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I를 활용한 도서관 챗봇 서비스 설계 및 사용성 평가 연구 -D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오늘날 팬데믹 사태로 인해 비대면 및 온라인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과 같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그중 로봇의 인공지능을 대화형 인터페이스에 접목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람과 대화하는 시스템인 챗봇이 산업계 및 은행, 쇼핑몰 등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챗봇의 사용은 도서관 이용자를 위해서 일부국내외 도서관에서도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예산 등 현실적인 문제로 도서관 챗봇 서비스 진행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본 연구 대상 도서관과 유사한 대학도서관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첫째, 이용자 요구분석에 기반하여 챗봇을 설계하고, 둘째, 설계한 챗봇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및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대상 도서관의 업무분장과 규정,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항목과 도서관 서비스의 챗봇 구축 효용성 평가 항목을 참조하여 도서관 서비스를 크게 6개의 서비스로 구분하고, 이용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요구 분야를 도출하였다. 둘째, 이용자 설문조사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 도서관 서비스 확대 및 강화 방안으로 제안하는 챗봇을 설계하였다. 설계는 Draw.io 프로그램과 Excel을 사용하여 구상하였다. 셋째, 구상된 설계를 바탕으로 샘플 챗봇을 제작하고 사서 전문가에게 배포하였다. 이후 사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챗봇의 사용성을 검증하고 피드백을 수집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 도서관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1순위 서비스로 응답자의 약 70%가 ‘자료 이용’을 선택하였으며, 2순위로는 응답자의 약 31.3%가 ‘도서관 이용’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챗봇을 통해 제공받고 싶다고 응답한 서비스는 ‘자료 이용’, ‘희망도서’, ‘도서관 이용’, ‘자료검색’, ‘이용교육 및 연구지원’, ‘상호대차 및 원문복사’ 순이었으며, 마지막으로 ‘대학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도서관 챗봇‘에 대해서 전체 응답자의 98.7%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조사된 ‘챗봇 서비스 선호도’의 기술통계분석과 ‘도서관 서비스 챗봇 구축 효용성’을 비교하여 챗봇 설계 시 구성할 도서관 서비스 내용을 결정하고, 챗봇이 진행될 흐름을 1차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 단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시나리오 단계에 따라 플로우차트를 통해 챗봇 진행 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제 챗봇 빌더에 바로 작성할 수 있도록 활용할 모든 기능을 스케치하여 다이얼로그를 작성하였다. 위의 과정으로 제작된 챗봇 설계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샘플 챗봇을 제작하여 사서 FGI를 진행하였다. 사서 FGI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챗봇’의 사용은 간단한 질의에 대한 빠른 답변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유용하며, 정보간의 링크 제공을 통해 정보 탐색 시간의 절약으로 대학도서관 이용자층에게 적합한 도구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제시되었다. 둘째, 도서관 홈페이지 기준의 내용이 안내되므로 실시간 도서관 상황 전달이 어렵고, FAQ나 도서관 공지사항 안내가 제공되지 않으며, 전문적인 용어 사용으로 일반 이용자가 용어를 이해하는데 있어 어려운 점이 있다는 개선점도 제시되었다. 본 논문의 한계점으로는 특정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므로 규모와 서비스가 유사한 대학도서관이 아닌 경우 일반화가 어렵고, 챗봇 빌더를 사용한 설계이므로 빌더에서 제공되는 기능에 한하여 설계되었다는 점이 있다. 향후 다양한 형태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는 챗봇 연구와 다양한 챗봇 빌더 활용 연구, 또는 프로그래밍을 통한 맞춤형 챗봇 설계 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활용 가능하다. 첫째, 대학교와 대학도서관에서 챗봇 시스템을 적용하고 서비스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하는 서점에서는 챗봇을 이용하여 도서관 소식을 손쉽게 접해 대학도서관과 보조를 맞추도록 지원할 수 있다. 셋째, 챗봇 회사에서 대학교 및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챗봇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챗봇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참고자료로 쓰일 수 있다. COVID-19 has accelerated the demand for non-face-to-face and online services, having shifted the focus of internet environments into one that uses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big data. A chatbot, a system that combines and uses robot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an interactive interface, has evolved rapidly in numerous fields. In recent years, Marketing, Banking Systems, Education, Health Care,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have experienced an influx of AI. In sync with this trend,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es have already adopted chatbots within their technological fold, with an aim to provide improved services to patrons. Considering the possible obstacles in executing library chatbot services such as, limitations of human resources, time, and budget, etc., this study suggests a design method which would be referenced in related university libraries. This study aims were to design a chatbot based on user demand analysis, and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by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designed chatbot.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First, a designed survey was used to investigate users’ perceptions of library usage, behavior, and service. The library service was divided into six different features by referring to the division of the target library, regulations, and service items provided on the library website. The survey was conducted to clarify in what division a chatbot system support possible library patrons. Second, a chatbot was designed via the result analysis of the survey, and, it suggested a plan to expand and strengthen library services. The chatbot design was conceived with computer programs such as ‘Draw.io’ and Microsoft ‘Excel’- that could schematize the scenario. Third, based on the envisioned design, sample chatbots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to professional librarians. The usability of the chatbot was verified with a following FGI(Focus Group Interview) that only included librarians as the survey subject, and feedback was collected to finally present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ndicate suggestions. Through the user studies, it was found that about 70% of users answered “Using the Resource” as the foremost service for the library. About 31.3% of users, then, said that it was “Using the Library” as the second priority. It was a recurring answer that it would be positively received if, Library services such as provided through chatbots. These services included, “Using the Resource,” “Purchase Request,” “Using the Library,” “Suggesting a Purchase,” “Library Use Education & Research·Study Support,” and “Interlibrary Loan Request & Duplicate/Copy Original.” Finally, 98.7% of all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needed a “University library chatbot.” By comparing ‘Technical Statistics of the Preference for Chatbot Service’ and ‘Utility of Building Chatbot for Library Service’, the structure of library service content could be determined. A scenario was set up so that one could predict the flow of the chatbot.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cenario, the chatbot process was designed via flowchart, and a dialogue was created by sketching all to-be used features so that it could be written directly in the chatbot builder. To evaluate the chatbot’s usability following the process above, a sample chatbot was built to perform a librarian-FGI. The conclusion through librarian-FGI was as follows. First, it was positively evaluated as a time-saving tool that is suitable for university library research may be conducted to find provided links between documents and information. Using a ‘university library chatbot’, furthermore, was evaluated as convenient and valuable by quickly providing answers to simple questions. Second, since the contents of the library website were guid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to directly deliver real-time library scenarios, FAQs or library notices. It was also demanding for ordinary users to understand technical term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would be expected that it is hard to generalize unless one has experienced various university libraries of similar and different sizes and service to the one that the survey implemented (Just because you don't have a library of this size doesn’t mean you can’t visit of research about other libraries). Since the chatbot was designed with a specific chatbot builder, it was intended only created for certain intended functions. There is much more research need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such as targeting various types of libraries, analyzing with different chatbot builders, or studying customized chatbot design through advanced computer programming. This study can be us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to apply chatbots for use in university. Second, it can be used and supportive for a bookstore to keep in line with the university libraries as the library schedule can be checked with the "University Library Chatbot". Third, it can be used by chatbot companies for their marketing, targeting universities and university libraries. Fourth,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people interested in utilizing chatbots or its system.
항공 안전관리를 위한 UAM-PSU 인적 요인 및 TEM 연구 : 항공교통관제사 인적 오류에 의한 항공기 사고사례분석을 포함하여
김정빈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최근 도시 인구 증가, 도시화 가속화에 따른 대도시권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 심화, 도로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통인프라 구축 한계, 환경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교통수단인 도심항공교통(UAM) 내 항공교통관제사 역할과 유사한 교통관리 서비스 제공자(PSU)의 인적요인 및 TEM 요인에 관해 고찰하였다. PSU의 인적요인은 대표적인 인적요인 분석 및 분류시스템(HFACS)를 인용하여 AHP 기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을 보유한 숙련되 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예측 가능한 PSU의 인적요인을 도출하여 ATC의 인적요인과 비교 분석한 결과 비슷한 수준의 결과가 나타났다. PSU 뿐만 아니라 UAM 이해관계자의 인적요인에 대한 고찰이 요구되며, 항공운송산업에서 활용 중인 인적요인 기법 및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PSU의 TEM 요인을 제시하고자 ATC 분야 항공 사고사례에 대해 TE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국토교통부 정상운영 안전표본조사(NOSS) TEM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버티포트, UATM 공역, 이해관계자 등의 새로운 개념 적용이 요구되며, UAM 상용화 이전에 안전하고 신뢰도 있는 교통수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운항을 도모하는 기법인 PSU 분야 TEM 개발 필요성이 제기된다.
김정빈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일본은 음차(飮茶)의 행위를 차도우(茶道)의 형식으로 정립하고 차도우(茶道)를 즐기는 다실인 스키야(数寄屋)를 예술의 경지까지 승화시켰다. 이렇게 차에 대해 자부심이 강한 일본이 세계 1위 커피 소비시장(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9, p.82)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일본의 커피산업 발전 요인을 고찰하기 위해서, 하나의 특정한 요인이 아닌 여러 요인들의 관계성에 의해 발전했을 것이라 가정하고, 4가지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본 커피산업의 발전요인으로 역사적 요인,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 관련산업 요인의 4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였고 일본의 커피산업은 이 4가지 요인의 유기적인 관계로 발전하였다. 또한, 이 4가지 요인 중에서 역사적 요인의 영향이 가장 중요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고베의 커피 발전을 통해 고찰하였다. 선행 연구와 일본 커피에 관한 저작물을 보면 일본 최초의 킷사템(喫茶店) )은 1888년에 창립한 카히사칸(可否茶館)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동경에 창립된 카히사칸(可否茶館)보다 10년 앞선 1878년 고베에 커피와 원두커피 분말을 판매한 호우코우도우(放香堂)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본은 1858년 7월 29일에 미국과 일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고 이 통상조약을 통해 쇄국정책에서 벗어나 서양 세계에 문호를 개방하였다. 또한, 일본은 미국과의 통상조약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커피를 수입하게 된다. 고베는 개항을 통해 각국의 서양인들이 거주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서양 문화가 다른 지역보다 일찍 유입된 곳이다. 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으로 고베에 거주한 독일인과 러시아인에 의해 제과제빵 기술이 유입되었다. 고베는 외국인 전용 거주지인 거류지(居留地) 에 거주하는 서양인들에 의해 그들의 의식주 문화가 전래 되었고, 일본 배전산업과 커피, 제과제빵에 필수적인 낙농산업의 본거지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에서는 개항 후 일본에 거주하게 된 서양인들의 의식주, 커피 수입 관세 제도, 우유 권장 정책이 일본의 커피문화 발전에 끼친 영향과 관련산업 요인인 배전산업, 낙농산업, 제과제빵 산업이 고베의 커피 산업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해 보았다. 개국을 통해 일본은 5개의 항구(요코하마(横浜), 고베(神戸), 하코다테(函館), 니가타(新潟), 나가사키(長崎))를 개항하였다. 그 5개의 항구에는 외국인을 위한 전용 거주지인 거류지가 건설되었다. 그 5개의 거류지 중 고베에 건설된 거류지가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도 개항 당시 건축된 건물, 그 당시 개점한 킷사템(喫茶店)과 제과제빵 전문점이 영업하고 있다. 고베는 서구 문물의 유입을 통해 커피 관련산업이 다른 지역보다 이른 시기에 구축되었고, 개항 당시 커피관련 사업을 시작한 기업이 현존하고 있다. 고베의 커피문화는 역사적 요인,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 관련 산업 요인에 의해 발전하였으며, 역사적 요인이 고베 커피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이 역사적 요인은 정신(精神)이 지배하며, 정신의 지평에서 생겨나는 변화만이 새롭게 등장하는 것이다. 정신은 외부로부터 찾아오는 우연의 장난에 휘말리지 않으며 스스로 절대적으로 방향을 결정하고, 우연을 이용하고 지배한다(권기철, 1978, pp.62-63). 절대적 방향을 주도하는 정신(精神)이 시대적인 변화로서 역사적 요인을 창조하며 그 역사적 요인이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 관련산업 요인의 주체가 되는 것이라고 분석하였다. 흔들림 없는 정신에 의해 등장하는 역사적 요인이 고베 커피산업의 중심이 되어 장인정신(匠人精神)으로 이어졌다. 고베에는 이 장인정신을 이어받은 노포(老舗)들이 지금까지 현존하고 있다. 하나의 산업이 발전하려면 하나의 요인뿐만 아니라 총체적 요인 속에서 발전해야 한다. 일본의 커피문화는 역사적 요인,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 관련산업 요인 등 4가지 요인의 상호 관계로 발전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4가지 요인 중 역사적 요인은, 일본 특유의 장인정신(匠人精神)으로,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정신(精神)을 바탕으로 일본 커피문화 발전을 이끌었다고 본 연구는 주장한다.
김정빈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목적 ; 유방암 환자에서 암의 액와부 림프절 전이는 중요한 예후 인자로 이에 대한 평가를 위해 수술 전에는 초음파 또는 Fluorine-18-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omputed tomography (PET/CT)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수술 시에는 감시 림프절 생검을 시행하여 액와부 림프절 청소술을 시행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하게 된다. 즉 암의 액와부 림프절 전이 여부를 파악하여 유방암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수술 전 액와부 림프절 전이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 중 PET/CT의 효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수술 전 PET/CT를 시행 받은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방 초음파, PET/CT 결과, 환자의 임상적 특징, 유방암의 실제 조직병리학적 특징과 액와부 림프절 전이 여부를 비교하여 분석 하였으며 수술 전 시행한 초음파와 PET/CT 상 액와부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여 두 검사법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수술 전 암의 액와부 림프절 전이를 예측 할 수 있는 인자로 단변량 분석에서는 유방 초음파 상 종양의 크기 2 cm 이상(p=0.004), 초음파 상 액와부 림프절 전이 양성(p<0.001) 및 PET/CT 상 액와부 림프절 전이 양성(p<0.001)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로 분석되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초음파 상 액와부 림프절 전이 양성(p=0.026) 및 PET/CT 상 액와부 림프절 전이 양성(p=0.011)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로 분석되었다. 수술 전 초음파의 액와부 림프절 전이 예측에 대한 민감도는 71.4%, 특이도는 94.1%, 정확도는 85.4%, 양성예측도는 88.2%, 음성예측도는 84.2%로 분석되었고 수술 전 PET/CT의 액와부 림프절 전이 예측에 대한 민감도는 75.0%, 특이도는 94.2%, 정확도는 87.2%, 양성예측도는 88.2%, 음성예측도는 86.8%로 분석되었다. 결론 ; 유방암 환자의 수술 전 검사에서 종양의 크기가 2 cm 이상, 초음파 검사상 액와부 림프절 전이, PET/CT 상 액와부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 암의 액와부 림프절 전이를 예상 할 수 있으며 수술 전 액와부 림프절 전이 여부 파악에 있어서 PET/CT는 초음파에 비견할 정도로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18F-FDG PET/CT, axillary lymph node, breast cancer, ultrasonography Objectives ; Ultrasonography (USG) and Fluorine-18-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become important tools for the prediction of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in breast cancer patients before surgery.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has been performed if there are metastatic lymph nodes on sentinel lymph node biopsy during surgery.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that could predict the metastatic lymph nodes are useful to make a treatment plan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ET/CT for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lymph node metastasis.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 of 55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the breast cancer with preoperative PET/CT examination.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were age, menopausal status, tumor size on USG, clinical lymph node metastasis on USG and PET/CT, hormonal receptor expression and HER2/neu before operation. We compared factors that might be related with pathologic result of lymph node metastasis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se factors. We compared PET/CT with USG in terms of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Results ; Over 2 cm of tumor size on USG (p=0.004), clinical lymph node metastasis on USG (p<0.001) and PET/CT (p<0.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univariate analysis. Clinical lymph node metastasis on USG (p=0.026) and PET/CT (p=0.01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multivariate analysis. USG before operation had a sensitivity of 71.4%, specificity of 94.1%, accuracy of 85.4%,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88.2%,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84.2%. PET/CT had a sensitivity of 75.0%, specificity of 94.2%, accuracy of 87.2%,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88.2%,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86.8%. Conclusions ; At preoperative evaluation, over 2 cm of tumor size, clinical lymph node metastasis on USG and PET/CT were predictive factors for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and PET/CT is as precise as USG to find metastatic axillary lymph node preoperatively. Key words : 18F-FDG PET/CT, axillary lymph node, breast cancer, ultrasonography
파킨슨병은 특징적인 운동증상으로 임상진단이 이루어지는 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이다. 파킨슨병에서 운동계 증상 외에도 다양한 비운동계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운동계 증상과 관련된 신경계의 구조물들이 밝혀져 보고되고 있으며, 도파민 외에도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이 파킨슨병에서 확인되어 파킨슨병의 다양한 비운동계 증상을 설명해주는 이론적 근거가 된다. 파킨슨병의 운동증상은 그 발병기전이 잘 규명되어 있어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비운동계 증상들은 간과되어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아 환자들의 삶의 질이 저해되고 사회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비운동계 증상은 크게 신경정신계, 감각계, 수면, 자율신경계 증상으로 분류되며, 파킨슨병 환자들이 자율신경계 증상을 가장 많이 호소하며 자율신경계 이상이 파킨슨병 환자 삶의 질과 사회 경제적 부담에 미치는 영향도 가장 크다. 자율신경계 이상은 다른 비운동계 증상과 마찬가지로 운동증상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조기진단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게 되며 운동 전 증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자율신경계 이상 증상이 운동 전에 발생할 수 있지만 진행된 파킨슨병 환자에서 더욱 심한 자율신경계 이상증상을 호소하고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의 질병 진행 정도에 따른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의 양상을 객관적인 자율신경 기능 검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66명의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율신경계 기능 검사로 정량적 땀분비 축삭반사 검사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QSART), 호흡에 따른 심박수 변화 (Heart rate variation to deep breathing, HRV), 발살바비 (Valsalva ratio), 기립경사검사 (Head up tilt table test)를 시행하였다. 파킨슨병의 진행 정도는 호엔과 야의 파킨슨병 단계 척도 (Hoehn & Yahr stag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주관적인 자율신경계 이상 증상은 파킨슨병 환자에서 자율신경계 증상에 대한 자가 평가 척도 (Subjects completed scales for outcomes in Parkinson's disease for autonomic symptoms, SCOPA-AU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자율신경계 기능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통합된 자율신경 기능 중증도 점수 (Composite autonomic severity score, CASS)를 얻어 파킨슨병 단계 척도 별로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단계 척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주관적 증상 점수와 자율신경계 기능 검사를 통해 얻은 중증도 점수의 상관관계를 함께 분석하였다. 파킨슨병 질환 자체의 진행이 자율신경계 이상에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레보도파 환산용량으로 보정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소화기계 증상과 비뇨기계 증상이 파킨슨병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이었으며, 비뇨기계 증상이 파킨슨병 진행 정도에 따라 동반되어 악화되는 증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주관적 자율신경계 이상 증상은 해당 자율신경 기능 검사 결과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호흡에 따른 심박수 변화 (HRV)와 발살바비 (Valsalva ratio), 정량적 땀분비 축삭반사 검사 (QSART)에서 파킨슨병이 진행될수록 비정상 결과를 보이는 비율이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특히 정량적 땀분비 축삭반사 검사 (QSART)에서 하지에서 기록한 땀분비량은 질환의 진행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립경사검사 (Head up tilt table test) 결과는 파킨슨병의 진행 정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호흡에 따른 심박수 변화 (HRV)와 발살바비 (Valsalva ratio)는 레보도파 환산용량으로 보정한 후에도 질환 진행 정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에 따른 심박수 변화 (HRV)와 발살바비 (Valsalva ratio)는 상대적으로 정량적 땀분비 축삭반사 검사 (QSART)보다 진행된 파킨슨병 환자에서 발생하지만 질환 진행에 따라 보다 빠른 속도로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자율신경 기능 이상은 초기부터 발생하여 질환이 진행되면서 악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심장미주신경계와 하지의 땀분비 교감신경계가 질환의 진행 정도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는 진행된 파킨슨병 환자에서 부교감신경계와 교감신경계가 동시에 손상되어 있음을 보고한 과거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파킨슨병 환자의 치료에 있어 자율신경 기능 이상에 대해 반드시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파킨슨병이 단순한 운동계 증상을 보이는 퇴행성 이상운동질환이 아니라 다양한 증상으로 발현될 수 있는 신경계 전반에 걸친 퇴행성 질환임을 환기시켜 준다. A large number of Parkinson's disease (PD) patients suffered from autonomic dysfunction. Autonomic dys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is recently emphasized as one of the premotor symptoms. However advanced PD patients suffered from more severe autonomic dysfunction, which could reduce the quality of life. There were only a few studies that demonstrated the specific impaired domains and patterns of autonomic dysfunction by using objective autonomic function tests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of P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how the pattern of autonomic dysfunction of PD according to disease stage using autonomic function tests. We also aimed to show which impaired domains of autonomic function were more related with the disease progression in PD. The results of autonomic function test in enrolled 66 PD patients were reviewed. Autonomic function tests were composed of head up tilt table test,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QSART), heart rate variation to deep breathing and Valsalva ratio. Based on the parkinsonian motor symptoms, patients were distributed according to Hoehn and Yahr (H&Y) stage 1 to 4. All the subjects completed scales for outcomes in PD for autonomic symptoms (SCOPA-AUT) to evaluate subjective impaired autonomic symptoms. Comparison of the pattern and severity of autonomic dysfunction among the each stage group was performed. The composite autonomic severity score (CASS) was used to compare the impairment of specific autonomic function domain. CASS is composed of 3 domains, which are cardiovagal, adrenergic, and sudomotor autonomic function. Comparison the abnormal percentage of autonomic function tests were performed by chi-square test. Correlation of autonomic function test results with the H&Y stage was analyzed using Spearman's correlation. To adjust the contributing effect of levodopa to autonomic dysfunc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variables including levodopa equivalent dosage for each autonomic function test results. Fourteen patients were H&Y stage 1, 26 patients were stage 2, 16 patients were stage 3, and 10 patients were stage 4. The result of SCOPA-AUT showed advanced PD patients suffered from more severe autonomic dysfunction in gastrointestinal, urinary, cardiovascular, and thermoregulatory domains. Heart rate variation to deep breathing (r=0.505, p<0.001) and valsalva ratio (r=0.540, p<0.001)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H&Y stage increase. The result of QSAR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H&Y stage increase only in the proximal (r=-0.276, p<0.05) and distal leg (r=-0.412, p<0.01) portions. The result of head up tilt table tes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r=0.039, p>0.05) with the H&Y stage increase. Cardiovagal subscore of CASS (r=0.480, p<0.001)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Y stage increase, however sudomotor subscore of CASS (r=0.239, p>0.05) was not. Even after the adjustment with levodopa equivalent dosage, the increasing of H&Y stage contributed to abnormal results of heart rate variation to deep breathing (OR: 7.51, 95% CI: 1.233-45.737, p=0.029) and valsalva ratio (OR: 1.235, 95% CI: 1.029-1.482, p=0.023). Autonomic dysfunctions were observed across all stages in PD. Especially, cardiovagal function was the most correlated domain with disease progression. Sudo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was also well correlated with disease progress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previous study results that concurrent parasympathetic and sympathetic denervation occur in advanced PD. Therefore, autonomic dys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management PD patients. Furtherm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D is degenerative disorder not only with motor symptoms, but also with heterogeneous non-motor symptoms, and capable of manifesting multiple symptoms.
Answering complex questions by query processing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Question answering systems are used in many industries field and help people to find information easily and quickly. In particular, unlike a web search engine that returns a document list, desired information can be found with a short answer, and conversation and interaction in natural language can be performed. However, so far, many question answer systems are not good at answering complex questions. In addition, the user may not know what information to provide to the question answering system to find desired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solve complex questions and help users search more easily.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we propose a method of converting a complex question into a conjunctive question and changing the converted conjunctive query into SPARQL query to extract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from a knowledge graph composed of RDF data. In addition, when using a user's query, a method of processing the query is proposed to prevent information from being extracted from the knowledge graph. In order to help the user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the user recommends a relationship connected to data other than the result data, allowing the user to make unexpected inquiries. By recommending a relationship linked to data other than the result data as a method to help the user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the user can ask an unexpected question. Finally, a system that can answer complex question and recommends relationships to users is developed. The system can receive an input of a relationship with an entity in the user's query and change it to SPARQL query using the input data. In addition, by showing the user the relationship connected to the result data and the number of result data that appears when the relationship is used, the user does not receive too much data. 질의응답 시스템은 많은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사람들이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문서 리스트를 반환하는 웹 검색 엔진과 달리 짧은 답변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고, 자연어로 대화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질의응답 시스템은 사람들의 다중 질의를 잘 처리하지 못한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찾기 위해 어떤 정보를 질의응답 시스템에게 제공해야 하는지 모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중 질의을 해결하고, 사용자가 좀 더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앞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질문을 결합 질의로 변환하고, 변환된 결합 질의를 SPARQL로 변환하여 RDF로 구성된 지식 그래프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가 질의한 내용을 그대로 사용할 때, 지식 그래프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질의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결과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와 연결된 관계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생각하지 못했던 질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다중 질의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관계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시스템은 사용자의 질의에 있는 개체와 관계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를 통해 SPARQL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결과 데이터와 연결된 관계와, 그 관계를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 데이터의 개수를 함께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너무 많은 데이터를 반환받지 않도록 한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프랑스 양국 대입논술시험제도의 도입·시행과정 및 출제문제를 상호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논술시험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한국과 프랑스의 대입논술시험 제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양국 대입논술시험의 비교·분석 과정에서 2가지 관심 문제를 해명하고자 하는데, 그 첫 번째는 우리의 통합교과형 논술시험이 그 취지대로 시행되고 있는가, 즉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고등사고능력을 평가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고, 그 두 번째는, 과연 프랑스 바깔로레아 철학논술시험이 우리의 대안 모델이 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양국 대입논술시험의 도입배경, 시행과정, 교육과정 연계성 등을 탐색하기 위해서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특히 우리나라 대학들의 논술시험 출제·채점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6개 대학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해당 대학의 출제위원 또는 채점위원과 인터뷰를 하였고, 또 양국 대입논술시험의 출제문제에 대해서는 내용분석을 하였다. 우선, 양국 대입논술시험의 도입배경을 보면, 프랑스의 경우엔 철학논술시험을 포함하는 바깔로레아가 기존의 성경교육을 대체하는 인문교육의 필요 목적에서 도입되었던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엔 대입논술시험이 교과지식 위주의 본고사를 대체하는 사고력 평가의 필요 목적에서 도입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 그 시행과정을 보면, 프랑스의 경우엔 대입자격고사로서 전국단위 시험인 반면에, 우리의 경우엔 대입선발고사로서 대학별 시험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우리나라 6개 대학 인터뷰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대입논술시험을 시행함에 있어서 평가의 객관적 공정성과 변별력에 중점을 두는 점에서는 통일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동시에 교육과정 연계성을 위해서는 대학 간에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각 대학이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양국의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논술교육을 보면, 프랑스의 경우엔 교육과정의 철학교과와 직접적인 연계를 가지고 이를 제대로 이수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인 반면에, 우리의 경우엔 교육과정의 사회, 과학, 도덕 등 논술지도가 가능한 교과에서 간접적으로 논술교육을 하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범교과적인 사고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시험이라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양국 논술시험의 출제문제를 보면, 세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로 논제의 구성을 보면, 프랑스의 경우엔 단문 형식의 두 문제와 텍스트 논평 형식의 한 문제, 이렇게 총 세 문제 중에서 한 문제를 선택하여 쓰는 단일논제 구성인 반면에, 우리의 경우엔 '복수의 제시문+복수의 논제' 형식으로서 주어진 논제를 모두 풀어야 하는 복합논제 구성인 점이 특징적이었다. 둘째로 교육과정 연계성을 보면, 프랑스의 경우엔 논증 문제와 텍스트 논평 문제는 각각 철학교과과정의 개념 목록과 저자 목록의 범위 내에서 출제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반면에, 우리의 경우엔 문제의 주제는 대체로 교육과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있으나, 제시문으로는 조사 대상 30개 대학 중 10개 대학 정도만 교과서 지문을 나름 활용할 뿐이고, 대부분의 대학들이 고전지문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분석 결과이다. 셋째로 고등사고능력 평가 비율을 보면, 프랑스의 경우엔 단일논제 구성으로서 철학교과과정에서 예정하고 있는 논증 또는 텍스트 논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개의 논제 안에서 이해력부터 비판력, 창의력 등을 모두 평가하고자 한다. 반면에 우리의 경우엔 복합논제 구성으로서 객관적 변별력을 위해 문제 자체를 세분화하고 있으며, 이렇게 세분화된 논제는 제시문에 대한 요약, 비교 등 기초사고능력 논제에서, 분석, 비판, 대안 등 고등사고능력 논제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의 사고력을 단계적으로 평가하는 논제 구성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수리논술 논제에 대한 판단을 제외한다면, 조사대상 30개 대학 대부분이 고등사고능력 평가 논제의 비중이 기초사고능력 평가 논제의 비중보다 더 크다는 것이 분석 결과이다. 이렇게 우리나라와 프랑스 양국 대입논술시험제도를 비교·분석해본 결과, 프랑스의 출제문제의 경우엔 자격고사로서 당락을 결정하는 단순 선별을 위해 단일논제 구성으로도 충분했던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엔 선발고사로서 평가의 객관성과 변별력을 위해 복수의 제시문을 바탕으로 세분화된 복합논제 구성을 갖게 된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프랑스의 경우엔 교육과정의 철학교과와 직접적인 연계성을 갖는 평가인 반면에, 우리의 경우엔 교육과정과 범교과적으로 간접적인 연계성을 갖는 평가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양국의 대입논술시험 간의 이러한 차이를 고려해볼 때, 우리의 대입논술시험을 ‘자격고사’로 바꾸지 않는 한, 프랑스 철학논술시험은 우리 논술시험의 모델이 되기는 어렵다는 결론이다. 그리고 우리의 대입논술시험은 원래의 취지대로 나름 고등사고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결론이다. 문제는, 교육과정의 수준과 범위를 벗어나 제시문의 난이도가 너무 높거나, 개별 교과지식을 필요로 하는 영어지문이나 수리논술 논제를 내거나 하는 것인데, 만약 이러한 문제를 계속 출제한다면 논술시험에 대한 본고사 논란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한편, 교육과정 연계성 문제를 살펴볼 때,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이 교육과정의 수준과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게 출제하고 있다는 결론이다. 중요한 문제는, 학생들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논술교육을 받고 있는가 하는 점에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나 대학 측에 따르면, 논술교육은 학교에서의 간접교육으로 충분하고 별도의 교육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나, 실제의 논술수업은 방과후 학교나 사교육을 통해 이루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기존의 간접교육 중심의 논술교육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고등사고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현행 통합교과형 논술시험에 대응하는 정규 교육과정의 논술교육은, 기존의 범교과적 간접교육 방식을 보완하여 ‘통합교과적인 독립교과에 의한 직접교육’ 방식을 가미해야 한다고 본다. 만약 이러한 직접적인 논술교과가 있게 되면, 방과후 학교나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는 정규 교육과정에서의 논술교육이 가능하게 되고, 논술문제는 이러한 교육과정과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출제하면 될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mak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backgrounds,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actual test sets of essay system in entrance of college both in Korean and France, and to find possible problems and explore better ways for the future Korean essay test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w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essay tests are. There are two major realms this study is focused on in its comparison and analysis of both countries' essay tests. The first is whether the Korean the integrated-curriculum-essay tests are being implemented as they have been directed. That is, are they evaluating higher order thinking, closely related with the curriculum for high schools? The second is whether the French baccalaureat-philosophy could be a role model for Korea. The study includes pertinent literature researches on the introduction backgrounds of the two countries' essay tests, their processes of implementation,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along with personal interviews with essay tests designers and scoring panel from randomly chosen 6 universities to look into the setting question and scoring processes of Korean universities. There follows content analysis of essay tests for university entrance based on actual test sets in both countries. To begin with, when it comes to the essay test introduction backgrounds, in France, baccalaureat including philosophical essay test was introduced to replace bible education with liberal arts education whereas the Korean essay test was adopted to assess students' thinking ability instead of previous main college-entrance-test evaluating curriculum knowledge and conducted differently in different colleges. Another difference is that it is a nation-wide college admission test in France whereas Korean essay tests are college-entrance-tests conducted at the level of each college. According to the interviews from the six universities, it is common for the universities to focus on the objectivity and discrimination on test, while the universities hav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curriculum connectivity with their efforts going on. Next,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for high school and essay education in both countries, it aims to evaluate whether a student has completed a philosophical course required in curriculum in France, whereas the features of Korean essay tests are to assess thinking ability integrating whole curriculum with essay education carried out in subjects where essay teaching is indirectly possible such as social studies, science, ethics, and so on. Lastly, it is identifiable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essay test sets already conducted. Firstly, when it comes to formation of essay topics, French students are required to answer one of the three questions comprising two simple sentence questions and one text-based comment question, whereas Korean ones are tested based on several given articles and multiple topics which should be answered all. Secondly, in the realm of educational curriculum connectivity, in France, argumentation and text-based comment questions are set within concept list and author list in philosophy-curriculum. On the other hand, in Korea, essay topics don't usually digress from the curriculum but only about ten out of 30 universities on the survey use passages from high school textbooks as given articles, the others making more use of classical articles, which this study reveals. Thirdly, as for the evaluation rate for higher order thinking, baccalaureat- philosophy, by one-topic formation, consisting of argumentation or text-based comment under philosophy-curriculum, evaluates understanding, critical ability, and creativity in a single topic.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ssay tests, by multiple-topic formation with questions detailed to assess objective discrimination, are to evaluate thinking ability by stages from basic order thinking like summary and comparison of given articles to higher order thinking such as analysis, criticism, and alternatives. Except for the view of topics for mathematical argumenta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portion of higher order thinking assessment is bigger than that of basic order thinking in the 30 surveyed universities. Afte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wo countries' essay tests, it has been clear that it is good enough for baccalaureat-philosophy to be used as an admission requirement test just to pass or fail with one-topic formation, while Korean tests have the right reason to have detailed multiple topics based on multiple given articles to act as college entrance tests for individual colleges with objectivity of assessment and discrimination. Also, it is evident that baccalaureat-philosophy i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its direct connectivity with philosophy in curriculum for high school, whereas Korean essay tests are indirectly related with curriculum by whole. Therefor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essay tests, it seems difficult for baccalaureat-philosophy to be our essay test model unless ours are modified to function as an admission requirement test. Another part of the conclusion is that our essay tests do their part in assessing higher order thinking as intended. The problem here is that if a given article goes far beyond the level of curriculum or too difficult like uses of English passages or mathematic argumentations requiring knowledge of individual subject, there will be controversies over the essay tests because they will not be different from previous main college-entrance-tests conducted at the level of each college. From an angle of curriculum connectivity, it could be concluded that most of Korean colleges set essay questions within the level and range of curriculum. The important issue is whether our students receive essay writing education in their regular curriculum. Both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college authorities say that essay writing education does not need any independent classes apart from regular classes because it can be done indirectly enough, but our reality shows that essay writing education is met by activities after school or private education sectors. If this is true, there should follow some complementary measures to back up the existing indirect essay writing education. The conclusion is that essay writing education in regular curriculum, corresponding to integrated-curriculum-essay tests currently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valuating higher order thinking, should be supplemented with direct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ubject along with indirect educational approach to curriculum by whole. With the direct and independent essay writing in regular class, essay writing education without dependence on after schools or private education sectors would be possible and then essay tests could be set closely interrelated with curriculum. Deeper discussion about this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