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ODA 초청연수 활용 방안 : 베트남 철도 시장에서 서울교통공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상윤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세계 철도 시장은 선진국 시장 중심에서 개발도상국 시장으로 영역이 넓어지면서 차량, 철도 부품과 시설, 시스템의 판매에서 운영과 관리까지 더해지는 추세로 변하고 있다. 사업의 규모는 더욱 커지고, 기술과 운영의 깊이는 더욱 깊고 세밀해지고 있다. 철도 선진국에서는 자금의 규모가 커진 것은 ODA로, 기술과 운영의 깊이와 세밀함은 해외 시장 진출을 전담하는 전문기관(철도사업 통합 추진체계)의 설립으로 대응하고 있다. ODA의 대표적인 예로는 일본의 JICA, 전문기관으로는 프랑스의 SYSTRA, 일본의 JARTS, JIC 가 있다. 이에 대해 한국은 개발도상국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한 경험을 활용하고 단일 국가에 역량을 집중하는 ODA의 전략적 대응과 2009년 한국철도협회를 설립하여 해외 철도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고 해외 철도 관계자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으로 철도 선진국을 뒤쫓고 있다. 오늘날 세계 철도 시장 진출을 위한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한국의 철도 관련 기관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인력, 경험, 자본을 짜내어 전력을 다해 맞서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17년 5월 서울시의 도시철도 양대 운영 기관인 1,2,3,4 호선의 운영을 맡고 있는 서울메트로와 5,6,7,8 호선의 운영을 맡고 있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서울교통공사(영문명 SeoulMetro)로 통합 되었다. 통합된 서울교통공사의 규모는 하루 평균 이용객 680만 명, 8개 구간 노선 총 연장 300km, 보유 차량 3571량으로 세계에서 4 번째의 단일 도시철도 운영기업으로 성장 했다. 큰 기업에는 큰 안목과 큰 비전을 갖추어야 한다. 서울교통공사 또한 한국의 철도 운영기관으로 한국 철도의 해외 진출에 그 규모에 걸맞은 책임을 갖아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구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의 초청연수 담당자의 인터뷰,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하여 하노이 국립 기술대학교 대학생을 상대로 한 설문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 과정에 대한 조사, 이외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서울교통공사가 시도 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통공사의 개선된 정책의 제안에 앞서 철도 수출의 두 축이 되고 있는 ODA 와 철도사업 통합 추진체계의 동향에 대해 분석하고 한국의 대응과 전략을 파악 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과 서울교통공사의 해외철도 시장 진출을 살펴 서로 겹치는 부분에서는 서로 협력하여 힘을 모으고 아직 활용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서울교통공사가 먼저 시도 할 수 있는 다음의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하나, 기존 단기 초청연수에 서울교통공사 만의 독립적인 연수 사업이 아닌, 한국철도공사와 철도시설관리 공단과의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 둘, 단기 초청연수에서 조금 더 나가. 장기적인 성과를 위한 베트남 대학생을 초청하는 학사, 석사의 학위 과정 신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양대 도시철도 운영 기관인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로의 통합 이후 해외철도시장 진출 방향성에 관해 알아보았다. 보다 큰 기업으로 성장한 서울교통공사가 대한민국 철도의 해외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계획철도망의 환승거점 융합정거장 추진방안 연구

        이용재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제 목 : 계획철도망의 환승거점 융합정거장 추진방안 연구 본 연구는 대도시 교통의 문제와 산업의 향후 패러다임변화 등을 토대로 철도시설과 타교통수단의 연계관점에서 환승거점시설에 대한 기존 철도건설계획 방식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환승거점 융합정거장 건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관점에서 철도와 타교통수단간의 연결을 위한 융합정거장의 건설방향과 대안을 제시한다. 본문에서와 같이 대도시 철도망 구성의 의의와 의미는 철도 수송체계의 다양성, 위성도시와의 연계체계, 환승거점 정거장의 필요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 현행 철도망 계획은 각기 다른 주체가 각 노선별 다른 시기에 계획·건설하여 타교통시설과의 연계뿐만 아니라 철도망 내에서의 환승과 이동에도 불편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교통에서 철도와 다른 대중교통시설과의 연계와 같은 철도시설과의 환승을 포함하고 철도시설의 특성상 고급철도, 직행철도 등의 상위철도시설, 그리고 체계 등과 같은 철도시설의 연계측면에서 시행하였다. 대상된 철도시설의 범위는 국가철도망 계획과, 서울시, 경기도 등 수도권 도시철도망 계획과 대중교통 인프라구축 계획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도권에는 많은 철도망을 건설하였고 또 계획하고 있다. 그런데 국가철도망 계획에서의 광역철도,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등의 도시철도망의 계획은 지자체, 국가가 주체로 계획하고 건설되므로 상호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미흡하고, 환승거점 융합정거장 관점에서 볼 때에 사업시기의 상이로 인한 환승거점 일대의 결절점 불일치, 사업비 중복투자와 매몰비용 발생, 환승거점 지역 일대가 장기간 공사장으로 변하는 등의 이용자 기대에 미치지 못함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특정의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교통의 가장 큰 문제인 환승에 대한 동일 교통수단 내뿐만 아니라 수단 간의 환승을 포함하여 환승거점 융합정거장을 구축함에 있어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승 융합정거장의 구축을 위한 사통팔달 융합분기 설치와 3가지의 선결과제를 제시하였다. 운영적 측면에서 각 운영기관간 협약의 정비와 통합적 조직, 운영전문회사의 설립, 운영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기술적 측면에서 철도선로ㆍ선형분야, 전기ㆍ통신ㆍ신호 등 시스템 분야의 인터페이스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 철도 관련법 정비와 그 관련 제도정비와 재원조달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내용을 중심으로 환승거점 융합정거장 범위를 국가철도 5개 노선과 자치단체 도시철도 3개의 기존선과 신설선이 혼재 계획되어 미완성 상태인 서울시 영동대로 일대에 복합환승센터에 대해 사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업비 절감, 통행시간 단축, 일자리 창출과 생산유발, 재원조달의 탄력성, 재원의 계획적 조달과 집행, 사업기간의 절감, 도시정책적 일치성, 교통허브지역 부상으로 지역발전 견인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바는 제1차 산업혁명의 중심인 증기기관차 운영시대의 철도가 중심이 된 1차 기계문명에서 2차 산업혁명의 대량화, 3차 산업혁명에서의 정보화를 거쳐 4차 산업혁명이 주목하는 융합의 관점을 반영한 융합정거장의 구축이다. 이를 위해서는 계획철도망을 바탕으로 환승거점을 중심으로 융합정거장 구축에 대한 연구 및 투자가 우선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하며,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운영적, 기술적, 정책적 철도융합 연구는 ICT와 함께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항공 안전관리를 위한 UAM-PSU 인적 요인 및 TEM 연구 : 항공교통관제사 인적 오류에 의한 항공기 사고사례분석을 포함하여

        김정빈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최근 도시 인구 증가, 도시화 가속화에 따른 대도시권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 심화, 도로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통인프라 구축 한계, 환경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교통수단인 도심항공교통(UAM) 내 항공교통관제사 역할과 유사한 교통관리 서비스 제공자(PSU)의 인적요인 및 TEM 요인에 관해 고찰하였다. PSU의 인적요인은 대표적인 인적요인 분석 및 분류시스템(HFACS)를 인용하여 AHP 기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을 보유한 숙련되 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예측 가능한 PSU의 인적요인을 도출하여 ATC의 인적요인과 비교 분석한 결과 비슷한 수준의 결과가 나타났다. PSU 뿐만 아니라 UAM 이해관계자의 인적요인에 대한 고찰이 요구되며, 항공운송산업에서 활용 중인 인적요인 기법 및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PSU의 TEM 요인을 제시하고자 ATC 분야 항공 사고사례에 대해 TE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국토교통부 정상운영 안전표본조사(NOSS) TEM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버티포트, UATM 공역, 이해관계자 등의 새로운 개념 적용이 요구되며, UAM 상용화 이전에 안전하고 신뢰도 있는 교통수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운항을 도모하는 기법인 PSU 분야 TEM 개발 필요성이 제기된다.

      • 국내 UAM 실증노선 구축과 사회적 수용성에 대한 연구

        김향송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친환경에 대한 관심 및 배터리·전기 동력기술수준이 높아지면 전기 수직이착륙 동체(eVTOL)를 통해 UAM에 대한 본격적인 기술적, 제도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교통수단이 등장할 때 매번 여객들의 수용에 영향을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저 왔으며 EU의 경우 실증노선 구축을 위한 충분한 대중들의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해 유럽연합항공안전국(European Union Aviation Safety Agency :EASA)에서 2020년 11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McKinsey&Company)와 도심항공교통(UAM)에 대한 대중들의 사회적 수용성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결과를 발표하여 향후 규제 사항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현제 우리나라의 경우 충분한 대중들의 사회적 수용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EASA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기법을 활용하여 20명의 항공교통본부 국토교통부 및 공군 관제사를 대상으로 총 10개 전문가 AHP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일관성 검증을 추가로 수행하여 AHP 설문응답에서 비일관성 발생 가능성을 배제 하였다. 이를 통한 분석결과를 통해 실증노선 구축을 위한 대중들의 사회적 수용성 의견을 통하여 개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항공교통관제사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학생조종사의 안전풍토에 미치는 영향

        전종덕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항공우주 관련 기술의 발달 및 항공 산업이 대중화 되면서 대형 항공사와 저가 항공사, 공항 산업 등의 업무가 양적 및 질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발 맞춰 조종사 양성을 위한 비행교육기관 및 관련 대학들도 전국공항에 많이 생겨나고 있으며 이렇다 보니 무엇보다 비행안전 및 항공사고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인적요인으로 인한 사고가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경력 조종사보다는 상대적으로 위험요소가 많은 학생조종사를 연구하게 되었다. 항공교통관제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학생조종사의 안전풍토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연구가설을 통해 학생조종사와 항공교통관제사의 이해관계와 서로에 대한 신뢰도 및 만족도가 비행안전 및 안전풍토 에 직접적으로 작용을 하는지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생조종사와 항공교통관제사는 직접적으로 RADIO 통신을 하고 항공사고의 인적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공종사자들 임에도 불구하고 서로에 대한 신뢰 및 직접적인 교류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 보니 서로에 대한 입장의 차이와 이해도가 높지 않음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실질적인 연구들을 통해 서로에 대한 교류가 필요하고 그로 인해 서로의 이해도를 높여 팀워크(TEAM WORK)가 필요하다고 본 연구자는 생각하였다. 국내 대학 부설 비행훈련기관과 사설 비행훈련원을 통해 학생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관제사의 능력에 대한 학생의 인식, 예측가능성 및 신속정확성은 역할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제사에 대한 신뢰는 안전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관제사에 대한 예측가능성은 안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향후연구는 항공교통관제사는 학생조종사에 대한 신뢰 및 만족도가 어떠한지 그리고 그 신뢰도가 비행안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이 있는지 등에 관해서 연구하고 관련 공항 관제탑 관제사 및 울진비행훈련원 등 표본을 확대해서 비교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인 연구논문을 작성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좀 더 안전하고 차별화된 관제서비스와 학생조종사의 사고 예방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제는 항공운송산업이 발전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자원인 조종사를 보다 더 많이 또 안전하게 양성할 수 있는 방안과 실제적인 시스템들을 정부와 기업이 합심하여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도시철도 환승편의성 개선방안 연구 : 공항철도 사례를 중심으로

        유혁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대중교통수단 간 환승은 대중교통 이용의 가장 큰 불편함 중 한 가지로, 개인교통수단과의 비교에서 대중교통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주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날로 복잡해지고 있는 도시교통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대중교통수단 간 환승편의성 개선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도시철도 노선 간 환승역사의 환승편의성 개선도 간과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무엇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에 앞서 환승편의성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 이용객이 두 노선 간 환승역사에서 환승을 할 때 느끼는 환승저항을 수치적으로 나타내었고, 이를 분석하여 환승역사의 환승편의성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 공항철도 환승역을 중심으로 연구 진행하였다. 환승편의성을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표로서 ‘평면환산거리’라는 개념을 채용하였고 이 지표는 평면거리, 계단 수, 무빙워크·에스컬레이터 설치 유무를 조사하여 산출하였다. 공항철도 7개 환승역에서 이루어지는 총 86가지 환승경로의 물리적 수치들을 실측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환승편의성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개선효과를 예상 분석하였다. 공항철도는 2007년 개통 이래 인천국제공항과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공항과 도심 간 연계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승객 증가와 함께 그 역할이 점점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환승경로별 환승편의성 수치와 개선방안들이 공항철도의 환승편의성을 상승시키고, 이용객 증대와 더불어 전체 대중교통 이용률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ICAO 역량기반 훈련 및 평가(CBTA) 체계에 따른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정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potential impediments of the domestic Air Traffic Controller Training System to deduce improvement factors, and the necessary measures for advance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the domestic Air Traffic Controller Training System based on the latest trend in education and training called Competency-based Training and Assessment (CBTA) as recommended by ICAO.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BTA system that aligns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by formulating policies, strategies, and measur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domestic adoption of CBTA in the ATC training system.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setting of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examin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its analysis; relevant surveys; statistics analysis, and conclusion. The study first looks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BTA method as recommended by ICAO to its contracting states, by examining the basic concepts and requirements. The study proceed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including domestic law and training systems in order to discern differences from the CBTA, and identify margins for improvement. Surveys and stat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domestic training systems, the utility of the CBTA method, and the reliability/satisfaction; from the conclusion, the study deduced improvement factors and potential impediment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ir Traffic Controller Training Systems based on CBTA.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deduces the following improvement factors: training system and organization, course development and essential workers with expertise, and standard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easures should be taken in the following direction. Domestic laws should be r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BTA;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ir Traffic Controller Training System should be restructured; essential workers with expertise(course developers, instructors, evaluators, etc.) should be further cultivated and appropriately allocated. Upper laws should also be reformed so that CBTA training systems and facilities may be more extensively appointed. Training systems should be standardized with distinct directions and detailed guidelines for each individual training course. 본 연구는 국내 민간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요인과 방향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가 체약국에 권고하고 있는 최신 교육훈련 추세인 항공교통관제사 역량기반 훈련 및 평가(CBTA, Competence Based Training and Assessment) 체계를 중심으로 국내 항공교통관제사 교육훈련 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국제수준에 적합한 역량기반 교육훈련 및 평가 체계의 이행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의 수립과 성공적 국내 정착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는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 현황 조사/분석 등 사전 준비 조사단계, 설문조사, 통계분석 및 결론 도출 순으로 진행하였다. ICAO가 체약국에 권고하고 있는 CBTA 방식에 대해 ICAO 국제기준 분석을 통해 기본 개념과 이행요건 등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국내 관련 법 규정과 교육훈련 체계 등 현황 분석을 통해 항공교통관제사 교육훈련 방식에 있어 CBTA와 어떤 차이점과 문제점이 있는지를 도출하였고,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통해 교육훈련 체계에 대한 인식도, CBTA 유용성, 신뢰도/만족도 수준 등을 확인하고 개선 요인과 방향을 도출하여 CBTA 체계에 근거한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CBTA 체계 중심의 국내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체계 개선 요인으로 교육훈련 제도와 조직, 과정 개발 및 필수 전문인력, 표준화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개선 요인에 따른 교육훈련 체계 개선 방향으로 충분한 준비단계와 함께 법 규정 개정 등을 통해 ICAO CBTA 체계에 맞추어 국내 항공교통관제 교육훈련 종류와 단계를 다시 분류하여 개편하는 작업이 우선 필요하고, 역량기반에 근거한 교육훈련에 필수적인 인력(과정설계자, 교관, 평가관 등)의 점진적 양성과 배치 등 교육훈련 조직에 대한 재편이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상위 법령 개정을 통해 CBTA 적용대상 교육훈련 과정과 시설/기관을 확대 지정하고, 교육과정별 기본 방향과 세부 가이드라인 등의 제시로 교육훈련의 표준화의 기틀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 교통약자 사고예방 감소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정경호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2000년 이후 우리나라 연령층별 인구수를 살펴보면 전국의 인구수는 연평균 0.5%의 증가추세를 나타냈다. 연령별로 13세 미만 어린이의 인구수는 감소 추세인 반면, 65세 고령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세 미만의 어린이 인구의 경우 2000년 이후 연평균 2.3%가 감소하고, 13~64세 인구는 0.5% 증가, 그리고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는 4.4%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힘들고 어려운 분들을 상대로 사회적 약자라는 말이 있듯이 교통에는 교통약자라는 말이 있다. 65세 이상 노인과 13세 미만의 어린이, 장애인 등을 말한다.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사망자 비율이 OECD 국가 평균 19.7%에 비해 우리나라는 40%에 이르는데 보행사망자 중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이다. 연령별로 보면 13세 미만 어린이(0.6명), 13~64세(1.9명), 65세 이상 고령자(12.8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노인 사망률은 OECD 국가 평균의 5배이다(2014~2017) 1995년부터 시작된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및 정부의 각종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대책은 사회적 여론과 사회 각층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그동안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노인 교통사고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과 단순히 위반자 개인의 잘못으로 인식해 버리는 분위기로 인해 노인 교통사고 피해자는 제대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통 사망사고를 줄이고자 비젼 ZERO 운동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어린이와 노인 구분 없이 교통사고로부터 안타까운 목숨을 잃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현재의 추진방향은 한쪽으로만 치우쳐져 있는 포퓰리즘은 아닌가 하는 반론 또한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통약자(어린이와 노인) 간의 교통사고 현황을 비교분석, 검토한 후, OECD 가입국의 교통약자 교통사고 통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관련 법률과 관리 규정이 현장에서 적용함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사례를 찾아 적정성과 효율성,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치안 현장에서 교통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신임경찰관을 상대로 교통약자 교통사고에 대한 인식과 대안을 설문 조사하여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인식 변화를 위한 정부와 범국가적인 홍보와 교육, 노인 보호 시설 개선 및 설치 확대, 적합한 단속 활동 등 교통약자의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한 균형에 맞는 사회적,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학부모가 인식하는 고교야구(야구클럽)의 서비스품질과 참여만족 및 운동 지속의도의 관계

        김정수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는 스포츠와 관련된 각종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최근 코로나 19에 따라 대외 환경이 변화되면서 제한적으로 국제대회가 개최되고 있지만 올림픽, 아시안게임 등의 메가스포츠 이벤트에서 상위 성적을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중스포츠의 기반이 부족하면서도 엘리트스포츠에 집중 지원한 결과이다. 우수한 성과에는 피해를 감수하고도 본인들의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학생선수들의 희생이 있었다. 이것이 학원스포츠를 정상화시켜야 하는 이유이다. 학생 선수들의 학습권 박탈, 폭력적 리더십, 약물복용, 입시비리, 성폭력 등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로 스포츠윤리센터의 설립, 최저학력제 도입, 상시합숙 금지, 대회 출전의 제한 등의 노력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엘리트 운동선수는 운동을 포기하는 사례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인 야구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고등학교 시기는 운동선수들의 진로 및 기본기 형성에 중요한 시기인 만큼 선수들의 체계적 관리와 정책적 지원 등이 필수적 요소이다. 즉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등의 지원과 팀 운영, 리그 참가에 대한 발전적 대안은 프로야구의 미래를 위해서도 필요한 부분이다. 프로야구 선수로서의 꿈을 꾸고 있는 고등학교 3학년 선수는 2021학년도 기준으로 881명이다(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2021). 이중 드래프트를 통해 프로야구에 진출할 선수는 평균 90명 정도가 예상되고, 나머지 선수들은 대학진학, 실업팀(현재 6개 구단), 독립야구단에서 활동을 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야구 선수로서의 꿈을 포기 해야만 한다. 이처럼 고교야구선수에게 프로야구 벽은 두텁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직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완전히 성장하지 않은 선수들에게 프로야구 진출 실패가 인생의 실패 또는 야구선수로의 실패로 판단하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 야구 단체는 한국야구소프트볼협회(Korea Baseball Softball Association; KBSA)와 한국야구위원회(Korea Baseball Organization; KBO)를 두고 있다. 고교야구 및 아마추어 야구는 한국야구소프트볼협회(KBSA)에 속해 있으며 이중 고교야구는 1946년 9월 청룡기 중학야구선수권대회(현 청룡기고교야구선수권대회), 1947년 8월 전국 중학지구별 초청 야구대회(현 황금사자기고교야구대회)를 시작으로 1982년 한국프로야구가 개막하기 전까지 35년간 전 국민의 관심과 호응 속에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1982년 프로야구 출범으로 고교야구의 인기는 하락세를 겪게 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최근의 고교야구는 2021년 올해 전반기 주말리그와 황금사자기고교야구(주말야구왕중왕전) 대회부터 최초로 U-19 클럽 팀을 참가시켜 고교야구의 저변 확대 및 선진국형 야구시스템으로 전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21년 한국야구소프트볼협회(KBSA) 홈페이지 등록 팀은 80개이며, 지금도 계속해서 클럽 팀 창단 계획 또는 창단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를 지속하기 위한 정책개발과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은 프로야구의 발전은 물론 고교야구 자체의 안정을 위해서고 필요한 부분이다. 지금까지 고교야구와 관련된 연구는 학생들과 부모들의 관계(이도윤, 김지태, 2014; 김현태, 김지태, 강익원, 2015; 조현익, 김지태)와 야구선수 들의 개인적인 인식조사(양종훈, 2011; 문인숙, 2012; 장지은, 2013; 천항욱, 2019), 제도 및 문화적인 차원의 연구(이주연, 이예원, 2011; 권보근, 김남수, 김하영, 2013; 최영래, 박광호, 2021) 등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고교야구에 대한 포괄적 의미에서의 정책적 대안이나 발전 방안에 대한 사례는 쉽게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의사결정 계층구조와 상대적 우선순위를 통해 학부모가 인식하는 고교야구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교야구의 활성화는 우리나라 야구문화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기초이며, 초‧중학교 엘리트 야구 및 클럽 야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야구클럽 활동이나 엘리트 스포츠 선수의 참여에 있어서 학부모의 인식은 매우 중요하며 야구클럽과 선수 운동 지속에 영향력이 높다. 즉, 야구의 대중화와 문화의 확산을 위해서 고교야구(야구클럽) 활성화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다.

      • 스포츠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선수생활만족도의 관계연구: 대학테니스 중심으로

        최재우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 약 제목 : 스포츠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선수생활만족도의 관계연구: 대학테니스 중심으로 이 연구는 대학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대학테니스 선수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021년 대한테니스협회에 선수 등록이 완료된 대학부 남・녀 테니스 선수 200명을 표집 대상으로 설정하고 목적표본추출방법과 편의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대학을 재학하고 있는 테니스 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연구자가 사전에 교육된 조사원 3명과 함께 직접 배부하고 자기평가 기입법에 의거하여 설문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 가운데 응답성이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6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94(97%)명의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테니스 선수들의 선수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은 자율성장 리더십, 목표달성 리더십, 그리고 혁신변화형 리더십이었다. 이 중 자율성장 리더십과 혁신변화형 리더십은 자율과 통제 중 자율을 공통분모로 가진다. 혁신변화형 리더십과 목표달성 리더십은 관계와 성과 중 성과를 공통분모로 가진다. 이 세 가지 리더십 중 선수생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율성장 리더십이었다. 둘째, 대학테니스 선수들의 학업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은 자율성장 리더십과 팀워크 리더십이었다. 두 리더십 유형은 성과와 관계 중 관계를 공통분모로 가진다. 두 리더십 유형 중 학업생활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율성장 리더십이었다. 셋째, 대학테니스 선수들의 전체적 대학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은 자율성장 리더십과 팀워크 리더십이었다. 두 리더십 유형은 성과와 관계 중 관계를 공통분모로 가진다. 두 리더십 유형 중 전체적 대학생활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율성장 리더십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