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죽음교육의 필요성 연구

        김성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죽음이란 삶과 분리시켜 생각할 수 없는 필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은 항상 죽음의 문제가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죽음에 대하여 거부하는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죽음이 가져오는 공포가 그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공포는 인생을 살면서 쉽게 해결할 수 없고, 어린 시절부터 조금씩 조금씩 공포를 이겨내는 방법을 익혀야 공포를 극복할 수 있다. 결국 죽음의 공포는 학습을 통해 극복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학습의 과정을 통하여 조금씩 죽음에 대하여 고민하고 생각을 하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죽음을 두려워하거나 무서워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자신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바로 이것이 죽음교육이 필요한 이유인 것이다. 도덕교육의 가장 중요한 영역은 무엇이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을 길러주는 부분이다. 죽음교육도 죽음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인지적 영역이 중요한 영역이며, 이를 토대로 교육을 통해 죽음에 직면한 어떤 상황에서도 올바른 선택을 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죽음교육은 죽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안을 모색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것이 죽음교육의 목적이며, 또한 도덕교육의 목적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도덕과 죽음과의 기본 관계를 전제로 죽음교육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 영역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개념 인지교육이다. 이는 먼저 죽음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하는데, 청소년들은 자아를 찾고, 정서적이며 지적인 측면을 발달시켜야 한다. 이때 죽음교육을 통해 죽음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삶의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죽음개념에 대한 인지교육이며, 이를 통해 삶의 의미를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둘째, 슬픔 치유 교육이다. 사별의 이해를 통해 사별로 인한 슬픔과 비통에 대해 학습하며, 미해결된 비통의 위험성과 인간적 성장의 최후단계로서의 죽음을 이해한다. 또한 죽음을 앞에 둔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나도 언젠가는 죽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주변에서 누군가가 죽어가는 나를 위해 헌신하고 봉사하고 있다면 나는 행복한 죽음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마음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 호스피스 활동인데, 죽어가는 사람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배려는 무엇인가를 고민해 보고, 행복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기본 개념으로 호스피스 봉사의 참다운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셋째, 죽음가치 습득 교육이다. 학생들이 죽음에 대한 계획을 세워보고, 죽음에 대한 가치갈등 상황에 직면 하였을 때 부정, 불안, 분노와 같은 심리적 공황상태에 직면하지 않고, 삶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하여 삶을 더욱 바람직하게 살아가려는 행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죽음의 가치 습득 교육이다. 넷째, 자살예방교육이다. 요즈음 학생들이 성적을 비관하여 자살을 하는 학생들이 해마다 일어나고 있으며, 유명 연예인의 자살이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충동적으로 자살을 모방하고 있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교육이 없다면 학생들은 현재의 어려운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자살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덕과에서 학생들에게 자살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라는 것을 이해시키고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죽음관련 영역을 기초로 죽음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도덕과에서 강화해야 할 죽음교육의 목표를 설정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으로 죽음과 관련하여 갈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치 판단 능력의 신장을 위해 필요한 죽음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상례예절을 익히고, 다른 나라의 죽음관련 문화도 접해봄으로써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둘째, 일상생활에 부딪히는 많은 문제를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 능력과 판단력을 길러야 한다. 셋째, 올바른 죽음 가치 교육을 통해 인류가 진정 바라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에서 실천함으로써 인류가 안고 있는 첨예한 문제를 극단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보다는 좀 더 유연하고 긍정적이며, 민주적 자세로 문제를 해결 하는 방식을 터득해야 한다. 넷째, 인류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자연물이 함께 공존해야 하므로 인간의 죽음, 뿐만 아니라 다른 자연의 모든 생물의 생명도 소중히 여기는 대승적인 세계관을 갖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인간으로서 바람직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죽음의 의미를 배우고 익히며, 그에 대한 지식, 정서, 태도를 확립하는 것도 필요한 것이라 하겠다. 죽음 교육을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르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좀 더 개방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들을 지도해야 한다. 또한 죽음교육은 학생들이 죽음에 대한 탐구 활동 및 자율적인 죽음의 경험을 촉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그에 부합하는 적절한 지도 방법과 다양한 학습 자료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가 금기시해온 죽음과 관련된 교육을 도덕과에서 학습해야 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비록 본 연구가 도덕과 교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을 세분화하여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 수준에 불과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죽음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숨길 것이 아니라 외부로 표출하고 나타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많은 심리적 변화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죽음교육을 강화함으로써 청소년 스스로 죽음에 대하여 사고하고, 자신의 미래를 심각하게 고민해보며, 현재의 삶을 도덕적으로 살아가는데 조금이라고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Death is inevitable and cannot be separated by life. Every human being h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d life. However, I think the reason people refuse to accept death is the fear that death brings to us. For this reason, since people are unable to overcome the fear, they need to learn about the methods to overcome the fear step by step from the childhood. Eventually, the fear of death can be overcome through learning. When people begin to worry about death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they seriously think about how to spend the rest of their lives by accepting it, not being scared or feeling the fear of death. That is the reason we need death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part of moral education is to develop cognitive ability to make the judge of what is morally right and wrong. Cognitive aspect is also important part in death education to recognize death correctly and on the basis of that,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is to lead people to have a right decision when they face death. In addition, death education offers information about death, seeks alternative choices, and helps people have a happy life. Those are the purposes of death education and the object of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relations between morality and death, some issues that should be included in death education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cognitive education for death concept. As death should be understood, juveniles have to seek self-esteem and develop emotional and intellectual aspects. During the process, they are able to re-recognize the value of life through death education, establishing their values for death and their identities. It is cognitive education for death concept and it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life. Second, it is education for curing sadness. The purposes of the education are to make people learn about sadness and bitterness by understanding the separation by death, understand the risk of unsolved bitterness and consider death as the last stage of human growth, understand people's minds that are going to meet death, and reinforce hospice activities serving people who is dying since everyone dies sometime. Third, it is education for learning the value of death. When students set a plan and faced the values conflict situations on death, it motivates them to have attitudes for a desirable life, making them understand the value of life, not letting students to face psychological panic such as deny, anxiety and angry. Fourth, it is education for preventing suicide. The number of students who committed a suicide on the rise every year and famous stars' suicid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students that they imitate their suicide impulsively. Without appropriat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ose students, they are apt to choose suicide to escape current difficult situations. Therefore, the moral department should make them understand and educate that suicide is not a desirable behavior. In order to reinforce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realm of death, the goals of death education that the moral department should reinforce are shown below. First, in order to develop the ability to judge the values that can resolve conflicts related to individual death, students should have attitudes to respect and understand other cultures as learning a correct recognition of death concept and funeral rites and experiencing other cultures related to death. Second, they should build an ability and judgment to solve problems appropriately and reasonably, not attempting to suicide, an extreme way to escape problems that we face every day. Third, through the desirable death education, they should learn about the method to solve problems that human beings have more flexibly and democratically rather than to lead extreme directions by understanding what human beings really want and practicing it in daily life. Fourth, since human beings have to coexist with other natures in order to survive, they should have a broader viewpoint to respect other lives in nature as well as human lives. It is necessary to learn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to have a desirable life and to establish knowledge, emotion, and attitudes for i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by providing death education effectively at school, more open and various methods to teach students are required. Furthermore, death education needs to suggest a variety of situations and apply appropriate guiding methods and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promote research activities for death and have voluntary experience in death.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oral department provide education related to death that modern society considered as taboo and offered plans. Although this study just subdivided the contents in moral text books and suggested plans, death should be expressed and described, not regarding as a negative thing and hiding it. Especially, as death education is reinforced for students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change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making them have a moral life, giving juvenile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death and worry about the future by themselves.

      • Well-dying : 가톨릭적 죽음준비교육 연구

        정성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Death is a universal principle everyone should face to and we live with birth as well as death from the moment we are born. However, no one experience his or her own death during the life so people basically have death anxiety and just some different attitudes on death preparation and different levels of death anxiety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 experience, education, and/or religion and so on. What is important is we can reach to our personal growth in the end of life depending on how to deal with our difficulties we experience in dying and death and it i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o helps achieve one’s personal development including one’s spiritual growth.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the holistic education to help people understand dying and death therefore accept their own death, furthermore, it support the bereaved people to look after their own loss and grief and empower themselves therefore live their meaningful lives more fully. In recent years, the reality is tha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still unfamiliar in Korea, moreover in Korean churches although that has been practicing in many other countries. Education on death is education on life because they cannot be separated. In other words, preparation on death is preparation on life so if we people can realize the meaning of dying death we can move a step into more faithful life with the recognition on every meaning and decision about death and life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deed, we face to the calling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Korean Catholic. The thesis is constructed with three chapters: 1. Understanding of death 2.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nd 3. Catholic Death Preparation Education. Chapter 1 looks at various perspectives to help understand ones’ dying and death including not only the dictionary definition but also medical,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meaning of death. Also it shows Shaman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 views on death which have influenced on Korean perspectives on death. It can be seen that Korean have various perspectives on death, integrating aspect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under the basis of Shamanism and there are more positives aspects by Christian despite Christian led to some kind of complexity to recognize the spirit/spiritual and eternal life. Next is focused on the postmodernism which can give effect to people’s modern life and changes in their value, family structure, and cause of death,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Moreover, postmodernism resulted in the tendency to stick to only the present life but death and after life according to the materialism and ignorance of the traditional value and als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saw the death as a failure of treatment and the family breakdown by nucleri family led people to loose the chance of experience nce nlook at the process dying and death in the expanded family situation. In addition, people tend to deny the death as there reatment an increase in deaths from chronic disease. In a way, it can be said people deny the dying process rather thaanded famtself and todays, people may primarily rexp desuch accidental deaths or paindisedeaths by disease as they hear the term ‘death’. Like ncis, denial of death lerds to the stick to the present life. However, life with absence of understanding on death is not complete that life far away from death becomes impoverished and this is why many people want to know the meaning of death and feel the need of death education. On the other hand, Chapter 2 illustrates how other countries educate and prepare to the death and compare with the situation in Korea which can explain the meaning and need of death preparation. Based on this, there is an effort to make the fundamental standards of death preparation in Catholic throughout seeing its various definition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defined as education including death, the process of dying, and all aspects of bereavement and offers the knowledge, skill as well as attitude about death and dying. It aims to help people understand one’s death more properly and see one’s life issues are directly linked to issues related to death and dying. Western countries have already integrated the death preparation into the regular education and in Japan death education has been also spread out in Jesuit Fr. Alfons Deke’s effort. There is a commonality of being influenced by Christianity between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t means today’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based on the Christian heritage of the meaning of death; therefore, it is obvious there is a calling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Korean Catholic. This chapter looks through som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related to death education such as the Research Centre of Life and Death operated by Prof. Oh Jin Rock and the program on death preparation offered by ‘Community to think about life and death’ of Karkdang Welmmre Institute and compare value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m. Prof. Oh provided university students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irstly in Korea and continues to support these programs and other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death,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And ‘Community to think about life and death’ has given its effort to expand the field of death education by recruiting professionals to execute death educational lessons, monitoring and managing them. As mentioned earlier, the background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the Christian culture and it requires reviewing the Catholic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Korea. Finally, Chapter 3 suggests educating death preparation specifically in Korean Catholic churches and for this, maps out its principle throughout searching the sense of Catholic believers. Following 4 statements are suggested as fundamental of Catholic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imaril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should focus on reducing people’s death anxiety, helping them accept death is natural. It should address that death teaches us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reminding of death not as separated with the life but a life event to show the personal finitude. Secondly, death should be regarded as humane, a completion and fruit of life. As reviewed in Chapter 2,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atches out not only matters related to death but also various life issues. Only human beings can recognize the meaning of death and complete and finish one’s life. Thirdl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should help people realize there is a spiritual aspect in dying.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one’s death perfectly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al technology, we should not ignore the mystic and invisible aspect of death. However, unfortunately positive meaning of death as a part of field of life has been fade and ignored although it should be accepted as holistic including not only biological but also humane, social and spiritual aspects. In last,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Christian’s death is participated in Jesus’s death. In other words, participating in Jess’s death means to accept death not as passive but active. We human beings recognize God more completely and experience Jesus Christ more deeply in dying and death. Indeed, death is a final highest decision. However, this decision is not made not at once after death and rather, we can reach this final decision as we make every decision at every moment of our life and review and synthesize each of decision. We live with Jesus’s death in everyday life and it requires faithfulness in our religious life. In this line, death preparation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elderly people are suggested. In fact, Korean death education is proceeding in the beginning, focusing more on old people in the end-of-life and in contrast, there are only few programs for adolescents so it implies that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respond to the need of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for youth people. Of course, educational programs Korean Catholic churches provide should include old people who are the large part of Catholic church community. Each program for the adolescent and elderly is consists with 6 sessions for 2 hours once a week, aiming to introduce them what is the notion about death in Catholic church and the meaning of Jesus’s death, helping them hold the meaning of life and new hope. Both programs are organized in the regard of Bible and Catholic doctrine but carefull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group. Program for the adolescent focuses on the issue of suicide because the rate of their commitment to suicide has been increased, in other hand; education for the elderly primarily introduces them those practical matters like a funeral, making a written will and its effect. However, these program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s because it has practical limitation as long as proved its effectiveness showing the change in their perspectives on death and their religious live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tried to support Catholic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s in the early stage of death education provision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o develop more various and specific Catholic education for death preparation throughout futer researches.

      • 기독교적 죽음 교육 연구 : 청년을 위한 죽음교육을 중심으로

        류성일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이 시대의 청년들이 ‘죽음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음’과 ‘죽음을 잊고 살아가려고 하는 의식’을 문제점으로 인식함으로 시작하였다. 그 원인으로 청년이 죽음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 인식 위에서 그 대안으로 기독교 죽음교육이 무엇이며,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지 그리고 청년을 위한 기독교적 죽음교육의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함에 있다. 기독교적 죽음교육을 이해하기에 앞서 죽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였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Ⅱ장에서는 죽음학의 대가인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와 알폰소 데켄의 죽음의 과정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성서적 죽음 이해를 살펴 본 후 존 칼뱅, 칼 바르트 그리고 위게르 몰트만의 죽음에 대한 이해를 소개하였다. Ⅲ장에서는 죽음학의 정의와 태동을 알아보고, 죽음학과 죽음교육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는 죽음학, 죽음교육, 죽음을 준비하는 교육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서 죽음교육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청년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결국 기독교적인 죽음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Ⅳ장에서는 청년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다. 먼저는 청년의 범위를 정한 다음 청년들의 상실과 사별에 대한 비탄 반응에 대해서 알아본다. Ⅴ장에서는 기독교적 죽음교육을 복음적이며, 성서적이며, 역사적인 죽음 교육이라고 정의한 후, 4가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죽음교육은 죽음을 배제하는 문화를 극복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두 번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부활 소망을 갖도록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세 번째, 죽음의 기술을 배우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루터가 이야기 한 것처럼 ‘그리스도의 죽음을 이해’하는 것이 죽음에 대한 최고의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죽음을 통해서 우리의 신앙이 더 깊어질 수 있도록 하나님을 향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기독교적인 죽음교육의 방향성을 품고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과 교재의 내용을 Ⅵ장을 통해 제시한다. 죽음교육의 프로그램의 제시는 이론적으로만 제시하지 않고, 나눔과 대화, 에덴낙원을 직접 방문하는 체험적인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하였다. 특별히 교육 대상자들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교육 후에 수료자들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유성이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A Plan for Child Death Education Program for Classification of Space Model based on Integrated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need for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death through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and to provide a plan for children’s death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ting. Based on the analysis of condition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ituation each child encountered and the way they dealt with death. Therefore, the locations for the program were categorized by their characteristics; museum represented a cultural venue, school represented an educational setting, and hospice medical center represented welfare services.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death education in the museum and school considered death as a continuation of life and confronted conflicts in life which led to a change in their general attitude. On the contrary, the children who confronted death in the hospice medical center had to directly experience their mother’s death as they witnessed the process. Therefore, the experience led to the children’s growth as they were able to withstand situation through the partaking in the preparation for death without feeling alienated or anxious. Therefore, we have proposed a plan for dea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ting while providing an education program through employing integrated arts methodology where children were selected as the recip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were chosen as the optimal recipient for the study conducted in the library. A sensation and experience based education method was employed; picture books were utilized for the sensation based practical education method. Secondly, in the educational setting, young children and teenagers were chosen as the recipients. As the education method, social studies, moral education, and virtue education tied with liberal arts as well as philosophical approach was implemented. A long term model was proposed with content based on art genres and field experience tied with curriculum which would be operated once a week for at least 1 year as a semester system. Thirdly,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neglected children, especially the ones who experienced separation by death were chosen as death education recipients. The education method was focused on the healing of psychological trauma, loss, and mourning while the self-analytical educational model was proposed based on content of concepts such as The Five Stages of Healing from Anna Halprin, TF-CBT factors, trauma-focused cognitive-behavior therapy&grief focused factors. Thu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oposal of specialized integrated arts dea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s has opened up a potential for the program to help the children’s holistic growth. Secondly, the execution and exhibition of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 positive outcome has increased the awareness of a need for a death education. Through this, the result of needed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ment of validity and necessity for a detailed operational manual in the societal and national sense.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a content develop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institutions and the recipients. Thirdly, death/grief education should continually be realized and the subject should expand to various demographics including children and teenagers. The program should be applied, developed, and enforced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a range of recipients such as adults, teenagers outside of schools, children experiencing traumatic grief, seniors, soldiers, correctional facilities, homeless shelters, etc.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an academic research to publish textbooks on death education. Keywords: Death education, child education, integrated arts education, healing, hospice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의 이해와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인식발달에 따른 이론적 배경과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공간별 특성에 따른 죽음교육 현황분석을 통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죽음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현황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 공간에 따라 아동의 처한 상황이 달랐고 죽음을 대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의 공간별 특수성을 문화거점공간인 박물관, 교육공간인 학교, 복지공간인 호스피스 의료센터로 분류하였다. 박물관, 학교 공간에서 죽음교육을 참여한 아동은 죽음을 삶의 연속선상으로 여기고 삶의 문제에 좀 더 직면하여 삶의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반해, 호스피스 의료센터에서의 사별아동은 엄마의 신체적 죽어감의 현상을 지켜보는 과정에서 죽음을 대하는 태도나 수용에 있어서 직접적인 죽음의 문제를 직면하였다. 그러므로 실제적인 죽음의 이해와 엄마의 죽음 준비를 동참함으로서 소외감이나 불안감 없이 임종을 지킬 수 있었고 죽음의 경험이 자신의 삶의 성장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각각의 특수한 공간 중심으로 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교육대상자는 아동으로 선정하여 통합예술교육방법론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모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거점공간 도서관에서는 유·아동을 최적화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육방식은 감각·체험중심이며 내용적 교육방법론으로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감각에 중심을 둔 총체적인 실천교리교육 방법으로 모델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공간에서는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방식으로는 사회와 도덕 교과목의 가치와 덕목 교육과 연계한 인문학, 철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내용적 방법론으로는 교과목을 연계한 예술장르와 현장체험으로 최소 1년 이상 학기제로 매주 1회 수업을 운영하는 장기 프로그램 모델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복지공간 지역아동센터에서는 소외·특수계층 특히 사별 아동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방식은 외상과 상실·애도 문제를 치유중심으로 심리적 문제를 다루며 내용적 방법론으로는 안나 할프린의 치유 5단계와 외상초점화 인지행동치료 요소 및 사별슬픔 초점화 요소 등 자기분석적인 모델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이론적 배경으로 공간별 특성화된 통합예술 죽음교육 프로그램 모델방안을 마련하여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죽음교육의 가능성을 열었다. 둘째, 아동 죽음교육의 실행과 전시로 이어진 긍정적인 결과로 아동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를 통해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국가적으로 아동의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발전시켜 새로운 프로그램과 적절한 세부적인 운영매뉴얼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기관의 특성과 교육 대상 집단의 특징 등에 따른 다양한 죽음교육⋅상실교육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죽음교육⋅상실교육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을 아동⋅청소년을 비롯해 다양한 대상자로 확장하여야 한다. 일반 성인, 학교 밖 청소년들, 외상성 사별슬픔을 겪고 있는 아동·청소년들, 노인, 군인, 교정시설, 가출 쉼터 등 폭 넓은 대상과 각 기관의 성격에 맞게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응용 발전시켜 시행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죽음교육을 위한 교과서를 출판하기 위한 죽음교육의 학술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주제어: 죽음교육, 아동교육, 통합예술교육, 치유, 호스피스

      • 기독교적 죽음교육

        방수동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A culture of death evasion today has not only led to materialism and surging death culture, but also become an obstacle for Christians to live a life of self-reflection. This situation requires appropriate death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need of Christian death education based on Christian understanding of death and suggest what Christian death education should be like, in order to help Christians live a life of self-reflection, overcome death, and serve others who are on the verge of death.To this end, general understanding of death is reviewed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of theory, and in particular, roots and problems of negative Korean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death are examined from a religious viewpoint. Furthermore, in order to suggest desirable Christian death education, basic Christian understanding of death is discussed first in detail, focusing on the doctrine of resurrection and suggestions for Christian death education are investigated through an overview of examples of death education conducted by many countries around the globe and the Korean church. Finally, on the basis of Christian understanding of death in particular as well as other scientific perspectives and studies discussed above, Christian death education is suggested.Further studies on and interest in Christian death education are essential to establish a culture of life, not death, in our society. In addition, various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along with constant efforts to train professionals in this field. 오늘날의 죽음회피의 문화는 물질만능주의와 죽음 문화의 팽배, 그리고 기독교인들에게 자기 성찰적 삶을 살지 못하게 하는 부작용을 낳게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 우리들에게 죽음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기독교적 이해에 기초한 기독교적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기독교적 죽음교육을 제시함으로 기독교인들이 자기 성찰적 삶을 살아가고 죽음을 극복하며 죽음의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이를 위하여 죽음에 관한 일반적 이해를 각 학문적 접근을 통해 개관하였고 특히 종교적 이해를 통해 우리민족에 있어서 전통적인 부정적 죽음이해의 뿌리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후 기독교적 죽음교육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그 토대가 되는 기독교적 죽음이해를 부활신앙을 중심으로 자세하게 알아보았으며 이어서 현재 행해지고 있는 죽음교육의 각국과 한국교회의 사례를 통해 기독교적 죽음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죽음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여러 학문들의 이해와 연구 그리고 특히 기독교적 죽음이해에 기초한 기독교적 죽음교육을 제시하였다.앞으로 기독교적 죽음교육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관심을 통해 죽음의 문화가 아닌 생의 문화가 이 땅에 꽃피워야 할 것이며 더불어 한국교회의 현실에 맞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제시되고 이 분야의 전문가가 육성되며 다양한 교육교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朝鮮時代 喪禮의 죽음교육적 含意 : 金長生의 『沙溪全書』를 중심으로

        차미영 동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dissertation has a purpose to research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studying the death ritual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Sagyejeonseo' by Kim, Jang-Saeng. In the time of Joseon dynasty, the teaching of proprieties was nationally carried out through the education of Yehak. The death ritua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Yehak is the service process based on the awareness of a limited life 'All beings are dead'. It contains the service of escorting a funeral with a corpse and the memorial service for spirit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based on the death ritual, I categorized (a dead) as a corpse and a spirit and reconstituted the death ritual as the Six stages. For the Six stag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Preliminary stage and Endlichkeit, the Purification stage and Piousness, the Burial stage and Normativity, the Lamentation stage and Internality, the Relative stage and Exteriority, the Deification stage and Transcendence. Based on it, I defin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on each single level. I drew a conclusion on each stage's characteristic by analyzing the main factors of a corpse and classifying it as the preliminary stage, the purification stage, and the burial stage. For the main parts, there are Sesiwolil (preparation of the funeral service), Cheongeojeongchim (returning back to the main room) on the preliminary stage. Its characteristic is Endlichkeit. Second, the main parts on the purification stage are Mokyok (bath) and Seup (last shroud), Soryeom (covering a corpse with hemp cloth) and Daryeom (Casket). Its characteristic is Piousness. Third, the main parts on the burial stage are Taeji (selecting a land for coffin) and Gaeyoungyeok (preparation for cemetery), Pyeom (moving a corpse to the selected land) and Seongbun (making for cemetery). Its characteristic is Normativity. For each stage's characteristic, Endlichkeit, the characteristic on the preliminary stage, explains that the existing human-beings at this moment cannot be in the future. The characteristic on the purification stage - Piousness means that we should deal with a human body preciously. The characteristic on the burial stage - Normativity is to conform the right and duty as human-beings following by social rules. For the main parts of spirits, I classified into the Lamentation stage, the Relative stage, the Burial stage and drew a conclusion on each stage's characteristic. For the main parts on the Lamentation stage, there are Musigok (making a sad sound for three months after death), Joseokgok (making a sad sound from three months of death to one year in the morning and at night), and Sakmang'gok (making a sound from one year of death to three years at every first day and fifteenth day of each month), Jogok (Jo means the consolation for chief mouner, Gok is to mourn for a dead) and Sangcha (a place to think of a dead). Its characteristic is Internality. The main parts on the Relative stage are Yeokbok (changing to shroud) and Seongbok (changing cloth for a funeral), and Choibok (changing cloth for a funeral of parents). Its characteristic is Exteriority. The main parts on the Deity stage are Jejeon (Je is an informal service for ancestor, Jeon is a formal service for ancestor) and Duhyang (the change of direction of a dead's head), Jung (storage for rice), Sokbaek (inviting a spirit made by hemp cloth) and Shinju (making a symbol of the dead). Its characteristic is Transcendence. The characteristic on the Lamentation stage is Internality. Mind gets sad and grieved because of death. The characteristic on the Relative stage is Exteriority. It is to disclose the social relation caused by death. The characteristic on the Deity stage is Transcendence. It is the implicit interchange of a dead and an alive. Based on the each stage's characteristic of the death ritual in the time of Joseon dynasty,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is as follows. First, it enables us to dissolve the uneasiness of life and accept death. It makes us consider Endlichkeit of an alive having limitations, learn a reverent attitude on the body, and abide by the institutional rules. Second, it enables us realize death and keep our lives going on. It lets us heal the internal sadness by death, set the exterior relationship, and experience the transcendental ex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bereavement, we can live our lives independently and know that the body and spirit can be divided by death and incorporated again by the process of the death ritual. So the death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by the death ritual. This research reconstituted as the Six processes for the death ritual in the time of Joseon dynasty and suggest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following by the characteristic of single step. I'd like to say that the death ritual for a dead could give a chance to change your life as finding out the life value by experiencing other's death. 본 논문은 김장생의 「사계전서」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상례를 연구하여 죽음교육적 함의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시대는 예학을 통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예교(禮敎)가 국가적으로 이루어진다. 예학에서 중요한 부분인 상례는 ‘모든 인간은 죽는다.’라는 한계적 생명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하는 의례절차로서 시신을 모시는 장송의례(葬送儀禮)와 정신을 섬기는 제사의례(祭祀儀禮)를 포함한다. 상례를 바탕으로 죽음교육적 함의를 모색하기 위하여, 체백(體魄)과 영혼(靈魂)으로 범주화하고, 여섯 가지 단계로 상례를 재구성한다. 여섯 가지 단계와 특성을 살펴보면, 예비단계와 유한성, 정화단계와 경건성, 안장단계와 규범성, 애도단계와 내면성, 친소단계와 외면성, 신격단계와 초월성의 여섯 단계로 정립하고 단계별 특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각 단계에서의 죽음교육적 의미를 도출한다. 체백의 주요 의절을 분석하여 예비단계와 정화단계 그리고 안장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 특성을 도출하였다. 예비단계의 주요 의절은 세시월일, 천거정침이다. 특성은 유한성이다. 둘째, 정화단계의 주요 의절은 목욕과 습, 소렴과 대렴이다. 특성은 경건성이다. 셋째, 안장단계의 주요 의절은 택지와 개영역, 폄과 성분이다. 특성은 규범성이다. 특성별로 살펴보면, 예비단계의 특성인 유한성(有限性)은 현재 존재하고 있는 인간이 미래에는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정화단계의 특성인 경건성(敬虔性)은 인간으로서 몸을 소중하게 대하는 것이다. 안장단계의 특성인 규범성(規範性)은 제도에 따라 인간으로서 권리와 의무를 준수하는 것이다. 영혼의 주요 의절을 분석하여 애도단계와 친소단계 그리고 신격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 특성을 도출하였다. 애도단계의 주요 의절은 무시곡과 조석곡 그리고 삭망곡, 조곡과 상차이다. 특성은 내면성이다. 친소단계의 주요 의절은 역복과 성복, 최복이다. 특성은 외면성이다. 신격단계의 주요 의절은 제전과 두향, 중과 속백 그리고 신주이다. 특성은 초월성이다. 특성별로 살펴보면, 애도단계의 특성은 내면성(內面性)으로 죽음으로 인하여 마음이 아프고 슬픈 것이다. 친소단계의 특성은 외면성(外面性)으로 죽음으로 인하여 야기된 사회적 처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신격단계의 특성은 초월성(超越性)으로 생자가 사자와 암묵적으로 교류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상례의 단계별 특성을 바탕으로 죽음교육적 의미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불안을 해소하고 죽음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한계를 지닌 생명체로서 유한성을 숙고 할 수 있도록 하고, 몸에 대해서 경건한 태도를 익힐 수 있도록 하며, 제도적 규범을 준수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죽음을 자각하고 지속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한다. 사별로 인한 내면적 슬픔을 치유할 수 있도록 하고, 외면적 관계를 정립할 수 있도록 하며, 초월적 교류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인간은 주체적으로 삶을 살아가며, 죽음으로 인하여 체백과 영혼이 분리되고 의례절차를 통하여 다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사별수용(死別受容)의 과정(process of accepting the bereavement)으로 경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례를 행하는 것 그 자체가 죽음교육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상례를 체백과 영혼으로 범주화하고 여섯 단계로 재구성하여 단계별 특성에 따른 죽음교육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죽은 사람을 대하는 의례 절차가 이 순간을 살아가는 사람에게 죽음의 경험 속에서 삶의 가치를 주체적으로 부여하는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 주요어: 죽음교육, 상례, 장송의례, 제사의례, 조선시대, 사계, 김장생

      • 죽음準備敎育이 죽음에 대한 態度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방선자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수강생의 죽음준비교육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3개 죽음준비교육기관 수강생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에서는 Likert 10점 척도에서 전체적으로 평균 8.27로 전반적으로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이해는 매우 높게 나타났고, 영역별로 죽음에 대한 준비,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 죽음 간접체험,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의 순으로 교육의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태도의 경우 Likert 5점 척도에서 전체적으로 평균 3.74로 ‘조금 그렇다’에 가까이 나타나 상대적으로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두려움, 회피, 위기관리의 순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준비교육과 죽음에 대한 태도 등 연구대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죽음준비교육간, 또 죽음에 대한 태도 간, 또 죽음준비교육과 죽음에 대한 태도 간에서 한 변수가 긍정적이면 다른 변수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중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에서는 연령별, 종교별로, ‘죽음 간접체험’에서는 경제상태별, 건강상태별로, ‘죽음에 대한 준비’에서는 성별, 직업별로,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에서는 학력별, 직업유무별, 경제상태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넷째, 죽음에 대한 태도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경제상태별로, ‘죽음에 대한 회피’에서는 성별, 학력별, 동거형태별로, ‘죽음에 대한 위기관리’에서는 직업유무별, 경제상태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는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가, ‘죽음에 대한 회피’에서는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이, 또 ‘죽음에 대한 위기관리’에서는 ‘죽음 간접체험’와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을 수강생의 수준과 환경, 배경에 따라 세분화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즉, 학교교육 대상인 아동청소년과 대학생 청년층이나, 또는 직장인까지 교육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목적에 맞게 차별화된 교육 내용의 개편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상관관계 분석에도 나타났지만 각 교육내용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또 각각의 교육훈련 내용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회귀분석을 보면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교육내용이 많다. 이는 사전적인 교육내용 자체는 분별력이 있으나 실제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관계를 보면 각 교육내용의 차별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내용의 효과성을 촉진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 내용 중 죽음에 대한 준비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전혀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 간접체험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도 하나의 영역에만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넷째, 학술적인 토의와 수강생과의 피드백을 통하여 한국인의 성향에 맞는 죽음준비교육 내용이 하루빨리 정립되어야 한다. 죽음준비교육이 서구에서 먼저 시행되었기 때문에 교육내용이 그대로 도입된 부분이 많다. 서구의 이성적, 합리적 성향이 강하지만 동양은 종교적, 정서적 성향이 강하므로 이 같은 차이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섯째, 공교육 안에서 죽음준비교육이 제도화되어야 한다. 미국, 독일과 일본에서는 이미 공교육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소중함, 삶과 죽음에 대한 문제를 윤리적인 면, 가치관의 측면에서 다루어야 한다.

      •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에 관한 내용분석

        한은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출판되어 통용되고 있는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 대상과 원인, 비탄과정의 반응과 대처, 죽음교육 내용의 범주를 분석하여 죽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와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국내․외 창작 그림책 중에서 한 사람의 일생을 다루고, ‘죽음’과 밀접한 주제를 가진 그림책 55권이었다. 연구방법은 내용분석으로 내용분석지를 사용하였다. 내용분석지의 내용은 그림책에서 죽음에 대한 비탄반응은 Elizabeth Kubler Ross(1969)와 Worden(1991)의 분류기준을 사용하였고, 죽음에 대한 대처방식은 민하영과 유안진(1998), Band와 Weisz(1988)의 아동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참고로 분류하였으며, 죽음교육 내용은 Barbara Ward(1948)의 「긍정적 비탄」비탄교육 안내서와 Kutner(1988)의 죽음교육 목적을 기준으로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 속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인공은 아동이었는데 이는 그림책의 독자인 아동이 보다 쉽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그림책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대상으로 조부모가 가장 많이 등장하는데 이는 아동이 실제로 죽음을 경험했거나 앞으로 경험할 가능성이 제일 높은 친밀한 존재가 조부모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의 가장 큰 원인은 자연사나 질병이었는데 아동들이 죽음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두려운 사건이 아니라 인간이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필연적인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그림책에서 죽음문제에 대한 중심인물의 반응은 죽음에 대한 주인공의 반응은 죽음을 맞이하는 대상, 즉 부모님이나 형제자매, 조부모 등 자신과의 관계성과 상실 체험의 차이에 따라 실로 다양하며 슬픔에 대한 아이의 반응은 고인과의 관계, 발달 수준, 죽음에 대한 개념 등에 따라 제각기 다른 모습을 띠었다. 넷째, 그림책에서 직접적으로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경험하는 아동의 대처방식은 다양한 감정을 겪고 죽음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죽은 이를 완전히 잊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추억하며 이웃이나 친구와 그 슬픔을 나누는 것이라는 평범하지만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다섯째, 그림책에서는 죽음의 개념에 대하여 유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죽음에 대한 개념의 하위 요인인 죽음의 인과성, 비가역성, 종말성, 노화성, 필연성이 나타나고 있다.다. 여섯째, 그림책에서는 장례식에 관한 이야기와 그림이 많이 등장한다. 아동들은 장례식처럼 눈에 보이는 형태로, 마지막 이별을 현실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쪽이 깊은 슬픔에 빠져 있는 아동에게 자기 혼자만이 아니라 가족의 일원으로서 어른과 함께 고통을 같이 나누고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본 연구 결과는 죽음을 주제로 다룬 그림책을 분석하여 그 속에 나타난 죽음개념, 비탄과정의 반응과 대처, 죽음교육의 내용을 보여줌으로서 그림책을 통한 아동의 죽음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또한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감소시키고, 죽음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책임 있는 삶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한 죽음 준비교육을 정규교과과정으로 실시하기를 기대한다.

      • 한국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백미화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South Korea is showing signs of being more vulnerable to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ith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nd an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e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the explosion of suicidal mortality attest to the maximization of the need to enhance self-integration and reduce depression by meaningfully reflecting on past lives and accepting future lives positivel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as a part of social efforts to reduce the anxiety over the death of significant others and their upcoming death. The recent enactment of the「Hospice, Palliative Care and Medical Care Decision Making Law」has raised the concern about the dignity of death, but there is virtually not many opportunities to access to the environment or educational program to prepare for and confront the actual death. That is why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hich provides real understanding of death, pract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death,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elderly in Korea today. In order to explore the elements that must be included i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a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with current domestic and abroad death education programs was carried out. The proposed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its in-depth interviews with death education specialists to provide a new direction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Most death education experts hav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program to be included an understanding of death,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what to prepare and what to do in the process of death, mourning for bereavement and healing of loss. Suicide is also a must-have education that clearly defin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ignity of life and death. Therefore,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has been proposed that includes insufficient loss, grief, and mourning sessions for Korean elderly today. key word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elderly, self-integration, ability to cope with death, mourning, treatment of loss 대한민국은 급속한 고령화와 노인의 독거가구가 증가하면서 노인층의 정신적 건강에 적신호를 보이고 있다. 노인들의 높은 우울증과 자살 사망률 폭증은 지나온 삶을 의미 있게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함으로써 자아통합감을 높여주고 우울감을 낮추어 줄 필요성이 극대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또한 의미있는 주변인의 죽음과 자신의 다가오는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켜주는 사회적 노력의 일환으로 죽음준비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죽음을 준비하고 맞이할 수 있는 죽음대응 능력함양을 위한 환경이나 교육프로그램을 접할 기회가 사실상 부족한 실정이다.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삶과 죽음의 의미에 대한 성찰, 죽음과 임종, 사별에 관한 실질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주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이유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실제 죽음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필요한 사항을 알고 현실적인 준비를 행할 수 있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요소를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탐색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죽음교육 프로그램과의 체계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의 노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프로그램은 죽음교육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그 적합성을 평가받아 죽음준비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죽음교육 전문가들은 죽음에 대한 이해, 죽음이 일어나는 과정에서의 준비사항과 정리해야할 것들에 관한 다양한 정보, 사별에 대한 애도와 상실치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자살 또한 생명의 존엄성에 포함시켜 품위 있는 죽음과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정립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현재 복지관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죽음준비교육에는 미비한 상실ㆍ비탄ㆍ애도 교육이 포함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제안되었다.

      • 불교 죽음교육에 관한 연구

        김미선 동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불교의 생사관에 바탕한 죽음교육을 다룬 것이다. 연구의 목적과 의미에서는 최근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른 종교와 죽음, 특히 불교의 입장에서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 새로운 죽음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여기서는 구체적인 현장에서의 죽음에 대한 대처방안보다도 불교의 전통적인 생사관념에 바탕하여 전체적인 죽음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죽음교육의 일환으로 그 이론을 정립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리하여 먼저 불타(佛陀)와 초기불교의 생사관, 선종(禪宗)에서 본 죽음의 의식, 정토사상(淨土思想)의 발전과 생사관 변천을 통해 전체적인 불교의 생사관의 변천과 그 관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불교의 죽음에 대한 정의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열반(nirvāna)과 왕생(往生)이라고 하는 점이다. 이는 불교 역사의 발전과정에서 자동적으로 파생된 것으로 불교의 죽음에 대한 의식의 변천을 포괄한다고 할 수 있다. 초기불교의 죽음의 극복의 대명사는 열반이며 이후 대승불교의 발전에 따라 타방정토 사상의 발전에 의해 왕생이라고 하는 죽음 이후의 세계관이 발전하였다. 이는 현생과 내생에 대한 민중의 의식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며, 결국 불교도는 이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것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자신의 수행관과 신앙관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는 이러한 기초적인 배경 하에 불타의 성도(成道)를 바탕으로 한 초기 원시불교와 선종, 정토종의 생사에 대한 관점을 논하였다. 죽음교육은 비교적 최근에 시작된 학문분야로 이에 대한 개념정의나 실천적 방안,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이 아직은 미진한 상황이다. 더더욱 죽음에 대한 학적 관심이나 성과가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일본 등 죽음학(Thanatology) 선진 국가들에 비해 미흡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론에서는 불교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방향 제시를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의도는 첫째, 기독교나 천주교의 죽음교육은 어느 정도 학문적 성과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불교 죽음교육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로 무엇보다도 그 가능성과 유용성, 필요성에 대한 합의와 전체적인 방향에 대한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각 대상별 불교죽음교육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불교 죽음교육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과 접근 틀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기존에 불교죽음교육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론의 세부 사항에서는 죽음교육의 정의와 목적, 죽음교육의 이론과 접근법, 서구의 죽음교육 현황, 불교죽음교육의 현황을 짚어보았다. 죽음교육은 이른바 3인칭 죽음이라하는 타인들의 죽음과 나와 관계있는 사람들의 죽음, 즉 2인칭 죽음을 기본적으로 그 대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우리는 스스로 자신의 죽음을 객관화하고 동시에 개인화하여 개별적인 자신의 죽음 대면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죽음교육의 이론과 접근법에서는 대표적으로 연구자들의 연구성과에 바탕하여 사회학, 심리학적, 법의학적, 건강교육적, 그리고 전생애적 접근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60년대부터 90년대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죽음교육의 현황과 이에 대비되는 불교의 죽음교육에 대한 현황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여러 방법의 한계를 짚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거쳐 불교 죽음교육을 교리적 측면에서의 접근과 대중포교 측면에서의 죽음교육에 대해 모색하였다. 죽음교육의 프로그램의 구성방식을 개념적 접근법, 단위접근법에 대해 소개하는 형식으로 접목을 시도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불교 죽음교육의 기대효과로는 범 불교계나 거대 종단 차원, 산하 각 단체들이나 학자들이 참여하는 모델, 각 사회봉사단체나 조직이 죽음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현황과 실정에 맞는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았다. 더불어 죽음교육의 주체나 대상, 또는 피교육생의 보호자가 가지는 죽음에 대한 교육의 터부를 불식하게 될 것으로 보았다.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thought of life and death in buddhism. The purpose and meaning of study is set up a viewpoint about death and dying, and death and religions, especially from buddhism which recently brings out as a matter of social concern, and a new direction of the death education. But, here it is aim to establish theory as a death education for making revitalization of systematic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thought of life and death, than discussing concretely how to deal with the real situation. Then, this writer is trying to derive an idea on the transition of life and death through studies on the idea of life and death in thoughts of Buddha and early buddhism, zen buddhism, pure land buddhism. The definition on the life and death of buddhism has two ways, that is, nirv?na and rebirth in pure land as paradise. These are originated in processing of histories development automatically, could be included the transition of the idea of life and death in buddhism. The major term of overcoming real death in early buddhism is nirv?na, since then, progressed the outlook on the world of death with progressing the thought of pure land in another world. Needless to say, that was in history of mahayana buddhism. These are reflected in thought of the people about this world and life after death too, finally buddhists make determination one󰡑s viewpoint to do ascetic exercises and believe which side to place a great deal of weight between two ways. Hence, This parts deals with viewpoint of life and death in early buddhism, and sects in zen buddhism and pure land buddhism based on the Buddha󰡑s attainment of Great Wisdom as religious background. The death education is a part of science beginning early, which is placed in undeveloped situation about definition of that concept, programs in practice, and verification of that effectiveness. It is less easy to see why scientific concern and productiveness in korea than japan and america etc where are actively studied in thanatology are not so prosperous. This study, paying due regard to these points, has aim to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scientific possibility, and presenting one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 study on death education stands on beginning step, and is necessary to specialize in that possibility, usability, necessity, and direction upon the whole, although scientific fruits about death education are some achieved in christian and catholic society. Secondly, the outlook in perspective and a approaching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applying a concrete program is demanded first of all. Thirdly, concrete and deep study are limited, because there is scarcely anything to refer preceding studies on death education in buddhism. For that, this writter seeked after a definition and purpose, theory and approaching methods on death education, the present situation of that in western society and the world on buddhism in the main discourse. The death education treated in this main sects has target to what is called death of second person which means death related to me, and third person which means that of another person basically, and is aimed to objectify one?s death, personalize it at the same time, and finally develop the strategy confronting it. A theory and a approaching method on death education are described on social, psychological, forensic approaching way, and from side of health education, and life span. And, it is researched on limitation of various methods making progress nowaday through the present situation of death education from 1960s to 1990s in korea society in contradistinction with western society. Through these researches, it is studied on the death education approaching from side of doctrines, and missionary work to people. And the method formating programs on death education is tried to present approaching ways of conceptual method and credit method. Lastly, The expectation of that effect is that buddhist community, various sects of religions, and volunteer organization are applying these program modified to the real world and life. And the taboo on death education which the educator and the educand have, will get rid of possible misundersta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