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麗末鮮初 奴婢政策 硏究

        박진훈 延世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교체기 사회변동과 이에 따른 조선 초기 노비 정책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국가가 수행한 노비 정책에 대해 이해를 분명히 하고, 나아가 신분제와 신분정책 및 조선국가의 역사적 성격을 해명하려고 하였다.12세기 이후 收租權的 토지지배가 私的으로 世傳되면서 分權化된 農莊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었다. 농장의 확대는 良人農民의 私民化■奴婢化와 公奴婢의 이탈을 촉진하였다. 이러한 노비 지배와 확대는 權力에 기반하여 이루어졌다. 노비 지배를 둘러싸고 권력 집단 상호간의 유착은 더욱 증대되었으며, 권력에 기생한 노비들의 관료진출과 신분상승이 이루어짐으로서 신분제가 문란해 졌다.한편 농업생산력과 노동생산성이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地主制가 진전됨에 따라, 노비노동력의 가치는 더욱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노비 소유를 둘러싼 지배계층 내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奴主가 노비에 대한 상속 권리를 자유스럽게 행사할 수 있던 당시의 관행도 이러한 갈등을 더욱 증폭시켰다. 지방사회에서도 지방 세력들이 郡縣 官奴婢 장악을 둘러싸고 분쟁을 빚었으며, 郡縣의 관노비 보유는 심각한 불균 상태였다.이와 같은 문제들은 정상적인 행정운영을 어렵게 하였다. 노비의 확대는 국역부담자를 감소시킴으로서 고려국가의 집권체제를 약화시키고 내적 갈등을 심화시켰다. 또한 외적의 침입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를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집권체제의 붕괴는 농민층과 새로이 성장하고 있던 사대부계층에게 가장 큰 피해를 강요하였으며, 이들의 개혁 요구는 절대적인 것이 되었다.朱子學을 기본이념으로 새로운 정치주도세력으로 성장한 사대부들은 集權的 국가체제를 재편성하려 하였다. 정치적으로 朝鮮王朝의 성립으로 귀결된 체제 개혁 작업은, 또한 地主로서의 士大夫의 위치를 분명히 하고 이를 위한 農本主義 국가체제를 수립하는 것이었다.따라서 조선국가는 지배층의 노비노동력 확보를 용인하고 보호해주는 여러 정책을 수립■집행해 나갔다. 그러나 노비 소유에 法的 제한이 없었으므로 과도하게 노비가 集積될 위험은 상존하였다. 노비 集積은 빈곤한 농민층의 노비화와 노비 소유를 둘러싼 갈등을 촉발할 수도 있었으며, 分權的 질서를 초래하여 왕조의 안정과 국가의 集權性을 해칠 우려가 있었다.조선정부는 노비 相續에 대한 法的 장치를 마련함으로서 노비 소유를 합리적으로 억제■분산시키려고 하였다. 태조대(1392~1398)에는 형제간 均分相續을 법제화하고, 父系의 家 중심으로 노비 상속을 제한하였다. 반면 태종대(1401~1418)에는 奴主들의 노비 소유에 대한 이해관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보장하면서, 동시에 상속범위를 일정 범위의 친족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위계질서에 따른 노비 상속의 차등성을 보다 강화하였다. 태종대에 마련된 노비 상속의 法的 조항들은 ■經國大典■으로 계승되었다.조선 초기 노비 소유를 둘러싼 相爭은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에 조선정부는 노비 中分法을 시행하였다. 국가 행정력이 소송 당사자에게 무조건 노비를 中分함으로서, 소송을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노비 소유의 집중을 일부나마 완화하고 그 불균등성을 극복하려는 것이었다.이와 더불어 개인이 소유하는 노비를 일정하게 제한하자는 노비 定限法이 논의되었다. 노비 정한법은 身分的■봉건적 위계질서에 따라 철저하게 노비 소유를 제한하는 것이었다. 定限法은 노비제의 근본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것은 아니었다. 과도한 노비 소유를 방지함으로서 봉건적 신분질서를 강화하려는 것이었다. 하지만 노비 定限法에 대한 반대 여론으로 定限法은 시행되지 못했다.조선정부는 공노비 관리체계도 재편하였다. 농업 위주 경제구조에서 국가 행정 운영에 필수적인 노동력은 公奴婢制를 통해 확보하고 마련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조선정부는 탈루된 공노비를 적극적으로 推刷하는 한편, 일원적 공노비 관리체계를 수립하였다. 또한 태조에서 세종대(1419~1450)에 걸쳐 사원노비 및 승려 개인 소유 노비를 적극 屬公함으로서 공노비를 확충해 나갔다.더불어 지방 군현의 官奴婢制도 정비하였다. 그 방향은 관노비 보유의 불균형을 시정하고, 군현 邑格에 따라 관노비 수를 재조정하는 것이었다. 행정수효에 따른 합리적인 조정이었지만, 동시에 중앙 정부 차원에서 지방 군현을 등급화하고 여기에 맞추어 관노비 수를 고정시키는 조치였다. 관노비제의 정비는 지방세력의 성쇠와 재편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조선왕조의 공노비 노동력 동원 체계는 공노비 役 부담의 상이한 가치, 역 부담체계에 따른 고비용, 저효율을 감내한 것이었다. 따라서 공노비들의 避役 및 조폐, 경제적 가치를 반영한 代立 등이 공노비제의 정비와 더불어 나타났다. 공노비제는 구조적 모순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회변동에 따라 해체될 수밖에 없었다.조선정부는 身分 辨正 정책도 적극 추진하였다. 고려 말 개혁파 사대부들에 의해 제기된 방안은 토지와 더불어 신분을 변정하되, 경제적 능력이 있는 계층들을 국역부담자로 적극 확보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는 시행되지 않았고, 조선 건국 후 토지 문제의 해결과 별도로 신분의 변정이 이루어졌다.조선정부의 방안은 실제로 役使하고 있으며, 그리고 최소 2대 이상 노비로 지배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소유 노비로 인정하는 것이었다. 현실적 지배관계에 따라 신분을 변정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정책은 당사자 모두의 불만을 가져왔다. 결국 良■賤이 불명확한 자는 身良役賤으로 하여 官司의 使令으로 定屬시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身良役賤者는 태종대에 들어와 司宰監水軍에 소속되었다가 최종적으로 補充軍에 소속되었다. 이들은 신분은 양인이지만 賤한 역을 담당하는 계층이었다. 號牌法 규정에 의하면, 이들은 노비와 함께 雜色人으로 규정되었다. 또한 도망자의 경우 노비로 還屬되었다. 그들이 담당하고 있던 役은 苦役으로서 공노비들이 담당하던 役과 다름없는 천한 것이었다. 法制的 측면과 役의 내용 면에서 그들은 일반 良人과 구별되는 존재였다. 결국 身良役賤者는 자손 대대로 補充隊에 입역하도록 고정되었다.身良役賤 제도는 고려 후기 이래 신분이 불명확해진 자들을 身良役賤이란 특수한 신분으로 고정시켜 국역을 부담시키는 것이었다. 이는 농민층을 양인과 노비 신분으로 구분하여 편재한 데서 오는 필연적인 결과였다.이와 같이 조선 초기 노비정책은 국가가 일원적이고 통일적인 체계에 의해 전체 노비를 관리하는 것이었다. 동시에 군현 등급, 신분, 위계질서 등의 서열화된 체계에 따라 차등적인 노비 소유를 규정하였다. 또한 身良役賤制에서 보듯이 신분질서를 철저히 유지시키는 것이었다. 즉 노비정책은 조선국가의 봉건적 성격과 신분적 성격, 집권적 성격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었다. This dissertation explored the social changes during the dynasty-shifting period from Koryo(高麗) to Chosun(朝鮮) and discussed the Nobi(奴婢) policies in early Chosu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mainly in clear understanding of the Chosun dynasty''s Nobi policies, as well as in defining a social class structure, class policies,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Chosun dynasty.The practice of land control by Sujogwon(收租權) had become privately inherited since the 12th Century, and as a result, widely created decentralized Nongjangs(農莊). The expansion of Nongjangs accelerated the downfall of Yangin(良人) farmers to Nobi class and the increased missing of Kongnobi(公奴婢). The adhesion among the different power groups was increased and the class order fell into utter confusion as the Nobi attached to the power advanced into bureaucracy and moved up to higher classes.The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labor productivity and the advancement of Chiju system(地主制), in addition, even more aggrandized the value of Nobi labor and amplified conflicts inside the ruling class. In rural areas, too, local elites disputed to secure the command of Kunhyun(郡縣) Kwannobi(官奴婢), the holding of which was in ill-balanced situation in different Kunhyuns.Such problems crippled the administration and made a regular management of government impossible. The increasement of Nobi decreased the number of people eligible for national service; and that, in turn, weakened the authority of Koryo dynasty and augmented social conflicts in the nation. It also made an efficient move against foreign invaders difficult. The collapse of the governing power compelled the greatest sacrifice among the farmers and the newly growing Sadaebu(士大夫) class, who responded to this crisis by demanding reform.The Sadaebu class, the new political leader group, tried to reorganize the government system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Neo-Confucianism(朱子學). Their reform movement was resul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hosun dynasty, and in the creation of a physiocratic nation where the Sadaebu would establish their status as landlords. Therefore, the Chosun dynasty enacted and enforced the policies that allowed and protected the ruling class'' possession of Nobi labor.However, to prevent an excessive accumulation of Nobi which might have caused conflict and dismantled the dynasty''s stability, the Chosun government tried to control and disperse Nobi possessions. During the King Taejo(太祖)''s reign (1392-1398), the laws were created for equalized inheritance among male siblings. On the contrary, King Taejong(太宗, 1401-1418) ensured more expansive possession rights of the owners, while limited the extent of inheritance to a certain range of an agnate. Also, the differences of Nobi inheritance right were enhanced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The legislative decisions made in the Taejong''s era were succeeded by Kyongkugdaejeon(經國大典).As the conflicts around Nobi possession were intensified in early Chosun, the government carried out Chungbunbup(中分法). This was to divide Nobi in question equally among the disputers, and therefore, enabled a fast termination of litigation. It also dispersed Nobi laborers and checked unequal possessions to a degree. Although never enacted, Cheonghanbup(定限法) was discussed in an attempt to limit Nobi possession by class.Moreover, the Kongnobi management system was reestablished in early Chosun. The Chosun dynasty persistently searched missing Nobis, had them returned, and installed a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for Kongnobi. In addition, it aggressively appropriated the Nobis possessed by temples and individual monks as a way to increase Kongnobi between the reigns of King Taejo and King Sejong(世宗, 1419-1450).Also, the Kwannobi system in rural Kunhyeons was restructured; the unequal tenure of Kwannobi was adjusted and the numbers of Kwannobi were resettled according to the level of Uep(邑). These were reasonable adjustments, consistent with the administrative needs, but at the same time a highly centralized policy of classifying local Kunhyeons and limiting the number of Kwannobi. As a consequence, the adjustment of the Kwannobi system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future of local authorities.The early Chosun dynasty energetically pursued the policy of arbitrary correction of social status. Under this policy, only those who kept Nobi at work in reality and practiced ownership for more than two generations could be recognized as possessing Nobi. This meant an arbitration of one''s status according to the practical control-relations, but caused discontentment from both parties. As a result, those who were uncertain of their status, whether Yangin or Cheonmin(賤民), were ordered to SinryanYeokcheon(身良役賤);affiliated to public offices as Saryong(使令).The SinryanYeokcheon were belonged to Sajaegam-Sugun(司宰監水軍) in King Taejong''s era, and finally positioned to Pochunggun(補充軍). They were classified as Yangin, but assigned for drudgery services. According to a Hopaebup(號牌法) clause, they were defined as Chapsaekin(雜色人) together with Nobi. The deserters were enslaved as Nobi. In terms of legal status, as well as assigned services, the SinryanYeokcheon were different with regular Yangin and their status became hereditary as their offsprings were incorporated to Pochungdae(補充隊) generation after generation.The policy of SinryanYeokcheon intended to tie up people of uncertain status by a special category of SinryanYeokcheon and made them burden difficult services. This was an inevitable result of allowing different statuses of Yangin and Nobi among the same farmer class.In conclusion, the Nobi policies of early Chosun emphasized on the government''s management of the entire Nobis by the centralized national system. They also sustained the principle of hierarchical Nobi possession according to Kunhyeon levels, social status, and the order of ranks. Finally, they tried to confirm the status orders, as shown in the policy of SinryanYeokcheon. In a word, the Nobi policy of the Chosun dynasty revealed the elements of feudal, hierarchical, and centralized government.

      • 唐 前期 異民族 奴婢 賣買 및 通關 課程과 그 의미 : 吐魯番 出土 文書 중 소그드 상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미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Tang(唐) dynasty is often considered to have been an ‘open empire’ with overflowing cosmopolitanism and openness. This is represented in the scenery of Chang’an(長安), the Tang capital city, where exotic hobbies were popular, and many foreigners could enter and work in China. However, what was stipulated by the Tang Code(唐律) was rather a ‘closed world’ in which people’s travels were strictly controlled, borders were strictly managed, and private trade was prohibited. This does not correspond well with the perception of an ‘open empire’ Tang.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is gap by examining the cases of foreign slave trade. Among the various products coming from the West, slaves, as a special kind of commodity, provide interesting research points from which to approach this problem. Since slaves were human beings as well as commodities that could be traded, the authorities imposed strict control on the transactions and entry process. The governing ideology of Tang dynasty is reflected in this system of slave trade and entry. Furthermore, a large number of slave trade records involve Sogdian merchants.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documents recorded transactions between ‘marginal people’ on the ‘borders’. By examining the lifestyles of (or treatment towards) people who deviated from the ‘typical people’ of the empire, such as foreigners, merchants, and slaves in Gaochang(高昌), a cultural border area, it is possible to observe how the ‘universal’ ideology of imperial rule met and compromised with the ‘peripheral’ substratum reality. This enables not only the interpret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egulations and system, but also a broad examination of the operating practice, substratum agents’ response patterns, and the influence of foreign and private traditions. In this study, not only Tang administrative documents written in Chinese, but also various sales documents that have not received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public transaction documents, Shiquan(市券), Siqi(私契), private transaction documents, and even livestock trade documents were examined. In addition, a comprehensive reconstruction of the reality of the time was conducted by extensively examining the documents of pre-Tang and non-Chinese documents. Thus, this study not only analyzes the individual aspects of the system but also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the imperial system imposed from the top as well as the local traditions or strategies of the substratum responding from the bottom.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observe how the administrative systems were actually being implemented by the authorities and how the agents of the slave trade were adapting or corresponding to them.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sets the following questions. On what basis could the foreign merchants and the foreign slaves that they brought in be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ang? When foreign slaves were sold in the city of Xizhou(西州), located in the Turfan Basin, how were they recognized and treated by the authorities, and what does that reveal about the attitudes toward foreign people and foreigners in the Tang Dynasty? Through what administrative procedures were they able to be incorporated into Tang society? How did foreign merchants involved in this trade adapt to the system of the Tang? Did the tradition of the Sogdian Network continue into the Tang Dynasty or was it discontinued?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first, the existence of foreign slaves was examined and verified. Slaves, who were products for sale, traveled long distances with their names on pass documents accompanied by their owners. Slaves imported from Central Asia through Xizhou(Gaochang) and into China proper were traded in Koumahang(口馬行), the slave markets, in Chang’an, Luoyang and other cities. Imports and trades of foreign slaves were routine to the extent that ‘Fannubi(蕃奴婢)’, a foreign slave imported from abroad, was listed as an item in the market’s standard price list. Sogdian merchants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is market. When slaves imported from outside were traded in the inner city, the commercial management policy of Tang empire was applied. In the Tang Code, when a slave was sold, the transaction should be notarized by the office and the office issued a Shiquan. At this time, the office conducted an identity check called Guojian(過賤). This means the official document was issued only after an investigation shows the slave’s low birth status was certain, and the slave was not abducted or enticed to sell. By the excavated materials, it is confirmed that the Guojian investigation was practiced on foreign slaves without exception, and the same was true for slaves imported from outside the region. Therefore, under the rule of Tang, the Sogdians were faced with the task of cooperating with the identity check of the slaves they procured and proving that they were legitimate slaves. To solve this problem, Sogdian merchants arranged for notarization by Guosuo(過所) or Shiquan in Xizhou before going to Inner China to sell slaves. This was the first official document issued (out of several such official documents) that was used to prove the slave was legal in the Tang Dynasty. In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notarization, the Sogdians passed the investigation by having the guarantee of the compatriot and ethnic group, which was possible because the Sogdians had a network that had the medium of ethnicity and commerce from the pre-Tang period. The phenomenon of guaranteeing by a large number of compatriots staying in the interior and having guarantee capabilities is a practice that also appears in local sales contract documents before the Tang invasion. The Sogdians were able to respond to the control of Tang empire by using the resources of those traditions. Tang authorities tolerated such a practice because trade and exchange through the Sogdian merchants served their interests. As suc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inuity of the local commercial tradi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slave trade of Sogdian merchants. A case study of foreign slave trade shows to what extent the universal system of the Chinese Empire was implemented and to what extent was it compromised by necessity, in the actual reality of the Han and non-Han, resident and traveling merchants, and foreigners and natives. The principle of traffic and trade control and the social class system were reflected in the regulations that required verification of identity in the slave trade. And in reality, there were various administrative practices that bridged the gap between the law and reality. Some of the practices were embodied in a culture mixed with the underlying reality of the region, allowing us to observe the continuum of local cultural traditions before and after the Tang Dynasty. The trade of foreign slaves was enabled by the succession of human resources and commercial traditions of the Sogdian network together with the attitude of authorities tolerating it. In other words, the foreign slave trade in the northwest region, as well as international private trade, c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imposition of the imperial system and the succession of local commercial tradition operated and harmonized simultaneously. In the border area of ​Xizhou-Gaochang, this pattern – which was practiced by the marginal people, who deviated from the epitome of the imperial system - was being tolerated at the end of the centralized administrative body of the Tang empire. It is at this point that the junction of the system and the substratum,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can be read. Although this case may seem like a special local practice at first glance, it has a universal meaning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enter in this way. The culture of this joint border region fills the gap between the closed world stipulated in the Tang Code and the actual ‘cosmopolitanism’. 唐은 흔히 국제성과 개방성이 넘쳐 흐르는 ‘열린 제국’으로 연상된다. 이국 취미가 유행하는 수도 長安의 모습을 비롯하여, 중국 내지에 많은 외국인들이 들어와 활동하는 등의 모습이 그것이다. 그러나 唐의 율령이 규정한 모습은 인민의 이동을 엄격히 통제하고 국경을 엄정하게 관리하며 사무역을 금지하는 ‘닫힌 세계’에 가까웠다. 이는 ‘열린 제국’ 당이라는 인식과는 잘 조화되지 않는다. 본고는 이러한 간극에 착목하여, 이민족 노비 무역이라는 사례를 탐구함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 했다. 서역에서 들어오는 각종 문물 중 상품으로서의 인간, 곧 奴婢는 일종의 특수 상품으로서 위에서 제시한 문제의식에 접근할 수 있는 흥미로운 탐구 지점들을 제공한다. 노비는 사람이면서도 동시에 거래될 수 있는 상품이기도 했기 때문에, 그 인적 성질로 인해서 거래 및 관문 통과 시에 官에 의하여 엄격한 통제가 가해졌다. 인민에 대한 唐의 통치 이념은 이러한 노비 매매 및 通關의 제도에 반영되어 있다. 나아가 분석 대상인 노비 매매의 양상에는 胡人 곧 소그드인 상인이나 노비가 다수 관찰되는바, 이 문서들이 ‘경계지’에서 ‘경계인’들 사이에 벌어진 거래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高昌이라는 문화 접경 지대에서 이민족, 상인, 노비 등 제국의 ‘전형적 백성’을 비껴간 경계인들의 사례를 통해, 제국 통치의 ‘보편’ 이념이 ‘주변부’ 기층 현실과 만나서 부딪히고 타협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로써 율령 규정의 해석과 제도의 복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운영 실태를 폭넓게 살펴보며 기층 행위자들의 대응 양상 및 외래·민간 전통의 영향 관계까지 짚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문으로 작성된 唐代 행정 문서는 물론, 기존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다양한 매매 문서들, 곧 공적 매매 문서인 市券을 넘어 사적 매매 문서인 私契, 유사 사례인 가축의 매매 문서까지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唐 이전의 매매 문서와 非漢語 자료까지 폭넓게 살피고 당시의 현실을 종합적으로 재구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제도의 단편적 면모만이 아니라 복합적 상호작용을 살피고, 위로부터 강제되는 제국의 제도만이 아니라 아래로부터 대응하는 현지의 전통이나 기층의 전략을 실태 속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럼으로써 官에 의한 행정 제도들이 실제로는 어떻게 실천되고 있었는지, 그리고 그에 대해서 노비 무역의 당사자들은 어떻게 적응 내지는 대응하고 있었는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바탕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설정하였다. 외래 상인과 그들이 데려온 이민족 노비는 어떤 근거로 域外에서 唐의 내지로 入境할 수 있었을까? 이민족 노비가 吐魯番 분지에 위치한 西州의 市에서 매매될 때, 그들은 당국에 의해 어떻게 인지되고 취급되었으며, 그것은 唐朝의 化外人 및 이민족에 대한 태도에서 어떤 함의를 가지는가? 그들은 어떠한 행정적 절차를 통해서 唐의 사회 구성원으로 편입될 수 있었는가? 무역에 관여하고 있는 외래 상인들은 唐의 제도에 어떻게 적응하였는가? 소그드 네트워크의 전통은 唐 이전과 이후에 어떻게 단절 또는 연결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먼저 이민족 노비들의 존재 양상을 살펴보고, 이민족 노비의 무역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판매 상품인 노비들은 過所·公驗과 같은 통행증 문서에 이름을 올리고 주인에 동행하여 원거리 여행을 하고 있었다. 그렇게 중앙아시아로부터 西州(高昌)를 거쳐 중국 내지로 수입된 노비들은 장안과 낙양 등지의 노비 시장, 口馬行에서 거래되었다. 역외에서 수입해온 이민족 노비인 ‘蕃奴婢’가 시장의 기준 가격표인 市估案에 품목으로 등재될 정도로, 외래 이민족 노비의 수입 및 거래는 일상화되어있었다. 이 시장에는 소그드 상인들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었다. 외부에서 수입해온 노비를 唐 내지에서 거래할 때에는 唐 제국의 상업 관리 정책을 적용받았다. 唐律에서는 노비를 매매할 때 官의 공증을 받고 市券을 발급받도록 했다. 이때 官府에서는 過賤이라고 하는 신분 검사를 시행하였다. 곧, 노비의 신분이 賤人이 확실한지, 良人 百姓을 납치 또는 유인하여 매매하는 것은 아닌지 조사를 한 뒤에야 市券을 발급해주었던 것이다. 출토 市券 실물로 확인되는바 이민족 노비에게도 예외 없이 過賤이 실행되었고 역외에서 유입된 노비 역시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唐의 지배 아래 소그드인들은 자신들이 조달하는 奴婢의 신분 검사에 협조하고 합법적 노비 신분임을 증명해야 하는 과제를 마주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그드 상인들은 내지에 가서 노비를 팔기 전에 西州에서 過所 또는 市券을 발급받음으로써 공증을 마련했다. 이것은 唐 안에서 합법 노비임을 증빙할 수 있는 첫 번째 공식 서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공증을 얻는 과정에서 소그드인들은 同鄕·同族의 보증을 갖춤으로써 조사를 통과하였는데, 이는 소그드인들이 唐 이전부터 종족성과 상업이라는 매개를 가진 인적 네트워크를 자원으로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내지에 머무르며 보증 능력을 가진 다수의 동족이 보증해주는 현상은 唐 이전에도 당지의 매매 계약 문서에서 나타나는 관행이다. 소그드인들은 그러한 전통의 자원을 연용하여 唐 官府의 통제에 대응할 수 있었다. 唐 측에서도 소그드 상인을 통한 교역과 교류가 이익에 부합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관행을 용인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렇듯 소그드 상인들의 노비 무역이 이뤄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현지 상업 전통의 연속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민족 노비 무역의 사례 연구는 중화 제국의 보편 제도가 한족과 이민족, 정주민과 이동 상인, 외래인과 내지인이 혼재하는 ‘邊境’의 기층이라는 실제의 현실에서 어느 정도로까지 관철되고 또 필요에 의하여 얼마나 타협되고 있었는가 하는 질문에 하나의 사례를 제시해준다. 율령에서 교통·교역의 통제와 신분제의 원리는 노비 매매에서 신분 검증을 요구하는 통제 규정에 반영되어 있었다. 그리고 실제의 현실에는 율령과 현실의 간극 사이를 연결하는 여러 가지 행정 관행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 행정 관행 중 일부는 해당 지역의 기층 현실과 혼합된 문화 속에서 배태된 것이었고, 唐의 이전과 이후 현지 문화 전통의 연속을 관찰해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소그드 네트워크의 인적 자원 및 상업 전통의 계승, 이를 용인한 官府의 태도가 어우러져 이민족 노비의 무역은 가능했다. 곧 서북 지역의 이민족 노비 무역, 나아가 국제 민간 무역은 唐 제국 제도의 관철과 지역 상업 전통의 연속 두 가지가 동시에 작동하고 조화하면서 비로소 이뤄질 수 있었던 것이다. 西州-高昌이라고 하는 경계 지역에서 이동 상인·이민족·化外人이라고 하는 제국 체제의 전형에서 비껴간 경계인들이 벌이고 있었던 이러한 양상은 唐의 중앙집권적 행정기구 말단에서 용인되고 있었고, 바로 이 지점에서 제도와 기층, 중앙과 변방의 접합부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사례는 언뜻 지방의 특수 관행처럼 보이기도 하나, 이처럼 중앙에 직결됨으로써 보편적 의미를 지닌다. 이렇게 접합된 경계 지역의 문화는 唐 제국의 율령에 규정된 닫힌 세계와 실제 나타나는 ‘국제성’ 사이의 간극을 채워 준다.

      • 18세기 奴婢 比摠制의 시행과 내시노비 혁파론

        도주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노비는 국가기관 또는 개인에 예속되어 勞役이나 身貢을 제공하는 사회 최하층 신분이었다. 이들은 역 체제와 신분제를 두 축으로 조선왕조 전 시기에 걸쳐 존속해왔다. 순조 원년(1801) 왕실과 중앙각사에 속한 6만이 넘는 내시노비가 해방되어 양인으로 전환됨에 따라 중앙의 공노비제는 사실상 폐지되기에 이르렀다. 내시노비 혁파는 노비 신분의 해방이라는 획기적 사건으로 사회 신분제 변화에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된다. 노비제 운영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내시노비 혁파는 이 시기 돌출적으로 등장한 조치는 아니었으며 18세기 이래 중앙정부가 끊임없이 추진해 온 내시노비 변통책의 산물이었다. 내시노비는 부역제의 해체와 물납화의 진전에 따라 노동력보다는 貢布를 납부하는 재정원의 의미를 띠어갔다. 따라서 이들이 노비 신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신공을 감하거나 奴婢摠을 定額화하는 등 갖가지 시책이 취해졌다. 그 가운데 노비 비총제는 공노비 운영 과정에서 이루어진 고육책으로 내시노비 혁파라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온 계기였다. 순조 원년 내시노비 혁파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로 이 비총제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비 비총제의 실시는 추쇄 정책 변화와 함께 이루어졌다. 각 기관에서 추쇄관을 파견하는 대신 각읍에서 수령이 직접 노비를 조사하도록 하였으며 이때 각읍에서 확보해야 할 최소한의 기준으로 노비총이 설정되었다. 노비 비총제 시행을 계기로 중앙에서는 정해진 액수대로 신공을 거두고 지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노비가 유출되고 있었으므로 지방은 노비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18세기 말에 이르면 신공의 상당 부분은 인족징 또는 군현 공동 대응을 통해 충당되었다. 수령을 중심으로 노비보를 설치하여 부족한 노비를 양인으로 대정하거나 공유재 조성을 통한 방납, 면리징 등의 방안이 활용되었다. 이와 같은 응세 관행은 신공이 더 이상 노비 개인에게 부과된 역이 아니라 군현에서 공동으로 대응해야 할 부세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노비는 비총제 이후 재정을 확보하는 명분에 불과하였으며 그 신공마저도 감공 조치를 통해 양인과 동등한 부담이 된 상황이었다. 중앙의 입장에서는 양인과 대정이 모두 균질적인 백성이었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조건 아래 노비제 운영은 양천의 구별을 없애는 노비 혁파론의 단행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노비 혁파론은 재정의 확보에 중점을 둔 변통론으로 지방의 응세 관행 중 하나였던 양인 대정의 예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기존의 노비총은 같은 액수의 포목을 거둘 수 있는 양액으로 환산한 뒤, 미처 채우지 못한 궐액은 양인으로 메우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재정의 손실 없이 모든 백성을 역 체제 안에 포섭할 수 있다고 기대되었다. 요컨대 노비제는 비총제, 감공 등의 변통을 거치면서 노비의 재정원으로서 성격을 강화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노비는 역 체제 아래 일정 액수 이상 확보해야 할 총액으로 변모하였다. 순조 원년(1801) 6만여 구에 달하는 내시노비의 혁파는 이러한 노비제의 정책을 배경으로 노비총의 명목을 양액으로 바꾸어 양인으로라도 역원을 채우고자 한 것으로 재정의 확보, 나아가 역 체제의 유지·존속을 도모한 시도였다.

      • 송시열의 노비제 변통론과 그 의의

        정필수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송시열은 『조선왕조실록』에만 3000여건에 달하는 기록을 보이는 17세기를 산 대표적인 산림이자, 성리학 경세가였다. 송시열의 생애를 관통한 17세기는 사회경제적으로 큰 시련과 풀어야 할 과제들이 있었던 시기였다. 그 과제란 전란으로 인한 정신적 상처와 국가적 피해를 바로 세우고 나라의 기틀을 정비하는 것이었다.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부족한 재정을 확충하고 안민(安民)을 달성하는 일이 가장 급선무의 과제로 부각되었다. 16세기를 거치면서 과전법(科田法)의 붕괴, 상인층의 성장과 농촌상업의 발달, 관청수공업의 발달, 장시의 발달, 군역의 포납화(布納化)와 양역화, 공물의 방납 성행 등이 나타났다. 연산군 이후 양천제의 질서가 흔들리기 시작하여 재지 사족층에 의한 반상제적 질서가 국가에 의해 공인되기에 이른다. 사족층은 무너진 국역체계 속에서 자신들의 경제적 기반을 대토지 소유와 노비수 증대를 통해 실현해 나갔으며, 양인 농민층은 과중한 양역의 부담과 공물액으로 노비로 전락해 갔다. 양인농민층의 감소는 국가의 담세계층이자 기간병력이기 때문에 반드시 막아야만 하는 일이었으며, 이에 노비제도와 군역·공물에 대한 개혁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하였다. 우암 송시열은 효종 즉위년에 진달한 「기축봉사(己丑奉事)」를 통해 시국의 폐단을 13개 조항으로 논하였으며, 내수를 통한 애민과 절용을 주장하였다. 공납제도를 개혁하고자 대동법의 논의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으며, 공안 개정을 주장하였다. 그의 주장은 공안개정 논의에 있어서는 대동법의 시행으로 별개의 영역으로 남은 어공과 진상도 대동법에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군액을 줄여서 민생을 안정시키고 모자란 군액을 충당하는 방법으로 면역층인 사족층에게도 군포를 징수해야 한다는 사족출포론을 주장하였다. 사족에게도 군포를 징수해 군역을 균등하게 하려 한 것은 양인과 마찬가지로 선상(選上)·입영(入役)의 의무와 납공(納貢) 까지도 해야 했던 공노비들의 고통을 덜어주려 한 정책이었다. 또 국역체제의 붕괴 속에서 급증한 사노비의 처우 개선을 위하여 노비종모법 시행을 주장하였다. 노비종모법은 노비 수의 증가를 막고, 국가 기간병력의 근간이 되는 양인의 수를 확보하려한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송시열은 성리학적인 애민사상에 입각하여 지배층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헌신적으로 종모법 시행을 위하여 힘썼다. 이러한 송시열의 주장은 노비도 하나의 인격으로 대하려는 개인의 성향과 노비의 사회적 지위와 인식의 변화가 함께 수반된 것이었다. 송시열이 주자성리학만을 신봉했던 보수적인 인물이라는 이유에서 송시열의 변통론까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성향이 많았다. 송시열의 노비제 변통론은 유형원과 같은 초기실학파의 주장과 비교한다면 개량적이고 보수적인 측면이 더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송시열의 정치적 위상은 재야의 인물인 유형원과는 달랐다. 집권의 책임적 위치와 집권을 위한 재야의 비판적 위치가 달랐음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송시열의 노비종모법과 같은 변통론은 해당 논자의 사상적인 배경에 기인하여 그 성격을 규정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변통의 내용을 중심으로 봐야한다고 생각한다. Si-Yeol Song was a leading prophet and a scholar of neo-Confucianism in 17th Century who was recorded over 3000 times in 『the Tru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lone. The 17th Century where Prophet Song lived had Socio-economical problems and tasks to be resolved. Some of the crucial tasks were to stabiliz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amage from conflicts and maintain basis of nation, achieve a specific standard in Socio- Economy and thus restoring order and confidence amongst people, and these were in priority above any others. Throughout the 16th Century Land-leasing Scheme had been banished but agricultural commerce grew, Ministry’s Manual industries developed over time, and broker’s intervention in Tax payments started to occur. After ruling of the King Yeon San Gun, civilian-slave order started to collapse, and the noble and the mean order had to be officially approved. The nobles survived in such disordered society by maintaining their wealth through ownership of vast land, and increasing slave counts. The reduction in number of farmers had to be prevented as it was national assets, and thus revolutionary idea of disbanding slavery, and dismissing brokers became new topic for discussion. Prophet Song transmitted 「己丑奉事」 - idea of volunteerism during King Hyo-jung’s rule to discuss resolving the problems in 13 different aspects, and strongly insisted in providing affection to the people. The actively participated in discussion over tax laws to change the old taxation methods and proposed revise public peace. He also proposed to inculcate other minorities into the taxation scheme as well. In addition, he proposed to reduce army counts to stabilize liveliness of the public and fill in the lacking military force by drafting from the Nobles, thus to be fair and reduce hardship of the public. Also, Parental law for Slaves started to prevent increase in slave counts, and thus to increase the noble counts. Si-Yeol Song joined Neo-confucianism with love of the people to bid through mother law for slaves in spite of strong disagreement. Such opinion of prophet song came from treating single slaves as equal Mankind, and change in their position in the society. Prophet Song was conservative Neo-confucian and the crowd saw this negatively. It is true that prophet Song’s Laws for Slaves were much simpler and conservative in many ways compared to Yu Hyeong Won’s earlier confucian idea. However, prophet Song’s position in politic was different from non-political scholars such as Yu Hyeong Won. He was in a position where he had to be responsible and had authorities over the critic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prophet Song’s laws for slaves need not had to be normalized under the creator’s own nature, but has to be studied from the centre of actual changes that had occurred.

      • 麗末鮮初의 ‘奴婢-天民’ 認識과 그 兩面性

        최원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plored the background of the view of Nobi(奴婢) as a Cheonmin(天民) during the late Koryo(高麗) and the early Chosun(朝鮮) and the meaning of the double-sidedness of that vie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mainly i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late Koryo and the early Chosun period focusing on the view of Nobi based on neo-Confucianism(性理學). The newly growing Sadaebu(士大夫), who witnessed the Nobi problem of late Koryo period, argued the proper treatment of Nobi and the suppression against the Nobi’s presumptuous behaviors. Their double-sided positions on the Nobi problem can be confirmed in the public notice of Gamchalsa(監察司), which was issued in 1339, and were further embodied in the Sinjin-sadaebu’s (新進士大夫) insistence on reformation of Nobi system, resulting in the double-sided view of Nobi as a Cheonmin(天民) at the end of the Koryo. In this context, the Nobi policy during the early Chosun period was also accompanied by a policy to treat Nobi like other commoners and to restrain Nobi’s presumptuous behavior by establishing an order of status. In the same period, Yangban(兩班) class regarded Ki Tse(箕子)’s eight clauses law (八條法) as the origin of Dongguknobi(東國奴婢), and thought the existence of Nobi was helpful for the edification. The Yangban class’ perspective on Nobi could be possible because Nobi was defined Cheonmin, the object of edification placed below in the order of Cheonbun(天分). Therefore, the view of Nobi as a Cheonmin was the basis on which the Yangban class justified their domination of Nobi through the order of status set by the teachings of neo-Confucianism. The will of Yangban class to establish control over Nobi sometimes conflicted with that of the state(國家) to treat them as Gongmin(公民).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state and the Saga(私家) clashed over the rule of Nobi were related to the double-sidedness of the view of Nobi as a Cheonmin. The state wanted to intervene in Saga’s control of Nobi, with the view that even if it was a Sano(私奴), it should receive the same reasonable treatment as ordinary people. On the other hand, Yangban class tried to stop the state from intervening, arguing that Nobi, who are Cheonmin, should be placed under the order of status because they are subject to edification. 본 논문은 麗末鮮初 시기 奴婢를 天民으로 인식하는 지배층의 관점이 성립된 배경과 그러한 인식의 兩面性이 갖는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성리학 사상에 입각한 노비제 인식을 중심으로 여말선초 시기가 시대적 전환기로서 갖는 역사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고려후기 노비 문제의 실태에 주목하게 된 士大夫들은 노비에 대한 적절한 救護를 요구하는 한편, 노비의 참람한 행동 또한 억제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들의 두 가지 입장은 충숙왕 후8년 監察司의 禁令에 그 초기 형태를 확인할 수 있고, 고려 말기 신진사대부의 노비제 개혁론에서 더욱 구체화되어 奴婢를 天民으로 보는 인식으로 종합되었다. 조선초기 국가의 노비 정책에서도, 노비를 다른 民과 마찬가지로 대우하려는 정책과 綱常名分의 질서를 확립하여 노비의 참람한 행동을 억제하려는 정책이 함께 나타났다. 이 시기 양반 지배층은 東國의 奴婢法이 箕子 八條法에서 비롯되어 敎化에 도움이 된다고 보았는데, 이는 天民인 노비를 天分에 의한 綱常 질서에서 아래에 놓인 敎化의 대상으로 규정한 것이다. 결국 奴婢를 天民으로 보는 인식은 양반 지배층이 성리학적 綱常名分論을 통해서 자신들의 노비 지배를 정당화하는 토대로 기능했다. 綱常名分의 확립을 통해 노비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자 했던 양반 지배층의 의지는 경우에 따라서 노비를 國家의 公民으로 대우하고자 하는 國家의 의지와 충돌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國家와 私家가 노비 지배를 둘러싸고 갈등한 사정은 奴婢-天民 인식의 兩面性과 관련되어 있었다. 私奴라고 해도 합당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에서 國家는 私家의 노비 지배에 개입할 수 있었던 반면에, 양반 사대부들은 天民인 노비야말로 교화의 대상이므로 노비가 강상명분의 질서에서 아래에 위치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국가의 개입을 저지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 高麗時代 奴婢에 관한 硏究

        朴起賢 全州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6

        고려는 다른 사회적 특권과 의무를 가진 신분제 사회였다. 신분제가 지배계층에게 자신들의 특권적 지위를 향유하기 위해 반드시 유지되어야 할 질서였다면 고려사회의 참모습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최하층에 속한 노비들의 경제, 사회적 측면에 대해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노비는 크게 사노비와 공노비로 나누어진다. 공노비는 국가에 예속되어 관청에서 신역을 담당하였고, 사노비는 개인에게 예속되었던 존재들이었다. 고려 노비의 발생 계기로는 노비의 소생, 증여, 상속, 매매, 양민의 몰입, 압량 등을 들 수 있다. 공노비와 사노비의 발생 배경은 서로 차이가 있다. 공노비의 발생은 모반사건이나 반란에 가담하였던 사노비들이 몰입된 경우, 중대한 범죄의 처벌로써 몰입된 경우, 전쟁 포로 등을 들 수 있다. 사노비의 발생은 공노비와 같이 전쟁 포로이거나 압량에 의해 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주로 생활이 빈곤하여 몸을 팔아 사노비가 되는 경우였다. 고려의 신분제도는 세습이 원칙이었으며 어느 계층을 막론하고 자기 父祖의 신분을 세습하게 되었다. 특히 천인에게는 그 원칙이 더욱 강조되어 해당 신분에서 이탈할 수 없도록 엄격히 규제가 주어졌다. 이에 다른 노비 정책은 소유주로서 국왕과 귀족 계층이 각기 다른 정치적 이해를 갖고 있었다. 국왕의 입장에서는 왕권강화가 중요한 과제이었으므로 귀족세력을 억압할 목적으로 귀족의 사노비를 줄이려고 하였던 것이다. 반면 귀족계층은 왕권을 견제하고 귀족세력의 확대를 목표로 왕권과 대립구조 속에서 노비 정책을 폈던 것이다. 광종의 노비안검법과 최승로의 상소문이 상반적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고려 시대 노비가 사회, 경제적 지위가 어떠했는지 알아보자. 사노비는 주인으로부터 재산, 혼인 등의 자유에 따라 솔거노비와 외거노비로 나눌 수 있다. 솔거노비는 주로 사령노비로 주인에 예속되어 있으면서 직접적이고 일상적인 부림에 부응하였다. 반면 약간의 토지의 경작 내지 경영에 참여하면서 주인의 지휘, 감독을 받는 농경노비도 있었다. 외거노비는 주인에 예속되었지만 농사를 지으면서 약간의 재산을 가질 수 있었다. 또 결혼도 하여 자식에게 재산을 상속할 수 있었던 것이다. 외거노비중에서는 농장의 경영을 맡았던 경영노비도 있었지만 극히 비중이 적었다. 고려는 신분질서에 의한 귀족중심의 신분체제를 갖고 있다. 신분질서는 어디까지나 지배계층의 이익을 위하여 규정한 것이다. 지배계층은 신분질서를 엄격히 함으로써 그들의 특권을 유지, 보장할 수 있었다. 반면 최하위 신분인 노비도 정치, 경제, 사회 등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Goryeo was the status society with a different social privilege and obligation. Status system was a order which the ruling class should preserve to enjoy their own special privilege. It is necessary for us to understand economical and social sides of the lowest slaves in order to grasp the true feature of Goryeo society. Slaves were largely divided into private slaves and public slaves. The government charged public servants with labor. Private slaves were subordinate to individuals. Goryeo slaves came into existence by the donation, inheritance, dealing, the birth of the slaves, and the forfeiture of the good citizens, etc..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origination background between the public slaves and the private slaves. The public slaves came into existence by the following cases: 1. the forfeiture of the private slaves who were involved in the rebellion or treason. 2. the punishment of the serious crime. 3. a war prisoner. Private slaves came into existence by the case of a war prisoner or forfeiture, but they were generally originated from the poverty. Goryeo status system was originally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Regardless of any status, people were inherited status from their grandfathers. And it was more emphasized to a lowly men, and they were strictly controlled not to secede their own status. King and the aristocratic class each had a different political concern on slave policy. King thought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was an important task. He tried to lessen the number of the private slaves in order to repress the aristocratic class. On the other hand the aristocratic class carried out the slave policy to check the royal authority and expand the aristocratic power. King Gwangjong's slave law and Choi Seung-ro's appeal sentence were contrary examples. Now let's examine the social and economical position of Goryeo slaves. Private slaves were divided into indoor slaves and outdoor slaves according to the freedom of the property and marriage. Indoor slaves were subject to the owner and followed their owners' daily orders. Also agricultural slaves were supervised by their owners, but they could engage in farming partially. Outdoor slaves were subject to their owners, but they could farm and have a little property. They could marry and make over a little property to their children. Also there were management slaves who took charge of farm management among the outdoor slaves, but the ratio would be limited. Goryeo had the aristocracy centered status system according to the status order. Status order was prescribed for the interest of the ruling class. The ruling class could maintain and guarantee their privilege by consolidating the status order. On the other hand, the slaves, the lowest status, ranked indispensable in the field of the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 朝鮮太宗代의 奴婢政策

        황행자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806

        太宗代는, 鮮初의 奴婢政策이 대부분 정리된 시기로써 일찍부터 주목되어 왔다. 그러나 太宗代 奴婢政策의 구체적인 배경이나 실제 運用面이 명확하게 드러나 있지 못하다. 따라서 그 실시 의의도 제대로 究明되지 못한 실정이다. 本稿는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太宗代에는 私奴婢爭訟을 해결하기 위하여 〈私與私受禁止法〉,〈奴婢傳繼文字法〉, 〈奴婢決折條目〉 등의 政策이 시행되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이에 太宗은 〈中分法〉을 시행한 후 마침내, 斷訟之限을 정하고 奴婢爭訟文卷을 불태움으로써 爭訟을 일단락지었다. 다음으로 太宗代에는 公奴婢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강화되었다. 즉, 寺社奴婢를 革罷하고, 奴婢刷卷色을 설치하여 有力者들이 不法 占有하고 있는 奴婢를 推刷함으로써 10萬餘名의 公奴婢를 확보한 것이다. 하지만 私奴婢所有를 제한하고, 그 나머지 奴婢를 屬公하려는 의도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한편, 良民을 확보하려는 의도에서 良賤交婚所生의 身分問題에 관심이 있었다. 먼저 〈奴十良女〉의 소생은 모두 屬公되었다. 다음 「兩班十婢」의 소생은 점차 放良되어갔다. 이들은 補充軍에 소속된 후 일정기간 立投을 마치고 去官 하여 限品受職되었다. 그러나 「平民十婢」의 소생은 從父法 실시후 放良되었지만, 津尺 등의 賤役에 종사하는 身良投賤이 되었다. 이러한 太宗代 良人 확보책의 의도는 私民을 公民化함으로써 國投基盤을 확보하고 동시에 奴婢所有主인 權臣들의 經濟基盤을 약화시키는데 있었다. 요컨대, 太宗代의 奴婢政策은 臣權을 견제하고, 國投基盤을 확보하려는 방향으로 王權이 안정된 太宗 後半部에 적극 시행되었다고 여겨진다. The slave problem with which King Tae-Joe of the Cho-sun Dynasty was confronted was a suit for the private slave. Furthermore, another important problem of that period was to secure public Slaves and peaceable people. But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were not worked out in the Tae-Joe period and were delayed to the Tae-Jong period. In the Tae-Jong period, in order to solve a suit for the private slaves, the private slave-giving-and-taking system was prohibited and they were forced to give notice to the government office make documents about them in giving and taking the private slaves. And the laws about the slave inheritance and the suit were made and were put in force, but the result fell short of our expectation. Hereupon, King Tae-Jong made the law Jung-Bun-Bub(中分法) "which divided the got the suit finished by limiting the time of the suit and burnig its documents. Next, the effort to secure thepublic slave was strengthend in the Tae-Jong period. That is, the slaves whom men of influence had illegally were discovered by setting up "Nobi-Soegwuensaek(奴婢刷券色)". Threfore, ten thousand public slaves or so were secured. But the plan that they were to decrease the private slaves whom an individual had and change the remainders into the public slaves did not succed. On the other side, they took an interest in the status of the children between peaceable people and slaves in order to secure peaceable people. First of all, all the children between a man slave and a peaceable woman became the public slaves. Next, the children between a nobleman and a woman slave grew to be the public slaves gradually. They could be a public official after they finished the military service in the Bochunggoon (補充軍) Though the children a peaceable man and a woman slave became the peaceable people after "Jong-boo-bub(從父法) was put in force, they were engaged in the humble occupation such as "Jinchuk(津尺). This policy to secure peaceable people in the Tae-Jong period had for its object that they were to establish the strong national foundation by changing the private people into the public people. At the same time, it had for its object that they were to powerful men's economic foundation. In conseguence, the slave policy in the Tae-Jong period took its aims that they were to restrain the power of the subjects and establish the strong national foundation. I think it was put in force positively in the latter part of the Tae-Jong period when the royal authority secured stability.

      • 조선 후기 사노비의 존재양상 : 경기 지방 준호구 사례 검토

        신인선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사노비의 존재 양상을 준호구 자료를 통해 검토한 것이다. 본고의 내용은 크게 준호구에 나타난 노비 기재 방식에 대한 검토와 이를 통한 조선 후기 노비 존재 양상에 대한 해석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대상은 경기도 시흥에서 발굴된 18 - 19세기의 이상기 일가 준호구 12점이었다. 이상기 일가 준호구에서는 이 시기 제작되었던 다른 호적 자료와 마찬가지로 노비 기재에 있어서의 상당한 불철저성이 확인된다. 준호구에 나타난 연령별 분포 상태는 준호구상에 기재된 노비가 모두 실존하지는 않았다는 점과 실존한 노비가 모두 준호구에 등재되지도 않았다는 점을 알려준다. 동일 인물에 대한 준호구별 기재 내용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기재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는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노비 기재에는 몇 가지 원칙이 나타나고 있었다. 먼저 솔노비를 기재한 후 외방노비, 도망노비, 사환노비 순으로 노비를 기재하고 있으며, 동일 혈연일 경우에는 혈연을 우선하여 가계 단위로 노비를 기재하였다. 형제가 여럿일 경우 연령순으로 기재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었다. 동일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준호구별로 노비명이 다르게 표기되는 경우도 다수 발견되었는데, 이는 음가로 불리던 대다수의 노비들이 한자로 표기되는 과정에서 그 표기를 달리한 결과 나타난 현상이었다. 18세기 후반 이상기 일가의 전체 노비 중 솔노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30% 정도였으며 외방 노비는 60% - 70% 가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외방노비의 경우 함경도와 경상도를 제외한 전국에 퍼져 있었으며, 외방노비의 기재 시 적용되는 특별한 원칙은 발견되지 않았다. 도망노비의 기재율은 매우 낮은데 이는 실제로는 도망노비지만 관습상 준호구에는 그대로 솔거노비, 외방노비 등으로 기재했던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상기 일가 준호구에 기재된 노비들의 가족 구성은 대부분 1세대형이다. 이는 가족 구성의 형태가 매우 불안정한 구조로서, 해체될 가능성이 높은 노비 가족의 일반적인 특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다. 노비들에게서도 양반과 유사하게 돌림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나타나는데, 양반 계층만큼 일률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었지만 동복의 형제자매 중 2명 - 3명 가량을 동일한 음가를 지닌 한자로 표기한 경우가 많았다. 양반 계층과는 달리 남녀 구분 없이 돌림자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노비의 부모 기재 방식을 살펴보면, 부모 모두를 기재하지 않은 경우는 5% 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현소유 노비의 소유권 확보를 위한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 부모 중 한 명 이상은 준호구상에 기재가 되었던 것이다. 노비 부모의 혼인 형태는 신분내혼이 16%, 양천교혼이 21%이며 나머지는 파악할 수 없는 경우이다. 파악 불가능한 혼인 형태 중 다수는 실제 양천교혼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되기에 노비 부모의 혼인 형태는 양천교혼이 다수를 점하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이상기 일가 준호구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노비의 소유권 확보와 관련된 내용은 철저히 기록된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는 불철저하게 기재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조선 시대 양반 계층의 준호구가 소유 노비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이고자 했던 문서가 아니라 호주의 필요, 이해관계를 관철하기 위해 약간은 조작되고, 기재 방식이 그 필요에 맞추어져 구성되었던 그러한 문서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在唐 新羅人奴婢의 발생과 소멸

        리바오셩 경북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從8世紀末進入9世紀初以來,新羅在連年遭受自然災害影響的同時,中央政府由於貴族間的權力爭奪逐步削弱了對地方的控制。受饑荒和政局動蕩影響,難以維持生計的新羅民眾紛紛越海前往唐朝求生。而同一時期,唐朝也在安史之亂爆發後形成藩鎮割據局面。伴隨著地方勢力的增長,原本在兩國嚴格管控下的官方朝貢貿易日漸衰落,民間商品貿易活動變得活躍。而唐朝的官員和富商大賈為滿足自身奢侈生活,對奴婢的需求逐漸增加。但是,隨著唐朝土地所有制的改革和奴婢政策的越發嚴格,原有的唐朝奴婢無法滿足旺盛的奴婢需求,因此紛紛將目光轉向來唐朝求生的外國人,其中就包括迫於生計來唐朝的新羅人。 在812年至814年之間,新羅人開始陸續入唐求生。最初他們為了謀生不得不自發典身成爲官員地主家的奴婢。新羅了解了這一情況後,於817年派遣使臣金張廉向唐朝邀請禁止將新羅人作為奴婢。唐朝雖下令禁止,但由於地方割據勢力橫行,禁令並未取得實際成效。821年,淄青平盧軍節度使薛平發現海盜綁架了新羅良民並將其賣爲奴婢。薛平立即向唐朝上奏請求禁斷。因此皇帝重新頒布了禁令,禁止買賣新羅人。禁令得到執行的兩年後,新羅派遣王子金柱弼向唐朝商討淪為奴婢的新羅人回國問題。新羅政府希望只要是新羅人都能不受限制自由回國, 唐朝雖同意了新羅的請求卻規定只有願意回國的新羅人經確認身份後方可放行。換言之,當時並非所有在唐朝淪為奴婢的新羅人都希望回國。另一方面,也意味著唐朝內部對新羅勞動力有一定的需求。隨著薛平離任以及新羅國內的自然災害持續發生,本已逐步消亡的新羅奴婢問題又卷土而來。由於新羅也意識到新羅奴婢問題在十多年來多次請求唐朝禁斷仍無法得到徹底解決,因此新羅政府最終在828年,同意了曾在唐朝徐州軍隊任職的張保臯爲打擊猖獗的海盜掠賣新羅人到唐朝爲奴問題而設清海爲鎮的請求並下撥一萬名軍士。與此相呼應,唐朝於同年10月重新頒布了821年關於禁止掠賣新羅人為奴婢的禁令。據史料載,上升到新羅和唐朝兩國外交層面的新羅奴婢問題,在大和年間(827年-835年)得到解決。然而筆者認爲並非該問題得到徹底解決,只是在不影響兩國正常外交的前提下得到了相對控制,同時,雖然新羅的良民自賣或被海賊掠賣問題有所控制,但原本新羅出身的奴婢在官方朝貢中仍然存在。 本文中從新羅立場出發,著眼於新羅政府爲了解決新羅奴婢而進行的外交努力。從817年派使臣到828年支持清海鎮成立的過程都是為解決新羅奴婢而進行的努力,如果沒有新羅政府對新羅奴婢問題的重視和外交努力,該問題能否得到有效控制恐怕難有定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