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新羅의 祭祀와 儀禮

        김동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그간 고고학 성과로 축적되어진 유구와 유물을 통해 신라의 제사와 의례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해 보고자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지금까지 고고학 자료를 활용한 제사와 의례 연구는 주로 고분에서 출토되는 이형토기의 형태적 특징과 부장 의미의 해석에 치우쳐 있었지만, 최근 관련 자료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단계에 이르렀다. 본 연구의 시공간적 범위는 4세기대부터 통일신라시대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만, 고고학 자료는 5세기대와 6세기대에 집중되어 있다. 또 지역적 범위도 신라권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지만 자료가 치중되어 있는 지역에 한정되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신라의 장송의례에서는 신라식 제사를 추출하기 위하여 가야권역의 자료도 일부 분석 대상에 포함시켜 두었다. 이에 앞서 신라 제사의 역사성과 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삼국지』 동이전에 전하는 제천의례를 본 연구의 출발선에 두었다. 이에 따르면 정치체 별로 계절제의 성격을 띠는 제천의례를 거행하였으며, 제사를 주관하는 천군이 존재하였다. 또, 신성한 지역을 정하여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달아 귀신을 섬겼다고 하는 것을 볼 때 농경문청동기와 각종 청동 의기류는 제사장이 제사의 장엄함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의례용품일 것이다. 제사가 거행되는 장소는 聖所로서 접근이 쉽지 않은 구릉 정상부나, 하천을 자연 경계로 하여 생활의 공간에서 이격된 곳이 선정되었다. 제사 후에는 음주가무가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동원된 경제력은 부의 재분배를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제사장은 사회적 지배자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유지해 나갈 수 있었다. 전쟁이 있을 때에도 의례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볼 때 제사는 정치・경제・군사・사법적 의미를 모두 지니고 있는 사회 운영의 기본 장치로 기능하였고, 이를 지휘하는 제사장은 정치적 리더의 역할도 겸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의례의 목적과 방식에 대해서는 고대와 삼국시대를 통틀어 그 성격이 가장 분명한 유적인 광주 신창동 유적과 부안 죽막동 유적에서 발견된 제사유물의 종류를 통해 유추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유적은 모두 특별한 입지를 통해 천신과 바다신을 대상으로 각기 풍년과 항해의 평온을 위한 의례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두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의 종류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의례용품이 도출되어 신라의 의례와 제사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단서를 제공해 주었다. 이에 따라 경산 임당토성과 김해 봉황동 저습지 유적은 각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목적 외에도 조업의 성공을 기원하는 목적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신라의 왕실제사는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제사지를 토대로 시조묘 제사, 신궁 제사, 오묘 제사가 존재하였으며 새로운 제사 체제의 도입은 왕실의 권위를 강조하고 주변 세력을 압도하기 위한 방편이었음도 알 수 있었다. 즉 모두 조상 제사적 성격을 바탕에 두고 있지만, 보다 정통성을 강조하여야 할 필요성에 따라 신궁 제사가 출현하였고, 당과의 활발한 교류 과정에서 오묘 제사가 도입되었던 것이다. 경주 나정유적은 초기철기시대의 목책열과 우물지, 통일신라시대의 팔각형 건물지가 고구려 환도산성의 팔각형 건물지와 비교 가능하다는 점에 근거해서 신라의 국가 제사가 이루어진 공간일 가능성이 크다. 신라 왕실이 주도하는 제사는 조상 제사 외에도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농경의례가 있었으며, 이 의례에 사용된 유물이 경주 쪽샘 41호분에서 출토된 대형 철제 농기구일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신라의 왕이 사회의 안녕을 유지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목적으로 직접 산천과 바다에 나가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은 신라 사회에서 제사와 의례가 지니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사실이다. 신라 사회에는 이와 같이 국가가 주도하는 제사 외에도 지역 공동체 혹은 개인 차원의 민속적 제사가 있었다. 생활유적에서 발견되는 인면문 토구, 소형 토제품, 원반형 토제품, 공자형 토제품, 복골, 동물희생 등과 같은 현상이 이를 잘 보여준다. 이와 같은 유물은 서로 공반되기도 하고 깨어진 채로 흩어져 발견되기도 하여 유물이 출토된 지점이 의례 공간인지 폐기 공간인지에 대한 검토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수혈・우물・건물의 정지면, 하천변, 성터, 조업시설, 주거지의 부뚜막 시설 등 다양한 공간에서 이와 같은 의례의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는 점을 통해 볼 때 공동체 사회에서 제사와 의례가 지니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신라 고분의 장송의례에서 화려하고 귀한 유물을 착장하고 사람과 동물을 희생시키는 현상은 현세의 부와 영화를 내세에도 유지하고자 하는 신라인의 계세사상에서 비롯되었다. 신라의 장송의례용 유물은 왕경에서는 상형토기와 장식토우, 경산과 의성 등 지방에서는 동물장식이부호가 사용되었다. 상형토기는 3세기대 오리모양주자에서 출현하여 6세기 초 뿔잔모양토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는데, 이는 승천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신라 장송의례의 가장 큰 특징은 이전의 목관묘와 목곽묘 단계에서 유지되던 축조 공정과 납관에 따른 의례에서 벗어나 高大한 봉분의 축조와 함께 적석목곽분의 봉토 외곽에 대호를 도열배치하거나 제단시설을 만들어 의례를 가시화하였다는 점에 있다. 장례는 중앙집권적 사회에서 왕과 귀족의 권위와 위엄을 가장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식이었으며, 이를 통해 ‘亡者와의 관계에서 산 자들’ 간의 관계로 재창조되어 권력의 재편을 도모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사회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신라 무덤의 장송의례는 7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이를 무덤의 구조와 연계해서 살펴보면 적석목곽분이 축조 단계별로 가장 많은 제의물이 발견된다. 이는 최고 지배자의 무덤에서 장송의례가 매우 엄격하게 정해진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특히 시종자를 주인의 무덤에 함께 묻거나 동물의 살생이 이루어지는 희생의례, 호석 밖에 대호를 배치하여 다양한 음식물을 넣어두는 공헌의례는 최고 지배자에게 한정되었던 제사 방식이었다. 부산지역의 경우 동물형 토우를 기대에 부착하고, 창녕지역의 경우 호석 밖에 대호를 등간격으로 배치하거나 개를 제사에 이용하는 방식은 신라의 제사 체계를 온전히 따르고 있다는 점 때문에 두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참고된다. 신라 석실분의 매장 프로세스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목관의 사용이 출현기에만 확인되거나 특별한 사례라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신라의 중앙은 물론 지방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목관부속구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석실분의 매장 프로세스를 다양한 관점에서 재검토해야할 단계에 이르렀다. 신라 사회의 제사에서 산천제는 고대의 농경 사회로 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가장 중요한 의례였으며 이는 농경이 매우 중요한 사회 구조에서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이와 같은 산천제는 왕실이 주체가 되어 농사의 풍요를 위해 시작되었지만, 중앙집권기에는 국토 방위도 중요한 목적이 되었다. 이와 같은 국가 단위의 제사 외에도 공동체와 개인 단위의 민속적 의례를 행한 흔적이 생활유적의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이 의례의 대상은 물의 신, 불의 신, 땅의 신으로 상정해 보았다. 의례의 대상인 천신, 시조신, 지신을 신라의 정치적 성장 과정에 맞추어 살펴보면 진한 소국기에는 천신, 마립간기에는 시조신, 중앙집권기에는 지신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신라 사회의 토속 신앙은 불교의 도입에 따라 고대의 샤마니즘적 세계관에 영향을 끼치며 사회 기층과 융화되면서 장승과 산신각의 형태로 남겨지게 되었다.

      • 신라 적석목곽묘 상장의례 연구

        김은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3

        In the ancient time, it is believed that a soul of deceased person might encounter numerous obstacles to reach to the after world that there was a need for certain ceremony for formality in order to overcome such obstacles and it is referred to as the burial ceremony.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burial ceremony undertaken in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of Silla Dynasty. When looking at the construction activities of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it is considered as the symbolic outcome of the suggestive action and the ceremonial conception is reflected in all elements of the tomb. The burial ceremony intended to discuss in this thesis means various ceremonies held prior to place the deceased in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a number of burial ceremonie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deceased and constructing the ancient tomb, and comprehensive review on the memorial rites held around the mound or tombstone after completing the ancient tomb. Therefore, by figuring out the types of buried relics, burial pattern and implication of burial as confirmed for each construction phase of the ancient tomb, the respective ceremonial action is to be restored and further review for formation of ceremonies emerged through such effort. In addition, it is also deemed to take a look at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t points of ceremonies held depending on the hierarchy of each ancient tomb, and this is attributable to recognize the expert group to construct the ancient tomb and take a look at the norm or social agreement following the foregoing. The funeral parlor made prior to place the deceased person to the burial site has been seen through various metal containers and earthenware buried inside the relic box installed at the head side of the deceased person. By thoroughly finding out the combined image of relics, burial location and so forth as confirmed in the burial box, it is restored the dining table for ancestral rituals, such as, funeral parlor or perpetual placement, for the buried person. As a result, several units of buried relic groups were found out from the burial box, and such a group phenomenon would be presented as various ceremonial devised used in a number of funeral parlors, namely, funeral parlor, road ritual, ritual for funeral procession, perpetual placement and so forth that were made prior to place the deceased in the burial site. The burial ceremony is restored by analyzing the types of relics confirmed at the phase of constructing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of excavating relics and characteristics of buried relics, the characteristics of remaining items, ceremonial goods, religious items, food contribution and so forth for the buried person have to be considered. The tomb ritual includes various memorial ceremonies held after completing the ancient tomb that it is available to consider in details through various ceremonial relics emerged from Jjoksam Tomb No. 44 and in the process of re-discovery of Geumryeongchong. It has taken a look at the formation of ceremonies following the hierarchy of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detailed outcomes of such burial ceremony. Common ceremonies carried out from a number of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were the memorial ceremony relate to funeral parlor, perpetual placement and the frequency of such a memorial seemed to differ depending on the hierarchy. And, it is common to find that the ceremonies were carried out from the stone mound part that the Juchil ceremony and food contribution are seemed to be mostly made. The ceremony processed in the stone mound part may be considered as the ceremony related to the buried person, but it may also be contemplated as the ceremony hel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ncient tomb. The ritual ceremonies held at the ancient tomb are differentially made following the hierarchy of the buried person, and the higher the hierarchy, the more differences in terms of type and quantity of outfits and related items, boxes containing the relics and relics around the buried person, and there is a complicated characteristic in displaying the ritual ceremonies related to various ritual items used in the funeral march and ceremonies related to the heavily religious incantation. When looking comprehensively on such differences and trend of buried relics, the ritual ceremony made in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of Silla Dynasty is assumed to carry out by reflecting at least the system aspect, and it internally contains religious factors that seemed to stem from Taoism and local folk religion as it is similar to the Confucius burial ritual that enable to assume for having the ritual ceremonies with various views on earthly world.

      • 朝鮮時代 喪禮의 죽음교육적 含意 : 金長生의 『沙溪全書』를 중심으로

        차미영 동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7

        This dissertation has a purpose to research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studying the death ritual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Sagyejeonseo' by Kim, Jang-Saeng. In the time of Joseon dynasty, the teaching of proprieties was nationally carried out through the education of Yehak. The death ritua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Yehak is the service process based on the awareness of a limited life 'All beings are dead'. It contains the service of escorting a funeral with a corpse and the memorial service for spirit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based on the death ritual, I categorized (a dead) as a corpse and a spirit and reconstituted the death ritual as the Six stages. For the Six stag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Preliminary stage and Endlichkeit, the Purification stage and Piousness, the Burial stage and Normativity, the Lamentation stage and Internality, the Relative stage and Exteriority, the Deification stage and Transcendence. Based on it, I defin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on each single level. I drew a conclusion on each stage's characteristic by analyzing the main factors of a corpse and classifying it as the preliminary stage, the purification stage, and the burial stage. For the main parts, there are Sesiwolil (preparation of the funeral service), Cheongeojeongchim (returning back to the main room) on the preliminary stage. Its characteristic is Endlichkeit. Second, the main parts on the purification stage are Mokyok (bath) and Seup (last shroud), Soryeom (covering a corpse with hemp cloth) and Daryeom (Casket). Its characteristic is Piousness. Third, the main parts on the burial stage are Taeji (selecting a land for coffin) and Gaeyoungyeok (preparation for cemetery), Pyeom (moving a corpse to the selected land) and Seongbun (making for cemetery). Its characteristic is Normativity. For each stage's characteristic, Endlichkeit, the characteristic on the preliminary stage, explains that the existing human-beings at this moment cannot be in the future. The characteristic on the purification stage - Piousness means that we should deal with a human body preciously. The characteristic on the burial stage - Normativity is to conform the right and duty as human-beings following by social rules. For the main parts of spirits, I classified into the Lamentation stage, the Relative stage, the Burial stage and drew a conclusion on each stage's characteristic. For the main parts on the Lamentation stage, there are Musigok (making a sad sound for three months after death), Joseokgok (making a sad sound from three months of death to one year in the morning and at night), and Sakmang'gok (making a sound from one year of death to three years at every first day and fifteenth day of each month), Jogok (Jo means the consolation for chief mouner, Gok is to mourn for a dead) and Sangcha (a place to think of a dead). Its characteristic is Internality. The main parts on the Relative stage are Yeokbok (changing to shroud) and Seongbok (changing cloth for a funeral), and Choibok (changing cloth for a funeral of parents). Its characteristic is Exteriority. The main parts on the Deity stage are Jejeon (Je is an informal service for ancestor, Jeon is a formal service for ancestor) and Duhyang (the change of direction of a dead's head), Jung (storage for rice), Sokbaek (inviting a spirit made by hemp cloth) and Shinju (making a symbol of the dead). Its characteristic is Transcendence. The characteristic on the Lamentation stage is Internality. Mind gets sad and grieved because of death. The characteristic on the Relative stage is Exteriority. It is to disclose the social relation caused by death. The characteristic on the Deity stage is Transcendence. It is the implicit interchange of a dead and an alive. Based on the each stage's characteristic of the death ritual in the time of Joseon dynasty,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is as follows. First, it enables us to dissolve the uneasiness of life and accept death. It makes us consider Endlichkeit of an alive having limitations, learn a reverent attitude on the body, and abide by the institutional rules. Second, it enables us realize death and keep our lives going on. It lets us heal the internal sadness by death, set the exterior relationship, and experience the transcendental ex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bereavement, we can live our lives independently and know that the body and spirit can be divided by death and incorporated again by the process of the death ritual. So the death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by the death ritual. This research reconstituted as the Six processes for the death ritual in the time of Joseon dynasty and suggest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following by the characteristic of single step. I'd like to say that the death ritual for a dead could give a chance to change your life as finding out the life value by experiencing other's death. 본 논문은 김장생의 「사계전서」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상례를 연구하여 죽음교육적 함의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시대는 예학을 통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예교(禮敎)가 국가적으로 이루어진다. 예학에서 중요한 부분인 상례는 ‘모든 인간은 죽는다.’라는 한계적 생명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하는 의례절차로서 시신을 모시는 장송의례(葬送儀禮)와 정신을 섬기는 제사의례(祭祀儀禮)를 포함한다. 상례를 바탕으로 죽음교육적 함의를 모색하기 위하여, 체백(體魄)과 영혼(靈魂)으로 범주화하고, 여섯 가지 단계로 상례를 재구성한다. 여섯 가지 단계와 특성을 살펴보면, 예비단계와 유한성, 정화단계와 경건성, 안장단계와 규범성, 애도단계와 내면성, 친소단계와 외면성, 신격단계와 초월성의 여섯 단계로 정립하고 단계별 특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각 단계에서의 죽음교육적 의미를 도출한다. 체백의 주요 의절을 분석하여 예비단계와 정화단계 그리고 안장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 특성을 도출하였다. 예비단계의 주요 의절은 세시월일, 천거정침이다. 특성은 유한성이다. 둘째, 정화단계의 주요 의절은 목욕과 습, 소렴과 대렴이다. 특성은 경건성이다. 셋째, 안장단계의 주요 의절은 택지와 개영역, 폄과 성분이다. 특성은 규범성이다. 특성별로 살펴보면, 예비단계의 특성인 유한성(有限性)은 현재 존재하고 있는 인간이 미래에는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정화단계의 특성인 경건성(敬虔性)은 인간으로서 몸을 소중하게 대하는 것이다. 안장단계의 특성인 규범성(規範性)은 제도에 따라 인간으로서 권리와 의무를 준수하는 것이다. 영혼의 주요 의절을 분석하여 애도단계와 친소단계 그리고 신격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 특성을 도출하였다. 애도단계의 주요 의절은 무시곡과 조석곡 그리고 삭망곡, 조곡과 상차이다. 특성은 내면성이다. 친소단계의 주요 의절은 역복과 성복, 최복이다. 특성은 외면성이다. 신격단계의 주요 의절은 제전과 두향, 중과 속백 그리고 신주이다. 특성은 초월성이다. 특성별로 살펴보면, 애도단계의 특성은 내면성(內面性)으로 죽음으로 인하여 마음이 아프고 슬픈 것이다. 친소단계의 특성은 외면성(外面性)으로 죽음으로 인하여 야기된 사회적 처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신격단계의 특성은 초월성(超越性)으로 생자가 사자와 암묵적으로 교류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상례의 단계별 특성을 바탕으로 죽음교육적 의미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불안을 해소하고 죽음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한계를 지닌 생명체로서 유한성을 숙고 할 수 있도록 하고, 몸에 대해서 경건한 태도를 익힐 수 있도록 하며, 제도적 규범을 준수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죽음을 자각하고 지속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한다. 사별로 인한 내면적 슬픔을 치유할 수 있도록 하고, 외면적 관계를 정립할 수 있도록 하며, 초월적 교류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인간은 주체적으로 삶을 살아가며, 죽음으로 인하여 체백과 영혼이 분리되고 의례절차를 통하여 다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사별수용(死別受容)의 과정(process of accepting the bereavement)으로 경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례를 행하는 것 그 자체가 죽음교육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상례를 체백과 영혼으로 범주화하고 여섯 단계로 재구성하여 단계별 특성에 따른 죽음교육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죽은 사람을 대하는 의례 절차가 이 순간을 살아가는 사람에게 죽음의 경험 속에서 삶의 가치를 주체적으로 부여하는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 주요어: 죽음교육, 상례, 장송의례, 제사의례, 조선시대, 사계, 김장생

      • 묘역지석묘의 유물 훼기와 장송의례 연구

        강민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6

        본 연구의 목적은 묘역에 훼기된 유물을 분류⋅분석함으로써 묘역지석묘를 축조하면서 행한 일련의 장송의례 중 최종 단계의 장송의례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먼저 묘역을 면적별로 분류한 뒤 유물의 출토현황을 살펴보았다. 주목되는 것은 다종⋅다량의 유물이 초대형의 묘역뿐만 아니라 중형과 소형의 묘역에서도 확인된다는 점이다. 이어서 묘역의 평면형태 및 출토위치별 유물 출토양상과 묘역 출토유물의 잔존상태에서 의도적인 훼손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지 혹은 특정한 잔존패턴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출토양상에서 주목되는 것은 무문토기였다. 무문토기는 묘역 출토유물 중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했으며, 그중에서도 기종으로 살펴봤을 때, 발이 가장 많았다. 발이 주로 자비 행위에 사용되는 토기임을 감안했을 때, 이는 묘역지석묘와 자비 행위와의 관련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물별 잔존상태를 살펴보면, 무문토기 저부편의 경우 굽에서 동체부로 이어지는 면을 일정한 높이로 타격하여 떼어낸 흔적이 확인된다. 이는 의도적인 훼기를 잘 보여주는 예시이다. 묘역 출토 적색마연토기는 기종⋅크기에서 부장용 적색마연토기와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묘역 출토 적색마연토기는 부장용 적색마연토기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보았다. 저부천공토기는 인위적으로 저부에 구멍을 뚫은 것으로 훼기를 잘 나타내는 사례이며, 묘역 내⋅외부 출토품과 구 출토품 간에 천공 방향에서 차이를 보였다. 석검의 경우 평거 3-1지구 33호 출토 석검과 같이 신부와 병부를 의도적으로 파손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부장한 예는 분명 훼기를 잘 나타내는 사례이다. 이외에 여러 석기는 잔존상태에서 특정한 패턴이 확인된다. 이러한 양상들을 종합하여 묘역 출토유물을 훼기 유물로 보았다. 이후 묘역의 특정 공간에 훼기 유물이 밀집해 있는 사례를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취락 내 방향을 검토함으로써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훼기 유물이 밀집해 있는 지점은 주거 공간⋅생산 공간과 같은 生者의 공간을 향해 있었다. 민족지 사례를 참고했을 때, 청동기시대에도 타계관이 존재했을 것이며, 死者의 영혼이 무사히 타계로 가길 기원했을 것이다. 이러한 타계관을 바탕으로 훼기 유물이 생자의 공간을 향해 밀집해 있는 양상은 亡靈이 生者의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막고자 한 관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해보았다. 이어서 유물 훼기가 행해지는 시점과 훼기 유물이 훼기되기 이전에는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물 훼기는 선행연구와 묘역지석묘의 축조과정을 고려했을 때, 전체 장송의례 중 최종 단계에 행해지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훼기 유물 중에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이는 무문토기의 기종 중 발이 가장 많다는 점에 주목하며, 『三國志』 「魏書 東夷傳」 倭人條에 기록된 "歌舞飮酒"를 참고하여 공음공식 행위를 상정하였다. 이러한 공음공식의 의의는 민족지 사례를 참고했을 때, 표면적으로는 공동체적 성격을 띠지만, 실상은 피장자 내지 특정 계층의 권력 강화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분묘 축조집단의 경제력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

      • 高句麗 古墳의 造營과 祭儀

        정호섭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5

        This study is on tombs of Koguryo, especially stone-filed tombs and mural painting tombs, and Sacrificial Rites. Chapter Ⅱ is a basic step for a synthetic examination of existing reports on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in the region of Jian and then to understand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of Koguryo by the forms and chronology of the royal tombs. This is basic study for burial site and master of the Koguryo stone-filed tombs Stone-filed tombs of Koguryo is consisted of four exterior forms (non-stylobate, fence, stylobate, stairway) and four interior forms (stone outer coffin, stone burial hole , burial hole and chamber, stone burial chamber). Thus the stone-filed tombs of Koguryo has developed by mixing of these forms. Comparing to these patterns of development in forms, we can find out that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of Koguryo, which is over 30 meters tall, has only two exterior forms(fence style and stairway style). This means that development to stairway style stone-filed tombs, the mixture of fence style and stylobate style, had been rapid and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had been built in the form of fence style and stylobate style to be as tall as agreeable to the kingship.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of Koguryo in the region of Jian, in the aspect of form categorization, we can suppose that it had developed from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hole or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outer coffin to the stairway style tome with burial hole and chamber and finally to the stairway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chamber.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hole or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outer coffin seemed to have existed from the middle of secon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third century and stairway style tome with burial hole and chamber seemed to have existed from the middle of thir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forth century. Among these, stairway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chamber had mainly existed from the middle of four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fifth century and shows the most elaborated form of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Thus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which appeared after the middle of second century and have their every side over 30 meters are related to the advent of a powerful kingship: this shows that the Koguryo already established the system of a powerful kingship in the middle of second century. In the middle of third century when the stairway style stone-filed tombs appeared, the Koguryo began to grow to claim its own cosmological conception in the forth century. With this development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symbolically shows the transition of kingship. And the buried of Koguryo great stone-filled tomb were examined. Many of researches about buried people in Koguryo stone-filed tombs and locating of Koguryo kings' tombs have been preceded without general analysis on written records. The location of the Koguryo king’s tombs is recently discussed energetically. It is considered better to work based on historical records for the moment. Also, making a chronicle according to the location, size, excavated remains and style of the tomb to figure out approximat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and tomb’s original location is crucial. I will point out few problems in other theories and verify historical facts precisely from Samguksagi, Samgukyusa, Japanese historical material, and inscriptions engraved into stones or metal to scrutinize the location of the Koguryo king’s tomb. Becaus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o king’s tomb is kept on record in Samguk Sagi, if the location of tombs in other studies differ to a great extent from that of Samguk Sagi, that location might be wrong. Gukyang, Gogukwon and Gukgansang are found out to be indicating the same region, a certain plain area around Guknae Castle. Thus, instead of the original theories on river in Ji’an, Gukcheon can be located as Amnok River, Seocheon as Tongu river, Dongcheon as a small river in front of Taewanghyang, Jungcheon as a small river from Woo Mountain to south of Guknae Castle and Micheon as Maseonguha. This implies a number of tombs of Koguryo kings since King Shindae had existed at Woo Mountain tomb or near the Chilsung Mountain tomb group.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Koguryo stone-filed Tomb closely, these kings’ tombs could be located at following places: under mountain castle No. 36(late 2C) as the tomb of King Sindae ; Chilsung Mountain tomb No. 871(early 3C); Woo Mountain tomb No.2110(late 3C) as the tomb of King Jungcheon; Chilsung Mountain tomb No.0211 (late 3C) as the tomb of King Seocheon; Imgang Tomb (late 3C-mid 4C) as the tomb of King Bonsang; Seodae Tomb (early 4C) as the original burial site of King Micheon and Masungu tomb No.2100 (mid 4C) as the second burial site; Woo Mountain tomb No.0540 (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won; Cheonchu Tomb (late 4C) as the tomb of King Sosurim; Taewang Tomb (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yang; Jangun Tomb (early 5C) as the tomb of Gwanggaeto the Great. But now I can't guess tombs of king Gogugchun and King Dongchun. Meanwhil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o nobility is found out to be located based on the land territory of family or one’s hometown. From now on,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investigations on this subject, locating the Koguryo king’s tomb, with great care and from various views. Particularly the way of selecting archaeological features which is regarded as the utmost reliable should be examined divided into two periods: when the tomb is originally established, and when it was restored. Chapter Ⅲ is study on Koguryo mural painting. Until now the remaining number of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was believed to be one hundred and seven. However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the total remaining number of mural painting tombs in China is thirty-eight : thirty-six in Jian area, one in Huanren area and another one in Musoon area. The number of mural painting tombs remaining in North Korea was believed to be seventy-six. And four more can be added to this number: K대msandong tomb in Sunchon area, double room tomb of Jinpari old mound in Pyongyang, Jinpari tomb number 7 and Dankun royal tomb. Accordingly currently confirmable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amount to one hundred and eighteen including thirty eight remaining in China and eighty found in North Korea. Especially mural painting tombs with external formation as a stone-filed tomb and internal construction as a stone chamber are being found : under mountain castle Julchun tomb, under Woo-moutain number 1041 tomb, under Woo-moutain number 3319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1405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1408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725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798 tomb. The fact that wall paintings are discovered in stone-filed tombs gives important suggestion related to the reception of mural painting tombs. I intends to clarify the types of Koguryo mural tombs, which have been excavated up to date, by form of their structures and contents. The form of Koguryo mural tombs can be categorized into 'Da-sil-boon(a burial site which is consisted of more than three rooms; I)', 'Yi-sil-boon(a burial site which is consisted of two rooms; Ⅱ)', 'Dan-sil-boon(a burial site consisted of one room; Ⅲ)' and 'Teuk-soo-boon(a burial site which has a particular structure or shape, thus cannot be defined as being consisted of rooms ; Ⅳ)' in terms of structure. And the form of Koguryo mural tomb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portraits and customs(Ⅰ)',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Ⅱ),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decorative patterns(Ⅳ)', 'decorative patterns and Sa-shin-do(Ⅴ), Sa-shin-do(a painting depicting four gods who control four directions Ⅵ) in terms of the contents of mural painting. By these terms, the structure and contents, we can also categorize them into several types: the typeⅠ-Ⅰ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sil-boon(Ⅰ) and portraits and customs(Ⅰ), the typeⅠ-Ⅱ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sil-boon(Ⅰ)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Ⅱ), the typeⅠ-Ⅲ a combined form of Da-sil-boon(Ⅰ)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the type Ⅱ-Ⅰ which is a combined form of Yi-sil-boon(Ⅱ) and portraits and customs(Ⅰ), the type Ⅱ-Ⅱ which is a combined form of Yi-sil-boon(Ⅱ)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Ⅱ), the type Ⅱ-Ⅲ which is a combined form of Yi-sil-boon(Ⅱ)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the type Ⅲ-Ⅰ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portraits and customs(Ⅰ), the type Ⅲ-Ⅲ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the type Ⅲ-Ⅳ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decorative patterns(Ⅳ), the type Ⅲ-Ⅴ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decorative patterns and Sa-shin-do(Ⅴ), the type Ⅲ-Ⅵ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d Sa-shin-do(Ⅴ). And a particular type which is a combined form of Teuk-soo-boon and portraits and customs(Ⅳ-Ⅰ), Teuk-soo-boon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Ⅳ-Ⅱ) Meanwhile, seeing the structure of the burial chamber of Seoksil-bongto-bun(A kind of a tomb that is portioned with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we can find that seven Jeok-seok-chong(stone-filed tomb) are the type Ⅲ-A, Ⅲ-B and Ⅱ-B. The under mountain castle(San-seong-ha) No.725, under mountain castle No.798, under Woo mountain (Woo-san-ha) No.3319 are the Ⅲ-A types. Th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0.1041, San-seong-ha No.1405 are the Ⅲ-B types. The San-seong-ha N.1408 is the Ⅱ-B type. Among these, th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and Woo-san-ha No.3319 are identified having the portraits and customs(Ⅰ) as their mural painting. This fact led us to suppose that other three tombs may have the portraits and customs(Ⅰ) as their mural painting. As a result, we can conclude that these stone-filed tombs can exist in both the type Ⅱ-Ⅰ and the type Ⅲ-Ⅲ. These tombs can be arrayed in this order in time order: (Ⅰ-Ⅰ) · (Ⅲ-Ⅰ) -> (Ⅰ-Ⅱ) · (Ⅰ-Ⅲ) · (Ⅱ-Ⅰ) · (Ⅱ-Ⅲ) -> (Ⅰ-Ⅵ) · (Ⅱ-Ⅱ) -> (Ⅲ-Ⅲ) · (Ⅲ-Ⅳ) -> (Ⅲ-Ⅴ) · (Ⅲ-Ⅵ). With this transition and development proven by formal categorization the chronicle can be defined: The type of (Ⅰ-Ⅰ) is a Da-sil-boon with portraits and customs. Anak N. 3 built in 357 can be the standard for the chronicle. It was commonly distributed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5th century. The type (Ⅲ-Ⅰ), a Dan-sil-boon with portraits and customs seems to had been built in the near age. The Deokheungri tomb which was built in 408 can be the standard of the type of (Ⅰ-Ⅱ), (Ⅰ-Ⅲ), (Ⅱ-Ⅰ) and (Ⅱ-Ⅲ). They are Da-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and Yi-sil-boon with portraits and customs and they had been commonly distributed from the first half to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type of (Ⅰ-Ⅵ) and (Ⅱ-Ⅱ) are Da-sil-boon with Sa-shin-do or Yi-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or portraits,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These seem to be built from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and the late 5th century. The type of (Ⅲ-Ⅲ) and (Ⅲ-Ⅳ) are Dan-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or rooms of regressive form and decorative patterns. These are supposed to be built from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 type of (Ⅲ-Ⅴ) and (Ⅲ-Ⅵ) are Dan-sil-boon with decorative patterns, Sa-shin-do or Dan-sil-boon with Sa-shin-do. These are supposed to be built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Meanwhile, among the stone-filed tombs seven wall-painted tombs can be divided into three forms: type Ⅲ-A, type Ⅲ-B and type Ⅱ-B by the structure of Seoksil bongto-bun. The type Ⅲ-A are San-seong-ha No.725, San-seong-ha No.798, Woo-san-ha No.3319. The type Ⅲ-B ar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San-seong-ha No.1405. The type Ⅱ-B is San-seong-ha No.1408. Among these stone-filed tombs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Woo-san-ha No.3319 have wall paintings which depict portraits and customs and the rest four tombs are also supposed to have wall paintings depicting portraits and customs. Thus these stone-filled tomb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Yi-Sil-Boon and has wall paintings of portrait and customs, the other is Dan-sil-boon and has wall paintings of portrait and customs. And It was already mentioned that Woo-san-ha No. 3319 is supposed to be built in 357, so this tomb can be the standard of chronicles of ancient Koguryo tombs. Woo-san-ha No. 3319 is a special type of tomb(Gyedan-jeonsil stone-filled tomb; Stairway stone-filled tomb with blocked room) However, this tombs has some traits which provide that it was built relatively earlier than other tombs: It contains celadon porcelains of East Qin. This means it was influenced by the ancient Chinese culture. San-seong-ha No. 798 and 725 have rooms on the route. In other word, this was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considering that Kyedan-seoksil-jeokseok-chong(Stairway stone-filled tomb with stoned room) did not appear until the late 4th century. Woo-san-ha No. 1041 and San-seong-ha No. 1405 and San-seong-ha No. 1408 are stairway-shaped and having one room. They are supposed to be built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is chronicle of ancient Koguryo tomb is provided by the form of table in the text. This chronicle i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tombs whose blueprint could be extracted from the wall painting of them and the content of wall painting could be concretely perceived. Approaching the burier of mural painting tomb is a difficult problem. This paper has tried to verify the burier of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by looking through the records of ‘Samguksagi’, ‘Samgukyusa’ and historical records from Japan. Since the names of burial ground of Koguryo king s are recorded in Samguksagi, not able differences can be ascribed to maladministration of the royal tomb. Anak number 3 tomb had a lot of controversies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burier of the tomb. In the perspective of Dongsu’s tomb, it tried to illustrate the historical estrangement between ink-written writings of the burial ground and ‘Seong-sang-beon(聖上幡)’. Accordingly with the belief that government official position found in ink-written writings of Anak number 3 tomb is false, painting of parade and 聖上幡’s ink writings can also be considered a falsehood. painting of parade and 聖上幡’s ink writings are not drawn to show current livings to be extended again in future life but to show after death would be better than the present. Besides mural painting tombs which express the Gaesae idea (A thought of desiring wealth and prosperity of a lifetime may prolong after death) there are also other mural painting tombs which show hope for better life after-death. Those wishing for better life after-death can be found in ‘王(king)’ portrait designed mural painting tombs and yellow dragon drawn mural painting tombs. After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eongyang,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names of Koguryo kings followed the names of the burial site starting from the Jangsu King. This paper has look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with a perspective that big-sized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in Pyeongyang area are mostly royal tombs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Jangsu royal tomb has a high possibility of existing in Pyeongyang area. And to be more specific, it may be Dongmyung royal tomb. Jinpari old mound in the area of Dongmyung royal tomb ha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in the construction area of Koguryo royal tomb. Therefore Jinpari number 1, 4 and 7 can be understood as the possession of Anjang king, Munjamyung king and Joda. Samguksagi confirms that several names of the kings originated from their burial site names starting from Anwon king. From Anwon king, royal tomb construction areas were divided to different individual areas. Therefore big-sized Seoksil bongto-bun(A kind of a tomb that is portioned with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found in Pyeongyang area has high possibility of being a mural painting royal tomb which was built after sixth century. Currently confirmed mural painting tombs built after sixth century are Gaema tomb, Naeri number 1, Jinpari number 1, Jinpari number 4, Jinpari number 7, Honamri sasin tomb, Gangseo big tomb, Gangseo middle tomb and so forth. Among these some may be built into royal tomb. This paper has assumed Honamri sasin tomb as the Anwon king. Moreover it is hard to discuss both Gangseo big tomb and Gangseo middle tomb as a royal tomb. Only Gangseo big tomb can be said as a king Pyongwon's tomb. Hereafter, Koguryo royal tomb location problem should be conducted with a more diversified examination. Chapter Ⅳ is study on Sacrificial Rites of Koguryo tombs. This study observes the construction of Koguryo stone-filed tombs and the act of ancestral rit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 of Koguryo people’s religion and ancestral rites. Archaeological data and documentary record about Myo-sang architecture(Build and architecture above a tomb), altar, Bae-chong(small tomb situated next to the main tomb), arbor, tomb furnishing, mural painting, Sumyo(ancient custom of guarding a tomb) that can be seen on Koguryo stone-filed tombs history or the boundaries of a grave are examined. Generally funeral rit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Bin-ryeong rites’ held right after a person’s death until main funeral, ‘Jang-song rites’ held from the grave, ‘Myo-jeon rites(ceremony held in front of tombs)’ after the burial and ‘Chu-seon rites’ which can be added as an option. Myo-sang architecture of the stone-filed tomb may have functioned as a symbolic meaning of a king’s bedchamber or at least as a place which holds a ceremony or an ancestral rite. Stone-filed tombs with myo-sang architectures are mainly those built in huge sizes. Namely the owner of a tomb with a bedchamber may be a king, a person from a royal family or a noble class. Currently the remains of an altar are in an ambiguous state. However it can be considered as a temporarily built ceremonial facility related to Myo-jeon rites. Likewise the case of ‘Bae-chong’ also has some controversy but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a notable facility concerning after-death religion and ancestral rites. Documentary records of Koguryo stone-filed tomb confirm that arbores found inside the boundaries of a grave are related to tree-cult religion and can be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hu-jang. Sumyo custom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documentary records is not directly related to ‘Simyosali’(offsprings taking care of their parents grave by living next to it for few years.). However it can be thought as a kind of ‘Chu-seon rites’ in the aspect of protecting and managing royal tomb. Grave goods found in Koguryo stone-filed tombs are an important outcome concerning ancestral rites. Especially a large amount of roof tiles, inscriptive end pieces of roof tiles, bells, bricks reflect ancestral rites and after-death related religions. Intentional demolition of grave goods also took place in Koguryo. Mural painting which gained attention as a funeral art of ‘Seoksil-Bongto-bun(kind of tomb that is portioned with a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is found in six wall-painted tombs of stone-filed ones. Therefore it should not be neglected. Wall paintings of stone-filed tombs are mostly those showing living customs which can be connected to ‘Gaesae idea’(thought of desiring wealth and prosperity of a lifetime may prolong after death). Hence Koguryo people’s religion and ancestral rites are confirmable through Myo-sang architecture, altar, Bae-chong, excavated relic, mural painting and documentary record. Since stone-filed tombs were constructed with a focus on their external form, ancestral rites were mainly expressed to the outer part. Big-sized stone-filed tombs with Myo-sang architecture, altar, Bae-chong, Sumyo-in(Person who guards a tomb)are generally huge-sized ones that belong to the royal family. And this study is on the religious mind and the relevant matters by wall paintings and the facilities in the Seoksil-bongto-bun. Seoksil-bongto-bun have a big size, but express the religious mind or ceremony in interior of tomb. Especially the interior structure and the facilities or traces depicted on the wall paintings contain the religious mind and ceremony form of the period of Seoksil-bongto-bun of Koguryo. Thus this seems to be the reason why a Seoksil-bongto-bun seldom contains exterior facilities. Furthermore, the ancient Koguryo tombs had developed in two different ways in the level of stone-filled tomb and Seoksil-bongto-bun. Of course, these stream had accompanied the transition of tomb form and the religious mind or mind of the people of Koguryo. It means that understanding the tombs or wall paintings can lea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mind or ideas of that period. Diversified examination on the religious mind and the form of ceremony of Koguryo will be needed. In addition, research on Korean own religion or religious mind expressed on the wall paintings should be carried out. The above research shows that the form of ancient Koguryo tomb has changed from the stone-filled tomb to the Seoksil-bongto-bun. From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stone-filled tombs of big size, more that 30 meters per side, began to appear and became the tomb for royal family or upper class. From the 4th century the Seoksil-bongto-bun with mural painting became abundant by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and after 5th century it became the tomb for the royal family and upper class instead of the stone-filled tomb. Thus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in which the tomb for the highest ranks appeared, is an important key to figure out the feature of Koguryo dynasty's kingship and the 4th century, in which the change from stone-filled tomb to the Seoksil-bongto-bun with mural painting is apparent, 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of the transition of ancient Koguryo tomb style. This changes are contemporary with the transfer of the capital, from Guknae castle to Pyeongyang. From that time the Stone-filled tombs began to be equipped with the big stoned room and Seoksil-bongto-bun and stone-filed tomb are combined to some degree to become the Bangdan-seoksil-bongto-bun and after this Seoksil-bongto-bun become the royal tomb. Meanwhile the concept of the future life and the funeral ceremony of the rulers of Koguryo was concretely revealed by the whole examination of the tombs. At least, the facilities of royal tombs and the burial system of royal family was revealed to a certain extent and in the level of wall-painted tomb the interior facilities shows the status of the buried. The stone-filled tomb and Seoksil-bongto-bun with mural painting reflects the true character of Koguryo. The Koguryo wall-painted tomb with the essential elements of stone-filled tomb, Sa-shin-do and decorative patterns is one of ancient Koguryo tomb's original character distinguished from ancient China tomb's.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 가운데에서도 대형 적석총과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하여 고구려 왕릉급 혹은 지배층의 무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집안일대 대형 적석총에 대하여 기존 보고서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고구려 왕릉급 대형 적석총의 형식과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구려 왕릉 비정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인 측면이 강하다. 고구려 적석총은 전반적으로 무기단, 계장, 기단, 계단의 4가지 외형과 매장부가 석곽, 석광, 광실, 석실의 4가지 매장부 형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고구려 적석총은 이들 형식의 조합에 의해 변화·발전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발전의 양상을 감안하고서 집안 일대의 대형 적석총을 살펴보면, 30미터 이상의 왕릉급 대형적석총의 외부형식은 계장과 계단의 2가지 형태만 나타난다. 이것은 계장식과 기단식이 혼합된 계단적석총으로의 이행이 비교적 급속도로 이루어졌고, 대형 적석총은 왕릉급의 위상에 맞는 높이를 고려하여 계장식이나 계단식으로만 축조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집안 일대 왕릉급의 대형 적석총은 형식 분류와 함께 생각해보면 계장석광 혹은 계장석곽적석총에서 계단광실적석총으로 발전해서 최종적으로는 계단석실적석총으로 가장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 집안일대 대형적석총의 편년은 대체로 계장석광 혹은 계장석곽적석총이 2세기 중반 - 3세기 전반, 계단광실적석총이 3세기 중반 - 4세기 전반까지 존재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가운데 횡혈식의 계단석실적석총은 4세기 중반 - 5세기 전반에 주로 존재하며, 고구려 적석총 가운데 가장 완성된 형식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세기 중반 이후에 등장하는 각변 30미터 이상의 대형 적석총들은 국왕 중심의 강력한 왕권의 등장이라는 측면과 연결되는데, 이미 고구려에서는 적어도 2세기 중반경에 국왕 중심의 강력한 지배체제가 확립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계단적석총이 등장하는 3세기 중반에 고구려는 더욱 성장하여 4세기 이후 독자적인 천하관을 표방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과 함께 고구려의 대형 적석총도 고구려 왕권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구려 대형 적석총의 축조에 있어 壽陵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아울러 고구려 왕릉에 대한 위치비정 문제를 논의를 『三國史記』,『三國遺事』, 일본측 사료, 금석문 등의 기록에서 먼저 검증하고자 노력하였다. 고구려 왕의 장지명이 『三國史記』 등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의 기록과 큰 차이가 있는 경우는 왕릉 비정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록을 통해 검토한 결과 고구려의 國壤, 故國原, 國岡上 지역은 같은 지역을 이르는 명칭이며, 이곳은 국내성 일대의 한정된 평야지대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관점에서 고구려 집안지역의 하천에 관해서 기존설을 비판하고 國川을 압록강으로, 西川을 통구하로, 東川은 태왕향 앞을 흐르는 소하천으로, 中川을 우산하에서 국내성 남벽을 따라 흘러가는 하천으로, 美川을 마선구하로 비정하였다. 따라서 고구려 신대왕 이후 많은 왕들의 무덤은 대부분 國壤, 故國原, 國岡上 등으로 표현된 국내성일대의 평야지대 즉 대체로 우산하 고분군이나 칠성산 고분군, 산성하 고분군 인근에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로선 고구려 대형 적석총의 발전단계와 왕의 장지를 연결시켜 보면 다음과 같이 비정이 가능할 듯하다. 즉 신대왕릉은 산성하전창 36호분 혹은 전창 145호분(2세기 후반), 고국천왕릉은 우산하 2111호묘(2세기말), 산상왕릉은 칠성산 871호분(3세기 전반), 동천왕릉은 현재로선 비정이 어렵다. 중천왕릉은 우산하 2110호분(3세기 후반), 서천왕릉으로 칠성산 0211호분(3세기말), 봉상왕릉으로 임강묘(3세기말-4세기 전반경), 미천왕의 초장릉은 서대묘(4세기 전반)로, 개장릉은 마선구 2100호분(4세기 중반), 고국원왕릉으로 우산하 0540호분(4세기 후반), 소수림왕릉으로 천추총(4세기 후반), 고국양왕릉으로 태왕릉(4세기 후반), 광개토왕릉으로 장군총(5세기 전반)으로 비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고구려 벽화고분은 국내에서는 107기로 정리되어 왔는데, 연구사적 검토를 통해 살펴본 결과 집안지역 36기, 환인지역 1기, 무순지역 1기로 중국지역내에 존재하는 벽화고분의 수는 38기로 파악된다. 그리고 북한지역의 벽화고분의 수는 그동안 76기로 정리되어 왔는데, 4기의 벽화고분을 더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순천지역의 검산동 고분, 평양의 진파리 고분군내의 쌍실무덤(16호분), 진파리 7호분, 傳단군릉이 이에 해당된다. 이렇게 보면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은 중국지역 38기, 북한지역 80기 등 총 118기에 이른다. 고구려 석실봉토벽화고분 가운데 고고학적인 측면에서 묘실구조에 따라 형식 분류를 시도하였고, 미술사적 측면에서 벽화내용을 통해 형식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두 가지의 형식 분류를 종합하여 보면 고구려 벽화고분은 크게는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Ⅰ-Ⅰ),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Ⅰ-Ⅱ),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Ⅰ-Ⅲ), 다실분이면서 사신도(Ⅰ-Ⅵ),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Ⅱ-Ⅰ),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Ⅱ-Ⅱ),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Ⅱ-Ⅲ),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Ⅲ-Ⅰ),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Ⅲ-Ⅲ),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Ⅲ-Ⅳ),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와 사신도(Ⅲ-Ⅴ), 단실분이면서 사신도(Ⅲ-Ⅵ), 특수형의 동혈다실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Ⅳ-Ⅰ), 이혈 석실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Ⅳ-Ⅱ)의 유형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선후관계는 큰 흐름상에서 보면 (Ⅰ-Ⅰ) · (Ⅲ-Ⅰ) -> (Ⅰ-Ⅱ) · (Ⅰ-Ⅲ) · (Ⅱ-Ⅰ) · (Ⅱ-Ⅲ) -> (Ⅰ-Ⅵ) · (Ⅱ-Ⅱ) -> (Ⅲ-Ⅲ) · (Ⅲ-Ⅳ) -> (Ⅲ-Ⅴ) · (Ⅲ-Ⅵ) 순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형식 분류를 통해 본 벽화고분의 변화와 발전을 감안하면 벽화고분은 편년은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겠다. (Ⅰ-Ⅰ) 유형은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 고분으로 안악 3호분이 절대연대인 357년경의 고분을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시기인 4세기 중반에서 5세기 후반경까지 주로 유행한 고분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Ⅲ-Ⅰ)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 고분도 비슷한 시기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Ⅰ-Ⅱ) · (Ⅰ-Ⅲ) · (Ⅱ-Ⅰ) · (Ⅱ-Ⅲ) 유형은 408년경으로 절대연대가 확보되는 덕흥리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가 같이 그려진 고분과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가 주로 그려지는 고분들이다. 대체로 5세기 전반에서 중반 경까지에 해당된다. (Ⅰ-Ⅵ) · (Ⅱ-Ⅱ) 유형은 다실분이면서 사신도,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이나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들이다. 이들 벽화고분들은 대체로 5세기 중반경에서 후반경의 고분으로 보인다. (Ⅲ-Ⅲ) · (Ⅲ-Ⅳ) 유형은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가 같이 그려진 고분과 퇴형형 감실을 가진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가 그려진 고분들이다. 이들 고분들은 대체로 5세기 중반에서 6세기 전반경의 고분으로 이해된다. (Ⅲ-Ⅴ) · (Ⅲ-Ⅵ) 유형의 고분은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와 사신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과 단실분이면서 사신도가 그려진 고분들이다. 이들 고분들은 대체로 5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경까지의 고분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적석총 가운데에 벽화가 있는 7기의 고분에서도 석실봉토분의 묘실구조를 통해 볼 때 Ⅲ-A식과 Ⅲ-B식, 그리고 Ⅱ-B식 3가지 형식이 나타난다. Ⅲ-A식은 산성하 725호묘, 산성하 798호분, 우산하 3319호묘 Ⅲ-B식은 산성하 절천정묘, 우산하 1041호묘, 산성하 1405호묘, Ⅱ-B식은 산성하 1408호묘이다. 이들 적석총의 벽화는 산성하 절천정묘, 우산하 1041호묘, 우산하 3319호묘는 벽화가 인물 및 생활풍속도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나머지 4기의 고분 역시 인물 및 생활풍속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 적석총은 전체적으로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인 유형과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인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우산하 3319호분이 357년경에 축조된 것으로 짐작되기 때문에 편년의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우산하 3319호분은 계단전실적석총이라는 특이한 형태의 고분이다. 그러나, 이 고분은 동진계 청자의 출토 등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국 문화의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산성하 798호분이나 산성하 725호분은 연도부에 일종의 감실을 갖춘 계단석실적석총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의 고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계단석실적석총의 등장이 4세기 후반에나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5세기 전반경으로 적석총으로 볼 수 있다. 우산하 1041호분과 산성하 1405호분, 산성하 1408호분은 계단형으로 단실을 갖춘 형태로 모두 5세기 중반경에 축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려 벽화고분에서 도면의 확보가 가능하고 벽화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분을 대상으로 본문에서 표로 제시한 바와 같이 고구려 벽화고분에 대한 필자의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벽화고분의 피장자 비정을 위하여 우선 묘지명이 남아있는 안악 3호분, 덕흥리고분을 실견하여 판독문을 제시하였고, 모두루총에 대한 기존 판독문을 정리하였다. 그동안 피장자 문제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던 안악 3호분은 동수묘라는 입장에서 묘지로 파악되는 묵서와 ‘聖上幡’ 사이의 역사적 괴리를 설명해 보고자하였다. 이에 따라 안악 3호분의 묘지묵서에 나타난 관직이 허구적이다는 견해를 따라 대행렬도와 성상번의 묵서도 허구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대행렬도와 ‘聖上幡’이라는 묵서는 생전 생활이 내세에 그대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점에서 그려진 것이 아니고 내세에서 생전보다 더 나은 삶은 바라는 염원이 담겨져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고구려 벽화고분 가운데 계세사상을 표현한 것 이외에도 내세에서의 보다 나은 삶에 대한 소망을 담은 벽화고분들은 王자도안이 새겨진 벽화고분이나 황룡이 그려진 벽화고분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고구려 벽화고분도 왕릉에 해당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三國遺事』, 일본측 사료 등의 기록에서 먼저 검증하고자 노력하였다. 고구려 왕의 장지명이 『三國史記』 등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의 기록과 큰 차이가 있는 경우는 왕릉 비정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평양천도 이후인 장수왕부터 시작되는 고구려 왕호도 대체로 葬地名 왕호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평양일대에 산재한 고구려 고분 가운데에서는 위계적으로 볼 때 대형 벽화고분이 왕릉일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하여 문헌기록을 살펴보았는데, 장수왕릉은 평양지역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고 구체적으로는 傳동명왕릉이 아닐까 생각된다. 동명왕릉 지구내 진파리 고분군도 고구려 왕릉의 축조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진파리 1호분, 4호분 안장왕, 문자명왕의 무덤으로 이해하였다. 『삼국사기』를 통해 볼 때 안원왕대부터 몇 왕은 장지명 왕호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안원왕대부터 왕릉 조영지가 각기 다른 개별지역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평양 일대의 대형 석실봉토분 가운데 6세기 이후로 편년되는 벽화고분이 왕릉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현재까지 확인되는 평양일대 6세기 이후의 벽화고분으로는 개마총, 내리 1호분, 진파리 1호분, 진파리 4호분, 진파리 7호분, 호남리 사신총, 강서대묘, 강서중묘 등이 확인된다. 아마 이들 가운데에서 일부가 왕릉으로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호남리 사신총을 안원왕의 무덤으로 추정하였고, 그동안 왕릉으로 거론되어 온 강서대묘, 강서중묘 등 모두를 왕릉으로 비정하는 것은 어려울 듯 하며, 강서대묘만을 평원왕릉으로 비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고구려 왕릉 축조에 있어 수릉과 귀장은 현재로선 인정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고구려 고분의 축조와 제의 행위를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고구려 적석총 단계의 능역 혹은 묘역 내에서 파악되는 墓上建築, 祭臺, 陪冢과 함께 樹木, 副葬品, 壁畵, 守墓 등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와 문헌기록의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상장의례는 사람이 죽은 직후부터 本葬까지의 殯斂儀禮, 묘소에서의 葬送儀禮, 매장이 끝난 이후의 墓前儀禮라는 3단계로 나누거나 여기에 追善儀禮가 추가되기도 한다. 적석총 묘상건축은 영혼이 머무르는 상징적인 寢殿으로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祭臺는 현재로선 유구의 성격이 불명확하긴 하지만 墓前儀禮와 관련하여 임시적으로 축조한 제의관련 시설물 정도로 생각된다. 陪冢의 경우도 그 성격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고구려인의 사후 신앙과 제의와 관련하여 주목할 수 있는 시설물임은 부정할 수 없을 듯하다. 한편 고구려 적석총 단계의 문헌에서 확인되는 묘역내의 樹木은 神木신앙과 관련되고 厚葬의 한 요소로 파악된다. 아울러 문헌 기록을 통해 확인되는 守墓制도 후손에 의한 직접적인 시묘살이는 아니겠으나, 능묘를 보호하고 관리한다는 측면에서는 追善儀禮의 일종으로 생각해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려의 적석총에서 확인되는 부장품도 제의와 관련한 중요한 산물이다. 특히 다량의 기와나 명문와당, 방울, 전돌 등에도 제의나 사후세계와 관련된 신앙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고구려에서도 부장품의 의도적인 훼기사례도 확인되고 있다. 아울러 그동안 석실봉토분의 장의미술로 주목을 받아왔던 벽화도 적석총에서 7기의 벽화고분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소홀히 할 수 없을 듯하다. 적석총의 벽화도 주로 인물 및 생활풍속도 계열의 벽화로 繼世思想과 연결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구려 적석총에서는 주로 외형적인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축조한 묘제였던 만큼 그 제의의 일면도 대체로 외부에 주로 표현되었다고 생각된다. 대형 적석총 가운데 묘상건축, 제대, 배총, 수목, 수묘인 등을 모두 갖춘 무덤은 대체로 대형 적석총으로 왕릉급 무덤에 해당될 것이다. 석실봉토분 단계에서의 신앙과 제의 양상을 묘지명, 벽화와 함께 특히 고분 내부 구조에 나타나는 시설물을 주목해보았다. 이를 통해 석실봉토분도 물론 대형 분구의 축조라는 외형적인 측면과 함께 주로 내부에 고구려인의 신앙이나 제의의 일면이 표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덤의 내부 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감실, 석상, 관대, 석주, 휘장 구멍, 迎門石 등의 내부 시설물과 명문이나 벽화에 나타난 여러 정황들은 고구려 석실봉토분 단계의 신앙과 제의를 담아내고 있다. 따라서 석실봉토분에서 외부 시설물이 잘 확인되지 않는 이유는 이러한 점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이처럼 고구려 고분에는 적석총과 석실봉토분 단계에서 위와 같이 각각 다른 양상으로 제의 양상이 발견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양상은 무덤의 형식의 변화와 고구려의 신앙이나 정신세계의 변화와 함께 수반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분이나 벽화를 통해 이러한 고구려인의 신앙과 관념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보면 고구려의 고분 양식은 적석총에서 봉토분으로의 변화되었다. 2세기 중반부터 각변 30미터 이상의 큰 규모의 적석총이 등장하여 5세기 전반경까지 고구려의 왕릉 혹은 상위 신분층의 무덤이 되었다. 중국의 영향으로 4세기경부터 점차 많이 등장하는 석실봉토벽화분은 5세기 이후가 되면 적석총을 대신하여 고구려 왕릉 혹은 상위 신분층의 무덤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고구려 최상위 신분의 무덤이 출현하는 2세기 중반은 고구려 왕권의 성격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적석총에서 석실봉토벽화분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은 4세기이므로, 4세기를 고구려 고분 변화의 중요한 시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흐름이 특히 평양천도를 전후한 시점에서 왕릉이 대형 적석총에서 석실봉토벽화분으로 채택된다. 이것은 적석총에서도 대형 석실을 갖춘 무덤들이 발전하면서 평양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재래의 석실봉토분과 적석총이 어느 정도 결합되는 양상이 방단봉토석실분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으며, 이후 적석총을 대신하여 왕릉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한편 고구려 고분에 나타난 제의 양상을 통해서 고구려 지배층이 가지고 있던 내세관이나 상장의례의 구체적 모습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적어도 왕릉에서 확인되는 묘역시설이나 능원제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고, 벽화고분 단계에서 주로 내부적인 시설들을 통해 피장자의 위상이 드러나고 있음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고구려를 대표하는 적석총과 석실봉토벽화분에는 고구려의 정체성이 잘 반영되어 있다. 돌로 무덤을 만든 적석총이나, 사신이나 장식도안이 중심이 되는 벽화분은 중국과는 구별되는 고구려 고분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