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향기가 소비자의 제품지각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 실용재와 쾌락재를 중심으로

        조아영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fragrance on consumer’ perception and memory toward products, depending on product type as moderator. Previous studies found that fragr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 cognition and memory of consumers. However some research claim that presence effect of fragrance is not consistent and the effect of fragrance is varied according to kind of fragrance. This study explored how the effect of fragrance type on attitude, loyalty, memory toward products is moderated by product type. For diversifying the fragrances, we conducted a pilot study that measured EEG during inhalation of fragrances to 20 undergraduate students and selected arousal/relaxation fragrances. Data in the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from 60 undergraduate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our experiment, diffusing ambient scent and measuring a survey. This study conducted a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3(arousal/relaxation/contral) × 2(utilitarian/hedonic) with a control variable of familiarity. Results indicated that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fragrance and product type was significant on memory of products. On the other hands,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on attitudes and loyalty toward products. Furthermore, presence of fragrance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loyalty and memory of products. Finally, w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향기가 소비자의 제품지각과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향기의 출현은 소비자의 정서와 인지 및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들은 향기의 출현효과가 항상 일관적이지 않으며 향기의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파 측정을 통해 향기의 종류를 나누어 향기종류와 제품유형이 제품태도와 충성도,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향기를 맡는 동안의 뇌파를 측정하는 예비실험을 실시하여 활성향과 안정향을 선정하고, 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조건에 따라 주변향을 맡는 동안의 제품에 대한 태도와 충성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고 실험 후 기억에 대한 설문을 하는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집단 간 변인인 향기종류(활성향/안정향/통제)와 품유형(실용재/쾌락재)이었다. 종속변인은 제품태도와 제품충성도, 제품기억이었으며 향기친숙도를 통제한 3(활성향/안정향/통제)×2(실용재/쾌락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향기유무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계획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향기유무에 따라 제품태도와 충성도, 기억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기가 없을 때(통제)보다 있을 때(활성향/안정향)의 참가자가 더 높은 제품태도, 충성도, 기억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제품태도와 충성도에 대해서는 향기종류와 제품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제품기억에 대해서는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다축 핀틀 노즐을 고려한 고체추진 로켓 모터의 음향 불안정 및 비음향 불안정 예측에 관한 연구

        이동희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86

        In this study, stability of rocket system was determined based on Culick 's high-frequency acoustic instability and Sehgal and Strand’s low-frequency nonacoustic instability to predict combustion instability in solid rocket motors at mission design stage.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diction of combustion instability in multi-axis pintle motor. First of all, acoustic field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COMSOL for acoustic instability analysis of a solid rocket motor. The stability integral was obtained through the derived acoustic mode shape function. Linear stability integral, and nonlinear stability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Unlike classical solid rocket motors, where longitudinal acoustic modes dominate, transverse modes such as tangential and radial modes have been developed. The mode shape was mainly expressed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difference of the acoustic modes according to the thrust adjustment of the multi-axis pintle was confirmed to be neglectable. In the case of the stability integral, it was confirmed that the nozzle damping term was in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pressure coupling term. The stability of each mode frequency was determined through the linear stability alpha results, and the unstable mode causing the amplification of the perturbation was derived through the nonlinear stability analysis. Next, the stability of the rocket system was modeled by modeling the transfer function for the analysis of nonacoustic instability. Through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system, the threshold was derived and the instability of the combustion chamber was determined through the stability curve, whic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chamber length and the chamber pressure. The stable pintle driving range was confirmed by presenting the pintle position curve showing the pressure varying with the pintle motion and the characteristic length of the combustion chamber at that time 본 연구에서는 고체 로켓 추진기관에서 발생하는 연소 불안정을 임무 설계 단계에서 예측하기 위해 Culick의 고주파 음향 불안정 및 Sehgal과 Strand의 저주파 비음향 불안정을 바탕으로 로켓 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별하였다. 특히, 다축 핀틀 추진기관의 연소 불안정 예측을 중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고체 로켓 추진기관의 음향 불안정 해석을 위해 상용 프로그램 COMSOL을 이용하여 음향장 해석(acoustic field analysis)을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음향 모드 형상 함수(acoustic mode shape function)를 통해 안정성 적분(stability integral), 선형 안정성 요소(linear stability integral)을 구하였으며, 나아가서 비선형 안정성 해석(nonlinear stability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축 방향(longitudinal) 음향 모드가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고전적인 고체 로켓 모터(classical solid rocket motor)와 달리 접선 방향(tangential), 반경 방향(radial) 모드 등의 횡 방향(transverse) 모드가 발현하였다. 모드 형상은 주 연소실 안에서 주로 발현하였으며 다축 핀틀의 구동에 따른 음향 모드의 차이는 미미함이 확인되었다. 안정성 적분의 경우, 압력 결합 항에 비해 노즐 감쇠 항이 미미함을 확인되었다. 선형 안정성 요소 결과를 통해 각 모드 주파수 별 안정성을 판단하였으며 비선형 안정성 해석을 통해 섭동의 증폭을 야기하는 불안정 모드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고체 로켓 추진기관의 비음향 불안정 해석을 위해 로켓 시스템의 전달함수를 모델링하여 안정성을 판별하였다. 시스템의 전달함수를 통해 임계값을 도출하여 연소실 특성 길이와 연소실 압력의 관계식인 안정도 곡선을 통해 연소실의 불안정을 판별하였다. 또한 핀틀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압력과 그때의 연소실 특성 길이를 나타내는 핀틀 구동 곡선을 제시하여 안정한 핀틀 구동 범위를 확인하였다.

      • 유아사교육 참여 형태가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용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18

        이 연구는 만 2-4세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유아 사교육의 참여 형태가 유아의 창의성, 사회성 및 부정적 정서성,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1단계에서는 다항 로지스틱 모형을 활용하여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에 따른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얻은 일반화경향점수의 안정화 역확률 가중치를 적용하여 선택편의를 교정한 후, 유아 사교육의 참여 형태 별 관심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를 산출한다. 연구 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의 결정요인 1.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에 따라서 차별적인 특징이 존재하는가? 특히, 아무 사교육도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타 형태 사교육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2.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별 처치효과 2.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 별 차별적인 특징을 조정했을 때,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에 따라 창의성, 사회성 및 부정적 정서성,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대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사교육 형태 별 참여 선택과정에 있어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을 기준집단(reference group)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인지 사교육 집단을 선택할 확률을 유의미하게 결정하는 요인은 수도권 거주여부, 정서적 반응성의 가정환경이었다. 수도권에 거주할수록 인지사교육을 받을 확률이 높았고, 부모-자녀 간 정서적 반응이 활발할 가정환경일수록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참여하기보다 인지 사교육에만 참여할 확률이 낮았다.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비인지 사교육 참여집단을 선택할 확률을 유의미하게 결정하는 요인은 모 양육스트레스, 학습 자료가 충분한 가정환경, 학습관여 정도, 부모의 모델링 역할수행정도,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정환경으로 나타났다. 학습 자료가 충분한 가정일수록,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정환경일수록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을 집단보다 비인지 사교육 집단에 참여할 확률이 높았으며 모 양육스트레스가 높고 학습관여 정도가 높은 가정환경일수록, 부모의 모델링 역할 수행정도가 높은 가정일수록 비인지 사교육에만 참여할 확률이 낮았다.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모든 형태의 사교육에 참여할 확률을 유의미하게 결정하는 요인은 수도권 거주여부, 모 의 주당 양육시간, 정서적 반응성과 관련된 가정환경 요인,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정환경, 부정적 행동 수용정도, 보육비 면제/감면여부였다. 수도권에 거주할수록,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정환경일수록, 보육비 면제/감면 대상 가정일수록 모든 형태의 사교육을 받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고, 어머니의 주당 양육시간이 많을수록, 정서적 반응성과 부정적 행동 수용정도가 높은 가정환경일수록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을 확률에 비해 모든 형태의 사교육을 받을 확률이 낮았다. 둘째, 유아 사교육 형태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최종 회귀모형으로 제시했다. 안정화 역확률 가중치를 적용하기 전(OLS)과 적용 이후(WLS)의 회귀 계수들에 대한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가중치를 적용하기 이전에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비인지 사교육 집단의 평균 창의성 점수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중치를 적용하여 선택편의를 제거한 이후에는 효과가 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통제변인들은 이론적 토대로 창의성과 관련이 깊은 변인을 선별했으며 아동월령(만), 어머니 부정적 자기효능감, 표현어휘력 점수가 창의성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셋째, 유아의 사교육 형태가 유아의 사회성과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효과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추가로 사회성, 부정적 정서성과 관련이 깊은 변인과 전년도 사회성, 부정적 정서성과 같은 천장효과(Ceiling Effect)를 통제하기 위해 필요한 변인들까지 모형에 투입한 결과 유아의 평균 사회성 정도에 있어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보다 비인지 사교육 집단과 모든 사교육 참여 집단이 유의미하게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 사교육 형태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절편만 유의미할 뿐, 기준 집단에 비해 다른 형태의 사교육 집단이 갖는 특별한 효과는 찾을 수 없었다. 통제변인 중 어머니의 허용적 양육방식은 사회성이나 부정적 정서성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넷째,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별 유아의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성을 확인해본 결과, 가중치를 적용하기 이전에는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별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유의미한 효과는 없었지만 적용 이후에는 아무 사교육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인지 사교육만 받는 집단의 내재화 문제행동 평균점수가 더 높았다.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선택편의를 조정하기 전/후의 모형들을 확인해 봐도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별 외현화 문제 행동 점수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내재화 문제행동과 관련 있는 통제변인은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허용적 양육스타일, 어머니 우울정도로 나타났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동성별, 가구 월 소득, 어머니 허용적 양육스타일과 어머니의 우울정도, 부부갈등이 유의미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 호텔의 인공지능(AI) 및 로봇기술 도입으로 인한 고용환경변화와 직무환경변화가 직무불안정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배문경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011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the hotel industry requires new changes in the employment and job environment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robot technology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Recently hotel companies are implementing layoff or downsizing to reduce employees and job characteristics are also changing due to the increase in non-face-to-face servic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and job environment may cause job instability and affect customer orient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anges in employment and job environment on job instability and customer orientation perceived by employe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AI and robot technology in the hote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4, 2022 to November 30, 2022, for the employees who are currently employed in the hotel with AI and Robot technology and a total of 250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SPSS statistics version 26.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y-off and changes in the organization structure, which are sub-factors of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instability of employees and changes in job performance competency which is sub-factor of changes in the job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instability. Second, none of sub-factors of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but both changes in job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job performance competency which are sub-factors of changes in the job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rd, job instabi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s study found that hotel employees’ perceptions of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job environment by implementation of AI and Robot technology in hote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job instability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gram for members to reduce job instability and increase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appropriat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제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사태로 인해 호텔산업은 인공지능(AI) 및 로봇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경쟁의 심화로 인하여 새로운 고용환경변화와 직무환경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지역 인공지능(AI) 및 로봇기술을 도입한 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구성원들이 인지하는 고용환경변화와 직무환경변화가 직무불안정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22년 11월 24일부터 2022년 11월 30일까지 7일간 인공지능(AI) 및 로봇기술을 도입한 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 모두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6.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환경변화의 하위요인 중 정리해고 보편화와 조직구조변화가 직원들의 직무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직무환경변화의 하위요인 중 직무수행역량변화가 직무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용환경변화의 모든 하위요인은 고객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환경변화 하위요인인 직무특성변화와 직무수행역량변화는 모두 고객지향성에 유의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직무불안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가설 검증 결과, 직무환경변화의 요인 중 직무수행역량변화는 직원들의 직무불안정성, 고객지향성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인적자원 의존도가 높은 호텔산업에서 인공지능(AI) 및 로봇기술로 인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호텔기업은 직원들의 직무수행역량변화에 중점을 두고 각 직무에 적합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직무불안정성을 낮추고 고객지향성은 높이는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몰입, 업무성과 및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학습지향성과 심리적안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환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15933

        글로벌 무한경쟁 시대, 창조·혁신의 시대, 상생과 공존의 시대로의 본격 진입은 기업들에게 변화된 경영 패러다임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기업 또한 이러한 요구 에 부응하기 위해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창의·혁신 조직으로의 변화를 추구하며, 조직구성원과 중소협력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 의 변화는 리더에게 새로운 역할과 책임을 요구하며, 이에 적합한 리더십을 요구하 게 된다. 다행히 최근의 리더십 연구들에서 이러한 변화에 상응하는 다양한 논의들 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에 관심을 받기 시작한 리더십 이론으로 진정성 리더십을 들 수 있다. 진정성 리더십은 2001년 미국의 엔론사태 이후 리더의 진정성과 윤리 에 관한 논의가 본격 진행되면서 새롭게 등장한 개념이라 할 수 있는데, 2004년 네브라스카 리더십 컨퍼런스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그간의 리더십 연구가 리더 의 외형적 모습이나 행동상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점에 주력하여 왔다면, 진정 성 리더십은 조직에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켜, 확산·전염과정을 거쳐 긍정적 효 과를 가져오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Luthans & Avolio, 2003). 또한 기업의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해서 구성원의 역량 강화와 학습을 장려하는 조직풍토 조성,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한 업무효율을 강조하는 분위기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으나, 조직문화 로서의 학습지향성과 심리적 안정감이 진정성 리더십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있 - vii - 어서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향후 조직내 학습활동의 장려와 심 리적 안정감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함께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지속가능 기업으로의 발전을 위해서는 매출과 이익률 향상 등과 같은 단기적 성과는 물론 장기적 관점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성과가 대단히 중 요한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조직 내에서 진정성 리 더십과 학습지향성, 심리적 안정감 및 조직유효성으로서의 조직몰입, 창의적 행동, 업무성과는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 중요한 의미라고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는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 가설들이 설정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가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주요기업에 종사하는 500명의 회사원들에게 배포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87명의 데이터가 분석 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성 분석이 이루어졌 으며 크론바흐 알파값 검증을 통해 신뢰성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의 검증에는 구조방정식 모형이 활용되었다. 타당성 분석과 신뢰성 분석 결과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실증자료들이 연구에 적합한 것임을 확인시켜 주었으 며, 연구모형 검정결과는 가설검정에 활용된 구조방정식 모형이 수용 가능한 적합 한 모형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성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학습지향성과 심리적 안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구성원들이 인지한 학습지향성과 심리적 안정감은 조직유효성(창의적 행동, 업무성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구성원들이 인지한 학습지향성과 심리적 안정감은 진정성 리더십과 조 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허브형 구동모듈 기반의 가변접지 기능을 갖는 전방향 이동로봇

        김효중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17551

        In recent years, increased number of researches has been done on mobile robots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service robots. Mobile robots can maximize the mobility of service robots, allowing them to work in many different areas. However, often, the center of the mass of a service robot is placed high above the ground, which may lead to instability when moving at a high speed. Furthermore, hub-type actuators, which are often used in mobile robots, are too big and heavy for service robots. To cope with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bile robot with a hub-type actuation unit and a variable footprint mechanism. The developed hub-type actuation unit is compact in size, and thus they can be used for service robots. Also,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robot, the robot was designed so that it can turn its wheels, allowing it to move in any directions. Furthermore, the use of the variable footprint mechanism further improves the mobility of the robot, allowing it to move freely in a narrow space to carry out various services. On the other hand, to ensure the stability, the robot can expand its footprint when moving at a high speed.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chanism was verified under static and dynamic situations.

      • Study on Organic Interfaces for Highly Efficient PHOLEDs

        박소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68392

        This thesis is about the interface engineering in order to improve the device stability for highly efficient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PHOEDs). Notably, this thesis investigated that used the new methodology, which includes studies on four types of the new synthetic bipolar transport materials for blue and green PHOLEDs, carrier injection and transport behaviors for ideal charge balance into emitting layer (EML) in solution-processed PHOLEDs, interface tunneling layer (ITL) for reduction of accumulated charge carrier both sides of EML, and an alternative current OLEDs (AC OLEDs) for utilization of new device structure operating in an AC condition. In the case of the bipolar host materials, the new synthetic host materials were introduced for highly efficient PHOLEDs. Especially, the newly synthesized bipolar host materials showed the ideal charge balance factor, improved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and enhanced device performance. However, the ideal charge balance factor does not give ideal device characteristics for green PHOLEDs, which might be due to a leakage current path caused by high current flow behavior, resulted from the geometry issue each material. Therefore, it necessary to find the critical interface that affects that the device performances and to do precise interface engineering. Especially, the recombination zone (RZ) for solution-processed OLEDs can be easily formed towards the hole transport layer (HTL)/EML interface due to the restricted hole mobility of cross-linkable material. Such critical interface (i.e., HTL/ EML)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evice performance and lifetime. Thus, we focused on the critical interface engineering for solution-processed OLEDs by controlling each carrier injection and transport behavior. Especially, to improve the hole mobility, we developed a new HTL having a polymer blending effect which or that gives a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semi-IPN) structure. With this approach, we obtained highly efficient and improved device lifetime in solution-processed green PHOLEDs. Furthermore, we utilized the new synthetic electron transporting material (ETM, 4-(3-(fluoranthen-3-yl)-5-(fluoranthen-4-yl)phenyl)-2-phenyl-benzo[h]quinolone, FRT-PBQ) that observed lower electron mobility than a common ETM [e.g., 2,2’,2’’-(1,3,5-phenylene)tris(1-phenyl-1H-benzimidazole) (TPBI)], due to the increased twisted angle. Interestingly, FRT-PBQ showed high current efficacy and extended device lifetime as compared to that of the device fabricated with TPBI, which might be due to an overall moderately charge balance with a low hole mobility of cross-linkable HTL. From this result, we concluded that the moderate charge balance is required for highly efficient solution-processed OLEDs via the proper interface engineering. Furthermore, the research on ITL is the interface modification by using very thin interface tunneling material. It could be acted as a protection layer of the critical interface, resulting in reduced accumulated charge carriers both sides of EML. Especially, it affects charge injection property, which helps to release the charge accumulation at the interface. This unique material could form the shift RZ to a center of EML to lower the possibility of exciton quenching acting as a non-radiative transition. Finally, ITL was applied to both sides of EML and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device lifetime (by a factor 2.5) compared to that obtained from the reference device. Finally, in work for AC OLEDs, new device structure was proposed for improvement of the device stability. By introduc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composed of two OLED devices, we could be driven individually and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each electrode. It could be very beneficial to improve the accumulated charge carrier at the critical interface because it plays the very same role of the effect for reverse bias effect. From the repetition for the relaxation and accumulation process, the degradation originated from the interfacial charge accumulation could be easily released. 이 논문은 고효율 인광유기발광 소자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유기 계면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이 논문은 고효율 청색 및 녹색 인광유기발광 소자를 위해 새롭게 합성된 양극성 호스트 재료 도입, 용액 공정용 인광유기발광 소자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전하 주입 및 수송 거동 조절, 유기 계면에 축적된 여기 전하에 의한 열화를 줄이기 위한 계면 터널링 층 도입, 마지막으로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한 교류 구동 방식 적용에 대한 4 가지 유형의 연구를 포함하며 소자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양극성 호스트 물질의 경우, 고효율 소자 특성을 위해 새롭게 합성된 물질을 도입하였다. 새롭게 합성된 호스트 물질은 고효율 인광유기발광소자를 위해 도입되었다. 이러한 양극성 호스트 재료는 이상적인 전하 균형 인자, 개선 된 열적 및 전기적 특성, 향상된 소자 성능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상적인 전하 평형 인자는 각 물질의 형상 문제로 인해 높은 전류 흐름 거동에 의한 누설 전류 경로로 작용하였고 이로 인하여 녹색 인광유기발광 소자의 경우 매우 저조한 소자 특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제작되는 소자 환경에 따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원인이 존재하며, 고효율 장수명 유기발광소자 구현을 위해서는 장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유기 계면을 찾고 정확한 유기 계면 엔지니어링이 요구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히, 용액 공정 유기발광 소자의 경우 적층 구조 확립을 위하여 가장 하단층에 가교성 정공 이동층 물질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물질은 매우 제한된 정공 이동도 특성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 용액 공정 소자의 경우 여기자 재조합 영역이 홀 이동층/발광층 계면으로 치우치게 된다. 즉, 용액 공정 소자의 경우 홀 이동층/발광층 계면이 소자 성능 및 수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유기 계면으로 작용하게 되며, 소자의 수명 향상을 위해서는 각 전하의 주입 및 이동 특성 조절을 통하여 여기자 재조합 영역을 발광층 내부로 이동시켜야만 한다. 특히, 정공의 이동 및 주입 특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는 기존의 고분자 물질과 가교성 홀 주입 물질을 블렌딩하여 정공 주입 및 이동 특성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솔루션 처리 된 녹색 인광유기발광 소자의 주입 특성 및 수명이 매우 향상되었다. 나아가 새롭게 합성된 전자 수송 재료와 기존에 사용되는 전자 수송 재료와의 비교를 통해, 각 다른 전자 이동도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사용할 경우 소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흥미롭게도, 기존의 전자 수송 재료와 비교하여 약 10 배 정도 느린 전자 이동도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물질을 도입한 경우 용액 공정 소자의 수명이 약 1.7 배 정도 향상되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가교 결합 성 홀 주입층의 정공 이동도 특성과 전반적으로 적절한 전하 균형을 이루어 이상적인 전하 균형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이 결과로부터 고효율 용액 공정 유기발광 소자 제작을 위해서는 적절한 유기 계면 엔지니어링을 통한 이상적인 전하 균형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나아가 계면 터널링 층에 관한 연구는 매우 얇은 물질을 사용하여 유기 계면을 변화시켰다. 계면 터널링 층은 소자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계면의 보호 층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발광층 양 측면에 도입할 경우 축적된 전하의 주입 특성을 향상시켜 주어 계면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매우 얇은 두께 (1 nm) 만으로도 기존 소자와 대비하여 소자 수명이 약 2.5 배 이상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교류형 유기발광 소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자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새로운 방식의 소자 구조를 제안하였다. 두 층의 유기발광 소자를 구성하여 각 전극의 극성에 따라 각 유기발광층을 개별 구동하고자 하였다. 방향성을 달리하여 교류형 소자가 주는 장점을 도입하면서도 역 바이어스 효과에 대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완 및 축적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계면 전하 축적으로 인한 분해가 쉽게 해제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