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림치유의 통합의학적 의미 고찰 :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세계관과 인체이해를 중심으로-

        김미란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방의학으로서 산림치유가 현대 사회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산림치유의 통합의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세계관과 인체 이해를 중심으로 산림치유의 통합의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산림치유는 통합의학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점은 산림치유 관련 법규에도 명시되어 있다.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산림치유는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산림청 산림임업용어사전에도 산림치유를 “자연환경 중에서 숲이 가지는 다양한 물리적 환경요소(경관, 테르펜, 음이온 등)를 이용하여 인간의 심신을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자연요법의 한 부분”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 효과를 과학적, 의학적 성과를 기반으로 체계적 프로그램을 통해 검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산림을 심신치유에 활용한다.” 라고 하여 산림치유가 심신치유에 활용된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산림치유가 정신, 신경 면역계에 변화를 준다는 연구 결과는 숲에서의 치유가 정신적 안정을 유도하는 동시에 신체적으로 호르몬계나 면역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며,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최근에 서구에서 등장한 정신경면역학(Psychoneuroimmunology)의 결론과 일치한다. 산림치유의 기본적인 개념이나 실행 방법들을 살펴보면, 기존 자연치유 방법들이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응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양의 고전적인 천인합일 사상에 인간은 ‘자연과의 조화’를 이상적인 경지로 본 것이나 자연으로 돌아가 자연과 하나가 되는 소통과 교감을 중시하는 것이나, 아유르베다의 치유체계와 같이 몸과 마음, 영혼을 중시하고 질병 예방 및 생활습관 교정과 무병장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 등이 자연치유와 산림치유 간의 공통점이다. 현재 치유의 숲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은 여러 자연치유 요법들을 치유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산림치유 6대 요법들이 아유르베다의 통합의학적인 시각에서 상호유기적인 관련을 지닐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를 위하여 산림치유의 철학적 근간이 되는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세계관과 인체 이해가 적극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다. 아유르베다(Āyurveda)는 우주를 전체, 하나로 보면서 인체를 소우주와 같다고 하였다. 인간은 우주의 질서에 맞게 살아가는 것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라고 했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것은 통합의학적 시각에서 산림치유에 접근해 보자는 것이다. 통합의학적 산림치유는 전인치유적 환경요소와 아유르베다의학적 요소가 더해져 산림치유의 효과를 증대시켜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건강을 예방, 유지, 개선할 가능성을 아유르베다의 문헌을 통해 확인하였다. 산림치유의 폭과 깊이를 더하기 위해서는 산림치유 전문인력 양성과정에 통합의학의 여러 이론과 요법들이 포함될 필요가 있음도 제안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치유의 기전이 되는 융·복합적인 통합의학의 모든 영역 내에서 산림치유 철학을 갖고 일반인, 미병자, 준환자, 환자, 요양인, 생애주기별 대상에 맞게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치유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세계관과 인체 이해는 숲 명상과 숲 요가, 숲의 녹색을 통해 결핍된 에너지를 흡수하여 에너지의 균형을 잡아주는 차크라적인 요소와 숲속 하늘과 땅에 펼쳐져 있는 풀과 나뭇가지와 나뭇잎, 꽃이 만들어내는 기하학적인 도형인 얀트라(yantra)적 요소, 숲의 소리인 청각적 요소를 통한 만트라(mantra)적인 치유메커니즘이 숲에 있음을 자각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인체에 내재되어 있는 공, 풍, 화, 수, 지 5대 조요소와 다섯 가지 감각기관은 산림치유 인자들이 직접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산림치유를 통한 산과 나와의 소통 경험은 나의 본래 모습을 깨닫게 하는 영성치유의 가능성을 지니며 인간의 본성에 고유한 야성(野性)을 회복할 수 있게 한다. 즉, 야성이 살아있어야 인간의 영성이 살아날 수 있다. 소우주인 인간은 영혼과 공, 풍, 화, 수, 지 6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5겹의 몸은 음식으로 이루어진 육체에서부터 진아(Ātman)에 이르기까지 에너지 차원으로 우주와 연결된다. 인체를 음식(anna)으로 이루어진 몸, 생기(prāṇa)로 이루어진 몸, 의근(意根, manas)으로 이루어진 몸, 식(識, vijñāna)으로 이루어진 몸, 지복(ānanda)으로 이루어진 몸의 연속체로 보는 아유르베다의 인체이해는 영성치유로서의 산림치유에 토대가 될 수 있다. 숲은 인간에게 반드시 필요한 생명의 공간이며 삶의 에너지 충전 장소이다. 아유르베다의 공,풍,화,수,지 5종 조대요소는 산림치유 6대요법(정신, 기후, 식이, 물, 운동, 식물요법)과도 밀접하게 관련을 지닌다. 통합의학 또는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우주론과 인간이해는 산림치유의 전 과정에 반영된다면, 산림치유가 명실상부한 전인치유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될 것으로 본다.

      • 북한 의학 학술지를 통해 본 허혈성 심장병 : 응급의학에 주는 시사점

        김성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Objective: There are limited data on the health status of people and medical scientific research in North Korea, especially on emergency medicine. Even before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r free interac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research trends in emergency medicine in North Korea will help to provide better emergency medical care for North Koreans and solve problems that may arise in future exchange and coopera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on ischemic heart disease, a severe internal medical emergency, through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and find implications for emergency medicine. Methods: The researcher analyzed five types of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Basic Medicine", "Internal Medicine", "Surgery", "Preventive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held by the North Korean Data Center as of January 2023. In addition, health data and statistics related to North Korean healthcare presented by international and domestic academic institutions were evaluated using search engines. Data were collected using Excel and analyzed using the R statistical program. This study used a scoping review, and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Arkey & O'Malley (2005) was used to design the study (Arksey & O'Malley, 2005). Results: 14,856 articles published in five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Basic Medicine', 'Internal Medicine', 'Surgery', 'Preventive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over a 14-year period from 2006 to 2019 were reviewed. A keyword search identified 782 articles, and 217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When categorized by publication year and journal, "internal medicine" journals published the most studies on ischemic heart disease, with 110 (50.7%). A quarter (25.6%) of the articles, 55, were written by 12 authors and 32 (15%) by a single author. The types of research articles can be categorized into original, review, case, partial, and original design. Original articles accounted for 175 articles (80.6%), followed by 32 reviews (14.7%).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86 (46.5%) were experimental studies, followed by 47 (25.4%) cross-sectional studies, and 43 (23.2%) patient-controlled studies. Only one article mentioned statistical programs, and 11 articles described statistical methods. Among the statistical methods described in the 175 original articles, mean analysis was the most common with 112 (64.0%), followed by descriptive statistics with 33 (18.9%). Patients were the most common study population with 126 (69.2%). Of the patient studies, 40.7% were designed to compare treatment effects, followed by test result analysis (24.4%) and diagnosis (22.0%). There were 46 animal experimental studies (25.4%), most of which were ischemia model studies using vasoconstrictor drugs, coronary ligation, and allergic therapy. Seventy-one papers reported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56.84 years, mostly in the 50s and 60s. In terms of gender, 42 papers (77.8%) included both men and women, 11 papers (20.4%) included only men, and 1 paper (1.8%) included only women. The maximum number of subjects was 1299, with a mean of 119.4.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ticles were reviewed only in the original manuscripts, and 75 (42.9%) articles were about treatment methods and treatment effects, and 25 (14.3%) articles were about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related to incidence and etiology. Treatment methods were categorized into new drugs, procedures, surgery,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other. Of these, 26 articles (33.3%) were about herbal treatments, followed by 18 (23.1%) about new drugs. There were 10 studies on procedures such as stent implantation, accounting for 12.8%, but there were no studies on thrombolytic therapy. There were 10 articles (12.8%) that studied the effectivenes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 surgical procedure, of which 7 were patient studies and 3 were animal studies.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ischemic heart disease, an internal medicine critical illness, through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research on ischemic heart disease was most often published in the journal "Internal Medicine". The types of research papers varied from original, review, case, partial, and creative, with original papers accounting for 175 (80.6%). Second, ischemic heart disease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Among the studies on patients, there were many studies on therapeutic effects, and few studies on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ests for rapid diagnosis in emergency situations. Third, there were many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oxibustion, and other treatments for ischemic heart disease, but there were also studies on stent implantation an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nd there were no studies on thrombolytic therapy as a generalized reperfusion therapy in emergency situations.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an emergency medicine perspective. First, considering that ischemic heart disease is a life-threatening emergency disease, a paramedic system for rapid diagnosis and transportation should be established. Rapid diagnostic equipment should be introduced for accurate diagnosis, and emergency transportation systems should be prepared for the treatment of emergency patients. Second,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equipment and training of personnel for the treatment of emergency patients, the application of cost-effective methods such as thrombolytic therapy can be considered. Key words: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Ischemic Heart Disease, Emergency Medicine 연구목적 : 북한 주민들의 건강상태나 북한 의료 및 의과학연구에 대한 자료들은 제한적이며 특히 응급의료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한반도 통일이나 남북한의 자유로운 교류 이전일 지라도 북한 응급의료에 대한 실태 및 연구동향에 대한 정보와 이해는 북한 주민들에게 더 낳은 응급의료를 제공하며, 앞으로의 교류 협력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 의학 학술지를 통하여 내과적 중증 응급질환인 허혈성 심장병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응급의학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자는 2023년 1월 현재 북한 자료센터가 소장하고 있는 북한 의학학술지중 "기초의학", "내과", "외과", "예방의학", "조선의학" 5종의 연구결과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제 및 국내 학술기관에서 제시한 북한 의료 관련 건강자료와 통계를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엑셀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R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를 사용하였으며, Arkey & O’Malley(2005) 의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Arksey & O'Malley, 2005) 연구결과 : 북한 의학학술지 5종 ‘기초의학’, ‘내과’, ‘외과’, ‘예방의학’, ‘조선의학’ 의 2006년부터 2019년 까지 14년간 출판된 14,856편의 논문을 검토하였다. 키워드 검색으로 782편의 연구논문이 선별되었고 최종적으로 217편의 논문이 연구 분석대상이었다. 출판연도와 학술지에 따른 분류를 보면 "내과" 학술지에 110편 (50.7%)로 허혈성 심장병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전체 논문의 1/4 (25.6%)인 55편을 12명의 저자가 작성하였으며 단독 저자인 경우는 32편(15%)이었다. 연구논문의 유형은 원저, 종설, 증례, 토막, 창의고안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원저가 175편 (80.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종설 32편(14.7%)이었다. 연구방법의 경우에는 실험연구가 86편 (46.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단면연구가 47편(25.4%), 환자-대조군 연구가 43편(23.2%)의 순이었다. 통계프로그램에 대하여 언급한 논문은 1편 밖에 없었으며 통계방법에 대하여 서술한 논문은 11편이었다. 175편의 원저에 기술된 통계 방법은 평균분석이 112편(64.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술통계가 33편(18.9%)이었다. 연구대상은 환자에게 진행된 연구가 126편(69.2%)로 가장 많았다. 환자대상 연구 중 40.7%는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연구였고 다음으로 검사결과 분석 (24.4%), 진단 (22.0%)에 관한 연구였다. 동물실험연구는 46편으로 25.4%였으며, 이 중 대부분이 혈관수축약, 관상동맥결찰, 알러지요법 등을 활용한 허혈모델 연구였다. 연구대상의 나이를 제시한 논문은 71편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56.84세였고 50-60대가 많았다. 성별의 경우 남여 모두 참여한 논문은 42편(77.8%), 남자만 참여한 논문은 11편(20.4%), 여자만 참여한 논문은 1편(1.8%)이였다. 연구대상의 수는 최대 1299명이었고 평균값은 119.4명이었다. 연구논문의 내용은 원저에 한하여 검토하였으며 치료방법, 치료효과에 대한 논문이 75편(42.9%)으로 가장 많았고, 발병률이나 발병원인과 관련된 역학 논문과 발병기전을 다룬 논문이 25편(14.3%)으로 가장 적었다. 치료방법은 신약치료, 시술, 수술, 한약치료, 침뜸치료, 기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중 한약치료에 관한 논문이 26편으로 33.3%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신약치료가 18편(23.1%)이었다. 스텐트삽입술과 같은 시술관련 연구는 10편으로 12.8%를 차지하였으나, 혈전용해제치료를 연구한 논문은 없었다. 수술요법인 관상동맥우회로술의 효과를 연구한 논문은 10편(12.8%)이었으며 이중 7편은 환자대상 연구, 3편은 동물실험 연구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북한 의학 학술지를 통하여 내과적 중증응급질환인 허혈성 심장병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허혈성 심장병에 대한 연구는 학술지 "내과"에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연구논문의 유형은 원저, 종설, 증례, 토막, 창의고안으로 다양하였으며, 원저가 175편 (80.6%)로 가장 많았다. 둘째, 허혈성 심장병에 대한 다방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환자대상 연구 중 치료효과를 보기 위한 연구가 많았으며, 역학이나 발병기전에 대한 연구가 적었다.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진단을 위한 검사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셋째, 허혈성 심장병의 치료에 한약, 침뜸치료를 비롯한 한의학적 치료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많았으나, 스텐트삽입술과 관상동맥우회로술에 대한 연구도 있었다 응급상황에서 보편화된 재관류요법으로서 혈전용해제치료를 연구한 논문은 없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응급의학의 관점에서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허혈성 심장병이 생명과 직결되는 응급질환임을 고려하여 신속한 진단과 이송을 위한 구급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신속장비의 도입, 응급환자의 치료를 위한 구급 이송 체계들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응급환자의 치료를 위한 첨단장비의 도입과 인력의 훈련 이전이라도, 혈전용해제치료와 같은 비용효과적인 방법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중심어: 북한의학학술지, 허혈성 심장병, 응급의료

      • 應急醫學科 醫師의 尹理 綱領 開發에 關한 硏究

        차지훈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응급의학과 의사는 늘 응급환자와 생명이 위중한 환자를 진료해야 하므로 다른 어떤 과보다도 높은 수준의 직업의식을 가지고 환자의 치료에 임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그러한 직업의식을 대변해 줄 윤리강령이나 지침이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절하고 임상에 쓰일 수 있는 응급의료 윤리강령의 개발을 위해 본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 방법: 문헌고찰 및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강령과 윤리 사례를 분석한 기술적 연구방식을 이용하였다. 결과: 응급의료 및 응급의학의 특징으로 의사의 빠른 판단 능력의 필요성, 의사-환자 관계의 다양성, 팀워크, 병원에 대한 대표성, 응급실 환자 전체에 대한 진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높은 근무 스트레스, 사회적 요구에의 부응 등이 검토되었다. 그리고 응급의료 윤리 규약 제정의 필요성으로 제안된 것으로 빈약한 응급의료 전달체계, 직업전문주의, 조직윤리의 대두, 병원 윤리위원회 기능의 미비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의 초안으로서 10개의 항목을 제시하였으며 여기에서는 대한의사협회의 윤리 강령의 내용에서 응급의료의 특수성을 가미하였고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 강령의 내용을 적절히 참조하였다. 응급의료의 특수성이 가미된 내용으로는 응급환자에 대한 민첩성, 신중성, 그리고 환자의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고려, 응급의료와 관련된 모든 보건의료인과의 협조적 관계의 중요성 강조, 응급의료에서의 리더십, 응급의료 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한 노력, 의학적, 윤리적 오류를 범하는 동료 보건의료인에 대한 적절한 대처 등이다. 앞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 강령 및 지침의 개발을 위한 계속된 연구와 학회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토의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응급의료 윤리강령을 제정하고 보급, 실천하는 것은 한국의 응급의료 수준을 높이고 응급의학과의 위상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결론: 여러 문헌 검토와 외국의 윤리강령의 사례 및 응급의료 윤리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에 대한 초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Most emergency physicians have a difficult time making decisions which have ethical implications in an emergency department. Therefore, education for emergency physicians concerning ethical decision making should be done in their residency. However, in the meantime, there is little trial to develop an ethical code or principles for emergency physicians or residents. In this study, I will attempt to establish an ethical code for emergency physicians in Korea. Methods: Descriptive study by literar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other countries’ ethical guidelines for emergency physicians Results: First, I showed the peculiarity of emergency practice and emergency medicine,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ethical cod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emergency medical system. Then I closely examined the codes of ethics of an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medicine, a society for academic emergency medicine and an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association. Lastly, I suggested a code of ethics for emergency physicians. In this proposal, I emphasized that emergency physicians should possess leadership skills among other health care providers, stand for patients and support social effort to improve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I trust that this ethical code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nd will be helpful to many emergency physicians in Korea. Conclusions: By literar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other countries’ ethical guidelines of emergency physicians, I proposed an ethical code of conduct for emergency physicians in Korea.

      •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

        김민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Perception on ethical issues of occupational physicians in Korea Min Kim (Director: Prof. Jong Tae Lee)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In medical fields, ethical conflicts are very important part. Many doctors encounter these problems every day. So many countries make an effort to resolve it. As a part of these effort,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ethical codes for medical physician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have a distinct character in comparison with other medicine. So its ethical conflicts have different characters. This study investigate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ethical perception in Korea. Methods: To understan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ethical perception in Korea, I u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s consist of three parts. In first part, I questioned about general ethical perception. In second part, I questioned about favorable ethical codes between 10 ethical codes. In final part, I questioned about four cases relation with practical ethical conflicts. To analysis this survey, I distinguished residents and specialists. Also to compare specialists, I distinguished work period, work place, their assignments. To statistical analysis, I used χ²-test and Fisher exact test by using SPSS 17K version. Results: In this study, I found that many Korea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have ethical conflicts. The questions about ethical conflicts in works and necessity of ethical education distinguish between residents and specialists. In these two questions, specialists prefered to negative trend. The opinions of specialists are distinguished from work period. Conclusions: In Korea, many doctors have ethical conflict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y want to train in education of ethics. And they want to have ethical codes. The most important ethical codes are neutrality, consideration of worker's safety and health, expertise, independence as doctor. Key word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ethical perception, ethical code, ethics 국문초록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김 민 (지도교수 :이 종 태) 연구목적: 의학의 전문분과로서의 산업의학은 다른 의료분야와는 또 다른 차원의 윤리적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산업의학이 의사와 환자라는 전통적인 의료 환경 아래에서의 관계뿐 만 아니라 의사, 근로자, 사업주, 정부 등의 다양한 사회집단들과의 관계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집단이 맞물려있는 산업의학에서 발생하는 윤리문제 또한 의학의 다른 분야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서구 사회에서는 일찍이 이러한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해서 연구하고 산업의학 전문가를 위한 다양한 윤리헌장의 제정을 통하여 이러한 갈등상황을 해결하기위해 노력해왔다. 지난 세기동안 한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산업의학도 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발전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의학의 윤리문제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또한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를 위한 의사윤리헌장의 제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의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이를 통해 산업의학과 의사윤리강령 제정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기준 대한산업의학회 주소록에 등록된 회원 414명(전문의 341명, 전공의 73명) 전체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2009년 12월 1일부터 설문지를 발송하여 2009년 12월 31일까지 회신된 설문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산업의학과 직무수행 중의 직업윤리 문제에 대해 4가지 질문을 하였고, 세계 각국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산업의학 관련 윤리헌장과 선언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을 하였다. 산업의학과 직무 수행 중에 윤리문제가 빈발하는 분야와 윤리적 갈등 대상에 대해서도 질문하였다. 다음으로 산업보건국제위원회, 미국산업환경의학회, 영국산업의학회, 미국산업위생사협회의 윤리헌장을 비교하여 이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윤리항목 10가지를 선정하여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윤리항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업의학 업무수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가상적인 상황을 만들어서 실제 직무 수행 중에 윤리문제에 부딪혔을 때 산업의학과 의사들의 대응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은 전공의군과 전문의군을 나누어 분석하였고, 전문의들 사이에 비교를 위하여 대학과 산업의학 관련 연구기관 의사군과 종합병원과 개인의원 의사군을 비교하였으며, 건강검진, 보건대행, 기업체 보건의 의사 군과 예방의학, 개업의, 연구기관 의사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근무연한에 따른 차이를 보기위해 10년 이하 근무군과 10년 초과 근무군을 비교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각각의 응답에 대한 비율을 구하였고, 평균비교 및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각각의 그룹간의 응답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산업의학분야 전문의와 전공의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에 응답한 전문의는 66명, 전공의는 44명으로 응답률은 전문의가 19.1%, 전공의가 60.3%로 전체 26.3%였다. 이중에 설문응답이 부적절한 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서 제외하여 최종 107부의 설문지로 분석을 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42.03세였으며, 남자가 89명(83.2%), 여자가 18명(16.8%)를 차지하였다. 이들 중 전문의는 63명, 전공의는 44명이었다. 일반적인 윤리인식에 대한 질문에서 전공의와 전문의 간에 업무 중 윤리적 문제로 고민여부(p=0.044)와 윤리교육의 필요성(p=0.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의들은 근무연한에 따라 윤리교육의 필요성(p=0.047)과 다른 임상과 보다 높은 윤리의식이 필요하다(p=0.018)는 질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윤리헌장의 인지여부에 대해서는 전공의와 전문의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2), 전문의들 간에는 근무 장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p=0.04)를 보였다. 윤리문제로 가장 고민하는 분야는 근로자 특수건강 진단이었으며(47.7%), 윤리적 갈등의 대상은 근로자가 가장 많았다(54.2%). 복막투석환자의 오지출장근무 요청사례에서는 부서전환을 통해 업무를 수행토록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흡연자의 석면노출 작업장 근무 사례에서는 응답자의 64.5%가 금연 후 취업허용이 가장 많았다.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의 노출사례에서는 당국에 즉시 고발을 한다가 가장 많은 의견을 보였다. 업무적합성평가의 윤리적 정당성사례에서는 응답자의 43%가 의학 고유의 활동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결 론: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들은 업무수행 중에 높은 직업윤리적 갈등상황을 경험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의사들이 업무수행중의 직업윤리적 갈등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업의학과 전문가 윤리헌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의사들은 업무수행중의 중립성, 산업의학과 전문의로서의 전문성 확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고려, 전문가적 독립성의 유지 등의 덕목을 중요한 직업윤리덕목으로 생각하고 있으므로 향후 윤리문제 연구 시 이러한 덕목에 대한 연구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산업의학, 직업윤리인식, 윤리헌장

      • 북한 소아 과학 연구 동향 : 2006년-2019년까지 발행된 북한의학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이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nalyzed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to predict the status of diseases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in North Korea, which still exist as an unknown country in the 21st century. Currently, 10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are officially published. Despite the fact that North Korean academic journals are published through censorship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rticles are written on the basis of practical achievements and disease cases in each field. Accordingly,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becomes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losed North Korea. So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research articles (academic journals, publication year, specific field, article type, author, research method, and statistics) by analyzing studies related to children in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Second, we tried to analyze pediatric diseases that appeared in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using ICD-10, and to find out how to approach the diseases by classifying the contents of each research article. Third, we wanted to analyz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he disease studied, and the study content change over time. In particular, I tried to analyze the change transition by dividing the Kim Jong-Il and Kim Jong-un eras. In this study, Scoping Review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methodology of Levac, Colquhoun & O'Brien (2010) was applied to strengthen the research design. We identified related studies by reviewing 10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mong the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we decided to analyze the journals from 2006 to 2019 targeting 'Pediatric-Obstetrics', 'Surgery', and 'Chosun Medicine'. Total 7,739 articles in the finally decided journal were reviewed, and 728 articl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diatric research articles in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e form of the article is similar, but the teaching of the ruler is mentioned for research purposes, and the length is very short, less than 2 pages. Ethical considerations are not mentioned, and in the case of some articles, research is conducted by mixing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ine drugs. This characteristic means that North Korean pediatric research are establishing their own research framework in a closed environment. Second, North Korean pediatric research has been made up of realistic and practical studies. Research has focused on diseases that actually have a large burden of disease, and research has mainly been conducted on therapeutic effects. Medicine is the most studied treatment, and traditional medicine research is mainly conducted, and research on mixing traditional medicine and medicine is also conducted. In addition to drugs and surgery, it was found that research related to various treatments such as laser treatment, radiofrequency treatment, and exercise therapy are being conducted. Such research trends may be a part of North Korea's efforts to apply various treatments to childhood diseases through independent and practical research. Third, the trend of North Korean pediatric research is changing over time. Pediatric research is increasing, and research fields are also diversifying. As the economic situation improved during the Kim Jong-un era, the major studied disease groups changed. The establish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oriented policies during the Kim Jong-un era and efforts to develop the health sector at the national level seems to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iversity of research and treatment. The North Korean pediatric research analyzed through this study had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was realistic and practical. Furthermore, pediatric research is gradually increasing, the groups of diseases studied are changing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research fields and treatment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This is the evidence that the North Korean pediatric field is constantly striving for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utonomously, and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pediatric research in a unified Korea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1세기에도 여전히 미지의 국가로 존재하는 북한의 소아와 관련된 질병 현황과 연구 동향을 예측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발행되고 있는 북한의학학술지를 분석하였다. 현재 공식적으로 발행되고 있는 북한의학학술지는 10종으로 북한학술지의 특성상 검열을 통해 출판되고 북한 정부의 통제하에 발간되고 있음에도 학술 논문이 특정 학문 분야의 실제적 성과를 토대로 하고 당시의 질병 실례를 기초로 연구한 결과들이 출판됨에 따라 북한의학학술지 분석은 폐쇄적인 북한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에 북한의학학술지에서 소아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된 논문을 대상으로 내용을 추출하고 분류, 분석하여 첫째, 북한의학학술지의 소아 과학 연구 논문의 특성(학술지, 출판연도, 세부분야, 논문 유형, 저자, 연구 방법, 통계)을 파악하고, 둘째, 북한의학학술지에서 나타난 소아의 질환들을 ICD-10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각 연구 논문의 내용을 분류하여 질환들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는지 알고자 하였다. 셋째로 앞에서 분류했던 여러 변수와 관련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 동향에 변화가 있는지, 특히 김정일, 김정은 시대를 구분하여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방법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설계를 강화하기 위해 Levac, Colquhoun & O’Brien(2010)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10종의 북한의학학술지를 예비 조사를 통하여 검토하여 관련 연구를 식별하였으며, 2006년부터 2019년까지를 분석 시기로 정하고, 북한의학학술지 중 ‘소아-산부인과’, ‘외과’, ‘조선의학’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 선택된 학술지의 7,739개의 논문을 검토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으로 728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학학술지의 소아 과학 연구 논문은 고유의 특수성을 갖는다. 논문의 형식은 유사하나 연구목적에 집권자의 교시를 언급하고, 분량은 2페이지 내로 매우 짧다. 근거 수준에 기반한 질 평가 결과 기준 대부분이 충족되지 않거나 평가가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러한 특징은 북한의학학술지가 폐쇄적인 환경 속에서 자신들만의 고유의 연구 틀을 구축하고 있으나 향후 연구력을 강화하고, 실제로 연구의 결과를 진료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질적 향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북한 소아 과학 연구는 실제적이며 실천적 연구들로 이루어져 왔다. 북한 소아 과학 연구는 실제 질병부담이 큰 질환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치료 효과와 관련된 연구들이 주로 출판되고 있다. 연구되고 있는 치료법은 약물치료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동약 연구가 주를 이루고, 동신배합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신약 치료, 수술 이외에도 레이저 치료, 고주파, 운동 치료 등의 다양한 치료와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주체적이고 실질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치료를 소아질환에 적용하고자 하는 북한의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북한 소아 과학 연구 동향은 변화하고 있다. 소아 과학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 분야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김정일 시대에서 김정은 시대로 전환되면서 경제 사정이 개선됨에 따라 주요 연구되는 질병군이 변화하였으며, 김정은 정권이 과학기술을 중시하는 정책이 수립되고 보건 의료 분야에 대해 국가 차원에서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임에 따라 연구와 치료의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구를 통해 확인한 북한 소아 과학 연구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적이고 실천적이었다. 또한, 소아 과학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경제 발전에 따라 연구되는 질병군이 변화하고 있었으며, 연구와 치료는 점차 다양화되고 있었다. 이는 북한 소아 과학 분야에서도 자생적으로 의학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로서 향후 통일 한국의 소아 과학 연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일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서 응급의학과 전문의 진료지도 여부가 단기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

        권재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요약 서론 응급실을 이용하는 환자의 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 정부에서도 환자안전 및 진료의 전문성 확보를 위하여 응급실 전문의 상주근무를 법제화하고 상주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수를 늘리려고 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응급실에 상주하고 있는 응급의학과 전문의 1인이 모든 응급실 환자의 진료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과밀화가 심한 응급실에서는 불가능하며, 현재 10여년간 응급의학과 전문의 공급은 수요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들의 진료방향을 결정하는데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결정한 군(staff-supervised group)과 응급의학과 상급 전공의가 결정하고 필요 시에만 응급의학과 전문의에게 연락하는 군(staff on call group)으로 나누어 두 군의 비교를 통하여 제한된 응급의학과 전문의 인력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심의를 거쳐 2012년 3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10개월간 일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자의무기록지를 이용해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15세 미만의 소아, 분만을 위하여 내원한 환자, 접수취소 및 사망한 상태로 내원한 환자를 제외한 전체 54,2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진료방향을 결정한 군(staff-supervised group)과 응급의학과 상급 전공의가 진료 방향을 결정하고 필요 시 응급의학과 전문의에게 연락하는 군(staff on call group)으로 나누어 각 군에 따른 응급실 체류시간, 응급의학과 의사가 환자를 보는 시간, 타 진료과에 진료의뢰를 시행하는 시간, 중증도에 따른 사망률, 진료 결과의 차이 등을 알아보았다. 결과 각 군의 남녀 성별비는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과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진료 결과는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과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각각 15,473명(60.1%), 20,283명(71.3%)로 두 군에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모두 귀가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 외 입원, 전원, 사망 순으로 나타났다. 중증도에 따른 환자의 수를 보면 경증(4,5단계)으로 분류된 환자가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18,611명(72.3%),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21,462명(75.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p<0.05). 응급실에서 타 진료과를 호출한 비율은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내과의 호출이 10,423명(40.48%)으로 가장 많았고,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는 응급의학과의 호출이 14,106명(49.57%)으로 가장 많았다(p<0.05).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이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평균 응급실 체류시간, 응급의학과 의사가 환자를 보는 시간, 타 진료과를 호출하는 시간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p<0.05), 각각의 평균 시간이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대조군(staff on call group)보다 더 길었다.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대조군(staff on call group)보다 중증-중등증(1,2,3단계) 환자 및 경증 (4,5단계)환자에서 평균 체류시간이 길었다(p<0.05). 생존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중증-중등증(1,2,3단계)환자에서 응급실 체류시간에 따라 사망 위험율이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보다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1.63배 더 높았다. 결론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대조군(staff on call group) 보다 응급실 체류시간, 응급의학과 의사가 환자를 보는 시간 및 타 진료과 요청 시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증-중등증(1,2,3단계) 환자들에서 응급실 체류시간에 따른 누적 사망률은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에게 지도를 받은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체류시간은 길어지나 환자의 사망률은 낮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응급실의 혼잡도 및 이용 가능한 검사나 인력을 비교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중증-중등증 환자에서 환자의 사망률을 유의하게 낮추고 있음을 고려해 보았을 때 현재 제한된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중증-중등증(1,2,3 단계) 환자에게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진료가 집중이 되어야 하고, 상대적으로 경증 (4,5단계) 환자의 진료 결정은 응급의학과 전공의가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응급의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향후 모든 환자를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시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갑상선 질환의 통합의학적 연구

        정해성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갑상선 질환의 통합의학적 연구 정 해 성 지도교수 홍 성 균 대체의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최근 급격한 산업화와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갑상선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갑상선 질환에 대해 통합의학적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국내는 물론이고 최 장수국중의 하나인 일본을 비롯한 미국 그리고 외국의 여러 나라에서도 갑상선질환 환자는 더욱 더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갑상선 암은 남녀 전체를 통틀어서 2위이고 여성에서는 1위로 발생하는 암 질환이다. 매년 암에 걸리는 환자 4명 중 1명은 갑상선암이라고 할 정도로 갑상선암의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갑상선기능항진증,갑상선기능저하증과 같은 갑상선 관련 질환도 계속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갑상선은 우리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기관중의 하나이다. 갑상선암은 한번 발병되면 암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 후에도 일생동안 지속적으로 약을 일정시간에 맞추어서 매일 복용해야 하는 고통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은 국가경제에 큰 손실을 입히며 국민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갑상선질환에 대해 추후 통합의료 차원에서 대체 의학적 치유방법을 모색하고 통합의학에 대한 범국가적인 연구와 지원 및 인력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그리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체의학을 필두로 하는 통합의학에서 이러한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을 시스템화 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한다면 갑상선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의 꿈을 줄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아무리 첨단과학을 활용하여 의학이 발달하고 새로운 의료기기가 개발된다고 해도 우리 인류에게 시시각각으로 다가오는 모든 질환을 막을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통합의학을 바탕으로 하면서 현대인들의 질병을 과학적이고 전인적으로 치료할 수 있거나 예방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가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더욱이 정규대학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남부대학교에 통합의료학과가 개설이 된 것을 발판으로 하여 국내는 물론이고 국외에서도 이와 같은 학과가 많이 개설되어 통합의료를 담당하는 치료사들을 양성하여 갑상선질환과 같은 평생 질병에 노출되어 있는 많은 환자들의 고통을 줄여 주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갑상선질환은 인류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만성적인 질환이며 한번 걸리게 되면 생을 마칠 때까지 갑상선제를 복용해야 하는 등 정신적, 육체적, 사회적으로 우리 사회를 건강하지 못하도록 고통을 주고 있는 질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의학 한의학 그리고 대체의학이라고 하는 세 가지 갑상선 질병치료법을 최초의 통합의학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계기를 줄 수 있는 시도였다고 하는데 그 의미를 두고자 하며 앞으로 더욱 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 식품치료에 대한 영양사의 인식도조사를 통한 대체의학 활용화 연구

        김송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영양전문가인 현직 영양사를 대상으로 경력, 학력, 근무기관, 임상영양사자격증 소지유무에 따라 식품치료 등 대체의학에 대한 인지도와 경험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연구이다. 조사결과 과반이상의 영양사가 대체의학을 알고 있었으며 그 의미를 제도권의학은 아니지만 예방에 중점을 둔 의학의 일종이라고 인지하고 있었고 인지경로는 주로 인터넷, TV, 라디오, 및 인쇄매체를 통해서였다. 인지도에 비해 활용경험은 20∼40%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하게 된 이유는 주로 증상 및 통증완화의 치료방법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식품치료(요법)에 대해서는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현대의학과 병행 시 치료효과 상승 및 대사증후군 등의 질병예방에 필수적이어서라고 응답하였다. 활용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과학적으로 입증된 요법을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향후 개발되어야 할 치료식은 질병보조치료식품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식품치료(요법)의 활용의향에 대해서는 가능하면 긍정적로 활용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활용이유는 치료의 보조요법으로 효과적이어서 였으며, 활용하지 않는다면 과학적 근거부족과 잘 몰라서 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치료전문인과정 교육이수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업무 병행의사 역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의학 활용 방안으로 제시된 과학적 표준화 선행,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 대체의학에 대한 정확한 홍보와 교육에 대해서는 높은 필요도를 보였으나 대체의학을 제도권에 진입시킬 필요성에 대해서는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양사들은 식품치료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식품치료의 발전가능성을 시사한다. 제도권 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양관리 및 임상영양치료와 효율적으로 연계하기 위해서는 대체의학에 대한 요법 별 임상실험을 통한 과학적 근거 마련의 선행과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체의학(요법)의 유용성과 가치를 도출하여 대체의학 활용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as a questionnaire for survey research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experience, and attitude of current dietitian's who are nutrition experts towards alternative medicine, such as food therapy, based on their career, education level, workplace and possession of clinical dietitian certification.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dietitian's were aware of alternative medicine. They recognized its significance as a type of medicine than that focused on prevention, and not as conventional medicine, and they became aware through the Internet, TV, radio, and print media. Their utilization experience was 20∼40%, which was lower in comparison to their awareness level, and the primary reason for experiencing it was for use as an adjuvant to treatment measures for managing symptoms and reliving pain. Importance of food therapy appeared high in the results, with the dietitian's responding that combined use with modern medicine was essential for enhancing treatment effects and preventing diseases, such as metabolic syndrome. The respondents gave positive assessment to utilization effects, but they showed a clear tendency of using scientifically proven therapies. With respect to intention to utilize food therapy, the dietitian's responded that would utilize it positively as much as possible, with effectiveness as adjuvant to treatment being the reason for using it and lack of scientific basis and lack of knowledge being the reason for not using it. With respect to completion of education for food therapy specialist, most were positive, while intention for combination with work was also positive. The respondents showed high need for implementation of scientific standardization for utilization of alternative medicine, professional workforce training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and accurate promotion and education for alternative medicine. However, they were somewhat passive on the need for introducing alternative medicine into Institutional medicine. In conclusion, dietitian's highly evaluated the importance of food therapy and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food therapy by positively evaluating its effects.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link to nutritional management and clinical nutritional therapy practiced Within the institution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inical trial-based scientific basis for each therapy used in alternative medicine, as well as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specialized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e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rive the usefulness and value of alternative medicine(therapy) that can be use as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utilization measures for alternative medicine.

      • 농촌지역 당뇨병 환자들의 대체의학 경험실태

        박성재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 대표적인 만성질환의 하나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의 치료에 있어 그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음에도 실제로는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대체의학의 이용 실태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상대적으로 의료여건이 열악한 농촌지역의 당뇨병 환자로, 경상남도 합천군의 7개 면에 거주하며 농촌지역 의료이용의 대표적인 형태인 보건지소와 2차 병원에서 당뇨병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103명(병원 43명, 보건지소 62병) 이었다. 연구기간은 2002년 1월부터 3월까지의 3개월 간이었으며 당뇨병 환자의 특성과 대체의학 이용 및 관련 요인을 직접면담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2.6±9.3세, 평균 당뇨병 이환기간은 8.6±6.7년이었다. 대체의학을 경험한 율은 전체의 57.3%였으며, 병원 이용자(68.3%)의 대체의학 경험율이 보건지소 이용자(50.0%) 보다 많았다(p=0.066). 경험한 대체의학의 종류는 평균 3.9종이었고 누에(39.9%)가 가장 많았다. 특성별로는 65세 이상의 고령자(p=0.078), 긴 이환기간, 높은 교육수준,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하는 경우 대체의학을 더 많이 이용하였다. 결론 : 합천 지역 당뇨병 환자들의 대체의학 경험은 도시지역보다는 적으며, 고령, 이환기간, 학력수준, 합병증,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의 병행 등에 따라 대체의학의 경험율이 달랐다. 연구 결과는 향후 농촌지역의 대체의학 이용 실태 조사에 있어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당뇨병의 관리에 있어 대체의학의 이용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 제시를 위한 교육과 과학적 접근이 요구된다. Objectives : Though enormous advances have been made, many patients are still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for diabetes contro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use and associating factors to the use of CAM among the diabetic patients in rural area.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103 diabetic patients who lived in Hap-chun area and visited regional public health center (62 cases) and hospital (41 cases). Directed interview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factors relating to the use of CAM was done from January to March, 2002.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PC SAS program (ver 8.1).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2.6±9.3years, and the mean prevalent period was 8.6±6.7years. The whole proportion of cases who experienced CAM at least once was 57% (hospital users 68%, public health center users 50%). The mean kind of CAM use was 3.9 kinds, and silkworm was the most frequent one (40%). CAM use were more frequent in case of older age, longer prevalent period, higher educational level, accompanying complications, and treat with diet and exercise. Conclusions : CAM experiences of diabetic patients in rural area was relatively frequent but lower than the level of city area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CAM experienc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prevalent period, educational level, presence of complications, and treatment patt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fundamentals for the further study of CAM use in rural area. Education and scientific approaches for the reasonable CAM use in diabetic control would be needed.

      • 직장인의 요통발생과 보완대체요법 이용 실태 조사

        권여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echnology has developed, industrial assembly line workers have become limited in their responsibilities to simple and repeated work. For this reason, work related diseases started to develop on those workers. Many of these work related diseases occur on the skeletal muscles. Skeletal muscle disability and stress has developed into urgent industrial health problems. Of the muscle skeletal disease, Lumber Pain, was shown on 50% of the workers but only 15-20% seeked doctors for treatment. Lumber pain resulted in frequent medial office visits, low productivity, and mental decline effecting normal daily life. The benefit of alternative medicine is that is has a broad use for areas of treatment and prevention for worked related diseases addressing one's physical and and mental situation, daily lif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on alternative medicine and increased interest in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of limitations of other unorthodox medical treatment. The main purpose in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usage, treatment,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rate of alternative medicine on the age group of 20 to 30 year old workers who had lumber pain. During 19 days from April 4, 2011 to April 22, 2011, researchers randomly selected workers from Youngdengpogu, Junggu, Seungdonggu, Kwangjingu and Gurogu Seoul to take a survey. By researching people who have suffered lumber pain within the last year, lumber pain was present in a surprisingly high percentage of those people. 73.3%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suffered lumber pain within one year. Categorizing workers by weight, over weighted and obese workers had more symptoms of lumber pain than those who had less weight or were normal weight. In addition, workers who frequently consume alcohol showe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consume less alcohol 81.8% of workers who had worked for 6-10 years had lumber pain, which was highest percentage of all, and this number fluctuated with the varying amounts working hours. Those who worked more than 11 hours per day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worked for 8 hours. This statistic showed useful research results. Working position showed different comparisons in this research. Not only did workers who usually stood up during their works showed more lumber pain but also workers who's work was limited to repeated task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that had varied types of duties. Because a high percentage of workers who worked for longer hours answered that they had lumber pain every single day, there seems to be a connection between working hours and lumber pain. The 71% of workers answered 'yes' when asked if they had ever tried alternative medicine, and only 29 answered 'no' that they did not. When illness or pain occurred, the most used source of alternative medicine was yoga, hot pack, well-being food, and massage. When asked which illness they used alternative medicine for, lumber pain was a common reason for many workers. Most workers said that they just endured pain. However, for medical treatment seekers, there was a higher percentage of people that use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g with alternative medical treatment rather th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e. When asked if their pain was reduced after treatment, more than half the people answered 'yes'. Most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when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level on a scale of 1-5 with 5 being very satisfied. In the research, almost half of the people preferred medical treatment while the other half preferred alternative medicine. There were no negative perceptions of alternative medicine by the survey respondents of workers between the age groups of 20 to 30 years old. Because alternative medicine does not use any chemical substances or drugs, it was very suitable for work and did not affect normal life. Although alternative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can be taken together, alternative medicine methods were not well known throughout the population. In addition, most people did not seek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they did not know which method to pursu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to upgrade and develop alternative medicine. In addition, proactive advertising is needed on the facts that alternative medicine is a proven treatment on reducing side effect and also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maximize treatment, endless effort is needed to inform the public that medical treatment and alternative medicine can be used together to achieve the best results. Key words : Low Back Pain, Prevalenc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CAM)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작업의 형태가 점점 단순·반복화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작업성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가장 시급한 산업보건과제의 하나로 근골격계 장애와 스트레스를 꼽을 수 있다.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중 하나인 요통은 노동 연령기 사람에게서 50%의 연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15-20%의 사람들이 치료를 위해 의사를 찾는다. 요통 문제는 잦은 의료진 방문, 낮은 생산성의 원인이 되며 또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저해하여 비금전적 손실도 가져온다. 이와 관련하여 보완대체의학적 접근 방법은 개개인의 생활패턴과 주위환경, 또는 성격적, 정서적 상황을 고려하므로 치료와 예방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정통적 의학에 한계를 느낀 환자와 의료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전반적인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20․30대 직장인의 요통발생 실태와 요통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그 효과와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요통 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방법은 서울 영등포구, 중구, 광진구, 성동구, 구로구 일대의 직장 종사자들을 임의로 선정하여 2011년 4월 4일부터 4월 22일까지 19일간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최근 1년 이내에 허리의 통증발생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통증이 있었다는 응답자가 73.2%로 직장인들에게 요통 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체중이거나 표준체중인 사람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인에게서 요통의 발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음주를 하는 사람이나 가끔 하는 사람에 비하여 요통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기간 6-10년 경력자의 요통 발생은 8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근무 시간에 따라 11시간 이상 근무한 사람은 8시간 이하 근무한 사람에 비하여 요통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근무 자세에 따라서는 서서 근무 하는 대상자에게 요통발생이 높았고 근무시 신체 움직임이 반복되는 것이 반복되지 않은 것보다 요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요통빈도를 살펴보면 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거의 매일 요통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빈도 또한 근무 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보완대체의학의 경험 여부를 물어보았을 때 전체 직장인의 71%가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경험해보지 않았다는 응답은 29%에 그쳤다. 질병이나 통증발생시 요가와 찜질요법, 건강보조식품, 마사지 요법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어떤 질병에 보완대체요법을 적용했는지 알아보는 항목에서는 요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요통 발생시 대처 방안으로 그냥 참는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병원치료만 받는다고 한 사람 보다 높았다. 요통 치료 후 효과에 대해 묻는 사항에 대해 절반이 넘는 사람이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요통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긍적적으로 평가하였다. 앞으로 통증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치료하겠는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병원치료를 선택하겠다는 응답과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20-30대 직장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지 않았다. 보완대체요법은 수술이나 화학적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기에 직장에서의 작업과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치료법이다. 보완대체요법이 병원치료와 상호보완적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거나 어떤 것을 선택해야하는지 몰라서 찾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보완대체의학적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져야 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가 검증된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요통발생시 병원치료의 적절한 병행과 함께 보완대체의학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요통, 이용실태, 보완대체요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