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경 스타일별 경관의 회복환경능력 비교 연구 : 경희대 국제캠퍼스 외부 환경을 사례로

        WANGYIR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대사회의 대학생은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학업 및 개인 생활 등 전 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기에, 최근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회복 환경 이론이 대두되고 있다. 회복 환경 이론에 따르면 대학 캠퍼스의 녹지 조경이 학생 들의 심리적 회복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학업 성취 및 학생들의 전반 적인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정형식 경관에 해당되는 ‘사색의 광장’ 과 자연식 경관에 해당되는 ‘학생회관 옆 오솔길’을 대상지로 선정, 학생들의 회복 력에 미치는 영향을 회복환경 이론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하였으며,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분석을 통해 사람들이 자연식 경관과 정형식 경관을 구별하며 각각 에서 유사하거나 다른 긍정적 감정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환경 회복 이론의 관점에서 캠퍼스 내 자연식경관과 정형식경관에 해당하 는 장소들을 촬영,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각 경관들 시청 후 회복상태가 크게 개 선되었으나 특히 자연식 경관을 시청한 경우의 회복 상태가 정형식 경관을 시청한 경우 보다 조금 더 개선되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미관도, 해방감 및 자연도 등 세 가지 요인과 회복 상태 사이의 관계에 대 해 조사, 위 세 가지 요인은 회복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 으며, 마지막으로 감성 원형 모델을 사용, 자연식 경관과 정형식 경관의 감정 경험 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두 가지 경관 유형이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하 고 부정적인 감정이 적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본의 특정 특성과 환경 요소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비교적 단기간 내에 각 경관들이 피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 었다는 점, 온라인 설문 조사 형식의 회복 상태 척도 및 경관 인식에 대해서만 조 사를 진행하였기에 이와는 다른 방면의 측정 방식 및 다른 관점을 제공할 수 있어 야 한다는 점, 심리 측정 외에도 미래 연구에서 개인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생리 학적 지표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 두 가지 유형의 경관에만 중점을 두었기에 향후 더 많은 유형의 경관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등의 연구의 한계점이 명확하기에 추후 연구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농촌마을의 수체계 개선을 위한 환경조경학적 접근

        김석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43

        Subject to the case study area and validated by QUAL2E water quality model,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water system improvement measure via space planning, nature friendly facility application, and ecological methodology, so called the environmental and landscape architectural approach, under the settings described below. 1. Space planning was performed in the sense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to improve water system in the subject region, primarily direct toward Green & Clean. With Green Factor to facilitate natural restoration for increasing efficacy in ecological relationship and Clean Factor to hinder the point and non-point pollutant sources to maximize the natural carrying capacity, hence expected to generate long-term economic effects from the utilization of natural power, the fundamental goal was set to achieve ultimate improvement of amenity through changes in living conditions. 2. The area-specific treatment based on the plot involved the Primary Level Filtering of chemical treatment (chlorine disinfection), followed by the Secondary Level Filtering phase of physical and ecological treatment (contact oxidation method), and the ecological development of pond where the small streams join the main watercourse to allow the Third Level Filtering: in which, ecological developing measures such as swamp creation was sugges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land gradient to prevent the inflow of pollutants from the area widely contaminated with non-point source to the main stream. Upon the suggested space planning and treatment for water system enhancement in the case region, water quality estimation is conducted using QUAL2E model to assess the future impact on the pollutant source and river characteristics, whereby resulted as follows. 1. The pollutant load was measured BOD 27.95Kg/day, T-N 13.50Kg/day, and T-P 1.42Kg/day in Palbong Stream, while the values in Beck Stream modeling section was BOD 116.3Kg/day, T-N 54.1Kg/day, and T-P 5.8Kg/day. 2.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assessment for each treatment method indicated the reduction in all of BOD, T-N, and T-P in the Section 7-17 in Point W-2 where water flows from Palbong Stream to Beck Stream. 3. The reduced amount of pollutant load, the post-effect of ecological swamp development, was measured BOD 9.62Kg/day, T-N 4.26Kg/day, and T-P 0.83Kg/day, which led to the decrease in Palbong Stream to BOD 18.33Kg/day, T-N 9.24Kg/day, and T-P 0.59Kg/day. 본 연구는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공간계획, 환경친화적 시설도입, 생태적방법론 등의 이른바 환경조경학적 접근을 통한 수체계 개선방안을 구상하였으며,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질예측모델인 QUAL2E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사례지역의 수체계 개선을 위해 환경조경학적 접근으로 공간계획을 하였으며, 그 기본방향을 Green&Clean 이라 설정하였다. Green Factor는 자연력의 재생을 추구하여 생태학적 연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Clean Factor는 자연적 환경 수용능력을 최대한 상승시키기 위하여 점·비점오염원의 확산을 차단하고 자연력 활용에 의한 장기적 경제효과를 기대하였으며, 생활상의 변화를 통해 궁극적 Amenity(쾌적성)증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다. 2. 기본구상에 따른 지역별 처리방법은 화학처리를 통한 1차 Filtering과정(염소소독)을 거친 후, 물리·생태적 기법을 활용한 2차 Filtering과정(접촉산화법)을 거치도록 하고, 각 지천이 모여 간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부위에는 생태연못을 조성하여 3차 Filtering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3차 Filtering은 비점오염원이 넓게 분포된 지역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지천으로 유입되기 전에 정화할 수 있도록 경사도를 고려하여 생태습지 조성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례지역의 수체계 개선을 위한 공간구상과 처리방법을 제시하였고 향후 오염원의 변화 및 하천특성의 영향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QUAL2E모형을 이용하여 수질예측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팔봉천의 배출부하량은 BOD 27.95Kg/일, T-N 13.50Kg/일, T-P 1.42Kg/일로 나타났고, 백천 모델링 구간의 배출부하량은 BOD 116.3Kg/일, T-N 54.1Kg/일, T-P 5.8Kg/일로 나타났다. 2. 각 처리공법에 따른 수질예측결과 팔봉천에서 백천으로 유입되는 W-2지점인 7~17구간에서 BOD, T-N, T-P가 모두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생태습지 조성후 오염부하량별 삭감량은 BOD 9.62Kg/일, T-N 4.26Kg/일, T-P 0.83Kg/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팔봉천의 배출부하량은 BOD 18.33Kg/일, T-N 9.24Kg/일, T-P 0.59Kg/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촉지적 지각 관점에서 본 픽처레스크와 모더니즘 조경

        김진섭 청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27

        In the West, sight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body’s five senses, but ocular-centralistic thinking has the problem of privileging the subject and inhibiting interaction with other senses. In Cartesian Perspectivalism, which corresponds to Descartes’ cogito, vision identifies the ‘eye’ with ‘I’, and the ‘eye’ emphasized vision separated from the body. Ocular-centralism, which emphasizes the dichotomy of subject and object, forms the basis of dominant visual style in the modern day. Modern optical mechanisms biased toward ocular-centralism overlooked the various functions of vision, and created biased thinking by limiting the experience of the world to the visual domain. However, we experience the world through constant physical movements. The body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by using various senses simultaneously.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of exterior space can be understood by the body ‘touching’ the environment, and the act of touching relies on vision, for the most part. Vision can include, or even strengthen the modalities of different senses. Vision is connected with the sense of touch, and vis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ceiving tactile information. Vision separated from the sense of touch is unable to know the depth and distance of space, the atmosphere of space, the material components, and so on. In other words, vision needs the help of the sense of touch. In recent years, all senses including vision have been regarded as an extension of the sense of touch, deviating from ocular-centralistic thinking. Participation of the body during exterior space experience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In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the multisensory aspect of the body is emphasized, going against ocular-centralis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haptic perception, which not only recommends the interaction with vision but also with various senses. Haptic perception proxy touche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vision, and induces the subject to accompany bodily experiences. Generally, it becomes active in unfamiliar environment or in proximity, and it is a dynamic vision that seeks to stimulate various sense of a human being. Haptic perception plays a catalytic role leading an active experience of the subject and imposes the memory of the place on us. Through such haptic perception, we experience a sense of place in the space. The concept of haptic perception is a part of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our body, but it has been overlooked until now, and is recently being rediscovered. At a time when abstruse pieces of work,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e perspective of existing aesthetics, is frequently appearing, the discussion on haptic perception, which induces a multi-layered and composite spatial experience, will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interpreting the recent design-oriented landscape architecture and decorative landscape architecture. For this purpose, the study attempted an interpretive approach,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rom the viewpoint of haptic perception, it can be seen that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has been developed within complementary relationships of various perspectives. In Garden School, Castle Garden and Picturesque Garden of Greece, the characteristics of haptic perception are partly express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aptic perception includes ‘ambiguity and obscureness of boundaries’, ‘generation of dynamic perspectives’, ‘induction of motility by indefinite circulation’, and ‘strangeness and sublime beauty by the impossibility of perception’. The four characteristics are partly presented in picturesque gardens. First, the ambiguity and obscureness of boundaries are presented in the irregularity and asymmetric elements of planes and the rejection of a single view. Second, the generation of dynamic perspectives results from the adoption of narrative structure and overlapping of spaces. Third, the induction of motility by indefinite circulation is created by circulation that connects each space through branching circulation. Fourth, strangeness and sublime beauty by the impossibility of perception are presented through the use of various elements and the adoption of ‘roughness’, ‘irregularity’, and ‘ruins’. Visual models based on ocular-centralistic thinking spread all over the world in modern days. In this period, visual models that went against visual models existed, and they formed a competitive landscape. The period before 1920s is a time in which aspirations for ‘pure nature’ were high as an alternative for rapid urbanization, and various plans were being considered to implement ‘nature’ into the city. It was a period in which ‘nature’ was fused into the city in various forms of parks, roadside trees, and green belts, and in this process, visual models based on ocular-centralistic thinking spread all over the world. After the 1920s, a period in which modernism landscape architecture actually began, various works, which went against the existing visual order, appeared, and characteristics of haptic perception were expressed in works of modernism landscape architects. The characteristics of haptic perception are strongly expressed in the order of Lawrence Halprin, Garrett Eckbo, Luis Barragan, Thomas Church, Roberto Burle Marx and Dan Kiley. Enhancement in the sense of proximity, use of various elements, various perspectives from overlapping of spaces, change in topography, and expression of dynamic motility indicate haptic perception in modernism landscape architecture. Modernism landscape architecture strengthens proximity percep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haptic perception, and activates haptic perception through the use of new materials and colours. Ocular-centralistic thinking is conventionally spread all over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there exists views against it. Haptic perception is the act of simultaneously experiencing the environment through not only the visual functions of the eye, but also the sense of touch. This perception system is needed in the modern day, which is biased towards ocular-centralism.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the city, rather than ridding ocular-centralism, and expand the visual functions that we originally have. In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there is a need to maximize and develop haptic perception, and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design technique of space allowing haptic perception and the design technique. While vision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human body's five senses in the West, visual-centered thinking poses many problems. Visualism specializes the subject and limits the experience of the world to the visual domain, while inhibiting interactions with other senses. However, experience can be understood as a variety of forms of 'handling' and is associated with sensitivities. Modern optical mechanisms biased toward visualism overlooked the various functions of vision, and the ability of the eye to sense objects and organize space with abstract, rational eyes. In recent years, it has led to a variety of experienc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different senses by complex perception beyond the dichotomy of vision. In modern landscaping, physical intervention in outer space became an important issue as interest in the multi-sensory aspects of the body became high against visualism. The tactile perception is a dynamic perspective in which not only the visual but also through interactions with various senses induce the subject to experience the body with the body, and indu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various sensory stimuli of the human being.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tactile perception system that triggers the active experience of the subject. The tactile perception plays a catalyst in leading the active experience of the subject, and through this tactile perception, the subject experiences the locality. The tactile perception elicits active participation by exposing what is known through the tactile experience through the simultaneousity and interaction of various se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visual centristism developed around the West, explore how tactile perception has been modified and adapted in the historical process and how it has affected the landscape field. The aesthetic landscape is discussed about the tactile perception that leads to a multi-layered, mixed, disassembled, open, interconnected and dynamic view at the time of the landscape. 서구에서는 인체의 오감 중 시각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나, 시각중심주의적(Ocular-Centrism) 사고는 주체를 특권화하며, 다른 감각들과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데카르트(Descartes, R)의 코기토(cogito)와 상응하는 원근법주의(Cartesian Perspectivalism)에서 시각(視覺)은 ‘눈’과 ‘나’를 동일 시 하고, ‘눈’은 신체로부터 분리된 시각(視角)을 강조하였다.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적 사고를 강조하는 시각중심주의는 근대의 지배적인 시각 양식의 기초를 형성한다. 시각중심주의에 편향된 근대의 광학적 메커니즘은 시각(視覺)의 다채로운 기능을 간과하였고, 세계에 대한 경험을 시각 영역에 한정함으로 편향적인 사고를 낳았다. 그러나 우리가 세계를 체험하는 것은 끊임없는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이루어진다. 신체는 다양한 감각을 동시적으로 활용하여 환경과 상호작용을 한다. 특히, 외부공간의 체험은 신체가 환경을 ‘만짐’으로써 이해될 수 있으며, 만지는 행위의 상당부분은 시각에 의존하고 있다. 시각은 다른 감각의 양상들(modalities)을 포함할 수도, 심지어 강화할 수도 있다. 시각은 촉각과 연결되어 있으며, 시각은 촉각적 정보를 지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촉감으로부터 분리된 시각은 공간의 깊이감과 거리, 공간의 분위기, 재질 등을 알 수 없다. 즉 촉각은 시각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시각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시각을 포함한 모든 감각은 촉감의 확장으로 간주하고 있다. 신체의 참여는 외부공간의 체험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현대 조경에서는 시각중심주의에 반하여 신체의 다감각적 측면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각과의 상호작용을 제시하는 촉지적 지각(haptic perception)을 제시 하고자 한다. 촉지적 지각은 시각적 작용을 통해 주변 환경을 대리접촉(proxy touch) 하며, 주체로 하여금 신체를 동반한 체험을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낯선 환경과 근거리에서 활성화 되며, 인간의 다양한 감각적 자극을 꾀하는 역동적인 시각이다. 촉지적 지각은 주체의 능동적 체험을 이끄는 촉매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우리로 에게 장소에 대한 기억을 각인시킨다. 이로써 우리는 공간에서 장소성을 체험한다. 촉지적 지각의 개념은 우리 신체가 가진 고유한 특성의 일부이자만 이제까지 간과하고 있던 개념으로 현대에 들어 재조명 되고 있는 개념이다. 기존의 미학(美學)으로는 해석하기 어려운 난해한 작품이 종종 등장하는 시점에서 다층적, 혼성적으로 공간 체험을 유도하는 촉지적 지각에 대해 논의하는 것에 최근 디자인 위주의 조경과 장식적 조경을 해석하는 개념적인 틀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방법론에 기초하며, 해석학적 접근(interpretive approach)을 시도하였다. 촉지적 지각 관점에서 조경의 역사는 다양한 시각 체제의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 발전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리스의 가든 스쿨(Garden School), 중세의 성관정원(Castle Garden), 픽처레스크 정원(Picturesque Garden)에서 촉지적 지각의 특성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촉지적 지각의 주요 특징으로는 ‘경계의 모호함과 애매함’, ‘동적 시점의 생성’, ‘불확정적 동선에 의한 운동성 유발’, ‘지각 불가능성에 의한 낯섦과 숭고미’로 요약할 할 수 있다. 네 가지 특징은 픽처레스크 정원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 경계의 모호함과 애매함은 평면의 불규칙함과 단일시점의 거부로 나타난다. 둘째, 동적 시점의 생성은 서사적 구조의 도입과 공간의 중첩으로 생성된다. 셋째, 불확정적 동선에 의한 운동성 유발은 분기하는 동선으로 각 공간을 연결하는 순환동선을 통해 생성된다. 넷째, 지각 불가능성에 의한 낯섦과 숭고미는 다양한 요소의 활용과 ‘거칠음’, ‘불규칙함’의 추구, ‘폐허’의 도입으로 느낄 수 있다. 근대에는 시각중심주의적 사고에 입각한 시각 모델이 전 세계적으로 파급되는 시기이며, 시각 모델에 반대하는 시각모델도 존재하며 서로 경쟁하는 구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1920년대 이전 시기는 당시 급격한 도시화에 대한 대안으로 ‘순수한 자연’에 대해 열망이 높아지며 ‘자연’을 도시에 삽입하기 위한 방안이 다양하게 고려되는 시기이다. ‘자연’은 공원, 가로수, 녹지 등 다양한 양식으로 도시 내에 융합되며, 이 과정에서 시각중심주의적 사고에 입각한 시각 모델이 전 세계적으로 파급되는 시기이다. 모더니즘 조경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20년대 이후에는 기존의 시각적 질서에 반기를 드는 다양한 작품들이 선보인 시기이며, 모더니즘 조경 작가의 작품에서 촉지적 지각의 특성이 표출되어 있다. 촉지적 지각의 특성은 핼프린(Lawrence Halprin), 에크보(Garrett ​Eckbo), 바라간(Luis Barragan), 처치(Thomas Church), 벌 막스(Roberto Burle Marx), 카일리(Dan Kiley) 순으로 강하게 나타난다. 모더니즘 조경에서 나타나는 근거리 지각의 강화, 다양한 요소의 도입, 공간의 중첩에 따른 다중시점, 지형의 변형, 역동적 운동감의 표현 등은 촉지적 지각을 나타낸다. 모더니즘 조경은 촉지적 지각의 특징인 근거리 지각을 강화하고, 새로운 소재의 사용과 색채의 활용으로 촉지적 지각을 활성화 시킨다. 시각중심주의적 사고는 전 세계에 보편적으로 퍼져있는 동시에 이에 반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촉지적 지각은 눈의 시각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촉감으로의 전이를 통해서 환경을 동시적으로 체험하는 지각이다. 이러한 지각 체제는 시각 중심주의에 편향되어있는 현대에 필요한 지각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각중심주의의 전복이 아니라 도시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우리가 본래 지니고 있던 시각의 가능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대 조경에서는 촉지적 지각을 극대화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고, 촉지적 지각을 할 수 있는 공간의 탐색과 설계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현대조경설계에 있어서 하이브리드적 경향에 관한 연구

        장일영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출발하고 있다. 오늘날 모더니즘 이후 다양하게 전개되어 온 새로운 담론들의 중심개념인 해체(de-construction)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이점이 조경설계에서는 어떻게 해석되어질 수 있는가? 또 이러한 시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혼성적 탈장르화 현상을 묶어줄 수 있는 개념적 틀은 무엇인가? 그 틀은 크게 보아서 일종의 해체현상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해체(de-construction)는 근대성(modernity)의 구현에서 말기(late) 혹은 후기(post)에서 나타나는 핵심개념으로서 조형예술분야에서는 각 영역 혹은 장르 간의 통합이나 혼성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후기현대 조경의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인 하이브리드(hybrid)를 해체적 징후의 가장 중요한 지표로 보고자한다. 물론 이러한 혼성이나 통합된 현상은 조경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조경의 영역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즉, 전통적인 조경설계는 '명석 판명함'이라는 근대 합리주의적 인식(recognition)에 대한 표상(representation)행위였다. 이 인식이라고 하는 인본주의적 이상 속에서의 조경행위에 있어서 조경을 구성하는 개별 요소들은 서로 뚜렷하게 구별되어 명확한 자체동일성을 가지면서 전체를 관장하는 한 설계가의 이념이나 계획 아래 질서정연하게 배열되었다. 이는 합리적이고 나아가 기능적 방향으로 전개되었으며, 그 미적인 가치는 고전적 미의 기본 원리인 비례, 균형, 조화 등과 같은 척도로 분석되었다. 이 점은 형식의 아름다움에 초점을 두어온 근대의 서구미학의 형식주의 이념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그 근원에 있어서 르네상스에서 발원하여 데카르트적 코기토(cogito) 철학에서 정립된 시각중심주의(ocularcentrism)의 혹은 이성중심주의의 한 양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성중심적 세계관은 자연을 인간사유에 연역시킴으로써, 즉 자연의 인간화를 목적으로 하면서 인간마저도 신체-주관의 분리라는 방법을 통해 대상화(objectification)하였다. 따라서 이성중심적 세계 곧 모더니즘은 인간마저 도구화된 객체로 전락시켰을 뿐 아니라 종당에는 소외(alianation)시킨다. 특히 조형예술 분야에 있어서 그것은 20세기 중엽에 이르면 모더니즘 발전의 마지막 단계에서 일종의 예술행위의 자체비판(self-critique)을 통한 대상세계의 극단적 추상화와 순수성(purity)의 추구라는 분리주의적 양상을 보이게 된다. 제 예술행위에서 매체자체(midium itself)의 순수성은 그 마지막 국면이었으며 이때 매체의 순수성을 통하여 획득한 자체-지칭성(self-referentiality)의 관행이 종전의 모방적 재현을 대신하게 된다. 그것은 19세기 낭만주의로부터 비롯한 열린 예술개념에 대한 닫힌 미학주의의 승리로 볼 수 있다. 예술품의 창작과 감상에서 작품내적 관조(contemplation)가 중요한 요건이 되면서 상대적으로 대중이나 환경과 같은 생태론적 조건으로부터 분리되어 고급취향이 강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근대서구미학의 분리적이고 이원론적 관점을 포괄하는 의미를 지닌 중심주의적 사고는 근대이후 지속적으로 서구 문화와 예술, 삶 등을 지배해왔으며, 조경 또한 이 영향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않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고는 결정적으로 타자의 시각(visuality)이 배제되어져 있고 합리성에 부합하지 않는 이질적 요소들도 없는 자체지칭적인 단일성의 완결된 구조이다. 작가나 저자를 텍스트 생산에서 의미의 중심에 두어 이용자를 배제시키는 극단적으로 닫힌 체계라 할 것이다. 의미를 생산하는 작가의 시선(visibility)에 세계가 복속되는 해게모니적 시각과 다름 아닌 것이다. 그것은 근대의 극단적 개인주의는 물론이고 비서구나 자연을 대상화한 결과로서 오늘날 환경파괴나 세계대전, 인간의 소외, 민족간의 갈등 등을 야기 시키고 있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다원적이고 혼성적 성향을 지닌 후기현대의 확장된 시각성이 싹트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으로 인해 조경설계 또한 변화해 가는데, 그 가장 큰 특징은 모더니즘의 자체지칭성의 닫힌 구조가 진행되는 동안 이원론 속에서 생성된 장벽의 해체일 것이다. 이는 곧 서구/비서구, 진보/전통, 예술/비예술, 순수/비순수, 생산자/이용자, 중심/변두리의 경계허물기로서 그 결과는 형태적 변형인 장르간의 혼성으로 하이브리드적인 조경설계와 작품의 의미생산에서 소외되었던 이용자의 자율적인 참여로 전개한다. 이는 설계가(주체)/이용자(객체)간의 상호작용과 감각간의 혼성인 공감각성으로 하이브리드를 대분하여 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일반적으로 말하면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행위로서 근대적 미학주의가 퇴조하는 대신 숭고(sublime)와 같은 새로운 미적 범주가 주장하고 있는 탈현 대미학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경설계는 기존에 이성(reason)이나 인식(cognition)에 억압되어왔던 감성(sensibili쇼)이나 지각(perception)의 복권과, 현대의 지나친 물질주의를 경계하는 비 물질적인 특성까지 표현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시각을 우리는 시각성(visuality)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이는 타자성을 인정하는 일종의 차이의 시각으로써 조경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 뿐 아니라 이전에 의미생산에서 소외되었던 이용자가 작품의 중심으로 등장함으로써 보다 넓고 풍요롭게 확장시킨 확장된 시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모더니즘적 동일성의 시각에서 탈신체화된 시선(vision)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즉, 새로운 시각은 투시원근법적인 고정된 시각이 아니라, 유동적인 이용자의 신체 즉 살아 변전하는 시각인 것이다. 또한 그것은 생태론적인(ecological) 상상력을 개방하는 시선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관행인 완결된 작품구조를 개방된 구조로 변화시키고,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체험방식 또는 상황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개념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를 매개로 하는 새로운 조경설계방식을 탐구함에 있다. 이는 이용자 참여의 다양성으로 엮어나갈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이러한 특징은 공감각성(Synesthesia)극과 비결정성(non-determination)으로 이용자 신체주관의 감각을 중요시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특징은 미적 아름다움보다는 숭고함을, 이용자의 참여를 중요시 한 사건의 체험인 시뮬라크르(simulacre)가 공존하는 현상을 조감할 수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 참여를 중시하는 것은 작품 재료의 특성에서, 수용은 단순한 지각과 관조의 관례에서 완전히 해방되었다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주체와 타자, 미적인 것과 범상한 것의 경계는 최종적으로 사라졌다 할 수 있다. 이제 범상한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으며, 서구의 이원론적인 차별은 사라지고 범상한 일상과 아름다움 예술 사이에 완벽한 평등이 지배하는 '해체' 인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조경설계는 예술적 대상으로 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기보다는 모호함과 생소화로 이용자의 주의에 기울이고 새롭게 지각된 감성에 기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공간을 형태의 볼륨이 아닌, 해프닝과 이벤트에서 우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그것이 진정한 조경설계의 공간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바로 이런 것이 그전까지 조경을 출발하는 준거로 삼아왔던 형태나 공간에 대한 관습적 개념을 부정하면서 새로운 것을 찾으려는 접근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From what perspective can we understand the conception of deconstruction, which is the core idea of new discourses that have developed in various ways since modernism? How can this question be interpreted in landscape design? What frame of conception can encompass the hybrid post-genre movement, a phenomenon which is leading the effort? In a comprehensive meaning, the frame can be epitomized as a kind of the phenomenon of deconstruction. "Deconstruction," which is the core conception appeared in late or post terms in the embodiment of modernity, can be said to be an integrating or hybrid phenomenon between each area or each genre in formative arts. Therefore, the author regards the hybrid movement, which is being widely witnessed in the post contemporary formative art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exes of de-constructive signs. It is safe to say that the phenomenon of integration or hybridism, of course, is not one that threatens the identity of landscape design but one tha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extend the areas of landscape design. That is to say, the conventional landscape design was a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rational recognition of "distinction and clearness." Under that recognition of works on landscape design in humanitarian idealism, while having their clear self-identities with distinction one another, individual factors that constitute landscape design were arranged in order under the ideology or plan by a designer who are managing the entire. That was developed in a rational and functional direction, and the artistic values were analyzed by basic principles of the classic aesthetics such as proportion, balance and harmony. In this regard, it cab be said that this complies with the ideology of formalism of the modern Western aesthetics, which has been focused on the aesthetic of formality. That can be defined as a trend of ocularcentrism or rationality-centerism, which originated in Renaissance and was established in the philosophy of Descartes' cogito. In another aspect, this rationality-oriented world view contributed to objectifying humans in the way of the division of body and subjectivity by deducing nature for humans' thinking on the purpose of the humanization of nature. Therefore, this rationality-oriented world view, modernism, has reduced humans to implemented objects, and finally has alienated them. In particular, in the areas of formative arts, by the mid-20th century at the last stage of the development of modernism, the view developed a separate phenomenon-the extreme abstraction of the object world and the pursuit of purity of the object world through a kind of self-critique on artistic acts. The purity of a medium itself in manifold artistic acts was the final aspect, in which the practice of self-preferentiality obtained thorough the medium's purity replaces the conventional imitative reenactment. That can be considered as a success of the closed aestheticism against open artistic conceptions that originate from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As contemplation inside the work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artistic works, classic tastes separate from ecological conditions such as common people and the environment have been emphasized. This rationality-oriented thinking,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encompassing the separate and dualistic perspective of the Western aesthetics, has dominated the Western cultures, arts and lives since the modern era, and it can be believed that landscape design has developed within those boundaries. This thinking that not only excludes the visuality of the other but also has no heterogeneous factors running counter to rationality, takes a completed structure with self-referentiality. It is an extremely closed system which brings the writer or the author to the main position in the meaning of the production of the text. It is believed that it is the same as the hegemonic view, in which the world is controlled by the visibility of the author who produces meanings. The thinking is a result of the objectification of the non-Western world or nature as well as the extreme individualism of the modern era, and caused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s and is today causing the degradation of the environment, human alienation and conflict between ethnic groups. The extended visuality of the post-contemporary era with pluralistic and hybrid characteristics develops from the reflection of these events. The era's trend has contributed to making changes in landscape design, and the most conspicuous features are the deconstruction of the conventional barriers that were established by dualism in the progress of the closed structure of modernism with self- referentiality. This is interpreted to bring down the barriers between the Western world and the non-Western world, progression and tradition, arts and non-arts, purity and non-purity, and the producers and the users, and the center and the margin, and the results are develop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users, who have been alien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meanings of works and hybrid landscape design with the hybridization of genres, that is, modifications in form. That means to make a try to divide hybridization into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designer (the subject) and the user (the object), and synesthesia the hybridization of senses. Therefore, generally speaking, this is an act of destroying boundaries of the daily life and arts, and complies with post-contemporary aesthetics, in which a new aesthetic category like sublimeness took the lead after the degeneration of modern aesthetics. This landscape design not only seeks to restore humans' sensibility and perceptions, which have been restrained by rationality and recognition, but also tries to express non-materialistic characteristics so as to avoid the excessive of the contemporary era. Consequently, this new view, which can be called "visuality," not only provides a possibility for various perspectives on works from landscape design as a kind of a different view that admits the position of the other but also brings users, who have been alienated in the production of meanings, to the main position of the work as a richer and extended view. This is also a critique on the desomatized vision of the view of modern identities. That is to say, the new view is not a fixed one of clairvoyant perspective but the body of a dynamic user, that is, an alive and energetic vision. Moreover, it is a vision that enables ecological imagination to be released. In the study it was recognized that the old custom of completed work structure should be changed to an open structure, that the hybrid concept should be adopted to understand experience methods or situ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active relationships with the user, and that a new kind of landscape design should be explored. It's important to value open space that can be evolved through diverse user participations and the user's subjective senses regarding the body in terms of synesthesia and non-determination. The focus in placed on user participation and sublimity rather than on aesthetic beauty, which kind of experience is called simulacre. By attaching importance to user participation, the work got free from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from the old practice of simple perception and contemplation. At last it's official; the boundaries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and the beautiful and ordinary are erased. Now everything ordinary can become an artistic work; Western dichotomy and discrimination is gone; and there is 'de-construction' were there is perfect equality between ordinary daily life and beautiful arts. Thus today's landscape design pays attention to the user and uses newly perceived sensitivity by pursing obscure and unfamiliar things rather than aesthetic beauty. Space is accordingly defined to take place accidentally as a happening and event, not as volume of shape. It's the true way to express spatiality of landscape design. That's an attempt to reject conventional concepts about forms and space, which served as the yardstick for landscaping, and to search for new things.

      • 실내조경에 있어서 사운드스케이프의 도입이 이용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호곤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Because of the worsening living environment and concentration of modern civil environment, various environmental element are being destroyed, various noise source are appearing, and loss of green space is taking place. Also, civil life made people stay longer in the building and is causing stress due to the various sound source. As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we use the landscape and soundscape by solving the lack of green space, and mask the noise to feel appeased. Also, we provide the identity of the place, and create a pleasant urban space. Therefore, the current study will talk about providing a pleasant interior space with the introduction of landscape and soundscape by reducing noise and other problems for those who are staying inside as a result of the intensive urban life. To do this, there should be a comparison between the case that landscape and soundscape are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the case that these are provided individually. Also, there should be a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providing landscape and soundscape in various spaces, and propose an effective method for higher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it follows. 1, As we evaluated the satisfaction level when soundscape is provided in the landscap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as shown when both were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among sounds of frog, cicada, and cricket, the sound of cricket was more preferred. Also, we looked for difference when other elements of landscape was provided in the matter of adjectives, and as a result we got the words 'changeable", "luxurious", and "merry", and when landscape element was provided we got the word "changeable", "complicated", and "merry". When all elements were given, words like "changeable", "abundant", and "merry" showed more than 1 difference. Among them, the word "changeable"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 of more than 1.5. As a result of survey and EEG, more satisfaction was shown when landscape elements were provided because the sound of water seemed to give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artificial sound of the speaker since it matches with the landscape. 2. To analyze the level of satisfaction when the sound of soundscape is provided in the landscape, we operated EEG, and as a result, 0.11570 was given as the highest when landscape+soundscape+sound of cricket was provided, 0.10174 when landscape+landscape element was provided, and lower average price when interior landscape+landscape element+sound of frog was provided. We could find out that people may feel distracted when too many variables are provided in a limited space with the fact that lower frequency doing the EEG was resulted when interior landscape, its elements, and soundscape was provided. 3. Among the sound used for the soundscape in the landscape depending on the space, the sound of water and bird were evaluated as the best, and when music was added to that sound people showed more satisfaction. In the other hand, as the elast satisfied sounds were the sound of church bell, Emile bell, and dadeumi. When the physical element of the landscape is configured, as the size of the space is bigger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sound of water gets higher. 4.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distributed in the interior landscape, the average satisfaction of soundscape was high with bird sound+music in the workplace and water sound+music in the commercial place. In the case of women, just like the average price, soundscape was high with bird sound+music in the workplace and water sound+music in the commercial place, and in the case of men, in both workplace and commercial place, bird sound+music showed high satisfaction. 5. Through the satisfaction of soundscape, there wasn't big difference in the adjective of evaluation in the chosen sound source, however, the average price of the adjective was highly evaluated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background music comparing to the independent water sound and bird soun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sound source. As a result of sound of water in the mountain and the image of Nightingale, 'semirural' and 'folksy' was highly evaluated, and 'vicissitudinous', 'abundant', 'luxurious', 'cheery', and 'romantic' were analyzed average. 현대 도시환경은 집중화 및 생활환경의 악화로 인해 다양한 환경요소의 파괴와 더불어 다양한 소음원의 발생 및 녹지공간에 대한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시생활은 건축물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고 다양한 소음원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내조경과 음풍경(Soundscape)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부족한 녹지공간을 해결해주고, 소음을 마스킹(masking) 함으로써 정온감을 느끼게 하여줄 수 있다. 또한 장소에 대한 아이덴티티를 부여해주고 쾌적한 도시 공간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약적 도시생활로 인해 인간이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다양한 소음원의 발생으로 인해 실내공간에서의 쾌적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실내조경과 사운드스케이프 도입을 통해 재실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실내조경과 사운드스케이프를 동시에 제공하였을 경우를 단독적으로 제공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다양한 공간의 성격 및 구성요소에 따라서 사운드스케이프를 제공하였을 경우 만족도를 조사하여 실제 실내조경 및 사운드스케이프의 효과적인 조성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내조경에 사운드스케이프 음원 제공시 만족도에 관해 평가해본 결과 실내조경과 조경요소물 사운드스케이프를 모두 제공하였을 경우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개구리, 매미, 귀뚜라미 음원 중 귀뚜라미 음원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내조경과 다른 요소 제공시 형용사별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실내조경과 조경요소물을 제공하였을 경우 단순히 실내조경만을 제공하였을 경우와 평균값의 차가 1이상인 형용사로는 “변화 있는” “우아한” “명랑한”으로 측정되었고 실내조경과 음원을 제공하였을 경우는 “변화 있는” “복잡한” “명랑한”의 형용사가 추출되었다. 모든 변수를 제공하였을 경우에는 “변화 있는” “풍부한” “명랑한”의 형용사가 1이상의 차이를 나타냈다. 그중 “변화 있는”의 경우 평균의 차가 1.5이상으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 및 뇌파분석에서 볼 수 있듯이 실내조경과 사운드스케이프를 제공하였을 경우보다 조경요소물을 함께 제공하였을 경우의 만족도가 높게 측정된 것은 인공적인 스피커 음이 아닌 조경요소물 중 하나인 계류 및 우산분수에서 나오는 물소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실내조경에 맞는 음원으로 느껴진 것으로 사료된다. 2. 실내조경에 사운드스케프 음원 제공시 만족도에 관한 정량적 분석을 하기 위해 실시한 뇌파분석 결과 실내조경+조경요소물+귀뚜라미소리를 제공해 주었을 경우 α파의 평균값이 0.1157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내조경+조경요소가 0.10174, 실내조경+조경요소물+개구리소리 순으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실내조경과 조경요소물, 사운드스케이프를 제공하였을 경우 다른 변수들에 비해 낮은 α파가 나온 점은 한정된 공간에 너무 많은 변수를 제공하였을 경우 오히려 산만함을 느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공간 유형별 실내조경에서의 사운드스케이프 만족도 실험에 사용된 음원 중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음원으로는 물소리와 새소리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부가적으로 음원에 배경음악을 함께 제공해 주었을 경우 피험자의 선호도가 올라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만족도가 낮은 음원으로는 실내조경과 어울리지 않는 음원인 교회종소리, 에밀레종, 다듬이 소리로 측정되었다. 실내조경의 물리적 요소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을 경우 수공간의 면적이 클 수록 다른 음원에 비교하여 물소리의 만족도가 높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4. 공간의 성격에 따라 분류한 실내조경에서의 사운드스케이프 평균 만족도는 업무공간에서는 새소리+음악, 상업공간에서는 물소리+음악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의 경우 평균값과 동일하게 업무공간에서는 새소리+음악, 상업공간에서는 물소리+음악의 만족도가 높게 평가된 반면 남성의 경우 업무공간과 상업공간에서 모두 새소리+음악의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5. 사운드스케이프의 만족도를 통해 선정된 음원의 평가 결과 공간의 성격에 따른 형용사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지만 음원에 대한 이미지 평가 결과 단독적인 새소리, 물소리 음원과 비교하여 배경음악을 함께 제공해 주었을 경우 형용사의 평균값이 높게 평가되었다. 산속물소리와 나이팅게일의 이미지 평가의 결과 ‘전원적인’, ‘자연적인’, ‘토속적인’이 높게 평가되었고 물소리+음악, 새소리+음악, 풍경소리+음악의 경우 ‘변화 있는’, ‘풍부한’, ‘우아한’, ‘명랑한’, ‘낭만적인’이 높은 평균값으로 분석되었다.

      • 조경분야 최적화 설계 지원을 위한 수목 탄소계산기 개발 및 적용

        하지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위기가 가속화됨에 따라 탄소중립을 위한 제도적 로드맵이 속도감 있게 제시되고 있다. 탄소중립 요소를 반영한 국토계획, 지역 중심 탄소 관리 등 국토의 탄소 관리에 관해 발표되는 정책들은 탄소성능 정량화를 전제로 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도시수목 탄소성능 산정 방식은 기 조성된 녹지의 현장조사에 기반한 것으로서, 신규 조성되는 녹지의 계획안에 대한 탄소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 요구된다. 조경설계의 특성상 탄소라는 환경적 가치뿐 아니라 사회적, 미적, 경제적 가치까지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다중 목표간 조율을 통해 최적의 해를 찾는 최적화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목의 탄소성능을 정량화할 수 있는 수목 탄소계산기를 개발하여 조경분야의 탄소저감을 고려한 최적화 설계를 지원하고자 한다. 설계 현장에서 사용되기 위한 수목 탄소계산기의 구조는 조경수 규격을 입력했을 때 계획안의 탄소성능이 수치적으로 출력되는 형태가 기본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경수 전반을 대상으로 한 탄소성능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전제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 수목의 탄소성능에 관한 연구들은 타 분야 중심으로 일부 수종에 국한되어 있어 조경수의 수종과 규격을 포괄하기 어렵다. 국내 기후조건을 반영한 수치적 정확성은 떨어지지만, 광범위한 수종의 데이터소스를 얻기 위해 미 산림청에서 개발한 i-Tree Eco를 이용하였다. 조경수의 일반적인 규격으로는 데이터 도출 단계에서 필수 입력변수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규격 환산을 통해 입력 조건을 만족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계획안의 탄소성능을 산정할 때 누락되는 수종이 없도록 최대한의 조경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목 탄소계산기는 한국토지주택공사 일위대가의 교목 전체 93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조경설계는 국토 계획에 있어 직접적인 실천성을 가진다. 수목 탄소계산기가 조경분야 최적화 설계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장 운용성이 담보되어야만 한다. 건설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BIM으로의 전환이 설계업계 전반에 보편화된 후에는 탄소성능을 고려한 최적화 설계 프로세스도 보다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수목 탄소계산기는 그 과도기적 단계로서, 탄소저감이라는 시대적 디자인을 실험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조경설계 분야에서 탄소성능 정량화를 위한 도구들이 가져야 할 지향점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Policies for carbon neutrality have been announced as the climate crisis caused by global warming accelerates. These policies for carbon management of the country presuppose quantification of carbon performance. The current method of calculating the carbon performance of urban trees is based on a field survey of existing green space, and a new methodology is required to evaluate the carbon performance of the newly created ones. Landscape design requires not only the environmental value of carbon but also the social, aesthetic, and economic values, so an optimized design to find the optimal solution through coordination between multiple goals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tree carbon calculator that can quantify the carbon performance of trees to support an optimized design that reflect carbon reduction in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In order to be actually used in the design fiel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carbon performance database for all landscaping trees. In order to be used as a design tool in the fiel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carbon performance database for the entire landscape tree. Currently, studies on the carbon performance of domestic trees are limited to some species of trees, focusing on other fields, making it difficult to cover the species and specifications of landscape trees. Despite the lack of numerical accuracy reflecting domestic climate conditions, i-Tree Eco, developed by the U.S. Forest Service, was used to obtain a wide range of data sources. The database was constructed to satisfy the input conditions by converting the general specifications of landscape trees and to ensure that there are no missing trees when calculating the carbon performance of the design plan. Landscape design has direct practicality in national land planning. In order for tree carbon calculators to be effectively used in landscape optimization design, field operability must be guaranteed. The tree carbon calculator in this study is a transitional stage of converting to a BIM capable of a more convenient optimized design and can be used to experiment with an era design called carbon reduction. It is also meaningful as the beginning of the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future tools for quantifying carbon performance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 일시적 환경조성을 통한 도시 유휴공간 활용 방안 연구 : 홍대복합역사 개발사업 부지를 대상으로

        최혜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focuses on the temporary dimensions of cities and its temporary landscape on urban vacant land. The temporary dimension of cities is one of the main trends in planning and urbanism over the last five years. The financial crisis of cities has caused little or no money for new development projects. Long-term city planning has led to wastelands in the urban fabric and plenty of vacant land and buildings. Hongdae multi-complex station site is an urban vacant land produced by the problems of long-term city planning. Hongdae multi-complex station site and the area surrounds it are full with cultural and social resources, and have convenient transportation system for easy access. In addition, users and consumers of Hongdae area have strong place attachment. On the other hand, the artists and musicians of Hongdae area are leaving Hongdae area due to the cultural ecosystem. And there is only a few cultural spaces and programs for the public who have been living in the area for many years. Based on the potentials, possibilities and missing sources of Hongdae multi-complex station site and the area surrounds it, this study suggests 4 types of temporary landscape. 1st. Festival area that shows all the volatile cultures of Hongdae, 2nd Place that leads and introduces new cultural trend, 3rd Place of communication and sharing for the public, 4th Green and shadow space. To create temporary landscape for urban vacant land, an architecture has to play a role as a program director who makes the frameworks of process, relationships and the networks of people who are involving the project. Since temporary landscape is opened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 cost of materials is better to be cheap and materials have to be easy to built and removed. Materials can be recycled or donated. Time, Space availability, Funds, Public participation, Future plan for urban vacant space are the important factors that the program director has to be considered to make a successful temporary landscape. Temporary landscape can be an interim practical use and as well as a part of permanent planning. In an era of increasing pressure on scarce resources, we cannot wait for long-term solutions to vacancy or dereliction. Instead, we need to view temporary uses as increasingly legitimate and important in their own right. Temporary landscape can be a powerful tool through which we can drip-feed initiatives for incremental change –as and when we have the resources – Temporary landscape is not a profound solution for all kinds of urban vacant land. But still temporary landscape is a wise and flexible solution in uncertainty world. 본 연구는 현대 도시문화 변화에 따라 도시 공간을 일시적으로 활용하려는 동시대 현상을 읽고 도시 개발에 의해 발생된 유휴공간에 일시적 환경조성을 통한 새로운 공간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고찰, 사례연구, 분석 및 해석, 계획구상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지인 홍대복합역사 개발사업 부지를 중심으로 일시적 환경조성 계획을 구상한다. 홍대복합역사 개발사업 부지는 현재(2012년 5월) 서울시와 부지 소유주 및 사업 실행자 간의 협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장시간 유휴공간으로 방치되고 있다. 불확실성, 속도, 다양해지는 도시민의 요구, 공간의 차별화와 같은 현대 도시의 현상들은 도시에서 유연성과 일시성의 필요를 가져왔으며 이는 도시 공간을 일시적으로 활용하는 최근 시도들의 근원이 되었다. 현대 도시의 변화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도시 공간을 유연하게 활용하는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이와 관련한 공간 사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도시 내 발생하는 유휴공간은 일시적 도시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잠재력의 공간이다. 이러한 일련의 일시적 도시 공간 활용에 대한 연구와 시도를 일시적 어바니즘이라 하며, 이는 건축분야, 미술분야, 조경분야 등에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대 도시민의 소비양상, 일상생활, 대중문화 등 도시 삶의 다양한 현상에서 나타난다. 일시적 어바니즘의 결과물은 공원, 정원, 광장 등의 형태로 나타나 조경분야와 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본 연구에서 이러한 조경적 시도를 일시적 조경이라고 칭한다. 일시적 조경은 도시의 일상을 풍부하게 만들고 더욱 적극적으로 일상에 개입하려는 시도로 지속적으로 현대 도시와 관계 맺기를 하려는 조경분야의 움직임이다. 또한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하나의 임시적 방법으로 장기적 계획 사이에 침투하여 중간단계에서의 단기간 사용 및 활용을 모색한다. 일시적 환경조성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변화에 대한 도시민의 발언의 기회를 제공하며 도시민의 적극적 참여로 이루어진다. 일시적 환경조성을 계획하는 기획자는 프로그램 디렉터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프로그램 디렉터는 유휴공간과 주변 지역에 대한 사전조사를 통해 유휴공간과 지역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과 과제를 파악해야하며 이를 토대로 일시적 환경조성에 참여하는 주체들 간의 관계의 틀을 형성하고 적절한 진행 과정의 틀을 제시해야 한다. 일시적 환경조성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만 생성되고 해체되기 때문에 최소한의 비용으로 빠르게 생성·해체가 가능해야한다. 이를 위해 주변 지역 및 도시의 물리적, 문화적, 사회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하며 공간 조성에 필요한 재료는 재활용·재사용 및 기부를 통해 마련하는 것이 용이하다. 일시적 환경조성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유휴공간의 확보 방안, 유휴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기간, 조성과 운영 자금마련 방안, 유휴공간에 대한 미래계획, 해체 후 계획, 자원 활용과 사용자 및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홍대복합역사 개발사업 부지와 그 주변지역인 홍대문화·상업지구는 풍부한 문화 자원과 인적자원, 접근하기 쉬운 교통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며 사용자 및 소비자의 장소애착이 강해 일시적 환경조성에 적극적 참여가 예상된다. 반면, 유휴공간과 그 주변지역은 문화생태계 현상으로 지역만의 고유한 문화를 잃어가고 있다. 다양하고 풍부한 문화자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들을 위한 문화 경험 기회와 이를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 더불어 이 지역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녹색의 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네 가지의 일시적 환경조성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첫째, 홍대의 문화를 한 곳에 모아 즐길 수 있는 축제의 공간. 둘째, 새로운 놀이 문화를 선도하는 공간. 셋째, 만남, 소통, 나눔의 주민을 위한 공간, 앉아서 쉴 수 있는 녹음의 공간. 일시적 환경조성을 통한 유휴공간 활용은 도시의 모든 유휴공간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 하거나, 모든 경우에 권장되는 도시 해결 도구는 아니다. 하지만 도시 공간 발전에 이점을 가져 올 수 있으며 도시 유휴공간을 유연하게 활용하는 데에 일시적 환경조성은 필수적이다. 일시적 환경조성은 유휴공간에 대한 영구적, 일시적 환경 계획이 조화롭게 이루어 졌을 때 도시는 더욱 새롭고 흥미로우며 재미있는 공간을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일시적 환경조성을 통한 유휴공간 활용은 미래에 영구적으로 유휴공간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더 다양한 선택의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며 주변지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생태계보전협력금 제도개선에 따른 반환사업의 활성화방안

        한은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2013년까지의 생태계보전 협력금 제도의 변화과정과 2012년까지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추진현황 조사 및 분석, 전문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생태계보전협력금의 제도의 변화의 과정 및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추진 현황과 분석을 통해 자연환경복원업의 부재, 생태계보전협력금 제도 변화에 따른 탄력적 대응 미비, 자연환경보전사업대행자의 부족등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설문항목을 구성하였고 전문가의 설문을 실시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연환경복원업의 신설이다. 자연환경보전사업 대행자는 건설업의 등록기준에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등록기준을 충족하고 조경공사업 및 토목공사업과 달리 자연환경분야의 기술자 중심의 기술능력을 보유하며 자연환경분여의 기술 및 전문지식뿐만 아니라 그 외 분야의 기술 및 전문지식이 필요한 전문분야이므로 자연환경보전사업 대행자가 대행자가 아닌 자연환경분야의 전문업으로 등록 될 수 있도록 자연환경복원업을 신설해야 한다. 둘째, 생태계보전 협력금 제도의 지속성이다. 생태계보전협력금도 단위면적당 금액도 대체산림자원조성비와 대체초지조성비등 유사제도와 같이 물가상승률과 생태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환경부장관에 의하여 일정기간에 한번씩 단위면적당 금액을 결정 ․ 고시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계수 적용에 있어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지역계수를 적용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일수록 높은 지역요율을 적용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자연환경보전사업자의 증대이다. 자연환경분야의 기술자들의 배출능력이 조경분야의 기술능력 배출 인원과 비교해 볼 때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모두 조경분야에 비해 배출인원이 현저히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연환경기술사 및 자연환경복원분야의 기술자들을 타 분야와 비슷한 비율로 배출시켜 기술능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넷째, 생태계보전 협력금 반환사업의 추진방식의 변화이다. 자연환경보전사업 대행자는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명이상과 자연생태분야, 조경분야, 토목 분야 또는 산림공학분야의 기술자를 보유하는 전문분야이므로 자연환경보전사업 대행자를 자연환경복원업으로 전문업역화하여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추진시 납부자 또는 자연환경보전사업대행자가 아닌 자연환경보전사업 대행자를 중심 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추진이 가능하도록 제도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자연환경보전 및 복원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자연환경보전사업 대행자 도입 이후 다양한 유형의 반환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제도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라 반환사업의 금액은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반환사업의 추진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변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반환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을 할 수 있는 재원이 확보 및 새로운 기술 개발 시 인센티브 제공 등의 제도적 근거가 필요하다. 여섯때,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반환금 산정 및 지급방식 변화이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반환금의 산정 및 지급은 생태계보전 협력금 반환사업 준공 후 실제 투입된 비용을 일괄 지급하게 되어있어 반환사업 추진 중 인건비 및 자재의 조달의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반환금 산정 및 지급방식에 있어서도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선급금, 기성금, 준공금으로 나누어 타 분야의 지급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지급되도록 하거나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특성에 맞추어 단계별로 반환사업비를 산정하고 지급하는 방식으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금의 산정 및 지급방식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곱째, 자연생태복원기능사 도입, 인식의 개선, 투명한 업무처리등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plans to facilitate the return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changes in the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up to 2013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it as of 2012 as well as a survey conducted among exper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return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such problems as lack of a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no flexible response to changes in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and insufficiency of agents for the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project that would affect the facilitation of the return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were addressed, questionnaire items were chosen,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present plans to facilitate it. First, a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is to be newly established. Agents of the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project are to satisfy at least the registration standards in construction industry, secure technical power in the area of natural environment unlike in landscape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and have expertise and skills in various sectors as well as the area of natural environment. Hence, a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should be arranged in a way that the agents can be registered as an entity specialized in the area of natural environment. Second, the continuity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is to be secured. The price per unit area is to be decided and notified once in a certain perio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flation rate and ecological values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as in similar systems such as charge for forest resource creation and charge for greenland creation. As to the application of as zone coefficient, it is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certain area and the price should be adjusted to a higher level as the ecological values are of greater importance. Third, agents of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 to increase. It turned out that the training capacities of technicians such as technical expert, engineer, and industrial engineer in the area of natural environment were far smaller than those of the landscape sector. Professional engineers and technicians in the area of natural environment are to be trained as many as in other areas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technical work force. Fourth, the way of return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is to be adjusted. Since agents of a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project should include one professional engineer of natural environment management and other technicians in the areas of natural ecology, landscape, civil engineering, or forest engineering, agents in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projects are to be specialized institutionally in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so that in a return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not the payers but these agents take the lead of the projects of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Fifth, technologies for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are to be developed. Various types of return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introduction of agents of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projects. It is expected that as the system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continue to change, the price of return projects would increase and thus various return projects would follow accordingly. To promote various types of return projects successfu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human resources for technic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such as incentive for development of a new technology. Sixth, the ways of calculation and payment of returns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are to be changed. Currently, the calculation and payment of returns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are exclusively based on the actual expenses after the collection of the fund for ecological preservation cooperation, which results in procurement of labor fees and materials during the return project. Hence, the calculation and payment of returns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are to be arranged in a similar manner with other areas by dividing the payments into advance payment, price of ready-made, and completion money in accord with laws on contracts in which the government is a party, or it may be appropriate that the return expenses are calculated for each step of the return proje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eventh, other plans to promote the return of cooperation contrib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such as introduction of natural ecology restoration technicians, improvement of awareness, and transparent work process are suggested as well.

      • 실내조경 작품에 나타난 공간 예술의 양식적 특성 분석 : 뵐플린의 형식사적 해석방법을 중심으로

        이옥근 경희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27

        Throughout its long history, human culture has continued to expand and fuse with new cultures through contacts and collisions. Therefore, culture is not at a independent state, and is a product of the times that reflect spirit and social influence that dominates that time period. Today, industrial revolution that has brought the most changes to life of humanity also brought materialistic prosperity. However, abundance of materials also led to expansion of urban area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cities encroached on the nature. Self-reflection of the humanity on such destructions of the nature gave rise to the importance of ecology along with the environmental activism in late 1060s. The interest in ecology and environmen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survival of humanity to this day, which extended to efforts to restore and preserve the natural ecology and securing a steady proportion of forestation and parks. As a part of such efforts, interior landscaping, which applies landscape designs in the interior space of structures and buildings by using plants and other materials, have been introduced. First introduced in 1967, interior landscaping provides green shades in space of architectures to maintain and purify the indoor environment and more pleasant environment to humans, in addition to creating diverse designs that reflects the style trends in the art school. Style characteristics of the art school is the source of inspiration not only in interior landscaping but also other related fields and provides diverse motifs.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yle characteristics in the space arts through the style history analysis of Heinrich Wolffli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rough application of concept of circularity in style developments according to Wolfflin's analytical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foundation of Renaissance classicism and modernism lies in the lucidity of "proportions," "balance," "simplicity," and "forms of geometric lines" based on world of reason and rationality, whereas baroque and post-modernism emphasizes "free curves," motion," "color," and "decoration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inner world of emotions. Through analysis of interior landscaping works based on standards of such style characteristics of space art, the dominating characteristic of interior landscaping was the trend of "exploration of rational forms." Specially in the interior landscaping from United States and Asian countries, the trend of "exploration of rational forms" is manifested strongly, mostly demonstrating designs that utilize "forms of geometric lines," "proportion" and "balance," and "simplicity." This appears to be the general way of understanding the overall balance with the space. The trend of "exploration of inner world of emotions," as in the style of the art school, accompanies "color" and "decorations" (introduction of ornaments and objet d'art), "free curve" and "motion." The components of "exploration of rational forms" such as "forms of geometric lines," "proportion" and "balance" are partially introduced in combination in "exploration of inner world of emotion" works. Such cross combination of some components appears to be used to break away from the possibility of over simplifying or complicating the trends of "exploration of rational forms" and "exploration of inner world of emotions." Also, another characteristic manifested in the examples of interior landscaping is the decorative effect from the introduction of an objet. There is a need for refinement for artistic understanding of space through the graft of diverse materials in interior landscape designs with applications of obje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ncretization of characteristics in art styles applied in conventional level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ior landscape works in art styles. Also, the study also contributed to deeper understanding of interior landscaping progressing various direc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rt styles. 1800년대 유럽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인간의 삶에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다. 그러나 물질적 풍요는 산업화에 의한 도시의 팽창으로 이어졌고, 도도시의 팽창은 자연을 잠식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자연 파괴에 대한 인류의 반성은 1960년대 후반 환경 운동과 함께 생태주의의 중요성을 불러일으켰다. 생태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은 현재까지 인류 생존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고, 도시에 일정한 비율의 녹지와 공원을 확보하고 자연생태의 복원과 보존에 대한 계속된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 일환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식물 및 기타 소재를 도입하여 조경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는 실내조경이 등장하게 되었다. 1967년에 처음 등장한 실내조경은 건축의 공간 속에 녹음을 제공하여 실내 환경을 정화, 유지하고, 인간에게 좀 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예술사조의 양식적 경향을 반영한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하고 있다. 예술사조의 양식적 특성은 실내조경 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 영감의 원천이 되며, 다양한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공간예술에서의 르네상스 고전주의, 바로크 등의 양식적 특성을 하인리히 뵐플린(Heinrich Wolfflin)의 형식사적 양식론의 해석방법 통해 그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하여도 뵐플린의 분석 모델이 갖는 양식 발전의 순환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르네상스 고전주의 및 모더니즘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세계에 근거한 ‘비례’, ‘균형’, ‘단순성’, ‘기하학적 선에 의한 형태’로서 명료함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바로크 및 포스트모더니즘은 감성적 내면세계의 탐구에 근거한 ‘자유곡선’, ‘운동감’, ‘색채’, ‘장식성’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공간예술의 양식적 특징을 기준으로 실내조경 작품을 분석한 결과 실내조경의 특징은 ‘이성적 조형탐구’의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미국과 아시아계열의 실내조경에서는 ‘이성적 조형탐구’의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서 대부분 ‘기하학적 선에 의한 형태’ 및 ‘비례’와 ‘균형’, ‘단순성’을 활용한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으며, 공간과의 전체적 조화를 이루어내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해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감성적 내면세계의 탐구’ 경향은 예술사조의 양식과 마찬가지로 ‘색채’와 ‘장식성’(초화류와 오브제를 도입) 그리고, ‘자유곡선’에 의한 ‘운동감’ 등을 동반하고 있다. ‘이성적 조형탐구’ 경향인 ‘기하학적 선에 의한 형태’, ‘비례’, ‘균형’ 등의 요소들을 ‘감성적 내면세계의 탐구’ 경향의 작품들에서 부분적으로 도입하여 혼용적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이성적 조형탐구’ 경향과 ‘감성적 내면세계의 탐구’ 경향이 지나치게 단조롭거나 복잡 하게 구성될 가능에서 벗어나고자 일부의 요소들을 교차적으로 혼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실내조경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의 하나는 오브제의 도입으로 인한 장식적 효과이다. 오브제의 활용을 통한 실내조경디자인은 다양한 소재의 접목 통한 공간의 이해에 대한 예술적 감각을 연마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예술양식의 특성을 통한 실내조경 작품을 분석하여 형식적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는 예술양식의 특성을 구체화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각 예술양식들의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다양하게 진행되어가는 실내조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