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丙子胡亂 이후 朝淸關係 변화과정 - 歲幣 감축과정을 중심으로

        이동진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Jeongmyo and Byeongja War had a great influence on East Asia. The Qing Dynasty, the victorious nation, defeated the Joseon Dynasty, providing a foothold for a full-fledged war against Ming, along with stabilizing the rear. On the other hand, Joseon, the defeated nation, entered the Qing Dynasty under the order of the Qing Dynasty by se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 and Qing and establishing a four-way relationship with Qing. The biggest problem that came to Joseon realistically due to the defeat of the Byeongja War and the signing of a political contract was that it had to come up with huge amounts of Annual Recompense. Annual recompence was first demanded in the course of the invasion of Jeongmyo, and was only regularized by specifying it in the contractual contract as a result of the Manchu invasion. Immediately after the Manchu invasion, the cost of tax evasion was burdensome considering the amount of tax revenue of Joseon at that time. In addition to tax revenues, the government had to prepare the discharge because the target was changed from Myeong to Cheong, and the government's coercive control line policy made it more frequent to prepare a large amount of discharge. After all, the biggest problem that Joseon had to solve after the outbreak was economic problems. Tax cuts were carried out on a total of 10 occasions, reflecting the interests of the two countries. Joseon asked Qing for a reduction for economic reasons. Diplomatic efforts were able to obtain the reduction of gold and palace, not the indigenous products of Sejong-mi and Joseon, starting with the delay of two years by conveying difficulties immediately after the Byeongja Invasion. On the other hand, Cheong had a strong purpose of solving economic difficulties through tax evasion from the time of the Jeongmyoho Rebellion to the time of the entry into the military. However, the successful entry of the government raised the status of the emperor, and the reduction of tax revenues was also part of the easing of the existing policy of coercion due to internal political changes. Since then, Qing has reduced tax revenues by emphasizing political achievements or events such as raising the title of emperor, John Ho, the decree, and the proclamation of peace. This occurred from the political backgrou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it also showed that the Annual Tributary Payments was converted into a tribute,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office was stabilizing. Meanwhile, the tax exemption greatly reduced the cost of tax exemption for Joseon. However, the problem of tax cuts has not been solved completely, and there are still large and small problems separately from the cost of tax cuts. The most frequent occurrence was the criticism of Joseon's tax revenues for poor quality, especially those that were criticized most frequently. The reason for the poor quality of Annual Tributary Payments was the transition of the method of preparation from the colonization to the Daedong method. The cost of transporting Annual Tributary Payments was also economically burdensome. However,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Act, administrative problems arose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along with the decrease in the quality of tax revenues. Although the cost of preparing Annual Tributary Payments was previously dedicated to Hojo, it was dualized into Hojo and Seonhyechung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Act, and in the process, the financial burden of Hojo increased. In the end, the overall tax reduction cost was greatly reduced due to the tax exemption of the Qing Dynasty, but it was not smoothly prepared due to economic and administrative problems caused by the internal tax reduction of the Joseon Dynasty. Later, in 1732 (the 8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the method and process of preparation were maintained, and the Annual Tributary Payments was reduced a total of 10 times, but it was maintained in the Joseon Dynasty as a tribute. 정묘·병자호란은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승전국인 청(淸)은 조선(朝鮮)을 굴복시킴으로써 후방의 안정화와 더불어 본격적인 명(明)과의 전면전을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반면에 패전국인 조선은 명과 사대관계(事大關係)를 끊고 청과 사대관계를 맺음으로써 청의 질서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병자호란의 패전과 정축약조(丁丑約條)의 체결로 인해 조선에게 현실적으로 다가온 가장 큰 문제는 막대한 세폐(歲幣)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세폐는 후금이 정묘호란 화의 과정에서 최초로 요구했던 것으로 병자호란 결과인 정축약조에 명시함으로써 비로소 정례화되었다. 병자호란 직후 세폐의 비용마련은 당시 조선의 세입량을 고려해볼 때 부담스러운 양이었다. 또한 세폐와 더불어 방물 역시 명에서 청으로 대상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마련해야 했으며, 더구나 청의 강압적인 대조선정책으로 인해 사행의 횟수가 잦아져 방물 역시 많은 양을 마련해야 했다. 결국 병자호란 이후 조선이 해결해야 하는 가장 큰 문제는 경제적 문제였다. 세폐는 총 10차례에 걸쳐서 감면이 진행되었는데 이때 양국의 이해관계가 반영되어 진행되었다. 조선은 경제적인 이유에서 청에 감면을 요청하였다. 병자호란 직후 당장 마련하기 어려움을 전달하여 2년 늦춘 것을 시작으로 세폐미(歲幣米)와 조선의 토산품이 아닌 황금과 궁각의 감면을 외교적 노력으로 얻어 낼 수 있었다. 반면에 청은 정묘호란 이후부터 입관 전까지 세폐를 통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이 강했다. 그러나 입관에 성공하면서 황제국의 지위에 올랐으며, 경제적 기반을 확보와 더불어 내부의 정치적 변화로 인해 기존의 강압책으로 진행된 대조선정책이 완화되어 세폐 감면 역시 완화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청은 황제즉위(皇帝卽位), 존호(尊號)를 올리거나 존시(尊諡), 조칙(詔勅), 평정교서(平定敎書)를 반포하는 등의 정치적으로 달성하거나 행사가 있을 때 이를 강조하면서 세폐를 감면해주었다. 이는 곧 청의 입장에서 입관을 달성한 이후부터는 정치적인 배경에서 발생한 것이며, 세폐가 조공품으로 전환되어 조청관계가 안정화에 접어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한편 세폐 감면으로 인해 조선은 세폐 마련비용이 크게 줄게 되었다. 그러나 세폐 감면으로 인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여전히 세폐 비용과 별개로 크고 작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가장 자주 발생한 것은 조선이 마련한 세폐에 대해 품질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지적을 받은 것으로 특히 세폐지(歲幣紙)가 가장 잦은 힐책(詰責)을 받았다. 세폐의 질이 떨어지게 된 원인으로는 마련방식이 결포에서 대동법으로 전환됨에 따라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세폐 운반비용 역시 경제적으로 부담되는 규모였다. 그러나 대동법을 시행했음에도 세폐의 질적 하락과 더불어 마련과정에서도 행정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세폐의 마련비용은 기존에 호조에서 전담하였으나 대동법 시행 이후 호조와 선혜청으로 이원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호조의 재정적 부담이 심화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결국 청의 세폐 감면으로 전체적인 세폐 마련비용은 크게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내부의 세폐 마련과정에서 나타난 경제적 문제와 행정적 문제로 인해 원활하게 마련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1732년(영조 8) 구체적으로 규정되었고 이때의 마련방식 및 과정이 유지되게 되었으며, 세폐 역시 총 10차례의 감면이 진행되었으나,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조공품으로써 이후 조청관계에서 유지되었다.

      • 역주《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이영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은 석지형(石之珩, 1610~미상)이 27세 때에 공부 원외랑(工部員外郞: 이하 工曹佐郞이라 함)으로 어가(御駕)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가서 겪은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은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년) 전의 배경에서 시작하여 1636년 12월 9일 청이 조선의 국경을 넘은 날부터, 이듬해 인조(仁祖, 1595∼1649)가 항복한 후 소현세자 등이 청에 압송될 때까지의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본 번역 논문인 《남한해위록》은 필사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며 간행된 해는 미상이다. 본 필사본은 1책 37장(74면)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1면부터 66면까지는 석지형이 직접 임금을 호종하고 남한산성에서 겪은 병자호란을 기록한 것이고, 그 나머지는 구봉 송익필(宋翼弼, 1534∼1599) 등의 시와 갑인년(1854, 철종5) 11월 29일 수원 유생들이 당시 경상도 관찰사 조석우(曺錫雨, 1810~1878)가 그의 고조부인 조하망(曺夏望, 1682∼1747)의 문집인 《서주집(西州集)》을 간행한 것에 대해 토죄하기를 청하는 통문(通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인 《남한해위록》은 병자호란 당시 27세의 공조 좌랑이었던 석지형(石之珩)이 남한산성에서 겪은 일을 기록하고, 난이 끝난 이듬해인 1638년(28세, 判官)에 자편(自編)하여 서문과 발문을 지어서 세상에 알린 것이다. 저자는 자신이 직접 쓴 서문과 발문에서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간 이후 자신이 목격한 사실들을 기록하여 후세에 전하려는 목적으로 이 책을 편찬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그 내용은 여진족이 금을 거쳐 청에 이르는 연원을 간략히 밝히고, 이어 정묘호란과 그 이후의 조선과 후금과의 관계 및 주화파와 척화파의 대립 양상을 기록하였다. 이어서 1636년 12월 병자호란의 발발에서부터 이듬해 1637년 11월까지, 왕실이 강화도와 남한산성으로 나누어 피난하게 된 상황, 남한산성에서의 방어와 청군과의 소규모 전투 내용, 남한산성에서의 군량 및 물자의 부족 상황, 청과 조선 사이의 강화회담의 진행 과정과 척화파 주화파 간의 대립 양상, 강화도 함락에 이은 인조의 항복과 환도, 이후 세자와 대군 및 대신들이 청으로 압송되는 모습 등을 시간 순으로 기록하였다. 특히 남한산성에 피난한 기간은 매일매일 날짜를 밝히며 일기 형식으로 기록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난 날인 1636년 12월 9일부터 이듬해 3월 6일까지는 12월 12일, 13일과 1월 7일, 8일을 제외하고 매일 썼으나, 그 이후 4월부터는 월별로 간략하게 기록하고 있다. 병자호란과 그 뒤 사후 처리에 관한 기록은 총 66면 분량이다. 이어서 67면부터 74면까지는 최초 필사자인 이운회(李雲會)가 추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논문을 번역함에 《남한해위록》과 관련이 없는 67면부터 74면까지는 제외함을 밝혀 둔다. 병자호란을 기록한 책은 《조선왕조실록》 중에서 《仁祖實錄》과 당시 대표적 척화파인 예조판서 김상헌(金尙憲)이 쓴 《南漢紀略》, 최명길의 《丙子封事》, 공조참의 나만갑(羅萬甲)이 쓴 《丙子錄》, 승려였던 법홍(法弘)이 쓴 《南漢紀略》, 석지형이 쓴 《南漢日記》와 《南漢解圍錄》, 그리고 이긍익이 쓴 《練藜室記述》의 제25권, 제26권, 남급(南?)의 《南漢日記》, 어한명(魚漢明)의 《江都日記》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김상헌이 쓴 《남한기략》은 필사본으로 1636년 12월 12일 저자가 고향인 경기도 양주의 석실(石室)에서 변보(變報)를 전문(傳聞)하였을 때부터 다음해 1월 삼전도(三田渡)에서 왕이 항복한 후 환도할 때까지의 사실을 일기체로 서술하였다. 《남한기략》은 산성의 수비 및 척화파(斥和派)·주화파(主和派) 사이의 알력을 척화파 입장에서 기술한 것이 특징이며, 병자호란 당시 조정의 동향과 주화파와 척화파의 대립·갈등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 받는다. 최명길의 《병자봉사》는 말 그대로 병자년의 상소문을 모은 책으로, 당시 척화파인 김상헌과 주화파인 저자 사이에 서로의 주장을 치열하게 전개해 나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남한기략》과 《병자봉사》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당시 척화파와 주화파는 비록 갈등관계에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적 이해관계가 아닌 나라를 아끼는 같은 마음에서 치열하게 서로의 주장을 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만갑이 쓴 《병자록》은 《白登錄》, 《丙子南漢日記》라고도 하며, 화의(和議)의 진행과 농성(籠城), 척화파(斥和派)의 화의 반대와 항복 등의 경과를 생생하게 기록하여, 병자호란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승려인 법홍이 쓴 《남한기략》은 필사본으로 1권 1책이며, 주로 남한산성 안에 있는 사찰의 연기(緣起)와 승군설치(僧軍設置) 등의 경위를 밝히기 위하여 쓴 것이다. 그러므로 병자호란과 산성제도(山城制度)·군사제도·승군(僧軍)에 관한 일 등을 알아보는 데 참고가 된다.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은 병자호란 관련 기록을 수집하여 모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남급의 《남한일기》는 석지형의 《남한해위록》과 유사하게 병자호란 당시의 기록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고, 더하여 강도관련 기사와 당시의 군권을 장악한 장수들의 공과를 서술한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1637년 1월 30일 인조가 항복하기 위해 출성할 때 남급도 함께 출성하여 당시 직접 목격한 것을 기록한 부분은 다른 어느 기록보다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석지형이 쓴 《南漢日記》는 청군의 군비상황과 부대배치, 적장의 인적 사항과 당시 남한산성의 전란방어책과 청군의 격퇴상황 등이 면밀히 기록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1992년 경기도 광주문화원에서 번역하였다. 어한명(魚漢明)의 《강도일기(江都日記)》는 수운판관이었던 저자가 병자호란 발발 직후 수운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강화도로 들어가려는 피난민들의 적나라한 모습을 경기도 김포의 통진 나루에서 직접 목격하고 생생히 증언 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강화도 일대에서 벌어진 피난 상황을 직접 기록함으로써 병자호란 당시의 이면 정황을 이해하는데 매우 긴요한 자료가 된다. 《남한해위록》은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년) 전의 배경에서 시작하여 1636년 12월 9일 청이 조선의 국경을 넘은 날부터, 이듬해 인조(仁祖, 1595∼1649)가 항복한 후 소현세자 등이 청에 압송될 때까지의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저자가 자신이 직접 쓴 서문과 발문에서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간 이후 자신이 목격한 사실들을 기록하여 후세에 전하려는 목적으로 이 책을 편찬하였다고 밝히고 있듯이, 그 내용은 가감 없이 왕실이 강화도와 남한산성으로 나누어 피난하게 된 상황, 남한산성에서의 방어와 청군과의 소규모 전투 내용, 남한산성에서의 군량 및 물자의 부족 상황, 청과 조선 사이의 강화회담의 진행 과정과 척화파 주화파 간의 대립 양상, 강화도 함락에 이은 인조의 항복과 환도, 이후 세자와 대군 및 대신들이 청으로 압송되는 모습 등을 시간 순으로 객관적으로 기록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병자호란에 대한 기록은 각기 자신이 처한 입장에 따라 기록하였으나, 본서처럼 처음부터 병자호란에 대해 사대부 지식인의 객관적인 입장에서 당시 조정 안팎 관원들의 무능과 기강의 문란에 대해 비판적 시각으로 자신의 입장을 피력하고, 이를 통해 후세에 경계로 삼고자 했던 편찬 의도를 가지고 기록한 것은 그리 많지가 않다. 따라서 본서는 당시 공조 좌랑이었던 당하관의 입장에서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사실을 기록한 것으로, 병자호란 당시 및 그 전후의 사정과 풍속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적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병자호란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관련 서술내용 분석 : 교육과정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남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동북아시아의 세 나라, 즉 한국, 중국, 일본은 영토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으며, 조선시대에도 큰 충돌이 있었다. 이 사건이 바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며, 두 사건은 조선 역사에서 전기와 후기를 나누는 중요한 기준이도 하다. 초등학교 역사 교육은 아동들이 역사를 처음 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교과서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전쟁에 관련된 역사 서술이 흥미 위주로 혹은 영웅을 중심으로 너무 서술되어 있지 않은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역사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초등학생들에게 올바른 역사인식을 심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역사 부분이 개정됨에 따라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서술양상의 변화를 외형분석과 내용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외형분석을 통해서는 교과서별 목차 구성과 교과서 전체 쪽수, 시각 자료의 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교과서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관련 서술의 행수가 조선 전기 전체에서 차지하는 분량을 백분율로 분석하여 그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내용분석을 통해서는 교과서별 등장하는 인물과 그 인물들의 서술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등장한 이순신 관련 내용을 자세히 파악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별로 일본과 청나라에 대한 서술 양상과 동아시아사적인 관점에서 명나라에 대한 서술 내용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교과서의 해석적 서술과 가치 판단적 서술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교과서별로 시각자료가 이미지적, 예증적, 설명적, 해석적 기능 중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임진왜란 관련 시각 자료의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조선 전기 전체 서술에서 임진왜란 서술 비율은 5차 교육과정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었다. 병자호란 관련 시각 자료 수는 상대적으로 임진왜란 자료 수보다는 적지만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서술의 양은 교육과정이 거듭될수록 많아지고 있었다. 둘째, 임진왜란 인물 서술에서는 이순신이 모든 교육과정 교과서에 등장하였으며, 이순신이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둔 내용을 공통으로 서술하고 있었다. 또한 병자호란 관련 등장인물은 교육과정이 진행될수록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광해군, 인조, 효종 등의 임금에 대한 서술 위주로 구성된 것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일본’을 지칭하는 용어는 교과서별로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 ‘일본’의 명칭에 대해서는 과거 명칭인 ‘왜’로 서술된 내용이 많았으나 최근의 교과서에서는 ‘일본’이라는 용어로 서술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청나라에 대해서는 일본에 대한 서술과 달리 그 용어를 ‘청나라’ 지칭하고 있는 교과서가 대부분이었다. 넷째, 최근의 교과서일수록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두 사건 모두 명나라 관련 서술 내용의 양이 많아지고 있었다. 이는 사건의 이해를 돕기 위한 관계사적 서술이 늘어난 것으로 보이며, 특히 2007 개정 교과서에서 두드러졌다. 다섯째, 임진왜란 관련 서술에서는 해석적 서술과 가치 판단적 서술이 많이 등장하고 있었다. 반면에 병자호란 관련 서술은 해석적 서술과 가치 판단적 서술이 임진왜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임진왜란 관련 시각자료는 교육과정이 거듭될수록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병자호란 관련 자료는 임진왜란에 비해 자료의 수와 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관련 서술에 있어서 인물에 대한 서술과 전쟁 이해에 대한 서술 비중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역사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자료 제시와 함께 다각적 시각에서 서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lately territorial conflict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Northeast Asia, and that was also the case for the Joseon Dynasty. The Imjin War and the Manchu War of 1636 took place in this region due to territorial problems, and the two incidents were major criteria to divide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Children usually start to learn about history in elementary school, and textbooks have a huge impact on their history learning. So it's needed to look into whether history textbooks describe history in a correct manner without overly leaning toward heroes or interesting incidents in order to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view of history isn't yet well established to have the right perspective about history. As the history section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rev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would be any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in the descriptions of the Imjin War and the Manchu War of 1636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tables of content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analyzed, and the entire number of pages and the number of visual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external changes in the textbooks, and how much weight was given to the two wars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was analyzed in percentage terms. And then a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figures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s about them. Among historical figures, Lee Sun-shin was described the most in the textbooks, and how the textbooks dealt with him was especially analyzed in detail. Besides, the aspects of descriptions on Japan and the Qing Dynasty were analyzed, and how the Ming Dynasty was described in association with the history of East Asia was analyzed as well. At the same time, the weight of interpretive descriptions and the weight of descriptions related value judgment were analyzed, and the function of visual materials was checked to see if the materials were used to present images, to give an example, to give explanation or to interpre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visual materials about the Imjin War was on the rise. But the percentage of descriptions on the Imjin War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continued to drop after it was highest in the 5th curriculum. The number of visual materials about the Manchu War of 1636 was relatively less than that of visual materials about the Imjin War, but there was a tendency for that to increase, and the amount of descriptions about this war was on the increase with curriculum revision as well. Second, as for descriptions on historical figures in the Imjin War, Lee Sun-shin appeared in the textbooks of every curriculum, and all the textbooks mentioned the great victory of the admiral.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the Manchu War increased with curriculum revision, and one noteworthy fact was that the textbooks centered around Prince Gwanghae, King Injo and King Hyojong in relation to this war. Third, the textbooks were all different in terms that designated Japan. Many of the textbooks called Japan 'wae,' which was the past name of Japan,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recent textbooks called the nation Japan. Unlike the case of Japan, the textbooks mostly called the Qing dynasty as it was. Fourth, there was more mention on the Ming Dynasty in association with the two wars in the recent textbooks. It seemed that the Ming Dynasty was more mentioned to let students have a better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incidents, and this phenomenon was more evident in the revised 2007 textbooks. Fifth, many of the descriptions of the Imjin War were interpretive and related to value judgment. In contrast, the weight of the two kinds of descriptions about the Manchu War tended to be less than that about the Imjin War. Finally, there was a tendency that a wider variety of visual materials were presented about the Imjin War with curriculum revision, and the number and diversity of materials about the Manchu War were less than those of materials about the Imjin War.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it's require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weight of descriptions on historical figures in the Imjin War and the Manchu War of 1636 and that of descriptions about the war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addition, a wide range of materials should be presented to improve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story should be described from diverse angles.

      • 초등 역사교과서 보완적 이해를 위한 박물관 유물 활용 학습 방안 : 국립 중앙 박물관 조선·대한제국실 중 16세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부분을 중심으로

        장석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66

        ABSTRACT A Study on Utilization of Museum Artifacts for Supplementary Understanding of Elementary History Textbooks -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hosun and the Korean Empire among 16th centur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anchu war of 1636- Jang Seok Ouen Major in Museu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oe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ion. The history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history has been explained mainly in the figures of political history. These narratives can make students feel like 'I can not do history' or 'A story far from me'. Because students can perceive that history is only a story of great people and heroes, and that it is not related to ordinary people. But history is the manifestation of the lives of so many people at that time. However, it is not showing in the textboo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complementarily the missing history in textbooks. One way to do this is to use museum artifacts. The relic is a living record containing many things such as people's thoughts, form and effort. However, simply observing artifacts does not mean that we can find many stories contained in it. Therefore, a specific method of learning relics is needed to guide students in discovering stories in relics. In this study, we use the seven relational approach of artifact - based understanding learning model and Hooper Greenhill to plan and plan lessons focusing on the three relics of Seungja chongtong gun, Three barreled gun, and Matchlock gun. Based on the artifact - based understanding learning model of Lim Ki - hwan and Kim Ok - jin, the researcher planned the five steps of learning, observation, reasoning, information expansion, contextualization and re - viewing. Level 1 is a process that creates a link between students and artifacts. The second step is to get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from the artifacts. To do this, I tried to trace the remains and answer the questions. In the third stage inference, it is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that can be known through the museum description label in relation to the relic. Read the museum's descriptive label carefully and answer questions from teachers and friends. In the fourth stage information extension,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tutorial presented by the teacher is confirme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rtifacts is broadened. In the contextual comprehension and re - viewing, we compare and compare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relics of the relics through the comparison of relics. In the meantime, there are few studies using museum artifacts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textbooks. In addition, research on the use of museum artifacts has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life of people at the time through objects such as relics related to the Neolithic Age, ceramics, costumes, and paintings. This researcher used Seungja chongtong gun, Three barreled gun, and Matchlock gun which are war weapons under the theme of war, to help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postwar Korea through efforts for the development of new weap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s a whole. In order to apply these museum learning model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Chosun Dynasty and the Imperial Palace of Korea During the 16th century. This study giv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 concrete methodology for complementary understanding of textbooks using museum artifacts is presented considering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we have organized the program with relics such as Seungja chongtong gun, Three barreled gun, and Matchlock gun. Third, the post-war Chosun efforts to develop new weapons were taught, and students were allowed to access a wider historical understanding of war. In this way, students are able to learn the history that is missing through artifacts. Key words: museums, relics, Utilizing relics, textbooks, supplementary understanding, Seungja chongtong gun, Three barreled gun, and Matchlock gu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anchu war of 1636 초등 역사교과서 보완적 이해를 위한 박물관 유물 활용 학습 방안 -국립 중앙 박물관 조선·대한제국실 중 16세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부분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 및 미술관교육전공 장 석 원 초등 역사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역사는 정치사 중심의 인물위주로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서술은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란 나는 할 수 없는 것’, ‘나와는 먼 이야기’로 느껴지게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역사라는 것이 위대한 인물이나 영웅들만의 이야기이고, 평범한 사람들과는 상관없는 일이라는 인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사는 그 당시 수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이다. 다만 교과서에서 보여주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교과서에서 누락된 역사상을 보완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 방법 중 하나로 박물관 유물을 활용할 수 있다. 유물은 당시 사람들의 생각, 모습, 노력 등 여러 가지 모습을 담고 있는 살아있는 기록체이다. 그러나 단순히 유물을 관찰한다고 해서 그 속에 담겨진 여러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학생들이 유물 속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유물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물 중심 이해 학습 모형과 후퍼 그린힐의 7가지 통합적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임진왜란·병자호란 전후 전쟁과 무기라는 주제 아래 승자총통, 삼안총, 조총의 3가지 유물을 중심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학습지를 구안하여 보았다. 임기환·김옥진의 유물 중심 이해 학습 모형 기반아래 본 연구자는 사전학습, 관찰, 추론, 정보확장, 맥락적이해 및 재관람하기의 5단계로 수업을 계획하였다. 1단계 사전학습에서는 학생과 유물간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주는 과정이다. 2단계 관찰에서는 유물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최대한 획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물 따라 그리기, 질문에 답해보기 등을 시도했다. 3단계 추론에서는 박물관 설명 레이블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를 유물과 관련지어 이해하는 것이다. 박물관의 설명 레이블을 꼼꼼하게 읽으며, 교사의 물음이나 친구들의 질문에 서로 답을 주고받는다. 4단계 정보 확장에서는 교사가 제시하는 학습지의 추가 정보를 확인하며, 유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5단계 맥락적 이해 및 재관람하기 에서는 유물 간 비교를 통해 유물이 가지는 당시의 시대 맥락이나 의미를 생각해보고, 재관람하며 자신의 역사인식을 점검해본다. 그 동안 교과서를 보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또한 이제까지 박물관 유물 활용 연구가 신석기 시대 관련 유물 유적이나, 도자기, 복식, 회화자료와 같은 물건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파악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전쟁이라는 주제아래 전쟁 무기인 총통, 삼안총, 조총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임진왜란·병자호란 당시 조선의 신무기 개발을 위한 노력과 이후 조선의 군사적 변화 등을 통해 전후 달라진 조선의 모습을 보완적으로 이해하도록 학습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박물관 학습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국립중앙박물관 조선·대한제국실 16세기 부분 중 임진왜란, 병자호란 전시부분을 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교과서의 보완적 이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하여 초등학생 수준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그 동안 치우쳐진 유물 활용 주제를 전쟁이라는 새로운 측면에서 총통, 삼안총, 조총이라는 유물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셋째, 전쟁 전후 조선의 신무기 개발을 위한 노력을 학습하며, 학생들이 전쟁에 대한 보다 확장된 역사 인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유물을 통해 누락된 역사상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역사인식이 확장되길 기대해본다. 주요어 : 박물관, 유물, 유물활용, 교과서, 보완적 이해, 승자총통, 삼안총, 조총, 임진왜란, 병자호란.

      • 정묘・병자호란기 조선 사대부의 전쟁관과 정치사상

        박영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paper analyzes the political thoughts and views on the war of the contemporary literati of Joseon by examining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debate of Cheok′hwa(argument boycotting the negotiation of peace with the enemy)-Juhwa(argument supporting the idea of pursuing peace with the enemy) discussed in the period of JeongmyoㆍByeongja wars. In general, previous studies understand the debate of Cheok′hwa-Juhwa in light of the dichotomy between political rationale and interest. Approaches that analyze the conflict between Cheok′hwa and Juhwa share a similar perspective. Recent studies evaluate the stance of Cheok′hwa as a rational attitude resulting from practical judgment about real politics rather than solely on political justification. On the other hand, some studies argue that loyalty toward the Ming dynas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omestic sovereignty authority in Joseon. Moreover, some studies view loyalty toward the Ming dynasty as a criterion between civilization and barbarism, arguing that the proponents of Juhwa essentially also agreed with the stances of Cheok′hwa. This paper agrees with the idea that the controversy formulated and developed in responding to the extreme wartime was based on a valid and practical judgment about actual politics, which was different from its superficial impression. Moreover, this paper agrees with the argument that loyalty toward the Ming dynasty won sympathy among most literati because this stance was regarded as grounded on moral values. However, the fact that the safety of the nation and people and the protec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s were crucial values that Confucians supported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order to deeply understand the debate of Chyeok′hwa-Juhwa, the historical background should be noted. Also,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and the political situation inside Joseon were reviewed. In addition, to understand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specific contents of this debate, the collections of works, appeals, and official observations of the literati who participated in the debate were analyzed. Not only the different opinions of literati but King Injo's perspectives, who was the highest decision-maker in the state administration, is also analyzed; thereby, the attempt to construe the situations of contemporary politics is made in multiple aspec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tance of Chyeok′hwa emphasized loyalty to the Ming dynasty, understanding loyalty, and truth as core moral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perspective of Juhwa used the nation's perseverance and stabilizing the people's livelihoods as important rationales, not denying the moral values of loyalty. Because of these differences, each stance's perspective concerning responding to wars was distinctive. The proponents of Chyeok′hwa argued that Joseon should risk wars to maintain loyalty to the Ming dynasty, although their position in war was significantly disadvantageous. However, the proponents of Juwha argued that Joseon could not conduct wars, and it was unacceptable to sacrifice the nation and the people for wars with no chance of winning. As well known, the stance of Chyeok′hwa was seriously criticized morally and politically, while the stance of Juhwa was acknowledged as a public opinion. As King Injo was not free from the pressure of public opinion, most literati supported the stance of Chyeok′hwa, except for minor officers in the Joseon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st chapter of the main body, the political thoughts of the literati were analyzed in light of the meaning of loyalty and justifying rationales. Also, the character of the people's ideas and public opinion as the ground for political validity was reviewed. In Confucianism, loyalty was possible for several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historical contexts. The loyalty to the Ming dynasty that the stance of Chyeok′hwa stressed based on values of loyalty and truth, was the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on which the society and civilization were established rather than merely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Ming dynasty. No less important than this, I think that protecting the survival of the country and the people and the stability of the people's livelihood was also an important traditional duty of Confucianism.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versy between Chyeok′hwa-Juhwa's stances was a debat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value evaluation and priority of values ​​for various loyalties in Confucian political thought. In the war situation, the stance of Chyeo′hwa took public opinion due to complex causes like the authority of neo-Confucianism that pursued the universality of Heavenly principle and the problem of regime authority of Injo, who was in a specific condition. The public opinion of most literati was nonignorable even for the ruler, who was the supreme decision-maker. In particular, in the position of King Injo, who had a justifiable weakness because of the coup, there was no option to reject the public opinion of the literati. There was an interaction of various political factors, as mentioned above, behind the inevitable prevail of the stance of Cheok′hwa. This paper highlights the features of the debate of Chyeok′hwa-Juhwa that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s. The debate of Chyeok′hwa-Juhwa that was formulated in the extreme war situation was related to the discernment of the appropriateness at the moment of survival at issue. For the contemporary literati,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regarded as a universal norm applicable to all and the existence reason of rulers. However, the literati, as the ruling class and the monarch, took the most crucial responsibility to preserve the nation and protect the people's livelihoods. That is, the livelihoods and stability of the people were the appropriate value that the rulers could not neglect. Therefore, rather than evaluating the debate of Chyeok′hwa-Juhwa from the dichotomous view between the pursuit of ideological rationale and practical interest, the debate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different stance and priority in various values ​​pursued by literati. Through this, an attempt was made to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debate of Chyeok′hwa-Juhwa developed during the Jeongmyo and Byeongja Horan periods in the 17th century could be understood as an ideological debate related to the history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 본 논문은 정묘・병자호란기 전개된 척화-주화 논쟁의 흐름과 의미를 살펴보면서 당시 조선 사대부들이 견지한 전쟁관과 정치사상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척화-주화 논쟁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명분과 실리의 이분법으로 접근하는 관점이 있었다. 척화와 주화의 대립을 주자학과 탈주자학의 구도로 분석하는 연구도 비슷한 관점을 보인다. 최근 연구에는 척화론이 명분에 치우친 관념적 주장이 아니라 현실적인 정세 판단에서 나온 합리적 태도라고 본 평가도 있다. 한편 대명의리가 조선 국내의 통치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본 연구, 당시 사대부들에게 대명의리는 문명과 야만을 가르는 기준이었으며 주화론자들 또한 본질적으로 척화론자였다고 평가한 연구도 존재한다. 필자는 이런 선행연구들의 견해를 분석하고 일부 동의하면서 척화-주화 논쟁의 흐름과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형성되고 강화되었던 위 논쟁은 표면적 인상과 달리 타당한 현실적 정세 판단에 근거한 것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대세였던 척화론이 보여주듯이 도덕적 가치에 기반한 대명의리가 다수 사대부들의 공감을 얻었던 점에도 동의한다. 다만 이 글에서는 주화론자들이 지지한 국가와 민의 안위, 민생의 보호가 유가 사상가들이 지지해온 중요한 의리라는 점을 좀 더 부각시키고자 한다. 척화-주화 논쟁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 우선 이 논쟁이 발생한 역사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았다. 당시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와 조선 내부의 정치적 상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위 논쟁의 형성과정과 전개, 구체적 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논쟁에 참여한 사대부들의 문집, 상소, 관찬 자료들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글에서 당시 상이한 입장을 견지한 사대부들뿐만 아니라 국정운영의 최고 결정권자인 국왕 인조의 발언과 관점도 함께 분석함으로써 당대 정국의 흐름을 다각도로 이해하고자 했다. 논쟁의 분석 결과 척화론의 관점은 대명의리의 수호를 강조하며 충절과 지조, 신뢰 등 도덕적 가치를 의리의 핵심 내용으로 간주한 반면 주화론의 관점은 도덕적 의리를 부정하지 않았지만 백성과 국가의 보존, 민생의 안정을 가장 주요한 논거로 제시한 차이점이 있었다. 이 차이점으로 인해 전쟁에 대처하는 그들의 관점도 상이했다. 충절과 의리를 중시한 척화론자들은 비록 형세 상 전쟁에서 매우 불리하더라도 대명의리를 지키기 위해서 전쟁을 감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주화론자들은 조선이 실제로 전쟁을 수행할 역량이 없으며, 승산 없는 전쟁에 국가와 백성을 희생시킬 수 없음을 근거로 전쟁이 불가함을 주장했다. 알려진 것처럼 당시 정국에서 척화론은 공론으로 인정받았던 반면 주화론은 도덕적, 정치적으로도 심각한 비판을 받았다. 국왕 인조 또한 공론의 압력에서 자유롭지 못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보면 당시 조선 정국에서 소수의 대신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대부들이 척화론을 지지했음을 알 수 있다. 본론 마지막 장에서는 사대부들의 정치사상을 유교 정치에서 의리와 명분이 갖는 의미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민심과 공론이 정치적 정당성의 근거로서 어떤 성격을 갖는지 검토하였다. 유가 사상에서 의리의 덕목이란 역사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졌다. 척화론이 강조한 충절과 신의에 바탕한 대명의리는 명과의 관계 이상으로 사회와 문명이 근간하는 전통적인 유가의 가치였다. 이에 못지않게 국가와 백성의 존망, 민생의 안정을 지키는 것 역시 중요한 유가의 전통적 의리였다고 생각한다. 이 점에서 보면 척화와 주화론 간의 논쟁은 유가 정치사상의 다양한 의리들에 대한 가치평가, 가치의 우선순위에 대한 판단 차이에서 빚어진 논쟁이었다고 볼 수 있다. 전쟁 상황에서 척화론은 천리의 보편성을 추구했던 성리학적 유학의 권위, 인조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한 통치자의 정당성 문제와 같은 다른 복합적 요인들로 인해 공론의 지위를 점하게 되었다. 다수 사대부들의 공론은 최고 결정권자인 군주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으며, 특히 반정이라는 명분적 약점을 가졌던 인조의 입장에서는 사대부들의 공론을 거부할 수 있는 선택지가 없었다. 당시 척화론이 우세할 수밖에 없었던 이면에는 위와 같은 여러 정치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척화-주화 논쟁이 유가 정치사상의 전개와 흐름 속에서 해명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현실 사태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던 척화-주화 논쟁은 존망의 순간에서 어떠한 의리를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단의 문제였다. 당대 사대부들에게 대명의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지켜야 하는 보편적인 규범이자 통치자의 존재 이유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통치자로서 사대부, 그리고 특히 군주는 백성과 국가의 생존을 지키는 것을 가장 막중한 책무로 삼았다. 민의 생존과 민생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은 유가 정치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또 하나의 중대한 의리였다. 따라서 척화-주화 논쟁을 관념적 명분과 실리의 추구라는 이분법적 관점에서 평가하기보다는 당시 사대부들이 추구했던 여러 가치들에 대한 해석의 차이, 의리의 우선순위에 대한 논쟁에서 빚어진 결과로 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17세기 정묘・병자호란기에 전개된 척화-주화 논쟁이 유가 정치사상사의 주요한 쟁점과 연관된 사상적 논쟁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시도했다.

      • 趙絅의 병자호란 체험과 전란 대응 : 『丙丁日記』를 중심으로

        한동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글은 龍洲 趙絅(1586∼1669)의 병자호란 체험을 통해 16∼17세기 개인의 전란 대응에서 사회적 관계가 작동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이 시기의 일기 자료들을 통해 개인의 일상 생활에서 사회적 관계가 가지고 있던 중요성이 규명되었지만, 일상의 이해관계가 이완되는 전란 상황의 특수성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이것은 전쟁의 핵심 지역을 배경으로 다루는 일기들이 개인적인 생활 체험을 기술에서 배제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생활 체험을 기술한 일기들은 전쟁의 핵심 지역으로 보기 어려운 공간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는 한계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이 글은 전쟁의 핵심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동시에 개인의 생활 체험을 기술하고 있는 기록으로서 병자호란 시기 조경의 「병정일기」에 주목하였다. 「병정일기」의 이러한 특징은 조경의 저술 의도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조경은 병자호란이 종전되고 2월 15일에 한양으로 이동하면서 「병정일기」의 서술을 종료하였고, 직후 자신의 행적을 소명하는 待罪疏를 작성하여 인조에게 상소하였다. 또한 「병정일기」가 날마다 작성한 일기를 집적한 日日記가 아니라 기억을 바탕으로 서술한 하나의 글이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병정일기」는 자신의 행적을 대죄소와 같은 형태로 편집하기 위한 비망록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이러한 저술 의도와 달리 「병정일기」에는 의식주를 비롯하여 신체나 심리와 같은 개인적이고 내밀한 체험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었다. 이는 조경이 남한산성과 가까운 지역을 고수한다는 선택의 결과로 그러한 체험을 포섭하였기 때문이며, 또한 그 내용을 편집하기 앞서 자신의 체험을 가능한 한 정확하고 풍부하게 기술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병정일기」에 나타난 조경의 전란 대응 활동은 병자호란의 전반적인 전황에 따라 전반기와 후반기로 구분된다. 먼저 병자호란 전반기인 1636년(인조 14) 12월에 조경은 청군의 침입을 인지하고 인조의 이동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인조를 호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청군에 의해 남한산성에 입성할 수 있는 길이 차단되자, 그 대신 관악산으로 이동하여 청군에 맞서 항전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경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관계들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고 항전에 필요한 물질적, 인적 자원을 사용할 수 있었다. 단 이러한 사회적 관계들이 제도적 관계와 결부되어 있던 측면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경은 포천현감, 김포군수, 과천현감을 비롯한 지방관과의 사회적 관계로부터 그들이 제도적 관계를 통해 획득한 정보와 권한을 유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병자호란 후반기인 1637년(인조 15) 1월에는 관악산을 비롯한 남한산성 일대에서 청군의 압박과 약탈이 가중되었고, 이에 따라 조경은 관악산에 근거한 항전을 포기하고 수리산 등을 왕래하면서 당면한 생존의 위기를 해결하는 데 주력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조경은 자신을 수행하는 노비들의 봉사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노비들의 봉사에는 그 주인과 맺고 있던 정서적 관계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었다. 특히 주인이 그 노비에게 일방적인 봉사를 강제할 수 있는 신분적, 국가적 구속력을 약화시키는 전란 상황에서 이러한 정서적 관계는 더욱 중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비는 주인의 사회적 관계망에 연결되어 관계의 범위가 더욱 확장되기도 하였다. 물론 이는 상대에게서 기대할 수 있는 잠재적인 보답을 고려한 것이었다는 측면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ng methods of social networks in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1637, focusing on the diary of Jo Gyeong(趙絅).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aristocrats of the Joseon Dynasty actively formed social networks, and the aristocrats used these networks to maintain their social and economic status. However, these studies overlooked that war is an emergency in which usual interests collapse because of a survival crisis and weakened systemic control. This study explored how people of the day used social networks in response to the war by paying attention to Byeongjeong diary(「丙丁日記」), a memoir by Jo Gyeong that detailed describes personal life experiences amid the survival crisis caused by the war. After the Manchu Invasion, Jo Gyeong wrote to the king an explanatory article about why he was not at the court in Namhansanseong(南漢山城) during the war. The Byeongjeong diary was a memoir in which Jo Gyeong recorded his memories to write such an article, and the reliability of the content was confirmed by cross-checking with other source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Byeongjeong diary go beyond the purpose of its writing and describe in detail personal and inner experiences, such as food, clothing, shelter, and physical and mental sense. And these experiences are usually in the context of showing the hardships Jo Gyeong went through. Jo Gyeong intended to emphasize his actions that despite this hardship, he kept his loyalty to the king in areas close to Namhansanse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yeongjeong diary, which recorded memories before selecting and organizing them as an explanatory article, made this possible. The activities in which Jo Gyeong responded to the war were divided broadly into December 1636 and after January 1637,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At the time of the outbreak of the Manchu Invasion, Jo Gyeong was expelled from public office and was secluded in Pocheon(抱川) but was quickly informed about the war using social networks. In particular, Jo Gyeong obtained faster and more reliable information by utilizing social relationships with officials who could utilize the institutional communication system. When kings and courts fled to Namhansanseong, Jo Gyeong tried to follow them, but a Manchurian spearhead blocked his way. Then, he entered Gwanaksan(冠岳山) and resisted the Invasion. He obtained resources necessary for resistance using social relationships with local officials and temples, such as humans, materials, and information. It shows that social and institutional relationships operated effectively in conjunction. In January, the pressure on the area near Namhansanseong and Gwanaksan increased as the Manchurian main Army arrived. Jo Gyeong, who stayed in Gwanaksan, could not withstand the pressure, and as they moved to Surisan(修理山) and Cheonggyesan(淸溪山), they experienced an intensified survival crisis. In this situation, Jo Gyeong made a living thanks to the service of slaves, Nobi(奴婢), who were with him. However, because the war weakened the positional and governmental binding power, he could not unilaterally force slaves to serve. And their service was influenced by individual emotional relationships such as trust and distrust. Jo Gyeong assigned duties differently to trusted and distrusting slaves, and his attitude toward the owner of trusted and discredited slaves was also different. And their service was also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wners. This case shows that there was also an aspect of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owner and the slave.

      • 丙子胡亂 關係의 歷史小說 考察 : 江都夢遊錄의 性格究明을 中心으로

        김성식 建國大學校 大學院 1977 국내석사

        RANK : 248639

        Two wars, namely, Jungmyo and Byoungja Wars with China, gave a great impact upon Korea materially and spiritually. As the main reason for the wars being economic distress in China, China, Chinese exploitation and killing in Korea were devastating upon Korean. The formal surrender by King Injo to Chinese invaders at Namhan-sansung (Namhan Castle) was a shock to Koreans. And at the same time, misery during the war periods was as great as that of Japanese invasion (Imjin-oeran) period, which inevitably worked to build a strong hostility among Koreans towards Chinese invadors. As for the written records of these two wars, Yijo-silrok on the Korean side, and Manjoo-silrok on the Chinese side, are extant. But dealing with the same wars, two records by Koreans and Chinese respectively differ in describing the same wars. There also are war records by the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war, describing them by their personal observations. Next comes the novels based upon the stories and rumors given by those who saw the wars. These novels either written by Chinese letters or Korean language, we can enumerate Kangdomongyou-rok (in Chinese letters), Im Kyoungup-jun and Parksi-jun (both in Korean). Two Korean novels in general praise Korean patriotism and hostility towards Chinese invadors, whereas the novel in Chinese letters prtrays 14 Korean women killed by Chinese invadors during the war and governmen's maladministration prevalent at that time. Therefore, we can categorize the two Korean novels as a literature of spiritual victory while the novel in Chinese letters as a literature of self-introspection.

      •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영웅소설 연구 : <임경업전>과 <박씨전>을 중심으로

        서보경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임경업전>과 <박씨전>은 병자호란을 겪은 후에 출현한 영웅소설이다. <임경업전>은 역사적 인물을 영웅화한 작품이고, <박씨전>은 허구적 인물을 영웅화한 작품이다. <임경업전>의 임경업은 미천한 혈통을 타고났고, 비범한 능력을 지녔지만 결국 비극적인 죽음을 맞는다. <박씨전>의 박씨는 사대부 의식과는 괴리된 도사의 딸이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임경업과 박씨는 민중영웅이라고 볼 수 있다.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민중들은 호적(胡賊)에 대한 분노도 컸지만, 병자호란과 그 수습과정에서 드러난 지배층의 무능함에 대한 불만과 불신이 컸다. 이들 작품 속에는 당대의 소설 독자들이 바람직하게 인식하였던 영웅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작품 분석을 통해 본 결과 민중들이 기대했던 영웅상은 민중과 함께 하고, 호적에 대해 복수하며, 고정관념을 극복하려는 영웅이었다. Byongjahoran brought forth <Lim Kyoung-Up Jeon> and <Parkssi Jeon>, the stories of heros. <Lim Kyoung-Up Jeon> describes a historical person as a hero and <Parkssi Jeon> makes a fictitious character into a heroine. In <Lim Kyoung-Up Jeon>, Lim Kyoung-Up is a gifted man of humble origin, who eventually faces a tragic death. In <Parkssi Jeon>, Parkssi is a daughter of an ascetic, alienated from the nobility. In this point of view, Lim Kyoung-Up and Parkssi can be considered to be a popular heros. During Byoungjahoran, people rage against Hojeok but it is more of the inefficiency of the ruling that brings dissatisfaction and deep distrust to the people. These two stories image the ideal heros that the readers of the time considered to be upright. Analysis of these stories shows that the ideal heros are the ones that stand with the people, take their revenge on Hojeok and try to do away with bias at the time.

      • 17세기 전반 평안도 사회의 유망민 문제와 조선정부의 안정화 정책

        류인우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6

        본 연구는 17세기 전반 대외정세의 영향에 따른 평안도 사회의 혼란상을 정리하고 조선정부의 안정화 노력을 주목하였다. 평안도 사회의 안정화 과정을 검토하는 작업은 향후 지역의 성장 배경을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지금까지 명청교체기 평안도 사회의 혼란에 관한 선행 연구는 주로 遼民의 유입과 그에 대한 조선 정부의 대책에 중심을 두어졌다면, 본 연구에서는 이와 더불어 조선백성들의 유망과 그 동향을 살피는 동시에, 조선정부가 지역의 회복을 위해 끊임없는 지원을 행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1620년대에 명과 후금의 대결로 인하여 수십만에 달하는 요민들이 평안도로 쇄도하였다. 동시에 조선영내에 주둔한 東江鎭의 활동과 후금의 침입 등이 겹치면서 평안도 사회, 특히 淸北 지역은 극도로 혼란하게 되었다. 조선정부는 요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송환시도, 내지정착 논의, 토벌시도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했으나 효과를 볼 수 없었다. 청북 지역에 전란과 약탈이 끊이지 않자 조선백성들은 생계기반을 잃어버린 채 타지로 유망하였다. 조선백성들은 구휼을 바라고 서울로 향하기도 했고, 동강진에 투속하여 동화되는 경우도 많았다. 민의 유출이 계속되자 청북 지역에 대한 조선정부의 장악력은 계속 하락하고 있었다. 청북 지역에 대한 통치의 어려움이 지속되자 조정에서는 한때 淸北抛棄論이 대두될 정도였다. 조선정부는 평안도 사회를 안정화하기 위해 둔전의 실시, 부세견감, 곡물이전 등 인적·물적 지원을 지속했다. 그러나 대외정세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던 평안도는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과를 내지 못했다. 평안도 지역에 대한 각종 지원이 방비문제, 약탈 발생 등으로 유민의 안집을 위해 집중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조선정부의 평안도 회복노력이 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외세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는 병자호란 이후부터였다. 병자호란 직후 삼색인 쇄환문제, 한선의 출몰, 잦은 사행 등의 변수는 여전히 존재했으나 이 또한 청의 入關을 전후한 시기에 관련 부담이 차츰 줄어들기 시작했다. 평안도에 대한 인적·물적 지원 또한 병자호란 이전시기와 달리 온전히 지역의 회복을 위해 쓰일 수 있었다. 평안도 사회가 빠르게 회복되자 도내의 재원이 타도에 지원되기도 했다. 이러한 논의가 나온 것은 효종대로 병자호란이 발발한지 불과 20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사회가 안정되자 유민 또한 파악할 수 있는 역량도 갖추게 되었다. 당시 평안도 산간 전역에 분포했던 입작민에 대한 파악까지 시도하게 되었고, 17세기 후반 현종대에 이르면 평안도의 인구 규모는 전체의 15%에 달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었다. This study summarized the chaos of pyeongan-do societ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situ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paid attention to the Joseon government's efforts to stabilize it. The task of examining the stabilization process of Pyeongan-do society is an essential task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region's future growth. So far, previous studies on the chaos in pyeongan-do society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period have mainly focused on the influx of the Liao people and the Joseon government's countermeasures against it,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prospects and trends of the people of Joseon and at the same time confirming that the Joseon government provided ceaseless support for the region's recovery. In the 1620s, hundreds of thousands of the Liao People rushed to Pyeongan-do due to the confrontation between Ming and Later Jin. At the same time, as the activities of Donggangjin stationed in the Joseon territory overlapped with the invasion of Later Jin, the society of pyeongan-do, especially the Cheongbuk region, was extremely confused. The Joseon government sought various methods such as repatriation attempts, discussions on settlement in the country, and subjugation attempts to solve the Liao people problem, but they were not effective. The people of Joseon lost their livelihood and were promising in other places as the war and looting continued in the Cheongbuk region. The people of Joseon went to Seoul hoping for help, and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y were assimilated by surrendering to Donggangjin. The control of the Joseon government over the Cheongbuk region continued to decline as the outflow of civilians continued. As the difficulty of governing the Cheongbuk area continued, the theory of abandonment of Cheongbuk came to the fore at one point in the court. The Joseon government continued to provide human and material support, such as implementation of garrison farm, tax inspection, and grain transfer, in order to stabilize pyeongan-do society. However, Pyeongan-do, which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external situation, failed to produce stable results despite such support. This was because various support for the Pyeongan-do region was not concentrated for the refugees due to defense problems and looting. The Joseon government's efforts to restore Pyeongan-do began to show results after the Manchu War, when the influence of foreign powers diminished. Immediately after The Manchu War, variables such as the return of Samsaekin, the appearance of ships from the Ming Dynasty, and frequent envoys still existed, but the related burden gradually began to decrease around the time of Qing's entry into Shanhaiguan. Human and material support to Pyeongan-do could also be fully used for the recovery of the region, unlike the period before the Manchu War. As society in Pyeongan-do quickly recovered, financial resources in the province were sometimes transferred to other provinces. This discussion came out only 20 years after the outbreak of the Manchu War under King Hyojong. As society stabilized, the ability to understand migrants was also acquired. At that time, Joseon eve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sidents who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mountains of pyeongan-do and the population of pyeongan-do was growing to the extent of reaching 15% of the total by the time of King Hyeonjong in the late 17th century.

      • 17세기 전반 조선의 對淸騎兵 전술 전개

        박준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6

        In the early 17th century, Joseon reorganized its anti-cavalry tactics against Jurchen based on the military system that chang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fter conquest of the two Jurchen of the village and be defeated the battle of the Geontoe, Joseon realized the need to reorganize its anti-cavalry tactics. The Joseon army was organized around musketeer because of the national power exhausted by the war, and anti-cavalry tactics were also reorganized accordingly. The reorganized Joseon anti-cavalry tactics were volley fire and field barricade construction to protect them. volley fire under control, not individual fire, was effective in responding to cavalry charges. It also tried to overcome the slow loading time of the musket with five consecutive shots. In addition, when enemy cavalry approached, field barricade construction such as 'Geomachak' and a wooden fence to prevent it put important on tactics. In particular, 'Geomachak' is a mobile barricade that is so effective for cavalry that it appears in the form of an anti-tank barricade called "Czechhedgehog" in modern warfare. It is the Battle of Simha in 1619, which shows the anti-cavalry tactics of Joseon against Hugeum. In the Battle of Simha, it can be seen that the Joseon army camped with 'Geomachak' and blocked the charge of the Hugeum Cavalry with a series of shots by the musketeer. Later, at the end of King Gwanghaegun's reign, the Hugeum took control of the Yodong, and the border with the Hugeum expanded to the Pyeongan-do area downstream of the Yalu River. As a result, Uiju highway, which connects Pyeongan-do, Hwanghae-do, and Hanyang, was exposed to the later invasion, and the need for anti-cavalry tactics further increased. However, due to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t the end of the wanghaegun era and the resulting regime change, the anti-cavalry tactics were not supplemented. mmediately after King Injo's accession to the throne, various discussions were held advocating active military operations, but standby tactics in the field were not a major topic of discussion as the military power of Pyeongan-do was exhausted due to Lee Gwal's rebellion and Jeongmyo Horan(Hugeum Invasion of Jose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Qing Invasion broke out, and the Qing army ignored the defense line in the northwest and worked directly to capital city of Hanyang, resulting in King Injo being isolated at Namhansanseong Fortress. In order to save King Injo, the Joseon military had no choice but to conduct field battles from the standpoint of attack, not defense. The Joseon forces of each province marched individually and fought field battles with the Qing army. The Joseon army eventually failed to release the siege of Namhansanseong Fortress and save King Injo. However, the tactical aspect of the Joseon military, which won several victories against the Qing army with the Anti-Cavarly tactics of "Musketeer and field barricade onstruction," was meaningful. On the one hand,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the musket and anti-cavalry tactics were entirely dependent on the musketeer. Therefore, after the Qing Invasion of Joseon, Joseon tried to supplement its anti-cavalry tactics. Joseon's efforts were largely confirmed in two areas: the first was the introduction of the Flintlock musket, and the second was the introduction of the war wagon. As such, even after the Qing Invasion of Joseo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was not stable until the early days of King Sukjong's reign, and anti-cavalry tactics were discussed and supplemented for fear of re-invasion by the Qing army. 17세기 초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변화한 군사체제를 바탕으로 대여진 전술을 재정비하였다. 두 차례의 여진 부락 정토와 건퇴 전투의 패배 이후 조선은 대기병 전술을 재정비할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조선군은 전란으로 인해 소진된 국력 때문에 포수를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기병 전술 또한 이에 맞추어 정비되었다. 재정립된 조선의 대기병 전술은 일제사격 및 연속사격과 이를 보호하는 야전축성이었다. 일본처럼 개개인의 사격이 아닌, 통제 하의 일제사격은 기병의 돌격에 대응하기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조총의 느린 장전시간을 5열의 연속사격으로 극복하려 하였다. 적의 기병이 접근하였을 시에는 이를 저지할 거마작과 목책 등의 야전축성이 중요시되었다. 특히 거마작은 이동형 장애물로서 현대전에서도 “Czech hedgehog”라는 대전차장애물의 형태로 나타날 정도로 기병에게 효과적인 장애물이다. 이러한 조선의 대기병 전술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1619년의 심하전투이다. 심하 전투에서 조선군은 거마작으로 진을 치고 포수의 연속사격으로 후금 기병의 돌격을 저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광해군 말대에는 후금이 요동을 장악하게 되면서 후금과의 국경이 압록강 하류의 평안도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평안도-황해도-한양을 잇는 의주대로가 후금의 침공에 노출되었고, 대기병 전술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었다. 하지만 광해군 말대의 혼란한 정치 상황과 이로 인한 정권교체로 인해 대기병 전술은 보완되지 못하였다. 인조 즉위 직후에는 적극적인 군사작전을 표방하며 여러 논의가 진행되었지만 이괄의 난과 정묘호란으로 평안도 일대의 군사력이 소진됨에 따라 야전에서의 대기병 전술은 주요 논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병자호란이 발발하였고, 청군이 서북방의 방어선을 무시하고 한양으로 직공하여 인조가 남한산성에 고립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인조를 구원하기 위해 조선군은 방어가 아닌 공격의 입장에서 야전을 전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각 도의 근왕군은 개별적으로 진군하여 청군과 야전을 벌였다. 근왕군은 결국 남한산성의 포위를 풀고 인조를 구원하는 것에는 실패하였다. 그러나 ‘포수와 야전축성’이라는 대기병 전술로 청군을 상대하여 몇몇의 승전을 거둔 조선군의 전술적인 면모는 의미 있는 것이었다. 한편으로는 조총의 기술적 한계와 대기병 전술이 전적으로 포수에만 의존하였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때문에 병자호란 이후 조선은 대기병 전술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조선의 노력을 크게 두 가지 부분에서 확인하였는데, 첫 번째는 수석식 조총의 도입 노력이고, 두 번째는 전차의 도입이다. 이렇듯 병자호란 이후에도 숙종대 초반까지도 국제정세가 안정되지 않아 청군의 재침입을 우려하여 대기병 전술이 논의되고 보완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