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에 대한 연구

        안은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it-Style Stone Burial Chambers appeared during the Geumgwan Gaya 고고미술사학과 안 은 주 지 도 교 수 박 광 춘 수혈식석곽묘는 가야의 대표적인 매장시설로써 부장품과 함께 가야문화를 복원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초기 수혈식석곽묘를 통해 외래적 또는 내재적 요인으로 판단하였으나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의 과도기에 해당하는 석재충전식목곽묘를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양상으로 보고 외래적 또는 내재적인 요인으로 판단하였으며 수혈식석곽묘와 함께 출현기의 양상으로 파악하여 보고자 하였다. 수혈식석곽묘의 전개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김해와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적인 속성을 통해 형식분류를 하였다. 출토유물을 통해 검증한 결과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적 형태와 유물조합상을 통해 4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은 금관가야의 김해지역에서 대형분보다 중소형분의 석재충전식목곽묘에서 나타나 초기 수혈식석곽묘로의 전환양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배경에는 당시 교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금관가야의 사회양상과 계층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동일한 금관가야문화권인 김해와 부산지역은 출현기의 석재충전식목곽묘와 초기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양상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는 동일한 문화권 내에서의 새로운 묘제의 도입시기와 교역과 교류의 대상의 차이에 따른 축조집단의 차이로 생각된다. 수혈식석곽묘의 출현 배경에는 당시 해안가에 입지한 유리한 조건에 따른 집단의 성장과 외부와 교류에 따른 외래계 묘제구조의 영향에 따라 석재충전식목곽묘와 초기 수혈식석곽묘가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당시의 많은 목재소비에 따른 중요성과 목곽묘 전통과 관습을 유지하려는 상위 지배층의 권력에 의한 목재사용의 통제가 이루어져 중하위의 피지배계층들은 규제에 따른 해결책으로 묘제에 석재를 점차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목곽묘의 발전에 따라 충전부를 돌로 채우는 석재충전식목곽묘로 바뀌게 되었으며, 점차 석축의 형태로 변화하여 수혈식석곽묘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은 합천 옥전고분군과 고령 지산동고분군과 같은 타 가야지역과 비교하여도 가장 이른 시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은 가장 이른 출현시기와 전개양상, 출현배경에서 당시 사회배경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어 : 금관가야, 김해지역, 부산지역, 수혈식석곽묘, 석재충전식목곽묘, 축조구조, 출현, 교역, 계층

      • 尙州地域 增築石槨墓 硏究

        최경용 檀國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는 상주지역에서 나타난 증축석곽묘에 대한 글이다. 증축석곽묘란 기존에 조성된 석곽묘의 봉토를 절개한 후 석곽묘의 양장벽을 더 연장하여 증축한 석곽묘를 말한다. 이러한 석곽묘는 상주 성동리고분군에서 처음 확인되었고, 이후 주변이 개발됨에 따라 상주 병성동·헌신동 일원에서도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 증축석곽묘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였다. 이러한 이유는 증축석곽묘가 거의 횡구식석곽묘의 형태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횡구식석곽묘의 매장관습인 추가장을 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만 가볍게 여겼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증축석곽묘가 나타난 당시 상주사회의 복원을 위해 증축석곽묘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곽식묘가 상대적으로 우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고, 피장자들은 당시 상주 성동리 일원의 최고지배자의 주변인으로 추정하였다. 이후 증축석곽묘에서 출토된 유물을 순서배열법에 의해 배열하여 각 유구의 상대편년을 시도하였고, 경주지역의 절대연대 자료와 비교 검토하여 증축석곽묘가 상주지역에 조영되기 시작한 시기는 6세기 전반대로 비정하였다. 당시 신라중앙의 정치와 상주지역의 사회상을 살피기 위해 문헌기록을 찾아본 결과 지증마립간 때 순장금지와 상복법, 주군제를 전면적으로 실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상주지역은 신라의 주군제하에서 통치되고 있었으며, 정치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軍主가 임명되는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상주지역의 묘제는 석실분으로 급격히 대체되었고, 배장곽이나 배장옹관은 완전히 사라진다. 이렇게 상주지역의 증축석곽묘에서 나타난 현상 즉, 석곽묘에서 배장곽이나 배장옹관이 점차 사라지고, 이후 석실분으로 전격적인 교체와 함께 배장곽이나 배장옹관의 완전한 소멸은 지증마립간 때 순장금지령이 내려지면서 나타난 상주지역의 고고학적 증거자료로 판단된다. 다시 말하면 증축석곽묘는 신라의 주군제에 편입되어 제어되던 당시 상주사회 지배계층이 지증마립간 때 순장금지령이라는 정치행위에 반응한 묘제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고고학적 자료라고 판단되며, 이후 상주지역에서는 묘제가 석실분으로 전환되는데, 증축석곽묘는 배장곽이나 배장옹관이 사라지기 시작하고 석실분으로 전환되는 분기점이 된다는 것이다. This thesis is the article about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found in the region of Sangju.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means the stone coffin tomb extended by enlarging long well of stone coffin tomb after cutting out the mound of the existing stone coffin tomb. This stone coffin tomb was first identified in Seongdongri tombs in Sangju and afterwards it was found in the whole area of Byeongseongdong and Heonsindong according to the road building progressed in the neighborhood. But the study about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didn't exist at all. This is the reason why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had the shape of Horizontal entrance outer stone coffin tomb and it was considered as a phenomenon which appeared when the additional burial, burial custom of Horizontal entrance outer stone coffin tomb, was carried, so it was regarded as unimportant thing. The analysis about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was done to reform of Sangju community at the time when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appeared. The result of analysis is following that tomb where multiple burials within a mound was set in held a prominent position relatively and the persons buried were presumed to be people close to the supreme governor of the whole area of Seongdongri at that time. And also the sacrifice burial and sacrifice jar coffin almost disappeared since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was constructed. I tried to do relative chronological record about each tomb by arranging the remains excavated in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after that time according to the way of seriation and decided the age when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began to be constructed in the region of Sangju, the first half of sixth century, comparing it with the materials of absolute epoch data.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documentary records to find the political aspects of Sila and the social aspects of Sangju, I could find the truth that at the time of Chicheung Maripkan, the law of prohibition about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the law of mourner's garb and the district system were completely enforced and that the region of Sangju was under the rule of district system and Sangju with political and military importance was recognized as the important region where the chief of army could be pointed. In this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the burial system in Sangju was exchanged rapidly to the stone chamber tomb, and the sacrifice burial and sacrifice jar coffin disappeared absolutely . Like this phenomenon showed in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in the region of Sangju, that is to say, the disappearance of the sacrifice burial and sacrifice jar coffin in most extension stone coffin tombs step by step, the exchange from the stone coffin tombs to the stone chamber tombs after that time, and the perfect extinction of the sacrifice burial and sacrifice jar coffin, are judged to be archeological specimens appeared at the time of Chicheung Maripkan, the law of prohibition about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was forced. In other words,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is judged to be archeological specimens showing the changing of burial system positively reacting to the political action, the law of prohibition about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t the time of Chicheung Maripkan when the control class was incorporated into the district system and ruled. After that time the burial system in Sangju was exchanged to stone chamber tomb, so we can find the fact that the extension stone coffin tomb played the role of diverging point so the sacrifice burial and sacrifice jar coffin began to disappear from that point and it exchanged to the stone coffin tomb.

      • 5~6세기 신라 석곽옹관묘 연구

        양하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5~6세기대의 석곽옹관묘는 전기의 토광옹관묘에서 계기적으로 발전한 묘제의 한 예이다. 석곽옹관묘는 신라, 가야, 백제지역에서 출현하고 있으나, 신라식 토기가 출현하는 낙동강이동지역에서 특히 많이 조영되어 있어 이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낙동강동안지역에도 석곽옹관묘만 축조되는 지역과 토광옹관묘와 혼재한 지역이 나타났는데, 대체로 일찍이 신라영역에 편입된 대구·경산· 칠곡· 의성· 상주지역에서는 석곽옹관묘가 축조되었으며, 부산·김해· 울산 등 영남의 남동해안일원에서는 석곽옹관묘와 토광옹관묘가 혼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석곽옹관묘는 축조와 배치에 따라서 독립묘, 부곽, 배묘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묘형에 따라 각기 독자적인 장법이 이루어 졌다는 것이다. 즉 단독장, 배장, 순장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논고에서는 석곽옹관묘의 발생과 더불어 묘혀의 변화에 따른 배치관계를 살피고, 배치관계에 따라 묘형별로 성격규명을 하였다. 특히 전통적으로 이어져오는 토광옹관묘에서 계기적인 변화의 주안점은 무엇인가 하는 점과 독립묘식, 부곽식, 배묘식의 변화를 통시적인 관점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또한 장법과 관련하여 독립장, 순장, 배장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를 통한 하나의 묘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석곽옹관묘는 독립묘식, 배묘식으로 많이 축조되었으며, 일부는 부곽식으로도 축조되었다. 유구 배치상의 주·부곽구조에 부곽에 옹관이 안치되었다는 점은 순장(殉葬)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순장은 고대 우리나라에서 이어져 오던 매장습속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신라 지증왕 3년에 사회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순장을 금지하였다. 이와 같이 순장의 금지는 단순히 사회변화의 반영이라기보다는 전반적인 사회변화중 하나의 계기라 본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고분의 규모에서 변화가 있었고, 신라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직, 간적적인 규제의 결과로 보인다. 이 과정에 석곽옹관묘 일부는 부곽식으로 축조되었다. 부곽식 석곽옹관묘에서 순장은 일부는 시신을 매납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을 것이고, 하나는 관습적으로 이어져오는 행위를 단절할 수 없는 관계로 부곽식 구조에 옹관만 안치하는 형식적인 순장이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옹관장의 피장자는 대부분이 유아 또는 소아로 보았으나, 옹관의 규모를 볼 때 큰 항아리 등이 관으로 이용되었을 경우는 성인도 매장되었을 가능성은 있다. 배장된 피장자는 대체로 부모보다는 조부모의 묘에 묻혔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싶다. 석곽옹관묘의 피장자와 순장관계, 실제 매장과 형식적 매장 등은 관해서는 자료적인 부족으로 인하여 다음 과제로 두겠다. The Seokgwak Onggwan Myo(dolmen pottery tomb) in 5~6 century is an example of tomb system that is developed moment by moment from the Togwang Onggwan Myo(soil pottery tomb). Seokgwak Onggwan Myo appears in Silla, Gaya and Baekje region. It is especially constructed a lot at Idong area around Nakdong river where Silla style pottery appears and this is a cultural characteristic peculiar to this region. However there are regions where only Seokgwak Onggwan Myo is constructed and regions where it is mixed with Togwang Onggwan Myo. Generally Seokgwak Onggwan Myo was constructed in daegu, Gyeongsan, Chilgok, Euiseong and Sangju regions that were assigned earlier to Silla region, and Seokgwak Onggwan Myo was mixed with Togwang Onggwan Myo at the whole area of Southeastern coast of Yeongnam like Busan, Gimhae and Ulsan. Seokgwak Onggwan Myo is classified as independent tomb, Bugwak and Baemyo depending on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riginal burial method was carried out depending on the type of tomb. There are independent tomb, Baejang and Sunjang in order. This study considered the origination of Seokgwak Onggwan Myo,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omb's typ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tomb. Especially it tried to find what is the keynote of momentary change in Togwang Onggwan Myo handed down traditionally, and the change of independent tomb style, Bugwak style and Baemyo style in diachronic method. It also tried to define the conception of independent burial, Sunjang burial and Baejang burial clearly and to explain a tomb system through it. Seokgwak Onggwan Myo was constructed a lot in independent tomb style and Baemyo style, and some in Bugwak style. As for the main and side tomb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remains, as pottery is laid in Bugwak(the side tomb), it may well do to see it as Sunjang(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The Sunjang is one of customs of burial handed down from the ancient time. The wide-spreaded Sunjang in the society was prohibited at the 3rd year of King Silla Jijeung's reign. Such prohibition seems to be a general social change rather than a simple reflection of it. In this respect, there was a change on the level of the size of tomb that had effect on the whole society directly or indirectly, and it seemed to be resulted from direct or indirect regulations. In this process, some of Seokgwak Onggwan Myo was constructed in Bugwak style. As for Seokgwak Onggwan Myo in Bugwak style, part of Sunjang might be implemented in the way of burying dead body. Another way of Sunjang, however, can not be excluded. That is Sunjang in the way of laying only the pottery within the structure of Bugwak style, since the traditional behavior can not be broken off. Existing studies saw that the buried in pottery might mostly be infants or little child. However, as for the size of pottery, adult can be buried when a big pottery is used as coffin. In case of Baejang(rear burial), the buried might be buried in the tomb of grand parents rather than that of parents. Concerning Seokgwak Onggwan Myo, the relation between the buried and Sunjang, real burial and formal burial are still remained for the following researchers because of the lacking sources.

      • 高麗時代 石槨墓 硏究 :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황정욱 檀國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고려고분은 석실묘, 석곽묘, 토광묘, 석관묘로 나눌 수 있다. 석실묘의 경우는 왕족을 비롯한 상류층의 중심묘제로 사용되었고, 석곽묘와 토광묘는 서민층의 주묘제로 사용되었다. 석관묘는 당시에 유행하였던 장법인 화장에 사용된 묘제이다. 고려시대 고분은 풍수지리사상에 의하여 보통 구릉의 남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향은 대부분 능선방향과 일치시켜 머리를 구릉의 정상쪽으로 향하게 하고 있다. 본 고는 고려 석곽묘의 구조를 분석하여 시기적, 지역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무덤은 경기도 지역에서 3개 유적, 충청북도 지역에서 4개 유적, 충청남도 지역에서 3개 유적을 활용하였다. 석곽의 축조방법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편의상 장벽 4게 형식, 단벽 5개 형식으로 나누었다. 각 형식별 축조상 특징을 살펴보면 장벽 1식의 경우 다듬어진 비교적 큰 석재를 사용하여 거의 직벽으로 축조하였다는 점에서 석실묘의 형태를 따르려는 의도가 나타나 있다. 반면 2식의 경우 그 이전시대 석곽묘와 유사한 형태로 자연석에 가까운 작은 할석으로 축조하고 었다. 2-1·2식의 경우는 기본적인 축조방법은 2식과 같으나 양끝에(2-1식의 경우 한쪽 끝에) 대형 석재를 세운 형식이다. 단벽의 경우는 1매의 대형 석재로 입구를 막은 형식을 1식, 2-3매의 석재를 좌우로 세운 형식을 2식, 2-3매의 석재를 상하로 단을 두어 쌓은 형식을 3식, 장벽처럼 작은 할석을 쌓은 형식을 4식, 토광면을 그대로 단벽으로 사용한 경우를 5식으로 나누었다. 분석대상으로 삼은 고려 석곽묘를 위의 분류형식에 맞추어 보면, 경기도지역의 경우 일반적 형태는 비교적 면을 다듬은 할석조의 석재를 사용하여 장벽은 최하층의 높이를 맞추어 그 위로 허튼충 쌓기를 행하였고(1 식), 단벽은 1매의 판석형 할석을 사용하여 마감하거나 2매의 석재를 나란히 세워 쌓기하였다. 후기로 갈수록 장벽의 양끝 또는 한쪽 끝(주로 아래쪽)에 대형 석재를 두는 경향이 있으며, 단벽의 경우 장벽과 같이 작은 할석을 사용하여 허튼층 쌓기로 축조하는 예가 증가한다. 충청북도지역의 경우 일반적 형태는 경기도지역과 비슷하나 단벽의 축조에 있어 2-3매의 석재를 눕혀쌓기한 예가 많은 점이 차이점으로 지적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식은 1매의 대형석재로 마감한 형식에서 작은 할석으로 축조한 형식의 중간형식으로 이해된다. 충청남도의 경우는 앞의 두 지역과 다소간의 차이점이 발견되는데, 전체적으로 앞서 말한 1식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자연석에 가까운 할석을 사용하여 최하충의 높이 맞출 없이 석곽을 축조하는 형식(2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상의 분석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석곽묘의 축조 형식에서 경기도·충청북도 지역이 서로 유사한 형식으로 나타나고 이에 비해 충청남도 지역이 다소간 다른 형식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론이 나오는 이유에 대해 추론해 보면 경기도 지역의 경우 수도와 인접한 지역이라는 점에서 지배층의 묘제인 석실묘와 유사하게 축조하였을 가능성이 있고, 충청북도 지역의 경우 고려초기부터 중앙에 진출하여 고려의 성립 뿐만아니라 이후 왕권강화기에도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중앙 지배층의 묘제와 유사한 묘제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해 백제의 고도였던 충청남도의 경우는 석탑, 불상 등 미술품들에서도 백제적인 모습을 많이 보이고 있는데, 무덤의 축조에 있어서도 중앙의 새로운 문화적 기운에 신속하게 따르지 않고 기존의 형식을 어느 정도 고수하려는 경향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는 통일 후 완성도 높은 문화를 키워온 신라와 패망후에도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해온 백제를 평정하고 건국된 나라이다. 이러한 이유로 고려의 건국주체들에게는 기존의 신라문화, 백제문화와는 다른 문화가 필요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는 그 국호에서도 고구려의 후예임을 자처하고 있으며, 건국의 주도 세력이 해상세력으로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고려의 새로운 문화는 북방적 요소를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 무덤의 축조와 부장품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중부지방 고려시대 석곽묘에 대해 살펴보았다. 빈약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분석상 객관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새로운 자료가 보강되고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 남부지방이나 북한 지방의 고려고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그간 미개척부분으로 남아있던 고려고분에 대한 이해에 많은 진전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oryo's ancient tombs are classified by stone chamber tombs, stone lined tomb, pit tombs and stone cist. Stone chamber tombs were used for the general tomb system of the royal family and the upper classes, and the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were for the humble classes. Stone cist was for the ancestral rites of cremation which was popular at that period. Ancient tombs of Koryo were usually located at southern slope of hill owing to the theory of division based on topography, and their heads mostly faced the top of hill conforming the main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ridgeline. This study aimed at clarifying stone lined tombs' characteristics by times and regions, through analysis of stone lined tombs' structure. Three tombs for analysis were selected from Kyunggido province, four from Chungcheong bukdo province and the other three from Chungcheong namdo province. In analyz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one lined tombs, tombs were classified info four types of long wall and five short wall types for convenience. To look into the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type, the type 1 of the long wall contained the intention to follow the form of stone chamber tombs in the way that it was constructed nearly upright using trimmed building stone which was relatively large. Meanwhile, the type 2 was constructed similarly to the type of earlier times' stone lined tombs, using small split stones which were very close to natural stones. The type of 2-1·2 was built up basically by the same way as the type 2, only with the erection of large stone at both ends: one end of large stone treatment in the type of 2-1. The short walls were classified into the type 1 of the entrance closure with one piece of large stone, the type 2 of setting up two or three pieces in left and right, the type 3 of two or three pieces of stone in layers, the type 4 of piling up split stones just like the long wall and finally the type 5 of using the earthed sides as short walls. Stone lined tombs of Koryo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bove types: in Kyunggi do, split stones with sides trimmed were used and the long walls were built up with empty piling up on the adjustment of the base (the type Ⅰ). The short walls were layed with one piece of split board stone or standing two pieces side by side. The long wall's both ends or one end, usually the bottom, were getting more placed by large pieces of stone, when it was turning to the late period of Koryo. In short wall construction, the empty piling up using small split stones, like the long walls was on increase as well. In Chungcheong bukdo, two or three pieces of layer in short walls are witnessed a lot, which is the difference from Kyunggi do. This is understood as an intermediate style of a large piece finishing style and small split stones construction. In Chungcheong namdo, you will see the somewhat difference from the above two regions. The type 1 occupied the high rates, but the tomb lines were relatively often constructed using split stones which were close to natural stones without adjusting the base height: the type 2. The fact we can figure out from this analysis is Kyunggido and Chungcheong bukdo province have similar types while Chungcheong namdo province displays somewhat different type in the construction of stone lined tombs. To reason the cause of this result, in the case of Kyunggido province, since the region was an adjacent to the capital, stone lined tombs may have been constructed following the stone lined tombs of the ruling class. In Chungcheong bukdo province, people of this region entered the center from the early years of Koryo and made powerful influence on not only Koryo's national formation but later on consolidating period of royal authority. They might have used the ancestral rites similar to the central ruling clas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Chungcheong namdo province, the old capital of Baekje dynasty, the art objects such as stone pagoda, Buddhist statues hold a lot of the atmosphere of Baekje, also in the construction of tombs, they may not have kept up with the new culture of main power, instead, holding the old style to some extent. Koryo was the country established having subjugated Shilla which had been breeding the culture of high completion after the unification and Baekje which had been maintaining their own culture even after they had been perished. Because of this reason, it is considered that Koryo's main power would have felt the necessity of different culture from the existing ones of Shilla and Baekje. Koryo looked upon itself as the descendants of Kokuryo in its name and the leading stream of its establishment was maritime power hav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China. In this respect Koryo's new culture included a large number of northward elements and this is shown in the tomb construction and burial accessories. The stone lined tomb from the middle region in Koryo period has been examined so far, Although there was a limit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analysis due to the scanty material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will be more progress in understanding of Koryo's ancient tombs which have been the unexplored field if the materials are strengthened along with further execution of study and analysis on Koryo's ancient tombs of southern area and north of the peninsular.

      • 마한·백제권 석곽묘의 변천

        이진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고의 목적은 마한·백제권에서 확인되는 석곽묘의 형식분류를 통해 시·공간적 변천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마한·백제권 석곽묘는 공간적으로 경기·충청·전라지역에서 모두 확인되며 수량에 있어서도 많은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최근 자료에 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석곽묘의 형식학적인 연구는 대부분 각 속성의 나열에 그치고 있으며 형식 간 유기적인 관련성에 대한 설명은 적은 편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간적인 흐름을 반영하는 속성을 기준으로 형식을 설정하여 각 형식 간에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형식분류는 명목형속성인 모서리형태와 석축형태가 시간성을 반영한다고 보았기 때문에 두 속성을 분석하고 다시 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돌출석 구조는 마한·백제권에서만 확인되며, 초기석곽묘의 특징으로 보이기 때문에 돌출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석곽묘는 축조기술의 발달이라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전제하였으며 총 8개의 형식을 설정하였으며, 연속형속성을 이용하여 각 형식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형식분류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첫째로 유적 내에서 조영순서를 파악할 수 있는 화성 마하리·연기 송담리·서천 봉선리유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둘째로 석곽묘에서 출토된 유물의 변화상과 석곽묘 형식의 변화상이 일치하는지 살펴보았다. 검토결과 형식분류는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와 출토유물을 통한 세부편년을 바탕으로 석곽묘의 형식별 조영기간과 분포범위를 고려해 총 4기의 분기와 세 개의 권역을 설정하였다. 1기는 발생기로 4세기 중엽~후엽에 해당한다. Ⅰ·Ⅱ형식만 확인되며 주로 아산만권을 중심으로 석곽묘가 축조된다. 2기는 성행기로 5세기 전엽~중엽에 해당한다. 성행기는 가장 다양한 석곽형식이 공반하는 시기로 수량에 있어서도 가장 많은 석곽묘가 축조되며 아산만권과 금강유역권에서 크게 성행한다. 3기는 쇠퇴기로 5세기 후엽이다. 쇠퇴기는 성행기의 형식들 중 일부 형식만 축조되며 부장유물의 수량도 급격하게 줄어들며 금강유역권과 영산강유역권에 일부 축조된다. 4기는 소멸기로 6세기 이후부터 6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대부분의 석곽묘는 횡구(혈)식석실묘와 연접하여 조영되며 수량에 있어 급격하게 감소한다. 금강유역권의 일부와 영산강유역권 중류지역을 중심으로 축조된다. 마한·백제권 석곽묘는 화성지역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이며 금강유역권에서는 아산만권에서 도입돼 구조적인 발전을 이룬 석곽묘와 전북동부지역의 영향을 받은 석곽묘의 두 형식을 중심으로 성행한다. 이후 석곽묘는 하위계층화가 진행되면서 쇠퇴기의 석곽묘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한·백제권 석곽묘의 발생은 선진문화의 접촉이 유리한 지리적인 이점을 바탕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았으며 위세품을 통해 백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석곽묘 축조 당시, 백제는 국내외적인 혼란으로 인해 중요한 지역에 위치한 지방세력과의 유대강화 및 통제를 위해 위세품을 사여하는 시기로 어느 정도 자율성을 지닌 토착세력집단은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들의 묘제의 차별성을 위해 석곽묘를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석곽묘 조영 집단 간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 속에 다른 중소집단들과 영산강유역권에도 일부 석곽묘가 도입된다. 하지만 영산강유역권에 석곽묘의 도입이 늦은 이유는 영산강유역권은 옹관묘라는 독자적인 문화로 인해 석곽묘의 도입 필요성이 적었던 것으로 보았다.

      • 현풍지역 삼국시대 석곽묘 연구

        강승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의 목적은 현풍 지역 석곽묘의 구조 분석을 통한 전개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현풍 지역에서 조사가 이루어진 삼국시대 고분군 중 5개소에서 ‘잔존 양상’을 주요 기준으로 하여 수혈식 석곽묘 192개, 횡구식 석곽묘 28개 총 220개의 석곽묘를 선별하였다. 석곽묘의 구조 분석은 가장 먼저 ‘수혈식’과 ‘횡구식’으로 구분한 후, 석곽묘의 ‘규모’, ‘평면 형태’, ‘벽석의 축조 방식’, ‘바닥 시설의 유형’, ‘유물 부장 유형’을 기준으로 각 속성의 점유율 변화를 분석하여 시간성을 가지는 속성과 변화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석곽묘의 유형은 수혈식 석곽묘 8개, 횡구식 석곽묘 5개 총 13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석곽묘의 전개 과정은 ‘구조 변화’를 기준으로 ‘성립기’, ‘발전기’, ‘완성기’, ‘곽·실 전환기(쇠퇴기)’ 총 4단계를 설정할 수 있었다. 현재 현풍 지역의 수혈식 석곽묘는 5세기 2/4분기 무렵에는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횡구식 석곽묘는 6세기 1/4분기 무렵 출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횡구식 석곽묘는 수혈식 석곽묘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낙동강 중류 동안 지역의 석곽묘에서 ‘횡구부’의 출현 배경은 ‘효율성’의 시각에서 ‘성하리 1호분’의 축조 과정을 복원한 결과, 석곽묘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축조 과정이 어려워짐에 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현풍 지역 횡구식 석곽묘의 출현 배경은 등장 시기와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했을 때 인접한 창녕 지역 횡구식 석곽묘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즉, 낙동강 중류 동안 지역(특히 창녕)에서 대형 석곽묘를 효율적으로 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만들어진 횡구식 석곽묘는 ‘인접 집단 상호작용’에 의해 현풍 지역 상위 계층의 대형 고분을 효율적으로 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된다. 이후 횡구식 석곽은 석곽을 축조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자리 잡으며 중형 석곽묘에까지 확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의 자료 증가에 따라 본 연구의 내용이 변동될 수 있음을 언급해둔다. This thesis aims to trace the developments of stone-lined tombs in the Hyeonpung region via structural analysis. The study’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five ancient tomb clust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Hyeonpung region. Based on their ‘remaining conditions’, 220 stone-lined tombs have been selected, including 192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and 28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For structural analysis, stone-lined tombs were firstly divided into the ‘pit burial style’ and ‘horizontal entrance style’. Next, they were analyzed by their ‘size,’ ‘type of plane’, ‘building method for stone wall’, ‘type of floor facility’ and ‘burying type of grave good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ratio of each property so as to confirm the temporal properties as well as the directionality of change. As a result, 13 types of stone-lined tombs have been identified : eight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and five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Based on ‘the structural change’, the developments of stone-lined tombs were defined by four stage : ‘the initial stage’, ‘the development stage’, ‘the completion stage’ and ‘the decline stage’. Until now, it has been confirmed that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emerged in the Hyeonpung region around the second quarter of the fifth century. As for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it is estimated that they appeared in the first quarter of the sixth century.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were structurally based on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eongha-ri Tomb No.1" was restored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cy" so as to examine the background to which the "horizontal entrance style" had emerged in the region to the east of the midstream Nakdong-gang River. As a result,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e emergence of ‘horizontal entrance style’ might be caused by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process as stone-lined tombs became increasingly larger in size. Considering the time of appearance and structural features, it is highly likely that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Hyeonpung region were affected by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nearby Changnyeong region. In other words, the stone-lined tomb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was devised as an efficient method for constructing a large-size stone-lined tomb in the eastern part by the midstream of Nakdong-gang River(especially Changnyeong). And it was introduced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s of adjacent groups’ to efficiently construct a large-size ancient tomb for the upper class in the Hyeonpung region. Since then, it seems that the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were established as one of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stone-lined tombs, and it is spread to a mid-size stone-lined tomb.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might be changed according to any increase of data in the future.

      • 5~6세기 아라가야 중·소형 수혈식석곽묘 연구

        배진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0

        5~6세기 아라가야 중·소형 수혈식석곽묘 연구 고고미술사학과 배 진 혁 지 도 교 수 김 재 현 과거의 함안 아라가야는 대형고분군인 말이산고분군과 남문외고분군 일 대를 중심으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른 연구 경향도 대형 고분군인 말이산고분군과 남문외고분군에 치우쳐져 이외의 연구는 부족 한 상황이다. 따라서 아라가야의 중·소형 고분과 전반적인 사회계층연 구나 문화상 등을 연구하는데 제한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규모와 유물 의 조합양상을 통해 수혈식 석곽묘의 규모를 분류하여 중·소형에 해당 하는 수혈식석곽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고분이 형성되는 지 역에 따라 가야읍과 군북면, 칠원읍 세 지역으로 구분하고, 수장묘인 대 형과 초대형이 확인되는 가야읍 일대를 중심집단 그 외 군북과 칠원 지 역을 주변집단으로 대별 하였다. 이후 5~6세기 함안 아라가야 내 각 집 단에서 조성되는 수혈식석곽묘의 속성인 규모, 벽석 축조수법, 바닥시설, 바닥시설 석재, 부장품, 유물의 조합양상, 유물의 부장 배치 등 속성을 분류 및 분석을 통해 집단별 수혈식석곽묘의 특성의 차이를 알 수 있었 다. 그리고 가시권 분석을 통해 묘역을 조성하는 범위 및 배치 등 집단 간의 차별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주변집단의 수혈식석곽묘에서 확인되는 속성들은 중심집단과 공통적인 부분도 확인이 되지만, 각 집단마다 선호하는 양상들은 차이가 확인된다. 이는 통제력이 약해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개별 축조집단 이 선호하는 특성들을 존중해주는 패턴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함안 아라가야에서 확인되는 집단은 그들이 사용하는 고분군 과 관련하여 묘역을 조성하는 범위 및 배치 그리고 축조 방법은 각 지역 집단 간 사회적 관계에 대해 뚜렷한 경계를 가지나 아라가야라는 체제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 조선 전기 무덤의 조성방법과 변천과정 : 석곽묘에서 회곽묘로의 전환

        김남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99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이행은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사상을 바탕으로 전개되었다. 성리학은 새로운 통치이념의 전거가 되었고, 정치·사상의 전환을 가져왔다. 이와 함께 의례의 정비 작업 역시 국가적 차원에서 우선 시행되었고, 사대부의 의례에는『朱子家禮』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 『주자가례』에 제시된 많은 사항들이 전통과는 다르거나 바뀌었을 수도 있지만, 특히 상·장례에 있어서 ‘회곽묘’는 전혀 새로운 무덤 형태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조선시대 무덤에 대한 연구 경향은 문헌자료와 특정 묘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고, 석곽묘에서 회곽묘로의 전환이라는 문제는 고고학적 접근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조선 전기 무덤의 조성방법과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특히 석곽묘에서 회곽묘로 전환되어 가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고려시대 지배층의 무덤 형태를 알아보면 일부 화장묘를 제외하면 대부분 석실묘와 석곽묘가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묘제는 조선시대 전기까지 자연스럽게 지속되었다. 그 중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석곽묘 형태는 판석 석곽묘와 할석 석곽묘가 있다. 판석 석곽묘는 다듬어진 판석을 쌓아 만든 무덤이다. 가공과 운반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고, 그 피장자 역시 관료와 왕실 계층으로 확인되어 지배층의 무덤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무덤은 1473년 허훈의 무덤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할석 석곽묘는 청동기시대부터 확인되는 묘제로 판석을 이용한 무덤 보다는 보다 토착적인 성격이 강하다. 무덤이 조사된 유적과 그 주변 유적을 통해 볼 때 지속적인 조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출토유물을 통한 편년에서는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세기 말부터 회곽묘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 형태는 『국조오례의』에서 제시한 곽 밖으로 회와 숯을 두른 형태이다.『국조오례의』에서 곽을 설치하고, 회벽을 두른 것은 『주자가례』를 원문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당시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제도를 받아들인 결과로 볼 수 있다. 15세기 초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石室’의 금지와 ‘灰隔’의 장려가 있었지만 실제로 회곽묘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15세기 말부터이다. 이것은 성종 대에 이르러서야 『주자가례』를 개인적 실천의 문제로 인식하게 된 사상적 배경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전통적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지 않고, 새로운 양식의 무덤을 받아들인 결과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의 대상 폭을 조선시대 전기로 국한하였으나, 이후 회곽묘는 양란을 거치면서 숯층과 목곽이 사라진 형태로 바뀐다. 조선 후기의 회곽묘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조선시대 전 기간 동안 상장례 변화의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ransition from Goryeo to Joseon developed on the basis of a new thought which was called neo-Confucianism. Neo-Confucianism became a source of new ruling principle and brought changes in politics and thought. Above all, rearrangement of formalities was also implemented through the country and formalities of Elite Class(SADAEBU) positively accepted 『JUJAGARYE(朱子家禮)』. A lot of things indicated in 『JUJAGARYE』might be different or changed from tradition and especially in funerals, ‘Lime Filled Tombs(LFT)’ must have been recognized as quietly a new type of tomb. Research trend in tombs of Joseon Dynasty period has been made with focus on literature data and specific burial systems but an archaeological approach has not yet been conducted with respect to the change from 'Stnone Lined Tombs(SLT)' to LFT. This writing intends to analyze construction method and transition process of tombs in early Joseon Dynasty and then to especially find out process of change from SLT to LFT. First, if we look into tomb shapes of hierarch in Goryeo Dynasty, most of them are Stone Chamber Tombs and SLT except for some cremation tombs. Such burial systems continued until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Among SLT, shapes of Flag Stone Lined Tombs and Shattered Stone Lined Tombs can be acknowledged. FSLT means tomb made with accumulation of trimmed flagstones. It required much labor in processing and transportation, and it is deemed to be tombs of the ruling class because the buried were also confirmed as high official and royal family class. Such type of tomb was found lastly in Heo Hoon’s one in 1437 and no more has been found yet. SSLT is the burial system which has been found since the Bronze Age, and it has stronger native characters than a tomb using flagstones. According to the ruins of which tombs were investigated and the neighboring ruins, we can estimate there was continuous construction. Chronology based on excavated relics reveals that construction continued from the end of 15th century to early 16th century. LFT appeared from the end of 15th century. It has ashape with putting lime and charcoal around outer coffin as shown in『GUKJO-OHRYEEUI(國朝五禮儀)』. Installation of outer coffin and putting plastered wall around thereof in 『GUKJO-OHRYEEUI』can be understood that they maintained the then tradition and adopted a new system without referring to 『JUJAGARYE』as it is. SLT was prohibited and ‘Lime Divider(灰隔)’ was encouraged instead at the county level since the early 15th century but LFT actually appeared in earnest from the late 15th century. The reason is idelogical background effect that recognition of『JUJAGARYE』as an issue of personal practice in King Seong-jong period. And it is because they adopted a new type of tombs instead of completely excluding traditional elements. This thesis limited object period of study to the early Joseonn Dynasty but LFT changed its shape into the one without charcoal layers and outer coffin passing through two wars. It is expected that changes in funerals can be grasped more specifically during the whole period of Joseon Dynasty if a review is made on LFT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울산 중산동 신라고분 문화의 연구

        서용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울산 중산동 신라고분 문화의 연구 A Study on Silla Tomb Culture of Ulsan Jungsandong Area 고고미술사학과 서 용 하 지 도 교 수 박 광 춘 울산 중산동 유적은 울산지역에서 고분문화의 흐름을 살펴 볼 수 있는 고고학적 자료가 풍부한 유적으로 울산만을 통해 신라의 중심부로 들어가는 관문에 위치하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그 중요성은 일찍부터 강조되어 왔다. 특히 문헌사적 근거를 통해 울산지역은 이른시기에 경주에 복속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고고학적인 증거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명확한 해명이 어려웠다. 하지만 최근 경주 중심 고분의 발굴조사가 황성동 유적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짐으로써 자료의 축적이 증가되었고 이를 통해 두 지역간의 비교 연구가 비교적 용이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A.D. 2∼6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시기에 울산 중산동 유적의 고분문화를 살펴보고 경주분지와 태화강수계 이북의 울산지역의 묘제와 출토유물을 비교 검토하여 중산동 유적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중산동 유적의 묘제 변화 양상과 특징을 입지, 매장주체부의 평면형태, 장단폭비, 상면시설, 유물부장양상 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출토유물 가운데 형식변화가 뚜렷하고 수량이 풍부한 고배, 노형기대, 중형호, 대부장경호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여 변화단계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산동 유적은 Ⅰ기에 평면형태가 방형에 가까운 장방형의 형태에 외부에 기둥구멍 자리가 있는 형태의 목곽묘가 대부광구호와 노형기대 1식과 동반하여 확인되며 Ⅱ기에는 세장방형이면서 대형의 동혈 주부곽식의 목곽묘가 등장하며 무개고배, 노형기대 2식, 대부직구호, 대부광구호 등과 동반한다. Ⅲ기에는 무개고배 2식과 노형기대 3식과 함께 새로운 기형으로 장경호가 등장하게 되며 대형의 적석목곽묘가 새로운 묘제로 등장하게 된다. Ⅳ기에는 새로운 기종으로 유개고배가 등장하며, Ⅴ기에는 목곽묘가 소멸하고 수혈식석곽묘와 대부장경호가 새롭게 등장하게 된다. Ⅵ기에는 적석목곽묘가 쇠퇴하고 석실묘가 등장한다. 이를 통해 경주지역과 포항지역을 비교・분석하면 동일한 속성을 가진 토기 문화권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산동 묘제의 변화양상은 두지역과 다른 특징을 보이며 수혈식석곽묘 단계에서 공통양상을 보이고 있다. 경주・포항지역의 경우 적석목곽묘의 규모가 중소형이 다수를 차지하며 Ⅴ기에 이르러 수혈식석곽묘가 집중적으로 조영되기 시작하면서 적석목곽묘가 소멸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당시 중산동 고분군의 지리적 특성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는데 중산동고분군이 위치한 지역은 남쪽에서 경주로 들어가는 주요 교통로에 해당하며 환경적으로는 당시 경주지역에서 사용하는 철의 주요 생산지였던 달천 광산이 위치고 있어서 경주지역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Ⅲ기와 Ⅳ기에는 대형의 적석목곽묘가 축조되는데 Ⅱ기 까지는 다양한 종류의 무기와 농공구류, 토기 등이 부장되고 있지만 Ⅲ기에 접어들면서 위세품을 비롯한 각종 철기류의 부장 수량이 점점 축소되고 있는 점이 파악된다. 이러한 변화는 중산동 유적근처에 달천광산이 위치하여 재료의 활용이 용이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주지역의 세력강화로 인해 중산동 유적에 대한 통제가 있었지만 경주중심세력과 동일한 묘제를 공유하고 있음을 통해 경주와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근거로 판단된다. 주요어 : 울산 중산동 유적, 경주지역, 포항지역, 적석목곽묘, 수혈식석곽묘

      • 충북지역 고려고분 연구

        이수정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goal of the study is to observe the transitions of tomb style of Koryo Dynasty by analyzing their structure having found around the Chungbuk province that includes Cheongju and Chungju. For analytical purposes, after dividing the tomb remains into three according to the region, we will then set the period through seriation method after for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orcelain, earthenware, and metal artifact, which enable us to figure out chronology. Based on such analysis, we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 lined tomb and pit tomb belong to each sub-periods from the 1st and the 3rd. Lastly, the transitional process and characteristic of grave good for the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the 1st period start from the 10th century and stone lined tomb prevail. The grave goods include porcelain, like haemuri gup-wan (bowl with a halo shape), plate and flat-bottle. There are a few pit tombs found from this period. The 2nd period starts from the 11th century, during which the number of both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increases and the structural change occurs in niche and yogaeng (the structure formed by inserting artifacts or broken stone under the small hall made on the floor of pit tombs). Various types of porcelain like bowl, plate, and bottle accompanied with many metal artifacts are found in those tombs. Although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quality of the artifacts found from the two forms of tombs, pit tombs contain more grave goods. From the start of the 3rd period, beginning from the 13th century, the number of both types of the tombs rapidly decreases. Stone lined tombs continue to be simplified, to decline and ultimately disappear. On the other hand, pit tomb continues to exist and its tradition remains through Chosun dynasty to the present. The abundance and variety of the grave goods decrease compared to the former period, and more goods are found in pit tombs than in stone lined tombs. The origin of the stone lined tomb of Koryo Dynasty found in Chungbuk province is found in Yong-am Historic Preservation in Cheongju, where all the constructional modes of stone lined tombs of the dynasty has been confirmed. However, in case of the pit tomb, it is hard to follow the origin since no pit tomb of the previous period has been found, although it is known to be built from the prehistoric era. So f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ld tombs built in Chungbuk province during Koryo dynasty, we have been followed the transitional process in which the stone lined tomb prevailed in the 1st period was gradually replaced by pit tomb and ultimately disappears. We expect more study results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of graves of Koryo Dynasty from Chungbuk province. 본고의 목적은 청주와 충주를 중심으로 하는 충북지방에서 그동안 보고된 고려 시대 고분의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시기별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논문 전개를 위하여 충북지방의 고려시대 고분 출토 유적을 전체 3지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확인된 유적의 부장품 중 편년 파악 가능한 도자기와 토기 및 금속유물을 중심으로 형식 분류하여 순서배열법을 통하여 분기 설정을 하였다. 이를 기본으로 1기부터 3기까지 각 분기별 석곽묘와 토광묘가 갖는 구조적 특징을 찾아보고, 마지막으로 석곽묘와 토광묘의 변천과정과 부장품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서로 작성되었다. 그 결과 충북의 고려고분은 전 시기인 통일신라시대 고분과 비교하여 동일한 축조수법과 유사한 부장 양상을 찾아보니, 충북의 고려고분의 기원은 충북의 통일신라고분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특히 석곽묘에 한한 것으로 10세기 전반부터 11세기 전반까지 통일신라시대 전통을 이어받은 석곽묘 위주로 조성되며 해무리굽청자완을 중심으로 접시+편병+가랑비녀 등 간단한 공반 유물양상을 성립하는 시기이다. 11세기 후반 경부터 고분이 수적으로 급증하는 시기로 특히, 토광묘의 조성이 매우 활발해진다. 부장품은 해무리굽완 대신 발을 기본으로 반상기 조합양상을 전 시기에 이어 유지하고, 숟가락+가위+동경+동전+가랑비녀 등 다종다량의 금속 유물이 추가되어 전반적으로 후장(厚葬) 성격이 강하다. 이후 13세기 후반 경부터는 고분 조성이 줄어들면서 석곽묘보다 토광묘의 비중이 높아진다. 부장 유물은 자기(도기) 또는 청동제의 발+접시+병 조합양상은 기본적으로 유지되나, 금속류의 매납이 현격히 줄어든다. 이 후 조선시대로 넘어가며 석곽묘는 충주 단월동II-6호 석곽묘를 마지막으로 그 존재가 충북에서 사라지게 되며, 토광묘는 조선시대 회곽묘와 함께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묘제로 전개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상으로 충북에서 고려시대 고분 연구를 통하여 1기에 석곽묘를 중심으로 축조되었다가 점차 토광묘로 대체되며, 석곽묘가 쇠퇴해가는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추후 충북지역의 고려고분에 대하여 보다 당시 사람들의 행위와 귀결되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타지방과의 비교를 통한 충북의 독특한 고려시대 장법에 대한 특징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