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점화조건 및 점화유형에 따른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구어 특성

        김수진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말더듬은 말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주로 2∼5세경 발생한다.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을 비교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 왔으며, 연구자마다 상반된 견해를 보인다. 그중 말더듬 아동의 언어능력이 낮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는 말더듬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말에 대한 두려움과 심리적인 부담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자신의 언어능력을 충분하게 산출하지 못한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구어산출에 심리적 부담감이 있는 말더듬 아동의 언어처리과정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준다면 유창성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점화(priming)는 목표자극을 제시하기 전에 관련된 자극을 시간적으로 먼저 제시하는 것이다.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점화가 아동이 느끼는 언어적 부담감을 완화하여 언어처리과정과 언어 산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화조건 및 점화유형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구어 특성을 확인하여 점화가 구어 산출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4∼6세 말더듬 아동 16명과 일반 아동 16명, 총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P-FA-Ⅱ, REVT를 통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연구 과제는 의미점화과제, 음운점화과제, 비점화과제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점화과제의 경우 점화단어 그림과 목표단어 그림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아동이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명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점화과제의 경우 목표단어 그림만을 제시하고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명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점화조건에 따른 구어반응시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말더듬 아동의 점화조건에 따른 비유창성 빈도는 점화조건이 비점화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점화유형에 따른 구어반응시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말더듬 아동의 점화유형에 따른 비유창성 빈도를 비교한 결과, 의미점화와 음운점화 유형이 비점화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의미점화와 음운점화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음운점화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말더듬 아동 집단의 점화 하위유형 간 구어반응시간은 주제적 점화와 음소점화를 제외한 모든 점화 하위요인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점화 하위유형 간 비유창성 빈도는 모든 점화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점화조건 및 점화유형에 따른 구어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점화가 말더듬 아동의 언어적, 심리적 부담감을 줄여 유창한 구어산출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의미/음운 오류 특성

        채시화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Reading Fluency(RF) should be preceded to reach reading comprehension which is the final goal of reading. RF is an integrated ability of linguistic knowledge including decoding ability and linguistic comprehension ability. The automatism of decoding is important to reach RF, and it should use both the meaning route and the phonological route described in the dual-route model for the decoding proces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hild's RF performance in detail, including errors. As grades 3rd and 4th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an important time for the development of R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F ability of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LLD), and grasped in detail the meaning/phonologic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subjects of this study was 34 including 17 LLD and 17 children with typically developing(TD) in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city. K-CTONI-2, LSSC, and KOLRA were used to select LLD and TD, and a RF test was performed for each group. The experimental task was two stories, which consisted of difficulty levels suitable for reading in the elementary third and fourth gra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F of the two groups by classifying it into the number of syllables correctly read per minute, reading accuracy, and reading spe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yllables correctly read per minute and reading accuracy by LL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D, and that they seemed to read slowly. Second,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total, and the meaning/phonological errors. LLD with lower performance in the accuracy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the total, and the meaning/phonological number of errors than TD. Third, when comparing the total error types of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TD were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repetition, self-correction, addition, and omission, and that LLD appear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repetition, omission, self-correction, and addition.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rrors divided by meaning/phonological errors, in terms of meaning errors, TD appear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self-correction, repetition, omission, and addition, and LLD appear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repetition, omission, addition, self-correction. Regarding phonological errors, TD were in the order of repetition, substitution, self-correction, addition, and omission, and LLD appeared in the order of repetition, substitution, self-correction, omission, and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LLD have difficulty in reading accuracy and reading speed, Interv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to RF. Also, when examining the types of meaning errors in qualitative analysis, in both groups, the two types of error were higher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and repetition. in both groups, there were many errors in different reading and reading errors repeatedly during reading fluency. Therefore, evaluation and support for automatic reading of characters in text is needed. However, the two groups differed in their self-correction, and the children with LLD had difficulty in monitoring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text semantically. The phonological errors were in the order of repetition, substitution, and self-correction in both groups. Both groups showed difficulty in automatic and decoding, and they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spelling and phonemes. However, LLD were more likely to have self-correcting than phonological errors than meaning errors. We could see that we were able to monitor our errors in phonological units rather than in meaning uni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F characteristics of LLD of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identified errors by dividing them into meaning/phonological errors. Therefore, when setting up the intervention plan, taking into account the meaning/phonological ability of LLD will be a positive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ir RF. 읽기의 최종목표인 읽기이해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읽기유창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읽기유창성은 해독 능력과 언어이해 능력이 포함된 언어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능력이다. 읽기유창성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해독의 자동성이 중요하며 이는 해독과정에 대한 이중 경로모형에서 설명하는 의미경로와 음운경로 모두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류를 포함하여 아동의 읽기유창성 수행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초등 3∼4학년 시기는 읽기유창성이 발달하는 데 중요한 시기이므로 본 연구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유창성 능력을 살펴보고 언어적 특성을 고려하여 의미/음운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 소재의 초등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 아동 17명, 일반 아동 17명으로 전체 34명이었다. K-CTONI-2, LSSC, KOLRA를통하여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선별하고 각 집단에 대하여 읽기유창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과제는 두 개의 이야기글로 초등 3∼4학년이 읽기에 적합한 난이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읽기유창성을 분 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 수, 읽기 정확률, 읽기 속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언어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분 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와 읽기 정확률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글을 느리게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오류 특성을 전체, 의미/음운 오류로 나누어 각각 살펴보았다. 정확률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인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전체, 의미/음운 오류 수 모두 유의미하게 많았다. 셋째, 두 집단의 전체오류 유형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 아동은 대치, 반복, 자기수정, 첨가, 생략 순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대치, 반복, 생략, 자기수정,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오류를 의미/음운 오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의미오류에서 일반 아동은 대치, 자기수정, 반복, 생략, 첨가 순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대치, 반복, 생략, 첨가, 자기수정 순으로 나타났다. 음운오류는 일반 아동은 반복, 대치, 자기수정, 첨가, 생략 순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반복, 대치, 자기수정, 생략,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읽기 정확률과 읽기 속도에 어려움을 보이므로 유창하게 글을 읽기 위한 중재 및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질적 분석에서 의미오류 유형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대치, 반복 순으로 두 개의 오류유형이 높았다. 이는 두 집단 모두 읽기유창성 시기에도 글자를 다르게 읽는 오류와 되풀이하여 읽는 오류가 많았으므로 텍스트에서 글자의 자동적 읽기를 위한 평가 및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두 집단은 자기수정에서 차이가 났으며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의미적으로 글을 이해하면서 모니터링 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보였다. 음운오류 유형은 두 집단 모두 반복, 대치, 자기수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집단 모두 자동성과 해독의 어려움을 보였으며 철자와 음운의 대응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의미오류보다 음운오류에서 자기수정이 더 높았다. 이는 의미적 단위보다 음운적 단위에서 자신의 오류를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 특성을 살펴보고 오류를 의미/음운 오류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재 계획을 설정할 때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의미/음운 능력 특성을 고려한다면 읽기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단기기억과 시계그리기 수행 능력 특성

        강민수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기억력의 저하가 있지만, 독립적인 일상생활 활동이 가능한 장애군이다. MCI의 10∼15%가 매년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조기에 선별하고 중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MCI 선별과 관련하여 특히 기억력과 집행기능이 유용한 선별지표로 연구되어 왔다. 기억력은 MCI를 진단하는데 주요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기억력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검사에는 주로 단어목록을 사용하여 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기억력 감퇴가 MCI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주요 증상이자 선별지표로 알려져 있지만, 일반 노화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기억력만으로는 일반노인과의 구분이 어렵다. MCI는 인지기능의 하위 요소 간 복합적인 능력을 요구하는 집행기능의 문제도 또한 나타난다. 이러한 집행기능을 쉽게 평가하는 과제로는 시계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CDT)가 있다. CDT는 기억력, 시각적 주의력, 언어 이해력 등 집행기능을 손쉽게 평가하여 초기 치매 단계에서 손상된 시공간 능력을 측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어회상 과제와 시계그리기검사(CDT)를 통해 MCI의 특징을 확인하여 선별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만 74세 이하인 자로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기초(K-MoCA-B) 결과 총점 30점 중 22점 이하인 자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23점 이상인 자는 일반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MCI의 기억력과 집행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단어회상(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과 CDT(반응시간, 양적 채점, 질적 오류 채점) 과제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각 집단 간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를 실시하였고 MCI 집단의 두 과제 수행 능력과 인지기능 하위영역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CI 노인의 단어회상 능력이 즉각회상, 지연회상 모두 일반 노인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지연회상 반응 시간에서 MCI 노인이 일반노인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렸고 재인 과제의 경우 일반 노인이 MCI 노인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둘째, 집단 간 CDT 수행에 걸린 평균시간을 비교해본 결과 MCI 노인과 일반 노인 모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양적 채점과 질적 오류 채점 결과 MCI 노인이 일반 노인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MCI 노인의 단어회상과제 및 CDT와 인지기능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단어회상과제의 재인과 인지기능 하위 영역인 지연회상, 이름대기 과제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CDT 수행에 걸린 시간과 주의력 과제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CDT 양적 채점 점수와 이름 대기 과제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질적 오류 점수와 시지각·집행기능 과제에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단어회상(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 CDT(,반응시간, 양적 채점, 질적 오류 채점) 과제에 따른 MCI 노인과 일반 노인 간 수행능력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MCI 노인의 과제 수행 특성과 인지능력 간 상관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억력과 집행기능을 통해 정상적인 노화와 MCI를 구별에 유용성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부모의 AAC 그림상징 인식

        민지혜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ve very limited use of language and may not use language at al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mselves in spoken language should be helped to acquire voluntary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AAC intervention. At this time, the selection of graphic symbols considering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is of utmost importance, so specific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and preferenc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is study, we selected four graphic symbol types, DAS, Korea AAC(KAAC), WETOK, and HANSPEAK, and conducted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tests and preference tests to see which graphic symbol types are effectiv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 wanted to see it. In addition, because AAC intervention is generally conducted through a team approach,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preferences of parents and experts together. This study included 19 children aged 4 to 12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se receptive vocabulary matched them, 19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9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19 experts. A total of 95 people were target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general children were subjected to an image symbolization test, and all subjects were subjected to a preferenc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across groups(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r graphic symbol types(DAS, Korea AAC, WETOK, HANSPEAK),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phic symbol preference depending on the group(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xpert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referred Korea AAC over other graphic symbol type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referred DAS, and experts preferred HANSPEAK over other graphic symbol types. Third,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ymbolic comprehension. In other words, it was evaluated that as receptive vocabulary increases, symbolic comprehension also increase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iconicity by DAS, Korea AAC, WETOK, and HANSPEAK graphic symbol types. Meanwhile,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in pre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experts. This suggests that when performing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ents or experts need to reflect the child's preferences or needs rather than arbitrarily selecting graphic symbols by predicting iconicity or ease of learning.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and preferenc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main users of AAC, and attempts to determine which type of graphic symbol to select is more effectiv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부모의 AAC 그림상징 인식 언어청각치료학과 민 지 혜 지도교수 이 희 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대개 언어가 매우 심하게 지체되어 있으며, 언어를 습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구어 표현이 힘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는 AAC 중재를 통해 자발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게 해주어야 한다. 이때 이들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그림상징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와 선호도를 살펴보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AS, 한국형 AAC, 위톡, 한스피크 네 개의 그림상징 유형을 선정하고,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 검사와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여, 어떤 그림상징 유형의 적용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AAC 중재는 팀 접근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호자와전문가의 선호도를함께알아보고비교해보았다. 본 연구는 4~12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9명, 이들과 수용어휘력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9명,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19명, 일반 아동 부모 19명, 전문가 19명으로 총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에게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대상자에게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는 집단(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일반 아동)이나 그림상징 유형(DAS, 한국형 AAC, 위톡, 한스피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상호작용 효과 역시 없었다. 둘째, 그림상징 선호도는 집단(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일반 아동,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일반 아동 부모, 전문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한국형 AAC를, 일반 아동,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일반 아동 부모는 DAS를, 전문가는 한스피크를 다른 그림상징 유형보다 선호하였다. 셋째, 아동의 수용어휘력은 상징 이해 정확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용어휘력이 높아질수록 상징 이해 정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DAS, 한국형 AAC, 위톡, 한스피크 그림상징 유형별 도상성 인식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전문가 간의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AAC 중재를 할 때, 부모나 전문가가 도상성이나 학습용이성을 예측하여 임의로 그림상징을 선택하기 보다는 아동의 선호나 욕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AAC 주요 사용자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와 선호도를 살펴보고, 어떤 그림상징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있다고할수 있다.

      • 사학자의 정보요구와 이용에 관한 연구 : 부산대학교 연구자를 대상으로

        박윤경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study examines historians´ needs and uses of information. The subject is confined to historian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PNU). It analyzes how they satisfy their need of information and how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serve their research. To be more specif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aculty members of the History Department and History Education Department as well as Ph.D candidates and part-time lecturers. Historians favor data-centered research. It means that to discover and collect data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research. In the case of the History Department of PNU, its department library is used very actively. This study examines how its department library has an effect on history researcher´ demand and use of inform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s ultimate goals are to analyze researcher´s demands and uses of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ir various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methods to help support historian´s research as follows. (1) To make sure that the university library performs its proper functio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a data collection process for supporting historian´s research is needed and can be done by examining in detail users needs. (2) Library service should include education and advertisement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in which history researchers use data personally and so obtain the data immediately. (4) To give users easy access to data through various and specialized list is as important as its collection.. (5)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lassical library more actively through organizing the classification and system of old books which belong to the university library and making a list of it. (6) Extension of library facilities is necessary. (7) Librarian should become more service oriented.

      •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 쓰기 교과과정 연구

        주서연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31

        目前中国已经有200余所学校开设了韩国语专业. 如此众多的大学韩国语专业的学生们学习韩国语的目的不只限于日常生活的用途,更多的是为了进入韩国的学校学习,在韩国企业就业等。因此,对于学生自身用韩国写报告,论文,会议记录的能力的要求也越来越多。在这种情况下,中国国内大学里的韩语系就必须致力于体系化的韩语写作教育课程。 因此,本研究为了促使中国国内大学的韩国语写作教育更好的发展,首先分析了现有的韩国语写作教育实际情况,同时考虑了学生和教师的立场要求,提出了写作教育课程中新的改进内容。在本论文的第二章里,首先明确了教育课程的的构成以及过程中存在的变化因素,以及写作的原理,以此了解了中国学习者的韩语写作的特性,同时提出了本论文的写作教育课程的方向。 接着在第三章里,为了掌握中国国内大学韩国语写作的教育课程中的问题点,分析了被选定的各大学的写教育课程的现况。在这里主要是了解了中国国内大学韩国语教育的特征,以及发展情况。在这样的现况下,韩国语写作教育具体是以怎样的形态来进行的。在进行韩国语写作教育课程现况分析的时候,首先对被选定的大学进行了分类,对各类型的大学韩国语写作教育课程对比分析。同时,为了了解现有的韩国语写作课的实际情况,分析了写作课有关的教材内容。 在第四章的里,依据实际教育情况,以学生和教师为研究对象,通过设问调查的方式来分析韩国语教育课程,总共进行了2次问卷调查,第一次问卷调查主要是对各个年级的学生和教师为对象,问卷的内容主要是教育课程设计的认识,满意度,以及要求等。第二次问卷调查主要是以通过各种中韩大学的交流合作项目来韩国留学的留学生,以及已经毕业,并在与韩国语相关的工作岗位上工作的韩国语专业毕业学生为对象,调查的内容主要是来韩国留学之前,在中国大学里学习学术目的的写作教育的必要性和内容。以及对于毕业生来说,问卷的内容主要是职业目的的写作教育的必要性和内容,最后参考问卷调查的结果,提出中国国内韩国语专业韩国语写作教育课程改善方案。 在第五章的内容里,以上述的理论知识和实际分析情况为基础,提出了中国国内韩国语写作教育课程的改善方案。首先,在提出韩国语写作方案的学习目标的时候,参考了中国国内大学韩国语专业的特性,毕业生的就业选择,学习者和教师的要求,具体地提出了各个年级,各个学期的韩国语写作目标。并按照写作目标提出了对应的各个学期的学习内容。在设定各个阶段的学习方法的时候,为了更有效地提高学习效率,参考了各个学期的学习目标和学习内容。最后提出了各个学期的写作评价方法和评价基准。虽然本论文提出了中国国内韩国语专业韩国语写作教育课程的改善方案,但是不是以中国所有大学为研究对象而提出的,对此作为未来的研究课题,继续努力。

      • 이미지 활용 약물교육이 노인환자의 약물지식, 복약 자기효능감 및 복약오류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이미지를 활용한 약물교육이 노인환자의 약물지식, 복약 자기효능감, 복약오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시에 위치한 일 병원에 입원한 노인으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29명, 총 59명이었다.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주 1회, 총 3회에 걸쳐 이미지를 활용한 약물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교육 전, 교육 직후, 교육 4주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약물지식, 복약 자기효능감 및 복약오류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약물지식, 복약 자기효능감, 복약오류에 대한 동질성은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검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변수에 대한 실험 전과 후 차이검증은 paired t-test, 각 시기별 차이검증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실험군 25명, 대조군 24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평균 연령은 71세이었으며,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보고한 실험군이 15명, 대조군이 12명이었다. 질병 개수는 평균 2.2개였고, 복용하는 약물 개수는 평균 5.8개로 조사되었다. 2. 실험처치 전 약물지식, 복약 자기효능감, 복약오류의 정도를 살펴보면, 약물지식 점수는 평균 14.6점(실험군: 14.9점, 대조군: 14.6점; t=0.34, p=.734), 복약 자기효능감 점수는 평균 25.6점(실험군; 24.4점, 대조군: 27.1점; t=-1.66, p=.120) 및 복약오류 점수는 평균 4.76(실험군: 4.2점, 대조군: 5.3점; t=-1.69, p=.115)으로 관련 변수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만족하는 결과가 나왔다. 3. 실험군의 약물지식 정도는 실험 전에 비해 실험 직후(t=-14.52, p<.001), 4주 후(t=-12.67, p<.001)에 높아졌으며, 약물지식 정도가 실험 직후, 4주 후 각 시점에서 실험군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t=10.72, p<.001; t=8.37, p<.044). 4. 실험군의 복약 자기효능감 정도는 실험 전에 비해 실험 직후(t=-6.98, p<.001), 4주 후(t=8.40, p<.001)에 높아졌으며, 실험군의 복약 자기효능감 정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37, p=.240; t=0.25, p=.545). 5. 실험군의 복약오류 정도는 실험 전에 비해 실험 직후(t=9.12, p<.001), 4주 후(t=8.94, p<.001)에 낮아졌으며, 복약오류 정도가 실험 직후, 4주 후 각 시점에서 실험군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t=-2.53, p<.012; t=-5.76, p<.029). 이상과 같이 이미지 활용 약물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약물지식, 복약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복약오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 방법으로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읽기부진 아동의 쓰기 수행력 및 작업기억 능력

        박주영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읽기부진 아동의 쓰기 수행력 및 작업기억 능력 언어청각치료학과 박 주 영 지도교수 이 희 란 학령기 아동에 있어 읽기와 쓰기는 핵심적인 의사소통 수단이 되며 읽기와 쓰기의 불완전한 습득은 학교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쓰기는 다양한 인지적 능력을 포함하는 복잡한 과정이며 쓰기에 있어 작업기억은 장기기억으로부터 세상사지식을 불러오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부진 아동의 언어능력 결함이 쓰기 수행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읽기부진 아동의 쓰기수행력을 살펴보았으며, 인지의 통합을 요구하는 쓰기에 작업기억이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점에 따라 읽기부진 아동의 작업기억 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쓰기 수행력과 작업기억 능력을 각각 분석한 뒤 쓰기 수행력과 작업기억 능력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중인 읽기부진 아동 14명과 학년이 일치하는 일반아동 14명이었으며, 학령기 이야기 평가도구를 통해 쓰기수행력을 알아보았다. 작업기억 능력 측정을 위해 언어성 작업기억인 읽기 폭 과제와, 작업기억과 관련된 주의통제 능력을 볼 수 있는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부진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쓰기에서 유의하게 짧은 평균문장길이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읽기부진 아동과 일반아동은 전체 낱말 수와 다른 낱말 수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작업기억 측정에서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 폭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주의통제 능력을 측정하는 스트룹 색상 아동-단어 검사의 결과 읽기부진 아동은 단어 점수, 색상 점수, 색상-단어 점수에서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쓰기 수행력과 작업기억 능력이 관련이 있다는 결과에 따라 읽기부진 아동의 중재에 작업기억 능력의 효율적인 사용이 쓰기 능력의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읽기부진 아동의 언어적 측면의 양적 수치를 분석하여 쓰기 수행력을 살펴보았으며, 읽기부진 아동의 낮은 언어성 작업기억과 더불어 주의통제 능력에 대한 측정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임상현장에서 작업기억과 쓰기에 대한 읽기부진 아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중재목표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쓰기, 읽기부진, 읽기 폭, 작업기억

      • 중국 내 대학의 플립 러닝 기반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예능프로그램 활용을 중심으로

        장혜림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本文旨在提出能够同时提高中国大学韩语专业学生韩语语言水平和韩国文化理解能力的有效教学方案。 众所周知,语言和文化密不可分。语言教育的最终目的在于学习者能通过语言的学习,了解对象国的生活、制度、风俗和思考方式等,顺利实现跨文化交流。文化教育实施过程中所使用的资料和方法的选择需要考虑到教育对象所处的语言环境。中国大学韩语专业学生受语言环境制约,平时很难接触到韩语和韩国文化;学校开设的课程中韩国文化课程的比率极低,无法满足学生对韩国文化知识的需求;班级人数多,较难开展多种教学活动;班级学生水平差异较大,教师很难协调教学进度。为了解决上述问题,本文提出了用翻转课堂的方式进行韩国文化教育,并在教育过程中用韩国综艺节目作为教学资料的方法。 本文首先通过文献研究、现状调查、需求分析,了解了中国各大高校韩语专业文化教学现状,教师和学生对于韩国文化课程满意度、教学资料和教学方法的看法,学生经历过的韩国文化冲击及教师的教学对策。其次,在上述调查的基础上,提出了中国大学韩语专业学生文化教育的目标,构建了韩国文化教育的翻转课堂模型。最后本文通过实验研究法论证了新模型能够同时提高学生的韩国文化理解能力和学习效能感。

      • 소설 "82년생 김지영"과 영화 <82년생 김지영> 서사구조 비교 연구

        부이 흐엉 짱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의 목적은 조남주의 장편소설 『82년생 김지영』과 김도영의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서사구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회 속에 존재한 문제, 특히 한국사회 속의 뿌리 깊은 여성차별 양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그리고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소설과 영화의 서사구조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문학 작품을 영화 작품으로 각색하는 문제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서사학 이론을 이용하여, 문학 서사와 영화 서사의 특징을 분석하는 동시에 두 예술 형태의 서사 방식 속의 같고 다른 형태를 비교하고 지적하고자 한다. 그것으로 기본적인 문제, 즉 문학 작품의 어떤 서사 요소들이 영화 환경으로 삽입될 수 있는지, 각색 과정에서 영화의 표현 언어와 부합되기 위해서 어떤 서사 요소들이 생략되고 변화되어야 하는지 등을 설명한다. 이것 또한 문학 작품을 영화 작품으로 각색되는 과정의 본질과 영화-문학 사이의 관계를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내용이다. 그에 더해, 문학과 영화의 서사 방식 속에서 개별적인 특징을 지적하는 것 또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영화 예술이 많은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쓰는 방식, 이야기하는 방식, 작품의 구조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설과 영화의 서사구조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페미니즘의 이론적 시각을 통해 연구한다. 이 관점에서 소설과 영화의 공통적인 서사구조를 비교하다. 본 논문은 소설과 영화 <82년생 김지영> 을 분석할 뿐 만 아니라, 그 서사 분석을 바탕으로 소설과 영화를 비교하면서 그 과정에서 유사점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Ⅱ장과 Ⅲ장에서는 조남주의 원작소설 『82년생 김지영』과 김도영의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서사구조를 분석할 것이다. 먼저 소설과 각색한 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서사구조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제Ⅳ장에서 소설과 영화<82년생 김지영>의 서사구조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설과 영화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서사구조 각각의 텍스트를 비교 분석할 것이다. 항목은 크게 플롯, 등장인물, 시점 세 가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두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여성 차별이 당시 한국 현대사회의 어떤 문제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두 작품의 차이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선정된 분석 텍스트들을 통해 소설이 영화화되는 과정에서 그 서사구조와 의미가 어떻게 변화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roblems existing in society, especially the formation of deep-rooted women's discrimination in Korean socie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Nam-ju Jo's novel, 『Kim Ji-young: Born 1982』 and Kim Do-young's film, <Kim Ji-young: Born 1982> . Firstrly,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novels and films by comparing the two works. Furrthermore, in order to research the problem of adapting a literary work to a film work, this thesis uses narrative theo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narrative and film narrative, while comparing and pointing out the same and different forms in the narrative method of the two art forms. It explains the basic problem, namely, which narrative elements of a literary work can be inserted into the film, and which narrative elements must be omitted and changed in order to match the expression language of the film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in general the nature of adaptation process of literary work to film wor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literature. In addition, pointing o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narrative style of literature and film also help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and how cinematic art influences the way many contemporary writers write, talk, and structure their works. Secondly, this thesis analyz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novels and films, and studies through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feminism. From this point of view, we compare the common narrative structure of novels and movies. This thesis not only analyzes novels and films <Kim Ji-young: Born 1982>, but also compares novels and films based on the narrative analysis to exa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 In Chapters Ⅱ and Ⅲ, this thesis analyz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Nam-joo Cho's original novel 『Kim Ji-young: Born 1982』 and Kim Do-young's film <Kim Ji-young: Born 1982>.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are indispensable in novels and adaptations of movies will be examined. Through this, in Chapter IV, the thesis will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and the film <Kim Ji-young: Born 1982>. In order to grasp the difference between a novel and a movie, each text of the narrative structure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The item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lot, character, and viewpoint. In this way, the study will take a more concrete approach in finding out what problem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ere reflected in th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both works. Also, the study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Through the selected analysis texts, this thesis will find out how the narrative structure and meaning chang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a novel into a 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