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부모의 AAC 그림상징 인식

        민지혜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ve very limited use of language and may not use language at al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mselves in spoken language should be helped to acquire voluntary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AAC intervention. At this time, the selection of graphic symbols considering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is of utmost importance, so specific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and preferenc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is study, we selected four graphic symbol types, DAS, Korea AAC(KAAC), WETOK, and HANSPEAK, and conducted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tests and preference tests to see which graphic symbol types are effectiv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 wanted to see it. In addition, because AAC intervention is generally conducted through a team approach,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preferences of parents and experts together. This study included 19 children aged 4 to 12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se receptive vocabulary matched them, 19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9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19 experts. A total of 95 people were target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general children were subjected to an image symbolization test, and all subjects were subjected to a preferenc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across groups(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r graphic symbol types(DAS, Korea AAC, WETOK, HANSPEAK),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phic symbol preference depending on the group(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xpert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referred Korea AAC over other graphic symbol type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referred DAS, and experts preferred HANSPEAK over other graphic symbol types. Third,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ymbolic comprehension. In other words, it was evaluated that as receptive vocabulary increases, symbolic comprehension also increase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iconicity by DAS, Korea AAC, WETOK, and HANSPEAK graphic symbol types. Meanwhile,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in pre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experts. This suggests that when performing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ents or experts need to reflect the child's preferences or needs rather than arbitrarily selecting graphic symbols by predicting iconicity or ease of learning.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and preferenc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main users of AAC, and attempts to determine which type of graphic symbol to select is more effectiv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부모의 AAC 그림상징 인식 언어청각치료학과 민 지 혜 지도교수 이 희 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대개 언어가 매우 심하게 지체되어 있으며, 언어를 습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구어 표현이 힘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는 AAC 중재를 통해 자발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게 해주어야 한다. 이때 이들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그림상징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와 선호도를 살펴보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AS, 한국형 AAC, 위톡, 한스피크 네 개의 그림상징 유형을 선정하고,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 검사와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여, 어떤 그림상징 유형의 적용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AAC 중재는 팀 접근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호자와전문가의 선호도를함께알아보고비교해보았다. 본 연구는 4~12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9명, 이들과 수용어휘력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9명,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19명, 일반 아동 부모 19명, 전문가 19명으로 총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에게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대상자에게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는 집단(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일반 아동)이나 그림상징 유형(DAS, 한국형 AAC, 위톡, 한스피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상호작용 효과 역시 없었다. 둘째, 그림상징 선호도는 집단(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일반 아동,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일반 아동 부모, 전문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한국형 AAC를, 일반 아동,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일반 아동 부모는 DAS를, 전문가는 한스피크를 다른 그림상징 유형보다 선호하였다. 셋째, 아동의 수용어휘력은 상징 이해 정확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용어휘력이 높아질수록 상징 이해 정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DAS, 한국형 AAC, 위톡, 한스피크 그림상징 유형별 도상성 인식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전문가 간의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AAC 중재를 할 때, 부모나 전문가가 도상성이나 학습용이성을 예측하여 임의로 그림상징을 선택하기 보다는 아동의 선호나 욕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AAC 주요 사용자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와 선호도를 살펴보고, 어떤 그림상징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있다고할수 있다.

      •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의미/음운 오류 특성

        채시화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Reading Fluency(RF) should be preceded to reach reading comprehension which is the final goal of reading. RF is an integrated ability of linguistic knowledge including decoding ability and linguistic comprehension ability. The automatism of decoding is important to reach RF, and it should use both the meaning route and the phonological route described in the dual-route model for the decoding proces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hild's RF performance in detail, including errors. As grades 3rd and 4th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an important time for the development of R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F ability of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LLD), and grasped in detail the meaning/phonologic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subjects of this study was 34 including 17 LLD and 17 children with typically developing(TD) in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city. K-CTONI-2, LSSC, and KOLRA were used to select LLD and TD, and a RF test was performed for each group. The experimental task was two stories, which consisted of difficulty levels suitable for reading in the elementary third and fourth gra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F of the two groups by classifying it into the number of syllables correctly read per minute, reading accuracy, and reading spe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yllables correctly read per minute and reading accuracy by LL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D, and that they seemed to read slowly. Second,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total, and the meaning/phonological errors. LLD with lower performance in the accuracy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the total, and the meaning/phonological number of errors than TD. Third, when comparing the total error types of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TD were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repetition, self-correction, addition, and omission, and that LLD appear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repetition, omission, self-correction, and addition.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rrors divided by meaning/phonological errors, in terms of meaning errors, TD appear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self-correction, repetition, omission, and addition, and LLD appear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repetition, omission, addition, self-correction. Regarding phonological errors, TD were in the order of repetition, substitution, self-correction, addition, and omission, and LLD appeared in the order of repetition, substitution, self-correction, omission, and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LLD have difficulty in reading accuracy and reading speed, Interv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to RF. Also, when examining the types of meaning errors in qualitative analysis, in both groups, the two types of error were higher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and repetition. in both groups, there were many errors in different reading and reading errors repeatedly during reading fluency. Therefore, evaluation and support for automatic reading of characters in text is needed. However, the two groups differed in their self-correction, and the children with LLD had difficulty in monitoring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text semantically. The phonological errors were in the order of repetition, substitution, and self-correction in both groups. Both groups showed difficulty in automatic and decoding, and they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spelling and phonemes. However, LLD were more likely to have self-correcting than phonological errors than meaning errors. We could see that we were able to monitor our errors in phonological units rather than in meaning uni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F characteristics of LLD of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identified errors by dividing them into meaning/phonological errors. Therefore, when setting up the intervention plan, taking into account the meaning/phonological ability of LLD will be a positive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ir RF. 읽기의 최종목표인 읽기이해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읽기유창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읽기유창성은 해독 능력과 언어이해 능력이 포함된 언어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능력이다. 읽기유창성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해독의 자동성이 중요하며 이는 해독과정에 대한 이중 경로모형에서 설명하는 의미경로와 음운경로 모두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류를 포함하여 아동의 읽기유창성 수행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초등 3∼4학년 시기는 읽기유창성이 발달하는 데 중요한 시기이므로 본 연구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유창성 능력을 살펴보고 언어적 특성을 고려하여 의미/음운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 소재의 초등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 아동 17명, 일반 아동 17명으로 전체 34명이었다. K-CTONI-2, LSSC, KOLRA를통하여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선별하고 각 집단에 대하여 읽기유창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과제는 두 개의 이야기글로 초등 3∼4학년이 읽기에 적합한 난이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읽기유창성을 분 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 수, 읽기 정확률, 읽기 속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언어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분 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와 읽기 정확률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글을 느리게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오류 특성을 전체, 의미/음운 오류로 나누어 각각 살펴보았다. 정확률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인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전체, 의미/음운 오류 수 모두 유의미하게 많았다. 셋째, 두 집단의 전체오류 유형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 아동은 대치, 반복, 자기수정, 첨가, 생략 순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대치, 반복, 생략, 자기수정,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오류를 의미/음운 오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의미오류에서 일반 아동은 대치, 자기수정, 반복, 생략, 첨가 순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대치, 반복, 생략, 첨가, 자기수정 순으로 나타났다. 음운오류는 일반 아동은 반복, 대치, 자기수정, 첨가, 생략 순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반복, 대치, 자기수정, 생략,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읽기 정확률과 읽기 속도에 어려움을 보이므로 유창하게 글을 읽기 위한 중재 및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질적 분석에서 의미오류 유형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대치, 반복 순으로 두 개의 오류유형이 높았다. 이는 두 집단 모두 읽기유창성 시기에도 글자를 다르게 읽는 오류와 되풀이하여 읽는 오류가 많았으므로 텍스트에서 글자의 자동적 읽기를 위한 평가 및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두 집단은 자기수정에서 차이가 났으며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의미적으로 글을 이해하면서 모니터링 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보였다. 음운오류 유형은 두 집단 모두 반복, 대치, 자기수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집단 모두 자동성과 해독의 어려움을 보였으며 철자와 음운의 대응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의미오류보다 음운오류에서 자기수정이 더 높았다. 이는 의미적 단위보다 음운적 단위에서 자신의 오류를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 특성을 살펴보고 오류를 의미/음운 오류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재 계획을 설정할 때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의미/음운 능력 특성을 고려한다면 읽기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 점화조건 및 점화유형에 따른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구어 특성

        김수진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말더듬은 말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주로 2∼5세경 발생한다.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을 비교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 왔으며, 연구자마다 상반된 견해를 보인다. 그중 말더듬 아동의 언어능력이 낮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는 말더듬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말에 대한 두려움과 심리적인 부담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자신의 언어능력을 충분하게 산출하지 못한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구어산출에 심리적 부담감이 있는 말더듬 아동의 언어처리과정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준다면 유창성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점화(priming)는 목표자극을 제시하기 전에 관련된 자극을 시간적으로 먼저 제시하는 것이다.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점화가 아동이 느끼는 언어적 부담감을 완화하여 언어처리과정과 언어 산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화조건 및 점화유형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구어 특성을 확인하여 점화가 구어 산출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4∼6세 말더듬 아동 16명과 일반 아동 16명, 총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P-FA-Ⅱ, REVT를 통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연구 과제는 의미점화과제, 음운점화과제, 비점화과제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점화과제의 경우 점화단어 그림과 목표단어 그림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아동이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명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점화과제의 경우 목표단어 그림만을 제시하고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명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점화조건에 따른 구어반응시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말더듬 아동의 점화조건에 따른 비유창성 빈도는 점화조건이 비점화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점화유형에 따른 구어반응시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말더듬 아동의 점화유형에 따른 비유창성 빈도를 비교한 결과, 의미점화와 음운점화 유형이 비점화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의미점화와 음운점화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음운점화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말더듬 아동 집단의 점화 하위유형 간 구어반응시간은 주제적 점화와 음소점화를 제외한 모든 점화 하위요인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점화 하위유형 간 비유창성 빈도는 모든 점화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점화조건 및 점화유형에 따른 구어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점화가 말더듬 아동의 언어적, 심리적 부담감을 줄여 유창한 구어산출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단기기억과 시계그리기 수행 능력 특성

        강민수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기억력의 저하가 있지만, 독립적인 일상생활 활동이 가능한 장애군이다. MCI의 10∼15%가 매년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조기에 선별하고 중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MCI 선별과 관련하여 특히 기억력과 집행기능이 유용한 선별지표로 연구되어 왔다. 기억력은 MCI를 진단하는데 주요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기억력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검사에는 주로 단어목록을 사용하여 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기억력 감퇴가 MCI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주요 증상이자 선별지표로 알려져 있지만, 일반 노화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기억력만으로는 일반노인과의 구분이 어렵다. MCI는 인지기능의 하위 요소 간 복합적인 능력을 요구하는 집행기능의 문제도 또한 나타난다. 이러한 집행기능을 쉽게 평가하는 과제로는 시계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CDT)가 있다. CDT는 기억력, 시각적 주의력, 언어 이해력 등 집행기능을 손쉽게 평가하여 초기 치매 단계에서 손상된 시공간 능력을 측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어회상 과제와 시계그리기검사(CDT)를 통해 MCI의 특징을 확인하여 선별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만 74세 이하인 자로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기초(K-MoCA-B) 결과 총점 30점 중 22점 이하인 자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23점 이상인 자는 일반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MCI의 기억력과 집행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단어회상(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과 CDT(반응시간, 양적 채점, 질적 오류 채점) 과제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각 집단 간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를 실시하였고 MCI 집단의 두 과제 수행 능력과 인지기능 하위영역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CI 노인의 단어회상 능력이 즉각회상, 지연회상 모두 일반 노인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지연회상 반응 시간에서 MCI 노인이 일반노인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렸고 재인 과제의 경우 일반 노인이 MCI 노인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둘째, 집단 간 CDT 수행에 걸린 평균시간을 비교해본 결과 MCI 노인과 일반 노인 모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양적 채점과 질적 오류 채점 결과 MCI 노인이 일반 노인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MCI 노인의 단어회상과제 및 CDT와 인지기능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단어회상과제의 재인과 인지기능 하위 영역인 지연회상, 이름대기 과제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CDT 수행에 걸린 시간과 주의력 과제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CDT 양적 채점 점수와 이름 대기 과제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질적 오류 점수와 시지각·집행기능 과제에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단어회상(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 CDT(,반응시간, 양적 채점, 질적 오류 채점) 과제에 따른 MCI 노인과 일반 노인 간 수행능력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MCI 노인의 과제 수행 특성과 인지능력 간 상관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억력과 집행기능을 통해 정상적인 노화와 MCI를 구별에 유용성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사학자의 정보요구와 이용에 관한 연구 : 부산대학교 연구자를 대상으로

        박윤경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study examines historians´ needs and uses of information. The subject is confined to historian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PNU). It analyzes how they satisfy their need of information and how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serve their research. To be more specif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aculty members of the History Department and History Education Department as well as Ph.D candidates and part-time lecturers. Historians favor data-centered research. It means that to discover and collect data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research. In the case of the History Department of PNU, its department library is used very actively. This study examines how its department library has an effect on history researcher´ demand and use of inform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s ultimate goals are to analyze researcher´s demands and uses of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ir various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methods to help support historian´s research as follows. (1) To make sure that the university library performs its proper functio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a data collection process for supporting historian´s research is needed and can be done by examining in detail users needs. (2) Library service should include education and advertisement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in which history researchers use data personally and so obtain the data immediately. (4) To give users easy access to data through various and specialized list is as important as its collection.. (5)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lassical library more actively through organizing the classification and system of old books which belong to the university library and making a list of it. (6) Extension of library facilities is necessary. (7) Librarian should become more service oriented.

      • 김해시민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구도심과 신도시를 중심으로

        김남희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oreigners has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based on which, provide the ground for developing measure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Gimhae citizens. For this, original inhabitants in the old downtown areas who had frequently contacted foreigners and those from a new town with less contact with foreigners were surveyed for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implementing social integration policy that can break the boundary between original inhabitants and new immigrants in order to help the immigrants not just stay around their neighborhoods or in certain regions such as the foreigners’ street. As a tool to measure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research utilized the Korean Multiculturalism Inventory for adults (KMCI), which was developed by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nd has been us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every 3 years, by revising i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oreigners as well as age, gender, residence, and occupational cluster were selected for the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factors: First,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oreigners would have an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econd,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residence. A survey was performed with 51 adults living in the old downtown centering around the foreigners’ street and 52 adults from the new town in Gimhae,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After having the data verified by a professional social survey company, it was revealed that the questionnaire had high credi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of divers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occupational cluster.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was noticeable in age; those aged over 70 recorded a lower score than those in their 20s in the dimensions of diversity.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occupational cluster. Whil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cores of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occup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gender, residence, or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oreigners. Third, as for universal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Fourth, this survey showed that the Gimhae citizens had high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58.52) than general Koreans whose score was 58.52 according to the 2018 Study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Korea. In contrast to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that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age and occupational cluster had more effect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oreigners. Accordingly,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ge group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ge groups of 20s and 70s in the dimensions of diversity among other sub-factors consisting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us,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for different age groups is sugges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occupat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tudents showed high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ompared to other occupations, while others revealed similar scores. In particular, the unemployed showed the lowest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addition, original inhabitants involved in the sales industry who had been working with foreign immigrants did not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m because of misunderstanding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provide multiculturalism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ccupation as well as that of original inhabitants working with foreigners. Third, it is required to create multicultural space that can break the boundary between immigrants and original inhabitants. Being divided into the old downtown where services for foreigners are concentrated and the new town areas that are not the case, the city of Gimhae completely separates the living space between original inhabitants and foreign immigrants.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multicultural space where the two groups can live harmoniously. Fourth,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cultural experience center that offer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ultures of other countries. Although Gimhae is one of the cities in Gyeongsangnam-do where the most foreigners live, it does not have a single cultural experience center. Since comparing and experiencing cultures is the most basic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this study suggests establishing a cultural experience center in the c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enue for discussion, unique to the city of Gimhae,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ers. If the original inhabitants and foreign immigrants get together and share opinions on what to improve for each other,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will be provide basic material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of Gimhae.

      • Diaspora and representation of identity through transnational activities : a case of Indonesian Tionghoa students in Kyungsung university

        라투주비타프리마루비스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Tionghoa is one of ethnic groups in Indonesia which is Chinese descendant before independence as well as prior to Dutch colonialism in Nusantara. As an ethnic group with the most significant financial ability and their higher preference to study abroad, Indonesian Tionghoa students tend to collectively establish community, like Indonesian students in Kyungsung University. Considering Tionghoa identity that once had been blocked during New Order regime due to government’s effort to forced stop the use of Chinese related properties which allegedly could lead to communism movement, the younger Tionghoa generation in Kyungsung University are performing a whole Indonesian Cultural Night annually even though their knowledge of non-Tionghoa culture is limit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ir act through performing Transnational activities as a diasporic community. In literature review chapter, it has been discussed that diasporic group tend to maintain their kinship with their heritage in order to feel they belong. Moreover, they have features to keep them entertaining the host society. First, Tionghoa students have physical resemblance and similarities of cultural properties which leads them to be more accepted and easier to adapt in Korea. This has been shown through the interviews that has been conducted to Indonesian Tionghoa interviewees as well as observers from the outside. Those 2 factors are the main reasons why Tionghoa students can be more dominating in the host society. Second, Tionghoa students show their collective life pattern differently comparing to non-Tionghoa students’ collective life pattern.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being isolated in their main society, they tend to seek acknowledgement outside their comfort zone to prove to themselves that they are being recognized as Indonesian outside Indonesia by putting extra effort to create the image of Indonesia. Their approach of transnationalism is more expanding. Whereas non-Tionghoa students’ life pattern is more isolated comparing to their life pattern before settling in Korea. The non-Tionghoa students are more focused on performing transnational activities to fulfill their needs of socializing with fellow Indonesians. The different approach both are conducting are simp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oncept of identity they received prior to living in Korea. Lastly, by utilizing their dominating factors and their expanding approach toward transnational activities, they successfully hold annual cultural performance, Knock-Knock Inodnesia with the help of government and local institutions to be more expanding in terms of promoting Indonesia. This also leads to their way to seek their Indonesian identity and their way to establish a more solid path after gaining recognition from the host society in case they decided to look for job opportunities after graduation. Keywords : Indonesian Tionghoa Students, Diaspora, Transnationalism, Overseas Students, Cultural Event, Diasporic Features 중국계 인도네시아인(Tionghoa)은 누산타라(Nusantara) 지역의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및 독립 이전의 중국인의 후손으로 인도네시아의 민족이다. 경제력이 가장 뛰어나고 유학을 선호하는 민족으로서,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학생들은 경성대학교의 인도네시아 학생들처럼 공동체를 만들려는 경향이 있다. 공산화 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국과 관련한 특성을 강제로 막으려는 정부의 노력 일환으로 신질서 체제 시절 차단되었던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의 정체성을 고려하여, 경성대학교의 젊은 세대의 중국계 인도네시아 유학생들은 비화인 문화에 대한 지식이 제한되어 있긴 하지만 매년 <인도네시아 문화의 밤> 행사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 디아스포라 공동체로서 초국가적 활동을 통한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활동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문헌연구에서는 디아스포라 집단은 소속감을 위해 자신의 출신과 관련한 연대감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자신들이 이민을 간 사회를 즐겁게 하려는 특징이 있다. 첫째,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학생들은 한국과 신체 및 문화적 특징의 유사성이 있어 한국에서 비교적 더 잘 받아들여지고 적응을 쉽게 한다.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및 외부 관찰자를 대상으로 한 면접 조사를 통해 이와 같은 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두 가지 요인은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학생들이 자신들이 이민 간 사회에서 비교적 더욱 두드러지는 주요한 이유이다. 둘째,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유학생들은 비중국계 인도네시아인 유학생들과는 다른 집단적 생활 양식을 보였다. 주류 사회에서 소외된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학생들은 인도네시아의 이미지를 만들려고 더욱 노력함으로써 인도네시아 밖에서 인도네시아인으로서 인정받기 위해 편안한 상태를 벗어나 인정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의 초국가주의적 방법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비중국계 인도네시아인 유학생들의 생활 양식은 한국에 정착하기 전보다 더욱 고립되어 있다. 비중국계 인도네시아인 유학생들은 초국가적 활동의 초점을 같은 인도네시아인과 사교의 필요를 충족하는 데에 두고 있다. 두 집단이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은 한국에서 살기 이전에 받은 정체성 개념의 영향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두드러진 요소를 활용하고 초국가적 활동 접근법을 확장을 통해 중국계 인도네시아 유학생들은 정부와 지역 기관의 도움으로 성공적으로 연례 문화 행사인 <Knock-Knock Inodnesia>를 개최하였고 인도네시아를 더욱 홍보하였다. 또한, 이는 인도네시아 정체성 추구 방식으로 이어지며 졸업 후 취업을 하기로 결정한 경우 이민을 간 사회에서 인정을 받고 자신의 방식을 견고하게 구축하게 된다. 키워드 : 인도네시아 화인 유학생, 디아스포라, 초국가주의, 유학생, 문화적 행사, 디아스포라의 특수성

      • 온라인과 오프라인 혼합형 수업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방안 : 중국 4년제 대학교 한국어 전공자를 중심으로

        율천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本研究首先考察了中國大學韓國語聽力教育的前期研究,以及線上和線下混合課程的研究,並以此來了解聽力教育的研究趨勢和方法。首先,我們將從理論角度探討聽力教育的重要性,探討聽力教育與在線和線下混合式課堂有關的定義和有效性。本論文的主題是中國四年製大學韓國語專業的學生的聽力教育,因此首先考察了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學生的聽力教育現狀,並對韓國語聽課的滿意度和對混合授課的認知度進行調查。在此基礎上,將探討中國大學韓國語聽力教育存在的問題,為解決這些問題設計在線、線下混合授課的教學模式,並提出教育方案。 本研究的整體構成包括: 首先,將針對在線和線下混合授課的聽力教育的必要性進行探討。還將討論與線上和線下混合學習(混合學習)相關的先期研究、與國內大學韓國語聽課相關的先期研究,並討論此次研究的必要性和意義。 第二章將討論韓國語教育中聽力教育的重要性,以及作為本次研究的理論基礎的傾聽教育原則。我們亦會討論線上及線下混合授課的定義及成效。 在第三章中,為了了解中國大學韓國語聽力教育的現狀和存在的問題,對韓國語專業的在校生以及教師進行了深入的調查,並對其結論進行分析。 根據第四章和第三章的研究結果和分析,我們設計了一個線上和線下混合課程的聽力教育模型。另外,還提出了利用在線和線下混合授課聽課的教育方案。 第五章是結語部分,將全面總結本研究的全部內容。此外,我們亦會指出本項研究中的局限、日後需要補充的事項,以及其後的研究挑戰。 This study first examines prior stud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listening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 and studies related to online and offline mixed classes, and identifies research trends on listening education and methods. First of all, we will explore the importance of listening education and its definition and effectiveness related to online and offline mixed-style classes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Since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listening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major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China, it first examines the status of listening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majors at a Chinese university and conducts a survey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Korean language listening classes and perceptions of mixed classes. Through this, we will examine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 design a teaching learning model using online and offline mixed classes, and present educational plans. Presenting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is study, we include: The introduction will first address the need for listening education using mixed online and offline classes. In addition, we will review the prior studies related to online and offline mixed learning (blended learning), prior stud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listening classes at Chinese universities, and discuss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Chapter 2, we will first examine the importance of liste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of listening educatio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e also discuss the definition and effectiveness of online and offline mixed classes. In Chapter 3, an in-depth interview is conducted with Korean language teachers at Chinese universitie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 and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Based on the findings and analysis of chapters 4 and 3, we design a mixed online and offline listening class model. In addition, we present educational plans for listening classes using mixed online and offline classes. The last chapter 5 is the concluding part, which will comprehensively summarize the entire content of this study. In addition, we will address limitations in this study, issues to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and subsequent research challenges.

      • 부산지역 축제를 활용한 한국문화 체험학습 방안 연구

        진경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在当今社会,作为韩国语教育的重要组成部分,韩国文化教育的重要性日益突出。通过对语言和文化的深层次了解,培养学习者良好的沟通能力是外国语学习的最终目标。所谓沟通能力,不仅指正确的使用语法,而且也包括在沟通的同时理解其中所包含的文化信息的能力。 文化教育的方法有很多。本论文以釜山地域祝祭为中心,采用体验学习的方法进行韩国文化教育方案的研究。通过体验学习,能使学习者在亲身参与的过程中,积极主动地接触并运用外国语言,理解外国文化。 本论文针对韩国语高级水平的外国学习者设计了体验学习的教育方案,其理由是祝祭所包含的文化内涵有一定的深度,需要学习者具备基础的韩国语能力和韩国文化知识。第一章绪论部分主要阐述了研究的目的与方法。第二章归纳总结了地域祝祭的类型、种类以及特征。在先行研究的基础上,把地域祝祭分为历史文化祝祭,民俗文化祝祭,生态文化祝祭(生态文化祝祭又细分为自然环境文化祝祭和衣食住行文化祝祭。),大众文化祝祭和产业文化祝祭之后,根据地域、时期、类型等标准,对釜山地域的祝祭进行了分类整理,并且描述了其具体的特征。第三章首先从教育效果的层面上对祝祭和文化教育之间的关系等进行了论述。然后,从文化教育的角度出发拟定了祝祭活动的选择标准。即亲近性,有用性,便利性,持续性。最后,构建出了韩国文化体验学习的教学模式。第四章是以历史文化祝祭,民俗文化祝祭,生态文化祝祭为中心设计的体验学习教育方案。因为大众文化祝祭和产业文化祝祭与其余三个祝祭相比教育意义比较小,所以分别选取了与历史、民俗以及生态文化祝祭相对应的“东莱邑城历史祝祭”,“广安里渔坊祝祭”,“釜山扎嘎其祝祭”作为体验学习的主题内容,按照教学模式制定了相关的教育方案。第五章结论部分对整体内容进行了总结,并且对之后的研究方向提出了建议。 本论文从多方面对地域祝祭进行了论述。但是此方案并没有运用到实际教育活动中,方案的可行性以及对韩国语能力的提升是否有积极作用,还有待进一步的考察与研究。

      • 간호대학생의 행복 구조모형

        김지원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행복통합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일상생활사건으로, 감사성향과 전공만족도를 성격특성으로, 생의 의미와 간호전문직관을 심리적 과정으로 설정하여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0년 1월 10일부터 2월 28일까지 B광역시, D광역시, K도에 소재한 5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 3, 4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37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 지수는 양호하였으나 모수 추정치와 효과 수치 결과가 좋지 않아 수정지수와 이론적 배경을 고려하여 수정 모형을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다. 최종모형의 적합도 결과, χ²/df=2.83, GFI=.92, AGFI=.88, CFI=.95, NFI=.92, TLI=.93, RMR=.03, RMSEA=.07로 권장수준을 만족하였다. 둘째, 최종모형에서 행복을 설명하는 변수들의 설명력은 79.8%였다. 생의 의미를 설명하는 변수들의 설명력은 63.3%였다. 간호전문직관을 설명하는 변수들의 설명력은 80.2%였다. 셋재, 최종모형에서 설정된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지지, 생의 의미, 간호전문직관은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감사성향과 간호전문직관은 생의 의미를 통해 행복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였고, 생의 의미, 감사성향 순으로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생의 의미는 감사성향과 간호전문직관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지적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현재의 삶에 감사하는 마음과 간호전문직에 대한 확고한 믿음, 그리고 인생의 참된 의미를 심어줄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