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지역 특성화 고등학교 음료섭취와 학교급식 후식 메뉴의 기호도 및 만족도 실태조사

        황미애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인천지역 특성화 고등학생 음료섭취와 학교급식 후식 메뉴의 기호도 및 만족도 실태조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황 미 애 청소년기는 성장과 발육이 활발해지므로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여 정상적 체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음료의 종류는 점점 다양해지 고 접할 기회가 많아, 청소년들은 음료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을 하지 못하고 물과 당의 함량이 높은 음료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 어 있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음료섭취실태를 조사하고 올바른 음료 섭취 방안을 제시하고,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후식 메뉴에 대한 기호도와 만족 도를 분석함으로써 음료와 후식에 대해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메뉴개발 및 급식관리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음료섭취실태와 학교에서 제공 되는 후식 메뉴의 기호도와 만족도를 성별, 학과별로 비교해보았으며, SPSS WIN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1. 인천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2,3학년 남, 여 학생 중 297명에 대해 분석 을 한 결과 BMI는 전체적으로 정상 체중이었으나, 여학생은 저체중 24.8%, 조리과의 남학생은 20.5%가 비만으로 나타났다. 2. 음료가 나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지의 여부는 음료가 나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남학생은 44.0%, 여학생은 38.7%을 나 타났고, 학과별로는 조리과 52.5%, 미용과 35.6%, 의상과 30.6%가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을 나타냈지만, 의상과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에 33.7% 로 나타나 음료가 나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견이 더 많이 나 타났다. 3. 갈증이 날 때 생각나는 음료는 남학생은 물 49.2%, 기능성음료 23.7%, 탄산음료 8.5%를 나타냈고, 여학생의 경우 물 63.9%, 탄산음료 14.7%, 기 능성음료 10.1%를 나타냈다. 학과별로는 조리과는 물 63.4%, 기능성음료 15.8%로, 미용과는 물 63.4%, 기능성음료 12.9%, 탄산음료 11.9%로 나타났 으나 의상과는 물 55.8%, 탄산음료 23.2% 기능성음료 9.5%로 나타났다. 4. 음료 선택시 식품성분표시제의 확인 여부에 대한 것은 확인하지 않는다 57.5%, 확인한다 23.6%로 나타났고, 식품성분표시제를 확인하는 이유로는 어떤 영양소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45.8%, 식품첨가물을 알기 위해서 31.9%로 나타났고, 식품성분표시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 필요성을 느 끼지 못한다 35.9%, 습관적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22.2%, 표시내용을 이해 하기 어렵다 19.0%로 나타났다. 5. 음료 선택시 고려사항은 5점척도로 맛 4.66, 가격 3.80, 용량 3.65 순으로 나타났다. 6. 음료의 섭취실태로는 물은 2회 이상/일 82.5%, 탄산음료는 1-3회/주 41.4%, 우유 및 유제품은 1-3회/주 42.8%, 스포츠음료는 1-3회/주 66.7%, 과일/채소쥬스는 거의 안마심 44.8%, 과즙음료는 거의 안마심 72.7%, 카페인은 거의 안마심 57.9%, 전통음료는 거의 안마심 85.8%, 차는 거의 안마 심 69.0%, 기능성음료는 거의 안마심 78.8%으로 나타났다. 하루 음료의 섭 취량은 물은 2컵 이상으로 제일 높았고, 다른 음료들은 거의 안마심으로 나타났다. 7. 후식메뉴 중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빵류가 23.6%, 음료류가 17.8%로 나 타났다. 후식 메뉴의 기호도는 5점척도로 조사하였으며, 우유 및 유제품은 초코우 유 4.39, 떠먹는요구르트 4.34로 나타났으며, 과일/채소쥬스는 감귤쥬스와 포도쥬스 4.28, 오렌지쥬스 4.27, 과즙음료는 레몬에이드 4.45, 전통음료는 식혜 4.10, 과일은 딸기 4.65, 오렌지 4.42, 아이스류는 아이스슈 4.57, 빵이 나 쿠키는 초코케익 4.68, 치즈케익 4.60, 전통후식에서는 인절미 4.22, 경단 4.05로 나타났다. 8. 후식에 대한 만족도는 5점척도로 종류는 3.38점을 양은 2.29점을 횟수는 2.26점을 나타냈으며, 후식을 선호하는 이유는 맛 69.4%, 메뉴가 다양해서 14.5%로 나타났고, 1주일에 후식이 제공되기를 희망하는 횟수는 매일 50.2%, 1주일에 3-4번 38.7%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음료 섭취가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을 하였고, 당이 높은 음료를 선호하지 않았으며, 청소년의 1일 수분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 는 양을 섭취하고 있어 우유와 물의 섭취량을 늘려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급식에 제공되는 후식에 대한 기호도는 높았으며, 만족도는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기호도와 만족도 조사에 근거하여 식단 작성을 하 고, 의견을 반영하여 개선한다면 학교급식의 만족도와 급식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 간호사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과 실천과의 관계

        황미애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Breast Self-Examination (BSE) practice of nurses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nurses' BSE knowlege,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their practic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8-29, 2009 through the questionaries the interview with 298 nurses who work in the more 200 bed hospitals(12) in the city of M & K in GyeongNam.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14.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BSE knowledge was 10.66±2.21 out of 17. 2. The average score of health belief on BSE stood 152.18±15.20 out of 265. The variables of health belief average as follow: 2.72±0.61 in 'benefits of BSE', 2.52±0.57 in 'benefits of mammography', 2.44±0.55 in 'health motivation', 2.00±0.61 in 'confidence', 1.56±0.74 in 'seriousness', 1.36±0.66 in 'barriers of mammography', 1.02±0.63 in 'susceptibility', and 0.97±0.66 in 'barriers in BSE'. 3. The average score of BSE's self-efficacy stood 20.49±4.21 out of 35. 4. The practice of BSE scored 23.04±5.31 on average out of 28. 5. The study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BSE knowledge and its practice(r=0.14, p=0.01), health belief and practice (r=0.33, p=0.00), and one between self-efficacy and practice(r=0.35, p=0.00) . Many of health belief variable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actice. 'Benefits of BSE'(r=0.17, p=0.00), 'confidence' (r=0.40, p=0.00), 'health motivation'(r=0.30, p=0.00) and, 'benefits of mammography'(r=0.13, p=0.02) are in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barriers with BSE'(r=-0.12, p=0.03)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actice.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clearly indicates that knowle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f the nurses is an important variable of BSE practice. In conclusion, it is critical to develop and includ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nurs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BSE practice.

      • 국내 식품배송 O2O 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배달의민족 사례를 중심으로

        황미애 숙명여자대학교 호스피탈리티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 O2O 서비스에 관한 이론적 내용을 서술해 O2O 서비스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개념을 정립하였고, 식품배송 O2O 비즈니스 모델의 발전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비즈니스 모델에서 성공요인을 선도기업인 ‘배달의민족’의 경영전략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위해 ‘배달의민족’의 발전을 산업 라이프사이클의 관점에서 도입기, 성장기로 구분 및 분석해 보았다. 또한, ‘배달의민족’경영전략의 성과분석 및 식품배송 O2O 비즈니스의 성공요인에 대해 서술하고, 한국 O2O 기업의 발전방향을 ‘배달의민족’케이스와 각종 국내 및 해외의 사례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연구성과가 실제 스타트업 기업은 물론 학회에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그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이후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인류의 일상생활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O2O서비스를 현대인의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 식품배송 사업에 잘 접목시킨 ‘배달의민족’의 성공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측되며, 이 성공을 뒷받침해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 서정적 공간 이미지(IMAGE)의 표현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황미애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은 공허 속에서 녹아 없어진 사물들을 맹목적으로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목적을 충분히 이해한 힘이요, 인간의 심성을 발전시키고 순화시키는 데에 기여해야만 하는 힘인 것이다. 예술은, 자기 고유의 형식으로써 사물에서 심성에 이르는 말을 주고 받는 언어요, 또한 심성이 이런 형식을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는 나날의 양식인 것이다. 인간적인 심성이 보다 강한 삶을 영위하는 시대에 있어서는 언제나 예술도 보다 생동적으로 된다. 왜냐하면 심성과 예술은 상호 완성하는 관계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예술가는 무엇인가 전달하지 않으면 안 되며, 예술가의 임무라는 것은 형태를 지배하는 데에 있지 않고, 형태를 내용에 적합하도록 만드는 데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한 작품의 내용은 그 작가의 표현 의도라고 말할 수 있으며 그것은 지각의 세계에 대한 관심일 수도 있고 인간의 경험과 정서의 영역에 대한 관심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볼 때, 서정적이고 감성적인 측면에서 공간의 형상을 이미지화 시키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삼고자 하는 이상으로 심성의 내적 소리에 귀를 기울여서 생명력을 지닌 작품을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나의 작품 연구에 있어서는 내용적인 면과 방법적인 면으로 크게 나누어, 공간의 기본적 개념의 인식과 함께 의미의 변화를 시대적으로 파악하여 보고 공간성의 직관화를 통한 서정적 이미지 추구를 내용으로 담고자 하였으며 그 방법적인 것으로는 작품 화면상에 있어 공간의 표현 방식으로 가시적 공간과 비가시적 공간의 이중적 공간 개념을 서정적 이미지의 표현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에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존재를 변형의 이미지로 표현코자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는 나의 작품을 가지고 그것의 개별적인 분석과 재작과정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재정리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작업 활동 방향과 문제 제시의 근거를 마련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Art is not a blind creation of the things that will melt away into emptiness but a power to understand a certain objective and a power to develop and purify human meantality. Art is a language to communicate through things to mentality with a form of its own, and a daily food that mentality can be fed just through the form. It becomes more live in an age at the mercy of human mentality because mentality and art are related to complete each other. I think that an artist must transmit something, and his/her mission is not to control a form but to adjust it to the substance. Therefore, the substance of a work can be said as an intention the author is willing to express, which may be an interest in intellectual world, or in human experience and emotion. In view of above, I first focused on imagenation of spatial form in lyric and emotional side and tried to make a work with a power of life listening to inner voice of human mentality. For the study of my works, I divided them into the substantial side and the methodic side. That is, in the former side, I tried to grasp a meaning's variation by periods together with basic conception of the space, and to pursue lyrical image of the spatial nature through intuition. In the latter side, I tried to express the dual conception of visual space and invisual space as lyrical image. Further, I tried to express the existences which separate from consciousness and exist in external world with an image of metamorphoses. For this study, I have approached my works with the indivisual analysis and the precise examination of my work procedure. In conclusion, I intend to regard this study as an opportunity to present a direction to my future work and to prepare a basis of having a critical mind for my work.

      • 이유식에 대한 주부들의 인식 및 이용실태 조사

        황미애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on Mothers' senses on weaning foods and the actual state of using them is intended to suggest a desirable weaning food plan and some helpful improvements for babies' health. This is on the basis of the making up questions from mothers who have under 24 month babies and live in Daegu. The questions are about general facts of them, the senses on weaning food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using the mother-made weaning foods and the marketing weaning foods. The results of the above are as follow: 1. 90% of respondents said the weaning foods are necessary and 97% want to know about them more. 70% already know how to wean their babies and the things they want to know about most are how to make weaning foods. They usually start to feed the weaning foods when the babies are 5 or 6 monthsold and end 12 or 15 months old. At the beginning, most infants have mom-made weaning foods, marketing weaning foods, juice, and fruit juice. They think it is desirable to feed weaning foods with spoon and actually they use spoons and nursing bottles. Mothers usually make Gruel, rice water, and boiled rice with cereals. In a kind of vegetable, potatoes, spinaches, and carrots are usually used. In fruits, apples, oranges, and bananas are popular. In a kind of fish and meat, fish, eggs, bean curd are used in order. 2. The beginning of the weaning period and monthly income(p<.05)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ogress of the weaning food and the forms of i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o. 3. Mothers know well about what is the weaning food and how to use it, and they think first whether the weaning foods suit to babies' taste . 4. 92% of mothers have used marketing weaning foods. Most mothers use them for convenience of cooking and timesaving . More than 70% of infants like them and mothers usually buy them in big sized marts. They choose marketing weaning foods by their brands and are satisfied with them. But mothers think marketing weaning foods are too expensive and feed their babies according to the amount written on the can. Most mothers spent average under 30000-50000 won in purchasing them. 5. Why do mothers use marketing weaning foods is statistically connected with their school careers(p<.05),their jobs(p<.01), and the forms of nursing(p<.05). 6. When mothers select marketing weaning foods, the age of them(p<.05)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ir school career, existence of job, monthly income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st mothers under 30 or above 35 purchase weaning foods after comparing the nutriments but most from 30 to 34 purchase by the brand. 7. Mothers think marketing weaning foods are timesaving, convenient, and easy to preserve and purchase.

      • 일상 공간 변조에 의한 꿈의 형상화

        황미애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꿈은 일상을 토대로 만들어진 가상의 세계이다. 꿈을 연구하려면 일상을 파악하는 일이 우선 되어져야 한다. ?일상이란 보잘것없으면서도 견고한 것이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부분과 단편들이 하나의 일과표 속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어떤 것이다.? 일상은 매일 반복되는 생활로 항상 존재하지만 그것을 느낄 수 없을 만큼 당연히 곁에 있어 언급조차 되지 않았던 것이다. 20세기에 들어 인류에게 여러 재앙들이 닥치게 되고, 이러한 일들을 겪음으로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고 현대생활에서 일상이라는 존재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으며, 이것은 예술의 영역에도 영향을 끼쳤다. 일상을 소재로 한 예술은 작가의 정서적 체험이 담겨져 감상자와의 깊은 소통으로 이어지며, 미적 경험은 행복이란 개념에 도달 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가 되었다. 일상이 바탕이 된 꿈은 예술가의 무의식과 감정이 그대로 드러나 작가의 내면을 형상화 한다. 예술가는 이를 통해 눈으로 볼 수 없는 자신의 마음을 작품을 통해 들여다 볼 수 있다. 본인은 초현실주의자들의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해 꿈의 이미지를 화면에 담아낸다. 일상의 소재들을 확대 시키거나 축소시켜 자유로운 연상을 통해 오브제를 배치한다. 공간을 나누어 기억의 파편들로 이루어진 꿈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이렇게 분할된 화면은 서로 다른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부분을 만들고 각각의 장면들이 다르게 해석되어 감상자에게 더 많은 이야깃거리를 제공한다. 이 같은 작업을 통해 본인의 내면의 세계를 들여다보고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작가로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모색해본다. A dream is a world of imagination yet based on reality. So one should study everyday reality first to look into one's dreams. "Everyday life is trivial yet persistent, it is unsurprising but the parts and fragments are connected in one daily schedule." Everyday life is the life repeated everyday. Although it has been there all the time, it has hardly been talked about because it was too close to be felt and seen. Since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human beings have suffered many disastrous crises as species and the horror of these events made people realize the importance of everyday life. People have come to study it as a serious subject, which also influenced art. Arts of everyday life which transmit the emotional experience of artists have allowed a deeper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s themselves came to be valued as a way to sense happiness. The dream based on daily life reveals the unconscious and emotional part of an artist raw to visualize the inner-self of the artist. An artist can see the mind of oneself through one's work which one cannot see through eyes. I describe the dream image by utilizing the d?paysement method of surrealists. I scatter objets of my free imagination from everyday life here and there in enlarged or reduced forms. I divide the space to show the images of dream that is full of fragmented memories. These divided spaces can talk to each other as they provide richer stories to the audience. These works give an opportunity to objectify and reflect on my inner-self and I would search for my artistic future based on these experiences.

      • 고속도로 복합휴게소 내 지역 밀착형 도입시설 공간 계획 연구 : 음성휴게소를 중심으로

        황미애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속도로 휴게소는 고속도로를 이용할 시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한 목적에 지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도로이용자에게 편리한 도로 공간을 제공하고, 여러 가지 기능과 휴게소 이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시설을 갖추게 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휴게소는 이용현황을 보면 폐쇄된 공간에 일반적인 휴게 기능 위주로 주변 지역과는 분리된 단일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기존의 대부분의 복합휴게소는 수익을 위한 판매시설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역 관련 시설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휴게소 건물과 거리가 있는 소극적인 시설도입으로 그 효과가 미약하다. 이에 대해 고속도로 휴게소가 지닌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시설을 도입하면 지역특산물 시장형성, 농가 수입향상, 지역주민의 고용 창출 등의 효과를 보이며 도로이용객과 지역주민 간의 교류를 통한 지역연계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휴게소 내에 교류의 장으로서 지역의 주민시설과 특산물 판매, 교류 등 직거래가 가능한 새로운 공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성휴게소를 중심으로 휴게소 내 지역밀착형 도입시설 공간을 중점적으로 복합휴게소와 지역밀착형 휴게소를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기존의 복합휴게소들의 지역밀착공간으로 어떤 공간들이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 계획을 진행하였다. 설계 계획으로는 첫째, 기존의 휴게소 외부에 소규모로 배치되어있는 지역특산물 판매시설을 휴게소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휴게소 이용객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음성휴게소(하남 방향) 지역주민들의 이용과 판매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시설을 운영하기 위한 지역주민의 고용증가와 지역 특산물 판매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될 수 있다. 휴게소가 단순히 쉼터가 아닌 지역 경제교류의 장으로 활용한다. 둘째, 음성휴게소 하남 방향과 통영 방향을 이어주는 연결 육교를 설치하여 이용객들과 지역주민들의 산책로와 전망대 역할, 통영 방향에 있는 문화유물전시관 등을 이용할 수 있게 연결한다. 셋째, 지역의 경작지를 휴게소 내에 배치하여 지역주민의 휴게소 접근성을 높이고 휴게소 이용객들에게는 체험공간과 산책로를 제공하고 지역특산물 구매, 지역관광, 휴식공간 등을 제공한다. 지역주민들에게는 지역 농산물 판매시설, 지역 활성화, 지역홍보 등의 공간과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밀착형 공간을 계획하고 지역연계와 지역 활성화를 위한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highway service area has been used to take a short rest or use the toilet when using the highway, but recently, it is a tendency to provide a convenient road space and the various service and facilities that satisfy the needs of users of service area. However,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service area in Korea, the service area has been operating as a single facility separate from the surrounding areas, focusing on simple rest functions in closed spaces. Most of the complex service areas are operated primarily on sales facilities for profit, and even if local facilities are installed, the effect is weak by passive introductory facilities that are distant from the service area building. In response, the introduction of faciliti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area will have the effect of creating a market for special local products, creating jop for local residents, and improving the income of farming households. Also, local linkage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exchange between highway users and local res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new place as an exchange venue within the service area where can be local residents' facilities and sell of special products. Based on this, the study research investigated complex service areas and local community-based service areas with a focus on the area of local community-based introductory facilities on the basis of the Eumseong service area. In addition, through a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y, the design plan was carried ou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which areas were being used as local close space for existing complex service areas. The first design plan is to provide a space for the use and sale of residents at the eumseong service area(Hanam) and increase user accessibility as the local special product sales facility, which is located on a small scale outside the existing rest area, is re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est area. In addition, it coul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such as the increase in employment of local residents to operate facilities and the sale of special local products. The service area is not just a shelter, but a venue for regional economic exchange. Second, a overpass connecting the service areas in the direction of Hanam and in the direction of Tongyeong is installed to provide a walking path, observatory and access to the sights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hall in Tongyeong for local residents and users. Third, the cropped area is located within the service area to increase access to the service area for residents, create a farm experience place for the users, and provide walking path, local specialty goods, tourism, and relaxation place. Also local residents are provided with place to sell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effectiveness such as regional revitalization, and regional promo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ims to plan the Local community-based place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opose place for regional linkage and regional revitalization.

      • 대학생이 선호하는 여교수의 리더십 유형과 외모 이미지

        황미애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with the collapse of the authoritative hierarchical order, delicate and sensitive feminine leadership has emerged as flexible and equal relation-oriented modern leadership.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ype of leadership and appearance image preferred by both college men and women and analyze difference in prefere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y the stereotype of personality variables, focusing on female professors among female leaders. In fact,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creation of favorable and reliable leadership and appearance images as a competent female leader. In terms of research method, college students in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Changwon were sampled by college from September 15 to 29 , 2012. Then, among a total of4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91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e following tests were conducte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Pearson'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Scheffe’s post-hoc test. Th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n type of leadership preferr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high as the college year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preferred among college men in terms of gender.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n type of leadership preferred from female professors by college students’ stereotype on gender role, stereotype on occupational and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tereotype on social gender role in terms of the effect on the type of leadership preferred in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s. As the stereotype on occupational and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creased, transformational /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more preferred. On the contrary, as the stereotype on social gender role increased, transformational /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less preferred. Third, according to analysis on female professors’ appearance images preferred by college stu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atural makeup’ was the highest. When analyzed by college, ‘romantic makeup’ was most preferred in College of Humanities and College of Arts & Sports while ‘classic makeup’ was most preferred in College of Natural Science and College of Social Science. In terms of hairstyle, ‘romantic hairstyle’ was most preferred. Among college men, ‘romantic hairstyle’ was most preferred in College of Humanities, College of Natural Science and College of Arts & Sports. In College of Social Science, on the contrary, ‘natural hairstyle,’ ‘neat shortcut’ and ‘classic hairstyle’ were most preferred. In terms of fashion, ‘classic fashion’ was most preferred. In terms of gender, men preferred ‘dramatic fashion’ while women liked ‘classic fashion’ most.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n female professors’ appearance images preferred depending on college students’ stereotype on gender role, ‘natural hairstyle’ was preferred in a group in which the stereotype on occupational &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gender role was high. In a group in which the stereotype was low, on the contrary, ‘classic hairstyle’ was preferred. In terms of makeup, ‘classic makeup’ was preferred in a group in which the stereotype on gender role was low. In terms of fashion, ‘natural fashion’ was preferred in agroup in which stereotype on social gender role was high while ‘classic fashion’ was preferred in a group in which the stereotype was low.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as the college year increased,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female professors’ transformational /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high. Among various stereotypes on college students’ gender role, the stereotype on occupational and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d the greatest effect on transformational / transactional leadership. Therefore, it appears that socio- psychological stereotype as a professor had an impact on choosing the type of leadership preferred. In terms of female professors’ appearance image, ‘natural makeup,’ ‘romantic hairstyle’ and ‘classic fashion’ were preferred. In terms of makeup, however, preference varied by gender and college. In terms of fashion, preference varied by gender only. In terms of makeup, hairstyle and fashion, ‘classic image’ was preferred in a group in which stereotype on gender role was low. Therefore, it’s been confirmed that occupation (‘professor’) was more influential than role by gender. This study has analyzed a type of female professors’ leadership and their appearance image against college students. It appears that this paper would be able to suggest eligibility and images for a model professor and leader. 오늘날 기존 사회의 권위적인 위계질서가 와해되면서 섬세한 감성을 강조하는 여성적 리더십이 유연하고 수평적인 관계를 지향하는 현대적 리더십으로 부각되고 있다. 논자는 여성 리더 가운데 여교수를 중심으로, 남녀 대학생이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과 외모 이미지에 대해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 차이 그리고 관련변인인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분석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유능한 여성 리더로서 호감가고 신뢰성 있는 효과적인 리더십과 외모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12년 9월 15일부터 9월 29일까지 서울시와 창원시의 4년제 대학생을 전공계열별로 할당하여 편의 추출하였고,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91부가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단순 상관관계 분석(Pearson's), 빈도 분석,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a계수, Scheffe 사후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을 살펴본 결과, 성별이 남자인 경우와 학년이 높을수록 변혁적 리더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라 선호하는 여교수의 리더십 유형을 분석한 결과,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모두 직업 및 사회 심리적 특성에 대한 고정관념,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순으로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 및 사회 심리적 특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에 대한 선호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여교수의 외모 이미지를 살펴본 결과, 내추럴 메이크업 스타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라서는 인문과학계열과 예체능계열은 로맨틱 메이크업 스타일을, 자연과학계열과 사회과학계열은 클래식 메이크업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였다. 헤어 스타일은 로맨틱 헤어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전공계열에 따라서는 인문과학계열, 자연과학계열, 예체능계열이 로맨틱 헤어 스타일을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하였고 사회과학계열은 내추럴 헤어 스타일 또는 잘 정돈된 단발머리와 클래식 헤어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였다. 패션 스타일은 클래식 패션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는 드라마틱 패션 스타일을 선호한 반면, 여자는 클래식 패션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였다. 넷째,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라 선호하는 여교수의 외모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헤어 스타일의 경우 직업 및 사회심리적 특성,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고정 관념이 높은 집단이 내추럴한 헤어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정관념이 낮은 집단은 클래식 헤어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 스타일의 경우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낮은 집단이 클래식 메이크업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 스타일의 경우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높은 집단은 내추럴 패션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정관념이 낮은 집단은 클래식 패션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내용을 통해, 남녀 성별에 상관없이 대학 학년이 높아질수록 여교수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유형에 관심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가운데 직업 및 사회 심리적 특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쳐 교수라는 직업에 따른 사회 심리적 고정관념이,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여교수의 외모 이미지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내추럴 메이크업 스타일, 로맨틱 헤어 스타일, 클래식 패션 스타일을 선호하였으나 메이크업은 전공계열, 헤어 스타일은 성별과 전공계열, 패션 스타일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메이크업 스타일, 헤어 스타일, 패션 스타일 모두 성역할 고정관념이 낮은 집단에서 클래식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역할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교수라는 직업적 특성을 더욱 중요시 여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대표적인 여성 리더라 할 수 있는 여교수의 리더십 유형과 외모 이미지에 대해, 수용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교육자, 리더상으로서의 자질과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장애인직업재활 현장종사자의 상담실천기술에 관한 연구

        황미애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의 장애인복지관 및 직업재활시설 등에서 근무하면서 장애인과 그 가족들을 상담하고 있는 상담 사 들을 대상으로 하여 상담하는 재활전문 인력의 상담실천 기술과 특성들에 관해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많은 상담이론이 있기는 하지만 아직 ‘전문적인 상담’이라든지 ‘직업재활’이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는 일반 영역에서 사용되어 오던 상담기술들이 비판 없이 재활상담 영역에서도 수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여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노력은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하였다고 볼 수 있다. 심지어는 상담 사 자신이 어떤 상담이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지 혹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적 비언어적 기술들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분별하기가 쉽지 않았다. 역사적으로 짧은 이러한 기간은 숙달된 경험보다는 이론적 배경에 치중 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을 것이다. 상담과정은 정서적인 대인관계를 발전시키도록 도우며, 개인으로 하여금 행동과 마음을 향상시켜 바람직한 삶의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하나이다. 그래서 상담의 이론과 실제 현장의 구체적 상담기술과 방법은 전문가의 활동 근거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상담은 윤리적 기준이나 원리들을 일깨워 주어 현장에서 유능한 경험을 통한 타인을 원조하는 사람의 심상을 헤아릴 줄 아는 것이 상담이라고 생각해볼 때 종합적으로 상담기술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한층 더 발전시켜야 할 부분인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장애범주에 상관없이 장애근로자들이 근무하고 있는 작업장이나 장애인과 그 가족들을 상담하는 인력이 비치된 근로복지공단, 고용촉진공단, 복지관, 그리고 기타 직업재활시설에서 근무하며 상담을 맡고 있는 현직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국 전 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토대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포 의뢰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회수된 질문지 109개에 대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와 Lisrel의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자료 처리하고 이와 더불어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추정하였다. 직업재활현장 담당 상담 사 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이 조사되었고 성별과 직급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남자들의 경우는 승진의 기회가 많고 여자들은 상급 직 으 로 의 이동이 쉽지 않다는 점을 반영한다. 상담기술은 장애구분 없이 상담할 때 필요한 기술들을 중요성에 따라 44문항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평균값이 가장 높은 문항으로는 상담할 때 내담 자 이야기를 경청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나타내었다. 그리고 첫 대면 시 상담 사 몸짓과 얼굴 표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나타내었으며 시선의 마주침, 미소, 끄덕임 등의 비언어적 수단은 상담강화에 도움을 준다 순으로 중요성을 나타내었다. 상담 사 특성부분은 상담에 대한 여러 가지 관련성, 절차, 필수사항 등을 기록 한다 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졸 이하의 종사자들은 개인자질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정서요인이 높게 나타내었다. 상담 사 특성 영역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재활상담에 있어서 내담 자를 배려하는 심리적 준비와 전문성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이나 혹은 그 가족들과 하루를 보내게 되는 현장의 실천가들이 사용하고 있는 상담기법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전문가들이 더욱 상담에 무장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구성과 교안제작에 있어서 내담 자와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감정이입방법들을 고려하고 상담기술영역에 있어서는 이해요인에 비중을 크게 두어야 하겠다. 나아가 바람직한 상담 사 특성 개발을 위해서는 개인자질의 육성을 위한 다각적인 방법들이 동원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rehabilitation counselors' skills in practicing on various work settings. For the research purpos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a total of 168 counselors in the country. The questionnaire contains general questions of demographic information with 44 specific counseling skills and 18 items for asking counselor characteristics. One hundred nine questionnaires returned were finally analyzed using SPSS and Lisrel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programs.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research participants' gender and work position. Male counselors tend to occupy higher job positions than female ones, reflecting this man-dominant society with Confucianism tradition of Korea. Therefore, male counselors may have much more promotion opportunities at work. Among the counseling skills, listening skills are most important followed by facial and body gestures, and other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These phenomena are indicative of client-centered counseling trends among the field practitioners who deal with various issues and problem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families with disabled members. In terms of counselors' personal characteristics, caution of case management areas had a highest rating. Less educated counselors tend to highly value toward personal qualification of counselors. The results of survey show that the psychological prepa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meeting their client groups are upmost important for rehabilitation counseling practitioners. Based upon a series of factor analyses, 44 counseling skill areas can be grouped into five categories, while counselor characteristics are grouped into 3 categories: ① understanding factor, ② response factor, ③ encouragement factor, ④ analysis factor, ⑤ procedure factor; ① personal qualification factor, ② emotional factor ③ technical factor. In conclusion, rehabilitation counselor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or modified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Counselor educators should also put more in put on the empathy method and desirable counselor characteristics to promote an interaction between rehabilitation counselors and their cl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