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재생에서의 주민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2015년도 제2기 청주시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민혁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1980년대부터 이어진 우리나라의 신개발 위주의 도시정책으로 인하여 구도심의 노후화 및 도시기능 쇠퇴 등의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재생이 주목받기 시작하였으며, 지방자치제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전국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련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시개발 사업은 기존 정부주도의 ‘하향식 개발’에서 지역주민 주도의 ‘상향식 개발’로 진행되고 있어 해당 지역주민의 사업의 이해도와 참여도가 사업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국의 각 지자체에서는 주민역량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주민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단발성 강의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실질적인 교육효과 및 지역문제 해결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을 실기하기 전에 선행되는 주민교육 프로그램인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의 주요 현황 및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하여 관련 이론과 정책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도시대학 운영 가이드라인과 실제로 운영된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여 분석의 틀을 설정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주요 분석사례인 ‘2015년도 제2기 청주시 도시재생대학’을 분석의 틀을 적용하여 심층분석을 실시한 후,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주민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의 특징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청주시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주요 팀 구성 및 참여주민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맞춤형 교육기법을 적용하여 결과물을 도출하였고, 둘째, 지역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독특하고 개성있는 결과물을 제시하였으며, 셋째, 마을리더 양성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여주체의 프로그램 참여 빈도에 따라 세분화·전문화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확립하고, 물리적 환경개선 분야에 치우친 결과물을 향후에는 비물리적 재생 분야로 확장하여 사업계획의 다양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이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의 개선사항으로 도출되었다. As a means to solve a variety of urban problems such as reduction of the old downtown of aging and urban functions by urban policy of Korea of ​​the new development center, which continued from the 1980s, urban renewal has begun to be noticed, local government system is authentic manner is initiated, each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business. In addition, since the mid-1990s, urban development project that has been promoting from the government, of the existing government-led "top-down development" in the local residents led has advanced to the "bottom-up development", in the area of ​​residents of busines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degree is seen as a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the success of the business. Thus, in each municipality of the country, but we have implemented various forms residents education program for the ability of residents, and most of the program is advanced to the center of the single lecture, substantial educational effect and regions It is the actual situation is that not running problem-solving function of correctly In this study, before carrying ou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t is prior to that educational program of residents to understand the main conditions and processes of "urban renewal University" program, after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curriculum, there is a purpose to seek the operational scheme of a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the desired training by presenting the improvement proposal. For this reason, it is to analyze the first relevant theory and policy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 analyzing the case of the actual operating been urban regeneration university programs and guidelines of urban university management as follows, and setting a framework for analysis did. Later, residents competence strengthening of which is the main analysis case, "the second phase Cheongju playback University in fiscal 2015" in the present study after performing a detailed analysis by apply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 presented the improvements and features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main features of Cheongju urban renewal University program derived throughout the study, firstly, to the base key team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ng resident, to derive the results by applying a variety of customized training approach, the second to, and take full advantage of local resources by presenting a unique outcome unique, thir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prepared foundation village leader training. Also, establish a systematic curriculum that is subdivided, specializing in response to participation frequency to the Partner program, physical results are biased to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areas, non-physical play field of the future it extends to, and is derived as improvement of urban renewal University program such that it is necessary to induce a variety of business plans. The main control: urban regeneration, residents education program, urban regeneration University, capacity building of local residents, community participation.

      • 韓國 高等敎育機關의 이미지에 關한 實證的 硏究

        韓燦 청주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s of study are 1) to identify factors forming image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and 2)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mages according to sex, age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hen every organization including university is trying eagerly to achieve its objectives. However, Incase of Korea, The university as a public institution neglects in activities to elevate its images comparing to order institutions and also do not participate eagery in research activity about the elevation of images. Accordingly, This study is trying to solve the basic research problem as followings to provide the baseline of theory for elevation of images. 1. What factors are there in imag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2. What differences are shown in images by sex, age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imag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result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factors of images for university.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re are four factors such as ethical factor, rational factor, dynamic factor and evaluative factors in images. The variance by factors are as follows; factor I 16.38% factor II 14.39% Factor III 14.08% factor IV 9.85% The above four factors explain 54.7% of total variance. 2) differences in image by sex There are no sin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n in images by sex of other variables except Suwon college. 3) differences in images by ag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n in images by age of other variables. 4) differences in images by educational experienc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n in images by educational experience of other variables. In summary, The highly educated person has more negative images of university than the lower educated person. The younger generation also has more negative images of university than the older one. the college student thinks the university is not the best place in seeking for ideal The man also has more negative images than the woman. In conclusion, The university should try to elevate the images of university for every walks of life.

      • SCIS 프로그램을 履修한 學生들의 科學 選好度 變化 및 進路 調査

        金允求 청주교육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1967년부터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들(김상옥, 김영대, 문찬호, 김윤걸, 최병문, 조선형)과 교육과 교수(박태우), 청주교대부설초등학교 과학 담당교사(이부영 외) 및 외국인(평화봉사단 Neil Woodruff)으로 구성된 과학교육연구회 회원이 중심이 되어 미국 California 대학교 Berkeley Team(팀장 Karplus, 1965)이 개발한 SCIS(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Program의 교재를 번역하고, 실험 기자재를 1개반용을 구비 또는 제작한 후 1968년도 청주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1개반은 실험반, 1개반은 통제반으로 편성하여 SCIS Program 초등 과학 내용을 학생들이 상급학년으로 진급하여 올라감에 따라 1972학년도 5학년까지 5개년간 적용 연구를 했다. SCIS Program으로 학습한 당시의 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 연구 결과가 나타나 있지만 그들이 졸업한 후부터 사회에 진출한 상황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는 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5개년간 SCIS Program으로 학습 받은 학생들의 당시의 학업 성취도와 졸업후의 진로를 추적·연구하여 30여 년이 지난 지금 그들이 어느 분야에서 국가에 공헌하고 있는지와 과학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CIS Program이 당시 문교부 고시 과학교육과정하의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SCIS Program을 학습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선호도는 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감소했다. 셋째, SCIS Program이 졸업생들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진로선택에는 많은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넷째, SCIS Program을 학습한 학생들의 경우 많은 과학적 경험을 통해 과학적 사고 능력과 과학개념 형성, 그리고 중학교 진학후 과학과 학습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다섯째, SCIS Program을 수행한 학생들의 사회생활이나 현 직업을 선택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치진 못했다. 이것은 SCIS Program이 학문중심교육과정(제3차 교육과정)에 영향을 준 실생활에서의 문제해결과는 유리된 교육과정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로 얻은 결론을 통해 현대 초등과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제 7차 과학교육과정 시간편성의 재검토와 그 학습내용의 축소가 필요하다. 둘째, 일선 학교에서 과학적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및 대학을 연계하는 과학교육과정 program이 필요하다. 넷째, 졸업생들에 대한 꾸준하고 지속적인 추적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In 1967, the science of education study group was organized by the science faculty members whom were prof. Kim, Sang-ok, prof. Kim, Young-dae, prof. Choi, Byung-mun, full time lecturer Cho, Seon-hyeong(joined in 1970), full time lecturer Moon, Chan-ho(joined in 1972), Prof. Kim, Yun-gerl(joined in 1975) and prof. Park, Tae-woo at Dept. of Education at the Chongju National Education College. The others were teacher Lee, Bu-young at the Attached Elementary school of Chongju National Education College and Neil Woodruff, a United States Peace Corp member in 1970. They imported the 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SCIS, Berkeley team head Karplus, University of California, 1965) program materials which were textbooks, teachers guides, teaching materials and others in 1967. And then We translated the SCIS textbooks and the teacher's guides and the teaching materials manuals on korean language, and prepared or bought teaching materials for one class. The study group put the SCIS program materials into experiment classroom in attached primary school of Chongju National Education College, step by step, from first to fifth grade which class were nether changed and nor mixed for 5years from 1968 to 1972. In 2002 and now after 30 years have passed, the author studies the trace research according to students who learned in the SCIS science curriculum in primary school, but too many years passed to analyzed things at that tim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S Program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at the time. But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ability of scientific thought and the formation of scientific concept which was support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Second, for the students who were experienced in the Program becam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preference of science decreased. Third, the SCIS Program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students' decision of their high school or university course after elementary graduation. Fourth, the SCIS Program had an effect when the students who had formed the ability of scientific thought and the scientific concept, and experiencing in the Program learned middle school science. Fifth, the SCIS Program didn't have an influence on the decision of job and social life of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SCIS Program. It was showed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which had been effected by SCIS Program was a disparate curriculum on the problem solving of real life.

      • 클러스터 지수를 통한 청주시 산업구조 변화 분석

        김남훈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충청북도 청주시의 산업구조 변화를 클러스터 지수(CQ)를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청주시는 오랫동안 제조업, 서비스업, IT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성장을 이루어 왔으며, 특히 정부 서비스, 교육, 그리고 중소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제적 기반을 다져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청주시는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하고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로 성장하였으며, 지역 사회 내에서 핵심적인 경제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최근 도시의 경제 구조는 급변하고 있으며, 산업별 집중도와 특성이 변화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분류표와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활용하여 청주시의 제조업, 서비스업, IT업의 공간적 분포와 구조 변화를 시각화하고, 각 산업의 클러스터 지수를 계산하여 지역적 집중도의 변동을 평가하였다. 특히, 청주시 내 행정 구역별 산업의 IQ(사업체 지수), EQ(종사자 지수), CQ(클러스터 지수) 변화를 비교하여 각 산업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조업은 전통적 강세 산업으로서 청주의 경제적 중추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서비스업과 IT업의 확장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별 특성 변화는 지역 경제의 다각화와 고용 기회 창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청주시의 경제적 미래 전략에 큰 함의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산업별 클러스터 특성과 집중도를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청주시가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s in Cheongju City, North Chungcheong Province, using the Cluster Quotient (CQ). Over the years, Cheongju has achieved growth in various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ing, services, and IT, with its economic foundation particularly strengthened by government services, education, and small to medium-sized manufacturing. As a result, Cheongju has grown to become the most populous city outside the metropolitan areas, playing a key economic role within the region. Recently, however, the city’s economic structure has undergone rapid changes, with shifts in the concent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ts industries. This study visualize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structural changes of manufacturing, services, and IT industries in Cheongju through the use of an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alculating the cluster quotient for each Analyses on changes in industrial sturectures of Cheongju City based on the cluster index. sector to evaluate changes in regional concentration. In particular, this analysis compares the IQ (Industrial Quotient), EQ (Employment Quotient), and CQ (Cluster Quotient) across administrative districts in Cheongju to provide a detailed assessment of how each sector has evolved. Manufacturing has traditionally anchored Cheongju's economy, yet the expansion of the service and IT sectors has recently gained momentum. These shifts in industrial characteristics play a crucial role in regional economic diversification and job creation, offering significant insights for Cheongju’s future economic strategies. By provid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 levels of industrial clust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undational data essential for Cheongju to formulate effective policies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 都市 政策執行에 關한 硏究 : 淸州市 路上駐車場 設置政策의 執行過程을 中心으로

        정연길 淸州大學校 1985 국내석사

        RANK : 248655

        Policy implementations has drawn much concern from the students as well as the administrators who are in the public services. However, very few serious studies have been done for this area. Until recently the major concern of policy studies has been on policy formulation. But numerous case studies in public policies produced in the recent times suggest that policy implementation is no less important than policy formulation. In other words, a success or failure of a policy largely depends upon its implementations. Keeping this importance of policy implementation in mind, this study takes a case of policy implementation of the Chongju City. Based on policy implementation model set by Vand Meter and Van Horn, this study analyzes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City's street parking policy for the period from September, 1983 to Oct., 1984. for this study, various documents and statistics produced by the City government are particularly utilized. Citizen's reaction to the policy is also surveyed through questionaire to support this thesis. The summary of conslusions drawn from this case study are as follows: 1. In this case, policy standard and objectives were clearly expressed and thus there seemed to be no confusion in the implementation. 2. No shortage in policy resources were found. This type of regulatory policy needs human resources, there was a plenty of manpower available to this City project. 3. Since the City's Section of City Planning did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here was not much problems in communication and enforcement processes. 4. Since the City officials took part themselves in the project, they kept a serious concern on the policy outcome. This is partially responsible for the project's success. 5. It was also found that social environment was the most serious variable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and this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factor is expected to grow in the futur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citizens were well informed of the City project and its implementing agency. They also felt the necessity of the street parking to cope with the growing volume of traffics. However, they are complaining about the way the project is being actually operated. Thus some conflicts between the City authorities and its citizens, particulary car owners and taxi drivers, are expected to develop in the future unless a remedy for the citizens' complaints is seriously taken by the City.

      •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재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 재 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근 호)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교육으로 인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시기 비 대면 교육이 교과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 또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이 일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 성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그리고 초중고 학생 들에게 1인 1 기기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 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두 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인성교육 과 진로교육에서 ‘자존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며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또한 국내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며 진로 연계 교육과 앱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다양한 직업과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인성 기반 진로 교육 앱을 개발하고 교수 학습과정안을 만들어 수업에 활용한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앱을 활용한 수업 중 학습지, 설문조사, 참여 관찰 을 활용하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 한 자존감 측정 방법으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 택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존감 5문항과 부정적 자존감 5문항으로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평정을 따르고 있다. 측정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표본이 N≤30 이므로 정규분포의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앱 활용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가 치관을 바르게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자존감을 향상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 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생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연구라는 점이 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앱의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인성교육을 연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주요어: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성교육 연계 진로교육, 자존감, 공동체 의식, 앱 활용 교육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도시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역사·문화 메타버스 콘텐츠 제안 : 청주시를 중심으로

        김관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city brands, which became important as a means of competition due to a shift from competition among nations to competition among cities making up a nation in the global age, and promote the vitalization of Cheongju's city brand. As for methodology, the study reviewed theories about the types of metaverse technology, which attracts attention as a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experience effectively beyond the limited restrictions of the reality, as well as city brands,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mental models. Metaverse technologies and city brands were categorized by the type before a case study and analysis. The cases of metaverse technolog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cases of city brands were pu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y the type and comprehensive analysis before each technology was examined for its characteristics by the type. In the case analysis of the investigated city brands, the elements of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identified in the theoretical review were assess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along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Brand Personality Scale in Aaker(1997) fit for the sentiment of Korean people including "affection," "passion," "sophistication," and "sincerity." Also assess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was a scale that added the same keywords from appraisal search results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from the search results of changing emotional words in the SNS Big Data analysis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newness," which extracted the elements of a successful brand, was set as an item in a city brand personality scale. In an effort to organize the content of Cheongju's successful city brand vitalization,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averse technology identified above by the type with the set brand personality scale and applied metaverse technologies fit for the resulting elements including natural, cultural, and service resources. In addition, the study built a mental model and proposed three methods to create and vitalize a successful city brand to provide users with quality service. First, Cheongju needs to come up with creative ideas that make use of its diverse histories and cultures to reinforce its cultural resource-based city brand as "cultural city of Cheongju as a city of archival culture" by obtaining original and creative products or ideas based on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research through private-public governance. Secondly, Cheongju needs to provide people with new content and have them share its experiences to promote its reinforced city brand and show its appeal index and advanced competitive edge with its reinforced city brand through diverse and active promotional methods. Finally, Cheongju needs to provide people with new and creative experiences based on the content of its city brand that will develop through consistent management and improvement beyond the simple building of its city brand. As the COVID-19 pandemic continues 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experiences based on experiential content efficiently. Trying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 study proposed a plan of using metaverse technology in creative experiential content created by the three methods to build and vitalize a successful city brand. The study also proposed content composition and design to provide information and experiences effectively within a metaverse.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of satisfaction and a survey to assess agreement points, the study demonstrated whether there was an agreement between the vitalization of Cheongju's city brand and the mental model of a developer and user through the content design. Cheongju's city brand recorded a high satisfaction level at 3.975 out of 5 in recognition improvement through the content of history and culture metaverse. As for agreemnet between different mental models, there was high agreement at 3.700 out of 5 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ge of content, which correspond to implementation, member registration and log-in, and content choice, respectively. There was closing at mean 2.895 points at the fourth and fifth stage of history and culture metaverse content and shar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closing between a user's mental model and a developer's mental model. If Cheongju City reflects and implements a couple of improvement measures identified in the survey by creating a design of history and culture metaverse content based on these findings, it will be able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vitalization of its city brand.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지구촌 시대에 국가 간 경쟁 구도에서 국가를 구성하는 도시 간 경쟁 구도로 변해 경쟁의 수단으로 중요해진 도시 브랜드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향후 청주시 도시 브랜드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현실의 제한된 한계를 넘어 효과적으로 정보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기술의 유형과 도시 브랜드,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 심성 모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메타버스 기술과 도시 브랜드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사례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된 메타버스 기술 사례들의 장·단점 분석을 진행하였고, 도시 브랜드 사례들은 유형별 비교 분석과 종합 분석을 통해 각 기술의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조사된 도시 브랜드의 사례 분석 시, 이론적 고찰에서 도출된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 요소와 브랜드 개성을 측정하는 Aaker(1997)의 브랜드 개성 척도(Brand Personality Scales: BPS) 유형을 한국인 정서에 맞춰 ‘정감’, ‘열정’, ‘세련됨’, ‘성실’로 대체하였다. 또한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한 감정 검색 결과와 SNS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의 감성어 변화 검색 결과에서 동일하게 도출된 키워드를 추가한 척도를 정성평가 및 분석하여 성공적인 브랜드 구축 요소를 추출한 ‘새로움’을 도시 브랜드 개성 척도로 설정하였다. 청주시의 성공적인 도시 브랜드 활성화 콘텐츠 구성을 위해 앞서 도출된 각 메타버스 기술의 유형별 특징을 설정된 브랜드 개성 척도로 분석하였고, 결과로 도출된 요소인 자연 자원형, 문화 자원형, 서비스 자원형의 요소들에 적합한 메타버스 기술을 적용하였다. 또한 사용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심성 모형을 구축하고 성공적인 도시 브랜드 구축 및 활성화 방법 3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민·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소통과 협력, 연구로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결과물 혹은 아이디어를 도출하여‘기록문화의 도시, 청주 문화도시’의 문화 자원형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기 위한 청주시의 다양한 역사·문화를 활용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해야 한다. 둘째, 강화된 도시 브랜드의 홍보를 위해 사람들에게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하여 해당 경험을 공유하게 하고, 다양하고 적극적인 홍보 방법을 통해 강화된 도시 브랜드의 매력 지수와 앞선 경쟁력을 보여주어야 한다. 셋째, 도시 브랜드 구축에 그치지 않고, 꾸준한 관리와 개선을 통해 발전되는 도시 브랜드의 콘텐츠로 사람들에게 새롭고 창의적인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최근 팬데믹 현상으로 인해 체험 콘텐츠를 통한 경험을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 세 가지로 분류한 성공적인 도시 브랜드 구축 및 활성화 방법으로 도출된 창의적인 체험 콘텐츠에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메타버스 내에 효과적으로 정보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의 구성 및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후 해당 콘텐츠 디자인을 통해 청주시 도시 브랜드의 활성화 여부 평가와 개발자 및 사용자 심성 모형 일치 여부를 Likert 5점 척도 만족도와 일치 여부 점수 평가를 통한 설문 방법으로 증명하였다. 역사·문화 메타버스 콘텐츠를 통해 청주시 도시 브랜드의 인지 개선 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3.975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심성 모형 일치도는 콘텐츠의 1, 2, 3단계인 실행, 회원가입 혹은 로그인, 콘텐츠 선택은 5점 만점에서 3.700점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4, 5단계인 역사·문화 메타버스 콘텐츠, 공유 단계는 평균 점수 2.895점으로 대체로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용자 심성 모형이 개발자 심성 모형과 근접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역사·문화 메타버스 콘텐츠 디자인 구축을 통해 앞서 설문 조사에서 도출된 몇 가지의 개선점을 반영하고, 시행한다면 청주시 도시 브랜드의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노인학교의 교육실태에 관한 연구 : 청주시를 중심으로

        신의수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roblems tackled in this dissertation are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four schools for the aged in Chongju city. The point at issue is that the problem of the aged is regarded as a social problem. On the assumption that the various problems of the aged have social issues, I study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in schools for the aged in Chongju city. And I try to find desirable alternatives about them. At present, many older people in Chongju are experiencing economic difficulties, becoming alienated and being faced with psychological feelings of inferiority. Nowadays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cause of the problems of the elderly is the degeneration of the ethics of respect for the aged and filial conduct toward parents. Therefore, the stratagy is that the problems of the aged can be solved by strengthening and practicing such ethics within a personal or familial dimension. but in an industrialized society, it is difficult for older people to rely on their offspring for their life's security. It is natural that the existing type of filial conduct, based on an agricultural society, should be changed to accommodate changes in present social structure. It should be a familial job to provide parents with emotional comfort, and the government should play a main role in solving the financial problems of the aged. From this perspective, I would like to recommend the drastic reformation of schools for the aged. In the concrete, first, the educational goal in school for the aged should be set including a life long education and leisure time management of older people. Second, for the desirable educational programs which meet the aged wishes, we need to analyze that programs. Third, in order to get the fruits of the education, we must select the contents of education harmonized with the levels of students in that school. Fourth, for educational methods direct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rather than a lecture, and appropriat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are needed. Fifth, at present, the management of school for the aged is run by an amateur. Therefore, a social welfare professional should run the school, and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Sixth, according to the preceding descriptions, we should establish a closer cooperation systems among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Department of Labor, etc. Finally, we need to study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s for the aged all over the country for their development.

      • 영화 연기 테크닉의 특성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민영 청주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rable direction of film acting education for aspiring actors, in a time where expectations for film actors are growing in Korea.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attempted to achieve the followings. ①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film and track the formation of film acting in Korea. ② Contemplate acting theories that concern renown domestic or foreign film acting. ③ Examine and compare the current status of film acting education in Korea and overseas. As a result, the study concluded that film acting education in Korea tends to emphasize only the acting area or take a technical approach to teaching film acting. In order to propose complementary measures, the researcher defines characteristics of film acting as 'Reality and Improvisation,' 'Understanding each Frame and Shot, ‘and 'Discontinuity,' and continues to contemplate each characteristic. Finally, the study goes on to devise and implement a film acting program that includes characteristics of film acting. The 'Film Acting Education Program' proposed by this researcher was made up of 44 students, most of whom were film or acting majors, and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multiple choice surveys and free response questionnaires.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gram was perceived as generally outstanding in qualit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contents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the researcher could qualify as one of the examples of 'Film Acting Education Progra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attention it brings to the current status of film acting education program under the purpose of nurturing talented actors and preparing for a better future for the Korean film industry through proper education. It is also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in contributing to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film through the emergence of stellar film actors. 본 연구는 한국에서 영화배우의 연기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 최근, 영화배우 지망생들에게 어떤 영화 연기 교육이 필요한지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①국내 영화사를 살펴보며 국내에서 영화 연기가 형성된 과정을 짚어본다. ②국내 및 국외에 널리 알려져 있는 영화 연기의 선행 연기이론들에 대해 고찰한다. ③국내와 국외의 영화 연기 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 및 비교한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영화 연기 교육에 연기 쪽 측면이나 기술적인 측면에만 접근하여 영화 연기 수업을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영화 연기에 대한 특성을 사실성과 즉흥성(Reality & Improvisation), 프레임과 쇼트의 이해(Understanding each Frame & Shot), 불연속성(Discontinuity)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고찰을 실시한다. 이후 영화 연기의 특성을 첨가한 영화 연기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제 적용한다. 이번 본 연구자가 제안한 ‘영화 연기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대상은 대부분이 영화 및 연극 연기 전공자인 44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객관식 설문 및 서술형 문답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프로그램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연구자가 개발 및 적용한 내용들은 ‘영화 연기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하나의 예로 제시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논문은 ‘영화 연기’에 대한 올바른 교육을 통해 유능한 영화배우를 양성하고 국내 영화계의 미래를 밝히기 위해 현재의 영화 연기 교육 프로그램에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또한 유망한 영화배우가 배출됨에 따라 궁극적으로 한국 영화가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이바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