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교육현장에서의 역사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 분당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오지영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07

        In spite of government's policy to reduce private education, private education is growing steadily. In this regard,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but they are mostly related to subjects of English and mathematics, and few papers deals with history subject.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ways to improve effective history lesson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history classes taking place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In order to deter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history lessons that take place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Bundang area, their parent, and private instructors with experience of teaching history class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and parents thought private education of history courses wa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grades. Students who have taken private education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effect of the private lessons. Second, most commonly students took private education in comprehensive Hakwons, but parents preferred specialized Hakwons to general Hakwons because they thought the former could offer more professional lessons. They preferred short-term history lessons provided during the exam periods or school breaks. Third, the majority of tutors teaching in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did not majored in history, and they thought insufficient class hours for the contents to teach is the greatest difficulty. Improvements found based on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history-dedicated Hakwons should be vitalized to offer customized history education by the student level, which cannot be provided by public education, through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grams. Second, to reduce economic burdens for private education, part-time history-maj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employed by Hakwons to save labor costs, and tutor-made textbooks should be used rather than commercially published textbooks to save material costs. Third, instructor verific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qualified history tutors by certification through regular verification procedures for non-majors, and by preferential treatment with the majors. 정부의 사교육 경감 정책에도 불구하고 사교육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연구가 많이 나오고 있으나 대부분이 영어, 수학과목과 관련된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고 역사과목과 관련해서는 거의 다루어 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수업의 실태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역사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 시작되었다. 사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분당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과 이들을 자녀로 둔 학부모, 사교육 현장에서 역사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대부분의 학생과 학부모들은 역사과목도 성적향상을 위해서 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하였고, 교육효과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을 하고 있었다. 둘째, 시험기간이나 방학기간을 이용해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역사수업을 선호하였다. 셋째, 강사들 가운데 비전공자가 더 많았으며, 가르쳐야 할 내용에 비해서 부족한 수업시간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 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찾아 볼 수가 있다. 첫째, 역사를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역사전문 학원을 활성화시키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역사를 전공한 대학생을 아르바이트로 고용하거나 강사들이 직접 만든 교재를 활용하여 교재비를 줄여야 한다. 셋째, 비전공자인 경우에는 일정한 검증 절차를 거치고 역사전공자를 우대하여 전문성과 실력을 갖춘 역사전문 강사를 길러야 한다.

      • 역사교육에서 중등 예비교사의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에 대한 인식과 전망

        이미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07

        As the era changes, new ways of teaching are approaching. One of the new changes is 'Visual Thinking',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useful model of activity-based instruction. Beginning with looking at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history education about 'visual thinking', this study will examin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visual thinking' in history education and finally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us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visual thinking in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During teaching practice, this researcher has conducted both lecture class and activity-based class using visual image. As a result, this researcher has experienced that, in the lecture class, students respond passively, but in active class teaching using visual image, they actively engaged in learning. Through this experience, the necessity of the student-centered knowledge construction class that can lead the students' activities was felt, and this researcher decided that the class model that can help this is 'visual thinking' and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research. First, by analyzing the concept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cent visual thinking class, and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thinking class, in the history class, the educational use phase of the visual thinking class and the positive aspect in educational aspect have summarized. Seco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history education major, we conducted research using pre-service teachers of history education major including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described. Third, visual thinking class is a new teaching method which is not familiar yet, but as a result of survey, pre-service teachers accepted the visual thinking class as a creative and meaningful effective class and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visual thinking class as a whole. Fourth, in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and experimental research on visual thinking classes are less than other subjects. Thu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examples of classes using visual thinking in history subjects and layout of student activities were presented. when the pre-service teacher of history education goes to the actual field in the future, it will be a great help to prepare student-centered class to develop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limitations of visual thinking lesson and improvement items which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e learner side and the instructor side. At first, as a matter to be improved on the learner's side, first, a teacher's demonstration is needed so that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the visual thinking technique. Early on, teachers need to demonstrate examples of visual thinking, or show the demonstration, and become familiar with visual thinking, so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become familiar with visual thinking and to master the activities of drawing. Second, the non-educational factors that can appear in the students' activities and the pre-instruction of the teachers about the misconceptions are needed. There is a need to instruct students not to draw non-educational pictures for fun out of the learning topic, and the instructor should lead students to have correct historical awareness through pre-instruction. Third, in order to smooth teaching, block time system and various learning tools should be prepared. Through block time, students have enough time for structuring and expressing their learning contents, and if using colored pencils, magic, sign pen, learning cards, tablet pc, multimedia etc., it would be effective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class activities with interest. As a matter of improvement for teachers, First, policy promotion of new teaching methods is needed. In the educational aspect of teacher college pre-service teachers, lectures or program development related to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activated. Seco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extbooks for visual thinking classes is needed.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visual thinking to the educational field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of a sequential class material by historical events or themes. In the future, experimental research that suggests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be a guideline for new teaching methods for teachers should be activ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iculum of teaching subject for pre-service teachers.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is changing to focus on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However, the curriculum of the teaching subject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s still focused on basic academic and theoretical lessons, which are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the educational scene. Instructional design methodologies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educational field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ing subjects of the student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is study introduces visual thinking class which is one of the activity-based classroom teaching methods which is becoming a trend of new educational method through preliminary teacher. And it can be found in that it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thinking class an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education using 'visual thinking'. 시대가 변하면서 교육방식에도 새로운 변화가 다가오고 있다. 그 새로운 변화 중 하나가 최근 활동 중심 수업의 유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비주얼 씽킹’이다.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에 대한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하여, ‘비주얼 씽킹’이 역사교육에서 가지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확인해 보고, 최종적으로는 중등 역사교육에서 비주얼 씽킹의 활용과 발전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교육 실습 기간에 강의식 수업과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활동 중심 수업을 모두 진행해 보았다. 그 결과, 강의식 수업에서는 수동적으로 교수자의 강의에 응하던 학생들이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활동식 수업을 할 때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한다는 것을 경험했다. 이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는 학생중심 지식구성 수업의 필요성을 느꼈고, 이를 가능하게 도와줄 수 있는 수업모형이 ‘비주얼 씽킹’이라고 판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을 파악하고 비주얼 씽킹 수업의 효용성을 확인함으로써 역사 수업에서 비주얼 씽킹 수업의 교육적 활용 단계와 교육적인 면에서의 긍정적인 측면을 정리하였다. 둘째,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의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고자 본교의 재학생 및 졸업생을 포함한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에게 설문조사 방 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설문지 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를 서술하였다. 셋째, 비주얼 씽킹 수업은 아직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교수법이지만 설문을 통해 살펴본 결과, 예비 교사들은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해 창의적이고 의미가 있는 효 과적인 수업으로 받아들였으며 전반적으로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중등 역사교육에서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실험연구를 시행한 것이 다른 교과에 비해 미흡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역사 과목에서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수업의 사례와 학생 활동 레이아웃을 제시하였다.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가 차후 현직에 나아갔을때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의 증진과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기르는 학생 활 동 중심의 수업을 구안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비주얼 씽킹 수업의 한계와 개선해야 할 사항을 학습자의 측면과 교수자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학습자의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첫째, 학생들이 비주얼 씽킹 기법에 익숙해지도록 교사의 시범이 필요하다. 초반에는 교사가 먼저 비주얼 씽킹의 예시를 보여주거나 시범을 보이고 학생들이 비주얼 씽킹에 익숙해지도록 하여 그림 그리는 활동을 숙달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의 활동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교육적 요소와 오개념에 대한 교수자의 사전 지도가 필요하다. 재미를 위해 학습 주제에서 벗어나는 비교 육적 그림을 그리지 않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수자는 사전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갖추도록 이끌어줘야 한다. 셋째, 원활한 수업 진행 을 위해 블록타임제와 다양한 학습 도구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블록타임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구조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활동 시간을 마련해주고, 여러 가지 색상의 색연필, 유성매직, 사인펜, 학습카드, 태블릿 pc, 멀티미디어 등을 활동 수업에 함께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수업 활동에 임하도록 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어서 교수자를 위한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첫째,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정책적 홍보가 필요하다. 사범대학 예비 교사의 교육적 차원에서 다양한 교수법과 관련된 강연 또는 프로그램 개발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비주얼 씽킹 수업을 위한 다양한 자료 및 교재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현장에 비주얼 씽킹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건이나 주제별로 계열화한 수업 자료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교수자를 위한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실험 연구가 활성화되 어야 한다. 셋째, 예비 교사를 위한 교직 과목의 커리큘럼에 변화가 필요하다. 현 교육현장은 창의력, 비판적 사고, 소통, 협업 능력 신장 위주로 변해가고 있으나, 사범대학 학생들이 배우는 교직 과목의 커리큘럼은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하기 힘든 기초 학문과 이론 수업에 여전히 치중되어 있다. 사범대학 학생들의 교직 과목에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설계 방법론을 포함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 방식의 트렌드가 되어가고 있는 활동 중심 수업의 방법 중 하나인 비주얼 씽킹 수업을 예비 교사를 통해 소개하고 비주얼 씽킹 수업의 효용성과 개선해야 할 방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역사교육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를 위한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세계사교육에서의 서구중심적 역사관에 관한 일고찰

        강남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91

        이글은 우리가 중·고등학교 때 배웠던 세계사의 체계와 학습내용이 다분히 유럽 중심적이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역사에서의 서구중심주의의 본질과 그 대안으로서의 세계사 교과의 구성 체계와 서술 방향을 파악코자했다. 서양은 고대에서부터 자신들에게 위협이 되던 막강한 오리엔트 세력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 오리엔트를 자신들과는 상반되는 ‘미개’, ‘야만’등의 이미지로 형상화시켰으며, 이러한 부정적·억압적 타자화를 통해 유럽은 오히려 자신들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갔다. 이렇게 형성된 유럽 정체성의 근간은 세계에 대한 서양의 우월성이었고 이는 서구중심주의의 시초가 되었다. 이 같은 서구중심주의는 18세기 이후 서양의 국민국가 형성, 경제적 산업화, 합리주의적 계몽사상의 발전과 함께 더욱 기승을 부리게 되었다. 서구의 사회와 경제형태, 과학기술 등은 소위 ‘근대화’의 지향점으로 추앙받았고, 서구는 민주주의· 산업화를 기준으로 세계를 평가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착화된 서구중심주의는 점차 ‘오리엔탈리즘’과 같은 서구 중심의 동양에 대한 지배 담론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사회 지식 체계들과 융합되면서 더욱더 심화· 재생산되었다. 이렇게 덩치를 불린 서구중심주의는 각국의 역사 교육으로까지 전이되었으며, 제국주의시대와 대전을 거치면서 세계는 서구의 이러한 세계사 인식 체계를 그대로 수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대한제국 말, 일제의 영향아래 성립되었던 새로운 세계사 구성의 틀은 사회 진화론에 근거한 약육강식의 국제 현실을 반영한 것이었다. 세계사 인식과 그 서술에서 서구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제시와 논의들은 단계적으로 계속되어왔다. 그리고 그와 관련한 최근의 논의들은 ‘다원주의’와 ‘상호 관련성’으로 그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 있어서는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궁극적 인식 태도에 있어서는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원주의’와 ‘상호 관련성’ 역시 그 실행에 있어서는 많은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서구 중심의 보편사를 극복하고, 편협적 민족주의를 벗어난 진정한 의미에서의 ‘다원주의’가 과연 가능할 것이며, ‘다원주의’에 입각한 역사인식과 서술에서 그 기준점은 과연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가 바로 다양성과 개별성을 바탕으로 하는 ‘다원주의’적 역사 인식 방안들의 위험 요소이며 과제들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들의 핵심은 역사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그 무엇도 절대적 요소로 가정하고 단정하지 않는 ‘개방성’을 갖는 것이다. 모든 역사적 개념과 원리, 범주들은 다만 하나의 가설에 지나지 않을 뿐 법칙화 되어있는 것은 없다. 모든 역사적 사건들은 열려 있어야 하며 새로운 결과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역사 인식과 서술체계에서의 개방성은 실제적으로 역사교육 분야에서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때문에 우리는 역사 인식에 대한 변화 노력을 단순히 인식적 차원에서만 논의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이것을 역사 교육적 차원, 교과 서술적 차원으로까지 진전시켜야 한다. 새로운 대안이 역사 교육적 차원에서 그 실천성을 확보했을 때, 그때 그것은 진정한 실효를 거두게 되는 것이며, 또 그랬을 때, 우리의 성립부터 어그러진 세계사 교육 구성 체계도 비로소 변화하게 될 것이다.

      •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국사교육의 계열성 연구 : 고려시대사를 중심으로

        배기운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91

        우리나라의 국사교육은 외부적으로 일본은 교과서 왜곡이나 독도관련 망언들로, 중국은 동북공정으로 우리의 고대사를 중국의 자국사로 편입시키려는 움직임으로 우리의 역사를 뿌리채 흔들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제7차 교육과정 하에서 국사, 한국근현대사, 세계사 과목 모두 선택과목 11개 중의 하나로 학생들에게는 암기과목으로 전락하였다. 하지만 국사교육은 민족의 뿌리를 찾고, 우리 민족이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현재의 우리의 삶의 모습과 비교해보고, 올바른 미래상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국사교육이 흔들리면 나라의 근간이 흔들리는 것이며, 민족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된다. 세계화라는 거대한 조류 속에서 민족의 정체성이 없다면 결국 그 세계화의 용광로 속에서 녹아버릴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국사교육은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다. 현재 국사교육은 초?중?고에 걸쳐 학습되기 때문에 내용이 반복되는 학습에 대한 계열성 논의가 나타나게 되어있다. 이런 계열성의 문제는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논의되어온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지만 실제 교과서에서는 그 논의가 충실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연구되었다. 계열화는 선행내용을 기초로 후속 내용을 전개하되 점차적으로 내용의 확대?심화?향상을 꾀하는 것을 말한다. 이전 학습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계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전과 달라야 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니게 된다. 즉 초등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기초로 중학교의 학습내용을 선정해야 하고, 중학교의 학습내용이 초등학교의 그것에 비해 심화?확대?향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고등학교도 마찬가지이다. 각 학교의 국사교육 내용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야 하는데 반드시 이전 단계의 학습내용과 일정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계열화의 문제는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동일한 내용이 반복되고 있다는 비판이 계속된다는데 있다. 국사교육의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로부터 축소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될 수 있는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 하에서 국사교육은 초등학교에서 생활사, 중학교에서 정치사 위주의 통사, 고등학교에서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분류사로 되어 있다. 초등학교에서 역사를 접하고, 중학교에서 역사의 흐름을 잡아, 고등학교에서 분류사로 살을 붙여 종합적인 역사를 학습하게 하는 것이다. 학습편제상은 차이점이 분명하지만 내용상은 같은 범위를 학습하기 때문에 여전히 반복학습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초?중?고등학교에서 국사교육을 각 학제마다 한번은 마쳐야 하는 상황에서 내용은 반복될 수밖에 없으며 역사용어도 초등학교, 중학교에서 70%가 중복되고 있으며,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80%가 중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계열성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역사용어의 수준도 초등학교는 일상용어로 풀어 쓰려고 노력한 반면, 중학교에서는 이미 전문적인 역사용어와 한문들로 구성되어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국사』교과서는 내용만 본다면 어느 교과서인지 구별되기 쉽지 않을 정도로 수준차가 그리 크지 않다. 그렇게 때문에 학생들이 국사를 어렵고, 부담스럽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고, 전 학제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내용을 선정하고, 용어를 선별하는 계열화 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국사교육이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역사교육의 계열성 문제에 대한 대안점은 초?중?고의 교사들이 공동으로 계열화 작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작업을 통해 전 학제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학습의 수준과 내용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국사교육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국가, 교사, 학생들의 유기적인 협력도 필요하며 전국역사교사모임 같은 단체의 공동작업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학습수준과 역사의식의 발전단계 등을 고려한 계열성의 확보는 국사교육에서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국사』교과서의 이해를 위해 역사용어집의 제작이 대안으로 보인다. 역사교사들이 연계하여 만들 수도 있겠고, 한문과목 교사들과 협력하여 제작할 수 있겠다. 그리고 전자 교과서의 활용도 있겠다. 전자 교과서는 뜻이 풀이 되어있는 단어는 형광펜 기능이 되어 있기 때문에 국사학습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자사전의 활용이 있겠다. 학생들에게 많이 보급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자사전에 ‘브리태니커 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새로 쓴 국사사전’등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겠다. 현직 교사들이 집필한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역사용어사전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역사교사들이 제작한 홈페이지를 통한 학습도 가능하다. 또한 국사학습에서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교과서 서술에 의해 나열식으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대부분 수업을 진행한다. 역사의 기본적인 설명 방법은 ‘개념?용어 설명’, ‘총괄 설명’, ‘비교 설명’, ‘유추 설명’, ‘인과 설명’등이 있다. 상황에 맞게 설명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수업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리고 총괄방법에 의해서 구조도나 도표로 정리해주면 학생들이 내용을 이미지화 하고, 정리하기 용이할 것이다. 또한 교사가 교과서를 바탕으로 수업을 재구성하는 방법도 있다. 교과서만 보면서 하는 수업은 학생과 교사간의 소통이 어렵다. 학생들이 문자 텍스트보다 이미지 텍스트에 익숙함으로 ppt 제작이나 영상물 등을 통한 수업 방식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재일한국학교의‘한국역사’교육실태와 개선방안

        이경훈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91

        ABSTRACT Korean History’Education status of Korean School in Japan and the Method for Improvement Lee, Kyung Hoon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shin University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e been living with experiencing the ethnic discrimination and the economic difficulties in Japan. In spite of it, they have been maintained the ethnic identity by teaching the history of Korea and the traditional culture to their children. Korean Schools in Japan are responsible for ethnic education of the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thnic educ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from 1965. So they sent the teachers and principals, and supported the budget. While people who live here to stay in Japan increase,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has changed. Some of the Koreans in Japan, people who naturalized with or married to a Japanese is increasing. Third or forth- generation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e experienced confusion in identity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with South Korea by using mother tongue as the Japanese. As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changes, ethnic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in order to help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be able to live in Japan with confidence, rather than increase the ethnic identity. However, education of "Korean History" in Korean-schools has been advanced without the formal curriculum and textbooks. This does not suit the changed ethnic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took a look at how the education of "Korean History" is proceed and recognized the problems. And I took a survey to students and interviewed teachers by visiting the three Korean-Schools in Japan. I understood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history of South Korean students through this. And I presented a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resolution of the problems of education of "Korean Hi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of “Korean History” should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students’ language level, knowledge level, and their living environment. The students of Korean-School settle in Japan using Japanese as their mother tongue. The knowledge of “Korean History” Korean-School students in Japan have is basic compared to the one upper elementary students or middle school students have in the home country. Materials must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students. Second, the contents of knowledge must be selected for the students in order to live in Japan with pride in the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rather than to emphasize the ethnic identity. “Korean History” has evolved through conflicts and lively exchanges with other ethnic groups around. In particular, it should be treated as an important matter that active exchanges with Japan had a major impact on Japanese history and Korean history. Third, to treat the histor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a significant item is necessary for Korean-School students to live as “Korean residents in Japan” with the confidence. It must be known to them that “Korean residents in Japan” live in Japanese society overcoming the ethnic discrimination. This contributes greatly to the formation of identity as “Korean resident in Japan”. Fourth, we need to let them know that they have interests i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not to end with the simple delivery of knowledge of the history and the traditional culture. We have to introduce a variety of problems happening in the history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now, and have to inform the importance of the unity by teaching the pain from the division shown in Japan. Fifth, to ensure the excellent “Korean History” teachers is as important a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of “Korean History”. We must recognize that the composition of student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Schools in Japan are different from those in China and Vietnam. Moreover, we need political efforts to create favorable conditions that they can be concentrated on ethnic education. 국문초록 재일한국학교는 일본 내의 민족차별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재일한국인 학생들이 한국어와 한국역사, 전통문화 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뿌리를 찾고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꾸준히 민족교육을 추진해오고 있다. 한국정부도 1965년 한일수교 전후부터 재일한국인의 민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교관리자와 교사를 파견하고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재일한국인 사회는 본국으로 귀환하는 사람들보다 현지에 정착하여 생활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변화하고 있다. 현재 재일한국인들 중에는 일본인과 결혼하거나 일본으로 귀화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 태어난 재일한국인 3세, 4세들은 한국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일본어를 모어(母語)로 삼고 한국을 경험하지 못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재일한국인 사회의 변화에 따라 재일한국인에 대한 민족교육은 민족정체성의 강화보다 재일한국인으로서 자긍심을 갖고 일본에서 당당하게 살아가는 힘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재일한국학교에서 민족교육의 일부를 담당하는 ‘한국역사’ 교과의 수업은 정식 교육과정과 교과서도 없이 진행되고 있어 위와 같이 변화하는 민족교육을 수행하는데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일한국학교 3개교를 직접 방문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와 담당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재일한국학교에서 ‘한국역사’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한국역사에 대한 인식과 지식수준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역사’ 교과교육의 문제점 해소와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역사’ 교과교육은 학생들의 언어수준과 한국역사에 대한 지식수준, 이들의 생활환경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 재일한국학교 재학생의 대부분은 일본어를 모어(母語)로 생활하며 일본에서 살아가려고 한다. 또한 한국역사 지식은 본국의 초등학교 고학년 또는 중학교 기초 수준이다. 이러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재가 제작되어야 한다. 둘째, 민족정체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자신이 한국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자긍심으로 갖고 일본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내용지식이 선정되어야 한다. 한국의 역사가 주변지역, 다른 민족과의 활발한 교류와 갈등을 통해 변화,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일본과의 활발한 상호교류가 한국역사와 일본역사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내용선정의 주요사항으로 고려해야 한다. 셋째, 재일한국인으로서 일본에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줄 수 있도록 재일한국인의 형성에 관한 내용을 주요항목으로 선정해야 한다. 재일한국인이 오랜기간 동안 민족차별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권리를 찾기 위한 활동을 통해 일본사회에서 당당하게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여 재일한국인으로서 정체성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일본사회에서 재일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한반도의 통일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단순히 전통문화와 과거 역사에 대한 지식전달에 그치지 않고 현재 분단된 한반도의 역사에서 전개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소개하고 일본에서 나타나는 분단의 아픔을 내용요소로 삼아 통일의 중요성을 일깨울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한국역사’ 교재개발 만큼 중요한 것이 우수한 ‘한국역사’ 담당교사를 확보하는 것이다. 재일한국학교의 역사적 배경이나 학생구성이 중국이나 베트남 등지의 재외한국학교의 그것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들이 민족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도덕교육에 나타난 역사인식

        이동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역사는 사회 현상과 인간의 활동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학문이다. 역사교육 이외에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대표적인 과목이 도덕이다. 역사교육에서는 종교나 사상이 나오고 발전하게 된 사회적 배경, 그것이 국가의 정책이나 개인과 집단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시한다. 이에 반해 도덕교육에서는 이론이나 사상의 내용 자체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도덕은 개인의 인권 및 자유와 욕구를 존중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덕적 판단 능력과 인격을 닦는데 중점을 둔다. 이에 반해 역사교육에서는 역사적 사실의 시대적 배경이나 상황을 중시한다. 어떤 사상이 나오게 된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며, 사회 변화에 따라 이 사상이 어떻게 전개되며,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사상의 내용에 중점을 두는 도덕교육과는 달리 시대적 배경이 강조되며, 개인의 인격형성보다는 사회적 영향을 중시한다. 역사교과서는 인물을 개인적 존재보다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다룬다. 이에 반해 도덕교과서는 인물의 개인적 가치관을 강조하는데 힘을 기울인다. 역사교과서는 인물의 행위에 주목을 하지만 인물 자체의 성격은 자세히 서술하지 않는다. 반면,도덕교육에서는 역사적 사건의 흐름보다는 그 속에 담긴 인간관이나 세계관에 초점을 맞춘다.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실제 도덕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어떤 역사인식을 전달하는지 살펴보았다. 역사교사는 이황과 이이를 동인과 서인을 대표하는 인물로 여겨 조선시대 붕당정치를 다루는 단원에서 설명하는 반면, 도덕교사는 이황의 주리론과 이이의 주기론이라는 개인의 사상의 틀 속에서만 설명한다. 논문에서 도덕교육과정, 도덕교과서, 도덕수업을 통해 도덕교육에 나타난 역사인식을 살펴보았다. 도덕과 역사 교과서 서술의 차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수업이 이루어진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첫째, 도덕교육에서는 인물의 가치관을 중요시한다. 이제까지 역사교육은 역사 인물을 사회적 상황 속에서 가르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래서 인물 개인의 선택보다는 그런 행동을 하게 만든 사회 상황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렇지만 역사 행위는 선택의 결과이다. 인간 선택의 결과가 역사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도덕 교육의 역사 인물 접근 방식은 역사교육에서도 참고가 될 수 있다. 학생들은 역사적 행위가 상황에 대한 판단과 선택의 결과라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을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둘째, 도덕과목과 역사과목에 함께 나오는 역사적 사실을 가르치거나 평가를 할 때, 두 과목의 교사가 협력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이황과 이이의 성리학을 수업하면서, 두 사람의 주리론과 주기론의 논리를 도덕수업과 도덕과 평가에서 맡고, 이들의 논리를 현실정치에 적용하는 실천 방안을 역사수업과 평가에서 할 수도 있다. 셋째, 역사교사와 도덕교사의 양성과정에서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강좌를 편성한다. 역사와 도덕교육에는 많은 사상과 인물이 나온다. 역사학이나 윤리학의 관점에서 역사적 사실에 접근하는 방법과 이들에 대한 인식을 서로 배울 필요가 있다.

      • 공공역사(public history)시대의 학교 역사교육 : 구술사 방법의 교육적 함의 찾기

        김경아 경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91

        Today our society has begun to engage in the production of the public’s historical knowledge beyond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in which the public enjoy and consume history, which can be expressed by the concept of ‘public history’. Public history refers to the creation, consumption and sharing (communic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ogether with historical experts and the public in spaces, including areas outside the system, as well as institutions within the system, such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increasing role of popular historians, the sense of crisis in the professional history academia, the logic of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at enable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mass history, and the interest of the historians and history education acadimia in this regard have aroused the discussion of public history. There are also expectations of public history and concerns about its side effects. They include the accuracy and objectivity of histor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imbalance between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values, excessive simplification and distortion caused by commercialization, and the fall into employment programs. School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ublic sphere, are given the legitimacy and responsibility to publicize and mitigate these issues.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 of public history lies in the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as the main agents of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he aim of academic democrat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democratic civil society where the public good is realized nationally and socially. Therefore, the school is a place where the goal-oriented public history of preparing democratic citizens should be practiced. Given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reveal the context and source of diverse and heterogeneous memories and teach them to understand them,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work of historicalizing various personal memories. The work of historicalizing various personal memories can utilize oral history among the various forms of public history. The oral history is of great value. Students are easily approached and make students participants in history production. It allows us to understand history vividly and experience the activities of historians. It makes the lives of socially excluded groups, minorities and ordinary people historical, recognizing individuals as the subject of history. It also affects practical moves to call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 by creating social public opinion on past history issues that require social resolution. Learn the truth of the past that has not been revealed in official history memories, in this process, democratic values and democratic civic awareness can be internalized. Classes using oral history methods can be seen as the making history through oral interviews related to specific historical subjects, and oral life history composition that reconstructs past history through the life of an individual. Based on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decision-making model, the oral lesson model will be progress as follows. 1. the selection of topic and take a class 2. pre-survey 3. oral interview 4. recording data and aking history 5. making works 6 history communication (sharing) and evaluation. Public history is just about to be introduced, and discussions should be activated along with school public history. The oral history model of the text is a proposal that requires exploration through actual application, and in addition to oral history, various methods of practicing public history of schools should be explored.

      • 중등교육 역사수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현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정윤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91

        대한민국의 역사교육은 역사적 사고력과 통찰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여 국가 주도의 공교육에서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입시와 성적 위주의 사회풍조, 사교육의 성행과 의존도의 증가로 인하여 공교육의 의도는 퇴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많은 정부의 노력과 교육과정의 개편으로 활로를 모색하였지만 현실의 결과는 획기적이지 못했다. 그 결과, 본래의 역사적 사고력과 통찰력을 기르는 목표에서 벗어나 공교육에서도 입시와 성적을 중요시하며 그 것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주입식·암기식 교육이 성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입식·암기식 교육은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잃게 하며 역사교육의 참된 목적을 상실하게 된다는 의식에서 시작되었다. 탁상공론에서 벗어나 역사교육의 각 참여자들의 인식을 직접 조사하고 현장의 문제점과 요구점을 파악하여 주입식·암기식 교육에서 탈피해 교실에서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충북 영동군에 소재한 중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대전 서구에 소재한 중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0여명, 해당 지역의 중·고등학생의 자녀를 둔 학부모 100여명, 해당 지역의 중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의 역사과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역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역사교육에 관련된 각 주체들의 인식을 구분하여 학생 군, 학부모 군, 교사 군으로 나누었고 학생 군과 학부모 군에게는 역사교육, 공교육, 사교육의 인식과 역사수업에 대한 요구점을 설문하였다. 그리고 교사 군에게는 역사과 교사로서의 자질의 인식, 교수법, 현장의 의견을 설문하였다. 각 주체들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각 주체별로 구분하고 현장의 문제점과 요구점을 파악하고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실현가능한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생 군과 학부모 군은 역사교육의 필요성은 크게 느끼고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공교육에서 진행 중인 주입식·암기식 교육에는 불만을 표하고 있었고, 새로운 교수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 군에서는 대부분이 입시와 성적에 치중되어 주입식·암기식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 그러나 새로운 교수법을 통해 역사교육에 대한 공교육 활성화를 모색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교육에서의 역사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세 가지 교수법을 제시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토론학습이고, 두 번째는 문제중심학습(PBL), 세 번째는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이다. 이러한 세 가지 교수법에는 공통점이 있다. 기존의 주입식·암기식 교육인 ‘교사 중심의 교육’에서 ‘학생 중심의 교육’으로의 전환인 것이다. 그리고 ‘학습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을 통해 학습자의 주도적·능동적 학습태도와 논리적·비판적 사고력을 기대할 수 있고, 인지과학 측면에서도 학습의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교육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장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현실적으로 반영이 가능한 방안들을 통하여 역사 수업에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고, 본래의 역사교육의 목적이나 목표, 그리고 올바른 역사의 가치관이 성립될 것이라 기대해 본다.

      • 시민단체의 통일역사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 통일교육협의회 회원단체를 중심으로

        이지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논문은 통일교육협의회에 소속된 73개 단체 중 61개 시민단체의 성격과 통일역사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시민단체의 통일역사교육이 보다 발전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시민단체는 교육 대상, 형식, 기간 등을 자율적으로 지정할 수 있어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 적합한 통일교육을 제공하기에 효과적이다. 또한 역사교육은 해방과 분단, 6·25전쟁 등 통일과 관련된 실제적인 사건을 다룰 수 있어 통일교육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먼저 시민단체의 성격을 조사한 결과, 개신교·불교·천도교·통일교 같은 종교 단체가 존재했고, 사업은 통일 관련 연구, 남북교류, 대북 지원, 북한이탈주민 지원 사업을 진행하였다. 어린이·여성·장애인·청년·청소년이라는 특정 대상을 중심으로 통일교육 사업을 진행하는 단체도 있었다. 그 다음으로 통일역사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성격을 지닌 시민단체 중 통일역사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단체는 25개 단체였고, 정기적이면서 통일역사교육만을 주제로 교육 사업을 진행하는 단체는 6개 단체였다. 6개 시민단체의 통일역사교육 사업 목표는 종합적으로 ‘진실에 기반한 역사교육을 통해 분단의 현실을 체감하고, 올바른 역사관·민족의식·통일관을 갖도록 하여 미래의 통일을 이끌어갈 인재를 키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시민단체에서는 통일역사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제강점기와 항일운동’, ‘해방과 전쟁’,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대한민국 수립’, ‘민주화 운동’ 등을 주요 주제로 역사교육을 진행하였다. 시민단체는 통일역사교육 형식으로 교육 콘텐츠 개발, 강의·토론, 탐방, 체험, 그리고 이 방식들을 병행하는 복합 형식을 통해 통일역사교육을 진행하였다. 또한 각각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시민단체들 중 얼마나 많은 단체가 통일역사교육을 진행하는지 통계적으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민단체 통일역사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시민단체는 통일역사교육을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확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통일교육원, 대학, 초·중·고등학교 등 통일교육이 이뤄지는 여러 곳에서의 통일역사교육 위상이 높아져야 한다. 둘째, 시민단체는 통일역사교육 내용으로 통일에 필요한 가치관과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역사적 사건을 다뤄야 한다. 셋째, 시민단체는 어린이, 청소년, 장애인 등 특정한 사회 구성원의 특성에 초점을 둔 통일역사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넷째, 시민단체는 통일역사교육의 형식을 발전시키고 다양하게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시민단체는 통일역사교육을 정기적으로 운영하여 역사를 기본부터 심화된 내용까지 연속적으로 다루고, 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features 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unification history in 61 CSOs among 73 member organizations of Education of Unification Council and suggests improvement plans for CSO’s education of unification history. Due to the autonomy of designating educating targets, forms and period, CSO is efficient for providing proper education of unification in pluralized modern society. Also, history education can cover the actual cases related to unification including the liberation, the division and the Korean War, being a significant cornerstone of unification education. First of all,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features of CSOs, religious organizations such as Christianity, Buddhism, Cheondogyo and Tongilgyo existed and they have been running diverse social business including conducting unification-related research, exchanging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iding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defectors. Some of them have been doing social business related to unification specialized with specific targets such as children, women, the disabled, youth and teenagers. Nex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unification history, among CSOs with various features, 25 of them were proceeding education of unification history and 6 of them have been running education projects that are regular and focusing on history of unification. The objective of those 6 organizations can be ‘Having them to experience the reality of the division through the education of history that is based on the truth and cultivating talented leaders who can lead unification of the future with the proper view of history, national peoplehood and unifi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ir education focused on main topics such as ‘Japanese occupation and anti-Japanese movement’, ‘the liberation and the war’,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nd Establishment of Korea’ and ‘pro-democracy movement’. They took the form of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lectures and discussion, site visiting, field trip and mixed of them. Also, how many organizations among those CSO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are examined statistically. Finally, the improvement plans for CSO’s education of unification history are followed. First, CSOs should extend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history both in size and in quality. For this, the status of education of unification history should increase at places where it is proceeded including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universities and elementary as well as secondary schools. Second, CSOs should deal with historical events that can foster the attitude and values necessary for unification as contents. Third, CSOs should conduct the education focusing on particular members in society such as children, youth and the disabled. Fourth, CSOs should develop and prepare for various forms of education. Fifth, CSOs should offer education of unification history regularly in order to cover history from the base to the intensive themes consecutively and develop continuously through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