性 비교 연구 : 諷刺對象과 諷刺類型을 중심으로

        장말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95

        풍자는 문학 작품 따위에서 현실의 부정적 현상이나 모순 따위를 빗대어 비웃으면서 쓰는 것이다. 사람들은 경상적으로 풍자를 거울에 비유한다. 이는 풍자를 통하여 역사의 상황을 뚜렷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설시조와 송사는 두 가지 장르이지만 모두 다 강한 풍자성을 내표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한ᐧ중 고전 문학에서 풍자성이 강한 장르의 작품을 서로 비교를 통해 풍자의 대상과 방식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제Ⅰ장은 서론이고 제Ⅱ장은 사설시조와 송사의 풍자가 어떠한 대상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풍자가 부패한 사회, 남녀불평등, 부귀공명을 쫓는 인간, 양반/관리, 파계승 등 5가지 풍자 대상을 통해 어떠한 사회 현상을 반영하는지를 규명해 보았다. Ⅲ장은 사설시조와 송사의 풍자 유형을 직접적 풍자와 간접적 풍자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간접적 풍자 또 고사우의, 자연물우의, 인물우의, 그리고 반어풍자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사설시조와 송사 각각의 작품이 지니고 특징을 분석하고 양자의 풍자 유형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Ⅳ장은 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대비하여 사설시조와 송사의 풍자성이 각각 어떠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는지를 제시했고 이에 따른 결과를 Ⅴ장 결론에서 총괄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한ᐧ중 양국의 문화교류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한ᐧ중 양국의 교전 문화교류가 아직 많이 부족해서 나중에 이런 연구가 많이 있으면 좋겠다. Satire is a kind of laughing at the negative phenomena and contradictions of reality in literary works. People regularly compare satire to a mirror. This is because satire can clearly reflect the situation of history. There are two genres of Saseol Sijo and Songci, b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s of satire and the methods of the satire through comparing the works of genres with strong satire in classical literature Respectively. Chapter Ⅰ is an introductory chapter, and chapter Ⅱ shows how the satire of private sijo and song can be categorized as an object, and it can be said that satire is corrupt society, man and woman inequality, man pursuing wealthy name, I examined what social phenomena are reflected through the five satirical objects. In chapter Ⅲ, the satire types of the private sijo and the song were divided into direct satire and indirect satire. Indirect sarcasm, old allegory, allegory of nature, allegory of person, and anti – slang.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works of the private sijo and the song and examin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satire. Section IV presents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satirical poetry and the satanic poetry in contrast to the contents of chapter Ⅲ and chapter Ⅲ,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chapter Ⅴ conclus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meantime, I hope there will be a lot of such studies in the future.

      • <양반전>과 <유림외사>의 풍자성 비교

        원희헌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연구는 한 중 봉건사회 풍자문학의 걸작 <양반전>과 <유림외사>의 풍자성 고찰을 통해 문학 작품 속에 담겨진 당시 사회 현실을 고찰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피려는데 의의를 둔다. 풍자 소설의 걸작으로 꼽히는 <양반전>과 <유림외사>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 세 가지를 나눌 수 있다. 즉 작중인물과 사회경제 정치방면의 연구이다. 특히 작중인물을 중심으로 한 풍자성을 분석하여 작가의 주제사상과 풍자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서론에서는 선행의 연구 업적을 토대로 서론과 작가의 생애와 창작배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작가 연암과 오경재는 시대 배경의 영향을 받아서 신랄한 풍자로 새로운 풍자적 문학양식을 완성하게 된다. 본론에서는 첫째, 등장인물에 의해 사회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했다는 점이다. 양반과 사대부층을 통해 그들의 무능과 타락한 현실을 잘 그려냈다. 둘째, 지배 사회를 비판하고 있었다. 즉 <양반전>에 나타난 허례와 금전 중시의 현실 비판과 풍자 정신과 <유림외사>에 나타난 팔고문 지상주의와 유관한 형식주의와 관료 사회의 부패한 현실상에 대한 묘사와 포착이 그것이다. 끝으로, 이 두 작품에서는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드러나 있다. <양반전>이나 <유림외사> 모두 여성의 지위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보이면서 봉건사회에서 남성 중심에 대해 비판하였다. 마지막 결론부분은 전장의 분석들을 종합하여 <양반전>과 <유림외사>를 선택하는 이유 공통적 경력, 작가의 사상관등 비슷한 점을 나눠서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atires present in <Yangban-Jeon> and <Yurim Oisa>, masterpieces dating to Korea’s feudal ages, in order to review the social aspects of the time portrayed in the literary works and to interpret their meanings. In reviewing the studies performed over <Yangban-Jeon> and <Yurim Oisa>, both considered to be masterpiece works of satire, it was deemed the studies can be categorized to following three groups: Studies of characters, studies of the socioeconomics, and studies of the politics. Especially, analyzing the satire centered around the characters of the works allows understanding of the authors’ themes and satiric intentions. In the introduction section, preceding studies have been incorporated to gain understandings over the authors’ lives and the background for the works. Yeon Am and Oh Kyeong-Jae, the authors, were influenced by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to produce sharp satire and complete a new form of satirical literatures. In the body section, it is noted that first,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works criticized and satirize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Through depictions of the Yangban and Sadaebu classes, their incompetence and corruption were portrayed well in the works. Second, the governing class was being criticized. The empty formalities and materialism are shown in <Yangban-jeon> to criticize the times, while the philosophy of holding up Palgo-mun to be very important as well as formalities and corruptions in bureaucracy are depicted in <Yurim-Oisa> for similar criticism and satire. Finally, both works reveal new perceptions about women. Both <Yangban-Jeon> and <Yurim-Oisa> provide new perceptions about the positions of women, criticizing the male-centered aspect of the feudal society. In the conclusion section, analyses provided in previous sections are aggregated to discuss the reasons for selecting <Yangban-Jeon> and <Yurim-Oisa>, their shared history, and similarities in the authors’ philosophies.

      • 燕巖小說에 나타난 諷刺性 硏究

        김선정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77

        본 논문의 목적은 연암소설에 나타난 풍자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그럼에 있어서 먼저 풍자의 개념과 풍자소설의 전통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연암소설에 풍자가 발생하게 된 배경을 작가 개인적 상황과 시대적 상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것을 바탕으로 연암의 대표적 한문소설 작품 3편을 선정하여 그 속에 나타난 풍자의 양상을 작품의 구조분석과 풍자에 쓰인 표현기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자란 당대의 사회나 인간의 모순·결함·부조리·어리석음 등을 지적하고 조소하여 골계적 효과를 산출하는 문예의 한 방법으로서, 그 이면에는 반드시 시정을 바라는 작가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2) 풍자소설의 전통성은 寓話, 假傳體 등으로부터 시작하여 壬·丙 兩亂을 계기로 활기를 띠게 되고 연암소설에 이르기까지 한국적 풍자의 특성이 전승되어 오고 있다. (3) 연암소설에 풍자가 나타나게 된 개인적 상황은 연암이 어려서부터 가난하게 생활하면서 당시 모순된 사회상을 보고 實學에 관심을 두게 된 것, 중국여행으로 실질적이고 폭넓은 견문의 체험을 한 것, 晩年의 관직에서 外職의 잦은 이동으로 여러 문학적 체험을 쌓은 것, 특히 당쟁에 휩쓸리지 않는 非黨人意識을 가지게 된 점등이다. (4) 연암소설에 풍자가 나타나게 된 시대적 상황은 영·정조 시대가 새로운 질서가 싹트기 시작한 시대로, 신분질서의 동요와 실학의 발생, 자본주의 발생에 따른 서민경제의 발전 등의 변화가 있었고 이는 곧 평민문학의 발달로 이어졌으며 사실적이고 풍자적인 산문문학이 발생하게 되었다는 점 등이다. (5) 「虎叱」은 범의 叱責을 통해 위선적인 道德君子의 이중성과 더 나아가 인간세계의 추악함을 풍자한 작품으로 그 풍자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① 이 작품은 아이러니와 풍자의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 ② 「호질」에서는 자연의 일반에서 벗어난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어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태도의 풍자를 보이고 있다. ③ 이 작품은 단순히 北郭先生이나 東里子의 속물근성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지니는 위선과 이중성을 풍자대상으로 삼고 있다. (6) 「兩班傳」은 무위도식하는 양반계급의 형식적이고 위선적인 생활의 모습을 통해 양반의 무능력과 부패를 해학적으로 비판 풍자한 작품으로 그 풍자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① 이 작품은 抑揚과 對照의 반복, 肯定과 否定이 교차시키는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 ② 賤富를 풍자의 주체로 내세워 당시 부정적인 鄕班들의 모습을 풍자하고있다. ③ 이 작품은 조선후기 신분질서 동요를 풍자했다. (7) 「許生」은 실천적 지성인인 ‘許生’을 통하여 당대 사회의 전반적인 면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면서, 연암의 실학사상을 나타낸 대표작으로 그 풍자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① 이 작품의 풍자는 몇 단계를 달리하는 다른 톤을 갖고 있다. ② ‘허생’의 상행위를 통해 買占에 의한 폭리가 가능했던 현실을 비판하면서 교통기관의 발달과 외국과의 무역을 주장하는 등 경제문제를 풍자했다. ③ ‘허생’과 北伐論의 상징인 ‘李浣大將’과의 문답을 통해, 인재 등용의 모순과 북벌론의 허구성 비판 등 정치문제를 풍자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satire in Yeon-am's novels. First, I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satire and the tradition of satire novels, researched the motivation and the reason to emerge the satire novels in his own life and the social situation of that age. I selected the three works of the Yeon-am's novels for this study. By analyzing the plot and using expressional technique, I attempted to discover the aspects of the satire.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1) The satire is the method and art of literature to output humorous effects by indicating and laughing at the contradiction·absurdity·stupidity in human beings or the social situation of the same time. An author's intention to reform them certainly is included in them. (2)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satire novels had formed from fables, Gajonche("an old narrative") etc., and is flourished with two Wars against Japan and Chung China. It is succeeded in the property of Korean traditional satire in his novels. (3) The individual and conditional motivation express the satire in his novels is that he interested in Silhak, the Practical science. Living poor in childhood he had seen the phase of the contradictory society. At those days, traveling China, he gained much experience. Frequently being moved in his official position he builded up various literary ability, especially he became the neutral in the result. (4) The social situation of the motivation expressed in his satirical novels is formed because a new spirit was budded from King of the Yoengjo and Joengjo Dynasty, the hierarchy status started to fall down and raised Silhak. Capitalism appearing, the people's economic life was changed. Thus, all of theses were reason for connecti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popular literature, and the realistic and prosaic literature took place. (5) Through a Tiger's rebuke he satirized the moral aristocratic's duality and hypocrisies, furthermore the vices of human beings in Hojil. There is satirical property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① It used expressional method of the irony and satire ② His critical and negative attitude of satire showed up, because he express the irrational man to deviate from general human beings. ③ This work is showed simply not only snobbery of Pukguak or Tongryja but also the hypocrisy and the duality man have. These are regarded as the targets of satire. (6) Yangban-jon is a story to satirize and criticize the aristocratic's by emphasizing their idle, formalistic and hypocritical life. Its satirical property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① The using expression technique is to repeat the intonation and the contradiction,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method. ② The negative aristocratic's reality is figured by satirizing the overnight millionaire. ③ Breaking the hierarchy of the classes is represented at the post Chosun Dynasty. (7) The general situation of that time is expressed satirically in Huhsang-jon, by showing the sophisticate person Huhsang, who is practice. The novel is revealed Yean-am's Silhak, the practical science of spirit. Its satirical property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① There is the various tone of the satire, according to the phases. ② Through the Huhsang's commercial business, he criticized the economic issues, which was facts of the social condition that monopoly was possible, and persisted the transportation and the trade system to progress. ③ Yoen-am satirized the political problem by the dialogue between Huhsang and the General Yiwan, that is to say, the inconsistency of enlisting the officials and the impossibility to conquer The Chung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