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근대고고학의 등장과 전개 : 1880-1910년대 국내 신문을 중심으로

        김병철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한국 근대고고학의 연구는 소량의 자료로 인해 최근에서야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근대고고학의 연구는 1970~1980년대의 ‘고고학 개론서’ 제작 중 18세기 말~19세기 초 조선을 방문한 서양인의 기록과 1910년대 전후 고고․인류학을 전공한 일본 관학자들의 연구 자료 등 당시 소량의 자료를 통해 처음 논의가 되었다. 1990년대 본격적인 한국 근대고고학의 연구를 시작하였는데 대부분 일제강점기 고고학 발굴 사례와 연구 결과로 집중되었다. 한편, 2000년대부터 한국고고학계 차원에서 당시 생존한 한국고고학 1세대 원로학자의 초창기 활동과 ‘한국고고학 개설서’를 출간하면서 연구하였다. 2010년대 근․현대 매체와 기록물 등 다양한 소재와 함께 각 주제별로 연구가 되었고, 2020년 한국고고학에서도 ‘근대’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본 연구는 근․현대를 대표하는 4대 매체(잡지ㆍ신문ㆍ라디오ㆍTV) 중 18세기 말~19세기 초 영향력이 가장 높은 국내 신문(『한성순보』ㆍ『독립신문』ㆍ『황성신문』ㆍ『대한매일신보』ㆍ『매일신보』)을 선택하였고, ‘고고학’ 관련 기사를 수집하여 정리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고고학사’를 목표하여 ‘한국 근대고고학의 등장과 전개’라는 주제로 1880-1910년대 국내 신문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신문’이라는 자료에는 ‘고고학 기록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유적ㆍ유구ㆍ유물 등 기존의 고고학의 기본적인 물질 연구 대상과는 다르기에 고고학적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① 유적(遺蹟, Site) → 신문(원문), ② 유구(遺構, Features) → 신문 기사(스크랩), ③ 유물(遺物, Artifacts) → 신문 기사의 내용, ④ 연대측정-절대연대 → 신문 기사의 날짜 두 번째, 수집ㆍ정리한 신문에 대하여 『한성순보』ㆍ『독립신문』ㆍ『황성신문』ㆍ『대한매일신보』ㆍ『매일신보』의 현황 및 검토를 하고, 기사의 ‘면’과 ‘단’의 배치를 분석하여 각 신문사마다 연대별로 국내와 해외기사의 배치의 변화가 다르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사 내용에 대하여 ‘지역별 검토(국내ㆍ해외)’, ‘분야별 검토(고고학ㆍ박물관ㆍ문화재ㆍ인류학)’, ‘고고학적 시대구분’, ‘기사종별 검토 및 특징(일반ㆍ기획 기사)’, ‘인물별 검토(한국인ㆍ서양인ㆍ일본인)’, ‘연대별 용어 사용’ 등 다양한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세 번째, 앞선 다양한 분석들을 통해 다음 3시기로 구분이 되는데 이를 ‘고고학’ 및 고고학과 혼용된 ‘역사학’, ‘미술사학’, ‘인류학’, ‘박물관학’ 등 자료와 비교, 대조를 하면서 연구하였다. Ⅰ기(1884~1899년)는 ‘근대고고학의 등장’하는 시기로, 해외 일반 기사를 통해 ‘고고학’ 및 고고학과 혼용된 ‘역사학’, ‘인류학’, ‘박물관학’ 등 근대 학문을 알게 되지만 조선에는 아직 도입되지 않았다. Ⅱ기(1900~1909년)는 ‘근대고고학의 전개Ⅰ’ 시기로, 국내 기사에서는 당시 일제에 맞서기 위해 고대 고구려의 역사 연구를 통한 역사 의식 고취에 실증 자료로 유물, 유적 등 고고학 용어가 사용되는 점을 볼 수 있었지만 1907년 조선의 통치권이 넘어가 1908년 통감부 설치 탓에 대한제국 ‘제실박물관’의 인사들은 일본인으로 채워지는 점을 볼 수 있었다. 해외 기사에서는 각국의 다양한 소식 중 해외박물관 건립과 함께 동양의 유물 수집 관련 내용을 볼 수 있다. 관련하여 한국 유물의 유통과정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었고, 일본 ‘제실박물관’ 답사기를 통해 일본 제국주의가 반영된 식민 정치적인 박물관 모습과 영국의 인도를 식민지화하는 과정 속에 ‘고고학’의 정치적인 활용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볼 수 있었다. Ⅲ기(1910~1919년)는 ‘근대고고학의 전개Ⅱ’ 시기로, 1910년 조선을 강점한 일본제국이 1900년대부터 시작한 ‘조선고적조사’ 사업과 관련된 일본 고고ㆍ인류학자들의 연구 활동에 대해 볼 수 있었다. 특히 집안ㆍ평양ㆍ개성ㆍ서울ㆍ부여ㆍ공주ㆍ경주ㆍ김해 등 고도 중심의 연구를 문화적으로 조선식민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기획 기사를 각 주제별로 여러 기사를 대중 홍보 목적으로 『매일신보』에 여러 편으로 보도하였다. 이상을 종합하여 1880~1910년대 국내 신문을 중심으로 ‘근대고고학의 등장과 전개’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에서의 고고학은 1880~1890년대 해외 기사를 통해 인식을 하였지만 아직 도입되지는 않았다. 1900년대 ‘고고학’은 관련 용어를 사용했지만 1910년대 대부분 일본 고고ㆍ인류학 전공의 관학자들의 조선 식민 정치적으로, ‘신문’이라는 매체를 통해 홍보하는 역할로 당시 ‘고고학’을 활용한 점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고고학에서 다루지 않는 ‘신문’ 자료로 ‘한국고고학사’를 살펴본 점은 한국고고학의 학문의 시작점을 찾는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고고학에서 잘 다루지 않는 소재와 주제에 대해 수집ㆍ정리하여 연구를 한다면 앞으로 한국 근ㆍ현대고고학의 연구 및 학사에 더 발전된 연구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So far, Research on Modern Archaeology in Korea has only been attempted recently due to a Small amount of Data. It was first presented through Small amount of Data at the time, including records of Foreigners visiting Joseon in the late 18th & early 19th centuries or Research data by Japanese Government Scholars majoring in Archaeology & Anthropology around before & after 1910s, While producing ‘An Introduction ot Archaeology’ in the 1970-1980s. It had begun ‘the Research on Modern Archaeology in Korea’ at the 1990s, but most of them were focused on Japanese Colonial Era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Findings. Meanwhile, It has been studied published on ‘Korean Archaeology Overview’ and the Early Activities of The First Generation Elder Scholars of Korean Archaeologists who survived at the time in the 2000s. It was studied on each Subject along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Modern and Contemporary Media and Records in the 2010s. In the 2020, It was Studied in earnest ‘Modernity’ in Korean Archaeology. Based on these Points, This Study Selected the most influential Korean Newspapers(『Hanseong Soonbo』, 『Independent Newspaper』, 『Hwangseong Sinmun』, 『Korean Daily News』 and 『Daily News』) among the Four Major Modern & Contemporary Media(Magazine, Newspaper, Radio and TV).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Korean Newspapers in the 1880-1910s under the theme of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Modern Archaeology in Korea’ with the aim of ‘Archaeological History in Korea’. Firstly There is a lot of Archaeological Record Information in the ‘Newspaper’. However, the Archaeological Concept was applied as follows because it was different from the basic Materials of Archaeology such as Site, Features and Artifacts. ① Site(遺蹟) → Newspaper(Original Text), ② Features(遺構) → Newspaper Articles(Scrap), ③ Artifacts(遺物) → Content of Newspaper Articles, ④ Dating-Absolute Solidarity → The Date of The Newspaper Article Secondly Korean Newspapers for collected and Organized have been the current status and review. And through the arrangement of ‘Face(Myeon)’ & ‘column(Dan)’ of scrapped Articles, it was examined that there were changes by each Newspaper company, by Age and by Categor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Article were analyzed by various Research Metods such as ‘regional(Korean, Overseas)’, ‘Field(Archaeology, Museum, Cultural Property, Anthropology)’, ‘Archaeological Period Classification’, ‘Category’, ‘Person’ and ‘Using Terms by Period’. Finalily Through the various analyzes above,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Modern Archaeology in Korea’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It was studi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it with studial Data such as 'History', 'Art History', 'Anthropology' and 'Museology' mixed with 'Archaeology' and Archeology. Period Ⅰ(1884-1899) was a peiod of ‘Emergence of Modern Archaeology in Korea’. and through General Overseas Articles, It would learn about Modern Studies such as 'History', 'Art History', 'Anthropology' and 'Museology' mixed with 'Archaeology' and Archeology. But It has not yet been introduced to Joseon. Period Ⅱ(1900-1909) was a peiod of ‘Development Ⅰ of Modern Archaeology in Korea’. In Korean Articles, it was found that Archaeological Terms such as Artifacts and Historical Sites used as Empirical Data to count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In 1907, Joseon’s sovereignty was transferred and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General in 1908, the personnel of the Korean Empirial Museum were filled with Japanese. Also, various news Article from each country can be found about the construction of an overseas musem and the collection of Artifacts from the East. In this regard, it was possible to indirectly see the distribution process of Korean Artifacts. In addition, it can be indirectly seen that Archaeology is used politically through Articles from Japan and India. Period Ⅲ(1910-1919) was a peiod of ‘Development Ⅱ of Modern Archaeology in Korea’. In Article, The Japanese Empire, which occupied Joseon in 1910, was able to see the research Activities of Japanese Archaeologists and Arthropologists related to the ‘A Study on the Investigations of Historical Sites’ project that began in the 1900s. In particular, various Articles supporting the Legitimacy of Joseon Colonists were reported in the 『Maeil Shinbo』 for the Purpose of Public Relations such as Pyongyang, Kaesong, Seoul, Buyeo, Gongju, Gyeongju and Gimhae. As above, this Study has been considere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Modern Archaeology in Korea’ focusing on Korean Newspapers in the 1880-1910s. Archaeology in Korean was initially recognized by Foreign Articles, but has not yet been introduced. After that, Archaeology in Korea has been used as a term related to Archaeology, but it has been used politically in the Joseon by Scholars majoring in Japanese Archaeology & Anthropology in the 1910s. This study exmined the History of Archaeology in Korea as a ‘Newspaper’ material that is not covered by existing Archaeology. This point can be seen as the most important role in finding the Startin Point of Korean Archaeology. Therefore, if research is collected, organized and Conduct on Materials and Subject that are not often covered by Archaeology, it is expected to be more advanced in the Research and Academic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chaeology in Korea.

      • 디지털고고학 활성화 방안 연구 : 유럽 사례를 중심으로

        최인화 부산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디지털고고학(Digital Archaeology)은 다양한 기술을 고고학 조사, 연구, 기록, 보존, 복원, 활용 등에 적용하는 것을 말하며, 유럽 등 국외에서는 고고학의 한 분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고고학을 선도하고 있는 유럽의 최신 연구 성과와 정책, 제도, 교육 현황 등을 분석하고, 이를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의 디지털고고학 현황과 비교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고고유산에 더욱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디지털 기술 적용 방안과 관련 정책・제도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 결과, 유럽의 디지털고고학은 대학 등 고고학 관련 교육기관과 학계, 연구자를 중심으로 조사, 기록, 복원, 시각화, 전시 등 여러 분야에 다양한 기술을 적용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련 정책과 제도, 예산 지원, 교육 또한 체계적으로 뒷받침되어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며, 연구 성과물 역시 다채롭게 도출되고 있었다. 이런 결과물들은 문화유산에 대한 유럽 공동 네트워크 구축과 산학협력, 일자리 창출,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국내의 디지털고고학은 여전히 고고학의 기술적 보조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유럽과 비교하여 적용되는 기술과 연구가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을 더욱 효과적으로 고고유산에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고고학 조사와 연구’, ‘대중을 위한 활용 방안’, ‘정책과 제도’, 세 가지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고고학 조사와 연구 활성화 방안’으로는 더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현재까지 진행되지 못했던 여러 가지 고고학적 분석과 해석을 시도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유럽의 사례를 토대로 검토한 국내 적용 방안으로는 ‘라이더를 활용한 지표조사’, ‘원격탐사(항공사진)를 활용한 고도(古都) 등 유적 변화 연구’, ‘3D 스캔을 이용한 유물 등 정밀 조사’, ‘3D 모델링을 활용한 유적 복원과 시각화’, ‘머신러닝을 활용한 유물 자동 검색’, ‘딥러닝을 활용한 유물과 유구 자동 인식’ 등이 있다. 둘째, ‘대중을 위한 디지털고고학 활용 방안’은 기술 중심보다는 문화재의 성격과 대중의 눈높이에 맞는 적합한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화재가 담고 있는 역사와 사람들에 대한 스토리텔링과 문화 소외 계층, 대중의 온・오프라인 참여 확대 등 디지털 대중고고학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중을 위한 디지털 기술 적용 방안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체험 콘텐츠’,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화재 내부 복원’, ‘혼합현실을 활용한 실감 콘텐츠’, ‘3D 스캔, 모델링, 프린팅의 다양한 활용과 통합 플랫폼 마련’,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과 생활상 재현’, ‘몰입형 공간 퍼포먼스를 활용한 초실감 콘텐츠’, ‘온라인 콘텐츠 등 다양한 대중 참여 확대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셋째, 디지털고고학 관련 정책과 제도에 관해서는 현행 정책과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검토하였다. 정책 개선방안은 크게 6가지 실행방안과 12가지 중점 추진 과제를 제안하였는데, 고고정보 통합 아카이브 구축 등 데이터 통합과 접근성 증대, 데이터 품질 제고, 디지털고고학 및 관련 분야 연구 장려, 전문 인력 양성, 대중 참여 확대 방안 등이 있다. 정책과 제도는 함께 운영되어야 더 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검토한 정책에 따른 제도 개선방안 7가지를 함께 제시하였다. 제도 개선 주요 내용으로는 디지털고고학 정의와 범위, 디지털 데이터 및 아카이브 구축, 기술별 데이터 표준과 기준 마련, 데이터 및 콘텐츠 모니터링과 평가, 저작권과 재사용 등 정보 공개, 전담 조직과 인력, 예산에 관한 사항 등이 있다. 디지털고고학의 활성화를 위해서 고고학계의 관련 분야 연구와 관계 부처의 정책과 제도 그리고 재정적 지원, 대학의 전공자 교육 등이 모두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는 유럽의 여러 사례와 같이 디지털 기술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고고유산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조사, 연구, 보존, 복원, 전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考古學과 ICT 融合活用 硏究

        안형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정보 통신 기술로 알려진 ICT 기술은 우리 사회를 급속도로 디지털화하고 있다. 학문,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고고학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현재 디지털 장비들의 도입은 고고학 연구와 현장조사의 질적 · 양적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 2000년대 초중반 이후 급속도로 도입되기 시작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조사 및 연구방법들의 활용사례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고고학과 디지털의 융합은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고고학 연구방법이나 조사방법이 비판받거나 급격히 변화해야만 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현재와 같이 디지털 기술들이 도입되는 현상이 앞으로도 계속되는 이상 고고학계에서 디지털 기술이나 IT · ICT에 대해 조금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IT와 ICT와 같은 디지털 분야에 대해 이해하고 관련 기술들을 어떻게 고고학에 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를 소위 ‘디지털 고고학(Digital Archaeology)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고고학은 고고학 분야에서 사용되어지는 디지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그리고 그것을 이용해서 작성된 고고학적 결과물, 콘텐츠, 제작과정과 이러한 작업들을 실시하기 위해 수반되는 연구들까지 포함한다. 이에 따라 최근 유적이나 유물의 3차원 디지털 스캔이나 VR, AR을 활용하여 고고학과 ICT 기술을 융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일선 발굴기관이나 연구소, 관련 학과에서는 학제적인 공조나 기술도입, 교육에 대한 노력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고고학과 ICT 같은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융합시키고 함께 발전시켜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그러나 ICT 기술의 경우 초기 도입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현재 고고학계에서도 ICT 기술에 대해 연구할 만한 인력은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인문학인 고고학이 ICT와 같은 상이한 학문과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지 고민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글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개의 단락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ICT의 정의와 디지털 기록의 이해에 관해 서술하였다. ICT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IT(Information and Technology)에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포함시킨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문화재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매년 다양한 분야의 IT · ICT 기술이 고고학 · 문화재 · 박물관 등에 접목되고 있다. 박물관은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과 같은 ICT 기술을 도입하여 관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전시를 도입하고 있으며, 고고학 현장에서도 3D 스캔이나 사진실측, 드론과 같은 기술들을 이용해 발굴된 유적이나 유물을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록물로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변화에 알맞게 디지털 유산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고고학, 역사학 등에서 의미하는 디지털 유산을 정의한다면 발굴된 유구와 유물을 포함한 유적 전체의 디지털 자료와 관련된 실측도나 그래픽 결과물, 영상물과 같은 디지털 기록물, 그리고 과거 아날로그로 기록된 자료들로부터 디지털화된 것 일체를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고고자료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록의 생산과 관련된 내용이다.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같은 정부기관에서 주도된 디지털 기록 사업은 고고학계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에 2000년대 이후 많은 매장문화재 발굴기관에서는 발굴된 유적이나 유구를 대상으로 디지털 기록 및 디지털 기록물을 획득하려고 시도하였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기록의 확보수단으로 사진실측 및 2D 도면을 기반으로 한 3D 모델링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지형도를 이용하여 제작한 디지털 기록과 고지형환경분석을 이용하여 과거의 지형복원 활용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와 같은 지형 복원을 바탕으로 과거 지형의 전체적인 지형을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적의 발굴 · 보존 · 정비 · 복원 · 활용의 중장기계획 수립 및 정책연구 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고고학과 ICT 기술의 융합에 대해 소개하였다.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3D 프린터, 빅 데이터 등 최신 ICT 기술이 어떻게 고고학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ICT 전문가나 관련 교육을 받지 못하더라도 손쉽게 ICT 관련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과 장비, 방법 등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ICT 기술을 이용한 고고자료의 활용은 대중들의 고고학에 대한 이해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고학과 ICT 기술 융합의 목표인 문화콘텐츠 및 고고자료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문화콘텐츠의 정의와 고고학 관련 문화콘텐츠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고고자료를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의 확산을 위한 방법을 고민해 보았다. 먼저 대중고고학을 이용하여 일반인들에게 적극적인 접근을 할 필요가 있으며 고고학 소재의 콘텐츠에 고고학계가 자문과 같은 행동을 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전문적인 고고학 지식을 가지고 ICT 기술과 같은 디지털 분야를 활용할 수 있는 인재의 육성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교육의 다양화를 이야기 할 수 있다. 기존의 학제를 유지하는 동시에 2 트랙 전략으로써 IT · ICT와 같은 과목을 학습하여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과 사고를 기르는 것이다. 이것은 체계화된 고고학적 이론 교육을 바탕으로 IT · ICT의 실용적 지식에 대해 교육을 받음으로써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함이다. 이런 2 트랙 전략은 고고학뿐만 아니라 새로운 분야로 도전할 수 있는 동기를 학생들에게 부여해 줌으로써 고고학 관련 전공자들의 졸업 후에 있어서 폭넓은 진로설정 및 취업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교육받은 고고학 전공자가 있다면 디지털 데이터 획득 및 연구과정에서 고고학자들이 충분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학제 간 통합 · 융합연구를 위한 상호보완적인 피드백으로 더욱 발전적인 교육과 연구를 지향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일어나고 있는 대중고고학에 대한 관심은 우리나라의 고고학은 그동안의 발굴조사에 치우쳤던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할을 찾아야만 한다는 것에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의 암묵적인 동의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ICT 기술은 고고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일 끌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며, 고고학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방법은 콘텐츠일 것이다. ICT라는 새로운 기술을 가져도 그 밑바탕에 고고학적 요소가 있어야만 수준 높은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고고학계도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체질을 변화시켜야만 된다고 생각한다. 발굴전문기관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들과 소통하여 고고학이라는 학문적 활동을 이용하여 얻은 지식과 가치를 널리 퍼트려야 할 것이다. 고고학계도 기존의 박물관 위주였던 콘텐츠 제작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에서는 고고학적 지식과 ICT 기술을 가지고 문화콘텐츠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여 다양한 분야에 고고학적 지식을 가진 재원을 공급해야 한다. 대중성을 갖추지 못한 학문은 사장될 수밖에 없다. 고고자료의 문화콘텐츠 개발은 대중들에게 고고학이라는 학문이 무엇인가를 알릴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자 고고학을 중흥할 수 있는 새로운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앞으로 고고학계의 다양한 논의와 관심, 그리고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 연구

        강혜원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고학은 유적과 유물의 발굴 및 분석에 기반을 두고 인류의 과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연구 과정에서 생산되는 자료와 고고학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러한 자료와 성과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체계가 아직 부족하여, 최근 디지털 전환이라는 화두와 함께 고고학 디지털 아카이브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고고학사전이 고고학 지식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출발점이자 다양한 자원을 연계할 수 있는 매개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식과 자료가 서로 소통하는 백과사전적 아카이브’를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 전환 모델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학술적 지식, 유적 조사 및 연구 활동, 시공간 정보를 아우르는 고고 학술정보의 맥락, 연구 성과의 활용 및 확산 과정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자원들이 지식 네트워크로 이어지는 디지털 아카이브 모델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고고학사전의 발간 현황, 항목 구성 및 온라인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여, 사전에 담긴 고고학 지식정보의 내용을 파악하고 온라인 서비스상에서 개선해야 할 과제를 도출하였다. 한국고고학사전은 고고학 관련 개념과 용어를 망라한 국내 유일의 전문사전이지만, 현재의 온라인 서비스는 텍스트 위주로만 제공되는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어 자료의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지 못하다. 따라서 아날로그 사전의 콘텐츠를 온전히 디지털로 이전하고, 사전에 담긴 지식정보 및 관련 자원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데이터의 편찬이 필요하다. 국내 온라인 전문사전, 고고학 데이터베이스, 시맨틱 데이터 기반 아카이브의 선행사례를 연구한 결과, XML 전자문서 제작, 데이터베이스 구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연계, 온톨로지 기반 시맨틱 데이터 구축 등 아날로그 사전의 디지털화 과정과 디지털 전환 모델 이행에 참고할만한 유용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화를 위한 데이터 모델과 시맨틱 데이터 기반의 고고학 지식정보 아카이브를 구현하기 위한 온톨로지 설계의 두 가지 단계로 본 연구의 목표를 구체화하였다.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화를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는 사전의 항목 유형별 표준화된 집필 형식을 수립하고, 원시자료를 기계가독형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XML 전자문서를 설계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이어서 XML 전자문서와 메타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였다.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 전환 모델인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맨틱 모델링의 방법을 통해 한국고고학사전 온톨로지를 설계하였다. 이 온톨로지는 유구 정보, 조사 내역, 출토 유물, 소장처 정보, 현장 조사·연구·전시 등을 기록한 참고문헌과 웹자원 및 디지털 어셋 정보 등 고고 학술정보를 구성하는 다양한 층위의 요소와 유관 자원 사이의 의미적 연관관계를 명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온톨로지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 사례를 통해,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활용 방안을 사전 항목의 다각적 연계, 고고학 지식정보의 확장, 시공간 정보 탐색, 유관 자원의 연계, 인공지능 기술의 접목을 통한 응용 도모 등의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모델은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화 과업을 완수하여 온라인 서비스를 개선하고, 항목 간의 연계를 통해 고고학 지식정보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게 한다. 시간적·공간적 정보도 명시적으로 기술하여 관련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술 문헌 및 디지털 자원에 접근할 수 있어 고고학 지식정보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 모델은 기존의 지식정보 서비스와 데이터 리포지토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연구자 간의 협업과 데이터 공유를 촉진하는 고고학 지식정보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시맨틱 데이터는 인공지능이 복잡한 고고학 지식정보를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되어 새로운 연구와 활용의 가능성을 도모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trategy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and to design a data model to implement it. Archaeology, based on the excavation and analysis of relics and sites, requires systematic management and sharing of research data and information. However, in Korea, efficient systems for sharing such academic data and resources are still lacking, leading to ongoing discussions about the necessity of a digital archive for archaeology with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accessing archaeological knowledge and as a medium for linking various resources.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an “encyclopedic archive” as a model for the dictionary’s digital transformation. This model aims to create a digital archive where fundamental elements of archaeological information and various resources produced during research activities are interconnected into a knowledge network. First, the publication status, content structure, and online service status of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were analyzed to identify necessary improvements. Despite being the only comprehensive dictionary in Korean archaeology, the current online service is basic and text-centered, limiting accessibility and usability. Therefore, digitalizing the entire analog content of the dictionary and compiling digital data to support the efficient exploration of information and related resources is essential. By studying online dictionaries and encyclopedias, archaeological databases, and semantic data-based archives, valuable insights were identified into XML documents, databases, GIS-based spatial data integration, and ontology-based semantic data necessary for digitaliz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dictionar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detailed into two stages: data model design for the dictionary’s digitalization and semantic ontology design for the dictionary’s digital transformation. The data model design for the digitalization of the dictionary involved establishing standardized formats for each entry type and designing the structure of XML documents to completely convert the original analog dictionary into a machine-readable format. A database schema was then designed to systematically manage these XML documents and metadata. To implement the semantic data archive, an ontology for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and related archaeological information and resources was designed. This ontology explicitly represents the relationships among various elements of archaeological information, such as archaeological sites, surveys and excavations, artifacts, exhibitions, academic events, and related web resources and digital assets. Utilizing this ontology, the practical uses of the semantic data archive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linking dictionary entries, expanding archaeological knowledge, exploring temporal and spatial information, connecting related resources, and enabling AI applications. The proposed data model not only completes the digitalization task of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enhancing the online service, but also facilitates the seamless exploration of archaeological knowledge through interconnected entries. Explicit temporal and spatial information provides access to related data, and the availability of various academic and digital resources enables a deeper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knowledge. This digital transformation model serves both as an information service and a data repository, promoting collaboration and data sharing among researchers, and can evolve into an archaeological information platform. Additionally, the semantic data can be utilized as effective training data for AI, opening up possibilities for new research methodologies and applications.

      • 동시대 예술의 미디어 고고학적 해석 : 전(前)영화사적 광학 장치를 중심으로

        신형섭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media archaeology, a diachronic study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and media, and analyze artworks based on the art theory derived from media archaeology.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artists before the emergence of film in 1895 who used various optical instruments as motifs for their works. Media archaeology recently emerged as a new methodology for studying artistic practices. As such, media archaeology needs to be expand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explained in the context of key trends of contemporary art. The main body of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factors that triggered discussions on media archaeology, as well as related issues. The findings suggest that media archaeology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media, even though it mainly concerns itself with analogue media and those that came before them. This part presents the gist and issues of media archaeology that penetrate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Media archaeology constitutes a key research theme in two circles: the German media theory, which analyzes contemporary media with focus on hardware and technologies; and the new film history theory, which explores the history of equipment and technologies in cinema. The German media theory and the new film history are based on materialistic media analysis and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This study overviews the key points of the theories by focusing on the arguments put forward by scholars who represent the respect theories. The following paragraphs explain the art trends and the types of artistic practices as interpreted from the media archaeology perspective. These artists work with materials such as abandoned electronic devices, cultures out of fashion, and old records, by reviving them with unique technologies. Such artworks are called ‘zombie media,’ because these media have returned from death. Lastly, this study proposes new types of works distinguished from zombie media, and assesses the possibility of in-depth expansion of media archaeology. The artists mentioned in this part creatively revived ancient optical devices and the cultures and history associated with those devices by connecting them with contemporary technologies and artistic trends. In new film history studies, precinema instruments and optical devices used as painting aids or for observation of nature are called “precinema optical devices”. This study focuses on eight artists and their major works, along with a small number of other artists for comparison. While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types of media archaeology art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dds three new types based on the different times of emergence and types of the technologies and the need for new production methods. In addition, as the means of interpreting the artists’ achievement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trends beyond the media archaeology art theory, this study relies on the concepts of remediation and post-production. Remediation explain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old and new media associated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re are two strategies for remediation: immediacy and hypermediacy. Media archaeologists create multi-layered interface structures between old and new media and between media and humans as their aesthetic strategies. This approach shows that they employ the hypermediacy strategy.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ntemporary art trends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post-production. Originating from the film industry, the concept is widely used as a means of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that is, the use of already completed art work and cultural productions as material and subject matters for new proj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phenomenon surrounding art and technology. Underlying this study is the intention to distinguish between the value of novelty in the context of stellar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the new sensations encouraged by new technologies. This study also seeks to prove that, in art, novelty can be expressed by reviving old or forgotten technologies from the past. In other words, media archaeology and the media archaeology art theory are aimed at taking a wider and more nuanced view of technologies, and contempla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 dart. This study seeks to show that media archaeology holds relevance beyond its theoretical contributions, because it evokes viewers’ imaginations beyond common beliefs and stereotypes, and provide artists with inspiration and motivation for creating new works. In this sense, while this scop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media archaeology art and precinema optical devices, it may be linked with the issue of media in art and other fundamental and critical questions about novelty in art. 본 논문은 기술 미디어의 역사를 통시적 시각으로 연구한 미디어 고고학 이론을 소개하고 이론에서 파생된 예술론을 통한 예술 작품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 분석 대상은 1895년 등장한 필름 영화를 기준으로 그보다 이전에 등장했던 여러 광학 장치를 모티브로 제작하는 예술가와 작품들이다. 이는 최근 미디어 고고학이 예술적 실행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상함에 따라 기존의 미디어 고고학 예술 연구의 질적, 양적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동시대 예술의 주요 흐름 속에서도 설명이 요구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문은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미디어 고고학의 논의를 촉발한 시대적 배경과 학문적 전통 그리고 주요 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디어 고고학은 아날로그 미디어를 포함 그 이전의 모든 오래된 미디어를 주된 대상으로 하지만 역설적으로 지금의 디지털 미디어 등장과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논문 전체를 관통하는 미디어 고고학 이론의 내용과 문제의식을 논의하게 된다. 미디어 고고학은 현재 미디어를 분석하는데 장치와 기술을 중심에 두고 연구하는 독일계 매체 이론과 영화학에서 영화를 이루는 장치 기술의 역사를 탐구하는 신(新)영화사 연구 두 분야의 주요한 연구 주제이다. 독일계 매체 이론과 신영화사의 연구는 공히 유물론적 시각의 매체 분석과 고고학적 역사 이해를 기초로 하는데 각 분야를 대표하는 학자의 주장을 중심으로 주요 논제를 정리했다. 다음은 미디어 고고학의 방법론으로 해석한 예술 작품의 동향과 실천 유형을 설명했다. 이 분야 예술가들은 주로 폐기된 전자기기, 유행이 지난 문화, 오래된 기록물 등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며 이들을 독창적 기술로 되살리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이런 방식으로 되살아난 예술 작품은 죽음으로부터 구원받은 미디어라는 의미로 좀비 미디어라 명명된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연구된 좀비 미디어와 구분된 새로운 유형의 작품을 제시하고 이것으로 미디어 고고학 예술론의 깊이 있는 확장성을 타진해 보았다. 논문에 제시된 여러 사례는 고대의 광학 장치와 이를 둘러싼 문화와 역사를 현대의 기술과 현대의 예술적 흐름에 접목하여 창의적으로 되살리는 작업을 하는 예술가와 작품이다. 필름 영화 이전에 상영회와 회화의 보조 도구 또는 자연 과학적 관찰용으로 고안되었던 광학 장치를 통틀어 신(新)영화사 연구에서는 ‘전(前)영화사적 광학 장치’라 부르고 있다. 모두 8명의 예술가를 선별하여 이들의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기술하되 비교를 위하여 소수의 다른 작가도 포함했다. 분석 방식은 선행 연구된 미디어 고고학 예술의 유형을 기초로 하고 있으나 기술의 등장 시기와 종류가 달라지며 새로운 제작방식이 요구됨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을 추가하여 서술하였다. 나아가 이들의 미학적 성취를 미디어 고고학 예술론 외에 동시대 예술의 흐름으로 해석하기 위한 장치로 재매개(remediation)와 포스트 프로덕션(post production) 개념을 빌어와 재분석을 시도하였다. 기술의 발전에 수반되는 오래된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의 상호관계를 설명한 재매개 개념은 크게 비매개와 하이퍼 매개의 전략적 특징으로 나누어진다. 미디어의 매개성을 최대한 드러내면서 과거와 현재의 미디어, 미디어와 인간 사이의 다층적 인터페이스(interface) 구조를 미학적 전략으로 구성한 예술가의 작업 방식은 미디어 고고학 예술이 하이퍼 매개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미디어 고고학 예술의 동시대적 흐름으로 설명하기 위해 포스트 프로덕션 개념과 연계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원래 영화제작의 후반 작업을 의미하는 포스트 프로덕션은 이미 완성된 예술 또는 문화적 생산물을 작품 제작의 소재와 주제로 활용하는 현대 미술의 특징을 설명하는 개념어로 널리 쓰이고 있다. 본 논문은 예술과 기술의 동시대적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눈부신 과학 기술의 발전 속에 예술에서 말하는 새로움의 가치를 기술의 새로움이 조장하는 감각적 새로움과 구분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 그리고 예술에서 말하는 새로움이 오래되었거나 잊힌 과거의 기술을 되살려 표현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려 했다. 이는 기술을 좀 더 광범위하고 섬세하게 살펴 예술과의 관계에 대해 성찰하자는 미디어 고고학과 예술론의 메시지이다. 연구를 통해 미디어 고고학은 이론으로서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상식과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상상력을 자극하고 예술가에게 작품 제작의 영감과 동기를 주기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천명하려 했다. 그런 차원에서 본 연구는 비록 미디어 고고학 예술과 전영화사적 광학 장치라는 제한적 분야에 한정되어 있지만, 결과적으로 예술에서의 매체의 문제 그리고 예술적 새로움의 근본적이고 비판적 질문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제국주의와 고고학 : 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김경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영국의 고고학은 19세기 중반부터 약 1세기에 걸쳐 학문의 한 분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고고학이 연구될 가치를 지닌 학과목으로 인정받게 된 시기는 유럽에서 제국주의 시기의 절정과 일치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세기 고고학의 발달과정과 학문적 순수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고고학을 19세기 제국주의라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산물로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둘의 관계를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의 지식-권력의 밀착관계에 관한 담론을 통해 접근하였다. 그 결과 19세기 고고학이 영국을 비롯한 서구열강들의 주도로 이루어져 피식민자의 참여가 배제된 ‘제국주의적’ 고고학이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이와 같은 정치적 목적을 가진 고고학적 활동이 본격화된 것은 르네상스 시대부터였다. 새롭게 재편된 국제관계와 정치체제에 따라 과거의 유산이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19세기에 이르면 고고학은 이전까지 옛것 연구 및 역사와 정확히 구분되지 않았던 상태에서 점차 제도화를 통해 하나의 분과학문으로 정착하게 된다. 특히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 이루어진 고고학 제도화의 원동력은 상당부분 19세기 후반의 변화하는 국내외적 상황에 발맞춘 것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으로 그리스와 이탈리아,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제국주의적 고고학 연구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고고학이 식민지배와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를 확고히 하는 학문외적인 목적에 이용되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19세기 중후반에 ??가디언(The Guardian)??지에 게재된 기사를 통해 고고학과 고대문명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 고고학의 제국주의적 이용, 프랑스와의 경쟁의식 등을 분석하여 언론의 제국주의 선전 양태를 살펴보았다.이러한 논의는 학문적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사이드의 주장을 고고학의 제국주의적 성격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논문은 고고학의 학문 외적인 정치적 성격을 근거로 고고학이 제국주의의 기획이자 수혜자라는 점을 주장한다.

      • 미디어 고고학 방법론으로 해석한 1990년대 한국 비디오 아트

        도혜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 한국 비디오 아트의 발전과 중요성을 미디어 고고학적 시각으로 검토한다. 미디어 고고학은 선형적인 진보를 거부하고 대안적 매체 유물론을 배경으로 발전하여 대안적인 미디어 역사와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접근은 미디어 역사의 파편적인 시간대를 살펴보고 과거의 미디어가 현재나 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기존 미디어 역사에서 소외된 미디어와 새롭게 침투할 지점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디어 고고학은 기술 문화와 미디어의 고유한 특성, 하드웨어를 이해하고자 한다. 나아가 예술가의 사례를 통해 미디어 고고학적 예술이 기술에 대한 상상과 독창적인 실험을 기반으로 함을 상기한다. 이에 본 논문은 1990년대 작가들이 기술과 미디어 문화에 참여한 방식을 분석하고 이 시기에 제작된 한국 비디오 아트 작품을 미디어 고고학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비디오 아트를 미디어 고고학적 예술로 해석하기 위해, 기존 미디어 고고학 이론가들의 주장을 살펴보고 미디어 고고학적 예술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어 구체적인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잊혀진 미디어와 매체적 시도를 발굴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디어 고고학의 특성을 시간성, 물질성, 실천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여기서 시간성은 미디어 역사를 비선형적으로 바라보며 파열의 지점을 탐구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심원한 시간으로의 확장과 토포스의 순환성으로 드러난다. 물질성에서는 기술 미디어를 지질학적으로 고찰하고, 아카이브로서 미디어를 바라보며, 미디어의 고유한 특성을 파고든다. 실천성에서는 기술적 상상과 예술적 상상을 기반으로 하여 접근하고, 예술가이자 고고학자의 개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천적 특징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본 논문이 기준으로 삼는 시간성, 물질성, 실천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비디오 아트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며, 비디오라는 매체가 미디어 고고학적 예술의 특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한다. 박현기는 자연물과 미디어, 비선형적인 시간대에서 발굴된 신구 미디어가 공존하는 구조적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비디오 아트의 등장 초기에 시도되었던 매체적 실험을 통해, 타임머신 미디어로서 비디오의 역할을 미디어의 고유한 물질성으로 드러낸다. 한편, 비디오 아트의 물질성은 김해민의 작품에서 가상의 이미지가 역설적으로 하드웨어를 강조하며 가시화되기도 한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한국 비디오 아트에는 예술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인해 미디어를 개조하거나 수제작하는 특징적인 움직임이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공성훈의 작품을 통해 기술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예술가-고고학자의 실천성을 탐구한다. 미디어 고고학을 통해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이론적 맥락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기존 한국 비디오 아트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한 부분을 조명하여 미디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에 고고학적인 방법의 적용을 통해 미디어 문화를 일종의 지층으로 간주하며, 그 안에 퇴적되어 있다고 간주되는 역사와 실천을 발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디어 고고학 예술의 시간성, 물질성, 실천성을 이해하는 동시에 대안적인 미디어아트 역사를 재구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Korean video art in the 1990s from a media archaeological perspective. Media archaeology rejects linear progress and evolves with alternative media materialism as its foundation, proposing alternative media histories and methodologies. This approach aims to uncover marginalized media and new points of penetration in conventional media history by exploring fragmented temporalities and investigating the impact of past media on the present and future. Additionally, media archaeology seeks to underst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media, and hardware. By examining the cases of artists, this study highlights that media archaeological art is based on imaginative and creative experimentation with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how 1990s artists engaged with technology and media culture and aim to view the Korean video art produced during this period through a media archaeological lens. To interpret Korean video art as media archaeological art, this study reviews the arguments of media archaeology theorist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rchaeological art. Through the analysis of specific works, it excavates forgotten media and attempts. To achieve this, the paper first analyzes the theory of media archaeology focusing on three key concepts: temporality, matter, and doing. On temporality, it begins by viewing media history non-linearly and exploring points of rupture in the timeline, extending into deep time and the cyclicality of topos. On matter, it considers technological media geologically, views media as an archive, and investigat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edia. On doing, it approaches based on technical imagination and artistic creativity, examining the practical features that arise from the intervention of the artist-as-archaeologist. Based on the criteria of temporality, matter, and doing,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s Korean video artworks, confirming that the medium of the video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rchaeological art in various ways. Hyunki Park demonstrate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here natural objects and media, as well as old and new media unearthed from non-linear temporalities, coexist. Additionally, early media experiments in video art highlight video’s role as a time-machine medium, emphasizing its inherent qualities. The materiality of video art is visualized in Haemin Kim’s works, where virtual images paradoxically emphasize the hardware. Since the 1990s, Korean video art began to show movements where artists actively modified or handcrafted media. Through the works of Sunghun Kong, this study explores the practice of artist-archaeologists based on technology and imagin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theoretical context through media archaeological art, shedding light on overlooked aspects of Korean video art studies and suggesting methodologies to expand the scope of media art studies. By applying archaeological methods, it considers media culture as a kind of stratum, in which history and practice are deposited, and seeks to excavate them. This approach aims to understand the temporality, materiality, and practice of media archaeological art and contribute to reconstructing an alternative history of media art.

      • 미셸 푸코의 고고학적 역사화 : 『말과 사물』에서 역사 개념을 중심으로

        김민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5

        This article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ital letters and history that Michel Foucault (1926~1984) proceeds with the archaeological historical painting in Order of Things. Considering that épistémè, which means the level of epistemological conditions in Foucault, is set to be the only one in an era,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eology and modern episteme becomes an issue. In order to answer whether archeology itself belongs to the modernity that archeology criticizes, it examines the meaning of capital letter-history, the meaning of archaeological historic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eology and modernity in order. Foucault's archaeological work is summarized in this study as Historicalization of history'. Foucault's discussion of criticism of modern knowledge in Order of Things is the point where the history that Foucault presents and executes through archeology and the concept of the subject of modern philosophy intersect with the concept of history presented as intimate. By distinguishing between ‘History' and 'historical a priori', and by distinguishing the overlapping historical concept of History called historical a priori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wo, the discussion on the archeology of Order of Things is transcendent In the discussion of the side, I intend to expand it to the dimension of History. “Capital letters-history” (Histoire) is a concept proposed by Foucault as an episteme of modern Europe in Order of Things, and is an epistemological field that forms the apriori of European knowledge. This concretely constitutes a certain form of recognition of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at this time means ‘finitude' requested by ‘fundamental historicality'. The modern episteme was fo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human finiteness, and the human being constructed in this way was capitalized-historical in that it was a historical human. Modern knowledge is criticized because it presupposes this human concept. “Archaeological historization” refers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nscendental subject suggested by Kant into an episteme, an area where historicality and human finiteness are related. Foucault carries out archaeological historicalization by examining capital letters-history. As a result, the a priori presented by Kant is super-historical inside the concept, but through archaeological historicalization, it becomes historical as it is transformed into a layer that encompasses experience in a different meaning from individual experiences. This archaeological historization lies between two aspects corresponding to the historicality fundamentally given to modern times. Archeology belongs to the existing modern era in that it does not advocate a new episteme, but it is not the same as the History (in a narrow sense) that seeks completion and progress through a return to origin. Rather, Foucault's philosophy belongs to the series of modern knowledge that attempts to destroy the origin in that he works to break the necessity of philosophy based on origin through archaeological historicalization. Foucault's archeology shows that these two seemingly different branches have the same roots in the layer of Episteme with historicity as the fundamental code of existence. In conclusion, Foucault's archeology and History are not the same. Archeology practice accidental and historical work that is also linked to the concept of “criticism” of the late Foucaul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character that characterizes Foucault's philosophy after Order of Things and the historical character Foucault suggested as the fundamental code of modern existence must be reconfirmed by extensively examining Foucault's discussion. 이 글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가 『말과 사물』에서 진행하는 고고학적 역사화와 그 작업의 대상인 대문자-역사의 관계를 확인한다. 푸코에게서 인식론적 조건의 층위를 뜻하는 에피스테메가 한 시대에 단 하나인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고고학과 근대 에피스테메의 예속 관계가 쟁점이 된다. 고고학이 비판하는 근대성에 고고학 자신도 속하는지에 대답하기 위해, 대문자-역사의 의미와 고고학적 역사화의 의미, 그리고 고고학과 근대성의 관계를 차례로 검토한다. 푸코가 행하는 고고학적 작업을 이 연구는 ‘대문자-역사의 역사화’로 요약한다. 푸코가 『말과 사물』에서 전개하는 근대 지식 비판 논의는 푸코가 고고학을 통해 제시하고 실행하는 역사와 근대 철학의 주체 개념과 긴밀한 것으로 제시되는 역사 개념이 교차되는 지점이다. ‘대문자-역사’와 ‘역사적인 아 프리오리’를 구분하고, 양자의 접점에서 ‘대문자-역사라는 역사적 아 프리오리’라는 중첩적인 역사 개념을 구분함으로써 『말과 사물』의 고고학에 관한 논의를 초월론적 측면의 논의에서 대문자-역사의 차원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대문자-역사’(Histoire)란 푸코가 『말과 사물』에서 근대 유럽의 에피스테메로서 제시하는 개념으로, 유럽 지식의 아 프리오리를 이루는 인식론적 장이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인간이라는 특정한 인식 형식을 이루는데, 이때의 인간은 ‘근본적 역사성’에 의해 요청된 ‘정초적 유한성’을 뜻한다. 역사성과 인간 유한성의 관계 속에서 근대의 에피스테메가 형성되었고, 이렇게 구성된 인간은 역사적 인간이라는 점에서 대문자-역사적이었다. 근대의 지식은 바로 이 인간 개념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된다. ‘고고학적 역사화’(archeological historization)란 칸트에게서 제시된 초월론적 주체를 역사성과 인간 유한성이 관계 맺는 영역인 에피스테메로 전환함을 가리킨다. 푸코는 대문자-역사를 검토함으로써 고고학적 역사화를 실행한다. 그 결과, 칸트가 제시하는 선험성은 개념 내부적으로는 초역사적지만, 고고학적 역사화를 통해 개별적 경험들과는 다른 의미의 경험성을 포괄하는 층위로 전환되면서 역사적이게 된다. 이 고고학적 역사화는 근대에 근본적으로 주어진 역사성에 대응하는 두 가지 양상 사이에 놓여 있다. 고고학은 새로운 에피스테메를 주창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기존의 시대인 근대에 속하지만, 기원으로의 회귀를 통해 완성과 진보를 꾀하는 (좁은 의미의) 대문자-역사와는 같지 않다. 오히려 푸코의 철학은 기원에 근거한 철학의 필연성을 고고학적 역사화를 통해 끊어내려는 작업을 한다는 점에서 기원을 파괴하려는 근대 지식의 계열에 속한다. 푸코는 고고학을 통해 겉으로는 서로 다른 이 두 갈래가 에피스테메의 층위에서는 역사성을 존재의 근본 코드로 하는 동일한 뿌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푸코의 고고학은 대문자-역사와 같지 않다. 부동하고 초역사적인 대문자-역사와 거리를 두고, 푸코 말기의 ‘비판’ 개념과도 연결되는 우연적이고 역사적인 고고학을 실행한다. 다만, 『말과 사물』 이후의 푸코 철학을 특징짓는 역사적 성격과 푸코가 근대의 존재의 근본 코드로 제시한 역사성과의 관계는 푸코의 논의를 확장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다시 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 비판전략으로서 푸코의 ‘외부의 사유’에 대한 연구

        김주환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3

        Positivism have been a mainstream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for a time. But Positivism has no room for exercising critique, for it excludes the problems of value and obligation from the area of sciences. For that reason, social sciences have been developed under the situation of losing the linkages of theory and practice, method and critique. But the specificity of Foucault's works is that it don't lose the strains of critique, although Foucault's works take intensively positivistic figures. My thesis pays attention to that specificity. And it aims at understanding how method and critique work and what contents method and critique have in the Foucault's specific case. This thesis see the theme of ‘the thought of outside(la pensee du dehors)' as the common principle and linking point of the critique and method. For that reason, this thesis concentrates on functioning the ways of ‘thought of outside' operating in the Foucault's critical works and methods. On the level of analysis, the theme of ‘thought of outside' consists of two main phases. One is ‘the transgression on the limits' and the other is ‘the bracketing off the systems of meanings, values, recognitions of one's own culture'. From the former, the ethos of the Foucauldian ‘critique' is derived. And from the later, the logic of rigidity in ‘method' is derived. In other words, ‘the thought of outside' is an attempt to locate methodologically the place where we can think outside the limit of us; the cultural systems of the meanings, values, recognitions of our time and grammar of the critique which makes these limits relate and question. Foucault named ‘critical ontology of ourselves' for his studies. In this sense, Foucault's works are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mits and historical a priori which envelop us empirically. Then based on that result, it searches for the rooms of transgressing and going beyond these limits. In order to perform these works, at first, we need methodologies which can investigate these limits. At the same time, these methodologies must be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can be served for us to investigate and criticize our culture at the outside of our culture. Those called the methodology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as Foucault constructed in this context. Constructing the methodologies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as a thought of outside can be performed through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work of refining the languages, concepts and thinking frames for the study from the one's own cultural and conceptual ground. The seconds stage is the work of reconstructing new languages, concepts and thinking frames for the study, based on the first work. At the methodologies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a set of categories concerning subjectivity, for instance the concepts of continuity, totality, origin, are removed. Instead, those methodologies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are forming the principles of reversal, discontinuity, specificity, exteriority and establishing the objects, concepts and strategies of study. Methodologies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have the purpose to conceive the systems of the meanings in outside and recognitions at the cultural background familiar to investigators. Because of these reasons, they can served to think differently and problematizise about the things which have been familiar and natural to us. In this point, those methodologies offer us a lot of potentialities for new standpoints and critiques of society. ‘The thought of outside’ as a logic of critique and principle of method, provides sociology with rich usefulness, especially, in the following two dimensions. First, it offers new grammar of critique. Second, it can be rich and useful resources for minorities' politics. The logic of main critiques requires the ‘legitimacy' as a ingredient element. It takes the forms of self-reflection which operates on the straining relation of critique and legitimacy. But Foucault's logic of critique takes the form of transgression on the whole limits including the claim of the legitimacy. It purpose to think not about returning to oneself unceasingly by self-reflection but about going beyond to the outside of oneself. In these senses, Foucault's thought of outside enlarges the areas of critical social sciences through offering new grammar of critique to us. Besides, thought of outside can serve to flourish the politics of minorities. Because the thought of outside is an attempts to operate the critical thought through ‘thinking differently’, it can be a counterpart of the systems as another main stream of society. In these senses, thought of outside can be the useful resources for minorities who had to be silenced their voices. 한동안 실증주의는 사회과학의 주류적 방법론이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실증주의는 가치와 당위의 문제들을 과학의 영역에서 배제하기 때문에 실증주의에는 비판의 계기가 단절되어 있다고 논의된다. 이에 따라 대체로 사회과학은 한동안 이론과 실천, 방법과 비판의 체계적인 연관이 이완된 채 전개되어온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푸코의 작업들은 그 스스로도 인정하듯이 실증주의적 면모들을 강하게 보이면서도 비판의 긴장을 놓치지 않고 있다는데 그 특이성이 있다. 본고는 이점에 주목하면서 푸코에게 방법과 비판이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에게 방법과 비판은 어떤 내용을 가지는 것인지를 이해해보고자 하는 논의이다. 본고는 푸코의 작업들에서 비판과 방법의 공통적인 원리가 되면서 그 둘을 연관시켜주는 것이 ‘외부의 사유’의 원리라고 파악한다. 때문에 ‘외부의 사유’라는 테마가 푸코의 비판 작업들과 그것을 위한 방법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것이 본고의 논의의 중심을 이룬다. ‘외부의 사유’라는 테마는 분석적인 차원에서 ‘한계에 대한 위반’과 ‘자신의 문화적 의미, 인지, 가치체계에 대한 괄호치기’라는 두 가지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이때 ‘한계에 대한 위반’의 측면에서 ‘비판’의 에토스가, ‘자신의 문화적 의미, 인지, 가치체계에 대한 괄호치기’의 측면에서 ‘방법’의 엄밀성의 논리가 도출된다. 즉 ‘외부의 사유’는 우리의 존재의 한계, 예컨대 우리 시대와 사회의 문화적 의미, 인지, 가치 체계 외부에서 사유하려는 방법론적 위치지움의 노력이자, 그럼으로써 그러한 한계들을 상대화시키고 의문에 붙이게 해줄 수 있는 비판적 작업의 문법이기도 하다. 푸코는 자신의 연구 작업들을 ‘우리 자신에 대한 비판적 존재론’이라고 명명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푸코의 작업들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한계들, 즉 역사적 선험성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바탕해서 그것들을 위반하고 넘어설 수 있는 여지를 찾으려는 노력이다. 이러한 작업들을 위해서는 우선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역사적 선험성들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법론은 자문화의 외부에서 자문화를 연구하고 비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러한 방법론으로서 푸코가 구성하는 것이 고고학적 방법론과 계보학적 방법론이다. 외부의 사유를 위한 고고학적 방법론과 계보학적 방법론의 구성 작업은 다음의 두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첫째, 연구를 위한 이론적 언어들 및 개념들 그리고 사유틀을 자신의 문화적, 개념적, 사유 지평으로부터 정제해내는 작업. 둘째, 이에 바탕하여 새로운 이론적 언어들 및 개념들 그리고 사유틀을 재구성하는 작업. 이러한 작업을 거쳐 구성된 고고학적 방법론과 계보학적 방법론에서는 일체의 주관성 범주들, 예컨대 연속성, 총체성, 기원 등의 범주군들이 제거된다. 대신 그것은 전도의 원리, 불연속의 원리, 특수성의 원리, 외재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연구 대상 및 개념들 그리고 연구 전략들을 마련한다. 외부의 사유로서 고고학적 방법론과 계보학적 방법론은 연구자에게 친숙한 자문화의 의미 및 인지 체계의 외부에서 사유하려고 한다. 때문에 그것은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볼 수 있게 해주고 친숙하고 당연시되어왔던 것들을 문제화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듯 외부의 사유는 그 동안 비판되지 않은 채 우리가 특정한 방식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규정하고 있던 요소들을 드러내주고 문제에 붙인다는 점에서 사회 비판을 위한 풍부한 잠재력이 있다. 푸코의 비판 문법이자 방법의 원리인 외부의 사유는 특히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사회과학에 풍부한 함의를 제공해줬다. 첫째, 새로운 비판 문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둘째, 기존의 과학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인 작업들에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주고 있다는 점이 그것들이다. 전통적인 비판 문법에서 비판은 항상 정당성 요구를 필요로 했다. 그것은 비판과 정당성이 긴장관계 속에서 자기를 반성하는 형태를 취한다. 하지만 푸코의 비판 문법은 정당성 요구를 비롯한 일체의 한계들을 넘어서서 위반의 사유를 펼치는 것이다. 그것은 자기반성을 통해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게로 회귀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외부로 향함으로써 끊임없이 다르게 사유하려는 것이다. 이런점에서 푸코의 외부의 사유는 우리에게 새로운 비판 문법을 제공해줌으로써 비판사회과학의 영역을 확대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외부의 사유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기존의 과학이 당연한 것으로 전제했던 여러 기준들에 도전한다. 이로써 방법론적인 차원에서 우리에게 과학 방법론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준다. 기존의 과학적 견해에 의해 소수자들의 지식과 목소리는 비과학적인 것으로 가치 절하되고 억압되어 왔다. 이런 점에서 소수자들의 목소리와 지식에 귀기울이는 외부의 사유는 과학, 과학적 지식의 본성 등에 대하 전면적인 문제제기를 통해 방법론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