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및 흥미 분석

        송혜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rothy Heathcote 's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mprovement of science attitude and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we developed educational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Second,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 Third,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drama.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3 students of 5th graders of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daemun gu, Seoul. It studied ‘Temperature and Heat’ in the part of ‘Materials and Energy’ and ‘Solar Systems and Stars’ and ‘Structure of Plants and its Features’ in the part of ‘Life and Earth’ from the textbook revised in 2009. It performed 11 times for the plays in total. After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the Mantle of the Expert, it analyzed the students’scientific attitude using daily records of the classes, consulting materials, movies and pictures taken for the classes and activity journal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onnected the play activity to the role play and helped students to concentrate into various jobs related science so that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uld be meaningful. The classes were formed so that the students actually live as a professional person. The classes are composed of the courses of ‘opening mind’, ‘suggesting the context’, ‘selecting a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 and making it mine’, ‘performing the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and ‘discussion’. Second,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positively affect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s such as curiosity, cooperation, and positiveness. They could be a responsible scientist understanding the society that is related to science through the activities and do the job with the sense of purpose by wearing the gown of a professional person. Third, the educational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fter the classes it interviewed and surveyed the students. It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science has increased after the classes and they had positive idea about the educational paly activities.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suggested the specific method of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proved the e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educational pla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to build and activate various subjects of scientific educational play classes,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scientific attitude in the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Dorothy Heathcote의 '전문가의 외투'(Mantle of the Expert)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와 흥미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을 개발하였고,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동대문구에 소재한 H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9 개정 교과서의 물질과 에너지 영역 1개 단원(온도와 열), 생명과 지구 영역 2개 단원(태양계와 별, 식물의 구조와 기능) 1~3차시씩 5회기, 총 10차시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이 이루어진 후 교사․학생의 수업일지, 면담 자료, 비디오 촬영 및 전사 자료, 활동지 등을 활용하여 나타나는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학생이 유의미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놀이 활동과 역할 입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이 과학에 관련한 다양한 직업들을 인식하고 역할에 몰입하여 활동하는 것을 바탕으로 ‘살아보기’를 경험하도록 구성하였다. ‘마음 열기’, ‘맥락 제시’, ‘전문가 역할 선정 및 내면화’, ‘전문가의 역할 수행’, ‘정리’의 5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중 호기심, 협동성, 적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역할을 입고 활동하는 것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과학자로, 과학과 관련한 직업인으로 활동하는 경험을 통하여 과학과 관련한 사회를 이해하고, 목표 의식을 갖고 활동할 수 있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 수업 후 인터뷰 및 설문지 결과 수업 후 과학에 대한 흥미를 보이는 학생들이 늘었고, 교육연극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외투' 수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 교육연극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의 태도 부분의 효과성을 입증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과학과 교육연극 수업,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수업, 과학적 태도 부분을 함양하고 활성화하는 방안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에 대한 전문강사의 인식

        김수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인공지능이 삶의 많은 부분에 사용되면서 인공지능 교육이 교육 현장에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초등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 교육은 전문 교원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교사와 전문강사가 협업하여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에 대한 전문강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초등 인공지능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 인공지능 교육을 하는 전문강사 196명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을 사전 조사하여 네이버 엔트리, 단순 인공지능 체험 플랫폼(퀵드로우, 오토드로우, 두들 바흐, 아키네이처), 스크래치 3.0, Teachable Machine, mBlock, MakeCode, App Inventor, Machine Learning for Kids, AI for Oceans, KT AI Codiny(지니블록), Orange3, 엘리스 12개의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을 선정한 후, 360명을 대상으로 접근성, 교육용 콘텐츠, 플랫폼 성능, 교수・학습 관리, 공공성, 초등 수준 적합도, 피지컬 컴퓨팅과의 연계 가능성, 커뮤니티의 8가지 기준에 대한 인식조사를 온라인 설문조사로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8가지의 선택 기준 중 접근성이 제일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에 방문하여 수업을 해서 교육 환경에 의해 수업에 활용하려는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중 초등 인공지능 교육에 제일 적합한 것으로는 8가지 모두 높은 점수를 얻은 네이버 엔트리가 선정되었는데, SW 교육으로 초등 실과 교육에 사용되고 있어 친숙하며, 웹 버전으로 편리한 접근성과 양질의 많은 교육용 콘텐츠가 있고, 교수・학습관리가 가능하고 인공지능 기능이 크게 강화되었으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초등 수준에 적합하며, 하드웨어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피지컬 교구들과 연계를 할 수 있고, 나의 작품을 쉽고 편하게 공유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은 기술의 발달로 지속해서 개발, 업데이트가 되고 있다는 제한점이 있어서 일정 기간 단위로 인식조사를 하고, 공유하여 인공지능 교육 전문강사 양성 프로그램을 기획하며, 인공지능 교육에 더욱 적합한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개발 및 업데이트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인공지능 교육을 위하여 교사는 학생들의 인공지능 교육 성취 목표를 기준으로 교수・학습 설계를 하고, 전문강사는 인공지능 교육의 기술적인 부문을 담당하며 서로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교사와 전문강사 양성 맞춤 프로그램도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 is used in many parts of lif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actively being introduc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widely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teachers and professional instructors due to difficulties in securing professional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y analyzing professional instructor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o this end, 196 professional instructors in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in advance to select Naver Entry, Simpl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ence Platform (QuickDraw, Autodrow, Doodle Bach, Aquinature), Scratch 3.0, Teachable Machine, mBlock, MakeCode, App Inventor, Machine Learning for Kids, AI, AI, Odensey, 12 public learning platform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physical computing and the perception of the community's eight criteria. The survey found that accessibility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eight selection criteria, as it is hope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 to be used in class by visiting schools will not be us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mo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Naver Ent.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t is used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s SW education. It has convenient accessibility,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s are greatly enh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and upda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o they should be investigated and shared on a certain period of time to pl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structors training programs, and help develop and updat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more suitabl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addition, for effe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eachers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students' AI education achievement goals, professional instructors are in charge of the technical sector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a customized program for teacher and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should also be studied.

      • 1수업 2교사제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교사 협력을 중심으로

        김용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1수업 2교사제가 운영되는 양상과 1수업 2교사제로 인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1수업 2교사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1수업 2교사제와 교사 협력, 그리고 학교 조직 문화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즉, 1수업 2교사제가 학교 조직 문화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또는 정책의 변용을 통하여 불응하는지 혹은 형식적으로 순응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업 2교사제 운영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1수업 2교사제로 인해 학교 조직 문화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넷째, 기존 학교 조직 문화로 인해 1수업 2교사제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교육청에서 1수업 2교사제 정책을 시범․운영 중인 2개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였다. 두 학교는 인근 지역에 위치했지만 서로 다른 학교 조직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상이한 학교 조직 특성으로 인해 1수업 2교사제의 운영 양상을 대비하여 조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목적에 비추어 의도적으로 표집하였다. 주요 면담 대상자들은 2개 초등학교에서 1수업 2교사제에 참여 중인 더불어 교사와 담임교사들로 총 15명이었다. 그리고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써 주요 면담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총 42회 실시하였으며, 수업 나눔 페스티벌을 활용하여 총 8회의 수업 참관을 하며 동영상으로 수업을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 참여자, 교육학 연구자, 박사과정 대학원생 및 석사과정 대학원생, 현직 교원, 그리고 현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들로부터 여섯 차례의 검토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살펴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업 2교사제 운영 양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1차 연도와 2차 연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두 학교 모두 초기에는 한 교실에서 두 명의 교사가 함께 가르친다는 데에 부담감을 갖고 시작했다. 이후 사오 관계가 깊어짐에 따라 긴장과 갈등을 극복하면서 사전 수업 협의회가 활성화 되었고 그 결과 다양한 협력 수업 전략을 활용하였다. 다만, 수업시수 균등 분배 규범의 영향으로 인해 바다별초등학교의 1수업 2교사제는 교과 전담제의 형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후 2년차에는 교수-지원 중심의 협력 수업 유형을 통해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을 추구하면서 1수업 2교사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더불어 교사의 연계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1수업 2교사제가 운영되지 않는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한편, 하늘별초등학교의 1수업 2교사제는 기존 동 학년 구성원을 유지하며 래포를 형성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며 동 학년 교사 협력이 보다 전문적인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2년 차에는 교원 학습 공동체와 연계하며 스테이션 수업 유형이 주로 활용되었고, 한 차시의 수업에 다양한 협력 수업 전략이 복합적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하늘별초등학교에서는 1수업 2교사제의 성공 경험이 다른 학년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1수업 2교사제로 인한 변화에 대해 수업의 변화, 교사의 변화, 교사 관계의 변화, 그리고 학교 조직 문화의 변화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바다별초등학교의 경우 1수업 2교사제를 통해 교사들의 초기 부담감은 점차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책임감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교사 관계에 있어서 기존의 친밀감을 중시하는 동호회 성격의 관계를 넘어서 전문적 협력 관계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기존 학교 조직 문화의 영향이 워낙 강력하다보니 오히려 1수업 2교사제가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 결과 1수업 2교사제가 교사 간 경력 차이로 인해 멘토링 형태로 운영되거나 수업 시수 균등 배분 규범으로 인해 교과 전담제와 같이 운영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더불어 교사의 연계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한편, 하늘별초등학교의 경우 스테이션 수업을 통해 교사들은 새로운 수업 방법 시도에 대한 성공을 경험하며 협력적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 관계에서는 개별 교사들의 전문성에 기반을 둔 상호 멘토링과 코칭의 관계로 성장하였다. 특히, 학교 조직 문화의 변화와 관련하여 기존 교원 학습 공동체와 1수업 2교사제를 연동하여 운영하며 교실 속 교사 협력이 심화되었고, 그 결과 다른 학년으로 협력 교수가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교사 개인 차원, 교사 관계 차원, 학교 조직 차원, 그리고 학교 조직 문화 차원으로 구분하고 두 학교의 사례를 대비하여 살펴보았다. 교사 개인 차원의 요인으로는 변화에 대한 부담감, 참여의 자발성 등이 있었고, 교사 관계 차원의 요인으로는 교육 경력 차이, 교육 철학 차이, 부장교사와 학교장의 리더쉽 등이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교 조직 차원의 요인으로는 교원 학습 공동체 참여 여부, 혁신학교 여부, 학교 규모, 참여 교사의 연계성 확보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조직 문화 차원으로는 상호 불간섭 원칙, 동 학년 통일 규범, 변화에 대한 불만 속 순응, 연공서열 중시 등이 있었다. 이처럼 1수업 2교사제 운영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1수업 2교사제는 한 교실에 두 명의 교사가 함께 협력 교수함으로써 기존의 1인 교수 학교 조직 문화와 상호 교섭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책의 변형적 적용과 선택적 수용, 그리고 형식적 순응 현상을 보였다. 특히, 1수업 2교사제 운영 과정에서 단순히 두 명의 교사가 한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만으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역설적이게도 교사들로 하여금 겉으로는 협력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즉흥 연주하듯 서로 눈치를 보며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가장된 협력’의 형태로 변형되어 나타났다. 또한, 연공서열을 중시하며 보이지 않는 수직적 위계가 암묵적 질서로 자리 잡은 전통적인 한국 학교 조직 문화의 특성으로 인해 위계적 협력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 결과 1수업 2교사제의 교사 협력이 멘토링, 교과전담제의 변형된 형태로 적용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수업 2교사제가 학교 조직 문화에 미친 영향보다 기존 학교 조직 문화로 인해 1수업 2교사제가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변형적으로 적용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수업 2교사제를 통한 교사 협력은 ‘계란 판’과 같이 교사들을 격리시키는 학교 교실의 물리적 구조를 극복하여 한 교실 안에 두 명의 교사가 함께 협력하여 가르치는 시도 자체만으로도 개인주의 교직 문화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비록 1수업 2교사제가 비록 교육청으로부터 하향식으로 시범 운영되었지만, 교사들은 교육적인 가치를 중심에 두고 교사 간 전문적 협력의 관계를 형성하며, 기존의 학교 조직 문화에 의미 있는 변화를 느리지만 점진적으로 시도해 나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업 2교사제 운영 양상은 초기에 수업 공개에 대한 부담감이 컸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교사 간 함께 수업 계획하기가 활성화되고 관계가 깊어지며 점차 부담감을 극복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인은 ‘관계’였다. 1수업 2교사제 운영 과정에서 교사들의 상호 신뢰적 관계를 바탕으로 협력적 전문성이 발현되지 않는다면 지속가능한 학교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셋째, 1수업 2교사제가 학교에 미치는 영향보다 오히려 기존 학교 문법으로 인해 학교가 1수업 2교사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수업 2교사제를 통한 교사 협력은 개인주의, 현재주의, 보수주의로 점철된 교직 문화를 극복하는 데에 미약하지만 긍정적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1수업 2교사제와 같은 급진적 형태의 교사 협력은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와 헌신을 바탕으로 하여 점진적으로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 코티칭 연구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한국 특유의 학교 조직 문화로 인해 1수업 2교사제가 코칭, 상호 멘토링, 수습교사제와 같이 새로운 형태로 운영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섯째, 1수업 2교사제를 교원 학습 공동체와 연계하여 운영하도록 교육청의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1수업 2교사제는 코로나 시대에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1수업 2교사제의 효과를 높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1수업 2교사제와 교원 학습 공동체 정책을 연계하여 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수업 속 교사 협력을 위해 교사 양성 기관과 연계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1수업 2교사제 수업과 교육 실습 등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체계적인 교사 연수를 지원하고 교사들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1수업 2교사제를 정비해야 한다. 넷째, 코로나 19로 인한 교육 격차 문제 심화 등 기초학력을 보장을 위해 1수업 2교사제도의 체계적 검토와 전략적 대처가 필요하다.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기간이 2년으로 길지 않다는 점에서 1수업 2교사제에 대하여 종단적 차원에서 대규모의 질적 연구가 요청된다. 둘째, 1수업 2교사제를 운영 중에 있는 여러 지역의 학교를 대상으로 다양한 운영 양상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고, 교사 협력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대규모의 양적 연구가 요청된다.

      •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과 인식

        김경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논 문 요 약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과 인식 김 경 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안 경 자) 본 연구는 교사의 교수동기와 전문성 발달 양상이 교사연수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들의 경험 및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영어과 교사연수의 방향성과 영어교육 정책에의 심층적이고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영어교사들이 영어과 교사연수의 유용성 정도를 인식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연구 방법으로는 영어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높은 네 명의 고경력 초등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과 여섯 명의 초등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기법을 사용하였다. 녹음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코딩 작업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 삼각측정법, 구성원들의 검토, 동료검토 전략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연구 결과, 이들의 연수 지원 동기에는 개인적 요인과 학교 맥락 및 교육정책과 같은 많은 요인에 의한 다양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다양한 경험과 인식의 차이 간에도 몇 가지 유사한 맥락과 유의미한 경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연수동기면에서는 영어연수에 대한 교사 개개인의 내적 요인과 학교 맥락 또는 영어교육 정책이라는 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이들의 연수동기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연수 경험은 교실수업에의 적용 및 반성적 사고의 과정을 통해 내재화되어 개인의 고유한 영어교육철학 및 교수법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영어교사들은 다양한 연수 경험 및 교수실행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발달시켜 온 결과, 영어연수 유형에 따라 장단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관점과 안목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과 교사연수의 유용성 정도를 인식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참여형 및 체험형 연수를 선호하였고 맞춤형 영어회화, 교수법, 지도안 작성법, 수업코칭, 일대일 컨설팅 등 심도있는 커리큘럼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교사들은 연수 강사진의 역량을 매우 강조하였으며 코로나 팬데믹(이하, COVID 19)의 영향으로 강사의 ICT 활용 역량 역시 연수 유용성 정도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인식하였다. 주목할만한 점은 연수에 참여한 동료 교사 요인이었으며, 이는 교사들이 동료교사의 전문성과 열정에 긍정적인 영향과 자극을 받고 정보를 교환하며 도움을 주고 받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요구사항은 크게 체계적인 연수체계 구축, 내실있는 커리큘럼, 학교 및 현행 영어교육 정책에 대한 요구로 분류되었다. 연수면에서는 연수의 양과 질 관리, 체계적인 연수체계의 설계, 영어지도 경력별 맞춤형 연수 설계, 참여형 커리큘럼 구축,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연수형태의 다양화였다. 학교와 영어교육정책면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발달 기회 부여, 영어전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처우 개선, 영어교육 활성화 정책, 연수 기회 확대 및 예산 지원, 마지막으로 우수초등영어교사에 대한 지원체계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제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예산 확대, 연수 수요자 중심 맞춤형 영어연수 프로그램 구안, 단계별· 수준별 영어연수 프로그램 체계 구축, 학교의 상황을 고려한 연수 시기 계획 수립, 전문성이 높은 영어교사에게 영어지도 기회 보장, 우수한 영어교사들에 대한 투자와 지원, 마지막으로, 성과상여급 및 승진에서의 불이익에 대한 제도적인 접근과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이다. 본 연구는 영어연수 경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설문 분석 통계에 기반한 양적 연구와는 달리 교사들의 진정성 있는 목소리와 이들의 어려움 및 요구사항에 귀를 기울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과 교사연수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학교 맥락과 영어교육 정책 부문에서의 책무와 시사점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고경력 영어교사, 심층 면담, 영어과 교사연수, 영어과 교사교육, 질적 연구, 초등영어교사 * 본 논문은 2021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 B S T R A C 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by Kim, Kyoung Hye Major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Ahn, Kyoung Ja This study sought to gain in-depth and significant recommendations for Korean public school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English education polic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ublic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in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econd, what factors do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recognize the degree of usefulness of English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ird, what are the recommendation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elementary English teachers(here after teachers) who had more than t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more than five years experience teaching English and six teachers with high expertise in English education. All recorded material was transcribed, and the transcribed material was divided into thought groups and analyzed through coding. Among the six strategies proposed by Merriam(1998) to secur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triangulation, member checks, and peer review strategies were utili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in English training showed that their motivation for applying for training was diverse due to many factors such as personal factors, school contexts and educational policies. On the other hand, several similar contexts and significant trends could be found between different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terms of training motivation, individual teachers' internal factors for applying English training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school context or English education policy combined to form their motivation for training. Their training experience has been internalized through application to practice in the classroom and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affecting individuals' unique philosophy of English education and teaching. In addition, teachers have continued to develop their expertise through various training experiences and carrying out instruction, and have a perspective and eye to analyze pros and cons and suggest variable ideas to improve the quality of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eco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factors that recognize the degree of usefulness of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as follows. Teachers preferred participatory and hands-on training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in-depth curricula such as English conversation, explanation of teaching methods, instruction writing methods, class coaching, and one-on-one consulting. In particular, the ability of training programs’ instructors was highly emphasized and the ability of teachers to utilize ICT was also an important emphasis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Other positive factors fo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was they were influenced and stimulated by the professionalism and passion of their fellow teachers, and developed relationships where they exchanged information and ideas on English education to help each other. Finally, the recommendations of teachers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as follows. The requirements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largely classified as the requirement for a systematic training system, a substantial curriculum, schools and current English education policies. Specifically,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atic training system, secondly, customized training design for each career, fourthly, diversification of training forms in preparation for the post COVID-19 era, fifthly, expansion of training opportunities and budget support for elementary English school teachers. Suggestions are as follows. Expanding the budget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establishing a customized English training programs for students, establishment of an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system for various skill levels, ensuring English teaching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English teachers, investing and supporting excellent English teachers, and finally, institutional approaches and solutions to disadvantages in performance-based pay and promot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based on interviews with 10 former and curren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who have worked or are working in Seoul, and a mixed qualitative stud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refore, there may be some lack of objective tendency to presen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actors of English language training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raining,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examples of other regional education offices. Throug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about their English training experience, unlike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survey statistics, the researcher was able to listen to teachers' sincere voic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Based on th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in which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proceed and suggested responsibilities and implications in the school context and English education policy sector. Key Words: a highly experienced English teacher, an expert in English educatio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 English teacher ​training, in-depth interview, qualitative research, teacher education * This paper is a master's degree in educ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June 2021.

      •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과 전문성의 관계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박희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과 교권은 관계적 측면에서 그 의미가 있다. 교육활동은 교사와 유아뿐 아니라 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교육공동체 내에서 이뤄지며 이로 인한 교권침해 등 교육활동 방해 행위는 교사의 전문성 발휘를 방해하고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위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교권 침해행위는 교사가 유아를 생활지도하는 데에서 주로 발생하는 만큼 유아의 행동을 바라보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이 깊다. 이에 따라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과 전문성, 부모의 양육태도 간 서로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 전문성, 부모의 양육태도를 조사하고, 각 인식이 서로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와 서로 어떠한 영향력을 끼치는지,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이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부모의 양육태도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여 부모의 양육태도를 매개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과 교권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고,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과 교권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 교사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활동과 교권을 보호받을 수 있고, 교육활동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교육공동체 문화 형성에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부모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및 교권, 부모의 양육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2.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및 교권, 부모의 양육태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 문제 3.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4.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이 교권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44부를 직접 방문 또는 인터넷으로 전달하였으며, 직접 방문한 설문지 310부 중 194부 회수, 인터넷 전달 설문지 34부가 회신되었다. 응답 중 누락된 문항이 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설문지 9부를 제외한 219부를 최종 연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 및 전문성, 부모의 양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는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을 알아보기 위해 신인정과 곽승주(2021)가 양다경(2017)과 정주리(2017), 전희정, 전유영과 김주후(2019)의 연구를 토대로 수정·보완한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해 측정하는 교권인식 척도,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Lindsay와 Lindsay(1987)의 전문성 인식 척도를 이경(2002)이 일반인의 인식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보완 한 것을 기초로 최정옥(2018)이 부모가 인식하여 응답하는 문항으로 수정·보완한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부모의 양육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김선희(2021)가 개발한 부모의 인권친화적 양육 태도 척도를 활용하여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정규분포성을 확인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é-test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이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ing)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연령, 성별, 학력, 직업, 월평균 소득, 자녀의 연령, 성별, 출생 순위, 재원 중인 유치원의 유형, 재원 기간 등에 대한 차이는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 및 전문성,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차이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는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 및 전문성, 부모의 양육태도는 앞서 말한 배경적 요인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관계적 맥락에서 형성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 전문성, 부모의 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 전문성, 부모의 양육태도는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부모의 양육태도가 서로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교권에 대한 인식과 동일한 맥락에서 작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가 가진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부모의 양육태도로 설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부모가 가진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부모의 양육태도를 매개로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통한 유치원 교사의 교권 증진을 고려할 때 부모의 양육태도가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이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교권이 존중받는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해서 유치원 교사는 스스로의 전문성을 증진시키고 이를 부모가 인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를 가지므로 부모가 인권친화적 양육태도를 함양하여 자녀를 긍정적인 양육태도로 양육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과 부모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The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author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re meaningful in relational terms. Educational activities take place within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which not only teachers and children but also parents participate together, and the resulting acts of obstructing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can hinder the teacher's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lead to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contraction of teachers. As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occurs mainly in teachers' guidance on children's lives, it is deeply related to parenting behavior toward children's behavior. Accordingly, research is nee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uthority and expertise as perceived by parents, and parent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authority,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by parents and parenting behavior, and to find out what relationship each perception has with each other and how it affects each other. It also analyzes the role of parenting behavior in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parents 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authority. Through this, it helps to underst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authority through the parenting behavior, and to properly underst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authority. And it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an educational community culture that can protect educational activities and teaching authority based o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romote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expertise and teaching author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ing behavior as perceived by parents according to the parents’ background variable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xpertise and teaching authority as perceived by parents, and parenting behavior? Research Question 3: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parents affec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authority? Reseach Question 4: I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significant in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parents on teaching author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arents of early childhoods enrolled in kindergartens in Seoul. A total of 34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rectly visited or delivered on the Internet, 194 out of 3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visited in person and 34 copies of the Internet delivery questionnaire were returned. Excluding 9 questionnaires with missing or insincere answers, 219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analysis data. The scale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used as a scale to find out the teaching authority and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by parents, and parenting behavior.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teaching authority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ived by parents, Shin In-jeong and Kwak Seung-joo (2021) used a teaching authority recognition scale that measures the teaching authority of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by parents who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earch of Yang Da-kyung (2017), Jeong Ju-ri (2017), Jeon Hee-jung, Jeon Yoo-young, and Kim Joo-hoo (2019). Second, to find out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cal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Choi Jeong-ok (2018) was used as a question that parents recognized and responded to based on Lee Kyung (2002)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scale of kindergarten teachers as a tool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Lastly, To find out the parenting attitude, the scale of parenting attitudes developed by Kim Sun-hee (2021) was used. All tools were used after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tool.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tudy subjects, and skewness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to confirm the normal distribution.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find out the reliability of this study tool,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each variabl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 and Scheffé-test was performed as a pos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between each variable. In addition, a mediation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bootstrapping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the impact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s perceived by parents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authorit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the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differences in parents' ag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children's age, gender, birth order, type of establishment of kindergarten, and length of stay did not lead to differences in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uthority and professionalism percived by parents’ and parenting behavior. This means that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uthority and professionalism, and parenting behavior are not formed by the background factors mentioned above, but in a relational context.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uthority,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parents, and parenting bahavio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uthority, professionalism, and parenting bahavior. This means that parenting bahavior can work in the same context as kindergarten teachers' authority and proffesionallism percived by parents. Thirdly, parents' perception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arenting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he parents' perception of the teachers' authority. This means that the parents'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uthority can be explained by the parent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parenting bahavior. Lastly, it was found that parents'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influenced parents'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uthority through their parenting bahavior. This means that parenting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hen considering the promo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uthority through the promo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bahavior was investigated in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on authority perceived by parents. In order to form an educational community in which teaching authority is respected,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to promote their own professionalism and make parents aware of it. In addition, since parenting bahavior have a mediating effect on parent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n parents' perception of teaching authority, institutional support and parent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parents can cultivate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behavior to raise their children in a positive parenting behavior.

      •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 분석

        이혜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련된 변인들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사회환경교육 강사가 나아갈 바람직한 전문적 자질을 모색하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조사하였다. 측정도구는 27문항으로 직업적 프로필을 일반적 특성, 직업 전문성 인식, 직업 만족도로 세분화하였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적극성, 참여의식, 자율성, 윤리의식, 소명의식으로 세분화하여 구성하였다. 설문방법은 객관식과 리커트형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에 응답한 113명을 대상으로 IBM SPSS Statistics 25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환경교육 강사는 월 평균 강의 횟수가 많을수록 전문직 인식 수준과 사명감/목표의식이 높고, 재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자신의 강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이 길수록 가르치는 일 자체와 사회적 인식에 대한 직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비전공 학사그룹이 전공 학사그룹보다 사회적 인식에 대해 만족했고, 자격증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직업적 성취도는 높지만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척도에서 윤리의식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재교육의 필요성 인식, 자신의 강의 전문성 인식, 사명감과 목표의식 그리고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경교육사 자격증과 월 평균 강의 횟수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을 위해서는 직무 자체의 적성을 고려한 강사를 선발하고, 강사가 경력을 유지하는 동안 자신의 강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환경교육 전공자와 경력자의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 우대 조건이 필요하며,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이 현재의 강사 활동과 연계되도록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또한 강사들의 경력과 자격에 따른 보수 기준을 마련하는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교사의 전문성 : 심성함양의 관점

        이정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논문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성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밝힘으로써 교사의 권위를 정당화하고 교사란 어떤 존재인지를 설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다루는 질문은 크게 두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가르치는 일이란 어떤 종류의 일이며 어떤 성격을 지니는가? 둘째, 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지식은 어떤 종류의 지식인가? 이 두 질문에 대한 답을 내리기 위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진 교육에 관한 세 가지 관점-공학적 관점, 실천철학적 관점, 심성함양의 관점-을 다룬다. 세 관점에서 바라보는 교육은 어떤 종류의 일이며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지를 살핌으로써 결국 교사의 전문성에 핵심이 되는 지식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공학적 관점은 교육을 공학적 합리성에 비추어 바라보는 관점이다. 공학적 관점에서 정의하는 교육이란 ‘인간 행동의 계획적 변화’이다. 이 관점은 학생의 학습능력을 객관적인 수치로 정량화할 수 있다고 보고 객관화된 자료를 참고하여 학생의 학습능력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처방적 관점이다. 이 관점에서 교사는 행동공학자이며, 학생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적절한 수업기술을 적용시키는 기술자이다. 또한 교사가 전문성을 갖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은 기법적 지식(technical knowledge)이다. 기법적 지식이란 목적의 효과적 달성을 위한 방법에 관한 지식으로, 수단-목적 관계에 기초하고, 관찰 및 측정이 가능하며, 객관적이고 몰인격적인 특징을 지닌다. 공학적 관점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교사의 전문성을 오롯이 기법적 지식에서 찾음으로써 도리어 교사의 전문성을 도외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에 있다. 뿐만 아니라 교실의 구체적인 상황맥락을 간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실천철학적 관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 근거하여, 공학적 관점의 한계를 보완한다. 실천철학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지식은 실천적 지식(phronesis, practical knowledge)이다. 실천적 지식은 상황 맥락적 지식이며, 주어진 상황에서 올바르게 숙고하고 판단하고 실천하는 데에 작용하는 지식을 말한다. 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지식 역시 실천적 지식으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가 교실에서 매 순간 숙고하고 판단하여 학생에게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지도하는 데에 작용한다. 실천철학적 관점에서 교사는 ‘반성적 실천가’이다.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사는 매 순간 반성을 통하여 숙고와 판단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가장 적절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선택하여 실천한다. 이러한 실천철학적 관점은 교육의 사태를 잘 설명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지만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을 분리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을 부당하게 간과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심성함양의 관점은 학생에 관심을 두는 앞의 두 관점과는 달리 교사에 관심을 둔다. 심성함양의 관점에서 교육은 지적 전통에 학생들을 입문시킴으로써 지적 전통을 보전하는 일로 보는 피터즈(R. S.Peters)의 주장에서 더 나아가 학생과 교사의 심성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일로 설명된다. 심성함양이란 기능 수준의 마음을 본체로서의 마음으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하며, 심성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은 이론적 지식이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의 가장 핵심이 되는 지식은 이론적 지식이다. 여기에서 교사의 이론적 지식은 단지 교과 지식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일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교사 스스로의 존재에 대한 이해를 포괄한다. 교육에는 본래 어려움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이해와 가르치는 일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일을 계속해 나가려는 마음가짐은 교사로 하여금 사명감을 가지게 하며, 교육과 교사에 대한 이러한 이해야말로 교사의 전문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지식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심성함양의 관점에서 교사는 자기연찬자이며, 끊임없이 공부하고 학생들에 앞서서 심성함양을 계속해 나가는 존재이다. 세 관점에서 다루는 세 종류의 지식은 모두 교사에게 필요하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적절한 교수 기법이 필요하며, 매 순간 숙고하는 교사의 노하우도 중요하다. 또한 교과 지식 및 가르치는 일에 대한 이해 역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중에 교사의 전문성에 가장 핵심이 되는 지식은 이론적 지식이다. 나머지 두 지식이 부족해도 여전히 교사는 교사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가르치는 일을 계속해 나갈 수 있으며 스스로 더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하여 노력할 수 있다. 그러나 가르치는 일이 어떤 성격을 가지는지에 무관심하거나 교과에 대한 열정도 없이 교과를 통한 심성함양을 이루려는 노력을 게을리 한다면 그 사람은 교사로서 가르치는 일을 계속해 나가려는 마음가짐을 갖지 않게 될 것이다. 결국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의 이론적 지식에서 나오며, 가르치는 일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과 권위가 정당화된다.

      •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수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기에 교사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규명은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 변인(성별, 학력, 교육 경력, 혁신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은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교사 230명이 응답한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관계 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개인별 배경 변인인 성별, 학력, 교육 경력, 혁신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정보공유가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에 따라 석·박사가 학사보다 교사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교과지식 이해력과 교수설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경력에 따라서는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대체로 1~10년 경력의 교사보다 11~20년 경력의 교사와 21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학교에서 근무했던 교사들이 일반학교에서 근무했던 교사들보다 학교 조직문화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분석을 시행한 결과, 대체로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의 관계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특히 직무 만족도는 모든 연구 변인과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 조직문화(β=.528)와 교사 효능감(β=.376)이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를 45.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근무환경 만족도와 교직 만족도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각각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46.9%로 나타났으며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30.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이해서는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을 높이고 학교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개인별 배경 변인에 따른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사의 직무 만족도가 학생의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역량 등 교육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ff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important, we need to underst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Identifying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up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whether to work in innovative school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how do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ffect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survey data from 2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in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AMOS 23.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academic background, educational career, and whether or not working at an innovative school. According to gender, femal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sharing, which is a sub-factor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lso,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the understanding of subject knowledge, which is a sub-factor of teacher expertise, and the design of teach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are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teachers depending on whether they worked in innovative schools.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general.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especially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tudy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β=.528) and teacher efficacy(β=.376)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ly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s recognized and the higher the teacher's efficacy,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Four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45.9% of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s the subordinate variables,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was found to be 46.9%, and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30.9%.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have a great influence on explaining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nd improve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basic data by examining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inuous research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follow-up studies on how teacher job satisfaction affects student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mpetence in general education are required.

      •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윤정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논 문 요 약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윤 정 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창 복) 본 연구는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어떻게 발달해 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관점을 ‘지식과 기술 발달’ ‘자기이해 발달’ ‘생태적 발달’로 나누어 멘토링을 실시하였으며 멘토링 과정에서 영아교사가 느끼는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멘토링을 통해 영아교사의 전문성은 어떻게 발달해 가는가? 연구문제 2. 멘토링을 통해 영아교사가 경험한 의미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P시에 위치한 국공립 S어린이집 교사 6명을 대상으로 멘토링 교사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의 방법 중 사례 연구가 이루어졌다. 멘토링의 과정은 비참여 관찰, 면담, 연구 참여자 저널, 현장노트가 자료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의 과정을 거쳐 개념화하였으며 이를 범주화하는 과정을 통해 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삼각검증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크게 두 가지로 범주화되었는데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영아교사의 경험의 의미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은 지식의 형성으로 성장하는 교사 되어가기, 새로운 나 더 나은 나 되어가기, 사회적 관계를 넓히는 교사 되어가기로 분석되었다. 지식의 형성으로 성장하는 교사 되어가기는 기존의 지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을 형성하여 전문성 발달을 이루는 교사의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목표의 중요성을 깨달음, 놀이지원을 위한 개입수준에 대한 관심, 기질로 문제행동을 풀어가는 것에 대한 이해,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는 지식의 적용, 발달에 적합한 기대감을 갖으며 성숙해 가는 교사의 모습이 나타났다. 새로운 나 더 나은 나 되어가기는 성격강점검사를 통해 현재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새롭게 인식된 자신의 모습과 강점을 파악하였으며 자기계발을 위한 계획을 세워 더욱 발전하고자 하였다. 이는 나와 마주하는 기회가 되어 알아가는 나, 나에게 새로운 강점이 있음을 인식한 재발견된 나, 자신의 강점을 기여하여 유익을 주는 나, 습관 길들이기를 통하여 잘 되는 내가 되고자하였다. 사회적 관계를 넓히는 교사 되어가기는 어렵게 느껴졌던 학부모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동료 교사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조직의 문화를 이루려는 의지가 나타났다. 이는 관점을 바꾸는 것은 좋은 관계의 씨앗, 모델링과 피드백을 통해 관계성 키워가기, 친밀함과 신뢰감을 느끼는 관계의 성장, 자신을 직장의 대표자로 인식하여 조직 문화를 꽃피우기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을 통해 영아교사가 느끼는 경험의 의미는 어려움이 있는 멘토링, 격려와 배움이 있는 멘토링, 변화를 경험하는 멘토링, 꿈을 꾸는 멘토링으로 분석되었다. 멘토링에 대한 부정적 의미인 어려움이 있는 멘토링은 멘토 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 멘토 교사의 개인적 역량에 대한 염려, 멘토링을 위한 시간조정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격려와 배움이 있는 멘토링은 멘티 교사가 경험한 의미로써 격려, 인정, 존중 등의 정서적 지지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느꼈으며 다양한 전문적 지원은 배움의 기회가 되었다. 이는 인정과 격려의 정서적 지지, 교수법의 격려를 통한 지지, 배움의 기회에 대한 감사로 나타났다. 변화를 경험하는 멘토링은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고 반성적 사고와 새롭게 알게 된 지식을 적용하고자 하는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멘토링의 과정은 멘토 교사 역시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열정적인 멘티 교사의 지원은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나 보람을 느끼게 되었다. 이는 서로를 알아가며 깊어진 친밀감, 반성적 사고를 통한 실천적 의지, 함께 성장하는 멘토 교사, 성장을 지켜보는 보람으로 나타났다. 꿈을 꾸는 멘토링은 자신의 내면에 갖는 바람으로 자신도 누군가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 싶은 멘티 교사의 바람이었고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직업에 대한 긍지를 보였으며 영아교사로서의 신념을 확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멘티 교사가 좋은 멘토 교사가 되고자 자신의 멘토상을 그려나감, 교직에 대한 긍지, 교사로서의 신념을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멘토링을 통해 영아교사들은 지식의 형성으로 보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 나아갔고 자기이해 과정에서 교사로서의 신념을 확립해 나갔으며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친밀하고 신뢰로운 관계형성과 올바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자 하는 긍정적 의지가 나타났다. 또한 멘토링의 경험은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나 멘토 및 멘티 교사 모두의 성장으로 더 큰 기쁨과 보람이 있어 멘토링은 영아교사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식되었다. 주요어 : 멘토링, 영아교사, 전문성 발달 * 본 논문은 2017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