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남조 시의 창작방법 연구 : 몸살의 시학과 시적형상화를 중심으로

        홍미경 한남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35359

        김남조의 시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그가 구축하고 있는 시세계의 넓이와 연륜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그나마 얼마간의 평문들이 그의 시세계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주로 그의 내용적 특성에 대한 관심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것들은 김남조가 탐구하고 있는 것이 생명의 시학이며 사랑의 시인이라는 점과, 그 사랑의 심화는 절대적 신앙의 경지를 이루고 있다는 것에 대체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즉, 김남조의 시세계와 삶이 기독교적인 면모로 성숙되어지고, 그가 바라보는 세계관과 가치관 또한 신앙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그의 시적 특성과 작품세계의 분석으로만 연구되었을 뿐, 시창작 방법 면에서의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필자는 김남조의 시를 바탕으로 하여 시창작 방법론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고 김남조 시의 창작원리를 몸살의 시학으로 파악하고 그것이 어떻게 시적으로 형상화 되는가를 통해서 그의 시세계를 고찰하고자 했다. 아울러 김남조 시창작 방법이 오늘에도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차원에서, 몸살 시학의 현재적 의미를 밝혀보았다. 본고의 연구범위는 김남조의『김남조시전집』에 실린 15권의 시집으로 하여 그의 시창작방법론을 고찰하였다. 작품을 연구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크게 세 단락으로 나누어 주목하고자 했다. 먼저 2장에서는 시인이 시를 쓰기에 앞서 시인이 가져야 할 시정신과 시인의 삶을 살피고자 하였다. 어떠한 현상을 보며 그저 자신의 경험으로 두지 아니하고 시로써 그려내고자 하는 것이 시정신이다. 또한 다양한 삶의 모습 가운데 오로지 시정신으로 시를 창작하고 살아가야 하는 시인의 삶이 곧 시인이 평생 앓고 있는 시의 몸살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를 김남조 시의 창작 원리로 ‘몸살의 시학’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남조의 작품세계를 연구하며 시인이 갖추어야 할 자세와 역할이 무엇이며, 시인은 무엇을 추구하고 시를 창작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적 지향점을 찾아보았다. 3장에서는 몸살의 시적 형상화를 다루어 그의 시세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1. 사랑과 믿음의 정신, 2. 신앙과 평화의 전언, 3. 이상적 세계와의 소통, 4. 허무와 갈등의 극복, 5. 고뇌의 시간과 자아성찰 등의 다섯 가지의 주제로 김남조의 시세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몸살 시학의 현재적 의미를 말하고 시인의 위치와 시정신 그리고 시적 지향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문학교육과 시창작 방법론에 몸살 시학이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밝혔다. 김남조의「몸살」은 시인이 시를 쓰기 전에 먼저 세상과 나를 향한 시의 아픈 눈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것은 인간과 자연, 사회와 사람 사이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관계를 맺는 모든 것에서 인간은 삶의 ‘몸살’을 앓을 수밖에 없으며, 그것은 또한 인간이 생생히 살아있음을 나타내는 역설을 보여주기도 한다. 시는 항시 세상과 시인에게 있어 가장 진실되게 표현되는 부분이며, 가장 민감한 문제와 현상에도 먼저 밝게 깨어 바라보는 눈을 가지고 있다. 시를 쓰기 전에 ‘몸살’부터 오는 시인의 고통스러운 ‘몸살’, 자연의 섭리 속에서 끈질기게 버텨내는 자연의 ‘몸살’, 그리고 세상 사람들이 느끼는 삶의 ‘몸살’ 등은 시가 세상과 나를 향해 보내는 지독한 아픔일 것이다. 현대사회 시인의 몫은 대상과 사물의 이미지를 가슴으로 절실히 느끼는 일이며 직관적으로 삶을 담아내는 일이다. 오늘날에 자연과 인간의 심각한 병폐와 상처들 앞에서 통렬하게 시대의 도덕성을 우려하고 또한 인격포기의 부끄러움을 자책해야 한다. 몸살 시학은 자연과 인간을 동시에 치유하고 회복시킬 수 있는 새 활력을 줄 것이다. 시쓰는 이의 충분한 시 몸살이 없다면 그 시는 허무한 창작시에 그칠 것이다. 시정신이 결핍된 시쓰기는 이상적 세계를 넘어서지 못한다. 사회와 문화, 과학과 문학, 자연과 인간의 단절 없는 하모니를 위해 시인은 몸살 시학을 깨달아야 한다. 모든 사람들이 한번씩은 몸살을 겪듯이 시몸살도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시사랑과 시정신을 품어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김남조 시인의 몸살의 시학과 시적 형상화의 방법론은 21세기의 시창작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것이며 탐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 윤동주 시에 나타난 색채감각 연구

        황석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주요 색채감각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의 시인이 느낀 현실인식이 색채감각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시각이미지 중에서 특히 색채감각에 주목한 이유는 윤동주의 시에 유난히 색채이미지나 색채어가 빈번하게 등장하고, 이러한 시지각 경험이 시인의 현실인식과 시대에 대한 정동(情動)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윤동주 시세계 근간의 원체험을 파악할 수 있는 전기적 사실을 검토하고, 윤동주 시인이 집중적으로 시를 창작한 시기인 1930~40년대 일제강점기의 지각경험과 정동의 양태를 살펴보았다. 보는 주체로서 근대적 주체에게 발생하는 정신적 피로와 식민지 조선의 처참한 상황에 대한 지각경험은 윤동주의 색채감각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윤동주의 시세계를 관통하는 주요한 특질이 내면과 깊게 관계하는 자기 성찰에 있으며, 그 성찰의 과정과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그의 시에 나타난 색채감각을 통해 해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식민지라는 시대적 특수성 속에서 섬세한 젊은 지식인의 내면적 자아가 겪는 갈등과 심리적 저항이 어떻게 이미지로 구현되는지를 규명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우선적으로 윤동주 시에 나타난 색채감각을 색채이미지와 색채어로 분류했다. 윤동주 시에 나타난 색채이미지와 색채어의 출현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시적 화자 혹은 시적 주체의 현실인식이 색채감각으로 드러나는 과정에서 관찰되는 특성을 양가성과 운동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색채이미지와 색채어를 크게 붉은빛 이미지, 노란빛 이미지, 푸른빛 이미지, 검은빛·흰빛 이미지로 계열화하여 그 색채이미지에 담겨 있는 정신적 함의를 분석했다. 윤동주는 식민권력의 폭력으로부터 검은빛 어둠과 밤으로 표상되는 불안과 절망의 부정적 현실인식을 가지지만, 산문「별똥 떨어진 데」에서“또 하나 다른 밝음의 초점”에 대한 생각을 드러냈다. 윤동주 시「해비」는 그“밝음”의 시작점, 색채감각이 태동하는 시라고 볼 수 있다. 내면적 자아가 시대의 어둠 속에서 가까스로 발견한 색채감각, 즉 산문「별똥 떨어진 데」의“밝음의 초점”은 이상화(理想化)를 상정하며 보는 주체로서의 색채감각을 주관했다. 시적 주체는 이상화를 상정한 후에 내면적 자아가 주관하는 색채감각은 붉은빛 이미지, 노란빛 이미지, 푸른빛 이미지로 표상되는 각기 다른 상징적 의미로 분산되었다. 그 후에 시「쉽게 씌여진 시」의“시대처럼 다가올 아침”을 기다리는 검푸른빛 암흑에서 특별히 빛나고 있는 윤동주 시세계의 흰빛으로 귀결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먼저 붉은빛 이미지는 육체적 욕망, 혈액, 발열 등의 생리적이고 물리적인 생명이 갖는 비극성을 뛰어 넘어 감정적 영혼의 울림을 일으키는 과거와 현재의 시간 경계를 회상적으로 연결하는 색채로 활용되었다. 윤동주는 ‘촛불’, ‘불’, ‘전등’, ‘매운 고추장’, ‘장미’, ‘고추’, ‘헌 와사등’, ‘황혼’, ‘붉은 사과’등의 붉은빛을 통해 회상을 연결하고 타자와의 상상적 조우를 표현하며 타자에 대한 사랑을 드러내고자 했다. 둘째, 노란빛 이미지는 시대의 검은빛 어둠에서 갈구하는 화해적 세계와 평화를 상징한다. 식민지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초기에 드러나는 노란빛 이미지는 이루어질 수 없는“금잔디밭”과 같은 광물적 몽상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금잔디”는 꽃과 꽃대가 연한 황색빛을 띄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어두워져 가는 시대 상황 속에서 시적 화자가 바라는 평화적 세계의“봄 타령 하던 금잔디밭”은 이루어질 수 없는 광물적 몽상의 평화적 세계와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후기로 갈수록 노란빛은 유년기의 원형적이고 몽상적인 세계를 회상하면서 화해와 평화를 지향하는 마음으로 변용되었다. 윤동주는 노란빛 이미지를‘병아리’, ‘오줌’, ‘민들레’, ‘해바라기 얼굴’, ‘개나리’, ‘노란 배추꽃’등을 통해 형상화했다. 셋째, 푸른빛 이미지는 정신적 상실감을 치유하고 회복과 재생을 염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윤동주는‘절대적 배경’으로서의 무한성을 지닌 푸른 하늘과 같은 정신적 성장을 추구하고자 했다. 푸른빛 이미지 중에서 시적 화자의 하강적이고 상승적인 시선의 이동을 통해서 ‘파란 잔디’, ‘풀잎’, ‘나무’, ‘숲’, ‘산’으로 이어지는 초록빛의 정신적 치유와 재생의 확고함과 견고함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어서‘바다’와‘하늘’로 향하는 수평적이고 상승적인 시선의 이동으로 검푸른빛 바다의 성숙한 치유와 푸른 하늘과 같은 성숙한 정신의 시적 합일을 이루었다. 넷째, 흰빛 이미지는 검은빛으로 대변되는 시대적 광기와 대비를 이루며 신체적·정신적 폭력에 희생당한 타자에 대한 슬픔의 윤리와 생명적 의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성숙한 슬픔은 인류사적 비극 속에서 숭고하게 희생당한 타자를 잊지 않겠다는 윤리로 작용했다. 시적 화자의 상승적인 시선은 ‘초 한 대’, ‘갈비뼈’, ‘흰 수건’, ‘흰 고무신’, ‘흰 저고리 치마’, ‘흰 띠’, ‘흰 옷’, ‘흰 그릇’, ‘흰 그림자’, ‘함박눈’, ‘달밤’, ‘별’ 등의 표상으로 나아갔다. 특히‘별’은 모든 생명과 무생명의 우주적인 탄생과 생명적 영속성을 내포한 상징으로서, 시대적 집단 광기와 절망을 극복하고 사랑과 자유의 보편적 윤리를 지향했음을 잘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본 연구자는 윤동주가 인류사적 광기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병폐 속에서 내면적 자아의 갈등을 극복하고 미래지향적 비전을 발견하면서 화해와 평화, 정신적 치유와 성장, 생명과 의지 등을 추구하였음을 확인했다. 이처럼 윤동주의 시세계는 1930~1940년대 일제강점기라는 현실에 대한 인식과 내면적 자아의 인식이 긴밀하게 맞물려 있으며, 그 관계에서 파생한 시적 사유와 정신적 지향이 색채감각과 섬세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has study focused on the main sensation of color in Yun Dong-ju's poems, and wanted to analyze how the perception of reality felt by the poe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related to the sensation of color. Among visual images, the reason why this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ensation of color is that Yun Dong-ju's poems frequently feature color images and color words, and this experience of visual perception shows the poet's perception of reality and affects perception of the times. It has reviewed legendary facts that could identify the original experience of Yun Dong-ju's poetic world, and looked at the form of affects and the perception experi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1930s and 1940s, when poet Yun Dong-ju intensively wrote poems. Yun Dong-ju's in the sensation of color clearly revealed the mental fatigue that occurs to modern subjects as a seeing subjects and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the horrendous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the Joseon Dynasty. The main characteristic of Yun Dong-ju's poetic world is self-reflec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inner world, and tried to explain the process and direction of reflection through the sensation of color in his poems. Such an attempt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find out how the conflicts and psychological resistance experienced by the inner self of sensitive young intellectual are embodied in images in the peculiarities of the colonial era. First of all, the sensation of color that in Yun Dong-ju's poems were classified into color images and color words. It was intended to systematically classify of color images and color words in Yun Dong-ju's poems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process of real recognition of poetic narrator or poetic subject by the sensation of color, focusing on ambivalence and motility. Based on this, the color images and color words in Yun Dong-ju's poems were grouped into red, yellow, blue, and black and white images to analyze the mental implications of the color images. Yun Dong-ju has a negative perception as anxiety and despair represented by black darkness and night from the violence of colonial power, but in the prose 「Where Stars Falling」, he revealed his thought of“another focus of brightness”. Yun Dong-ju's poems「Haebi」(a sun shower) is a poems in which the "brightness" begins and the sensation of color is about to start. The sensation of color that the inner self managed to find in the darkness of the times, In other words “Focus of Brightness” in the prose 「Where Stars Falling」 presupposes idealization and organizes the sensation of color as the seeing subject. After presenting the idealization, the sensation of color organized by the inner self was dispersed in different symbolic meanings represented by red, yellow, and blue images. It then showed that it was coming down to the white light of Yun Dong-ju's poetic world, which is specially shining in the dark blue darkness, waiting for the “morning that will come like the times” of the poem「an easily written poem」. First of all, the red images was used as a reminder of the time boundarie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at caused the echo of the emotional soul beyond the tragedy of physiological and physical life such as physical desire, blood and fever. Yun Dong-ju tried to show his love and imaginary meeting for the others by connecting memories through red images such as ‘Candlelight’, ‘Fire’, ‘Light’, ‘Spicy Gochujang(red pepper sauce) ’, ‘Rose’, ‘Hot pepper’, ‘Old Wasa-lantern’, ‘Sunset’, ‘Red Apple’. Second, the yellow images symbolizes the reconciliation world and peace yearning for in the black darkness of the times. The yellow images early on in the colonial period were expressed in mineral dreams such as“gold grass fields”that could not be achieved. The“gold grass field singing spring”of the peaceful world desired by the poetic narrator in the darkening times was like a peaceful world of mineral dreams that could not be achieved. However, as the latter period, the yellow images were transformed into a spirit of reconciliation and peace, recalling the original form and dreamy world of childhood. Yun Dong-ju embodied the yellow images through‘Chick’, ‘ Pee’, ‘Dandelion’, ‘SunflowerFace’, ‘Forsythia’ and ‘Yellow Cabbage Flower’. Third, the blue images have the meaning of healing of a mental scar and praying for recovery and regeneration. Yun Dong-ju sought to pursue spiritual growth like the blue sky with infinity as an‘absolute background’. Among the blue images, the poet's down and upward movement of his gaze was intended to reveal the firmness and robustness of green spiritual healing and regeneration leading to ‘Blue grass’, ‘Grass leaves’, ‘Wood’, ‘Forest’and‘Mountain’. Subsequently, the horizontal and upward movement of his gaze towards‘the sea’and‘the sky’achieved the mature healing of the dark blue sea and the poetic unity of the mature spirit, such as the blue sky. Fourth, the white images contrasts with the insanity of the times represented by black light, and contains the ethics and life will of grief for the others who was victimized by physical and mental violence. This mature sadness served as an ethics that did not forget the others who was noblely sacrificed in the tragedy of human history. The poetic narrator's rising gaze moved on the signs of ‘a candle’, ‘a rib bone’, ‘a white towel’, ‘a white rubber shoes’, ‘a white Jeogori skirt’, ‘a white band’, ‘a white clothes’, ‘a white bowl’, ‘a white shadow’, ‘Large snowflakes’, ‘moonlit night’and‘a star’. In particular, ‘a star’ is a symbolize of the cosmic birth and life permanence of all life and inanimate, well demonstrated that it was aimed at universal ethics of love and freedom, overcoming the collective madness and despair of the times. From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Yun Dong-ju pursued reconciliation, peace, mental healing and growth, life and will, and others while overcoming conflicts within his inner self and discovering a future-oriented vision in the midst of human history madness and the ills of Japanese colonial era. As such, Yun Dong-ju's poetic world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1930s and 1940s and the perception of the inner self, It can be said that poetic reasons and spiritual orientation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are delicately related to the sensation of color. Key words: Yun Dong-ju, the sensation of color, colonial power, violence, affects , reality awareness, inner self, ambivalence, motility, recall, meeting, reconciling world, peace, healing, growth, ethics of grief, life, black, white, blue, red, yellow images

      • 무의식을 중심으로 한 메타적 시 쓰기와 환상성

        이소은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작품론은 시 쓰기는 곧 나를 표현해나가는 하나의 승화과정이라는 전제하에 출발한다. 현재의 나, 즉 자기 자신의 존재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하고자 하는 무의식이 표현된 필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프로이트와 융(C.G.jung)의 분석심리학과 메타시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해설하고자 한다. 정신분석학에 따르면 무의식은 마음 속 깊이 내재되어 있는 억압된 사고나 감정, 기억들로 저장되어 있는데 드러나 있는 의식보다 큰 영역을 관장한다. 글쓰기를 포함한 여러 예술작품에서는 무의식 세계가 나타나게 되는데 그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졸업 작품에 나타난 무의식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자기실현으로 가는 자아의식의 과정의 메타시의 성격도 서술하였다. 메타시는 90년대 이후 빠르게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시나 시에 대한 시 쓰기’로 정의되며 ‘이상주의적 메타시로서의 시론 시’와 ‘해체주의적 메타시로서의 시인 시’로 나뉘게 된다. 이 이론은 시에 대한 시쓰기, 소설에 대한 소설쓰기, 희곡에 대한 희곡쓰기가 다름 아닌 패러디의 자기반영성이라는 김준오의 시론과 앞서 연구된 논문들을 참고해 작품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첨부된 작품의 대부분은 무의식과 메타적 시 쓰기에 나타난 환상성이라는 주제에 맞게 수록하였다. 필자의 작품에서는 잠재되어 있던 무의식이 시어나 환상의 세계로 표현되며 무의식 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다. 현실공간에서 확장되어 빈 공간이나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등의 분열을 보이기도 하고, 꿈의 개입으로 현실과 환상의 경계선을 붕괴시키기도 한다. 또한 정신 분석학적으로 꿈 심상을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프로이트에 따라 억압되어 있던 무의식적 욕망이 꿈을 통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함과 동시에 숨겨지거나 가라앉아있던 심연의 공간을 전경화 한 작품들을 주로 수록하였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만드는 과정을 무의식을 환상적 텍스트로 표현하는 것으로 보았고, 이것에 대한 해석을 꺾이지 않는 욕망, 아직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도록 허용된 적이 없는 것들, 즉 이미 존재하거나 '실제로' 보일 수 있도록 허용된 것들과는 대립되는, 보이지 않는 것, 상상적인 것 등에 대한 열망에 대해 말한 로즈메리 잭슨의 이론과 환상적이라는 개념은 실제적인 것과 상상적인 것이라는 개념과 관련하여 정의된다는 츠베탕 토도로프의 연구를 토대로 본 작품론을 서술하고자 한다. 서론 제 Ⅰ장에서는 시를 쓰게 된 동기와 배경을 서술하였다. 평소 자기 자신에 대해 궁금해하고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자문해 온 것이 작품 안에서 시어나 환상성으로 표현된 무의식 세계를 이미지화되었다. 이에 따라 메타시에 드러난 환상성에 대한 해석을 초현실주의 예술의 특징을 바탕으로 해석하였다. 초현실주의자들이 현실을 환상적인 세계로 대체하거나 꿈속에서 나타나는 비논리적인 과정을 초현실에 조화시키려고 한 노력과도 비슷한 양상을 띈다. 본론 제 Ⅱ장 1절에서는 자아탐구와 자기 반영성의 특징을 갖고 있는 메타시에 대한 이론과 메타시 작품을 시론을 바탕으로 작품을 해설하였다. 시 속의 인물로 자신을 나타내기도 하고 객관적으로 보고자 하는 자기비판적인 성격을 담고 있는 작품을 해석하면서 메타시의 자의식, 곧 창조 과정 속의 자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그로 인해 끊임없이 나아지고자 하는 욕구와 자기의 실체를 증명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을 쓰는 행위를 통해 표현했다. 본론 제 Ⅱ장 2절에서는 무의식을 중심으로 필자의 작품에서 나타난 특징 중 환상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더 나아가 프로이트의 이론과 환상성이 이어지는 부분도 함께 서술하였다. 이어 결론에서는 필자가 궁극적으로 쓰는 행위를 통해 달성하고자 했던 것은 시 쓰기라는 실천적 노력을 통해 자아탐구와 자아실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주제어: 자아, 무의식, 메타, 환상성, 회복, 자아실현 ABSTRACT Meta-Poetry Writing and Fantasy centered on the unconscious This work theory starts under the premise that poetry writing is a sublimation process that expresses oneself. I would like to explain based on Freud and Jung's theor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metasy, focusing on my work, which expresses my unconscious desire to constantly think about my present self, that is, my own existence. According to psychoanalysis, unconsciousness is stored as suppressed thoughts, emotions, and memories deeply embedded in the mind, which governs a larger area than consciousness revealed. The unconscious world appears in various works of art, including writing, and based on such a theoretical basis, it tried to analyze the unconsciousness that appeared in the graduation work, and also described the nature of metasi in the process of self-consciousness to self-realization. Metasi began to appear rapidly after the 1990s, and was defined as "writing poetry on poetry or poetry," and was divided into "poet poetry as an idealistic metasi" and "poet poetry as a dissolutionist metasi". This theory attempted to interpret the work by referring to Kim Jun-oh's poetry theory that poetry writing, novel writing, and play writing about plays is nothing but the self-reflection of parodies and previously studied papers. Most of the attached works are included in accordance with the theme of fantasy in unconsciousness and meta-poetry writing. In my work, the latent unconscious is expressed as a world of poetry or fantasy, and the unconscious world is depicted in more detail. It also shows divisions such as expanding in real space and entering an empty space or a new world, and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s collapsed by dream interven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Freud, who said psychoanalyticall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dream images, it suggests that unconscious desires that had been suppressed can appear through dreams, and at the same time, it mainly included works that foreground the hidden or sunken abyss space. The process of making the invisible into visible was viewed as a fantastic text representation of the unconscious, and I would like to describe this theory based on Tshvetang Todorov's study that Rosemary Jackson's theory and the concept of fantasy are defined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the real and the imaginary, which is contrary to the unbroken desire to interpret it, the things that do not yet exist or have never been allowed to exist. Introduction Chapter I describes the motivation and background for writing poetry. Being curious about oneself and asking yourself about how to live in this world has imaged the unconscious world expressed in terms of poetry or fantasy in the work. Accordingly, the interpretation of the illusion revealed in Metasi was interpre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 art. It is similar to the efforts of surrealists to replace reality with a fantastic world or to reconcile the illogical processes that appear in dreams with surrealism. In Chapter II, Section 1 of the main body, the work was explained based on the theory of metacarpheme and metacarpheme work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elf-exploration and self-reflection. By interpreting works that represent themselves as characters in poetry and contain self-critical characteristics that they want to see objectively, they tried to explore Metasi's self-consciousness, that is, the self in the process of creation. As a result, he expressed his desire to constantly improve and the process of trying to prove his reality through the act of writing. Chapter II, Section 2 of the main body, analyzes the illu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y work, focusing on the unconscious, and further describes Freud's theory and the part that connects fantasy. In conclusion, what I ultimately wanted to achieve through the act of writing was that I could reach self-exploration and self-realization through practical efforts of writing poetry.

      • 이상 시의 양자역학적 세계 연구

        김상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5343

        This paper presents a quantum mechanical perspective on the mathematical and physical aspects that have been considered obscure in Yi-sang's poetry. Despite being a writer from a science background, there has been an issue with most of the research conducted on Yi-sang work being carried out by literary scholars. Many of his poems draw on scientific knowledge, yet even with the accumulation of rigorous prior research, it is still challenging to claim that his texts have completely transcended their notorious complexity.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a series of attempts that particularly approached his work through mathematics and the theory of relativity. As a result, Yi-sang's research opened up new perspectives, and this study focuses on one such point of view, employing quantum mechanics. Quantum mechanics, although considered a fringe science compared to the theory of relativity between the years 1900 and the 1920s, serves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Yi-sang, providing a new breakthrough platform to express esprit. In Yi-sang's poetic texts, the quantum mechanical world operates as a mechanism that encompasses various aspects of his unconsciousness. The quantum mechanical world operating within this diverse range of unconscious aspects is closely related to his contemporary physics knowledge and the system of self-consciousness and dream awarenes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note that the cultivated knowledge in a specific field of the author has partially or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uthor's unconsciousness. Furthermore, Yi-sang's unconsciousness is observed through the mechanism of dream awareness, which is presumed to belong to Yi-sang himself. It is diagnosed as the diverse aspects of desires that Yi-sang possesses, desires that could not emerge as a result of the principles of reality surfacing through sleep. These various aspects of desires are analyzed as projections onto the veil of unconsciousness during the process of dream awareness. Examining the various aspects of Yi-sang's poetic texts based on the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 the following breakdown can be made in terms of the contemplative process of this paper: "Ⅰ. Research Method" applies key concepts such as the 5-dimensional tetrahedron and dimensional viewpoints. The 4/5-dimensional viewpoint (separation and union mechanism) and the 5/6-dimensional viewpoint (union and separation mechanism) become essential methodologies for understanding the hallucinatory mechanism and hallucinatory language in Yi-sang's poetry. The "separation and union mechanism" distinguishes the mythological and reductionist aspects of Yi-sang's unconsciousness, while the "union and separation mechanism" serves as a methodology to decipher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and investigative spirit involved in Yi-sang's unconsciousness. "Ⅱ.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Quantum Mechanics to Yi-sang's Poetic World" is a chapter where specialized interpretations of the ideal cosmology, created in conjunction with the civilization of science, take place. The 7-part series "Book of Perception Regarding Lines" The title of the poem "Book of Perception Regarding Lines" is the researcher's second short thesis "The Meaning of the Five-dimension and the Symmetry and Probability of Quantum- In Matrix in the Poems by Yi-Sang)" (2022.5), it is revealed that it has been translated into "The Memo of the Line". One thing to note is that "Line" or "Lines" in the English title is a direct translation, and if paraphrased, it can be translated as "Ray" because "Line" means "ray" in the context of the poem. will be. Is a prophecy of human future written with the sensibilities of a science-oriented individual, thoroughly embracing the new era. The quantumization of the human body occurs due to the emission and collapse of quantum units resulting from superluminal motion. Yi-sang mentions that through movements faster than light, collapsing into quantum states, there is a need for a kind of quantum psychological attitude that time travelers at superluminal speeds must be aware of when encountering their own avatars. Additionally, the world operates as a mechanism that unfolds through "The Name of Vision," which is intimately connected to the origin and constantly subjected to the uncertainty presented in every moment. "Ⅲ. Particleization of the Unconscious Wave, Dream Awareness Mechanism" explores the powerful implication of "Ogamdo: Poem No. 1" as a hint towards dream awareness, while "Ogamdo: Poem No. 8 Anatomy" serves as a meticulous design to test the mechanism of dream awareness. If "Ogamdo: Poem No. 1" was a phenomenology hinting at the symmetry of cosmic forces that operate simultaneously across all directions in the four-dimensional real world, "Ogamdo: Poem No. 8 Anatomy" becomes a structur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o examine the mechanism capable of observing the four-dimensional real world. The unconsciousness is the interpreted entity in Yi-sang's poetic world, consciousness is the creative self that becomes paralyzed, and the semiconsciousness is the observer or the one who describes it while observing. "Ⅳ. Quantum Field and the Field of Semiconsciousness" implies that the universe, represented by a matrix notation (the aspect of Yi-sang's unconsciousness observed by semiconsciousness), is a world where matter and antimatter form a symmetrical relationship. Yi-sang's advanced notation indicates this. Yi-sang's poetic world is a language of the unconsciousness that has caught the attention of the infinite. The issue with Yi-sang's poetry lies in the fact that it was translated using our dimensional language, which cannot fully capture his unconsciousness, leading to the manipulation of our dimensional language to create his artificial language. If dream symptoms have become tools for Yi-sang's creation, then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mechanism can function as a tool for deconstructing creation in reverse. Yi-sang envisions the model of the universe as a triangular design in three dimensions, where the order increases or decreases step by step. Yi-sang told his real name Hae-kyeong Kim that his unconsciousness was the universe within himself and a fractal of the external universe. He struggled to confront and penetrate the unknown world. Living in an era where science became the universally valid spirit of humanity, he desired to deepen his knowledge of advanced physics and observe his inner landscape through the principles of advanced physics absorbed into his self-consciousness. To him, observation was the hidden reality behind the apparent reality, and the apparent reality behind the hidden reality, an experimental spirit that transcended dimensions. The energy fervently consumed throughout this process also became the energy of physical collapse caused by a fatal infection. His language was a simultaneous overlapping of the unconsciousness and semiconsciousness, a language of the illusory reality that our dimensional language could not fully encompass. Pushing the state of creative paralysis into creation, he observed his unrecognized counterparts from the convergence of the unconsciousness, serving as both a guide in describing self-consciousness after dreams and awakening and a clandestine interpreter. Quantum language, serving as the substance and medium of his body and mind, propelled him from being a modern individual to a contemporary one. His brain, the battleground and quantum field where his body and mind were fervently consumed, ensured that the text is always observed by the interpreter of tomorrow. 본 논문은 이상 시에서 난해성으로 말해지던 수리적이면서 물리적인 측면에 대한 양자역학적 관점에서의 연구 결과이다. 이상이 이공계 출신의 작가였음에도 그동안 대다수의 연구들이 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진행되어 온 문제가 있었다. 그의 시 가운데 상당수가 이공계 교양을 기초로 하고 있어 의욕적인 선행 연구의 집적에도 불구하고 이상 텍스트는 아직 악명 높은 난독에서 벗어났다고 판정 내리기 힘들다. 그럼에도 수학과 상대성이론을 바탕으로 접근한 일련의 시도들이 있었다. 그 결과 인문학 연구에서 드물게 수리·물리 각도에서 이상 시 연구는 새롭게 지평을 열었고, 본 연구는 이러한 지평의 한 거점을 양자역학으로 삼는다. 양자역학은 1900년에서 1920년대에 상대성이론과 비교할 때 비주류 과학이었지만, 이상에게는 과학 지상주의라는 시대정신을 표출하는 혁신적인 돌파구의 이론적 바탕이 된다. 이상 시 텍스트에서 양자역학적 세계는 그의 무의식의 다양한 양상의 저변에 작동하는 기제다. 이 무의식의 다양한 양상의 저변 기제에서 작동하는 양자역학적 세계는 그의 현대 물리학적 교양과 자각몽 기제와 긴밀한 함수관계에 있다. 이런 이유로 작가의 특정 분야에 대한 함양된 교양은 일정 부분 또는 지대하게 작가의 무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이상 무의식의 물활은 그가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자각몽의 기제를 통해 응시되고 각몽과 각성 이후 기술과 편집 번역 재기술되는 것으로 진단된다. 이상 무의식은 현실 원칙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될 수 없던, 이상이 감추고자 하는 욕구의 다양한 양상이다. 이 욕구의 다양한 양상은 자각몽 과정에서 무의식의 은막에 사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양자역학적 원리에 기초한 이상 시 텍스트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본문의 각 단계별 고찰 과정을 일별하면 다음과 같다. ‘Ⅰ. 서론-연구 방법’으로 5차원 삼차각, 차원 시점 등의 주요 개념이 적용된다. 4/5 차원 시점(離合 기제)과 5/6 차원 시점(合離 기제)은 이상 시의 환(幻)의 기제와 환(幻)의 언어를 이해하는 주요한 방법론이 된다. ‘離合 기제’는 이상 무의식의 신화성과 환원성을, 合離 기제는 이상 무의식에 개입되는 실존의식과 탐구 정신을 읽을 수 있는 방법론으로 구분된다. ‘Ⅱ. 이상 시 세계에 적용된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은 과학이라는 문명의 이기(利器)에 맞물려 창작된 이상 우주론에 대한 전문 해석이 이루어지는 장이다. 「線에關한覺書」 7부작은 철저히 새 시대를 맞는 이공계인의 감성으로 쓴 인류 미래 계시록이다. 초광속 운동에 따른 양자 단위의 방사와 붕괴로 인해 인체의 양자화는 이루어진다. 이상은 광속 이상의 운동을 통해 양자 원형질로 붕괴되어 자신의 분신을 만날 때 초광속 시간 여행자가 숙지해야만 할 일종의 양자 심리학적 태도가 필요함을 언급한다. 아울러 세계는 근원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존재가 “視覺의이름”을 통해 매 순간 주어지는 불확실성에 시선을 주어 열어가는 기제로 작동하는 것이었다. ‘Ⅲ. 무의식 파동의 입자화, 자각몽 기제’에서는, 「烏瞰圖:詩第一號」가 자각몽에 대한 하나의 강력한 암시인 것에 반해, 「烏瞰圖:詩第八號 解剖」는 자각몽 기제를 시험하기 위한 철저한 고안물이다. 「烏瞰圖:詩第一號」가 4차원 실재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방위에 걸쳐 동시 구동되는 우주의 대칭적 힘의 균일성을 암시하는 현상학이었다면, 「烏瞰圖:詩第八號 解剖」는 4차원 실재 세계를 응시할 수 있는 기제에 대한 구조론이자 방법론이다. 무의식은 이상 시 세계에서 해석되는 자이고, 의식은 창조적으로 신체가 마비되는 자이자 반(半)의식은 응시하면서 잠꼬대를 하거나 또는 이를 기술하는 자다. ‘Ⅳ. 양자장(量子場)과 반(半)의식의 장’에서는 행렬 기표로 표현 가능한 우주(반(半)의식에 의해 응시되는 이상 무의식의 양상)는 물질과 반물질이 대칭을 이루는 세계임을 이상의 첨단 기표는 시사한다. 이상 시 세계는 무의식의 무한에 눈길이 닿은, 반(半)의식의 언어다. 이상 시어의 문제는 이상의 무의식을 제대로 담을 수 없는 우리 차원의 언어로 번역 기술되었다는 점과 그 때문에 우리 차원의 언어를 가공해 자신이 만든 인공어로 쓰였다는 점에 있다. 이상에게 자각몽 증상이 창작의 도구가 되었다면, 그 역순으로 이러한 기제가 창작 해체의 도구로도 기능하기를 기대해야 한다. 이상은 우주의 모형이 차수가 한 단계씩 증감하는 삼차각설계도의 모형으로 상정한다. 이상 김해경에게 자기 안의 무의식은 자기 안의 우주였으며 자기 밖의 우주에 대한 프랙털이었다. 그는 미처 모르고 있는 세계를 직시하고 투시하고자 분투했다. 그는 과학이 지구인의 보편타당한 시대 정신이 되던 시대에 살며 첨단의 물리학을 더 많이 알고자 했고, 자신의 자의식에 흡수된 첨단물리학의 기제를 통해 자신의 내면 풍경을 관찰하고자 했다. 그에게 응시는 환의 이면인 현실이고 현실의 이면인 환이며 차원을 극복하게 해주는 실험 정신이다. 그 모든 과정에서 열렬히 소진되던 에너지는 치명적 감염으로 마비된 신체의 붕괴 에너지이기도 하였다. 그의 언어는 무의식과 반(半)의식의 동시 중첩어였고, 우리 차원 언어가 오롯이 담을 수 없는 현실 환(現實 幻)의 언어였다. 창조적 마비 상태를 창작으로 밀어붙인 그는 무의식의 공선상(共線上)에서 미처 알아보지 못한 자신의 분신들을 응시했으며, 각몽과 각성 이후 본인의 자의식을 기술하는 필경사이자 은밀한 해석자이기도 하였다. 몸과 정신의 질료이자 매체인 양자 언어는 그를 근대인에서 현대인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그의 뇌수는 그의 몸과 정신이 열렬히 소진되던 분투의 장이자 양자장이었으므로, 텍스트는 언제나 내일의 해석자에게 응시된다.

      • 韓國現代詩에 나타난 基督敎 意識 硏究 : 김현승·박두진·구상 詩를 중심으로

        권성훈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5327

        근대에 들어 유입된 기독교 문학이 전통 문학의 지형을 바꾸었다 할 정도로 서구 종교가 한국의 학문에 미친 영향은 크다. 하지만 한국 기독교 문학의 중요한 갈래중 하나인 기독교 시에 대한 연구는 신학적인 지식이나 이론을 무시하고 막연히 작품 속에 나타나 있는 기독교 의식을 연구하는 데 그쳤다고 볼 수 있다. 표면적인 소재만 가지고 감상과 해석을 하여 기독교 시에 대한 뚜렷한 인식도 없고 작품에 나타난 신앙적 갈등과 미의식이 가슴으로 와 닿지 않아 공허한 자기 고백적인 기교나 생경한 관념으로 치달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한국 기독교 시문학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해 볼 때, 두루 다양하게 언급하고 있기는 하지만 기독교시의 본질, 형성과정, 기독교시와 성서의 비교 문학적 관계, 기독교 시의 포괄적 연구 등이 종합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전반적인 특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시문학사가 공통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고 개인 신앙 체험의 해석처럼 단편적인 연구에 머물러 정작 작품의 미적 가치는 논하지 않는 풍토에서 벗어나 신학과 문학의 상보적 관계, 그리고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적 성격을 연구하려 하였다. 본고의 연구 작가로는 1930년대에서 2004년대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시를 쓰면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한 김현승 · 박두진 · 구상 시인들의 종교시를 중심으로 기독교 의식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기독교 시의 특성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비교하여 필자 나름대로 개념을 정립하여 보고, 기독교가 유입된 개화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기독교 시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를 문학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위 시인들의 종교시에 나타난 성서의 설화적 모티브 차용과 기독교 이미지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A Study of the Christianity consciousness based on Korean Modern Poems - based on poets such as Kim Hyeon-seung, Park Du-jin and Gu Sang - Based on religious poems written by the representative poets such as Kim Hyeon-seung, Park Du-jin and Gu Sa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xamine how the Christianity consciousness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modern poems on the basis of religious poems. In light of various impact such as the succession of ancient poetry and new literary wave and poems, it is a general knowledge that Christianity had a strong influence on Korean modern poems in a historical vein. Especially in studying the Christianity poems, if the complementary relation is dealt with, it can be regarded to be very meaningful. So far, however, all the theses have been focused on the keen study of the Christianity consciousness shown in the literary works, neglecting the theological knowledge or theological theory in probing the Christianity poems. For example, most of the theses have been handled together with interpretation from the materials, which connected with hollow technique or very coarse conception due to the evident consciousness on the Christian poems and poor asthetics and possible religious conflict. The motive which I decided to write this paper stemmed from the very fragmentary study such as just interpreatation on the religious experience without discussing the aesthetic value of the works Hence, the study is focused on the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theology and literature and the nature of Christianity shown in the works or poems, based on the modern Christian poems. In case of summing up the main history of studying Korean Christianity poems, a lot of mentions was not made as to the comprehensive systematization and the nature of the Christianity poems as well as the comparison and its forming process. In this paper, the idiosyncrasy of the Christianity poems was compared with in accordance with the viewpoints of many scholarsas well as summing up of Christianity poems. In addition, how the Christianity poems formed from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through the 1950s in term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last chapter, the focus of studying is on the religious poems written by the typical Korean Christian poets such as Kim Hyeon-seung(1913-1975), Park Du-jin(1916-1998) and Gu Sang(1919-2004). In addition, the reflected Christianity consciousness and the characteristic of religious poems are dealt with from the appeared contents in the poems. Many folktales derived from the Bible are also dealt with based on the image as well as the theological nature and literary nature.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the three important poets have been studied in light of poetic change processand influence relation. That's because they are very valuable in Korean poem history. In the initial stage when Christianity was introduced to Korea, the Christianity poems were didactic and enlightening. Since the 1930s, however, the poems written by the three poets started to direct to pursue after making the unity of Christianity consciousness come true as well as the aesthetic beauty. In this vein, the three poets are very meaningful in the developing process in the Korean Christianity poems. The influence relation through the core image of the Bible and folktales motive and the pursuit of Christian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analysis of image is an indication of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how Christianity was reflected in the Korean modern poems. The whole society in Korea has been a cor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since the ancient times, which have been focused on the transcendency of the world to come and the affluent and pompous life of the current life. Since he expressed that the history and being is metaphysical, he mainly focused on the very eternity in the present and furthermore it is connected to the field of compromise where body and soul and finite and infinite exist. In conclusion, the poems written by the above-mentioned poets connected to the Christianity thoughts, which centered on fatality, redemption and resurrection. Most of the Christians pursue after the eternal birth, leaving the corporal life in mundane society. In the thoughts of Resurrection, the Christian eternal life from Christianity can be understood by the repeating pattern in nature. Poems of prayer mainly is seen as the strong will that the author will be a scapegoat through finding the Christianity truth, leaving his selfish religion. Here the three poets showed that they were kind of sincere prayers through repentence and praying, leaving their desires no account. In this paper, the shape of poems focused on Christianity should be summarized neatly through the appropriat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Christianity poems in Korea at the first page of the 21st century. A new analysis and systematization should be made at an early date towards the analysis of the Christianity poets and their works from the theological and literary point of view to establish the proper Christian literature related to the Christianity poems in Korea.

      • 김종삼 시의 양가성 연구

        김숙이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논문은 김종삼의 시를 대상으로 그의 시에 나타난 양가성과 현실 초극 의지로서의 서구적 이미지와 동양적 정신, 천상과 지상의 세계를 살펴보았다. 兩價性(Ambivalenz)이란 이중가치성(Ambivalor)을 일컫는 것으로 결합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두 개의 의미론적, 이데올로기적 가치들의 결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질과 양, 강한 것과 약한 것, 선과 악이 통일을 이룰 때 이를 양가성이라고 한다. 근본적으로 양가적인 세계는 대립이 있지만, 단순히 대립에만 그치지 않고 서로 종합하기도 하는 것이 양가성이 가지고 있는 숙명이라고 할 수 있다. 김종삼 시에서의 양가성은, 초기와 중기에는 묘사중심의 서구적 이미지와 동양적 정신의 세계가, 후기에는 진술중심의 천상과 지상의 세계가 강하게 나타나며 아울러 현실을 초극하려고 하는 의지를 볼 수 있다. 김종삼은 전쟁과 분단으로 고향을 상실한 195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을 온몸으로 겪었으며, 아픔과 가난 속에서도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영원지향적인 순수시와 실험적 기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은 이점에 주목하면서 서구적 이미지와 동양적 정신, 천상과 지상의 세계라는 측면에서 작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김종삼 시의 양가성과 현실 초극 의지는 분단, 고향상실, 가난 등 불우한 경험세계를 바탕으로 형성된 부정적인 현실을 벗어나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2장에서는 김종삼의 시에 나타나는 서구적 이미지와 동양적 정신, 천상과 지상의 세계를 살펴보았다. 김종삼 시의 특질인 현실 초극 의지의 특징으로 서구적 이미지와 동양적 정신을 들 수 있다. 서양의 세계관이 자연과 인간을 나누고, 정신과 물질을 나누고, 주체와 객체를 마주 세워 단절시키면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는 이원론적 세계관이라면, 동양적 세계관은 현상과 실체의 구분을 허용하지 않는, 유기적으로 서로 관계된 전체인 일원론적인 세계관이다. 김종삼은 음악과 畵集을 통해 접한 서구에 대한 동경, 선망 등이 그의 시 세계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서구적인 것을 추구하는 가운데서도 어렸을 때 ‘스와니 강’을 듣고 자란 곳은 이북이었듯이 그의 정서에는 전통적인 동양적 정신이 깃들어 있다. 김종삼의 시들에서 보이는 서구 지향적인 이미지와 인물들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과 더불어 이것들이 환기하는 정서로 인해 환상성을 갖게 함을 보았다. 고요함, 비어 있음의 충만함, 虛無, 虛寂, 餘白, 무욕의 세계, 우주와의 교감, 일원론 등의 김종삼 시에 나타나는 동양정신을 발상으로 한 시편들에서는 불우한 현실의 세계를 초극하고자 한 그의 의도적 노력을 볼 수 있었다. 천상과 지상의 세계라는 이원론적인 갈등은 인간에게 있어 피할 수 없는 숙명이며 인간은 그 갈등 속에 살면서 그것을 넘어서고자 꿈꾸고 갈망한다. 인간의 의식 속에 함께 존재하는 이원성 즉, 어두운 것과 밝은 것, 가변적인 것과 불변적인 것, 절대적인 것과 상대적인 것, 순간적인 것과 영원한 것의 두 요소들은 한 편의 시 속에서 끊임없이 대립하고 투쟁하며 존재의 의미를 획득하려 한다. 김종삼의 다수의 시들은 초월적이고 환상적인 세계를 지향하며, 세속적이고 일상적인 지상의 세계를 부정한다. 이는 그의 시가 지상에서 천상으로, 현실세계에서 이상세계로의 도피공간을 확보하고자 한 경향으로 보인다. 김종삼은 가난하고 소외받은 현실 세계에 발 담그고 있으면서도 늘 천상의 세계를 그리워하였으며 천상 세계를 추구함으로써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통로로 삼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서구적 이미지와 동양적 정신, 천상과 지상의 세계라는 측면에서 김종삼의 시세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정지용 시 연구

        권명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27

        논 문 개 요 1930년대 한국 현대시에서 최초로 시를 언어 예술로 자각한 정지용은 한국시단의 경이적 존재로 각광받게 되었다. 시어에 대한 깊은 고찰과 실험성으로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보여주었고 시의 다양한 형상화 방법으로 독자적인 시작 활동을 통해 한국 현대시의 흐름을 주도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 현대시사의 지평을 넓히는데 특출한 위상을 보여준 정지용의 시세계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여 문학사적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정지용은 감정의 절제, 신선한 언어 감각과 이미지 구사 등 매우 근대화된 시어로 한국의 시를 현대시로 접근시키고 있으며 언어에 대한 탁월한 감각으로 한국어가 얼마나 아름답고 시적인가를 입증시키고 있다. 정지용의 전 면모를 이해하고 그 시적 변모 양상과 진실을 밝혀보고자 하는 측면에서 모더니즘과 종교 지향적, 전통 지향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첫 번째 시기는 모더니즘의 성향을 나타내는 단계로 초기에 발표한 작품에서는 이미지즘과 같은 실험적 단계의 시와 함께 동요와 민요풍의 시를 발표하고 있으며 향토적 정서를 기반으로 하여 전통성과 현대성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초기시에 나타난 ‘바다’의 세계는 미지의 세계를 지향하며 밝음의 이미지로 생동하는 바다와 어두움의 이미지로 나타난 당면한 시대적 상황을 인식한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의식세계가 반영되어 나타난다. 또한 ‘상실’의 시세계는 일본 유학체험을 바탕으로 고향에 대한 강렬한 그리움을 옛스런 언어 감각을 통하여 향토색 짙은 이미지의 고향 회귀 정서로 나타나지만, 상실감과 비애감으로 이어진다. 정지용은 객관적 사물화를 통한 감각적 표현의 형상화를 통해서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시각적 이미지로 작품을 구성하였다. 구체적 이미지의 제시를 통해 대상에 대한 감정, 정서, 관념 등을 감각적으로 형상화 시켰다. 그것은 시각적 이미지로, 시를 회화적으로 이끄는 정지용만의 특징이다. 두 번째, 종교 지향적 고찰에서는 이국정조와 고향상실이라는 패배와 상실감, 일제 치하라는 현실적 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카톨릭을 선택한다. 인간의 비극적인 상황을 종교에 귀의함으로써 극복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나약할 수 밖에 없는 인간의 한계 의식을 객관주의에 의한 감정의 절제와 언어의 조탁으로 슬픔을 굳굳이 견뎌 보려는 의식을 표현하였다. 동적 세계의 탐구에서 그 대상이 정적 세계로 옮아가면서 시의 소재도 ‘바다’에서 ‘산’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산’은 정지용의 현실에 대한 갈등을 감싸주었다. 세 번째, 후기시의 세계는 무욕의 철학과 절제의 미학을 드러내어 동양정신에 입각한 시 정신의 깊이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성과 전통성을 동시에 획득한 전통 지향성을 고찰 하였다. 동양적인 자연의 명징한 세계와 접하여 깊고 관조적인 시세계를 형상화 하면서 극기의 정서를 표출시킨다. 이 극기의 정신은 극도로 감정이 절제된 무욕의 철학으로 이어져 죽음까지도 담담하게 바라보는 초월적인 세계관을 획득한다. 허무와 적막의 동양적 자연을 느끼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지용은 개성적이고 독특한 시어를 구사했으며 민족어를 심화시켰고 끊임없는 실험정신, 그리고 언어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이미지 전개방식을 제시하여 한국 현대시의 발전에 지침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5월, 소백산 외 17편

        김지향 국민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5327

        세상에 태어나 시인이란 이름을 부여받는 동안 좋은 시 한편 남기고 싶었다. 완성도가 높은 성숙한 시는 비록 아닐지라도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깊은 울림을 줄 수 있는 시 한편을 낳고자 했다. 그 시를 위하여 시의 종이 된다 해도 하나도 억울할 것 같지 않았다. 언젠가는 길이 보일 것이라 믿는다. 시를 향한 열정으로 새벽창을 밝히면서 쓰다듬고 보듬은 손길, 시의 꽃 열여덟 송이를 선보인다. 조금 더 뜨겁게, 촉촉하게, 생기 나도록 빚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욕심 같아서는 내가 우러러 존경하는 분의 시집 속 울타리에 내 시도 함께 엉키어 피어 주기를 소망하는 마음 간절하다. 오늘도 마치 천상의 화원 <오월 소백산>에 핀 자생화 흰 처녀치마가 보일 것 없는 나를 끊임없이 관망하고 있는 것만 같아 얼굴 들기 민망하다. 문학의 숲을 서성이는 동안 사랑하는 가족을 둘이나 잃었다. 바람 꽃씨를 날리는 그들 앞에 무슨 말을 할 수 있을까? 한동안 밥을 먹는 것도 미안하고, 잠을 자는 것도 미안하고, 미안하다고 말하기 까지도 너무나 미안하였기에, 오랫동안 마음의 눈물을 쏟아야 했다. 물방울 꽃이라 해야 좋을까? 안개꽃이라 해야 좋을까? 이슬꽃으로 방울방울 맺혀 흔적 없이 사라져간, 은은한 미소로 손짓해 올 것만 같은 그들의 영혼을 위로할 수는 없겠지만, <살아남기>를 그려 내기까지는 가슴을 쓸어내려야만 했다. 물 맑고 산새 좋고 인심 좋은 고향 선산에 물빛 도라지꽃을 송아 송이 피워 놓고 나리꽃을 꺾어 아버님을 마중 나온 것 만 같은, 꽃분홍 저고리에 보랏빛 치마를 즐겨 입던 새댁 시절의 어머님이 그리워 <어머니 소주>를 표현 하였다. 어느 해인가 밀알학교 봉사자로 나섰다가 나는 비로소 사람이 되어 돌아온 기억이 있다. 그 기억을 더듬어 <보이지 않는 사랑>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었다. 끈임 없는 자아 성찰을 위하여 <허기진 삶>으로 나의 일상을 담아 보았다. 이제 아직 완성하지 못한 좋은 시 한편을 위하여 긴장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맑고 투명한 순수성이 깃들어야 할 시인의 방을 만들어 시인의 동산에서! 내 생애 물꼬를 트여준 고마운 분들께 고개 숙여 깊이 감사드린다.

      • 서정주 시의 여성 이미지 변천 과정 연구

        조승식 서울산업대학교 산업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27

        Seo, Jungju(1915~2000), the most famous Korean poet, has the outstanding ability to transform his real and imagined experiences he wish to send into aesthetical aspects. We pays much attentions on images in the poetry that are transformed through the poet's imagination, when we study or read poetry. Image, with the help of the rhythmic element, is the pivotal principle of poetry, leads to the sensitive experience on the object by appealing to the hearer's/reader's sensitivity. The study on image, therefore, plays great role to clarify the poet's consciousness. In the poetry of Seo, Jungju there appear many women, who are performing as a beacon light to understand his poetic world. In this study I try to search the poetic ego on women Seo, Jungju shows, through which I find out the archetypal image on woman and its changing aspect in his poetry. The poetic works I take as an object of my study are from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花蛇集)≫ to ≪The Myth of Jilmajae(질마재 神話)≫, in which I mainly study the changing moment of woman's image. Above all, in his poetic works I focus my interest in how to change the woman into various images. And in main body of this dissertation I study the process of changing woman's image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The Way to Heaven(歸蜀途)≫, ≪The Ode to Shilla(新羅抄)≫ and ≪The Myth of Jilmajae≫. Seo, Jungju uses the wide scopes of women from Sunnae(순네) to Maria of Magdalene, irrespective of space, time, race and creed, whose images shows us sensual or innocent impression and, in some sense, willingly give us some mystic impression. Firstly, Finding Gasinae(가시네) Concealed in Passion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花蛇集)≫ : The poet, in his first poetical work,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casts away anxiety and unrest in his younger days through a sensual woman called Sunnae. In <Flower Snake(花蛇)> he shows the sensual desire through Sunnae and flower snake as a substitute for the triangular relationship among Adam, Eve and snake, which means the western literary element may give a great impact on him. Secondary, Making Nunim(누님) by flower and light in ≪The Way to Heaven≫ :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the main color took control of the poetic work is red, while green is the dominant color in ≪The Way to Heaven≫. Green symbolizes the openness such as life, hope and daily lives, which implies the contributive and stable image that is quite different image from the closed and physical desire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The most important image in the poetry of Seo, Jungju is Nunim, and he describes Nunim, flower and green light as a traditional Korean woman image, furthermore, as a maternal space with the image of endurance and abstinence. Thirdly, Rebirth of the Shilla woman in History in ≪The Ode to Shilla≫ : The main interest Seo, Jungju focuses in his ≪The Ode to Shilla≫ is the pursuit of eternity based on Buddhism in Shilla. He resurrects the old Shilla woman and imposes the spirituality on her, which is supposed to be the expansion of his poetic sphere. In ≪The Ode to Shilla≫, the eternity his poetic ego pursues shows the harmony among the history, the myth and the religion, through which he tries to show the circular aspect between life and death and the eternity. I find, in ≪The Ode to Shilla≫, the changing the image of women from the woman as the image of basic instinct to that of Korean traditional woman, furthermore to that of the Shilla woman who has the basic spirit of Shilla. Fourthly, Pursuing the woman into the Nature in ≪The Myth of Jilmajae≫ : ≪The Myth of Jilmajae≫ is the poet's early native place and the source for his poetic energy. Seo, Jungju shows this work in his 60th birthday and in it he reveals his desire for returning ≪The Myth of Jilmajae≫ from the long outcast life of his own. By returning to the myth and the nature he dreams the renewed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n this work there appear many women grandmother, mother, Almoe(알뫼), Hanmul(한물), and the widow called Seolmakdong's (설막동) mother, they all have the du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divinity and the snobbism. But they all have the ability to harmonize these dualism. The poet's early image of woman, Sunnae, the image of the basic poetic ego turns into the image of production, the sherman in Jilmajae. The woman of sloth and sexuality is changed into the woman of the basic instinct and physicality of man who reflects the harmony with nature in ≪The Myth of Jilmajae≫. As a result of my study, I sum up my research. Sunnae in ≪The Collection of Flower Snake≫ symbolizes the poet's sexual desire in his youth. And he writes ≪The Way to Heaven≫ that implies his psychological stability at home from the long period of outcast life, creating the Korean traditional woman, Nunim. This image of Nunim is expanded in the Buddhism and the history of Shilla in his later work, ≪The Ode to Shilla≫. In ≪The Way to Heaven≫ Seo, Jungju's main interest is to overcome the reality and transcend into the eternity. Through this changing image the poet accepts the positive side of life by demolishing the borderline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His circular image of woman starts from Sunnae in <Flower Snake> through Nunim to the Shilla woman and returns to the women in ≪The Myth of Jilmajae≫. 서정주(徐廷柱, 1915~2000)는 자신이 전달하고 싶은 관념이나 실제의 경험 또는 상상적 체험들을 미학적으로 변형시켜 표현하는 데 매우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시인이다. 시인의 상상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미학적 변용 중에 특히 주목해야 하는 것이 이미지다. 이미지란 리듬과 함께 시의 대표적인 구성 원리이며 청자의 감각에 호소하고 사물에 대한 감각적 경험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시인의 의식세계의 심상을 파헤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서정주의 詩 속에는 많은 여성들이 등장하는 데 이들은 서정주의 詩 世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적 자아가 지향하는 여성성을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시 세계에 침잠되어 있는 여성 이미지의 원형을 살펴보고, 변천 과정과 유기적 관계까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시집은 ≪花蛇集≫에서 ≪질마재 神話≫까지로 하였으며, 여성 이미지가 변모하는 시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선 서정주의 시 세계에서 많은 여성들이 어떤 대상으로 어떻게 이미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花蛇集≫, ≪歸蜀途≫, ≪新羅抄≫, ≪질마재 神話≫ 등 여성 이미지의 변천 과정의 시점을 章으로 묶어 고찰하였다. 서정주 詩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花蛇>에 나오는 ‘순네’로부터 ‘막달라 마리아’까지 동서양과 신분 여하를 불문하고 주연과 조연, 또는 엑스트라로 다양하고 독특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들 여성들이 보여주고 있는 여성 이미지들은 육감적이기도 하고 때로는 청순하고 온화하며 실루엣처럼 아득하게 신비감을 주기도 한다. 첫째, 서정주는 ≪花蛇集≫에서 욕망 속에 감추어진 ‘가시내’ 찾기를 하고 있다. 서정주는 첫 시집 ≪花蛇集≫에서 관능적인 여성 ‘순네’를 등장시켜 젊은 날의 울분과 불안을 해소하려 하였다. 서정주는 <花蛇>에서 아담과 이브, 그리고 뱀의 삼각관계의 대체물로 ‘순네’와 ‘꽃뱀’을 등장시켜 관능적인 욕망을 보여주고 있는데, 초기 시에 나타나는 서정주의 詩心이 서구적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서정주는 ≪歸蜀途≫에서 꽃과 빛으로 ‘누님’ 만들기를 시도하고 있다. ≪花蛇集≫에서는 붉은색이 많이 나타나는 반면 ≪歸蜀途≫에서는 푸른빛을 많이 드러내고 있다. 푸른색의 이미지는 삶, 희망, 생명과 같이 개방성을 의미한다. ≪花蛇集≫에서 보여주었던 폐쇄성과 육체적 욕망과는 전혀 다른, 헌신적이고 안정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서정주 시에서 가장 중요한 이미지는 ‘누님’의 이미지다. 서정주는 ≪歸蜀途≫에서 ‘누님’, ‘꽃’, ‘푸른빛’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여성 이미지, 즉 인고와 절제를 통해 모성적 공간을 그려내고 있다. 셋째, 서정주는 ≪新羅抄≫에서 역사 속의 ‘신라여인’ 부활시키기를 시도하고 있다. ≪新羅抄≫에서 서정주가 지향하는 시 세계는 신라정신(불교)에 근본을 둔 영원성 추구이다. 고대 신라 여인들을 환생시켜 영(靈)과 혼(魂)이 공존하는 초월의 세계로 시 세계를 확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新羅抄≫에서 시적 자아가 추구하는 영원성은 신화와 종교와 역사가 잘 조합된 것으로, 죽음과 탄생을 순환으로 삼아 ‘영생’을 획득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新羅抄≫에 와서 서정주의 시 세계에 나타나고 있는 여성상이 원초적 본능의 이미지에서, 한국 전통의 여성 이미지로, 그리고 신라정신에 바탕을 둔 ‘신라여성’으로 변천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서정주는 ≪질마재 神話≫에서 자연 속으로 ‘여신’ 따라가기를 시도하고 있다. ‘질마재’는 서정주 유년의 고향이며, 시료(詩料)를 공급받는 詩心의 원천이다. 서정주는 ≪질마재 神話≫를 회갑 되던 해에 발표하였는데, 오랜 떠돌이 생활을 청산하고 ‘질마재’로 돌아가고픈 심정을 노래한 것이다. 신화와 자연 속으로 회귀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복원을 꿈꾼 것이다. ≪질마재 神話≫에는 외할머니, 어머니, ‘알묏댁’, ‘한물댁’, ‘설막동이네 과부 어머니’ 등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신성성과 천박성을 동시에 소유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들 여성들은 천박함과 숭고함을 갈등 없이 잘 조화시킬 줄 아는 능력을 지녔다. 초기 시에서 시적 자아를 유혹하던 ‘순네’가 ≪질마재 神話≫에 와서는 무신(巫神)이 되고 생산성을 갖는 여인으로 변모한다. 애욕과 탐닉의 여성들이 인간의 원초성과 육체성이 자연스럽게 조화되어 ‘질마재’로 돌아온 것이다. 서정주의 시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花蛇集≫에서 ‘순네’는 서정주가 젊은 시절 가지고 있었던 성적 욕망의 대상이었다. 그 후 서정주는 오랜 방황에서 가정으로 돌아와 심리적 안정 속에 ≪歸蜀途≫를 발표한다. 그는 ≪歸蜀途≫에서 한국의 전통 여인상인 ‘누님’ 만들기를 한다. ≪新羅抄≫에서도 불교와 역사 속의 ‘신라 여인’들을 부활시켜 ‘누님’의 이미지를 확대하고 있다. ≪歸蜀途≫를 통해 서정주가 지향하는 핵심은 현실을 초월하여 영원으로 가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모는 ≪질마

      • 최세라 시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 의식과 노동의 양상

        최세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5311

        이 논문의 목적은 최세라의 시에 나타나는 프레카리아트 의식과 전통적인 노동의 영역에도 편입되지 못하는 불안정 노동이 구현되는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시에는 시적 화자가 발화하는 언어를 통해 시적 정황이 전면적이거나 잠재적인 형태로 드러난다. 이것은 한 편의 시가 작시(作詩)되기 이전에 시인의 구상 속에 이미 시적 화자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된다. 세계 안에 실존하는 동시에 시인의 구상 속에서도 숨 쉬고 있는 시적 화자의 발화 언어는 그가 속한 시공간, 사회적 계층, 현실적 조건 등과 긴밀한 관계에 있으며 이러한 시적 정황들이 시의 얼개와 제재, 주제를 이룬다. 최세라의 시에 등장하는 시적 화자는 그 사회적 계급의식에 있어서 프레카리아트로서의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계급의식과 노동의 양상은 1. 일상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 의식, 2. 필수노동과 플랫폼 노동, 3. 자본주의 체제와 자아의 부정성, 4. 노동의 사물화와 소외의 감정으로 분류해 설명할 수 있다. 1장 ‘일상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 의식’에는 한 가지 직업이나 직장에 몸담지 못하고 몇 가지 일을 겸해야 하거나 이 일 저 일 전전하며 고용 불안 상황에 놓이게 된 시적 화자들이 등장한다. 특히 젊은 여성 프레카리아트인 ‘로라’를 통해 그가 직업적인 이동을 거듭하며 불안정한 생활을 이어가는 모습이 그려지는데, 이러한 노동의 양상이 전개되는 동안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과 불평등이 드러난다. 여기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맥잡」,「로라의 시식코너」,「피자 굽기」,「카톡」,「위험을 설계합니다」,「포장이사」,「장난감공장」,「패턴실과 여름」,「로라의 시급」등이 있다. 2장 ‘필수노동과 플랫폼 노동’에는 사회와 시장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노동력을 제공하지만 정작 사회로부터 외면 받는 필수노동자, 그리고 불특정 다수의 호출에 의지해야 노동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노동자의 삶이 그려진다. 필수노동자는 주로 의료·돌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낮은 수준의 임금을 받으며 정당한 사회적 분배로부터 제외된다. 플랫폼 노동은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기계들과 접하며 성장해 온 20, 30대의 젊은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담당하는 경향이 있다. 플랫폼 노동자들 또한 사회의 안전과 편리를 위해 일하지만 늘 위험에 직면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필수노동과 플랫폼 노동’ 관련 작품으로는 「대리운전」, 「라이더」, 「구내식당 – 해고의 기억」, 「택배 분류」, 「2020, 걸레를 빨다」 등이 있다. 3장 ‘자본주의 체제와 자아의 부정성’에는 자본주의 체제와 뗄 수 없는 삶을 살아가지만 그에 동화되지 않고 거리를 둠으로써 자신의 모습을 객관화하고자 하는 시적 화자들이 나타난다. 그러나 작품에 드러나는 시적 정황상 자신의 모든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 노동을 거듭해도 노동의 바깥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으므로 이들의 자아 인식은 부정성을 띨 수밖에 없다. 이러한 관점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작품으로는 「플랫폼에서」, 「번아웃」, 「우리에게 거미만큼의 지혜가 있었다면」, 「비정규의 꽃」, 「외근」 등이 있다. 4장 ‘노동의 사물화와 소외의 감정’에는 인간의 정신과 노동이 사물화되는 현상에 의해 시적 화자가 가지게 되는 슬픔과 소외의 감정을 다루고자 한다. 노동자가 사회에 필요한 제품을 생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갈수록 노동의 가치는 빈약해지며 노동자의 위상은 계속 낮아진다. 시적 화자는 이러한 상황에 부딪히고 인지할 때마다 자신이 더 이상 노동의 주체가 되지 못한 채 소외되고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예시로 들 수 있는 작품으로는 「콜센터 유감 1 – 재즈콰르텟」,「콜센터 유감 2 – 녹취록」,「필터링」, 「1인분」등이 있다. 이처럼 2000년대 이후 노동의 양상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노동자의 자아 인식과 정동의 경험은 지난 세기 노동의 경험과는 매우 다른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970년대 이후 한국 노동시의 흐름을 개관하고, 그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노동의 양상과 노동자 의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노동의 유연화에 따른 불안전한 고용과 열악한 노동상황에 주목하고, 이를 프롤레타리아 의식에서 프레카리아트 의식으로의 전환으로 보았다. 그런 점에서 최세라의 시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 의식과 새로운 노동의 양상은 한국 노동시의 변화된 국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recariat consciousness' that appears in Choi-Sera's poems and the realization of unstable labor that cannot be incorporated into the realm of traditional labor. In general, in a piece of poetry, the poetic situation is revealed in a full or latent form through the language spoken by the poetic speaker. This is evidence that a poetic speaker already exists in the poet's conception before a poem is written. The language spoken by the poetic speaker, which exists in the world and breathes in the poet's imagin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time and space to which he belongs, social class, and realistic conditions, and these poetic situations form the framework, topics, and themes of the poem. The poetic narrators in Choi's poems often have a consciousness as a precariat in their social class consciousness. These aspects of class consciousness and labor can be expla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1. Precariat consciousness in everyday life, 2. Essential labor and platform labor, 3. Capitalism system and negativity of the self, 4. Labor objectification and feelings of alienation. In chapter 1 ‘Precariat consciousness in everyday life’, the poetic narrators appear who are insecure about employment, continues to move from one job to another to sustain life. In particular, Laura, a young female precariat, depicts a woman who continues to lead an unstable life while repeatedly changing jobs, revealing the contradictions and inequalities of the capitalist system as this type of work unfolds. Such works include 「MacJob」, 「Laura's Tasting Corner」, 「Pizza Baking」, 「Kakao Talk」, 「Designing the Risk」, 「Packaging Moving」, 「Toy Factory」, 「Pattern Room and Summer」, 「Laura's hourly wage」. In chapter 2 ‘Essential labor and platform labor’, It depicts the lives of essential workers who provide essential labor to maintain society and the market, but are turned away from society, and platform workers who can provide labor by relying on the calls of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ssential workers mainly provide services such as medical care and general care, but receive low wages and are excluded from fair social distribution. Platform labor tends to be handled by young digital native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grown up in contact with digital machines since birth. Platform workers also work for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society, but are always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face risks. Such works include 「Driving by proxy」, 「Rider」, 「Canteen – Memories of being fired」, 「Parcel Classification」 and 「2020, Washing a mop」. In chapter 3 ‘Capitalism system and negativity of the self’, there are poetic narrators who live a life inseparable from the capitalist system, but do not assimilate it and try to objectify themselves by distancing themselves from it. However, since the poetic situation revealed in the work is forced to be pushed out of work even if they put all their time and effort into labor, their self-awareness is inevitably negative. Works that can be analyzed from this perspective include 「On the platform」, 「Burnout」, 「If we were as wise as Spiders」, 「Flower of Irregularity」, and 「Outside Work」. In chapter 4 ‘Labor objectification and feelings of alienation’, It is intended to deal with the feelings of sadness and alienation that the poetic narrator has due to the phenomenon of the human mind and labor being materialized. Although workers produce products and provide services necessary for society, the value of their labor becomes poorer and the status of workers continues to decline. Whenever the poetic narrator encounters and recognizes such a situation, he experiences that he is no longer the subject of labor and is alienated. Works that can be interpreted from this point of view include 「Call Center Sorry 1 – Jazz Quartet」, 「Call Center Sorry 2 – Transcript」, 「Filtering」, and 「one serving」. As the pattern of labor has changed rapidly since the 2000s, workers' experiences of self-awareness and affect have a very different character from that of the last century's labor. This thesis provides an overview of the flow of labor poetry in Korea since the 1970s, and how the patterns of labor and workers' consciousness have changed in such a historical context. Based on this tr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insecure employment and poor working conditions due to labor flexibility since the 2000s, and viewed this as a shift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letariat to the consciousness of the precariat. In that sense, the precariat consciousness and new aspects of labor in Choi's poetry can be said to show a changed phase of labor poetr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