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언론수용자운동과 사회운동 측면에서 고찰한‘안티조선운동’에 관한 연구

        정정일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언론은 사회 전반에 걸쳐서 막강한 힘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언론은 사회를 반영하기도 하고 현실을 규정하기도 하는 등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그 지위가 어느 때보다도 극대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언론의 민주화와 이를 통해서 사회의 민주화를 추동해 내는 언론 본연의 역할에 있어서는 '총체적 위기'로 표현될 만큼 많은 난맥상을 보이고 있다. 언론은 사회를 인식하고 여론을 확대 조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회의 문제나 이슈를 어떻게 의제화하고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는가에 따라 사회의 발전과 민주화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언론은 어디에도 종속되지 않고 언론본연의 진실되고 공정한 보도로 독자들의 바른 인식과 판단에 일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부여 받아 온 것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한국 언론이 '제4부'로 불릴만큼 막강한 힘을 행사하는 위치에 있고, 또한 언론기업이 다른 사기업과는 다른 사회적 책임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힘을 자사의 이익이나 지배권력을 공고히 하는데 이용하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며, 특히 조선일보로 대변되는 한국언론의 폐해를 안티조선운동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안티조선운동은 언론수용자운동과 사회운동의 측면에서 의미있는 운동으로 평가할 수 있다. 1986년도의 방송에 대한 시청료거부운동이 있었지만, 신문을 대상으로 구독거부와 기고거부가 조직적으로 집중된 경우는 최근의 안티조선운동이 드문 예에 속한다. 그 동안 언론에 소극적, 수동적인 자세를 보여왔던 수용자들이 적극적으로 하나의 신문에 대해 압박수단을 가하며 구독거부와 반대선언을 이루어낸 것은 이제 수용자들이 더 이상 언론의 객체가 아니라 주체임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었다. 또한 언론의 공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할 때 비로소 사회의 발전과 개혁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자명한 일로, 안티조선운동은 언론개혁과 사회개혁을 목표로 조선일보로 상징되는 한국언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혁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The press today exerts a tremedous influence on the whole of the society. Specifically it sometimes reflects the society or prescribes the reality. The status of the press became more enlarged than ever in view of politics and economy. Contrary to this, the original role of the press has been in trouble called 'general hazard', which leads the democratization of the press and through it propels the democratization of the society. The press recognizes the society and makes the public opinion enlarged. Therefore, it becomes a lever which can measure the degree of the development of our society and the democratization according to how the matters and issues of the society become agendas and what directions and alternatives are suggest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ress was conferred a primary source for the just recognition and judgment of readers, for it has not been subject to anything and made its own true and just release. This study is about the evil influences of Korean organs of public opinion, which are represented as Chosunilbo, through Anti-chosun Movement. Through the study, I noticed that in reality they were exerting a powerful influence and their status is nearly 'The Fourth Administration'. Furthermore, I understood that, though they had more social responsibility than any other private companies, they used their power to gain their own profit and establish their ruling authority. Anti-chosun Movement can be estimated as a meaningful one in view of the press recipient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Anti-chosun Movement has been a very rare one, for it is a systematic concentration of the subscribers in rejecting contributions as well as subscriptions, since in 1986 people rejected to pay TV subscription fees. Recently those negative and passive recipients were changed into positive ones, applying pressure on a newspaper and rejecting subscriptions and expressing themselves against it. It shows the readers are no more an objective, but a subjective for sure. Moreover, Anti-chosun Movement provided an important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Korean organs of public opinion and reform them, for it is self-evident that the development and reform of the society are accomplished when the press take a social responsibility and duties of a public enterprise. Accordingly, through the study, I analyzed the background of Anti-chosun Movement and its aftermath development and thought over the meaning in terms of speech as well as its social meaning.

      • PR실무자와 기자의 언론관계에 관한 상호인식 비교연구

        김미현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기업을 둘러싼 공중과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그 역할을 수행하는 PR실무자들은 다양한 PR활동 중 공중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언론관계를 가장 중요하게 다룬다. 취재원과 정보원으로서의 PR실무자와 기자의 관계는 상호 이해나 인식의 차이 때문에 부정적인 오해와 편견을 가져오기도 한다. IMF 이후 외국기업의 국내진출 증가, 벤처 기업의 성장과 몰락 등 최근 몇 년간 국내에는 PR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도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친맥이 우선시 되는 국내 PR환경은 달라지지 않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시점에서 PR실무자와 기자의 언론관계에 관한 상호인식의 차이는 다시 한번 검토해 보아야 할 연구 과제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신 호창 교수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PR실무자와 기자들의 상호인식의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언론관계는 PR실무자가 펼치는 전술에 따라서, PR실무자와 기자 각자가 생각하고 있는 PR관이나 언론관 또는 상호관계에 따라서, 언론관계활동에 따라서 상호간의 인식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언론관계의 윤리성에 대한 상호간의 인식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신호창 교수가 1994년도에 제시한 언론관계전술과 한국의 PR모형이 현 시점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첫째, PR실무자들이 수행하는 언론관계 전술의 중요도에 관한 PR실무자들과 기자들의 상호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언론관· PR관· PR실무자와 기자와의 관계에 관한 PR실무자들과 기자들의 상호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언론관계에 대한 PR실무자들과 기자들의 윤리의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언론관계활동에 관한 PR실무자들과 기자들의 상호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다섯째, 1994년도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현재 PR실무자의 언론관계전술 및 PR모형의 변화는 무엇인가?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설문조사 방법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설문조사는 PR실무자와 기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PR실무자는 1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 외국계 기업, PR대행사의 PR실무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자는 1년 이상의 국내 주요종합 일간지, 경제 일간지, IT전문 일간지의 신문사 기자 중 PR실무자의 접촉이 가장 빈번한 경제부, 사회부, 문화부 기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4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론관계 전술에 대해서는 PR실무자와 기자들 모두 보도자료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으며 '부정적 사건 발생시 보도자료 억제'나 '기자에게 식사나 향응제공'등과 같은 부정적 항목에 대해서는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언론관에 대해서는 PR실무자들은 기자의 전문성과 책임감을 중시하고 있으나 상대하기에는 어려운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자들은 스스로를 전문적이며 도덕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느끼지만 존경 받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R관에 대해서는 PR에 대한 우호적 인식은 PR실무자가, 부정적 인식은 기자가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R실무자와 기자와의 관계에 대해서 PR실무자들은 자신들이 기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고, 기자와는 동료적 관계라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기자들은 PR실무자를 뉴스 제공원으로서, 상호 의존적 관계로만 인식할 뿐 신뢰하거나 경쟁 상대로는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언론관· PR관· PR실무자와 기자와의 관계를 적률상관관계로 분석한 결과 PR실무자들은 기자에 대한 인식(언론관)이 긍정적일수록 PR의 역할 및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기자들은 PR실무자를 신뢰하지는 않지만, 도움은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윤리의식에 대해서 PR실무자들은 식사대접이나 때에 따른 선물, 기사 수정 요청 등 그 정도가 약할 경우는 해도 괜찮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과거에는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금품제공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어 언론윤리에 변화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기자들 또한 금품제공을 제외하고는 서로의 관계증진을 위해서 PR실무자로부터 식사나 선물, 향응 등의 접대는 받아도 괜찮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활동에 대해서 PR실무자들은 기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협조하며 회사이미지 상승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위기시 과장이나 회피보다는 객관적이고 적극적인 해명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자들은 이와 달리 PR실무자들의 언론관계활동에 대해 어느 정도의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긍정적인 면은 PR실무자가, 부정적인 면은 기자들의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4년도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국내 PR실무자의 언론관계전술 및 PR모형의 변화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PR실무자의 언론관계 전술의 중요도와 언론관계 활동에 대해서 추가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국내 PR실무자들의 언론관계 전술은 기자지향 전술, 언론윤리 전술, 회사이미지 전술, 뉴스가치 전술 등 4가지 전술로 설명됨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합리적 전술, 비합리적 전술, 언론연구, 효과적 전달과는 다른 요인으로 분석되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언론관계가 과거에 비해 더욱더 기자 중심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적극적이고 구체화된 전술로 나타나고 있음을 설명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한국의 PR모형은 기자 중심형, 보도 자료형, 정보 왜곡형, 정보 관리형, 적극적 홍보형 등 5가지의 모형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한국의 PR 5모형인 합리적 정보 처리형, 상호 이해형, 정보 왜곡형, 적극적 홍보형, 보도자료 의존형과는 다소 다른 요인으로 분석되어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결과적으로 기업체 PR실무자들과 언론인 사이에는 부정적 상호인식의 차이가 변함없이 존재하고 있으며, 국내의 언론관계가 그루닉이 주장한 PR의 가장 이상적 형태인 쌍방균형모형(Two-way symmetric)으로 가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확인 되었다. 아직까지도 국내의 PR상황에는 비윤리적인 수단들이 개입되어 있고, PR실무자들이나 기자들 또한 이러한 비윤리적 언론관계를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고 있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PR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될수록 오히려 이러한 기자중심적 언론관계는 심화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PR실무자들은 발전적인 형태의 PR활동을 지향하나 언론관계가 상호 긍정적, 협조적인 관계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종속적인 관계로 유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만의 일방적인 변화는 무의미함을 설명하는 것이라 하겠다. Media relations to take deep effect to audience is the highest priority for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to increase the high contact with their public. Indeed, this process remains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between journalists and PR practitioners. This study is attempt to compared the perception about media relations between journalists and PR practitioners based on the pre-study executed by professor H. C. Shin in 1994. Media relations would be recognized differently by five major factors as strategy, point of view of public relations or media relations, correlations and ethical value between two groups, journalists and PR practitioners. And we will also research that how the theory has been changed since H. C. Shin suggested the Korea’s public relations model and media relations strategy in 1994. The research questions to define the perceptions gaps with journalists and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t degree of media relations strategy. Second, the perception about a point of view of public relations or media relations and correlations. Third, the perception on ethical value. Fourth, the perception on the activities for media relations. Fifth, the changed result compared with the pre-study suggested by H. C. Shin in 1994.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o 200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200 journalists. The results of on the abov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media relations consists mainly of obtaining publicity is considered important by journalist and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 And they think that the negative factor such as treats including dining or restriction of press release is not important. This result show the different thing compared to the pre-study. Second,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disagree regarding the point of view of media relations. Practitioners perceive journalists a specialized and high-responsibility man. But journalist has lower respects about themselves than practitioner perceive them. The two group reported different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view. It is found that practitioner has more positive thinking on the public relations’ view than journalist. In the correlations,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perception on each othe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PR practitioner recognize journalist as a partner at a same level. But journalist consider PR practitioner an information source. Third, practitioner and journalist have similarity on their ethical value. If its degree is low, it is possible that activities such as treat, presents and request to correct news to enhance relationship between two groups. Fourth, in media relations, practitioners are tends to corporate with journalists for company’s positive image. And they also react objectively to the crisis. But journalist is reluctant to agree the various activities of PR practitioners in media relations. This may account for PR practitioners are in more positive attitude than journalists in media relations. Fifth, the finding for media relations strategy here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in 1994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journalist - oriented strategy 2) media ethic strategy 3) company image strategy 4) news value strategy. And the result here for PR model of Korea compared to pre-study can be suggested as follows. 1) journalist - oriented 2) media coverage 3) information distortion 4) information management 5) positive public relat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still negative perception between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And journalists-oriented PR is bigger in the circumstance along with the rapidly developing PR industry in Korea.

      •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한국신문의 보도 태도 분석 :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례신문 사설을 중심으로

        이원섭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남북 문제는 한민족의 운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화두다. 남북이 분단된 구조는 50여 년간 민족의 삶을 사실상 규정하는 것이었다. 분단 상황 아래에서 북한 사회에 대한 정보는 거의 언론의 보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냉전시기에 한국 언론은 정권의 필요에 따라 이데올로기 대립을 확대 재생산하는 기능을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에 따라 국민들의 북한 사회에 대한 시각은 편향되고 굴절됐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탈냉전시기가 도래하고, 한반도에서도 기존의 적대적 남북관계에 점차 변화가 오기 시작했다. 정권에 대한 언론의 일방적 종속 관계도 변하고 있다. 본 논문의 분석 시기인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는 오랜 군사독재 시절을 거친 후 등장한 민간정부이지만, 성격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두 지도자는 모두 오랜 야당생활과 반독재 민주화투쟁을 통해 집권했으나, 전자는 역대 집권세력 안에 들어가 그 세력의 지지를 얻어 대통령이 됐고, 후자는 수평적 정권교체를 통해 집권함으로써 지지기반이 전혀 달랐다. 대북 정책 방향 역시 크게 차이가 났다.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우리 사회의 주류를 형성해 온 보수적 신문들과의 관계도 전자가 상대적으로 우호적이었다면, 후자는 팽팽한 긴장관계를 유지해왔다. 반면 제도권 언론의 한계를 극복하자는 대안언론 성격을 지닌 한겨레신문과의 관계는 두 정부가 정반대 경향을 보였다. 이에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대북 정책 가운데 가장 중요한 쟁점들에 대해 각 언론의 보도 태도는 어떠했는가? (2)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 시절 각 언론의 보도 태도를 볼 때 이데올로기적 성향에 변화가 나타났는가? (3)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 시절 각 언론의 보도 태도를 볼 때 정부 정책 평가에 변화가 나타났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서 언론과 이데올로기의 특성에 대한 기왕의 연구 성과를 알아보고, 남북 분단상황에서의 한국 언론의 역사적 성격을 규명했으며, 역대 정권의 대북 정책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본 논문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 신문 사설의 특징과 논조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에서 발행된 신문 중 사회적 영향력이 크고 이데올로기적으로 대조적 보도 태도를 보이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의 사설을 선정했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1993년 2월 김영삼 정부가 출범한 뒤 5년의 임기를 마친 1998년 2월까지, 그리고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1998년 2월부터 연구가 마무리된 시점인 2001년 6월까지의 3년 3개월간, 모두 8년 3개월간의 남북관계 보도 태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분석기간이 매우 긴 관계로, 남북관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되는 중요한 사안을 김영삼 정부 시절 15개, 김대중 정부 시절 15개를 각기 선정하고, 이 사건들에 관련한 사설들을 모두 수집해 분석단위로 삼았다. 분석 방법은 내용 분석을 주로 했으며, 측정 방법은 명목 측정과 등간 측정을 병행했다. 4개 신문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 매우 보수적 △ 보수적 △ 중립적 △ 진보적 △ 매우 진보적의 5개 범주로 나누고, 각기 5, 4, 3, 2, 1점을 주어서 평균 점수로 볼 때 어느 신문이 어떤 범주에 속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각 신문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이 정부가 바뀌는데 따라서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 신문의 정부 정책 평가가 어떤가를 알아보기 위해 △ 매우 비판 △ 비판 △ 중립 △ 지지 △ 매우 지지의 5개 범주로 나누고, 각기 5, 4, 3, 2, 1점을 주어 평균 점수가 어디에 속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이나 지지 태도가 정부가 바뀌는데 따라서 얼마나 변화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4개 신문이 공통적인 면과 대조적인 면을 보임이 드러났다. 즉, 이데올로기적 성향에서는 각 신문이 정부에 관계없이 자신의 색채를 유지한 반면, 정책 평가에서는 정부에 따라 각기 다른 보도 태도를 보였다.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보면, 다른 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던 것과 마찬가지로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가 모두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고, 한겨레신문은 진보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재확인됐다. 보수적 보도 태도를 보인 신문들끼리 비교하면, 조선일보가 동아일보나 중앙일보에 비해 훨씬 더 보수적이었다. 세 신문의 보수적 성향은 김영삼 정부 때나 김대중 정부 때나 공통적으로 유지됐다. 반면 한겨레신문은 김영삼 정부 때나 김대중 정부 때 한결같이 진보적 보도 성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정책에 대한 평가 측면을 보면, 김영삼 정부 시절에는 조선일보가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고, 한겨레신문과 중앙일보가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동아일보가 그 뒤를 이었으나, 김대중 정부 시절에는 조선일보가 여전히 가장 비판적 태도를 보인 가운데, 중앙일보가 비판의 강도를 훨씬 높였으며, 동아일보는 약간 비판의 강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겨레신문은 김대중 정부 시절 크게 지지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조선일보가 상대적으로 우호적 관계였던 김영삼 정부 시절 가장 비판적 태도를 보인 것은 정부의 대북 정책을 더욱 보수 쪽으로 견인하기 위해 강하게 비판했던 것으로 분석되며, 상대적으로 비우호적이었던 김대중 정부 시절에는 대북 포용정책을 강력히 견제하기 위해 비판에 앞장선 것으로 분석된다.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도 모두 김영삼 정부 때보다 김대중 정부 때 비판의 강도를 높였는데, 중앙일보 쪽이 훨씬 더 비판적이 된 것은 사주인 홍석현 사장이 보광그룹 탈세 혐의로 구속 수감된 것이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한겨레신문이 김영삼 정부 시절 비판적 태도에서 김대중 정부 때 지지 쪽으로 바뀐 것은 김대중 정부의 포용정책이 신문의 논조와 일치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사설을 분석하면, 그 신문의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에 대한 평가 태도가 가장 잘 나타난다는 점은 본 연구 결과 분명히 드러났다. 그러나 본 연구가 신문사 소유 구조 등에 관한 종합적 분석 없이 지면에 나타난 결과만 분석했다는 점, 뉴스보도나 해설, 칼럼 등을 제외하고 사설만 분석단위로 삼았다는 점 등은 일정한 한계로 작용할 것이다. 앞으로 위에서 지적한 한계들을 다각도로 보완한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issue of South-North Korea rel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genda that would determine the future and destiny of the people on Korean Peninsula. The division structure of South and North has virtually decided the life of the Korean people for the past 50 years. The information on North Korea has been so closed and controlled under the division structure that people could get it almost only through the media report. It has been strongly criticized that South Korean media has exasperated the ideological conflict and confrontation for the sake of the regimes need in the cold-war periods. As a result of this, the perspective of the South Korean on the North has been severely biased and distorted. However, the time has come when Cold War finally ended, and the confrontational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on the Korean Peninsula began to show some change. The unilateral dependence of the Korean media on the authoritarian regime also began to change. This study focuses those periods of Kim Young-Sam(YS) and Kim Dae-Jung(DJ) administration. Although these two civilian regimes were born after long periods of military dictatorship, there are many distinguished differences dividing these two. Both political leaders were able to succeed to take over the power after long struggle for the democracy as dissidents. However, their power base was different. YS could succeed through joini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ower, while DJ was elected as President through the horizontal shift of the power, opposition party becoming ruling party. Another big difference is their North Korea policy. Because of this policy difference, their relation with conservative newspapers such as Dong-a Ilbo, Chosun Ilbo, JoongAng Ilbo has also been different. The relation between YS administration and conservative papers was relatively friendly, whereas the relation between DJ and conservative papers has been under sharp tension. The Hankyoreh has tried to overcome the overwhelmingly conservative voice of the Korean media, that led to tension with YS regime and somewhat friendly relation with DJ. This study tries to analyze and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Korean media attitude toward most important issues among North Korea policy between YS and DJ administrations? (2) Is there any change in terms of ideological tendency in the Korean media report from YS to DJ administration? (3) Is there any change in terms of the report attitude on the assessment of the government policy in the Korean newspapers from YS to DJ administration? To analyze and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surveyed the established study on the media and ideology, figured out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dia under the division structure, and compared North Korea policy under each administration. Along with this approach, this study compar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position of the editorials of each newspaper as major analysis tool. This study selected four Korean newspapers that represent each aspect of ideological spectrum in Korean media, and focused on the editorials of each paper as major analysis base. The four papers are Dong-a Ilbo,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Hankyoreh. The periods that this study covers are as follows; 5 years of YS administration from February 1993 to February 1998, 3 years and 3 months of DJ administration from February 1998 to June 2001. This study selected 15 important issues in each administration, and compared all the editorials of four newspapers related to these issues. Major method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editorials, and also adopted the normal and interval assessment. To capture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ur newspapers, this study differentiates five categories such as △ very conservative △ conservative △ neutral △ liberal △ very liberal, and put 5, 4, 3, 2, 1 points respectively. Also this study examines any change in terms of the ideological tendency of each newspaper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the administration from YS to DJ. In order to analyze report attitude on the assessment of government policy by each newspaper, this study again differentiates five categories such as △ very critical △ critical △ neutral △ supportive △ very supportive, and put 5, 4, 3, 2, 1 points respectively. Along with this, this study examines any change in terms of the criticism or support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the administration from YS to DJ. The study concludes that each newspaper sustain their ideological tendency independent of the change in the administration, whereas each shows different report attitude in terms of the assessment of the government polic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dministration. In terms of the ideological tendency, Chosun, Dong-a, JoongAng Ilbos altogether have been conservative, among which Chosun has been far more conservative than Dong-A and JoongAng. The conservative color of the three newspapers has not changed from YS to DJ administration. The Hankyoreh shows sustaining liberal attitude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administration. In terms of the report attitude on the assessment of the government policy, Chosun was most critical, and Hankyoreh, JoongAng were critical under YS administration. Dong-a followed. Under DJ administration, Chosun has been most critical, and JoongAng raised their criticism substantially. Dong-A also raised their critical voice. However, Hankyoreh has become more supportive of DJ policy. The reason Chosun was so critical of YS North Korea policy in spite of the friendly relation with YS administration was that Chosun tried to pull YS North Korea policy toward much more conservative. Under unfriendly DJ administration, Chosun has been also critical of DJs sunshine policy in order to keep the engagement policy under control. Dong-a and JoongAng raised their criticism against DJs North Korea policy than they did under YS administration. It was suspected that one of the reason JoongAng became more critical was somewhat related to the arrest of Hong Suk-hyun, the owner of the JoongAng, in the tax evasion case of the Bokwang group. It was analyzed that the reason the Hankyoreh has become more supportive of DJs North Korea policy was that the Hankyoreh position on the South-North relation was consistent with the DJs sunshine polic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analysis of the editorials best shows ideological tendency and report attitude on the assessment of the government policy. However, there must exist some limit on this study because this study has not included some important aspects; this study examines only the editorials, excluding news reports, news analysis, and columns. Also this study focuses only on the contents of the editorials, not dealing with the issue in comprehensive way that includes the critical issue of the ownership structure of the newspaper industry. It is my strong desire and expectation that future study will overcome these limits in more comprehensive way.

      • 고급 찌라시와 기존 매체의 의제 유사성 : text mining을 통한 고급 찌라시와 뉴스 콘텐츠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배소명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Advanced rumors have a huge impact on society. However, there is a constant controversy over the selection of advanced rumors. The ripple effect is similar to those of the existing media. Advanced rumors can also be viewed as a para-news media, or media outlet that delivers and exchanges information and distributes specific information and issues. The press agenda becomes increasingly similar as it is shared among the media. Through the analogy of the agenda, we discuss whether advanced rumors training can be media.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 of traditional media outlets, which were established by conventional media outlets and the media, but the illegal content is excluded from the subject. The distinction criteria for the medium were derived from the polling Council in 2015 to extract the advanced milestones for the accuracy of the thesis comparison. The data for analysis included the six most frequent issues derived from 133 high-quality advanced rumors and 7,000 stories from newspapers, television, and Internet-only media. The data consisted of 1.3 million keywords. This study extracted the most frequent nouns by using the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and visualized them with WordCloud. Specifically, the rankings of the cont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rumors and the news media, and their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Out of 36 correlations, 38% were significant. Keywords of newspapers were the most freque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rumors, followed by Internet-only media and television. Among the news media, 83.3% of the keyword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Politics constituted 58.3% of the keyword agendas covered by bois th the rumors and news media, while there was no economic agenda. Politics constituted 75.0% of the keyword agendas covered by the news media and economics was the common agenda covered by the news media. This is a timely study given that advanced rumors have such impact on the public opinion of the overall society that people need to evaluate the implications of its impact. 사회 전반적 찌라시의 인식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성이 있다. 찌라시는 사회적으로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찌라시의 선정성에 대해선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다. 그 파급력은 기존 언론들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찌라시도 적극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교환하며 특정 정보와 현안을 유통하는 유사 언론(para-news media), 즉 매체로 간주할 수 있다. 언론들의 의제는 매체 간 공유되면서 점차 유사해진다. 의제의 유사성을 통해 찌라시가 매체가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기존 매체 간 의제 설정 이론으로 전통 언론사와 인터넷 전용 언론 소셜 미디어까지 확장되어 연구되었지만, 비합법적 콘텐츠인 찌라시는 논의 대상에서 제외됐으므로 이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매체의 구분 기준은 여론조사 위원회의 2015년도에 점유율 조사로 의제 비교의 정확성을 위해 동일 연도 고급 찌라시만을 추출하였다. Text mining으로 형태소 전처를 통해 유효 명사 기본 어형을 추출하여 WordCloud로 시각화하였다. 추출한 자료는 고급 찌라시 중 빈도수가 가장 많은 6가지 현안 총 133 의제와 동일한 현안을 9개 언론사의 뉴스 콘텐츠 7,000여 건 중 대규모 130만 키워드 빅데이터 분석이다. 고급 찌라시와 언론사의 뉴스 콘텐츠 중 키워드들의 상위 순위를 도출하고 결과 값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값과 유사성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고급 찌라시와 언론사 의제 설정 분석에서는 전체 38% 뉴스 키워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문, 인터넷 전용 언론, 방송 순서의 영향 값을 보였다. 매체 간 의제 설정 분석 결과 각 언론사 방송, 신문, 인터넷뉴스 간 같은 6개의 의제 중 5개의 의제 83.3% 높은 뉴스 키워드 상관성이 나타났다. 고급 찌라시와 언론사 분류에서 정치 관련 의제가 연관된 비율은 58.3%이고 경제 관련 의제가 연관된 비율은 0.0%로 언론사 간 정치 관련 의제가 연관된 비율은 75.0% 경제 관련 의제는 전체가 다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찌라시가 사회 전반적인 파장에 일조하고 있고 어느 정도까지 흡수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시의적절하다.

      • 中國朝鮮文 新聞의 機能變化에 관한 硏究 : 黑龍江新聞의 內容分析을 中心으로

        박문봉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중국의 신문 이론에서 뉴스의 가치판단은 공중(公衆)이 알고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회주의 체제 유지와 공산주의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언론을 통제하고 있는 당국의 판단에 의해 공중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것에 그 기준을 두어 왔다. 그런데 개혁·개방이 되면서 그와 같은 도식적인 언론기능 주장에 많은 수정이 이루어졌다. 개혁·개방이후 중국 사회는 제한적이나마 적지 않은 부문에서 정치적 합리성에로 전환을 하였고, 그리고 생산력 발전에 따른 제한적 자유화 성향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전환과 성향은 곧바로 언론체계의 자율성 확대에까지 이어졌다. 정치, 이데올로기적 교의에 의한 구속력이 떨어지면서 상업적인 시장의 힘이 중국사회를 움직이는 중요한 힘의 원천으로 작용하기 시작하였다. 언론체계의 자율성 확대에서의 핵심은 언론의 기능이론에 대한 재확립이었다. 중국 언론을 지배해왔던 정치선전 기능이 급격히 약화되면서 시장 메커니즘과 경제원칙에 입각한 운영의 기능이 점점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비록 당의 대변자 기능과 같은 중국의 정통 사회주의 언론기능 주장이 폐기된 것은 아니지만 시장경제의 급속한 성장, 정치체제의 지속적인 개혁과 더불어 언론체계가 분화하는 과정에서 서구의 기능이론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탈 중앙집권화, 탈 이데올로기화, 문화적 다원주의 등 자유화 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러한 경우 중국 언론의 한 구성 부분으로서 소수 민족지인 조선문 신문의 기능변화에 대한 연구는 그간 중국 신문의 기능변화 상황을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더욱 중요하게는 소수 민족지로서 조선문 신문이 이런 중국 언론의 기능이론 변화에 힘을 입어 새 시기 조선족의 이익을 잘 대변하는 진정한 민족지로 언론기능을 변화·조정해 가는 데 중요한 참고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상과 같은 현실적 과제에서 출발하여, 첫째는 중국 언론의 한 구성부분인 조선문 신문이 이러한 중국 언론의 기능이론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둘째는 소수 민족지로서 새 시기 소속민족의 이익을 잘 대변하는 민족지로 거듭나기 위하여 언론기능을 어떤 방향으로 조정·확대해 가야 하는가 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조선문 신문은 역사가 90여 년 되지만 그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는 기본적으로 언론사적 정리가 아니면 언론매체의 현황에 대한 일반 상황연구에 머물고 있었다. 신문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선행 연구결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와 같은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또 공백을 메우기 위해 그 대안적 시각으로 중국·조선문 신문의 언론기능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중국의 사회주의 기능이론 관점에 이론적 배경을 두었으며 조선족 사회의 대표적인 신문인 흑룡강신문의 기능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특정 시기내의 기사에 대한 사례(내용)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문 신문 제작자(기자)들의 신문기능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역사적 고찰결과 중국의 조선문 신문은 민간지로 출범하여 광복 전에는 민족의 독립을 추구하는 반일(反日) 신문으로 민족 성격의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광복 후 공산정권이 수립되어서는 사회주의 성격의 국영지(國營紙)와 기관지로 개조되어 당국의 후설(喉舌)기능, 정치투쟁의 도구기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문의 기능은 개혁·개방을 맞으면서 변화를 가져왔는데 특정 시기내의 기사에 대한 사례 분석결과 당성을 비롯한 사회주의 성격의 기능은 개혁·개방 초기, 중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면서 변화가 매우 뚜렷한 것으로 분석되었어나 민족 성격의 기능은 상대적으로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선문 신문의 기능에 대한 신문제작자(기자)들의 태도는 설문인터뷰결과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민족 성격의 기능 위주의 언론으로 조정해 갈 것을 희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hinese newspaper theory, the news- worthiness has to do with the maintenance of socialist system not with people's right to know. This, however, has been changed by reformation and opening of the Chinese society. Political rationality and economic liberalism have appeared as new characteristics of rapidly changing Chinese society. This change, in turn, has encouraged autonomy of the press. The increasing autonomy of the Chinese newspapers has led us to redefine social functions of the press in Chinese society. The free market economy has become basic principle of the Chinese press instead of once dominated function of political propaganda. Although traditional function of communist propaganda has not totally disappeared, it is quite obvious that decentralization and cultural pluralism have appeared as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of the pres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 of all, aims to understand the changing function of Chinese newspapers through examining how a minority Korean newspaper has coped with new environment of the Chinese society. Second, this study also tries to examine the proper functions of the minority newspapers in Chinese society for the sake of minority people. Although the Korean newspapers have existed for more than 90 years in China,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them. Even those limited number of works that take on the Korean minority newspapers have remained basic level, largely focusing on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s or descriptive aspects of the newspaper. There has been no in-depth analysis of the functions of the paper in minority community. The lack attention to the Korean minority newspapers is a clear blindspot in the study of newspaper in China. This study tries to overcome such oversights in previous research. Theoretical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socialist functionalism. And methodologically this study analyze how the function of a Korean minority newspapers in China, HOUG-RYOUNG-KANG has historically changed. An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ception of reporters as to the function of the paper they work for. This study suggests that in its function the Korean minority newspaper has been historically changed, from anti-Japanese nationalist position to socialist political tool. And since the recent reformation of China the socilaist nature of the newspaper has been dramatically decreased while nationalistic nature remains same.

      • 한국 기자들의 소셜미디어 인용보도와 사실 검증 : 영향력 위계 모형에 따른 사실 검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내부 요인 분석

        성재호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디지털과 모바일 기술 기반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는 가운데 전통적 미디어들이 소셜미디어를 뉴스의 출처로 삼아 기사를 작성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 게시된 글과 사진, 동영상 등이 기사 작성을 위한 중요한 원천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소셜미디어가 지닌 인터넷 기반 플랫폼의 특성상 언론인들은 비대면 상황에서 취재를 시작할 수밖에 없으며 소셜미디어 게시물의 내용이 사실과 부합하는지 추가적인 확인도 필요하다. 정확한 사실의 전달은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이자 언론인의 직업적 전문성을 규정하는 핵심적인 근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 언론은 이 같은 상황에서 사실 확인과 검증 노력을 제대로 기울이지 않은 채 단순히 전달하는 것에만 치중하다보니 때때로 부정확한 내용과 과장된 이야기를 공론장에 증폭시켜 사회적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언론인들이 소셜미디어의 게시물을 뉴스의 출처로 삼아 기사를 쓸 때 게시물의 내용이 얼마나 사실과 부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언론인의 개인적 특성과 뉴스룸 안의 관행, 언론사 조직의 특성들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슈메이커와 리즈(Shoemaker & Reese)가 구상한 영향력 위계 모형(Hierarchy of Influence Model)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개인 차원과 언론사의 관행 및 조직 차원으로 나눠 미디어 내부의 어떤 요인들이 소셜미디어를 뉴스의 출처로 삼아 기사를 쓸 경우 사실 확인과 검증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했다. 1996년 발표된 슈메이커와 리즈(Shoemaker & Reese)의 영향력 위계 모형은 1950년대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에서 화이트(White, 1950)의 ‘Mr. Gates’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돼 성장해온 게이트키핑(gate·keepung) 이론들을 종합하면서 정립한 이론적 틀로서 오랜 기간 동안 개인과 조직 차원에 집중됐던 게이트키핑 이론을 사회·제도와 이데올로기·문화 차원이라는 미디어 외부의 요인들까지 확장시켰다. 또한 영향력 위계 모형은 미디어 콘텐츠를 종속 변인으로 두고 여기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독립 변인으로 간주함으로서 미디어 콘텐츠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적, 거시적 요인들과 관련된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시각을 제시하였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이론적 틀과 관점에서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출처로 삼아 뉴스를 만들 경우 사실 확인과 검증의 수준에 영향을 주는 미디어 내부의 요인들은 무엇인지 추론적 통계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쉽고 기초적인 사실 확인 방법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언론인으로서의 자질’과 ‘저널리즘 실천’, ‘경쟁과 압박’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 뉴스룸 관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대적으로 어렵고 심층적인 사실 확인 방법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언론인으로서의 자질’과 ‘저널리즘 원칙’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경쟁과 압박’의 뉴스룸 관행은 기초적이고 손쉬운 사실 확인 방법에 대한 이용을 높일 뿐, 어렵고 심층적인 사실 확인 방법의 이용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결과는 부정확한 뉴스 보도로 비판을 받아 온 한국 언론은 물론 소셜미디어를 출처로 삼아 기사를 쓰는 국내외 언론인들에게 큰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인터넷 언론사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지상파 방송사에 소속된 언론인인 경우 ‘심층적 사실확인 방법’에 대한 이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신문이나 통신사 종사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또한 슈메이커와 리즈(Shoemaker & Reese)가 설명한 것처럼 영향력 위계 모형의 각 차원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돼 최종적으로 미디어 콘텐츠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통계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위 차원의 요인들이 하위차원보다 더 큰 영향력을 어떻게 미치는 지는 본 연구의 향후 과제로 남게 됐다. While the media environment is changing based on digital and mobile technologies, traditional media are increasingly writing articles using social media as a source of news. Postings, photos, and videos posted on social media are emerging as important sources for writing articles,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Internet·based platform of social media, journalists have no choice but to start reporting in non·face·to·face situation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further check whether the contents of social media posts match the facts. This is because the accurate delivery of facts is the basic principle of journalism and the core basis for defining the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of journalists. However, the South Korean media has often been criticized for fueling social confusion by amplifying inaccuracies and exaggerated stories in public sphere, as they focus only on delivering them without making proper efforts to check and verify fact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journalists, practices in the news room,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organizations that influence verification efforts when journalists write articles using social media posts as news sources. To this end, this study theoretically based on Shoemaker & Reese's Hierarchy of influence Model, identified which factors inside the media, divided into individual and media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influence fact·checking and verification efforts when writing articles using social media as sources of news. In 1996, Shoemaker & Reese's Hierarchy of influence model is a theoretical framework established by aggregating gate·keeping theories that began and grew from "Mr. Gates" of White in the 1950s in communication research, extending the gate keeping theory, which has long been focused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to factors outside the media which are consist of social institutions and ideological/cultural dimensions. In addition, the Hierarchy of influence model is evaluated to present a new research perspective to verify hypotheses related to micro and macro factors in and out side of media affecting as independent variables by viewing media contents as dependent variables. From this theoretical framework and perspective, this study estimated what factors inside the media affect the level of fact·checking and verification when making news using social media posts as news sources with inferential statistic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fact·checking using relatively rudimentary and easy methods w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in the newsroom such as ‘Quality as a Journalist’, ‘Practice Journalism’, and ‘Competition and Pressure’. On the other hand, only ‘Quality as a Journalist’ and ‘Practice Journalism’ were found to affect the level of fact·checking of relatively in·depth and difficult methods. In the end,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sroom practices of ‘Competition and Pressure’ only increases the use of relatively rudimentary and easy fact·checking methods, and has little to do with the use of difficult and in·depth fact·checking method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ave great implications for Korean media, which have been criticized for inaccurate news reports, as well as domestic and foreign journalists who write articles using social media as sources. In addition, compared to Internet media companies, journalists belonging to terrestrial TV were relatively more likely to use the ‘in·depth verification method’, but newspaper and news agency workers were not. On top of that, as explained by Shoemaker & Reese, it was also confirm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at each dimension of the Hierarchy of influence model wa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eventually affected media content. However, proving the argument that the factors in the higher level have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lower level remains a future task of this study.

      • 순환적 의제설정과정을 통해 살펴 본 정책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연구 : 서울시 의제설정과정 참여자들의 메시지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정재욱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소셜미디어 사용의 확대는 커뮤니케이션과 의제설정, 정책결정 과정을 새롭게 만들어나가고 있다. 디지털 거버넌스 시대가 열리면서 쌍방향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매스미디어 중심의 의제설정 과정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정책결정과정 참여자인 정책입안자, 언론, 시민들이 생산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각 참여자들의 메시지 특성과 순환적 의제설정 과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민선6기 서울시의 정책입안자인 서울시장의 주요 메시지(취임사, 신년사, 기자설명회 등의 주요 연설문), 서울시정과 관련한 언론보도, 소셜미디어(트위터)상에서 시민들이 주목한 의견 들을 수집하여 형태소·어절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정책입안자(서울시장)의 메시지에서는 ‘시 민’, ‘도시’, ‘문제’, ‘새롭다’, ‘나아가다’등의 키워드가 나타나며 시정에 대한 포부와 미래지향적인 메시지가 강조 된 것을 확인하였다. 언론이 중점적으로 보도한 메시지를 살펴보면‘청년수당’과 ‘복지’, ‘지하철 사고 안전 업무 직영화’등의 특정 이슈에 크게 집중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시민들의 메시지를 살펴본 결과 역시 ‘구의역 사 망사고’, ‘경찰 물대포 공급중단’, ‘청년수당’과 같은 이슈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의제설정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메시지에서 핵심어로 등장한 단어들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메시지들은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정책입안자의 메시지를 통해 언론이 주목한 이슈들은 서울시의 전체 예산이나 정책적 비중에서 매우 작은 부분이지만, 언론이 이슈화시키면서 집중 보도하면서 시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의제로 나타났다는 점을 주목 할 수 있었다. 또 정책입안자의 메시지가 언론의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고, 언론보도 내용은 시민들의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쳤으나, 시민들의 메시지가 언론이나 정책입안자의 의제설정이나 정책결정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친 점은 찾아 볼 수 없었다. 하지만 시민들이 수많은 정책과 이슈사이에서 어떠한 메시지에 주목하고 반응하였는지 알아 볼 수 있었다는 것은 이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입안자는 정책결정 과정에서 언론이 집중적으로 보도한 부분과 시민들이 주목한 부분에 대하여 정확한 인지를 하여야 하고, 이를 통해 언론과 시민들이 알고 싶은 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정책집행과정에서 정책입안자가 전달하고 싶은 방향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구체적인 메시지를 구성하고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