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식민지 조선의 여성교육공간과 근화여학교

        박현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총독부 교육정책의 흐름과 식민지시기 여성교육 공간 속에서 식민지 교육체제 외곽에 위치했던 근화여학교의 교육적 실천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교육기관, 각종학교, 정규실업학교를 거치며 여성교육을 실천한 근화여학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제도권 교육, 인문계 중심의 여성교육사 연구의 사각지대였던 ‘비제도권 교육’, ‘실업교육’을 조명해 봄으로써 식민지시기 여성교육사를 근화여학교를 통해 재구성해보았다. 3.1운동을 경험하며 사회전반에 개조를 통한 ‘해방’의 분위기가 고양되었다. 이러한 흐름에서 조선에 새롭게 대두한 여성해방론은 현모양처주의에 대한 전면적 비판 속에서 ‘여성의 인격적 해방’을 위해 교육의 필요를 주장했다. 여성 인격적 해방을 주장하는 1920년대 조선의 여성해방론에는 크게 두 가지 다른 시선이 존재했다. 여성해방 쟁점을 ‘성적해방’에 중심에 둔 자유주의 여성해방론자들의 여성해방론은 자유연애와 자유결혼, 자유이혼을 주장하면서 그 주체가 ‘신여성’, 소수의 ‘엘리트 여성’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이와 달리 ‘구여성’, ‘가정부인’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주어 인격적 해방을 이루도록 하고자 하는 주장이 있었다. 여성해방의 주체를 ‘가정부인’으로 삼은 조선여자교육회가 이에 해당하였다. 이들의 견해는 여성의 역할과 직분을 가정이라는 특정한 영역에 한정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현모양처주의와는 차별성을 지녔다. ‘가정’과 ‘정조’에 관한 사안에 있어서는 자유주의자들과 구별되는 바가 있었다. 조선여자교육회의 ‘조선적’ 현실에 기반을 둔 여성해방론은 다양한 계층의 호응을 얻으며 강한 파급력을 형성하였다. ‘가정부인의 인격적 해방’에 대한 주장은 담론에 머물지 않고 다양한 교육의 실천으로 실제화 했다. 1920년 조선여자교육회의 활동은 무교육 상태에 있었던 ‘가정부인’들에게 교육을 통한 ‘개조’를 주장하며 강연회와 토론회 개최했다. 지방의 가정부인들에게도 여자교육회의 주장과 새로운 지식이 닿을 수 있도록 『여자시론』을 발간하고, ‘전조선’을 순회하며 강연활동을 펼쳤다. 전조선순회강연은 ‘조선 여성계의 일대 광명이며, 생명 있는 신운동’이라고 평가받았다. 더불어 부인야학강습소를 시작하여 가정부인을 대상으로 한 직접적 교육을 실시하였다. 부인야학강습소는 1923년 근화학원으로 확장했다. 차미리사는 개인의 자각과 경제적 자립을 스스로 성취는 하는 것이 진정한 인격의 해방이라고 인식하며 재봉과, 상업과 등을 개설하며 가정부인을 대상으로 한 직업교육을 시도했다. 차미리사의 여성해방교육론은 조선여자교육회의 활동을 통해 제도권 밖에서 보다 폭넓은 여성을 대상으로 실제화 되었다.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의 공포와 함께 식민지 교육체제는 정규학교인 고보-지정학교-각종학교로 제도화 한다. 식민지 여성교육기관의 부족과 3.1운동이후의 향학열은 여학교의 입학난을 초래한다. 근화학원은 여고보 진학에 실패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고등과 준비반을 ‘고등과’로 개편하며 1925년 ‘근화여학교’로 인가를 받는다. 사회교육기관인 근화학원과 여자고보 체제의 경계에서 각종학교의 자율성 활용하여 개인의 교육이념을 실천하는 장으로 삼으며 1926년 사진과를 설치하여 여성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교육을 실천했다. 일제의 식민지 교육체제의 접경에 위치하며 운영해 나갔던 근화여학교는 그와 연동하며 독특한 학교문화를 형성했다. 식민지 교육방침과 통제에 있어서 인가된 여고보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학교운영자의 이념이 비교적 폭넑게 녹여낼 수 있었다. 근화의 교육이념은 여성의 자각과 자립과 이를 통한 여성의 주체적 삶을 추구하였다. 운영에 있어서도 근화여학교는 근화학우회를 중심으로 한 수익활동을 통해 자립적으로 운영해 나갔다. 여학생의 사회운동과 관련하여 1920년대 근화여학교에는 학교에 대항하는 맹휴는 발생하지 않았다. 1920년대 맹휴의 주 원인이 학내교육여건 개선과 식민지 노예교육에 대한 반대에 있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근화여학교의 교육은 학력보다는 단기간 중등 수준의 ‘실력 확보’에 있었고, ‘조선인 본위’의 여성교육을 상대적으로 강조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그러나 근화여학교는 제도권 교육의 주변부에 머묾으로써 교육 여건에 대한 불만이나 학력상승의 욕구는 집단화한 맹휴보다는 개별학생의 이탈로 나타났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광주학생운동 이후 식민지 노예교육의 문제가 사회 전반의 관심사로 확대되자, 근화여학교 학생들 또한 경성여학생연합만세시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사회운동의 주체로 선 여학생들은 이후 1930년대 비밀독서회 활동과 관련하여 학교공간의 실천투쟁으로서 동맹휴학을 단행하였다. 근화여학교 학생들 역시 경성여학생만세시위 이후 두 차례(1930년 3월, 1931년 2월)의 동맹휴학을 단행하지만 사회주의적 영향이 표면화된 사례는 아니었다. 다만 학생주체가 학교당국에 대한 불만을 집단화 할 수 있는 역량을 형성해 나갔음을 알 수 있다. 1932년 2월 근화여학교 내에도 교사 장보라를 중심으로 비밀독서회 조직이 발각되면서 교사를 중심으로 한 비밀독서회가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근화의 학생들은 농촌계몽운동으로서 문자보급운동에 참여하였다. 한편 1932년 무렵 근화여학교는 주 교육 수요층이 학령층으로 변화하며 가정부인 학생 지원자는 줄어들고, 교육 중도 이탈자의 높은 비중으로 안정된 운영이 어려워지자 실업학교 전환의 구체적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에 1934년 근화학원 재단을 완성하고, 1935년 3년 과정의 정규 근화여자실업학교로 인가를 받는다. 근화여실로의 전환은 1930년대 ‘직업부인’ 담론의 확산 속에서 여성 중등교육세대들의 사회진출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차미리사가 조선여자교육회 시절부터 고수해온 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실업교육의 필요라는 교육적 철학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총독부의 실업교육 중심주의라는 정책적 배경과 함께 근화가 처한 현실적 인가조건도 전환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실업학교 학생들은 인문계학교보다 짧은 수학연한 내에 기본적으로 직업여성으로서의 상업교육, 황국신민 양성을 위한 국민교육, 현모양처 양성을 위한 여성특성교육을 소화해내야 했다. 실업학교는 인문계 학교에 비해 가사, 재봉과의 비중은 낮추고, 사회 진출시 필요한 영어와 상업과목의 비중을 높이며 주판, 타자, 습자능력과 같은 실무능력을 키우는 데에 주력했다. 실업학교의 일상을 보여주는 졸업기념 앨범에는 실습과 견학을 통해 사회를 접하고, 주산과 타자 실력을 키워가며 실업학교 학생들만의 경쟁력을 키워가는 자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low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General and the educational practice of Geunhwa Women's School, which was located outside the colonial education system in the space for women's educ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Geunhwa Women's School, which practiced women's education through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various schools, and regular vocational schools, was. The history of women's educ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Geunhwa Women's School by illuminating the existing institutional education, non-institutional education, and unemployment education, which were blind spots for research on women's education history centered on the humanities. While experiencing the March 1st Movement, the atmosphere of 'liberation' was elevated through renovation throughout society. In this trend, the theory of women's liberation, which newly emerged in Joseon, argued for the need for education for 'women's personal liberation amid a full criticism of the present mother-in-law. There were two main different views on the theory of women's liberation in Joseon in the 1920s, which insisted on female personal liberation. The first view was the theory of women's liberation by liberal women's liberationists, who put the issue of women's liberation at the center of 'sexual Liberation.' They insisted on free love, free marriage, and free divorce, and thereby their subjectsubject was bound to be limited to 'new women' and a small number of 'elite women'. On the contrary, there were arguments to achieve personal liberation by giving 'old women' and 'housekeepers' educational opportunities. This was the case with the Joseon Women's Education Association, which took the subject of women's liberation as the 'housewife-in-law'. Their views were differentiated from current wife-in-law in that they did not limit women's roles and duties to a specific area of the family. There was a distinction from liberals in terms of 'family' and 'adjustment'. The theory of women's liberation based on the 'Korean' reality of the Joseon Women's Education Association gained response from various classes and formed a strong ripple effect. The argument for 'personal liberation of housekeepers' was not limited to discourse but realized into the practice of various education. In 1920, the activities of the Joseon Women's Education Association were held with lectures and discussions, insisting on 'modification' through education to 'housekeepers' who were in the state of no education. To help local housewives reach out to the claims and new knowledge of the women's education association, they published 『The Women’s discourse 』 and toured 'the whole country of Joseon' to give lectures. In addition, the Women's Night Class started and provided direct education for housekeepers. The Women's Night Classroom expanded to Geunhwa Academy in 1923. Recognizing that achieving individual awareness and economic independence by herself is the true liberation of personality, Melissa Cha attempted vocational education for housekeepers by opening sewing, commerce, etc.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Joseon Women's Education Association. With the promulgation of the second Joseon Education Ordinance in 1922, the colonial education system was institutionalized into regular schools, designated schools, and various schools. The lack of colonial wome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enthusiasm for learning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led to difficulties in admission to women's schools. Geunwh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reorganized the existing high school preparation class for students who failed to enter high school girls' high school into a 'high school' and was approved as 'Geunhwa Women's School' in 1925. At the boundary between the Geunhwa Academy, a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and the female high school system, it made it a place to practice individual educational ideology by utilizing the autonomy of various schools, and in 1926, photographs were installed to practice education for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Geunhwa Women's School, which was located and operated at the border of the Japanese colonial education system, formed a unique school culture in conjunction with it. Compared to the approved high school girls' high school girls' school policy and control, the school operator's ideology could be melted relatively broadly in a relatively free atmosphere. The educational ideology of Geunhwa pursued women's self-awareness and independence and women's subjective life through this. In terms of operation, Geunhwa Women's School was operated independently through profit activities centered on the Geunhwa School Association.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movement of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strike against the school in Geunhwa Women's School in the 1920s. However, after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as the issue of colonial slave education expanded into a concern for society as a whole, students from Geunhwa Women's School also took the initiative in the Gyeongseong Women's Union Manse Demonstration. Female students, who were the main subjects of the social movement, later took allied leave of absence as a practical struggle in the school space in connection with the activities of the secret reading society in the 1930s. Students at Geunhwa Women's School also took two allied leave of absence after the Gyeongseong Women's Student Manse Demonstration (March 1930 and February 1931), but but it was not an example that socialist influence surfaced.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tudent subject formed the capacity to collectively complain about the school authorities. In February 1932, a secret reading society centered on teachers was discovered in Geunhwa Women's School. Students of Geunhwa participated in the text dissemination movement as a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Meanwhile, around 1932, Geunhwa Women's School began specific work on the transition to vocational schools as the main educational demand class changed to school-age, the number of student applicants as housekeepers decreased, and stable operation became difficult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those who left the school. Accordingly, the foundation of Geunhw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was completed in 1934, and it was approved as a regular Geunhwa Girls' Vocational School in 1935. The transition to Geunhwa Girls' Vocational School was to realize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necessity of unemployment education for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which Melissa Cha has adhered to since the days of the Joseon Women's Education Association, while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female secondary education generation to enter society amid the spread of the discourse of 'vocational denial' in the 1930s. Here, along with the policy background of the Governor-General's unemployment education-centeredness, the realistic conditions of approval faced by the modernization also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transition.

      •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 연구

        안홍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근대적인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대한제국의 노력은 좌절되었고, 통감부의 일본인 관료들 주도 하에 식민지적 교육체제가 수립되었다. 일본의 복선형 학교제도가 이식되었고, 실업교육을 위해서 중등 일반계 학교와는 구분되는 별개의 실업학교제도가 창설되었다. 이러한 실업학교제도는 큰 틀의 변화 없이 식민지 말기까지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방 이후에도 후기 중등교육이 분화되는 교육체제로 이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다시 말해, 식민지시기는 실업교육이 복선형 중등단계 학교교육으로 포섭되어 실업학교제도로 정착된 시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식민지시기에 형성된 우리나라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등 실업교육의 형성이란 중등단계 학교교육으로서 실업교육의 이념, 제도, 사회적 인식 등이 형성되고 그 특질이 관행으로 굳어져 역사적 실재로 결정되어 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특질은 특정한 시대와 사회적 조건에서 출현하고 정착되어, 일정한 변화를 거치면서도 장기간 유지되거나 혹은 사라지는 교육의 형식, 내용, 기능에 관한 것들이다. 따라서 식민지시기에 형성된 한국 중등 실업교육의 특질은 그것의 식민지적 성격을 규명함으로써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일본의 제도가 이식되었지만, 한국의 실업교육은 일제의 식민지 통치와 자본의 필요에 따라 식민지적 변형을 거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또 다른 적극적인 행위자인 피지배 민족으로서 조선인의 기대와 열망이 담겨 있는 것이기도 했다. 따라서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과 조선인의 교육행위가 접합되어 형성된 식민지 실업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업교육에 관한 정책과 제도, 보급 양상, 교육과정과 학사 행정, 학생들의 저항, 그리고 입학과정 및 졸업 후 진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당국의 중등 실업교육정책은 조선인의 중등 일반교육에 대한 요구를 억제하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초등교육이 확대되면서 조선인들의 중등교육 및 고등교육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일제는 고등교육 진학을 준비하는 중등 일반교육의 확대 보급에는 소극적이었고, 실업교육을 중심에 둔 중등교육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일반교육은 물론이고 실업교육의 보급은 초등교육 성장에 비해 훨씬 미약하였기 때문에, 보통학교를 졸업한 조선인들은 고등보통학교만이 아니라 실업학교에 대한 진학 욕구도 매우 높았다. 더구나 실업학교는 조선인과 일본인이 함께 입학하는 공학제로 운영되었고, 일본인에게 유리한 민족별 정원 배분으로 인해 조선인 학생들 사이의 실업학교 입학경쟁은 더욱 치열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일단 입학에 성공한다면 그에 상당한 보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둘째, 식민당국이 의도했던 실업교육은 조선의 현실에 맞지 않았고, 때로는 조선인의 요구와 대립되는 것이었다. 실업교육정책의 변화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자본의 필요에 따른 것으로, 초기에는 농업학교들이 설립되었고, 이어서 상업학교의 증설이 이루어졌으며, 공업교육은 식민지 말기가 되어서야 확대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실업학교는 졸업 후 직접 실업에 종사하는 농민이나 상인 등 독립 자영인을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고, 이들에게 필요한 실무적인 지식과 기능을 교육하기 위한 근로주의 교육과정이 고안되었다. 교양 교육보다는 실습 중심의 기능적 훈련이 강조되었고, 근로에 대한 태도와 도덕성 함양을 위한 훈육이 중심을 이루었다. 그러나 조선인 학생들은 농민이나 상인이 되기 위해 실업학교를 선택하지는 않았으며, 대개는 관공청의 관리가 되거나 회사나 은행 등의 일반 사무직 등으로 취업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실업학교의 교육 내용은 학생들의 현실적인 교육 욕구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식민지 교육은 조선의 언어와 역사 교육을 억압하는 등 민족 말살적 성격이 강했고, 대신에 일본 제국에 복종하고 신민으로서의 의무와 헌신을 강요하는 정신 교화가 일상화되었다. 더구나 실업학교는 조선인과 일본인이 함께 공학하였기 때문에, 조선인 학생들은 학사 운영과 일상생활에서 민족 차별적 관행을 경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실업학교의 교육과정과 민족 차별적인 학교 운영으로 인해 조선인 학생들은 동맹휴학을 일으키며 집단적으로 저항하는 일이 속출하였다. 나아가 조선인 학생들의 집단적 저항은 식민지교육 자체를 반대하는 민족주의 학생운동으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셋째, 실업교육의 혜택을 누린 조선인들은 식민지 사회에서 선발된 집단이었다. 매년 치열한 입학 경쟁이 반복되면서 학생들의 인식 속에는 중등학교들에 대한 서열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중등학교의 서열적 인식은 일반계와 실업계 학교라는 계열에 따른 위계적 구분보다는, 개별 학교의 역사와 사회적 위상에 따른 학생들의 선호도 차이에 기초한 것이었다. 보통학교 졸업을 앞두고 중등학교 진학 여부를 결정하는 데는 극단적인 입학 경쟁을 통과할 수 있는 학업 성적과 비싼 학비를 충당할 수 있는 부모의 경제력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실업학교 입학에 성공한 이들은 전공과 관련된 기술 자격을 인정받을 수 있었고, 배타적인 취업이 보장되어 있는 근대적인 직업군으로 진입할 수 있었다. 당시는 고등교육 이수자는 물론이고 중등학교 졸업자 역시 매우 드문 선발된 집단이었기 때문에, 실업학교 졸업자들은 직업활동이나 생활수준 그리고 사회적 지위 등에서 상대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누릴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식민지시기에 형성된 한국 중등 실업교육의 특징을 추론할 수 있다. 그것은 근대적 중등 직업교육제도의 모델을 발전시킨 서구형과 달랐고, 또한 조선 사회에 이식된 일본형과도 다른 것이었다. 서구의 중등교육은 계급적 성격이 강한 위계적인 복선형 체제였지만, 일본의 중등교육은 업적주의에 기초한 일반교육과 실업교육의 사회적 기능 분화라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 사회에서는 일제의 억압적인 교육정책으로 중등교육 기회 자체가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중등교육을 이수하는 것만으로도 근대적 산업부문으로의 진출과 계층적 사회이동이 가능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식민지적 교육 조건에서, 실업학교의 사회적 위신은 일반계 학교에 비해 낮지 않았으며, 조선인들의 실업교육에 대한 기대와 욕구는 매우 높았다. 따라서 식민지시기 조선의 중등교육에서는 일반계 학교와 실업계 학교간의 위계적인 사회적 분화가 지연된 병렬적 복선제가 유지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실업계 고교 정책의 변천과 동인에 관한 연구

        한준선 숙명여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존의 실업계 고교 정책 관련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교 관련 문제점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연구하는 것이 아닌 실업계 고교 정책의 변천에 대한 체계적이고 직접적 동인들에 관한 분석을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업계 고교 정책 변천에 직접적 동인이 될 수 있는 경제, 사회·문화, 정치, 교육적 동인을 중심으로 실업계 고교 정책의 변천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실업교육, 실업계 고교, 실업계 고교 정책 관련 각종 문헌들을 중심으로 분석·연구한다. 이제 실업계 고교 정책과 관련 단순히 실업계 고교 관련 문제점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연구하기보다는 거꾸로 실업계 고교 정책이 어떤 이유로 변화된 것인지를 분석하여 우리가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찾는데 확실한 원인을 되짚어 그것을 본보기로 삼아 후에 그와 유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실효성 있는 정책적 대안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건국 이후 실업계 고교 정책의 시대별 변천을 분석하여 실업계 고교 정책의 이론적 배경과 시대별 변천 과정을 고찰하기 위하여 관련 기관과 단체의 자료들을 참고하여 실업 교육, 실업계 고교의 위상과 역할, 문제점들을 이해하고 시대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변화에 따른 실업계 고교 정책의 변천 모습을 분석한다. 실업계 고교의 현황과 문제점에서는 실업교육의 의미, 실업계 고교의 종류 및 역할, 실업계 고교의 운영 현황 그리고 실업계 고교의 문제점을 정리한다. 실업교육의 의미에서는 과거의 실업교육의 개념에서 벗어나 현대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실업교육의 의미 연구가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업계 고교의 종류 및 현황에서는 특히 실업계 고교의 특성화 경향이 1990년대 이후 더 강하게 대두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업계 고교의 운영 현황에서는 실업계 고교의 계열별, 유형별 현황과 취업률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현재 실업계 고교의 모습과 문제점들을 보여준다. 또한 실업계 고교 문제점에서는 현재 실업계 고교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분류하여 시대별 실업계 고교 정책의 변천을 분석하는데 있어 그와 유사한 문제점을 찾는데 기준이 된다. 실업계 고교 정책의 시대별 변천과정에서는 1950년대 이후 실업계 고교 정책의 변천을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고찰한다. 실업계 고교 정책의 시대별 특징을 1950년대의 기반구축기, 1960년대의 발전기, 1970년대의 성숙기, 1980년대의 전환기,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재정립기로 특징지어 구분하여 분석한다. 실업계 고교 정책 변천의 동인 분석에서는 분석 모형, 실업계 고교 정책 변천의 동인, 실업계 고교 정책의 변천에 따른 실업계 고교의 변화를 분석한다. 분석 모형에서는 분석틀의 근거와 분석 모형을 제시하고, 실업계 고교 정책 변천의 동인에서는 경제적 동인, 사회·문화적 동인, 정치적 동인, 교육적 동인을 중심으로 각각의 동인들을 자세히 분석한다.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는 경제적 동인의 실업계 고교 정책에 대한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실업계 고교 정책은 경제적 동인보다 사회·문화적, 교육적 동인에 더 큰 영향을 받아 왔다. 실업계 고교 정책의 변천에 따른 실업계 고교의 변화에서는 실업계 고교 정책의 변천 하에 실업계 고교의 체제, 교육과정, 졸업생의 수요는 어떤 변화를 보여 왔는지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분석 및 논의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실업계 고교 정책은 경제, 사회, 문화, 정치, 교육적 동인들에 의해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는 것이다. 또한 독자적인 각각의 동인들이 실업계 고교 정책 변천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었지만 여러 가지 동인들이 서로 관련성을 갖고 영향을 주고받으며 실업계 고교 정책 변천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둘째, 건국 이후 수많은 실업계 고교 정책이 실시되었다. 어떤 정책은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어떤 정책은 본래의 정체성을 잃고 역효과를 가져온 것도 있었다. 예를 들면, 전자의 경우 1970년대의 공고 육성 정책을 들 수 있고 후자의 경우 1980년대 실업계 고교의 일반계로의 전환 정책을 들 수 있다. 셋째, 현재 우리가 당면한 실업계 고교 관련 문제들을 과거 우리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함에 있어 좋은 결과로 이끈 정책들과 연결하여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보다 더 실패가 적은 정책 추진이 가능하리라는 것이다. 더불어 현재 실업계 고교가 당면한 문제점들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한다. 첫째, 실업계 고교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소규모 특성화 고교로의 개편을 점진적으로 추진하고, 둘째, 좀 더 다양화되고 특성화될 수 있는 교육내용의 발굴이 필요하고, 셋째, 우수한 학생을 유치할 수 있는 특성화 된 학교로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고, 넷째, 중도 탈락생 방지를 위하여 통합적 교육을 실시하고, 다섯째, 교사들은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현실에 맞는 새로운 실업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여 자기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여섯째, 현장 중심의 다양한 실기 교육을 실시하여 학교와 현장의 교육내용의 차이를 줄이고 현장기술자를 실기교사로 충원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현장의 다양한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득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그동안 실업계 고교 정책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실업계 고교 정책 변천의 동인을 분석함으로써 실업계 고교 관련 문제점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는 현재 실업계 고교가 당면한 문제점에 대한 확실한 원인을 찾아 과거 유사한 실업계 고교 정책 관련 문제점에 대한 성공적인 정책 추진과 연결하여 정책 연구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중국 민국시기(1912-1937) 장쑤(江蘇)지역 직업교육 특성 연구

        임송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대 중국에서는 고도의 자격을 갖춘 기술 및 기술 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 직업 교육 개혁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현대 중국에서의 직업 교육 발전을 체계화하고 고도화하기 위해 과거 중국에서 진행되었던 직업 교육의 개념과 교육내용 개발, 특성 및 기타 주요 문제를 검토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직업 교육 변화과정에서 나타난 긍정적 측면과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각 시기별 특성을 일반화 및 심화시켜 한다. 이같은 목적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대상 시기로서 중화민국 시대는 직업 교육의 시작에서 형성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단계이다. 장쑤성은 장강을 따라 중국 연안 지역에 위치하여 대외무역과 산업 발전의 중요거점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대 중국 산업화의 요람이 되었다. 이같은 상황은 강소 직업교육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풍부한 자원을 제공하였다. 특히, 중화민국 시대(1912-1937)에 장쑤성의 직업 교육의 개혁과 발전은 중국의 현대 직업 교육에서 가장 전형적이고 진보된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중국 중화민국 시대 장쑤성의 직업 교육 진행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각 단계별 내용과 과제극복을 위한 노력내용 및 관련 성과와 한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중국 직업 교육은 또한 전통적인 직업 교육에서 현대 직업 교육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 역사적 기간 동안 직업 교육의 변화는 주로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즉, 첫 번째, 전통적인 교육에서 산업 교육으로의 전환(주로 청나라 말기에서 초기 단계까지), 두 번째, 산업 교육에서 직업 교육으로의 전환 (민국초기에서 1937년까지 설립). 따라서 본 연구는 각 단계별 장쑤성 직업 교육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 직업 교육 개발과 연결된 핵심사항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장쑤성 교육자들이 체계적인 사고와 탐구 과정을 통해 과학화, 사회화, 서민화, 등의 방안을 이룩하였으며 이는 현대 직업 교육 발전의 이론적 기원으로서 중국특색의 현대 직업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역사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는 문학 연구, 비교 연구 및 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장쑤성의 직업 교육의 진화 과정을 요약하고, 중국 강소 직업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전통적인 교육을 기반으로 서양 교육을 흡수하고 차용하는 방법, 우리 자신의 개발 경로에 부합하는 방법을 확립하는 방법, 오늘날 중국의 특성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Vocational education as a separate type is a research hotspot in modern Chinese education. Modern China's demand for a large number of high-quality technical and skilled talents is getting louder and louder for the reform of modern vocational education.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modern vocational education, it is urgent for us to explain, summarize and improve key issue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vocational education, so as to help clarify the context of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modern vocational education.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was an important stage in vocational education from germination to formation. Jiangsu Province, which is at the forefront of the coastal area along the river, has shown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ity, information and trade, and has become the cradle of China's modern industrialization, providing rich nourishment for the growth and expansion of Education in Jiangsu.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the reform and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in Jiangsu was at the forefront of the country, and it became one of the most typical and advanced areas of vocational education in modern China. Therefore,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in Jiangsu, China. Vocation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China has also undergone major changes from traditional vocational education to modern vocational education. The reform of vocational education in this historical period mainly includes two stages: the transformation from traditional education to industrial education (mainly from the late Qing Dynasty to the early Ming Dynasty), and the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education to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China to the stage of 1937). This study hopes to try to find the inner core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education in Jiangsu, Republic of China.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thinking and exploration process of the scientific, socialized, civilian and systematic vocational education of jiangsu educators in the Republic of China, the theoretical traceability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vocational education will be analyzed, and historical enlightenment will be provi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vocational education syste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use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comparative research method and case study method to sort out the evolution process of vocational education in Jiangsu in the Republic of China,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education in Jiangsu in the Republic of China, and how it absorbs and draws on Western education on the basis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establishes a path that conforms to its own development, which has important inspiration for us to build a voc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path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oday.

      •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활용을 위한 연구

        박용배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컴퓨터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업계 고등학교 전공별 교육에 적합한 교육용 컴퓨터 모델을 개발하여 적정 사양의 교육용 컴퓨터를 보급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나아가 컴퓨터 활용 교육의 질적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용 컴퓨터 보급 및 활용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컴퓨터 관련 교육과정과 전문교과 교육에 적합한 교육용 컴퓨터 모델의 적정 기능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reveals problems within the computer education presently operat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and attempt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more rational and effective computer education. This thesis proposes a standard for educational computers based on the computer curriculum. Thi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ICT education. We analyzed capacity and utilization of the education computers in vocation high schools and deduced guidelines of the educational computer based on the computer curriculum.

      •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교육 실태조사 및 분석 : 서울지역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지승일 용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의 정보화 사회는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이 학교현장의 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효율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교육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 내용으로 학교 현장에서 시행중인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과목의 운영 및 편성과 교육활동 등에 관한 것이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업계 고등학생의 컴퓨터 교육활동 만족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셋째, 향후 개선되어야 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information society today is changed to high-tech information society along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science. This study is to find the methods to make the computer education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effective by researching the actual state of the field of school and searching the improved methods to prepare the future society. The contents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for such purpose, Firstly, as the study to research the computer education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it is about the operation, arrangement and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7th computer subjects currently in action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Secondly, we intended to search the improved solution by understanding the satisfac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7th computer subjects system. Thirdly, we are going to suggest the direction where the points are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 實學의 實業敎育論에 關한 硏究

        금원숙 中央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硏究는 실학자들의 敎育目標論과 敎育制度改革論을 토대로, 實學者들의 實業敎育論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탐구하고, 당시 實業敎育論의 교육적 의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전개되었다. 실학자들은 性理學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修己의 측면을 강조한 正德에 우선해서 경제적?실천적인 면을 강조한 利用厚生을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였다. 실학자들은 德行人과 能力人, 주체성있는 한국인, 경제적 능력과 실용적 지식을 지닌 實踐人, 민족주체성을 지닌 인간, 유능한 産業技術人, 人道의 具現과 주체적 實用人 양성에 교육의 목적을 두고 있었다. 실학자들은 조선시대의 학제와 科擧制度를 검토하여 당시의 사회적인 문제들을 실제적인 측면에서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들은 科擧制度의 폐단을 지적하고 평등교육사상에 의한 교육의 기회균등과 능력에 의한 교육을 주장하였으며, 그들의 人間觀과 平等敎育思想은 곧바로 學制改革으로 이어졌다. 實學者들은 産業技術敎育의 진흥을 위해 農業과 商工業에 관한 새로운 敎育 方案을 제시하였는데 농업교육론에 대해서 經世致用學派들은 영농의 효율화와 농업생산의 확대를 위하여 농사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시킬 것을 주장하였고 利用厚生學派들은 선진외국의 농업제도 모방 및 소개, 농업지식의 보급을 위한 교사양성,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영농기술교육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實事求是學派의 학자들은 실용적인 농사전문가를 양성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실학자들의 상공업교육론을 보면 經世致用學派들은 工匠이나 商人에 대하여 제도적인 우대책을 실시하고 技術敎育의 체제정비를 위한 工曹의 개편, 利用監의 신설을 주장하고 선진 외국의 발달된 기술을 도입?보급할 것을 제안하였다. 利用厚生學派들은 적극적으로 商工業을 발달시킬 것을 주장하면서 실제 기술개혁과 자원의 적극적 활용, 대외 무역 확대와 운송수단 개혁, 산업에 대한 가치관 변화, 각 산업 분야 발전을 위한 교사 양성 등을 강조하였다. 實事求是學派는 서구 과학기술의 수용학습이 중요하며 상공업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확보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실학자들의 敎育制度改革論과 實業敎育論에서 다음의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實學者들은 人間을 平等하고 自律的인 人格的 주체로 보면서 德行과 能力을 갖춘 實際的인 實用人을 양성하는 한편 民族 주체의식을 함양하는 데 교육목적을 두었다. 합리적이고 실천적 인간의 양성에 교육목적을 둠으로써 실학의 敎育目的論은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교육관을 반영하고 있다. 실학자들은 교육의 기회균등보장, 능력에 의한 교육 실시, 국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近代志向的이고 民族主義的 교육의 性格을 강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實學者들은 人間平等思想에 입각하여 敎育機會의 均等을 주장하였고, 系統性없는 당시의 學制를 改革하여 體系化시킬 것을 주장했으며, 學校敎育을 중시하여 德行과 能力에 의해 進學이 가능한 制度를 제안하였다. 신분적 차별에 근거하지 않는 교육기회균등의 주장은 바로 근대 교육제도 성립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실학자들은 실용적인 학문을 중시하여 實業敎育의 필요성과 그 진흥방안을 탐색했으며 산업의 다원화를 주장하고, 산업발전을 위한 제도개편, 기구신설, 기술자들의 처우개선, 實業技術敎育의 실시, 교사양성 등 실업기술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實學者들의 實業敎育論은 그들의 社會的 身分과 당시의 政治社會的 制約으로 실현되기 어려웠으나 공리공론으로 일관한 성리학 중심의 교육을 배격하고 국가의 산업발전과 국민 경제생활의 향상을 위한 敎育의 역할을 실용적 차원으로 접근시켜 우리나라의 근대적 실업교육의 출발점을 이룩해 놓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에도 敎育의 多樣性과 新職業敎育體制로의 敎育改革을 추구하고 있지만 實業敎育의 活性化와 內實化를 위해서는 實業敎育體制 전반에 걸친 改革이 職業敎育에 대한 국민의 意識변화와 함께 강력한 정책적 지원하에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실학자들의 實業敎育論으로부터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