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을 위한 비빔밥 개발

        한현숙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Bibimbap or rice mixed with vegetables is one of the well-known traditional Korean dishes. In order to make Bibimbap attractive to foreigners, historical documents on Bibimbap were carefully studied. Besides, surveys involving foreigners and actual tasting/evaluation event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n ideal Bibimbap recipe for foreigners and layed the foundation for globalizing the Korean food by presenting basic reference data. The first time when Bibimbap appeared in historical documents was in the end of 1800s in Si-eu-jeon-seo. The theories on the Bibimbaps origin vary including the dish served for King, the recipe for handling left-overs, instant food for fast easting during the busiest farming season, fugitive food on the road, and food eaten during the Dong-Hak civil uprising. Bibimbap has followed various unique paths of development depending on regions. Among them, Jeonju Bibimbap, Jinju Bibimbap and Haeju Bibimbap are the most famous. In the survey on the preference of Bibimbap, over 80% of the foreign respondents replied positively. However, considerable preference disparity was found in Bibimbap materials and sauces depending on their nationality and gender. As a replacement for beef, one of the main Bibimbap ingredients, tofu was the most favorit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n preference to traditional Bibimbap, tofu Bibimbap was newly developed. With this, four kinds of different sauces were served. Foreign participants displayed high preference to barbecue sauce both with traditional and tofu Bibimbap. Compared with other Korean foods, much more concentrated efforts have been taken to make Bibimbap appeal to taste buds of foreigners. Still, more commitment to develop new sauces and ingredients will be essential. In addition, such activities as online promotion, diverse sampling opportunities, the operation of cooking experience program and the opening of Bibimbap restaurants in foreign countries, will be sure to boost the worldwide recognition of the Korean dish. 대표적인 전통음식인 비빔밥을 외국인의 기호에 맞게 개발하기 위해 비빔밥의 문헌 고찰과 외국인 대상의 설문조사와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이를 통해 외국인의 입맛에 맞는 비빔밥 레시피 설정 및 비빔밥의 국제화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비빔밥이 문헌상에 처음 등장한 것은 1800년대 말엽의 「시의전서」이다. 그 유래는 궁중음식설, 묵은 음식 처리설, 음복설, 농번기 음식설, 임금 몽진 음식설, 동학혁명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비빔밥은 지역마다 독특한 향토음식으로 발전하였으며 특히 전주, 진주, 해주 비빔밥이 유명하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비빔밥에 대한 외국인의 선호도 조사 결과는 80%이상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비빔밥 재료와 소스에 대해서는 국적과성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쇠고기 대신 들어갈 재료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두부의 선호도가 높았다. 전통비빔밥과 기호도 조사를 토대로 개발한 두부비빔밥에 4가지 다른 종류의 소스를 넣어 시식케 했는데 전통비빔밥, 두부비빔밥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전통비빔밥과 두부비빔밥 둘 다 불고기소스를 넣은 것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비빔밥은 다른 음식에 비해 국제화 방안이 활발히 모색되어 지고 있으나 다양한 외국인의 입맛을 충족 시켜 줄 수 있는 소스와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홍보강화와 다양한 시식 및 요리체험 프로그램의 운영, 외국에 비빔밥 전문점 개설 등 비빔밥의 국제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 고령화사회 고령인력 활용방안

        한현숙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은 출산율의 급속한 하락과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말미암아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만큼 빠르게 인구 구조가 고령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중장기적으로 노동인력 감소와 생산성 저하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경제성장의 정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정책제시를 통해 국가 경제적 측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선진화된 노인복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발행된 단행본, 연구논문, 기사, 관련법규, 정책보고서, 인터넷자료 등을 참고하여 정부의 고령화사회 노인인력활용에 관련한 법과 제도를 분석하고, 노인인력 사업관련 정책 및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선진 외국의 관련 사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파악한 노인인력 활용 관련 문제점을 근거하여 한국 노인인력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 적합 직종의 개발과 고용의무화를 실천해야 한다. 둘째, 노인의 고용기회 확대를 위하여 고령근로자가 현역으로서 생산적인 근로활동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연령차별금지제도를 마련하는 것이다. 셋째, 정년 연장의 법제화가 필요하다. 넷째, 임금피크제 확대와 임금체계의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기업의 고령자 기준고용률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여섯째, 프로그램 활용방안으로서 고령자 적합형 직종을 개발해야 한다. 노인 적합형 직종은 건강한 노인들의 경험과 지혜, 부지런함과 인내심 등을 강점으로 삼아 틈새시장 형태로 젊은 노동력과 경쟁하지 않으면서 수요가 창출될 수 있으며, 재교육훈련을 통한 재취업 보장 확대로 중․고령층이 지닌 경험과 지식, 그리고 인적 네트워크가 우리사회의 자산이 되게 하는 것이다. 일곱째, 노인취업 전산망을 통합해야 한다.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노인 취업을 위한 전산망을 통합하는 것이 고령자 취업을 위한 운영 프로그램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이다. 취업지원기관별로 취업지원 대상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고령자 취업을 위한 별도의 노인취업관리공단을 만들어 노인취업 상담과 알선, 교육, 사후관리 등을 통합 관리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Of lately in Korea, an extremely low fertility rate and extended average life expectancy resulted in rapid aging of the composition of population unprecedented in the world. Such phenomenon may cause decrease in labor force as well as productivity in medium–long term perspective and could resulted in economic stagnation therefore, it appears to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in terms of national economy through active discussion & suggestion of policy proposals and to build an advanced welfare system for aged. In this regard, the study examined those laws and systems as to aged labor utilization in aging society by referencing books, research articles, newspaper articles, related laws, policy reports, internet data. and verified the status of aged labor policy and service and derived implications analyzing related projects in advanced countries. On the basis of problems related to the aged labor utilization, a plan was derived out to improve aged labor utiliz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quire to develop type of works for aged labor and execution of mandatory employment. Second, to establish an age discrimination prohibit system to allow aged worker to be involved in productive works to increase employment opportunities of aged workers. Third, require legislation of extend retirement age is necessary. Four, require to prepare expansion of the wage peak system and the wage structure improvement plan. Fifth, Requires a plan to improve Standard employment ratio of aged labor by corporate. Sixth, Necessary to develop type of works suitable to aged labor as a program utilization method. The suitable type of work for aged should be in the form of niche market utilizing experience and wisdom, diligence and patience as being strength of healthy aged labor not creating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young labors, thus to make the experience & knowledge and networks of aged person to be the assets of our society by expanding expanded re-employment opportunity through reeducation and re-training. Seventh, integration of computer network for aged labor employment should be carried out. It could be the fundamental method in solving operational problem for aged labor employment integrating computer networks for employment of aged labor being already in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employment support is differ in by respective employment support institution therefore, the result indicate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management in counseling, introduction, training, by establishment of a separate aged labor employment agency for aged labor employment.

      • 여성노인을 위한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노인여가복지시설 중심으로

        한현숙 백석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in the welfare leisure agency of the elderly.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has to be made of a series of health education which is planned to have lectures and practices. It consists of how-to lessons of self-management, drug-management, and physic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with a chronic illness like diabetes, hypertension, and nutrition deficiency. The program has a total of four group counseling and discussion sessions about symptoms of senility aging. It also has six low-intensity exercises for the elderly and an emotional supporting program such as beauty care and recreational activ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the measureme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has been used. In addition to this measurement, the physical health status which includes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status has been used. The data of the measurement has been obtained by using the scal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by Walker, S.N. et. al. (1995), Perceive Health Status, Physical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GDS-short form by Sheikh, J.N. & Yesavage, J.A. (1986). This study is conducted by using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It is planned to be made of a group of 59 elderly women who are the current members in the welfare leisure agency for the elderl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re to be used for data analysis by the SPSS, and the effectiveness of size and power on t-test has to be analyzed by the G*Pow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should be proved that i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The degree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happens to show an increase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a decrease. In conclusion, it can be prov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can be reliabily used for the elderly wom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concerns and studies about the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in the field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especially in the senior centers and Christian churches in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high quality of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Thir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should be designed to fit their needs with which they can understand and consider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Finally, it should be taken followed-up researches to develop the specific manuals which can be suitable to the elderly who has different needs. 노인들의 평균수명 연장과 사회구조의 변화로 노인의료비 등 노인부양의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 욕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 속에 노인들의 건강문제가 고령화 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여성노인들은 평균 수명이 길고, 생의 주기적 특성과 성차별적 요인으로 건강상태가 더 취약한 처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의 건강증진 향상을 목적으로 지역사회 내 접근성이 높은 노인여가복지시설에서 시행할 수 있는 통합적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 고취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의 향상을 목적으로 4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내용은 만성질환관리 및 영양교육, 운동과 관련한 6회의 강의이며, 둘째, 4회의 집단상담 및 토론, 셋째, 6회에 걸친 노인체조 프로그램 그리고 끝으로, 뷰티케어와 실버 레크레이션으로 구성된 정서적지지 프로그램이다. 회기당 1시간 40분씩 주 1회 총 8회기의 단기 프로그램으로 2인의 사회복지사와 체육전공자에 의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참여 후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건강상태의 변화를 연구과제로 4개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첫째, 통합적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건강증진생활양식(HPLP)의 사전사후 paired t-test 결과, 실험집단은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실험집단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2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현재 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대한 5점 척도 질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동년배와 비교한 본인의 건강상태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제 2가설은 부분적으로만 지지 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은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생리지수와 기초체력 측정으로 살펴본 객관적 건강상태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 3가설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끝으로 대조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우울감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 4가설은 지지 되었다. 또한 양적 효과성 검증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진행된 프로그램의 과정 평가 결과, 건강책임, 신체활동,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증진생활양식은 5개 하위영역에서 고른 효과성을 보였으며, 주관적 신체 건강상태와 정신적 건강상태에 효과가 있었다는 인터뷰 결과를 보였다. 총 8회기 동안 참여자 36명의 평균 출석률은 84.25%이었고, 탈락률은 8%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지역사회 일반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노인들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발한 통합적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한 몇 가지 제안점을 살펴보면, 첫째, 고령화 사회의 환경적 변화 속에 노인복지 분야에서의 노인 건강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연구의 개발을 촉구한다. 노인건강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요구가 늘고 있는 실정에서 노인과 지역사회 환경과의 통합적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사의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여가복지시설 특히 교회나 성당 중심의 종교기관 노인교실을 이용한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특히 여러 요소에서 사회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종교기관 노인교실에서 시행될 경우 높은 친밀도와 지속적인 집단유지, 물리적 자원과 자원봉사 수급의 용이성 등은 노인 건강증진 교육의 장으로서의 이점이 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가 노인 건강증진을 담당하는 전문가로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기존의 환경 체계 안에서 노인을 이해하고 연계하는 전문가로서의 역할은 물론이고 노인건강 전문가로서의 일정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익혀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제도적 장치들이 뒷받침될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차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입증된 효과성이 어떤 요인과 경로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 할 것이며, 또한 다양하게 분화되는 노인들의 특성에 맞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 자기표현 훈련이 아동의 사회성과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현숙 총신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언어나 행동으로 원만히 표현하되, 상대방의 인격과 권리를 존중해 주는 행동인 자기표현 훈련을 통하여 사회성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표현 능력이 향상될 것인가? 2.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성이 향상될 것인가? 3.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될 것인가? 4.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표현 능력, 사회성,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웅변 학원 1학년 아동 중 남자, 여자 각각 10명씩 2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0명(남5명, 여5명), 통제집단 10명(남5명, 여5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직접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아동에게는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매주 3회, 매회 90분씩, 30회에 걸쳐 10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Rakos & Schroeder(1979)에 의해 개발된 자기표현 평정 척도를 이성현(1997)이 수정 보완한 자기표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사회성 검사지는 한영숙(1998)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대인문제 해결력(MEPS) 검사는 박희숙(1995)이 사용한 것을 본인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집단간 전, 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통계치(평균, 표준편차와 평균치)와 평균치의 차이 t-검증과 필요에 따라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표현 능력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모든 하위요소 및 총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남·여 모두 자기표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사회성 요인 중 협동성과 사교성, 자주성이 많이 증진되었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사회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문제해결 능력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지만, 성별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아동은 자기표현 능력 향상과 사회성 발달, 문제해결 능력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자기표현 훈련은 사회성 발달과 문제해결 능력에 중요한 학습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oci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children in their first year in elementary school were affected by self-expression training that aimed at helping them express their ideas, feelings, opinion, position, rights or assertions through language or behavior in a manner to respect the personality and rights of other peopl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 1. Does a group that gets self-expression training have a bette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2. Does a group that gets self-expression training build a better sociability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3. Does a group that gets self-expression training make a greater progress in problem-solving ability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4. Are there wider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a group that gets self-expression training than i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children in their first year from a private oratory education institute in Seoul, who included 10 boys and 10 girls. Afte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five boys and five girl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self-expression training under the guidance of this researcher. That program was conducted 30 times for 10 weeks, three times a week, and 90 minutes each.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Lee Seong-hyeon(1997)'s modified version of Rakos & Schroeder(1979)'s self-expression scale. Regarding sociability, Han Yeoung-suk(1998)'s amended version was used, and Park Hui-suk(1995)'s MEPS test was modified by this researcher to assess an ability to handle interpersonal problems. For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see if there were any changes after the experiment. Besides, t-test was carried out and covariance analysis was implemented as occasion demanded.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rained for self-expression showed a more significant change in self-expression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The gende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every subfactor and total scores, but both boys and girls improved in self-expression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disciplined in self-expression made a significant progress in soci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wasn't. In particular, their cooperativeness, socializing and independence got better a lot, but gende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ociability.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rained for self-expression made a more significant development in problem-solving ability that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But there appeared no difference caused by gender.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every child who got self-expression training showed an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soci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self-expression training could be said as one of the crucial learning activities to make soci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etter.

      • 『서구인의 눈으로』에 나타난 이중의 목소리

        한현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셉 콘래드(Joseph Conrad)의 『서구인의 눈으로』(Under Western Eyes)에 나타난 소설에 있어서의 이중의 목소리의 실체와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라주모프(Razumov)라는 주인공의 기록이 화자에 의해 서술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영국인 화자의 서술뿐만 아니라 때대로 전지적 화자의 서술이 빈번하게 교차되고 있는 복합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제 2장은 화자의 서술과 권위에 대한 고찰이다. 이는 화자가 라주모프의 기록을 객관적으로 전달했는가의 문제로 치환될 수 있다. 화자는 라주모프의 기록을 자의적으로 첨삭하고 연대기적인 구성을 재배치하며 자신의 경험에 근거한 여담을 첨가시킴으로써 스스로 객관성을 무너뜨리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가 갖는 화자로서의 권위는 불완전한 것이 된다. 콘래드는 이러한 불완전한 권위를 갖는 화자를 설정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화자 이외의 다른 목소리에 주목케 한다. 제 3장은 이 작품의 주된 목소리를 드러내는 화자와 화자의 목소리 이면에 감추어진 작가의 목소리에 관한 논의이다. 화자는 러시아를 비서구의 열등한 국가로 인식함으로써 서구 중심적 인식체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를 불가해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화자를 통해 작가는 서구적 인식의 한계를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 작가는 화자의 주된 목소리 이면에 때때로 자신만의 독립적인 목소리를 드러냄으로서 두 목소리간의 적절한 균형을 모색하고 있다. 작가에 의한 이중의 목소리는 화자를 통해서 또는 라주모프의 마스크를 쓴 작가 자신을 통해서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단일화되고 일방적인 서술이 아닌 복합적인 서술의 양상을 보인다. 제 4장은 작품에서 구축되고 있는 이중의 목소리를 콘래드의 개인적인 경험과 결부시켜 살펴본다. 영국과 러시아라는 서구와 비서구의 문화적인 충돌은 콘래드 자신이 갖고 있는 두 문화의 체험과 결부시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는 콘래드의 개인적인 경험을 넘어서, 보다 다양한 의미가 있다. 바흐친(M. M. Bakhtin)이 말하는 대화적 서술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 작품은 일인칭 화자의 일방적인 서술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목소리를 갖게 되며, 라주모프의 고백은 진정한 대화적 세계로의 출발을 의미한다. 콘래드는 영국인 화자의 서술을 불완전한 권위에 머물게 함으로써, 단일하고 일방적이며 닫힌 서술 구조가 아닌, 보다 열린 대화적 세계를 보여준다. 이는 작품에서 곧 이중의 목소리로 표현되고 있다. 콘래드는 서구 중심적 인식과 그 한계를 말하는 이중의 목소리를 통해 어떤 인식의 틀이 다른 세계를 완전히 이해할 수도 포섭할 수도 없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두 세계가 충돌함으로써 드러나는 다양한 목소리는 작품의 의의가 하나로 귀결되거나 최종화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독자들은 콘래드가 마련해 놓은 다양한 목소리들 사이를 자유로이 여행하면서 작품의 보다 열린 의의를 탐색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double-voiced discourse in Under Western Eyes by Joseph Conrad. A large part of the work is a translation that the English narrator makes of a personal record left by the Russian hero, Razumov. The whole text, however, consists of the Englishman's narration and an omniscient narrator's discourse that alternate in a complex way. Chapter two explores the discourse and authority of the English narrator. It considers whether the narrator has made an objective rendition of Razumov's diary. It seems that the narrator diminishes the objectivity of his narration by arbitrarily expanding or curtailing Razumov's writing, rearranging its chronology, and adding digression based on his own experience. This detracts from his authority as narrator. By making the narrator's authority questionable, Conrad draws the reader's attention to another narrative voice in the work. Chapter three discusses double voicing created by the main narrator and Conrad's voice lurking behind the narrator's discourse. The narrator recognizes Russia as an inferior non-Western country, thus betraying a Western-centered point of view. His perception of Russia as an incomprehensible place points up the limited range of the Western outlook. Conrad often intermingles his own voice with the narrator's, and so attempt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two voices competing for narrative authority. Conrad creates double voicing through the narrator on the hand and the author himself masquerading as Razumov on the other. The text is woven with complex and multilayered, rather than simple and straightforward, narration. In Chapter four, the double voicing constructed in the novel is explored in relation to Conrad's personal experiences. The cultural clashes between the West and the non-West as represented by England and Russia respectively are to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Conrad's knowledge of the two different cultures. But Under Western Eyes conveys a variety of meanings beyond Conrad's personal experiences. Considered in terms of Bakhtinian dialogism, this novel contains dialogic voices, not merely the monologic discourse of the first-person narrator. Razumov's confession to his betrayal of Haldin signifies a step toward the genuinely dialogic world. Conferring imperfect authority on the English narrator, Conrad constructs a dialogic, open world rather than a monologic, closed narrative structure. This aspect of the work results in double voicing. By critiquing the West-centered perspective through polyphony, Conrad demonstrated that the frame of mind of one world cannot perfectly understand or embrace that of another. A plurality of voices arising from the clashes of the two worlds denies any possibility of reducing the novel to a finalized single meaning. Thus, the reader is invited to freely explore the various meanings of the work that Conrad provides through a polyphony of different narrative voices.

      • 초등 영어 자음군 발음 지도

        한현숙 서울교육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 영어교육은 기본적인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고자 음성언어 중심의 교육 방법을 강조하고 있는데 영어의 음을 식별하고 이해할 만한 발음(intelligible pronunciation)의 습득은 의사 소통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발음은 화석화 현상이 가장 심한 부분 중의 하나이며 모국어의 발음 습관으로 인해 외국어의 발음을 정확하게 습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영어의 음성 체계는 국어와 다르기 때문에 한국인이 영어를 발음하거나 표기할 때 오류를 범하기 쉬운데 이는 음소와 음운상의 차이뿐만 아니라 음절 구조의 차이 때문이다. 즉, 영어와 국어의 발음은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가 다를 뿐 아니라 영어는 강세박자언어의 성향이 강한데 비해 국어는 음절박자언어의 성향이 강하므로 한국인이 영어를 발음할 때 강세, 리듬, 억양 등을 살리지 못하고 국어처럼 모든 음절을 끊어서 발음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특히 본격적으로 문자언어를 접하게 되는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영어를 국어로 표기하여 발음하려는 습관 때문에 영어 음절을 재분절시켜 발음하는 현상을 자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어와 영어의 음절 구조의 차이로 인해 영어를 국어의 음절 구조대로 재분절시켜 발음하는 오류를 살펴봄으로써 올바른 발음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음절에 대한 이론과 영어와 국어의 음절 구조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음절이 영어와 국어에 실재하는 증거는 하나의 음운 단위로서의 음절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예로, 음절은 분절음인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지며 단어보다는 작은 발음의 단위이다. 영어와 국어의 음절 구조는 외부, 내부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데, 영어와 국어의 가장 큰 차이는 자음군의 유무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국어의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폐쇄된 단위로 모음을 중심으로 자음이 각각 한 개씩 올 수 있는 반면 영어의 음절은 모음을 중심으로 음절 초에 최대 3개, 음절 말에 최대 4개까지의 자음군(consonant dusters)을 허용한다. 이러한 자음군은 영어 발음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어두, 어중, 어미 자음군이 존재하며 자음군에 올 수 있는 수와 순서에는 제약이 있다. 한편, 국어는 문자상으로는 자음군을 허용하지만 음성학적으로는 자음군을 허용하지 않고 음절 말에 소리나는 발음은 /p, t, k. l, m, n, n, ŋ/으로 음절 말음 중화 제약이 지배한다. 또한 영어는 핵음(peak)과 말음(coda)의 결합체인 각운(rhyme)이 중심을 이루는 C-VC 구조인 반면, 국어는 두음(onset)과 핵음의 결합체인 어간(body)이 중심을 이루는 CV-C 구조라는 상이한 특정이 있다. 이러한 음절 구조의 차이로 인해 한국인 학습자가 영어를 발음할 때 국어의 7종성과 일치하지 않는 음소가 영어의 말음에 위치하거나, 국어의 음절 구조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음절 구조를 가진 영어 어휘를 발음할 때 국어의 음절 구조대로 재분절시켜 발음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특히 영어와 국어의 가장 큰 차이점인 자음군을 발음할 때 국어의 음절 구조를 적용시켜 모음을 삽입하거나 자음을 생략하여 영어가 국어식으로 재분절되어 발음된다. 따라서 영어의 1음절어인 strikes는 /스트라익스/나 /스트라이크스/로 5음절 또는 6음절로 재분절하여 발음함으로써 음절수를 늘리게 되어 영어답지 못한 발음을 구사할 뿐 아니라 음의 변화를 인식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초등학생의 자음군 발음의 실태와 재분절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발음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고 발음을 어려워하며 영어 발음을 국어식으로 표기하고 발음하는 학생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영어의 자음군을 국어식으로 발음하는 것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교사가 영어 음절을 재분절시켜 발음하고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원어민과 한국인의 영어 발음에서 음절 구조의 차이에 따른 발음 인식도를 비교해 보기 위해 6학년을 대상으로 20개의 문항을 원어민과 한국인이 발음한 것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초등학생들은 원어민과 한국인의 발음을 잘 식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어와 음절 구조가 일치하는 어휘의 경우는 원어민과 한국인의 발음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음절 구조가 일치하는 어휘의 발음은 한국인이라 할지라도 원어민처럼 정확하고 유창한 발음을 할 수 있으나 국어와 음절 구조가 다른 영어의 발음은 어색한 한국인 어투의 발음 오류를 범하기 쉽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음절 구조의 차이에 따른 발음 오류와 재분절 정도가 발음 및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주간의 발음 지도 전 후의 발음과 이해도 점수를 비교 검증해 보았다. 총 10개의 문항을 16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발음을 녹음하여 원어민으로 하여금 발음과 이해도를 평가하게 한 결과, 자음군이 있거나 종성이 국어와 일치하지 않는 영어 어휘 단음절어의 경우는 발음과 이해도의 향상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반면 국어와 음절 구조가 일치하는 영어어휘, 다음절어, /s+p, t, k/ 자음군과 같이 자음군의 자음의 수가 많을 뿐 아니라 음의 변화를 수반하는 어휘의 경우는 발음 지도에도 불구하고 발음과 이해도의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발음 오류 요소가 발음 및 이해도의 향상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실험 문항의 발음 오류를 살펴본 결과, 자음군을 발음할 때 가장 많이 저지르는 오류는 모음 삽입으로 인한 재분절 오류지만 개별 분절음의 오류, 자음을 아예 탈락시켜 발음하는 오류, /s+p, t, k/ 자음군에서 /p, t, k/ 음을 기식화시켜 발음하는 오류 등도 찾아볼 수 있었다. 이 중 발음 지도로 인해 가장 많이 개선된 것은 모음을 삽입시켜 국어식으로 재분절하여 발음하는 오류였으나 음절말음중화 오류는 음절 말음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학생들이 발음의 차이를 인지하고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음군을 발음할 때 모음을 삽입시켜 음절수를 늘려 발음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음절 구조가 일치하지 않거나 자음군의 발음 오류 요소가 많을수록 교사의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영어 교육이 음성 언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초등 영어 교사는 영어 음절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어 어휘를 발음할 때 국어의 음절 구조를 적용시켜 재분절하여 발음하는 현상을 이해하고 지도해야 한다. 또한 자음군을 재분절하여 발음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영어다운 발음을 습득하기 위해 강세, 억양 등 초분절음의 지도가 더불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As Korean and English hav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their syllable structures and phonological systems, many pronunciation problems result from Korean students' inability to produce the different syllable types of English as well as phonetic and phonological differences. A consideration of these syllable types and how they differ from those of the other language will help understanding these difficulties.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s that Korean syllable structure allows CVC while English allows CCCVCCCC as the maximal syllable. That is, the most prominent difference is that English allows the consonant. cluster while Korean doesn't,. In addition, the English syllable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is divided into the onset and the rhyme having C-VC structure, while Korean is divided into the body and the coda having CV-C structure. Another difference is that while English is a stress-timed language, Korean is a syllable-timed language. Thus, Korean learners of English tend to ignore major properties of English such as stress and intonation by pronouncing words with unchanged stress or rhythm just like Korean accent. Learners employ two general strategies in dealing with consonant clusters- One is to insert vowel between the consonants, the other is to delete one of the consonants. When learning English, Korean learners frequently experience difficulty in pronouncing English syllables which have consonant clusters and may add a vowel between consonants. Korean students often insert a vowel between each consonant of the cluster and produce, for example, strike to/s□t□raik/ with four syllables : CV-CV-CV-VC. The main goals of this thesis are to analyze the errors that Korean learners of English make in pronouncing consonant clusters, and to fine effective ways to teach the pronunciation of consonant clusters to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were asked about their pronunciation errors, difficulties and resyllabification in English word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the higher the students' grades are, the less confidence they have in English pronunciation. And most teachers don't know how many syllables English words have and they make pronunciation errors by inserting a vowel between consonants themselves. In summary, the difficulty of English resyllabification into Korean is comparatively low when English words end with seven Korean codas as /p, t, k, l, m, n, ŋ/ because such endings do not resyllabify both in English and Korean but coda-neutralization constraint is adjusted. But the more consonants at onset and coda, the more the syllables and error factors like /s+p, t, k/ consonant clusters which is followed sound changing, the more resyllabification occur and the more difficult they pronounce. Thus, the English teacher needs to teach pronunciation with phonological understanding as to how the two languages are different in sound systems and they should teach students not to insert a vowel between consonant clusters or delete the segments when they differ from Korean syllable structure. In order to minimize the resyllabification errors of consonant clusters which Korean students frequently commit and acquire intelligible English pronunciation, it is proposed that the supra-segmental focused instruction should be done as well as segmental focused instruction at elementary schools.

      • 유아 경제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 인천 지역의 학부모와 교사를 중심으로

        한현숙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글로벌 사회는 빠르게 변화 되어 가고 있다. 세계적인 외환금융위기로 인해 국가적, 가정적 차원에서의 경제적 위기를 겪으면서 변화되기 시작 했고, 이로 인해 유아교육에도 파급되어 어려서부터 올바른 경제 가치관을 가져 경제활동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게 인식되기 시작했다. 유아기의 경제교육과 사회적 경험의 체험경로가 전통적인 가정구조에서 사회교육기관의 역할로 이행하는 경로로 변화했다. 유아에게 올바른 경제활동을 안내, 지지, 확장해줄 어른의 역할이 필요하며 이는 가정 내 학부모로부터 시작되어야 하지만, 가정 내 변화로 인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제교육 필요성 증대에 따라 도입을 불러오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경제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학부모와 교사의 경제교육의 대한 필요성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그 실태를 분석 하여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좀 더 효율적인 유아경제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와 교사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필요성 여부, 필요한 이유, 필요하지 않는 이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학부모와 교사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목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와 교사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실시여부 교육담당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비교분석 해 보았을 때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학부모나 교사의 욕구와 기대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사도 교사보다 학부모가 더 높았으며, 지원방향에 대해서도 학부모는 교육지원, 교사는 지도서 및 교재 필요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과거에는 학부모보다 교사가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지식과 욕구와 기대가 더 컸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교사보다 학부모가 경제에 대한 이해와 흐름, 욕구와 기대가 더 높은 결과가 나왔다. 이는 교사보다는 학부모들이 경제에 대한 지식과 흐름, 이치에 더 빠르고 현실감 있는 의식수준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유아교육 중에서 경제교육은 개방화·국제화·정보화시대의 경제생활 변화에 자연스럽게 대처할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변화와 요구를 반영하여 지속적인 경제교육의 실시가 요구된다. 사회가 유아 경제교육을 통하여 대처 할 수 있도록 경제생활 실천을 위한 소비에 대해서도 기술·태도·지식을 형성하고 일상생활에서도 경제문제를 잘 이해하고 의사결정을 현명하게 내릴 수 있도록 유아에게 교육적인 많은 경험을 통해 미래사회를 준비하며 나아가도록 도와 줘야 한다. 경제의 흐름에 발맞추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실현을 위해 교사의 입장에서 경제흐름을 파악하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식의 경계를 넓히는데 더욱 노력하고 현실감 있는 교육적 연구가 요구된다. Modern global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egan, it began to change as it faced economic crises at national and domestic levels. As a result, it sprea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became important to experience economic activities with the right economic values ​​from a young age. The experience path of economic education and social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ha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to the role of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The role of an adult to guide, support, and expand the right economic activities for infants is needed and should start with the parents in the home, but due to the changes in the family, the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 is required as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and to help the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conduct more effective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n the necessity, necessity and necessity of economic education for infant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the go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hir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and teachers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who have conducted the economic education for inf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re compar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are chang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age. The need fo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were also higher in parents than in teachers, and the direction of support show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need of teaching and teaching materials. In the past, teachers had more knowledge, desire and expectation of early childhood economics education than parents. In this study, parents had better understanding, flow, desire and expectation of economy than teachers. This can be interpreted as parents' knowledge and flow of economy, rather than teachers, and a faster and more realistic level of aware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conomic education is required to implement continuous economic education in order to cope with changes in economic life in the era of openness, internation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It is important to educate infants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so that society can cope through economic education for infants by forming skills, attitudes, and knowledge about consumption for economic life practice, understanding economic issues in everyday life and making decisions wisely. To help them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In order to realize the education that meets the demands of the times, we need more effort to grasp the economic flow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and widen the boundaries of concrete and systematic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