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북지역 고려고분 연구

        이수정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6

        The goal of the study is to observe the transitions of tomb style of Koryo Dynasty by analyzing their structure having found around the Chungbuk province that includes Cheongju and Chungju. For analytical purposes, after dividing the tomb remains into three according to the region, we will then set the period through seriation method after for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orcelain, earthenware, and metal artifact, which enable us to figure out chronology. Based on such analysis, we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 lined tomb and pit tomb belong to each sub-periods from the 1st and the 3rd. Lastly, the transitional process and characteristic of grave good for the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the 1st period start from the 10th century and stone lined tomb prevail. The grave goods include porcelain, like haemuri gup-wan (bowl with a halo shape), plate and flat-bottle. There are a few pit tombs found from this period. The 2nd period starts from the 11th century, during which the number of both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increases and the structural change occurs in niche and yogaeng (the structure formed by inserting artifacts or broken stone under the small hall made on the floor of pit tombs). Various types of porcelain like bowl, plate, and bottle accompanied with many metal artifacts are found in those tombs. Although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quality of the artifacts found from the two forms of tombs, pit tombs contain more grave goods. From the start of the 3rd period, beginning from the 13th century, the number of both types of the tombs rapidly decreases. Stone lined tombs continue to be simplified, to decline and ultimately disappear. On the other hand, pit tomb continues to exist and its tradition remains through Chosun dynasty to the present. The abundance and variety of the grave goods decrease compared to the former period, and more goods are found in pit tombs than in stone lined tombs. The origin of the stone lined tomb of Koryo Dynasty found in Chungbuk province is found in Yong-am Historic Preservation in Cheongju, where all the constructional modes of stone lined tombs of the dynasty has been confirmed. However, in case of the pit tomb, it is hard to follow the origin since no pit tomb of the previous period has been found, although it is known to be built from the prehistoric era. So f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ld tombs built in Chungbuk province during Koryo dynasty, we have been followed the transitional process in which the stone lined tomb prevailed in the 1st period was gradually replaced by pit tomb and ultimately disappears. We expect more study results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of graves of Koryo Dynasty from Chungbuk province. 본고의 목적은 청주와 충주를 중심으로 하는 충북지방에서 그동안 보고된 고려 시대 고분의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시기별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논문 전개를 위하여 충북지방의 고려시대 고분 출토 유적을 전체 3지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확인된 유적의 부장품 중 편년 파악 가능한 도자기와 토기 및 금속유물을 중심으로 형식 분류하여 순서배열법을 통하여 분기 설정을 하였다. 이를 기본으로 1기부터 3기까지 각 분기별 석곽묘와 토광묘가 갖는 구조적 특징을 찾아보고, 마지막으로 석곽묘와 토광묘의 변천과정과 부장품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서로 작성되었다. 그 결과 충북의 고려고분은 전 시기인 통일신라시대 고분과 비교하여 동일한 축조수법과 유사한 부장 양상을 찾아보니, 충북의 고려고분의 기원은 충북의 통일신라고분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특히 석곽묘에 한한 것으로 10세기 전반부터 11세기 전반까지 통일신라시대 전통을 이어받은 석곽묘 위주로 조성되며 해무리굽청자완을 중심으로 접시+편병+가랑비녀 등 간단한 공반 유물양상을 성립하는 시기이다. 11세기 후반 경부터 고분이 수적으로 급증하는 시기로 특히, 토광묘의 조성이 매우 활발해진다. 부장품은 해무리굽완 대신 발을 기본으로 반상기 조합양상을 전 시기에 이어 유지하고, 숟가락+가위+동경+동전+가랑비녀 등 다종다량의 금속 유물이 추가되어 전반적으로 후장(厚葬) 성격이 강하다. 이후 13세기 후반 경부터는 고분 조성이 줄어들면서 석곽묘보다 토광묘의 비중이 높아진다. 부장 유물은 자기(도기) 또는 청동제의 발+접시+병 조합양상은 기본적으로 유지되나, 금속류의 매납이 현격히 줄어든다. 이 후 조선시대로 넘어가며 석곽묘는 충주 단월동II-6호 석곽묘를 마지막으로 그 존재가 충북에서 사라지게 되며, 토광묘는 조선시대 회곽묘와 함께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묘제로 전개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상으로 충북에서 고려시대 고분 연구를 통하여 1기에 석곽묘를 중심으로 축조되었다가 점차 토광묘로 대체되며, 석곽묘가 쇠퇴해가는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추후 충북지역의 고려고분에 대하여 보다 당시 사람들의 행위와 귀결되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타지방과의 비교를 통한 충북의 독특한 고려시대 장법에 대한 특징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기를 기대해본다.

      • 삼한시대 울산지역의 목관묘 축조집단 연구

        성민호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2

        국 문 요 약 삼한시대 울산지역의 목관묘 축조집단 연구 성민호 삼한시대는 선사시대부터 농경을 기반으로 성장한 지역적 정치세력들이 상호 통합과정을 거쳐 고대국가로 발전해 나가는 과도기적인 시기이다. 목관묘는 이러한 삼한시대 전기의 대표적인 묘제로 울산지역에서는 기원전 1C 전엽 서부권인 언양 일대에 교동리·신화리 유적의 등장을 시작으로 삼한시대 후기의 묘제인 목곽묘가 등장하는 시점 이전까지 약 200여 년간 울산이라는 공간에서 주 묘제로 채용되었다. 울산지역에서 확인되는 목관묘의 개체 수와 부장량은 영남지역의 다른 목관묘 유적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그러므로 부장품의 형식분류를 통한 울산지역 목관묘의 자체적인 편년 연구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기존 선학들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해서 울산지역 목관묘의 출현배경과 전개양상 그리고 축조집단의 성격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울산지역에서는 목관묘라는 동일 묘제를 채용한 지역적 지배집단들이 모두 동일 시기에 목관묘를 조영한 것이 아니라 소권역마다 어느 정도 시차를 두고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목관묘에 매납되는 부장품의 양상으로 볼 때, 시기마다 당시 사회의 중심 집단과 주변 집단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울산지역에서 이러한 중심과 주변의 차이는 아마도 달천 철장의 존재와 관련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고대사회에서의 철은 매우 중요한 자연 자원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달천 철장을 장악한 집단은 그렇지 못한 집단보다 중심 집단으로 성장하기 쉬웠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봤을 때, Ⅱ-1기에 출현하는 장현동 집단과 창평동 집단의 지배세력이 당시 울산지역에서 가장 우월했던 목관묘 축조집단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상대적으로 달천 철장과 가까운 거리에 있었던 두 집단은 이러한 지리적 유리함으로 인해 집단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었던 반면 Ⅱ-2기에 출현하는 목관묘 축조집단들은 목관묘 중심사회의 주변 집단으로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두 유적이 위치한 울산 북부 일대는 당시 울산지역 목관묘 사회의 중심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당시 울산지역에서 직접 철을 생산했다는 자료가 아직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봐서 이들 집단이 채굴한 철 원료는 울산만-경주로 이어지는 교통로(구조곡)를 따라 경주로 유입되었을 것이며, 이는 진한의 중심세력이었던 사로국이 신라라는 고대국가로 성장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전략 자원으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심 집단 중에서도 삼한 전기사회의 발전양상에 맞춰 더욱 발전을 거듭하여 경주지역의 사로국처럼 중심소국으로 성장하는 집단이 있지만, 성장의 둔화 또는 소멸의 길을 걷는 집단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전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울산지역에서는 삼한시대 國으로 비정할 만한 강력한 정치세력이 목관묘 축조단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는 경주를 중심으로 하는 사로국의 성장에 일찍 흡수되어 고대국가로 성장하지는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주요어 : 삼한시대, 목관묘, 달천 철장, 신라, 사로국, 철 생산, 부장품, 국, 매장의례, 위계구조, 위세품

      • 후지노끼(藤/木)古墳 副葬品의 植物紋樣 硏究

        한철우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76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ltural relationship it's lineage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Japanese Asuka period on the basis of the buried objects in an old tomb. The first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to understand-the general outline and the styles and forms of Palmette and Lotus in the Fujinoki old tomb which was excavated by the Gashiwara Archeological Study Center in Japan. The second un is to gather examples ana classify them into various styles which were mainly used by the people of Korea, China, India and western Asia. The third aim i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gured plant forms. These kinds of forms were reflected very much on the historical change at that time. Judging from all the considerations the results of this analytical study are as follows : We can find out lots of Palmette and Lotus examples with the help of historical relics at the Age of Three States, Shilla, Paekche, Koguryo in Korea and at the Age of South-North Dynasty which was located in the Yongmoon, Donwhang, Woongang area in China. All these excavated examples were chiefly discovered in the Buddhistic oraments such as the rocky cavern temples, mural paintings, pieces of tiles in the ruined temples, engraved Buddhistic bells, and the like. Although we can see the styles and the forms of Fujinoki harness oramen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figured plant forms which were used in other areas but we can realize that they were not native born but originated from the Orient because of the Alexander the Great's Eastern Conquest. Therefore, the harmonious cultural pattern of the East and West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the figured plant forms including Palmette and Lotus.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say that the Asuka culture of Japan, which was much influenced by the Three States Culture of the ancient Korea, is Buddhistic.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the one buried in Fujinoki old tomb was a Korean naturalized as a Japanese carrying articles like "harness made of gold and silver" or the one deeply concerned with Korean from whom Korean-made things such as harness were handed down. Anyway, it is estimated that such relics as harness made of gold and silver found in Fujinoki old tomb were made in Korea or influnced by Korea, and its co-producers and the buried one presumably believed in Buddhism.

      • 高句麗地域 出土 外來遺物 硏究

        박지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3

        【국문초록】 외래유물은 지역과 지역 혹은 나라와 나라 간의 교류를 직접적으로 볼 수 있는 물질자료이다. 고구려에서는 이러한 외래유물이 적지 않게 나타나는데 현재까지 종합적인 연구가 없었다. 본문에서는 외래유물로 볼 수 있는 청자, 옥이배, 철경, 초두, 대금구, 차마구와 이식 등의 현황을 종합하여 정리하고 각 외래유물의 생산지에서의 연구, 출토현황, 특징, 사용계층과 용도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각 외래유물이 고구려에 유입된 시기와 그 배경에 대해 문헌기록과 함께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외래유물이 고구려에서 누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고구려에서 출토되는 자기류에는 반구호, 관, 완·발·접시, 사자형기와 유백자 등이 있으며 중국에서 3~6세기 중반인 서진시기에서 남북조시기까지 분포한다. 옥석기류는 옥제 이배뿐으로 고구려에 유입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대략 3~5세기 사이에 사용되었다. 금속기류는 철경, 초두, 대금구, 차마구, 이식, 화폐가 있으며 기원전에서 4세기후반까지 나타난다. 먼저 부여와 관련하여 이식과 차마구의 일종인 동차세는 연대가 기원전으로 고구려의 건국집단이 길림에서 환인으로 이동함과 연관이 있고 모아산 유적 출토품과 유사한 인면차할은 4세기 이전에 고구려로 유입되었을 것이다. 요녕의 삼연계 이식과 대금구 및 서진 낙양 및 강소지역의 대금구는 3~4세기 사이에, 초두는 4세기 중반에 동진의 남경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철경은 고구려에서 늦어도 4세기 후반에 사용되었다. 고구려인은 대부분의 수입품을 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수입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화폐는 출토양상으로 보아 전세품이며 부장품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고구려 출토 외래유물의 생산지에서의 사용계층과 외래유물이 출토된 고구려고분 등급 및 공반된 명문기와 등으로 유추해볼 때 외래유물은 고구려에서도 상류층이 사용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집안 통구고분군의 외래유물 출토양상을 살펴보면 우산하고분군이 고구려 초기부터 후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가장 다양한 외래유물이 부장되어 중심고분군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新羅 土偶 硏究 : 現況과 變遷을 中心으로

        손명순 慶州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340

        This study is focused on Silla clay figurines excavated from the stone lined tombs in and in the vicinity of Hwangnam-dong, Gyeongju, Korea. A total of 451 clay figurines discovered from 40 site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types and their changes over time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time period and site function. Silla clay figurines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before and after the 7th century. The clay figurines from the middle of the 5th to the 6th centuries were about 5cm tall, and attached to the earthenware in their form. In the case of human figures,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were exaggerated or omitted. In the mean time, singing, dancing and other entertaining gestures of human activities were noticeable. Animal figures were made up of various species such as mammals, fishes, birds and crustaceans. No figurine was discovered from the high-mounded royal tombs of Silla. The majority of them were collected mainly from the small or medium sized stone-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and the stone lined tombs. Those figurines of the earlier times found to date seem the representation of human life, containing the expressions of human emotions of joy, anger, sorrow and happiness. Especially, the expression of the scene of funeral ceremony can be interpreted as a desire to comfort the soul of the dead, and to pray for reincarnation or for an eternal life in the afterlife. Since the 7th century, many changes seem to have appeared in Silla clay figurines in term of the types, the production techniques, the purpose of use and so on. The independent type of human figurines taller than 10cm emphasizing specific parts of the body disappeared, but they changed into the human form which showed courteous manners with the hands clasped in the front. The animal figurines of fish and crustacean disappeared, but the horseback riding figurines and horse-shaped figurines increased in number.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lso changed into the hollow form in order to prevent figurines from cracking during the firing process. It is noted that the Old Silla clay figurines have strong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accessories, which were for shamanistic purpose or primitive prayer for the eternal life of the dead. However, from the 7th century onwards, they have changed and seem to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First, burial mound figures in this time period appear to have functioned substitutes for the sacrificial burials to serve the dead. Second, the horseback riding figurines and horse-shaped figurines found from the dwelling sites are assumed to be used for rituals ceremonies. Third, the early form of the attached to the earthenware type is not completely discontinued, but they have been produced for the symbolic expression of Buddhism. Lastly, due to introduction and prevalence of Buddhism, the clay figurines seem to be transformed and developed into burial urns. The changes in the clay figurines since the 7th century are interpreted a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tombs in scale and the simplification of funeral ceremony according to Buddhist beliefs.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the horizontal stone chamber, the prevalence of crem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burial urns seem to be a direct influence of Buddhism. In addition, the changes in Silla clay figurines are also found in the course of the social ch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earthenware production technique, the prohibition of sacrificial burials in 502 during King Jijeung reign, and the promulgation of laws by King Beopheung in 520 when the society began to be governed by the ordinances not by the customary laws. 본 논문은 경주 황남동 일대 소형 석곽묘 등에서 다량 출토되어 문화적 특성을 드러낸 신라 토우에 관한 연구이다. 경주지역의 40개 유적에서 출토된 451점의 토우를 정리하여 시대와 유적성격에 따른 토우의 종류와 변화상에 대해서 검토하였다.신라 토우는 시기적으로 7세기를 기준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구분된다. 먼저 5세기 중후반~6세기 대에 제작된 토우는 5㎝ 내외의 크기로서 토기에 부착된 형태이다. 인물 토우의 경우 신체의 특정부위를 과장하고 나머지는 생략하였으며, 가무, 잡기 등의 표현이 두드러진다. 동물 토우는 포유류, 어류, 조류, 갑각류 등 다양한 종류가 제작되었다. 왕릉급 대형무덤의 매장주체부에서는 출토 예가 거의 없고 주로 중․소형의 적석목곽분과 석곽묘에서 출토되었다. 현재까지 출토된 이른 시기 토우는 인간의 일대기를 표현한 것으로, 일상생활중의 희로애락이 담겨있다. 특히, 장례의식 장면을 표현한 것은 사자의 혼을 위로하고 부활을 기원하며, 저승에서도 영생을 기원하는 소망의 표현으로 해석하였다. 7세기 이후 신라 토우의 종류와 형식, 제작기법, 용도 등에 여러 가지 변화가 생긴 것으로 파악하였다. 크기가 10㎝ 이상의 독립형으로, 인물 토우의 경우 신체의 특정부위를 강조하였던 형식은 사라지고 양손을 모아서 예를 표하는 모습 등으로 변화하였다. 동물 토우의 경우 어류, 갑각류 등은 소멸되었으나 기마인물형 토우와 마형 토우의 양은 증가되었다. 그리고 제작기법에서도 소성 시 터짐 방지를 위해 가운데를 비운 중공(中空) 형태로 변화되었다. 아울러 고신라 토우는 신에 대한 원시적인 기원이나 주술적인 목적을 내포한 무덤부장품으로 매납되었으나 7세기 이후에는 다양한 용도로 변모하였다는 점이 부각된다. 첫째, 순장대용품으로 피장자에 대한 시봉자의 개념인 토용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생활유적에서 출토된 기마인물형 토우와 마형 토우는 제의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토기에 부착되었던 초기형식이 완전히 단절되지 않고 불교의 상징적 표현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불교의 도입과 성행으로 골호로 변화 발전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7세기 이후 토우의 이러한 변화요인은 불교 신봉에 따른 무덤의 축소와 장례문화의 간소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횡혈식석실분의 축조와 화장제도의 보편화에 따른 골호의 등장이 불교의 직접적인 영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과 지증왕의 순장금지(502년), 법흥왕의 율령반포(520) 등 관습법에 따른 사회가 아닌 법령의 규제를 받는 사회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토우도 변화된것으로 보았다.

      • 영남지역 출토 동곳의 시대별 양상에 대한 연구

        송은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24

        동곳에 대한 연구들은 기본적인 형태의 변화와 특정 시대에 한정된 연구가 진행되었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오랜기간 사용되고 있지만, 동곳의 특성과 시대별 변화 양상을 파악하려는 연구는 아직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곳의 형식과 사용자 분석을 바탕으로 시대별 양상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6세기부터 등장하는 동곳은 10세기, 12세기, 14세기를 기점으로 변화한다. 먼저, 10세기 이전의 동곳은 단일 형식만 확인되며, 앞선 시기에는 석실묘에 부장되다가 이후 우물 매납으로 변화한다. 석곽묘에 부장된 동곳은 경주와 상주에서 일부 확인되며, 금동제와 은제 동곳은 경주에서만 출토된다. 당시 동곳이 지방 재지 세력에게 분여한 경주계 유물로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동곳이 과대와 동반되어 당시 동곳의 사용자가 남성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동곳은 경주 중심부의 우물에 집중되고 있어 10세기 이전의 동곳은 위세품적이고 의례적인 성격을 가진다. 10세기 고려가 건국되면서 골품제의 붕괴와 정치체의 변화는 고려 전기 사회상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정 지역에서 출토되던 동곳은 영남지역 전체로 퍼져나갔으며, 그 형식과 수가 급변하게 된다. 또한 분묘에 부장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실생활품으로 성격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동반유물의 변화와 여성 인골과 함께 출토되는 양상은 동곳의 사용자가 여성으로 변화함을 보여준다. 11세기 중반에 이르러 중국과의 교류와 거란계 장인들의 고려 귀화는 고려 내 금속수공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따라 동곳 역시 12세기부터 다양한 형식이 출현하고, 주 묘제가 변천하게 된다. 14세기 말, 고려 소의 해체는 금속수공업의 쇠퇴를 불러일으켰으며, 동곳도 조선시대까지 수량이 현저히 적게 나타나며 기본적인 형식만 존속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