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일기쓰기 활동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배재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일기쓰기 활동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환경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 분석하여,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환경 교육 방법의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군포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 3학년 학생 72명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환경태도 검사지로 사전 검사를 한 후, 실험 집단 학생들에게 약 10주 동안 환경일기쓰기 활동을 실시한 후 사후 검사를 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에서 환경에 대한 태도 전체에 대해 통제 집단보다 환경태도변화가 훨씬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사후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역별 효과에서는 정서영역이 가장 큰 향상을 보였지만, 행동진술 영역에서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효과에서는 환경일반과 환경오염에 대한 부분이 긍정적으로 발전하였으며 변화의 정도는 같게 나타났다. 남녀에 따른 효과에서 환경에 대한 태도가 사전 검사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며, 사후 검사에서는 남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여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환경일기쓰기 활동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켰다. 따라서 환경 관련 수업에서 학습 목표에 따라 다양하고 적절한 환경 관련 자료를 투입하면서 환경일기쓰기 활동을 병행한다면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평상시에도 환경일기쓰기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학생들의 환경 의식과 실천적 성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 초등학생의 이상섭식태도와 관련된 심리사회적 변인

        임영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esteem, narcissism, sociocultural attitude on appearance, as mediated by stress and coping with stress, on abnormal eating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4 male and 229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abnormal eating attitude and psycho-social factors by self-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previous literature, the theoretical model was specified and estimated for the adequacy of statistical fit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separately. We used path analysis fitting on the model. The results were follows.Self-esteem, narcissism and sociocultural attitude on appearance directly influenced on stress for male students. Also self-esteem and narcissism directly influenced on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with stress. But stress,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with stress had no effects on abnormal eating attitude. Abnormal eating attitude on male students was predicted by self-esteem and sociocultural attitude on appearance.Stress, problem-focused coping with stress, narcissism and sociocultural attitude on appearance directly influenced on female students' abnormal eating attitude. Self-esteem indirectly influenced, as mediated by stress, on abnormal eating attitude. But emotion-focused coping with stress had no effect on abnormal eating attitude for female students.In conclusion, several psycho-social factors affected abnormal eating attitude but the factors related to abnormal eating attitude were different by gender. In order to reduce abnormal eating attitude, prolonged counseling and education on good eating are important. Als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such as stress inoculation and management program and stress coping program, should be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자아존중감, 자기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이상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이상섭식태도를 아동기에 조기 발견하고 향후 심각한 섭식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이상섭식 행동으로 나아가는 것을 예방하는데 있다.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소재 G초등학교 5, 6학년 454명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요인과 이상섭식태도를 평가하는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이상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경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남학생의 경우 이상섭식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자아존중감이었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이상섭식태도 점수가 높았다. 그 외 요인들은 이상섭식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자기애, 자아존중감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스트레스를 통한 이상섭식태도에 대한 매개효과는 없었다. 자기애와 스트레스는 정서중심 대처행동과 문제중심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정서중심 대처행동이나 문제중심 대처행동을 통한 이상섭식태도로의 매개효과는 없었다.둘째, 여학생의 경우 이상섭식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스트레스와 문제중심 대처행동이었다. 자기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점수와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상섭식태도점수가 높았으며, 문제중심 대처행동 점수가 낮을수록 이상섭식태도 점수가 높았다. 자기애, 자아존중감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를 통한 이상섭식태도에 대한 매개효과도 보여 주었다. 특히 자아존중감은 이상섭식태도에 대한 스트레스를 통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자기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스트레스는 정서중심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나, 정서중심 대처행동을 통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애는 문제중심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문제중심 대처행동을 통한 이상섭식태도에 대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본 연구 결과는 이상섭식태도와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상과 외모와 관련된 사회문화적 태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 身體障碍學生의 身體態度와 自己尊重感 分析

        기승주 우석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7

        신체태도와 자기존중감의 결과에 의해 받게 되는 자기 자신의 가치의식과 자존의식간에 존재하는 상호관련과 더불어 신체장애인들이 그들의 처지로 인하여 표출하는 보다 부정적인 신체태도와 낮은 수준의 자기존중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장애인들의 신체태도와 자기존중감과의 관계를 시각장애와 지체부자유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신체적인 장애요인이 부정적인 신체태도의 형성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더 많은 관심과 주의를 쏟음으로서 그들의 부정적인 평가를 치유하고 보다 성공적인 삶에의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장애 아동들의 신체태도는 평가, 강도, 활동적 차원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한다. 둘째, 신체장애 아동들의 자기존중감은 성별, 장애별, 장애시기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한다. 셋째, 신체장애 아동들의 신체장애 아동들의 신체태도와 자기존중감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구명한다. 본 연구는 신체장애학생들의 신체태도와 자기존중감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중등부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지체부자유학생 46명과 시각장애학생 44명을 표집하여 신체태도 검사와 자기존중감 검사를 하였다. 그리고 성별, 장애별, 장애시기별, 하위요인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태도에서는 시각장애아가 지체부자유아보다 활동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평가성과 강도에서는 같은 태도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서 나쁘다. 느리다는 신체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장애를 입은 시기에서는 같은 신체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신체장애학생들의 자기존중감에서는 성별, 장애별, 장애입은 시기별로 같은 자기존중감을 가지고 있어 세 요인이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셋째, 신체장애학생들의 신체태도와 자기존중감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세 가지 차원 중 강도차원에서만 약한 상관관계(P<.05)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론에서 볼 때 신체장애 학생들은 신체에 대한 태도에서 활동성과 관련된 문항에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신체장애학생들이 그들이 활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체적 손상을 입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 보면 수긍이 가는 일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이와 같은 낮은 점수들은 그들이 신체적인 장애자임을 의식하는 범위에서 부분적인 면으로 한정되어 나타난 것으로 그들의 신체의 나머지 부분들에 대한 평가까지 파급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따라서 신체장애 아동들의 신체태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더욱 더 많은 관심과 주의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신체태도와 신체상의 평가는 재활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을 광주와 대구직할시 소재 중등부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지체부자유아동과 시각장애아동으로 한정하여 표집하였다는 점 등 제한점이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해석하기에는 다소 문제점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더욱 심도있는 연구와 응용을 위한 여지가 많다고 할 수 있다.

      •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적의 매개효과

        이윤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It is a human right to lead a happy life. In the process of growing and developing, children have the right to be happy, along with the right to survive and protect.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However, factors that threaten children, such as violence and neglect, are constantly increasing, and children's subjective feelings of happiness due to stress caused by sexual orienta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life due to appearance and materialism are among the lowest in the world. Accordingly, this study selected parenting attitudes, friendship, self-esteem,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the factors that can affect children's 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friendship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children's lives, affect happiness through self-esteem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4th grade group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1st grade group of middle school in all channels. To this end, it was analyzed by using data from the first year (2018)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A total of 4,940 subjects were selected, with 2,472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2,468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For data analysis, SPSS Statistics 25.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were performed, respectively,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confirm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betwee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as confirm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The main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friendships had a direct impact on children's happi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window for parents to treat children with a parenting attitude of warmth, support for autonomy, and provision of rescue, and to help them have a change in rejection, coercion, and inconsistent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such as school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enhanc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friendships.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friendships on children's happiness, but academic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Therefore, society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happiness of childhood, as well as institutional efforts to improve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the quality of friendships, and children's self-estee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friendships on children's happiness by mediating self-esteem and academic performance did not vary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In other words, in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friendships on children's happines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groups, but academic performance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an expansion and continuation of practical intervention to improve the happiness of all children regardless of school level. In subsequent studies, it will be possible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longitudinal data, and to derive more diverse research results by using another variable,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of children. In addi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at enables in-depth exploration, new research results can be discovered to promot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hildren's happiness.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것은 인간의 권리이다. 아동은 성장하고 발달하는 과정에서 생존과 보호. 발달, 참여의 권리와 더불어 행복할 권리가 있다. 그러나 폭력과 방임 등 아동을 위협하는 요인들은 계속 늘어나고 있고, 성적지향주의로 인한 스트레스와 외모나 물질 만능주의로 인하여 삶에 대한 불만족 등으로 아동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감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는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중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자아존중감, 학업성적을 선택하였다. 아동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친구관계가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적을 매개로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 모든 경로에서 초등학교 4학년 집단과 중학교 1학년 집단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1차 연도 (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2,472명과 중학교 1학년 2,468명으로 전체 4,94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5.0과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 간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으며, 다집단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집단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와 그에 따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및 부정적 양육태도와 친구관계는 아동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가 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제공의 양육태도로 아동을 대하고, 거부, 강요, 비일관적 양육태도에 변화를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해야 하며, 더불어 친구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해 아동의 대인관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학교 상담 프로그램 등의 사회복지적 개입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성적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친구관계의 질 향상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제도적 노력과 아동들이 행복감을 잃지 않도록 아동기의 행복에 대해 사회는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적을 매개하여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은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학업성적은 학교급에 차이와 상관없이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급에 따른 구분 없이 모든 아동의 행복감 향상을 위해 실천적 개입의 확대와 지속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는 종단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며, 아동의 개인적, 환경적인 또 다른 변수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심층적인 탐색이 가능한 질적연구를 통해 새로운 연구 결과들을 발견하여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노인복지기관 종사자들의 노인성(性)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영순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aimed at comprehe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elderly welfare practitioners' attitude toward elderly sex(性). This research investigated elderly welfare practitioners' attitude toward elderly sex,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ir knowledge about elderly sex, the elderly, and the image of elderly the elderly on their attitude toward elderly sex. This research intended to suggest a practical plan to positively enhance elderly welfare practitioners' awareness on elderly sex to improve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The research objects were the practitioners who work at the elderly welfare institutions in Gyeongnam-do(elderly welfare service center, long-term home convalescence facilities, elderly convalescence facilities, elderly protection institutions, elderly job specialized institution, etc.). Questionnaire was composed with self-administered way, recovery rate was 87% after distributing total 300 questionnaires, and finally 253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Major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practitioners' attitude toward elderly sex appeared more acceptable in case of male than female, lower age group, and elderly use facilities, while negative when the partitioners experienced sexual harrassment on duty.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 toward elderly sex appeared age, knowledge about elderly sex and the elderly. That is, lower age group, higher knowledge about elderly sex and the elderly displayed acceptable attitude toward elderly sex.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ion result implies that elderly welfare practitioners' positive concept and attitude toward elderly sex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However, value view on sex becomes solid as one gets old, accordingly, attitude toward sex can be hardly changed, therefore, constant and repetitive education is requi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ositive and acceptable attitude and knowledge about elderly sex through education. Also, considering healthy sex culture directly·indirectly influences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social interest and support should be enhanced, also, development of policy is required for the elderly's healthy sex culture. 본 연구는 노인복지기관 종사자들의 노인성(性)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노인복지기관 종사자들의 노인의 성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 및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의 이미지가 노인의 성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복지종사자들의 노인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제고를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남도내에 위치한 노인복지기관(노인종합복지관, 재가장기 요양기관, 노인요양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일자리전문기관 등)에 근무하는 종사자이다. 설문지는 자기기입(Self - administered)방식으로 구성하였고,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율 87%를 나타냈으며 최종적으로 통계분석에는 253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힌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종사자들의 노인의 성에 대한 태도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이 낮은 집단일수록, 노인이용시설 일수록 허용적이고, 근무 중 성희롱 경험이 있는 종사자일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성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연령과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 그리고 노인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낮은 집단일수록,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과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의 성에 대한 태도가 허용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는 노인복지기관 종사자들의 노인의 성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와 태도가 중요하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성에 대한 가치관이 굳어져 성태도가 변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교육을 통하여 긍정적이고 허용적인 노인의 성에 대한 태도와 지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문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건전한 성문화가 노인의 삶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이를 위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을 확대하고 노인들의 건전한 성문화를 위한 정책개발에도 힘써야 함을 강조한다.

      •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윤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nalyzing how the components of reading attitude(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ading attitude consists of 3 factors: ‘the cognitive component’ that indicates a belief or a value of reading, ‘the affective component’ that indicates emotional satisfaction about reading and a positive reading experience, and ‘the behavioral component’ for preparing for the actual reading. Self-directed learning is composed with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This research has been surveyed total 267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4, 5, and 6th in Gyeonggi-do. Except those who selected either neutral or non-response, the result of the statistics used with SPSS 28.0 we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the three sub-factors of reading attitude (cognition, affective, and behavior), the cognition is found as it influences the students to have self-directed learning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of reading value and reading results such as 'I think reading is important' and 'I think reading a lot of book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fidence in reading skills such as 'I'm proud of myself'; and 'Adults think reading is important'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 reason why 'the cognitive domain' of reading attitude testing has an effect on the leading learning magnetically to rea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the same as the next. It is based on the belief in the read activitie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 and the cognitive areas of read and lear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set goals for achie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wareness of the necessary actions to produce and implement the necessary actions. This can be said that reading activities are necessary for their academic achievement, or confidence in reading ability affects the self-directed learning implic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gnitive area of read attitude is a belief that reading is valuable. Conviction is related to value. Value is a judgment and evaluation system that affects patterns of behavior or thinking. The value of reading can therefore be view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choice of the goals and forms of any action. The self-directed learning is a learning process in which students themselves select, decide, and regulate the entire process according to voluntary intention, from whether they participate in learning to setting and achieving goals and evaluating them. Learning starts at the stage of reading as a process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learning content. It can be seen that the cognitive domain that recognizes the value of reading and the need for reading activities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cultivation. In order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in reading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ing/learning, it is expected that reading instruction considering the cognitive domain and interrelationship of reading is a valuable activity. In the reading process, teachers and parents need to provide and encourage positive feedback so that they can provide as many pleasant experiences as possible about the subject of reading and recognize that reading activities are necessary for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읽기 태도의 구성요소인 ‘인지’, ‘정서’, ‘행동’ 영역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읽기 태도는 읽기에 대한 신념이나 가치를 나타내는 ‘인지적 요소’, 읽기에 대한 정서적 만족과 긍정적인 읽기 경험을 나타내는‘정서적 요소’, 실제 읽기 행동이나 의도, 자발성 등을 나타내는 ‘행동적 요소’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기주도학습은 인지, 동기, 행동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67명이 응답하였으며, ‘이중 응답’을 했거나 ‘무응답’을 한 경우를 제외하여 총 255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읽기 태도의 구성요소인‘인지’,‘정서’,‘행동’ 중 인지 요인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많은 책을 읽으면 공부를 잘한다고 생각한다.’ 등과 같이 읽기의 가치 및 읽기 결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나는 책을 읽는 나 자신이 자랑스럽다.’ 등과 같이 초등학생 스스로 자신의 읽기 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어른들은 책 읽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라는 것과 같이 자신과 의미 있는 타인의 읽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자기주도학습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의 읽기 경험 즉 ‘읽기 행동’이 읽기 결과에 따라 ‘읽기가 가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평가하며 자신의 읽기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기반으로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읽기 태도 검사의 ‘인지적 영역’이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에 관해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읽기 태도의 인지적 요소와 자기주도학습의 특성상 ‘학습’ 또는 ‘읽기’라는 대상이 가치 있는 행동이며 자기 삶에 필요하고 의미 있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자신의 학습 과정에 대한 자신감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읽기 태도의 ‘인지적 요소’는 읽기를 가치 있는 것으로 보는 신념이다. 가치는 행동이나 사고의 양식에 영향을 주는 판단과 평가 체계이다. 그래서 읽기에 대한 가치는 어떠한 행동의 목표와 양식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생 스스로가 학습의 참여 여부에서 목표설정·달성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자발적 의사에 따라 선택하고 결정, 조절하게 되는 학습 과정이다. 학습은 학습 내용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으로 읽기라는 단계에서 출발한다. 이때 읽기에 대한 가치, 읽기 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인지적 영역은 자기주도학습 함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읽기 태도의 인지적 영역이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읽기 프로그램개발과 교수·학습에 있어 자기주도학습 증진을 위하여 읽기가 가치 있는 활동이라는 인지적 영역과 상호관련성을 고려한 읽기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때, 읽기 대상에 대한 유쾌한 경험을 가능한 한 많이 제공하고, 읽기 활동이 학업성취에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읽기 과정에서 교사나 학부모들은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격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한·중 어머니의 양육태도 비교연구 : 연변과 제주를 중심으로

        리봉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중 어머니의 양육태도 비교연구(연변조선족어머니와 제주도 어머니를 중심으로)를 통하여 두 지역 어머니의 양육태도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밝힘으로서 효과적인 자녀교육 지도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국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에 소재하고 있는 Y소학교의 5학년과 6학년 남.여학생 320명과 그들의 어머니 그리고 한국제주도 제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N초등학교의 5학년과 6학년 남.여학생 33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표집하여 조사하였는데 그 중에서 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만 연구 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하여 연변지역에서는 311부, 제주지역에서는 319부만 실제 연구에 사용되었다. 이에 대한 자료처리는 SPSS/PC 프로그램에 의해 전산처리를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연변조선족어머니가 제주도어머니보다 매우 수용적이며 과잉적인 양육태도를 취하며 제주도어머니가 연변조선족어머니보다 덜 통제적인 양육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어머니들의 경우, 연변조선족어머니들이 제주도어머니들보다 매우 수용적이고 더 과잉적으로 나타났으며 자율-통제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어머니들의 경우, 연변조선족어머니들이 제주도어머니들보다 매우 수용적이며 과잉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주도어머니는 연변조선족어머니보다 덜 통제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변조선족아동은 제주도아동보다 매우 수용적이며 과잉적인 양육태도를 취한다고 지각하였으며 제주도아동은 연변조선족아동보다 덜 통제적으로 지각하였다. 한편, 성별에 따른 지각차이도 있었는데 역시 연변조선족남아와 여아 모두가 별로도 제주도남아와 여아보다 매우 수용적이며 과잉적인 양육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지각하였으며 제주도남아와 여아 모두가 별도로 연변조선족남아와여아보다 덜 통제적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자율-통제영역과 비과잉-과잉영역에서 제주도어머니와 아동이 지각한양육태도간의 차이가 연변조선족어머니와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간의 차이보매우 뚜렷하게 크다. 연변의 경우, 자율-통제 영역에서 아동들은 어머니가 자신들에게 부여하는 자율성보다 그 허용범위를 작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의 경우, 아동은 어머니보다 더 수용적, 과잉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아동들은 어머니가 자신들에 부여하는 자율성보다 그 허용범위를 더 크게 지각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변과 제주 두 지역 어머니들은 자녀 개성에 알 맞는 성장 및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을 원할히 진행할 수 있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연변지역에서는 전반사회인의 인간발달을 위한 평생교육시설과 바람직한 청소년 양성을 위한 상담시설 및 학부모 관련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력히 시사한다. The study expounds the differences in the rearing attitudes between Yanbian and Korean mothers and Jeju-do mother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ttitudes in the two regions, aiming at provi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hildren' education and the necessity for the exploration of educational evnrionment in Yanbian region. For the study,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among 320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and their mothers of Y Elementary school in Yanji City,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China, and 330 students and their mothers from five classes in Grade Five, Four classes in Grade Six of N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Jeju-do, Republic of Korea, taking only the honestly answered sheets as the materials for the analytical study. Thus only 311 answer sheets from Yanbian region and 319 from Jeju region have been utilized for the actual study. Materials regarding the study have been electron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PC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aring attitudes between Yanbian Korean mothers and Jeju-do mothers, I. e, the study shows that Yanbian Korean mothers take more acceptable, controllable and excessive attitudes than Jeju-do mothers. In the case of mothers in their thirties, Yanbian Korean mothers are more acceptable, excessive than those of Jeju-do. In the field of self-control and control, statistically there are no clear differences. In the care of mothers in their forties, Yanbian Korean mothers are very much more acceptable, controllable, and excessive than those of Jeju-do. 2.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Yanbian Korean children and Jeju-do children in their consciousness toward the rearing attitudes. Yanbian Korean children perceive the attitudes more acceptably, controllably, excessively than those of Jeju-do. Meanwhile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consciousness caused by different genders. Yanbian Korean boys and girls also perceive the attitudes more acceptably, controllably, excessively than those of Jeju-do. 3.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mother's rearing attitudes and the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 children in the two regions. In the case of Yanbian, there are partial differences in the field of acceptance and refusal, non-excessiveness and excessiveness. But in the field fo self-control and control, children perceive less the range of self-control than that which is being provided to them by mothers. In the case of Jeju, children perceive mothers' rearing attitudes acceptably, controllably, excessively. By and large, both Yanbian and Jeju children perceive the attitudes very acceptably and excessively, while Yanbian children perceive more controllably than Jeju children.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aring attitudes between Yanbian Korean mothers and Jeju-do mothers, some aspects need to be mutually complemented. Especially the fact that Yanbian Korean mothers comparatively take more controllable, excessive attitudes and there exists the incoherence in the field of self-control, and control is worthy of careful conside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situations in Yanbian region, the following is necessary. First,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roles of parents and regularly carry out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parents, organically combing the family education with the school education. Second, the society should help establish a great number of educational units for life-long education so that parents, teachers and other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develop a harmonious personalities. Third, relevant programs or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let the parents and children fully understand themselves and accept each other. Thus, through the scientific diagnosis of children' individual characters and the provision of suitable lif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m, the children can develop their individual characters in the basis of overall development.

      • 말더듬 성인의 말더듬 정도와 의사소통태도 간 상관 연구

        최다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의사소통태도와 말더듬 행동의 관련성은 말더듬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문제이다. 의사소통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및 감정이 말더듬 행동의 원인이라는 주장과 의사소통에 대한 부정적 감정 및 태도가 말더듬 행동으로 인해 생긴 결과라는 주장은 모두 이러한 말더듬 행동과 의사소통태도 간 긴밀한 관계를 설명하려는 노력이었다. 말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말더듬 행동의 원인이든 결과이든, 이들 간 관계가 존재한다는 데에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태도와 말더듬 정도의 상관도를 밝히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금까지 말더듬 정도와 의사소통태도 간 상관을 살펴본 연구는 서로 일치되지 않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어떤 연구들은 말더듬 정도와 의사소통태도 간 상관이 유의하지 않아 두 변인은 서로 독립적이라고 하였으나, 다른 연구들에서는 말더듬 정도와 의사소통태도 간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보고하는 등 제시된 상관계수의 차이가 컸다. 또한 말더듬 성인의 경우 의사소통태도와 말더듬 정도 간 상관이 대부분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상관이 나온 경우에도 수치가 높지 않아 두 변인이 독립적이라고 가정되기도 하였다. 이렇듯 말더듬 성인의 의사소통태도와 말더듬 정도 간 상관이 일정하지 않거나 유의하지 않게 나오는 원인에 대해서 말더듬 빈도의 변이성과 말더듬 성인의 전략 사용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성인이 보이는 비일관적이고 낮은 상관의 원인으로, 말더듬 정도 평가 시 말더듬의 변이성과 말더듬 행동을 감추기 위한 회피전략 사용의 가능성을 고려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말더듬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말더듬 빈도만 측정하던 기존의 분석체계가 말더듬의 일부만을 측정한 것으로서 말더듬 정도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최대한 보완하여 말더듬 정도와 의사소통태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더불어 말더듬 정도평가를 말더듬 빈도, 말더듬 지속시간, 신체적 부수행동의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나누어 각 하위범주와 의사소통태도 간 상관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말더듬 정도 분석체계에 따른 의사소통태도와 말더듬 정도의 상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연구절차 및 분석방식에서 기존 연구 방식으로부터 보완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의 변이성과 말더듬 회피전략 사용을 막기 위해 인터뷰를 통한 자발화 이외에도 정경화 묘사과제를 제시하였고, 이 중 가장 심한 말더듬을 보인 부분을 분석하여 말더듬 정도를 평가하였다. 둘째, 말더듬 정도 평가 시, 기존 연구가 대부분 말더듬 빈도만을 고려한 것에 비해, 말더듬 빈도 이외에도 신체적 부수행동, 말더듬 지속시간을 포함한 SSI-3 점수체계를 사용하였다. 이는 말더듬의 정의에서 부수행동이 포함될 뿐 아니라 부정적인 말 경험으로 인한 두려움과 회피로 생기는 것이므로, 말에 대한 부정적 감정 및 태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연구 대상은 말더듬 성인 19명이었으며, 말더듬 이외의 말에 대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제외하였다. 말더듬 정도평가를 위해 읽기과제를 실시하였고 그림자료와 인터뷰를 통해 자발화를 수집하였다. 읽기와 자발화 각 300음절을 SSI-3 분석체계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말더듬 빈도점수, 말더듬 지속시간 점수, 신체적 부수행동 점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 형식의 의사소통태도평가를 실시하였다. 말더듬 정도평가의 총점수와 의사소통태도평가 점수 간 피어슨 단순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고, 말더듬 빈도, 지속시간, 신체적 부수행동과 같은 말더듬 정도평가의 각 하위범주 점수와 의사소통태도평가 점수 간 피어슨 단순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말더듬 정도평가 총점과 의사소통태도평가 점수 간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더듬 정도평가의 각 하위범주와 의사소통태도평가 간 상관을 보면, 신체적 부수행동 점수가 의사소통태도평가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빈도 점수와 지속시간 점수는 의사소통태도평가 점수와 상관이 낮고 유의하지 않았다. 동일한 자료에 대해, SSI-3 분석체계를 사용하여 말더듬 정도를 평가하였을 때 유의한 상관이 나온 것에 비해, 전체 음절에 대한 더듬은 음절의 비율과 의사소통태도검사 점수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아, 분석체계가 상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말더듬 정도와 의사소통태도가 유의한 상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한다. 그리고 신체적 부수행동 정도가 의사소통태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말더듬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적절한 분석체계의 사용과 말더듬 특성을 고려한 검사방식으로, 말더듬 정도와 의사소통태도 간 상관을 제시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associated beliefs and stuttering severity of stuttering adults. Toward this end, the Korean communication attitude test for adult(KCAT) and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for adults were administered to 19 stutterers aged 17 to 43. All utterances of stuttering adults during oral reading and conversation with a clinician were video-record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Pearson's simple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CAT scores and stuttering severity scor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 KCAT scores and stuttering severity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2) the KCAT scores covaried to a significant extent with physical concommitant scores whereas other scores such as frequency and duration scores did not. (3) As one of the stuttering severity measurements, the percentage of syllables stuttered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KCAT scores which indicates that the method used to measure stuttering severity can influe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ommunication attitude and stuttering severity. The result supports some conclusions reached from studies which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attitude and stuttering severity. Also it is suggested that physical concommitant scores can be used as a valuable predictor of emotional and attitudinal dimensions of stuttering. Further study is needed to more ful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ttitude and stuttering severity.

      • 자녀 양육 태도 및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 :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이랑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부모 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으로 배경변인, 자녀양육태도, 양육 스트레스를 설정하였고, 종합적으로 부모교육 요구에 관련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배경변인 척도, 자녀 양육 태도 척도, 양육 스르레스 척도, 부모교육 요구 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들로, 총 224명을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표집된 자료에 대해서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t-검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적률상관관계, 회귀분석 등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자녀 양육태도, 양육 스트레스, 부모 교육 요구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배경 변인에 따른 자녀 양육 태도를 살펴보면 애정적 양육 태도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고등학교 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부모와 직업을 가지고 있는 부모가, 맏자녀의 나이가 고등학생 이하인 부모가 더욱 애정적인 양육 태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자율성 조장태도는 가계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부모와 동거형태가 ‘부부만’ 살고 있는 경우에서 높게 나타났다. 독립심 권장태도는 자신과 자녀만이 살고 있는 부모와 맏자녀가 대학생이상의 연령일 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배경 변인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총 자녀수가 3명 이상인 부모가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가 높았다.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전업주부이고, 부모의 연령이 낮을수록 피로 및 우울성향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고, 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월 평균 가계소득이 적을수록, 자녀의 수가 3명 이상인 부모일수록 자녀로 인한 심리적인 상처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20, 30대의 부모와, 가계의 소득이 200만원 미만이거나 300만원 이상일 경우 전체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건강관리를 위한 부모 교육 요구에서는 종교가 있는 부모가, 월 평균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부모에게서 많이 나타났다. 자녀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에 대한 요구는 가계소득이 낮을수록 높았다. 부모-자녀 관계를 위한 정보 및 기술에 대한 요구에서는 20대의 부모와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부모, 맏자녀의 연령이 낮은 부모일수록 높았다. 올바른 생활 태도 관리에 대한 요구에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월 평균 소득이 200만원 미만이거나 300만원 이상인 부모가, 맏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다. 둘째, 자녀 양육 태도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와 전반적인 부모교육 요구를 살펴본 결과, 독립심 권장 태도가 높은 부모와 자율성 조장 태도가 낮은 부모에게서 피로 및 우울 성향의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애정적 양육 태도가 높은 부모에게서는 유의한 스트레스 변인을 찾지 못하였다. 부모 교육 요구의 하위 영역에서는 애정적 양육 태도를 보이는 부모가 자녀의 건강 관리, 자녀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 부모-자녀 관계를 위한 정보 및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들 영역에서 부모 교육을 받길 더 원함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부모 교육 요구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스트레스에 따라서 부모교육 요구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트레스 하위 영역별로는 부담감 및 구속감의 스트레스를 높게 보이는 집단이 자녀의 건강 관리와 올바른 생활 태도 관리에 대한 부모교육 요구가 높았고 피로 및 우울 성향의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올바른 생활 태도 관리에 대한 부모교육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 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전체 부모 교육 요구는 부모의 연령, 월 평균 가계소득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독립심 권장 태도, 애정적 양육 태도가 차이를 보였고, 부담감 및 구속감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부모 교육 요구를 하위 영역별로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의 건강 관리에 대한 부모교육 요구는 부모의 연령, 월 평균 가계 소득, 독립심 권장태도, 애정적 양육 태도, 부담감 및 구속감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발달적 특성의 이해에 대한 부모 교육 요구에서는 월 평균 가계 소득, 부담감 및 구속감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부모-자녀 관계를 위한 정보 및 기술에서는 맏자녀의 연령, 독립심 권장 태도가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올바른 생활 관리를 위한 부모 교육 요구에서는 부모의 연령, 독립심 권장 태도, 애정적 양육 태도, 부담감 및 구속감, 피로 및 우울 성향의 양육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변인 및 자녀 양육 태도와 스트레스를 세분화시켜 하위 영역별 부모 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앞으로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부모와 자녀를 둘러싼 인구 사회학적 배경, 자녀 양육 태도, 양육 스트레스를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인다. This research was studied for understanding the education demands by the parents who had children. Refering to the pre-researched papers, This research postulated the variation factors that affected to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as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parental attitude, the stresses. Moreover, for overall consideration, focused on the influences of the variation factors related to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For verifying these result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answering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degrees of changeable background variables, the parental attitude, the stresses, and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the parents who liv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had children. Totally 224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ubjects have been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0.0 program, in the ways of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verification, ANOVA, Duncan’s test,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the parent attitude according to the variation factors of background. We were able to find the more passionate attitudes on nurturing children from the father who had childhood’s children than the mother, from the parents who possessed attainments equal to or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s, from the parents who had their job, and from the parents who had the eldest child who was under high school student. In addition, the attitude of promoting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remarkably showed in the family with earning money less than 3 million won a month and in the parents who lived separately from their children. The attitude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was remarkably seen in the parents with an eldest child of at least a university education. In the aspect on the parenting stresses according to variation factors of background, these stresses were highly recognized by the parents who had more than 3 children. On considering the subcategories of the parenting stresses, the parents who were housewives or were younger felt more fatigue and depression in their life. Moreover, in the case that the parents were not well-educated, made less money, and had more than 3 children, the parents tended to be hurt psychologically by their own children. In the aspect on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according to variation factors of background, the overall parent education was highly demanded by the parents who were 20’s or 30’s, by the family earned less than 2million or more than 3 million won a month. On analyzing the subcategories, the parent education for their health was highly demanded by the family had their own religion, by the family earned less than 2 million won.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was highly requested by the parents who earned less money. The technology and information for parent-children relationship were highly requested by the parents who were 20’s, by the parents earned less than 2 million won a month, and by the parents had younger eldest child. In the aspect of the management for correct life attitude, the demand of parent education on it was founded on mother than father, on the family earned less than 2 million won or more than 3 million won a month, and on the family had younger eldest child. The second, as a result of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and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based on their parenting attitudes, the parent who had the high level of attitude on promoti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the low level of attitude on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were intensely recognizing the stresses of fatigue and depression.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demanding parental education, the parents who had affectionate attitude expressed the noticeable passion on learning for the health of their children, the understanding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 and the technology and information for the correc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third, as a result of study on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on the parenting stress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n demanding the par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s of their stresses. On considering the factors of stresses, the group that remarkably showed the stresses of responsibility and repression had high level of demanding parent education for management of their children’s health and management of correct life attitude. Moreover, the group that remarkably showed the stresses of fatigue and depression had high level of demanding parent education for management of correct life attitude. The fourth, as a result of study on the independent variation factors that had influenced on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on the parents who had children, the overall demands of parent education were influenced by the variation factors such as the age of parents, the family income per month. The parental attitudes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and the affectionate attitude on parenting their children had influenced as factors. In the field of the parenting stresses, the responsibility and repression had influenced as factors. When considering the parent education demands as particular aspect, the management of children’s health was affected by the age of parents and the family income per month as variation factors, and the parental attitudes were affected by the parent attitudes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and the affectionate n parenting attitude. In addition, nurturing stresses were affected by responsibility and repression as variation factors. In the aspect of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for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the age of eldest child in background factors and the attitude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in the attitudes of nurturing their children were identified as variation factors on influence.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managing correct life attitude as final subordinate variation factor in the parental educational demands, many factors were identified as variation factors on influence. These factors were followed as: the age of parents in background factors, the attitude of promoting children’s independency and the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responsibility & repression and fatigue & depression in the parenting stresses. As these resul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should be considered with a sense of values of parents,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stresses surrounded parents an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