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미지도 그리기와 글쓰기의 연계를 통한 어휘력 신장 방안

        김운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어 교육에서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어휘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문제로 제기하면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의도적이고 체계적으로 어휘를 지도하기 위해서 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어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어휘 교육의 문제점을 통하여 어휘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어휘력의 개념을 중심으로 어휘력 신장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휘 자체를 지도하여 양적·질적 어휘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으로서, 인지적 관점과 범주화 이론에 바탕을 둔 '의미지도 그리기' 와 '글쓰기' 의 연계를 통한 어휘 지도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논의되었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Ⅱ장에서는 어휘력의 개념과 어휘 교육의 목표가 되는 어휘력 신장의 의미를 알아보고,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범주화 원리와 글쓰기가 어휘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진정한 어휘력이란 어휘를 이해하고 이를 언어 사용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그리고 어휘력의 신장을 통해 국어 교육의 목표인 국어 사용 능력의 신장, 다시 말해 고등 정신 기능의 신장을 도모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어휘 교육을 언어 사용의 도구로만 보는 입장에서 벗어나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어휘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어휘 자체를 지도할 수 있는 인지적 관점을 수용해야 함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관점의 기본 원리인 범주화의 개념과 범주화와 어휘 학습의 관계, 범주화를 이용한 어휘 지도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학습한 어휘를 활용한 글쓰기가 어휘 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가 제안하는 어휘 지도 방안의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Ⅲ장은 본 연구의 핵심 부분으로서 Ⅱ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의미지도 그리기와 글쓰기의 연계를 통해 어휘를 지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어휘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 각 단계별 활동 전략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의미지도 그리기와 글쓰기의 연계를 통한 어휘 지도란 하나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되는 어휘나 사실을 열거하고 의미지도 그리기를 통해 범주화한 후, 범주화된 어휘들을 활용하여 주제어에 대한 글을 써 봄으로써 어휘를 학습하는 어휘 지도 방법이다. Ⅳ장에서는 의미지도 그리기와 글쓰기를 연계한 어휘 지도 방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어휘력 신장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고 어휘 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찾아보았다. 의미지도 그리기와 글쓰기를 연계를 통하여 어휘를 학습한 결과, 의미지도 그리기를 통한 범주화와 글쓰기를 연계한 어휘 지도가 진정한 의미의 어휘력 신장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래의 어휘 지도 방법들이 양적 어휘력 신장에 치우친 것에 비해, 본 의미지도 그리기와 글쓰기를 연계한 어휘 지도 방법은 범주화한 여러 단어들을 모두 학습하게 된다. 따라서 양적으로도 많은 관련 어휘들을 학습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학습한 어휘를 이용해 글로 표현해 보기 때문에 질적 어휘력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이 밖에, 범주로 무리 지어 학습하기 때문에 글로 표현하기가 쉬워 학생들이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 않았으며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학습한 어휘의 개념을 장기간 기억하는 것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바는 국어 교육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어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휘 자체를 지도하는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어휘 교육의 위상을 높이고, 어휘 지도의 교육적 효과를 부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ccessful vocabulary teaching method, since the lack of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seemed to make the Korean language vocabulary education unsuccessful and there was a need for more detailed teaching method for systematic vocabulary education. For the purpose, the problems in vocabulary education were examined, and in which direction that education should move on was explored. And vocabulary teaching Methods Through semantic mapping and writing was suggested. ChapterⅡ discussed the concept of vocabulary and vocabulary skill and the categorization theory, Specifically, it's explained that the cognitive teaching method should be accepted to teach vocabulary itself, instead of the existing one that viewed vocabulary just as a means of language use. The categorization theory is able to embrace the cognitive perspective and serves as a theoretical ground on which vocabulary teaching method can be created. The meaning and the relationship of categorization to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was examined. And then how the categorization theory could be introduced in vocabulary education was explored. ChapterⅢ was the key part of this study that presented vocabulary teaching method through semantic mapping and writing, based on the discussions in the preceding chapters. In particular, a vocabulary teaching method through semantic mapping and writing was suggested. This vocabulary teaching method was designed to categorize words and utilize the categorized words in writing in a bid to learn vocabulary. ChapterⅣ applied the developed vocabulary teaching method to school field to see whether it was effective for improving vocabulary skill and what implications it had for vocabulary education. After teaching students vocabulary by using the teaching model, the vocabulary guidance by categorized writing turned out effective for vocabulary learning. The existing teaching methods used different words to instruct the concept of a word, but this teaching method had students learn different words of the same category all together, and this was why the teach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The students were able to learn a lot of related vocabularies, and their vocabulary skill improved also in quality, by using the vocabulary they learned in writing. Furthermore, their thinking faculty developed during learning process. As collective categorical learning made it easier for them to write, they weren't pressed for writing, and their writing skill also improved additionally. The categorized writing, which formed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categorization principle and writing, was proven as a way to teach vocabulary systematically. As I considering basing on this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should be recognized, first of all, to school fieldto offer systematic and successful vocabulary education, and it's also urgently needed to highlight the educational effect of vocabulary guidance.

      • 생물형태의 변형을 통한 '의미생성'(意味生成)연구 : 본인의 작품을 中心으로

        차민영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무엇인가를 재정의 하기 위해서는 전제된 것들에 대한 성찰(省察)과 부정(不定)의 과정을 필연적으로 거쳐야만 한다. 타타르키비츠(W.Tatarkiewicz)가 정리해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예술개념의 방대한 계보를 이 지면에 요약할 필요도 없이, 미술의 개념은 고정적이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본인은 동시대 미술을 분석함에 있어 진정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그것은 미술을 바라보는 인식의 태도와 새로운 독해법에 있다고 생각한다. (후기)구조주의 이론은 작품을 ‘텍스트(text)’로 간주하면서 미술작품에 대한 해석과 평가가 신비적 직관 혹은 플라톤적 추상성으로 후퇴하지 않으면서도 ‘과학적 분석’의 이름 하에 수행될 수 있게 해 주었다. 그러나 (후기)구조주의 이론은 실재를 알 수 없는 X로 규정해 버리고 그것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하지 못함으로써 관념론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힘들지도 모르게 되었다. 본인은 ‘실재’를 관념에서 건져 올려 현실적 생산으로 상정하고, 이를 추구하는 미술을 의미(意味)를 생성(生成)시키는 물질로 규정한 들뢰즈의 ‘의미론’에서 새로운 독해법을 발견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어디까지나 본인의 작품분석을 목적으로 함으로 들뢰즈의 방대한 의미론을 열거하여 다루기보다는 본인의 작품과 관계 맺는 부분에 국한 지어 다루고자 한다. 따라서 타자와의 접합을 통한 생물형태의 변형을 시각화시킨 본인의 작품을 우선 들뢰즈의 의미가 생성되는 논리와 의미생성의 구체적 모델인 리좀을 통해 분석하고 이렇게 생성된 의미가 현대의 문화 저변(底邊)에 흐르고 있는 ‘타자(他者)’에 대한 개념과 어떻게 접점을 가지게 되는지 논의하는 것만이 본 논문의 구체적 결과물이 될 것이다. Re-definition should be obtained through self-reflection and contraction over premises. Without saying the history of art concept which W.Tatarkiewicz arranged, it is obvious that the history of art concept is flexible. In my view, alteration and variety are required to analyze contemporary art, and you can find them i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bout art. Post-structuralism theory, regarding art work as text, makes it possible to interpret and assess art work without recession to mystic intuition or Platonic abstraction. However, limiting noumenon to unknown thing and failing to provide sufficient explanation, post-structuralism theory could not be inevitable from criticism of idealism. I lifted up noumenon from idealism, assumed it as realistic with Deleuze's Semantics which define art as ideal substance becoming meaning. But essentially, this thesis is purposed on analyzing my works, so I'd like to treat indispensible parts relevant to my works in Deleuze's Semantics instead of whole. Therefore, after analyzing my works, which visualize biomorphic transformation, with logic of becoming meaning of Deleuze and substantial model of becoming meaning, Rhizome, discussing how the meaning produced by such procedure has the intersection with the far-flung concept of others in contemporary culture would be concrete product of this thesis.

      • 意味條件にもとづく文構造の硏究 : 自發·中間·使役文の日韓對照を通して

        천호재 Tohoku University 1998 해외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통사구조와 의미구조와의 관련을 연구하기 위해 자발, 중간, 사역구문을 채택해서 그 의미구조가 의미조건 및 의미규칙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문에 관해 선행연구는 많지만, 그러한 선행연구들은 상기의 구문에 관한 만족이 가는 분석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접근에 의해 비로소 이들 구문의 특징이 충분히 제시된다. 생성문법 중에서 형태론·어형성론에 착목하여 특정한 구문(예를 들면, 사역구문)의 통사적인 특징을 포착하려는 연구가 있다. 그 연구의 주안점은 어떤 특정한 통사적 현상이 존재하고, 성립하는 근거가 어떤 개별어휘의 형태론적 특징의 존재에 있다는 데에 있다. 예를들면, 어떤 동사(타동사와 자동사)가 존재하고 성립할 수 있는 근거는 그 동사 어간에 결합하는 접미사의 의미특징에 있다는 것이다. 즉, 이것은 동사형성에 관여하는 접사의 형태와 의미가 합치하고 있다는 것, 나아가서는 어떤 구문이 지니는 전체적인 의미는 특정한 형태적 특징을 지니는 동사의 성립에 관여하는 접사의 의미특징에 지배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동사형성에 관여하는 접사의 형태와 의미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많고 그 귀결로써 어떤 동사를 포함한 구문에서 복수의 의미구조가 얻어지는 사실에 관해서는 해명이 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즉, 일정한 통사구조를 공유하는 동사와 그것을 구성하는 제형식에 의미조건 및 의미규칙이 적용되는 것에 의해 어떤 의미구조가 파생적으로 얻어진다고 하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는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형태와 의미상의 불일치가 어떤 조건에 의해서 생기는가를 분명히 하려고 애썼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첫째로, 어떤 일정한 통사구조를 지니는 기본구문에서 복수의 의미구조가 얻어진다고 하는 사실을 생각하는 것에 의해 그 불일치의 이유를 설명한다. 자발문으로 말하자면, 종래의 연구에서는 자발의 의미가 마치 수동형의 동사와 특정한 형태적 특징을 지니는 자동사의 통사구조에서 얻어지는 것 처럼 논의되고 있지만, 만약, 그것이 옳다고 한다면 자발의 의미구조가 형태적 특징을 달리하는 다양한 자동사형에서 발견되는 이유, 더우기, 일정한 통사구조를 공유하는 수동형의 동사와 자동사에서 자발 뿐만 아니라 수동,존경,가능,중간,결과 등의 의미가 허용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같은 형태와 의미상의 불일치가 어떤 이유에 의해서 생기는 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로, 의미라고 하는 추상적인 개념이 다양한 언어의 문법형식에 어떻게 반영되는가라고 하는 문제랑, 어떤 특정한 문법형식과 구조가 왜 어떤 언어에서는 적격하며 다른 언어에는 부적격한가라고 하는 의문에 대해 대답을 시도했다. 예를 들면, 중간구문에 관한 연구에 있어 중간구문은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는가, 특정언어의 중간구문에 상당하는 구문이 일본어,한국어,로맨스어에도 존재한다고 한다면, 각 언어는 어떠한 문법표현을 사용하는가, 각 언어가 특정한 문법형태를 취함에도 불구하고, 왜 각 언어는 기저 목적어가 지시하는 주체와 불특정다수의 행위자의 행위일반을 기술하는 점에서 일치하는 가를 설명했다. 같은 통사구조를 지니는 기본구문에서 복수의 의미구조가 얻어진다고 하는 관점에 서면 그 의미구조가 어떤 의미조건과 의미규칙이 적용되어 얻어지는가가 명확해지며, 또한 유형론적 연구가 가능하게 된다. 즉, 일본어와 한국어, 더우기 필요에 따라 영어 및 로맨스어라고 하는 다른 언어 간의 대조를 통해 각 언어에 있서 중간, 사역의 차이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이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내용교과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6학년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장성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미지도 그리기를 통한 내용교과 읽기 전략이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내용교과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읽기부진학생의 의미지도 활동지를 질적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학급 중 학업성취도 검사와 읽기이해력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2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연구자가 담임을 맡은 학급으로 선정하여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으로 초등 6학년 사회교과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일반적인 강의식 교수방법으로 초등 6학년 사회교과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총 13주의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 학습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고, 교과흥미도 검사는 실험집단에만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의 효과 분석을 위한 검사 결과 분석은 JAMOVI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지도 그리기 지도를 통하여 내용교과 읽기 전략을 지도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내용교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실험집단 내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내용교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활용된 내용교과 읽기 방법으로서의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은 교과흥미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교과흥미도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교과흥미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읽기부진학생의 의미지도 활동지를 질적 분석해 본 결과, 내용교과 읽기 방법으로서의 의미지도 그리기 활동은 교사와 친구들 간의 상호 피드백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회기가 진행될수록 읽기부진학생이 의미지도를 이해하고 그리는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의 수가 적고 범위가 좁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으나, 의미지도 그리기를 활용한 내용교과 읽기 전략이 내용교과 학업성취도 향상과 교과흥미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현대 사회에서 유용한 지식과 정보의 대부분이 내용교과와 같은 설명적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내용교과 읽기를 통한 읽기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내용교과 읽기 활동을 통하여 읽기부진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방법으로서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의 효과성을 더 검증해보고, 취약한 부분이 있다면 앞으로 더 보완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어 동사 '타다'와 중국어 동사 '乘’의 대조연구

        LIU XIAOLI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한국어 사전 『표준국어대사전』,『연세한국어사전』,『고려대 한국어대사전』과 대표적인 중국어 사전『應用漢語詞典』,『現代漢語詞典』,『漢語大辭典』을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한국어 동사 ‘타다’와 중국어 동사 ‘乘’에 대한 의미를 대조 분석하여 검토하고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동사 ‘타다’와 중국어 ‘乘’의 어휘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는 한국어 동사 ‘타다’와 중국어 동사 ‘乘’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 동사 ‘타다’와 중국어 동사 ‘乘’에 대해서 선행연구를 핵심으로 그 연구 성과를 분석 정리하는 것이다. 제2장에서 어휘 분석에 대하여 한국어 동사 ‘타다’와 중국어 동사 ‘乘’의 의미의 유형과 다의 분석의 원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3장에서 한국어 동사 ‘타다’와 중국어 동사 ‘乘’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표적인 한국어 사전『표준국어대사전』,『연세한국어사전』,『고려대 한국어대사전』과 대표적인 중국어 사전『應用漢語詞典』,『現代漢語詞典』,『漢語大辭典』을 기초 자료로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사전을 활용하여 한국어 동사 ‘타다’와 중국어 동사 ‘乘’에 대한 기본의미와 주변의미를 다시 검토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 한국어 동사 ‘타다’와 중국어 동사 ‘乘’의 사전의미에서의 대응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그들의 기본의미와 주변의미에서의 대응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제5장에서 동사 ‘타다’ 에 대해서 포함하는 복합어, 동사 ‘乘’에 대해서 포함하는 복합어 및 동사 ‘타다’와 동사 ‘乘’의 상호 대응하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 동사 ‘타다’와 중국어 동사 ‘乘’을 연구하는 대상으로 단일어 일뿐 더러 두 언어를 직접구성요소(immmediate constituent, IC)로 구성하는 복합어, 그리고 한국어 속에 한자어 중간에 동사 ‘乘’을 언급하는 복합어까지 모두 연구하여 그 예문들에 대해서 대조분석을 하고자 한다. 동사 ‘타다’와 동사 ‘乘’에 관련된 어휘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두 밝히고자 한다. 제6장에 본고의 연구하는 성과를 요약하기로 한다. 그리고 귀납적인 대조결과를 요약 제시할 것이다. 추후 과제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Although both South Korea and China belong to the cultural circle of Chinese characters, inheren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ir own vocabulary systems. Thus it is tough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to understand how to choose the appropriate semanteme according to the context. ‘타다’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is paper involves the identification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타다’ in both Korean and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vocabulary and syntax. This study is of great help to Chinese and Korean learners, laying the foundation for contrastive linguistics, which offers a favorable base material for the translation between two languages. The first chapter as an introduction section discusses the object an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and the research methods, as well as advanced research of Korean verb ‘타다’ and Chinese letter ‘乘’. In chapter two,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lysemy and homophone of Korean verb ‘타다’ and Chinese letter ‘乘’, this paper conducted analysis and research into representative Korean dictionaries and representative Chinese dictionaries. After that, the separate characteristics of the word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terms of semantics.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usage of Korean verb ‘타다’and offers its comprehensive illustrations. Firstly, the references of this word in two representative Korean dictionaries 『Yonsei Korean Dictionary』,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were researched into. This paper involves the comments on two sound aspects of the two dictionaries, as well as critiques on its two terrible ones. In order to re- differentiate its usage, not only did this paper refer to dictionaries, but also it made good use of corpus. By doing this, this paper gives a new perfect usage of ‘타다’, meanwhile, it finishes good research into this word’s associated nouns’ semantic classification and sentence structure. Like what is done in chapter three, to comprehensively analyse the usage of Chinese verb ‘乘’, the fourth chapter researched into the reference in representative Chinese Dictionary 『Practical Chinese Dictionary』, 『Essence Chinese-Korean Dictionary』, 『Korean-Chinese Piece』 as well as provides comments and critiques. Then by utilizing ‘CCL corpus’, the role the verb ‘乘’ plays in an article is given, along with its associated nouns, in preparation for interpretation of nouns combined with them when explaining the usages of ‘타다’ and ‘乘’ in Korean and Chinese, respectively. The fifth chapter discusses the comparisons of the usages of the two words, separately when their usages correspond and don’t. The comparisons are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associated nouns and their classification when separately used in the position of subject and object. Chapter six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is paper, and reveals the results of comparison and subsequent subject tasks.

      • 한국 반미운동의 의미구조에 관한 연구 : '미군 장갑차 여중생 압사사건' 이후의 반미담론을 중심으로

        김재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언어를 통해 반미를 사회적으로 의미화 시킨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반미운동의 의미구조를 고찰하였다. 특히, ‘미군 장갑차 여중생 압사사건’ 이후의 반미담론을 중심으로 그 의미구조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최종적으로 현 한국사회의 변화 흐름을 독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압사사건 이후의 반미담론은 다층적인 의미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압사사건 이후의 반미담론은 두 소녀의 죽음에 대한 현실 해석을 매개로 하여 ‘죽음의 의미구조’, ‘환원론적 의미구조’, ‘자존적 민족주의의 의미구조’, ‘탈규범적 의미구조’ 등 여러 양태의 의미구조를 보여주었다. 한편, 반미담론은 독립적으로 그 의미구조를 형성, 발전시키는 것은 아니다. 반미담론의 독특한 의미구조 형성은 지배담론과의 조응적 실천관계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즉, 반미담론의 현실 해석에 대해 지배블록 역시 일련의 현실해석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바로 ‘역사성 복원의 의미구조’, ‘비이성과 반도덕성의 환유적 의미구조’, ‘위기 재현의 의미구조’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들의 조응적 실천관계 속에서 한국사회의 특징적 현상을 읽을 수 있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역사성’을 중심으로 한 갈등이었다. 한국사회의 지배담론은 현재의 지배구조를 지속적으로 재생산하기 위해 한국현대사의 역사성에서 잉태된 선인적 미국관을 되살리려고 하였다. 반면 반미담론은 비판적 이성을 바탕으로 해방 이후 한국사회에 내면화된 규범적 미국관에서 벗어나고자 한 것이다.

      • 보건 의료 데이터의 의미론적 상호 운용성을 위한 요구 사항 : 콘텐츠와 용어 중심으로

        황지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사람들이 하나의 국가 내 지역은 물론 국경을 넘나들고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다기관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활성화 등으로 인해 보건 의료 분야에서의 데이터 교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둘 이상의 시스템 혹은 기관이 빠르고 정확하게 데이터를 발신 및 수신할 때 필요한 능력을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라고 하며, 데이터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능력을 전제로 하여 데이터 교류가 필요하다. 전자 의무 기록 인증제, 진료정보교류 사업을 포함하여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 단위의 여러 사업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의 대부분은 교환되는 정보의 의미를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인 의미론적 상호 운용성(Semantic interoperability)보다는 데이터 전송 행위 또는 데이터 구조와 관련되어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 관련 데이터를 교류 시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콘텐츠와 용어 측면으로 구분하여 방법을 제시하고 적용했다. 전자 건강 기록 시스템(Electronic health information system, EHR) 내 서식지 또는 전자 증례 기록지(Electronic case report form, eCRF)의 콘텐츠를 구성할 때에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을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선정해야 한다. 그리고 해당 항목이 다른 의미로 해석되지 않도록 정의하며, 코드를 부여하여 시간이 지남 따른 항목 변화에도 관리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시스템 입력 및 조회 화면에는 항목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표현하여 처음 콘텐츠를 보는 사람도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일관된 방법으로 건강 관련 데이터를 국제 표준 용어와 연계하기 위해서는 표현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특성은 물론 표준 용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어 시스템을 선정하고, 데이터베이스 개발 환경 및 표준 용어 연계 작업 기간을 고려하여 원칙을 수립해야 한다. 그 후에 각 항목이 사용된 맥락 정로를 반영하여 의미를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표준 용어 연계가 용이하도록 항목을 재구성한 후에 실제 표준 용어 연계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직접 적용한 결과, 콘텐츠를 표준화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며 때로는 데이터를 수집 및 입력하는 사람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거친 건강 관련 항목은 의미 파악이 용이하여 구체적이고 정확한 표준 용어를 연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표준 용어 연계 결과를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운영하여 표준 용어 연계가 의미론적 상호 운용성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는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적용하면 보건 의료 데이터 교류 시 사람이 개입되어야 하는 업무의 범위를 대폭 줄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demand for data exchange in the healthcare field is steadily increasing with the growing mobility of individuals across borders, as well as the advancement of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The ability to exchange data accurately and quickly between two or more systems is known as interoperability. Recently, national-level projects and research initiatives are underway to ensure healthcare data interoperability, such as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certification program and the health information exchange. However, most of these efforts primarily concentrate on data transfer and data structures, rather than semantic interoperability. In this study, the necessary elements for ensuring semantic interoperability were divided into content and terminology, and methods and results to achieve this were explained. When designing the content of an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or electronic case report form (eCRF), it is essential to select the necessary items that align with the objective of data collection, considering the limited resources available. Furthermore, defining each item clearly is crucial to avoid ambiguity and ensure consistent interpretation. The input and output screens of the system should contain items with a clear description, ensuring that us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meaning of each item. And when mapping between the health-related items and standardized terminologies, it needs to make a strateg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item and standard terminology, length of the mapping period, and database development environment. Moreover,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each item is used and reflect it in the mapping with standard terminology. If necessary, items may need to be reorganized to facilitate the map of standard terminology. Through these processes, ultimately, it can lead to achieving high semantic interoperability. The series of tasks for semantic interoperability is not easy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However, this process resulted in health-related items having clear and understandable meanings, facilitating the mapping with precision and accurate standard terms. We believe it will help improve semantic interpretation of healthcare, data though there is no implementation case and lefts verification step.

      • 의미치료 기반의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자살 고위험 노인을 대상으로

        권태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증가하는 노인 인구와 함께 노인 자살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자살 고위험 노인을 대상으로 의미치료 기반의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개인적 의미(Personal meaning)모델과 의미치료를 기반으로 ADDIE 모형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 따라 개발되었다. Frankl의 의미치료적 프로그램의 기본철학을 바탕으로 자살 고위험 노인에게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삶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로고분석단계 중 자기평가단계와 창조적, 경험적, 태도적 가치를 탐색하는 과정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회상요법, 소크라테스 대화법, 의미치료와 다양한 치료적 의사소통기법이 적용된 동영상 시청, 역할 반전기법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삶의 의미, 자기 가치감의 향상, 관계에 대한 이해,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변화, 노화와 죽음의 인식을 통한 삶의 소중함을 인식하여 결과적으로 자살예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목표 및 회기 별 목표를 수립하였고, 예비조사와 전문가 검토를 거쳐 8회기 의미치료 기반의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 방법으로 자살 고위험 노인의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노인복지관, 요양원, 재가센터에 등록된 65세 이상의 우울 및 자살생각을 경험하는 노인으로, 최종 실험군 17명, 대조군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군은 개발된 8회기 프로그램을 60분, 주 2회, 4주 동안 제공하였고 사전, 사후, 프로그램 종료 후 4주후 추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각 시설에서 제공되는 전화연락이나 가정 방문의 일상적인 관리상담을 제공받았다. 수집된 양적 자료는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t-test),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의미치료 기반의 자살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삶의 의미(F=28.17, p<.001), 자아존중감(F=9.67, p=.001), 무망감(F=13.14, p<.001), 우울(F=31.32, p<.001), 자살생각(F=17.48,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종료 4주후까지 유의하게 지속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의미치료 기반의 자살예방 프로그램은 자살 고위험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우울 및 자살생각, 무망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우울 및 자살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meaning therapy-based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old adults at high risk of suicide to prevent the rapid increase in the old adult suicide rate due to the increase in the old adult population. This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phase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based on the personal meaning model and meaning therapy. Based on the basic philosophy of Frankl's meaning therapy program, it was composed of content that could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for the old adult at high risk of suicide. The self-assessment step of the logo analysis step and the process of exploring creative, experiential, and attitude values were applied to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The program utilized various methods such as reminiscence therapy, Socratic conversation method, meaning therapy, watching videos applied with various therapeutic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role reversal techniqu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are changed to the meaning of life, improvement of self-worth,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change in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ife through awareness of aging and death. It is designed to prevent suicide. Accordingly, specific goals and goals for each session were established, and an 8-session meaning therapy-based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old adults was developed and applied after a preliminary survey and expert review. The effects on the meaning of life, self-esteem,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old adult at high risk of suicide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using a randomize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old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registered at senior welfare centers, nursing homes, or home centers, and experienced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In the final study, 17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developed 8-session program for 60 minutes, twice a week, for 4 weeks,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fter, and 4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daily management counseling by telephone or home visits provided by each facility.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eaning therapy-based suicide prevention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life (F=28.17, p<.001), self-esteem (F=9.67, p=.001), hopelessness (F=13.14), depression (F=31.32, p<.001), and suicidal ideation (F=17.48,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follow-up test, it was significantly maintained until 4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meaning therapy-based suicide prevention program show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of old adults at high risk of suicide and reducing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hopelessnes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is program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program for preventing depression and suicide.

      • 친밀한 관계경험에 대한 사후가정사고와 의미부여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김이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친밀한 관계경험에 대한 ‘사후가정사고’와 ‘의미부여’, 그리고 이 두 처치를 혼합한 ‘사후가정의미부여’ 처치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된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북 지역 소재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123명의 피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는 네 집단으로 나뉘어 각각 사후가정의미부여 집단, 사후가정사고 집단, 의미부여 집단, 비교집단에 배정되었다. 삶의 의미를 측정하기 위하여 삶의 의미 척도(MLQ)의 하위 척도인 의미발견 척도와 ‘삶의 만족도 척도(SWLS)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과 공분산분석(ANCOVA)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각 실험집단인 사후가정의미부여 집단, 사후가정사고 집단, 의미부여 집단에서는 의미발견과 삶의 만족도에 대해 모두 사전-사후 점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사전-사후 점수 간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사후가정의미부여, 사후가정사고, 그리고 의미부여 처치는 모두 의미발견과 삶의 만족도 수준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별 사전-사후 점수 차이의 유의확률을 통하여 살펴 본 처치 효과의 크기는 사후가정의미부여, 사후가정사고, 의미부여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미발견과 삶의 만족도에 대하여 각각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미발견’에 대한 각 처치의 효과는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onferroni 사후검증을 통하여 각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집단을 살펴 본 결과, 사후가정의미부여 집단은 의미부여 집단과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의미발견이 증가하였다. 반면 사후가정사고 집단은 사후가정의미부여 집단, 의미부여 집단, 그리고 비교집단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각 처치의 효과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친밀한 관계경험에 대한 사후가정의미부여, 사후가정사고, 의미부여 처치는 모두 삶의 의미를 향상시켰으며 사후가정의미부여는 의미부여 집단과 비교집단에 비하여 의미발견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에 더욱 효과적인 처치임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