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니메이션의 움직임(movement) 원리를 활용한 사실기 아동의 인물화 동세 표현력 향상

        한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n aspect to improvements of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s using animation principles. Its goal was to promote easier and more effective motion expressions of children as they drew a figure by applying the movement principles of animation. The subjects were fourth and fifth graders, who were in the naturalistic period and thus started to take interest in realistic expressions and express motions in their figure drawings. Since their expressive abilities don't match their rational perception of objects, they go through some kind of conflicts with their artistic expressions. That's why art education, which can help them overcome the difficulty, is so important to children in the period. Thu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help children in the naturalistic period understand and express human figures more easily and interestedly. And animation seemed to be the perfect medium that children could approach easily. Before designing the experiment,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over 188 drawings of fourth and fifth graders in Seoul and Pohang.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the motion expression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y used lots of overlapping motion expressions and that their motion expressions were stiff regardless of the theme. Thus the focus of the classes was placed on their understanding diverse motions of a human figure and proper expressions of motion to bring out a theme. Total 67 fourth and fifth graders in I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nam-gu,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A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After learning about the movement principles of animation, the students used the 'Zolaman' character to express the changes to the human skeleton according to movements and practiced their motion expressions of diverse types by making a flip book. As for the evaluation tool, the figure drawing inventory by Yun Mi-ran(1995) was reorganized by the investigator for the study. The evaluation items were comprised of 12 for the diversity of motion expressions and ten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pressions. The scoring was done by the investigator and an expert in art education. After the program, a pre- and post-test were given to test the improvements with their motion expressions in their figure drawings. All the data were treated with SPSS 12.0 and analyz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ildren in the naturalistic period that participated in the art program based on the movement principles of animation turned out to improve in terms of diversity in motion expressions and appropriate motion expressions according to a theme compared to before. The subelements of motion expressions were the expressions according to joint movements. The most positive changes were found with their expressions of the shoulder inclination and limb joints, which were relatively easy to catch the movement. But their improvements were less visible with the rotation relations of the face and moving body according to the neck joints and those of the upper and lower body according to the back joints. Keeping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rt education calls for adoption of diverse educational media besides the traditional ones. Having lots of visual advantages, animation can make such a fine medium with great potential for art education. It'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of practical and great use to the art education using animation.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원리를 활용한 미술표현력 향상에 관한 연구로서, 애니메이션의 움직임(movement)원리를 적용하여 아동이 인물을 표현할 때 동세를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사실적 표현에 관심을 가지며 인물화에 동세표현을 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4·5학년, 즉 사실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사물을 합리적으로 지각하나 그만큼의 표현능력이 뒷받침 되지 못하기 때문에 미술표현에 갈등을 겪게 되므로, 이 시기를 적절히 극복하기 위해서 여느 때보다 미술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실기 아동들이 부담을 느끼는 인물표현을 보다 쉽고 흥미롭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데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아동들이 부담 없이 다가가는 애니메이션을 교육매체로 활용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설계하기 위한 예비조사로 서울과 포항 지역 4·5학년 학생의 작품 188점을 수집하여 동세 표현의 공통적인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의 결과, 사실기 아동의 그림에서는 인물의 동세 표현에 중복적인 표현이 많이 나타나고, 동세 표현이 주제와 무관하게 경직되게 그려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업의 목표는 인물의 다양한 동세의 이해와, 주제를 나타내기 위한 인물 동세의 적절한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본 실험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I초등학교 4·5학년 6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본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에서 학생들은 애니메이션의 움직임 원리를 학습한 후에 ‘졸라맨’ 캐릭터로 움직임에 따른 인체의 기본 골격의 변화를 표현였고, 플립북(Flip Book) 제작을 통하여 다양한 동작 표현을 연습하였다. 평가도구는 윤미란(1995)의 연구에 의해 개발되었던 인물화 검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본인이 재구성 하였다. 평가 항목은 동세 표현의 다양성을 알아보는 항목 12문항, 동세 표현의 적절성을 알아보는 항목 10문항으로 구성 되었으며 채점은 연구자 본인과 미술교육 전문가 1인에 의해 이루어 졌다. 프로그램 적용 후 아동의 인물 동세 표현력 향상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모든 자료의 처리는 SPSS 12.0으로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의 움직임 원리를 적용한 미술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실기 아동들은 프로그램 전과 비교하여 인물 동세 표현의 다양성과 주제에 적절한 동세표현의 정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세표현의 하위요소로는 인체의 관절별로 나타난 움직임 표현을 평가하였는데, 움직임을 비교적 표현하기 쉬운 어깨 기울기 및 팔과 다리 관절의 표현에 가장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움직임을 표현하기에 보다 복잡한 표현이 요구되는 목 관절에 의한 얼굴과 동체의 회전 관계와 허리 관절에 의한 상, 하체의 회전 관계는 표현력의 향상정도가 미비하였다. 빠르게 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미술교육은 전통적인 교육방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교육매체의 활용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시각적으로 여러 장점을 지닌 애니메이션은 미술교육에 이용 가능성이 높은 매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와 더불어 이 연구가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미술교육에 있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 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지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방임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를 적용하여,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에 Spielberger, Krasner & Solomon(1988)의 분노척도(AX-Anger Expression Scale)를 바탕으로 전겸구(1991)가 문화적, 언어적 맥락을 고려하여 번안한 척도를 김백영(1997)이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개정한 분노표현척도를, 아동들의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Hudson가 1982년에 개발한 또래관계 검사(Index of Peer Relaton: IRP)를 김정림(2000)이 번안한 것을 실시하여, 맨 위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 실시 단계별 집단원의 변화과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M시 S지역아동센터 30명 아동 중 장화정(1998)의 방임결과 척도에서 40점 이상, 아동에게 방임경험을 묻는 홍은주(1998)의 방임결과 척도에서 30점 이상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진행기간은 주 1회씩 7회기에 걸쳐 2006년 10월부터 11월까지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를 진행하였다.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 진행과정은 Boik과 Goodwin(2000)이 발전시킨 ‘세계만들기’, ‘경험하고 재배열하기’, ‘치료’, ‘사진찍기’, ‘전이’, ‘분해하기’의 6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를 통해 방임아동의 분노표현의 전체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분노표현 하위영역 중 분노조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왔으며, 전체적으로 분노표현이 감소하였다. 이는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표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를 통해 방임아동의 또래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표현에 미친 행동변화는 도입단계에서는 자신의 소품이 아닌 다른 친구들의 소품을 만지게 되면 화를 내고 즉각적으로 불만을 토로하는 모습이었으며, 자신들의 욕구를 우선적으로 생각하여 모래상자 대부분을 차지하여 소품을 놓으려고 하여 싸우는 모습이 있었으나 회기가 지날수록 다른 친구들의 소품을 만지는 행동도 없어졌으며, 만지더라도 서로 양해를 구하고 이해해주는 모습이 있었다.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친 행동변화는 도입단계에서는 서로 따돌렸으며, 자신의 모래상자에만 열중하는 모습이었다. 또한 서로의 모래상자를 보고 비난하는 말과 행동을 하고, 다른 친구들이 이야기를 나눌 때 집중하지 못하였으나, 회기가 지나면서 함께 이야기를 만들고 모래상자를 꾸미는 모습이었으며 비난하는 말과 행동이 없어지고 모래상자에 집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들의 분노표현 감소와 또래관계 향상을 통해서 아동들이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활동하는 경험을 해 볼 수 있었으며, 자신의 욕구를 조절하여 타인을 배려할 수 있는 태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on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in neglected children. This study has two research questions: firist, whether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affects neglected children's the aggressive expressions or not, second, whether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affects neglected children's the peer relationship or not. To tes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 implemented pre- and post- test by using two scale: Spielberger et al.(1988)’s AX-Anger Expression Scale revised by Kim(1997) and Jeon(1991) and Hudson’s Index of Peer relation (1982) revised by Kim (2000). These scales have been modified to reflect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level of Korean children's ag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Maan-Whitney U Test. The researcher, also, described the processes of change that children showed in accordance with the stages of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Four participants were referred from S community children center in M because they have been determined as more neglected children through assessment. Four children participated to seven group therapy sessions using sand tray, once a week for two months. This program was implemented through October to November, 2006.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included six stages developed by Boik and Goodwin (2000): Formation of world, experience and rearrangement, treatment, photograph, transference, disintegration. This is a summary of result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f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on aggressive expression total scores. One of sub-variables, control of aggression, howev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intervention and aggressive expression among all children declined. This result shows the effectiveness of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for decreasing aggressive expressions in neglected children. Second, althoug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peer relationship scor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researcher could see positive effects of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for peer relationship. Third, the children showed behavioral changes. In the early sessions, the children immediately expressed anger when another child touched their figures and they fought to have figures which they wanted. In the later sessions, however, the children did not only try to touch other’s figures but also they were more likely to make mutual concessions. In addition, in the later sessions, the children showed the decreased criticizing words and behaviors and the increased concentrations on sand tray, along with making a story and decorating sand tray, in contrast to earlier sessions. These results of observations present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may be effective for decreasing aggressive expressions and increas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s in neglected children.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can help the neglected children express repressed emotions and experience positive interactions. Also children can learn now to control their needs and to care other people.

      • 주름형태로 나타난 감정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한지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13년에 창작된 연구자의 작품에서 힘의 작용으로 드러난 주름의 형태와 그 속에 내재된 상반된 감정을 통해 안과 밖의 인간 감정을 표현하였으며, 힘의 구조가 미친 변형된 형태인 주름을 통해 인간의 상반된 감정과 연결 지어 힘과 주름의 구조적 형태를 표현하였다. 인간에게는 겉으로 드러난 ‘의식’과 내면에 숨겨진 ‘무의식’은 대조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지만 이 두 가지의 다른 성향이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지 않으면 사회는 큰 혼란을 야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처럼 본인의 작품에서는 내면에 숨겨져 드러나지 않은 힘이 주름을 통해 드러나 있고 그 힘의 조형성이 인간이 가지는 감정의 흔적과 그 흔적을 지닌 시간의 흐름이 표면적인 주름의 형태로 보여 지는 것이다. 작용과 반작용의 관계를 통해 상반적이고 대립적인 요소를 지녔지만, 세상의 모든 것은 서로를 보완하며 살아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는 ‘가장 작은 단위는 주름이며 그것이 켜켜이 쌓여짐이 방대한 사회를 만들고 세계를 구축한다’ 라고 말한다. 주름은 단순히 형태적 묘사가 아닌 사회에 발생하는 사건을 덩어리로 묶어내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심리적인 감정의 형태를 주름의 대조적인 형태로 표현하였다. 그 주름들은 하나의 구조(힘)에서 시작하며, 수많은 연속적 구조를 가진 주름은 인간사회에 상주하는 감정 형태의 대립과 융합을 표현한다. 또한 힘의 작용으로 변형되어진 주름의 형태에서 느껴지는 긴장감과 부드러움의 공존을 통해 상반된 감정을 표현한다. 제 Ⅰ장의 서론은 본인의 작품에 대한 연구의 시작점과 목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 Ⅱ장의 본론에서는 3절로 구성되어졌으며, 제 1절에서는 작품의 형성배경이 되는 힘의 형태가 힘의 구조가 평형하지 못한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들의 상호보완적인 감정의 관계에 대해 서술하였고,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난 조형적 특성인 주름의 연속의 구조와 당김과 밀어내기를 통해 현대사회의 상반된 감정의 형태를 조형화, 시각화 하였으며, 작품에 드러난 흰색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또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고 설치방식과 사용되어진 재료와 작품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제 Ⅲ장의 결론에서는 본 작품의 연구 내용을 정리하고 본인 작품의 보완점과 문제점을 짚어 앞으로의 작품연구 방향을 어떠한 방식으로 가져가야 할 것인지 생각해보고자 한다.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한지혜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D구에 위치한 H유치원에 재학 중인 7세 아동들로 부모의 동의서를 제출하고 참여를 희망한 총 20명의 아동을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4월부터 2018년 6월까지이며, 실험집단에 한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3회기 프로그램을 주 1회, 80분씩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 정서지능 검사, 자기표현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SPSS 21.0 프로그램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양적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취학 전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에 한하여 정서지능 6개 하위요인인 자기정서 인식과 표현, 자기정서 이용, 타인정서 인식과 배려, 감정조절과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취학 전 아동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에 한하여 자기표현력 3개 하위요인인 내용영역, 음성영역, 비언어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아동이 자신과 상대방의 정서를 바르게 인식하고 활용하여 올바른 자기표현으로 새로운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도록 추후 취학 전 교육현장에서 본 프로그램이 시행되어 적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 - expression of pre -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7-year-old children attending H kindergarten located in S D District, S City, and a total of 20 children who want to participate and submitted the parental consent were wireless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0 children) and control group (10 children). The study period was 13 sessions for 80 minutes once a week from April 2018 to June 2018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for the pre-test and post-test. An emotional intelligence test, self - expression test and session activity observation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of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quantitative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self-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care for and awareness of other people’s emotions, use of self-emotion, emotion control and impulse suppression,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peers, which are 6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 – expression.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area, speech area and non-language area, which are 3 sub-factors of self-ex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xpression of pre-school children. Therefore, we hope that this program will be implemented and applied to the pre-preschool education field so that children can recognize and utilize their and others’emotions properly and help them adapt to new school life with proper self-expression.

      • 정교화 전략을 활용한 읽기 양상 연구

        한지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elaboration strategy focused class on students' comprehension, and how it would influence the structure of reading comprehension by each stage level of strategic pattern. To attain this purpose, the class was composed of the order of the teacher's direct teaching, application, and independent practice in the stage of word understanding, topic grasp, summary, addition and deletion of detailed content, image formation, analogy and arrangement as a class using the strategy of adding necessary contents for learning, or deleting or re-organizing impeding factors for understanding in light of the learner's experience in order to make the learning content meaningful. Based on the elaboration theory of Rigel Ruth and Gane, this study tried developing, looking into the result of precedent research on elaboration strategy, and setting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if the elaboration strategy would have an effect on students' reading ability improvement? Second, which group of the middle school 2nd and elementary 5th grader is more effective when the elaboration strategy is applied to both of them? Third, if the elaboration strategy program can be applied to all kinds of writing including an explanation? The findings of the abov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it could be found that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y works i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improvement. It was found that there is significant gap in paragraph grasp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group reading task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y and that not using it. The group learning the elaboration strategy in the process of reading was able to easily catch information by providing additional output route for memorizing or understanding a sentence content. Second, it was found that in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y, the middle school 2nd grader shows more significant response than the elementary school 5th grader. It was found that the older, the better they utilized the elaboration strategy, and in case of young or low in learning ability, the elaboration strategy provided by the teacher was more effective. It was found that the lower grader has less orthodox knowledge base, so it has more trouble than the middle schooler in getting access to related knowledge to get benefit. The higher the grade, the more life experience is accumulated, so they shows a rising tendency of extent or frequency to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y. Third, study problems were solved by the elaboration strategy applied to an explanation as well as diverse kinds of sentences.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ers show more significant response in poetry or novel rather than an explanation. It was found the reading method itself called an elaboration strategy is difficult to evenly apply to all types of sentences. For example, it was made clear that the strategy grasping a topic works at an explanation, but an image formation strategy or connection strategy works to poetry, or story sentence. Also the higher the grade is, the better it performed elaboration to an explanation, and the lower the grade is, it showed significant response to the elaboration of poetry or novel.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laboration strateg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improvement of learner, and what is important is to select a proper elaboration strategy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learner. Namely, the teacher would be able to improve learning effect and influence reading comprehension improvement only when he or she uses diverse teaching technique and method, selects proper class behavior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 and conforms them each other. 본 연구는 정교화 전략 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전략 유형의 각 단계별로 수준에 따라 독해결과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교화 전략 중심 수업은 학습내용을 의미 있게 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더하거나, 이해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삭제 또는 재구성하며, 글의 의미를 머리 속에 그려보는 전략을 중점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수업으로서 어휘의 이해, 중심내용 파악, 요약, 세부내용 첨가 및 삭제, 심상형성, 유추 및 정리의 단계를 교사의 직접 지도, 적용, 독자적 연습의 순서를 거치는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라이겔 루스와 가네의 정교화 이론을 바탕으로 수업모형을 개발해 보았으며, 정교화 전략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고찰한 뒤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교화 전략이 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학교 2학년과 초등학교 5학년에게 정교화 전략을 적용해 보았을 때 어느 집단에 의미 있는 효과가 나타나는가? 셋째, 정교화 전략 프로그램의 적용이 설명문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글에 모두 적용 가능한 것인가? 위의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교화 전략 사용이 학생들의 독해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정교화 전략을 사용하여 읽기과제를 수행 집단과 사용하지 않고 읽기과제를 수행한 집단은 지문 파악능력과 이해력에서 상당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읽기 과정에서 정교화 전략을 학습한 집단은 글 내용을 기억하거나 이해하기 위한 추가적인 인출 통로를 스스로 마련함으로써 정보의 습득을 용이하게 하고 있었다. 둘째, 정교화 전략 사용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보다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정교화 전략을 잘 사용하였으며, 나이가 어리거나 학습 능력이 낮은 경우에는 교사 제공의 정교화 전략이 더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학년은 덜 정교화된 지식기반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략 사용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관련된 지식에 접근하는 데 중학생 보다 어려워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년이 증가할수록 생활에서 얻어진 경험이 누적되기 때문에 그 경험에 대해 정교화 전략을 사용하는 정도나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정교화 전략을 설명문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글에도 적용해 봄으로써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초등학생들의 경우에는 설명문의 정교화 보다는 시나 소설의 정교화에서 더 의미 있는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교화 전략이라는 읽기 방법 자체는 모든 글의 유형에 똑같이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도 발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설명문의 경우는 중심내용 파악하기 전략이 의미 있게 작용하지만, 심상형성전략이나 연결전략 등은 주로 시나 이야기 글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능력과 학년이 높을수록 설명문에 대한 정교화를 잘 수행하였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시나 소설의 정교화에 의미 있는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교화전략은 학습자의 독해력 향상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며,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이에 적절한 정교화 전략의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즉 교사는 여러 가지 다양한 수업기술과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적합한 수업행동을 선택하여 이에 적절한 전략유형을 선택하여 그것을 잘 일치시킬 때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고 독해력 향상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 과정 중심 연극 만들기의 이론과 실제 : 초등학교 5, 6학년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한지혜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인 중심 사회가 강화되고 온라인 사회가 지속하면서 인간이 마땅히 누려야 하는 것들을 누리지 못하게 되었다. 학생들은 학교에 가지 못하게 되었고, 대면 수업은 비대면 수업으로 변경되었다. 연극은 온라인 수업과 비대면 수업으로서 연극 수업 자체의 장점을 살려주지 못해 안타까운 상황에 놓였다. 학교는 학생들이 공동체를 이루고 함께 생활하면서 사회성을 배우는 곳이다. 학생들이 서로 만나 생각을 공유하고 다름을 이해하고 함께 배우는 공간이다. 특히 연극 수업은 학생들이 경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곳이다.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소통하고 표현할 수 있는 표현의 장이 되는 곳이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예술가 혹은 연극 교육가를 만나게 되면서 연극을 경험할 수 있다. 연극은 특히 개인 활동이 아닌 공동체 안에서 함께 소통하고 공감하고 이해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학생들은 연극 만들기를 하면서 주어진 상황에 몰입한다. 학생들은 역할을 맡아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며 타인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을 배운다. 연극 만들기의 과정을 통해 협업하고, 의사소통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주체적으로 말하고 행동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연극의 교육적 효과는 연극을 경험한 후뿐만 아니라 매 순간 과정 속에서 나타난다. 연극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유롭게 표현한다. 연극 관람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스스로 성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것들이 교육연극의 가치라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교육연극 전공자가 아닌 연극 전공자이며, 신규 강사로서 과정 중심 연극의 목표를 가지고 교육연극을 실행한 것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과정 중심 연극을 실행하고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초등학교에서 실행한 과정 중심 연극 만들기의 사례를 통해 그동안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지속되었던 결과 중심 및 공연 중심의 연극 교육을 지양하며 이에 대한 문제제기를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정 중심 연극의 가치를 강조하고 교육적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과정 중심 연극을 경험한 학생들은 교육연극과 학습 자체의 주인이 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으로 이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정상아동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운변동 비교

        한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운변동이란 말소리의 계열이나 말소리 연속에 영향을 미치고 산출을 단순화시키는 체계적인 말소리의 변화이다. 음운변동으로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적 특성을 분석하면 임상에 필요한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정상아동과의 직접적인 비교는 음운변동이 발달적인지, 비발달적인지 알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과 정상아동 집단 사이에 자음 유형별 정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정상아동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에게만 보이는 비발달적 음운변동이 있는지, 그리고 자음정확도 80%를 기준으로 정확도가 높은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정확도가 낮은 집단에서 비발달적 음운변동이 빈번하게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자음정확도 기준을 80%로 한 이유는 우리나라 아동의 전체 자음정확도와 자음 유형별 정확도에서 3세 아동과 2세 아동이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2세 아동의 정확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선행 연구들에서 전체 자음정확도가 80% 이하인 경우 정상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기 때문이다.본 연구에서는 정상아동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의 낱말위치, 조음방법, 조음위치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를 실시하여 인동와우이식아동 16명과 자음정확도가 일치하는 정상아동 16명을 모집하고 낱말위치별로 어두초성, 어중초성, 어중종성, 어말종성의 정확도를, 조음방법별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의 정확도를, 조음위치별로 양순파열음, 치조파열음, 연구개파열음의 정확도를 각각 비교하였다. 음운변동은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과 정상아동 집단에서 각 음운변동을 2회 이상 보인 아동 수와 출현빈도를 비교하고 발달적 음운변동과 비발달적 음운변동을 보인 아동 수와 출현빈도를 비교하였으며, 자음정확도에 따른 비교는 평균 자음정확도가 일치하는 인공와우이식아동과 정상아동을 80%의 전체 자음정확도를 기준으로 자음정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 발달적 음운변동과 비발달적 음운변동의 출현율을 비교하였다.이에 따른 결과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1. 자음정확도 비교는 조음방법 중 마찰음에서 인공와우이식아동이 정상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음향음성학적으로 마찰음이 파열음과 대립되어 조음이 쉬워지며, 연구에 참여한 인공와우이식아동의 평균 생활연령이 정상아동의 평균 생활연령보다 높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2. 음운변동 비교에서 정상아동은 긴장음화에서 유의하게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반면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은 긴장음과 대립되는 이완음화가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이식아동이 경음보다 음향음성학적으로 지각이 쉬운 평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3. 집단 간 음운변동 비교에서 정상아동 집단이 비발달적 음운변동을 거의 나타내지 않은 반면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은 초성생략, 이완음화, 성문음화, 탈비음화 등의 비발달적 음운변동이 나타났으며,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에서도 자음정확도가 낮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 아동 중 자음정확도가 높은 아동들은 정상아동과 유사한 음운발달 과정을 거치며 이들이 나타내는 음운 오류 또한 정상아동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자음정확도가 낮은 청각장애 아동들은 정상아동과는 다른 음운발달을 하기 때문에 오류 또한 비발달적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추측된다.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자음정확도에 따른 음운변동을 살펴보았으므로, 앞으로는 자발화를 이용한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술 전 청력 손실 정도, 잔존 청력, 수술 연령에 따른 음운변동과 자음정확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honological process is a change of systematic speech sound that influences types and sequence of speech sound, and simplifies its production. With phonological processes, more exact and detail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phonological character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he direct comparison with normal children will clarify whether the phonological processes are developmental or nondevelopmenta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purposes. First,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typ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Second, to determine if there are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only for a group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compared to normal children. Third, to see whether groups with PCC lower than 80% had more frequent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in comparison with another group with PCC higher than 80%.This study compared PCC and phonological processes according to sound position within a word, manner of articulation, and place of articulation. Sixteen children who had cochlear implantation for more than one year and 16 normal children with consistent PCC were examined for the ''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 Comparisons were made for the PCC for their WISI (word-initial, syllable-initial position), WMSI (word-medial, syllable- initial position), WMSF (word-medial, syllable-final position), and WFSF (word-final, syllable-final position) in accordance with sound position within word, for the PCC for stop, affricate, fricative, nasal, and liquid sound based on the manner of articulation, and for the PCC for bilabial-stop, alveolar-stop, and velar-stop sound according to the place of articulation.For phonological processes, the number of children who had phonological processes more than twice and its frequency out of a group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and a group of normal children, and the number of children who had 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an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ir frequencies were compared. For PCC,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and normal children whose average PCC was consistent were separated into one group with PCC above 80% and another with PCC under 80% on the basis of overall PCC, and their 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an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were compared.The results were as follows:1. From a comparison of PCC,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CC than normal children in fricatives (p <0.05). This result was apparently because not only the discrimination of auditory perception gets easier as the fricative is acoustically and phonetically contrasted to the stop, but also the chronological age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was old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2. From comparison of phonological processes, normal children significantly had higher frequency of tensing while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had higher frequency of laxing that is contrast to tensing (p <0.05). It seems to be because that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tend to prefer lax sound that is easy to be discriminated acoustically and phonetically to aspiration or tense sound.3. From comparison of phonological processes between groups, the group of normal children rarely showe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while the group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showed ones such as the omission of the initial syllable, lenition, glottalization, denasalization.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cochlear implantation and low PC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p <0.05). This was apparently because children with high PCC amo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have similar phonological development to that of normal children and their phonological errors have similar patterns to those of normal children. On the other hand, as children with hearing loss and low PCC have different phonological development from that of normal children, their errors also have nondevelopmental patterns.As this study examined phonological processes according to PCC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or phonological processes and PCC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hearing losses before the operation, residual hearing, and the age of implantation.

      • 성인의 자해동기와 자해행동 간의 관계 : 자기조절 수준의 조절효과 검증

        한지혜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ttern of self-injurious behavior, the level of its severity, the motivation of self-harm and the level of self-control.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jurious behavior and motivation of self-harm. 270 Korean adults aged 20 to 59 completed the self-report survey on their self-injurious behavior(Self-Harm Inventory: SHI), their motivation of self-harm(Motivation of Self-Harm Scale of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FASM) and level of their self-control(Self-Control Scale: SC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4.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of self-injurious behavior was “abused alcohol” and the least used was “burned yourself.”And the most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ey would engage in self-injury because of the intrapersonal reason “to stop thinking negatively.”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elf-injurious behavior and motivation of self-har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self-injurious behavior and self-control, self-control and motivation of self-harm were both correlated negatively.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xes regarding the mean of self-injurious behavior lethality, self-harm motivation and self-control level. However, the age difference has been proved on the level of self-control. The participants aged between 40 to 49 had the highest self-control level, and the 20 to 29 the lowes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leve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jurious behavior and intrapersonal self-harm motivation, indicating that high self-control level has a buffering effect on the high-lethal self-injurious behavior for the individuals who are likely engage in self-injury because of the intrapersonal reasons. This study revealed the differences among the ages in the level of self-control,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it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jurious behavior and its motiva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s increasing the level of self-control would be a therapeutically effective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self-injury for the individuals who repeatedly engage in the self-injurious behavior. 본 연구는 비임상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자해행동의 유형, 빈도에 따른 심각도, 자해동기의 유형 및 자기조절의 수준을 알아보고 성별,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해동기와 자해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남녀 만20세에서 만59세까지의 비임상 집단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해행동의 유형과 빈도, 자해동기 및 자기조절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자해행동 유형과 사용빈도를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수단은 ‘과음하기.’와 ‘자기비하적인 생각을 해서 나 자신을 괴롭힌다.’였으며 대부분의 응답이 경도 수단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 다음으로 자해동기 유형과 빈도를 알아본 결과, 개인내적 동기인 ‘나쁜 기분들을 멈추기 위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자해행동과 자해동기 및 자기조절과의 상관을 살펴본 바, 자해행동과 자해동기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해행동과 자기조절, 자해동기와 자기조절은 서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별과 연령대별로 자해행동과 자해동기 및 자기조절의 수준 평균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남녀 성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연령대별 자기조절 수준에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가장 자기조절 수준이 높았던 연령대는 만40세-49세였고, 가장 낮은 연령대는 만20세-29세였다. 마지막으로 자해동기와 자해행동 간의 관계를 자기조절 수준이 조절하는가에 대해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동기와 자해행동간 관계에서는 자기조절이 가지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개인내적 자해동기가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자기조절 수준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드러났다. 이는 개인의 개인내적 자해동기의 수준이 자해행동에 미칠 영향을 자기조절 수준이 중재하여 자해행동의 심각성을 억제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비임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해행동과 자해동기 간의 관련성 및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성별 및 연령대별 집단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특히 자해행동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과 관련하여 자기조절이 자해행동과 자해동기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자해행동의 패턴과 그 기저에 있는 동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나아가 자기조절 수준의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추후 자기조절 능력 증진을 통한 예방적 개입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