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몽환적 공간 표현을 통한 쉼에 관한 연구

        최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몽환적 공간 표현을 통한 쉼에 관한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자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현대인에게 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 본인의 작품 속 내용과 기법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몽환은 꿈의 환상이라는 뜻으로 무의식에 해당하며 인간의 심리적 욕구가 잠재된 것이다. 이러한 몽환은 인간이 꿈꿀 수 있는 공간이며 인간에게 다양한 감정을 부여하는 공간이다. 인간에게 쉼은 수많은 욕망 중 하나로 에이브러햄 매슬로우(Abraham H. Maslow, 1908-1970)의 매슬로의 욕구5단계설 중 1단계 생리적 욕구에 해당하며, 이반 일리치(Ivan Illich, 1926-2002)는 이런 욕망으로 인해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새롭게 생겨난 일들을 가리켜 숨어있는 노동이라는 의미에서 ‘그림자 노동 Shadow work’이라 했다. 블레즈 파스칼(Blaise Pascal, 1623-1662)의 휴식에 관련된 철학적 이야기 등 여러 철학자에 의해 설명되어온 심리적, 정신적 개념으로 현대사회에서 인간에게 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자는 몽환의 공간 속에서 인간이 쉼을 가지는 행위는 자신의 내면을 탐구하고자 하는 욕망 때문으로 본다. 인간의 쉼의 공간으로서 사적공간인 개인의 집 그리고 조금 더 깊숙한 사적공간에 해당하는 침실, 나아가 극단적 사적공간인 이불을 쉼의 연결고리로 사용한다. 다양한 표현 형식 중 몽환적 표현 방법이라 할 수 있는 블러(blur) 기법과 탈초점화(out of focus effect) 기법을 구현한 작가로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 1932-)와 장샤오강(Zhang Xiaogang, 1958-)을 선행 연구 작가로 살펴보았다. 연구자의 작품 속에서 이불은 적막함과 몽환적 공간을 만드는 힘을 지니고 있다. 이불과 공간 그리고 분위기를 이용한 표현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하며 무의식 속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감정, 욕망과 색채 등을 통하여 인간에게 주는 특징을 탐구한다. 이러한 탐구를 통해 연구자 자신이 본인 작품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이해하며 앞으로의 작업 방향을 정립하는 계기와 미술사회적 맥락에서 연구의 기대치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rest through the expression of dreamlike space. As a contemporary person herself, the researcher examined the impact of rest on modern people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techniques of her own works through this study. A fantasy, which can be defined as an illusion of a dream, is an unconscious process that contains latent psychological desires. A fantasy is a space where people can dream and one that provides the dreamer with various emotions. On the other hand, rest is one of the many desires humans have, and is classified as Level 1 Physiological Needs in Maslow's hierarchy of needs (Abraham H. Maslow, 1908-1970). Ivan Illich (1926-2002) coined the term 'shadow work' to describe new events that occur yet remain hidden due to such desires. Blaise Pascal (1623-1662) examined the impact of rest on modern people using psychological and mental concepts that have been explained by several philosophers, such as philosophical stories related with rest. The researcher views the act of resting in a dreamlike space to be caused by the human desire to explore their inner side. For the space of rest, a person's home, bedroom and blanket are used as the connection links to rest, in the respective order of private, very private and extremely private spac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works of Gerhard Richter (1932-) and Zhang Xiaogang (1958-), who used blur and out of focus effect techniques, which can be considered as dreamlike expression methods. In the researcher's works, the blanket holds power to create solitude and a dreamlike space. This study explains how blanket, space and mood were used in its expression method and explores the impact of unconscious emotions, desires and colors on people. By doing so, the researcher hopes to promote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her works, establish the future direction for her works and build up expectations for the study in a socio-artistic context.

      •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취업불안에 미치는 효과

        최지인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whether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has effects on self-efficacy and Job-seeking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junior and senior students at K University in Seoul experiencing Job-seeking concerns and anxiety, and 12 subjects who showed below average scores of self-efficacy and Job-seeking anxiety were ultimately selected as the subject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6 subjects each,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8. Total 13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were carried out once a week starting with the pretest, and then the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program. The control group only took the pretest and posttest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lf-efficacy test and Job-seeking anxiety test, as well as 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 were used as the research tools. Prior to data analysis, the PPAT was scored by calculating the ICC value to ensure reliability of each item and measuring reliability among total three scorers including the researcher (and two art therapists attending the master’s program in art therapy).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o analyze the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of self-efficacy in the self-efficacy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2 out of 3 sub-factors such as 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Moreo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8 out of 14 sub-factors of the PPAT such as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space, logic, realism, problem solving, and details of objects and environment. Second, group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of Job-seeking anxiety in the Job-seeking anxiety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2 out of 3 sub-factors such as cause and state of Job-seeking anxiety. In sum, group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self-efficacy and decreasing Job-seeking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ly, it has significance as a program that reduces Job-seeking anxiety as university students explore their positive identity, enhance understanding and value of themselves and experience confidence in their capabilities.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and implemented to university students for various systematic programs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decrease Job-seeking anxiety. 본 연구는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취업불안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의 K대학교 3, 4학년 재학생들로 취업에 대한 걱정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대상자로 자기효능감과 취업불안에 대한 점수가 평균 이하로 나타난 대상자 12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발하였으며, 각 6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10월부터 2018년 12월까지이며, 사전검사를 시작으로 주 1회 총 13회기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결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만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실험집단과 비교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 검사와 취업불안 검사,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앞서 그림검사 채점은 각 항목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ICC 값을 산출하여 본 연구자를 포함한 총 3명의 채점자(미술치료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미술치료사 2명)간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연구결과의 양적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에서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실험집단에 한하여 자기효능감 검사의 자기효능감 전체와 3개 하위요인 중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의 2개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14개 형식척도 하위요인 중 색칠정도, 색의 적절성, 내적 에너지, 공간, 논리성, 사실성, 문제해결력, 대상과 환경의 세부묘사의 8개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실험집단에 한하여 취업불안 검사의 취업불안 전체와 3개 하위요인 중 취업불안 유발원인, 취업불안 상태의 2개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취업불안 감소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를 탐색하고 스스로에 대한 이해와 가치를 높이며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경험함으로써, 취업불안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써의 의의가 있으며, 추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자기효능감 향상과 취업불안 감소에 적용 및 시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 The Effect of Stock Liquidity on Corporate Cash Holdings : Evidence from Korea

        최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Firms hold cash for stock repurchases and higher stock liquidity strengthens this motive. Therefore, higher stock liquidity increases a firm’s propensity to hold cash. Consistent with this, I find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at firms with more liquid stocks increase cash holdings relatively more when restrictions to repurchases are eased. This is consistent evidence with the findings in the U.S. and is contrary to common view, in which the ease of financial constraints offered by stock liquidity is predicted to lower corporate cash holding. 기업들은 자사주 매입을 위해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식 유동성이 높아지면 자사주 매입을 위한 동기가 강화된다. 이에 따라 주식 유동성이 높아지면 기업의 현금 보유 경향이 높아진다. 이와 일관되게 한국시장에서는 자사주 매입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 유동성이 높은 기업이 상대적으로 현금 보유를 더 많이 늘린다는 것이 나타난다. 이는 미국시장에서의 결과와 일관된 증거로 주식 유동성이 제공하는 금융제약 완화로 기업의 현금보유 필요성이 낮아질 것을 예측하는 일반적인 시각과 대치된다.

      • 프랑스 광고 텍스트의 마케팅 기호학적 분석 : 감기약 광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최지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Ce travail a pour objectif d'etudier differentes methodes d'analyse developpees en semiotique marketing et d'appliquer par la suite ces differentes methodes dans l'analyse de quelques textes publicitaires televisees en France. De nos jours, la semiotique, approche qualitative, elargit le cercle de son application theorique en l'utilisant pour analyser divers signes culturels, par exemple la publicite, le film, la photo, l'architecture, la mode, l'art, le sport, la musique, la cuisine, l'espace etc. Parmi ceux-ci, nous avons porte notre attention sur la publicite televisee comme objet de l'analyse semiotique. A partir de quelques spots publicitaires, nous cherchons la signification contenue dans le recit pour degager les valeurs de consommation permettant de les positionner. Ce travail est constitue de trois chapitres. Dans le premier chapitre, nous survolons l'histoire de la semiotique marketing ainsi que les differents etapes du processus de mise en application. Le second chapitre presente les methodes d'analyse semiotique a exploiter pour l'analyse des textes publicitaires : le carre semiotique et le modele actantiel de A. J. Greimas, le modele du positionnement de J. M. Floch, les concepts de fonctions et indices de R. Barthes et l'analyse semique de F. Rastier. Dans le dernier chapitre, nous mettons les methodes mentionnees en pratique en analysant quelques spots publicitaires de produits pharmaceutiques. Ces travaux permettent de degager les valeurs de consommation de chaque publicite ; ensuite nous les positionnons selon J. M. Floch et A. Semprini. Nous esperons que cette etude contribuera a l'exploitation des methodes semiotiques et a l'application des sciences humaines dans le domaine du marketing.

      •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에 관한 사례 연구 : 남아프리카공화국 아트 빌리지 사례를 중심으로

        최지인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화예술이 중심이되어 도시재생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사례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트빌리지 사례를 다루고 있다. 남아공 아트빌리지의 문화예술이 도시가 발전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공간을 활성화 시키는지 연구하였다.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에서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어야 할 요소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예술은 스스로가 ‘자발성’을 띄고 그 환경 안에서 적응하고 자리 잡아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문화예술이 중심이 된 도시재생이라 할 수 있다. 문화예술은 심거나 만들어지는 데엔 한계가 따른다. 누군가가 유지하고 이를 이어나가기 위해 애써야하기 때문이다. 반면 자발적으로 이주한 예술가들은 그 마을이나 도시를 그들이 직접 택한 곳이기 때문에 더욱 애착을 쏟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예술활동들이 활발해 질수록 이웃주민들에게 어떤식으로든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술가들이 그림을 전시하거나, 워크샵을 여는 등 주민들을 향유자로 혹은 참여자로 끌어들이게 된다. 둘째, 문화예술이 도시재생이 이뤄지는 공간과 ‘이질적’이지 않아야 한다. 가령 문화예술 자체가 자연스럽지 않게 발생했을지라도 공간과 상호작용을 하는데 있어 충분한 배경이 존재해야 한다. 자연환경적인 요인이든, 그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이유든, 혹은 주민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주제든 무엇인가 하나는 분명히 있어야 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 클래런스 아트빌리지는 자연환경적 요소들이 화가들에게 영감을 불러 일으켜줄 만한 곳이기 때문에 자발성을 끌어낼 수 있었고 화가들이 주민의 일원임과 동시에 예술가로써 역할을 다 할 수 있었다. 셋째, 문화·예술이 주민들과 예술가들 모두가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재생의 주인공은 주민들이다. 일례로 전라북도 익산 구룡마을에 가면 마을 중간에 큰 느티나무 한 그루가 있다. 약 300년 정도 된 나무로 82년에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마을 나뭇잎이 고르게 피는지에 따라 농사의 길흉을 알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주민들 모두가 공감하는 문화는 억지로 유지하려 들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유지된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문화예술은 주민들의 공감을 얻기엔 다소 무리가 따르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이 중심이 되어 도시재생이 이뤄지는 남아공의 아트빌리지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예술가 집단에 의해 해당 지역이 문화적으로 풍요로워 지고 더 나아가 경제적 측면에서 마을에 어떤 변화를 가져 오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Nowadays, 'art and cul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taion. For that, in the Republic of South Korea, art and culture-led regenerations are easily found in many of 'public policies'. However it sometimes does not meet the expectation of organizers, artists, or gentrifiers. The artificial strategy commodifies its cultural assets and displaces original artitic values of the town. Nevertheless the culture-led regeneration has been implemented all over the country. The small town called Clarens in the Free State in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can be regarded as a successful example of art and culture centred urban regeneration. There were 3 key roles found in the process of Clarens regeneration. First, the spontaneity of the main driver of urban regeneration. The spontaneity itself plays as a motive power for the town to run more than 20 years. Second, less foreignness of the art and culture to the people or the town. Third, the bond of sympathy should exist between villagers and the artists. Based on these 3 components, this study will show how the strategy of art and cultre centred urban regeneration has formed in Clarens the small art village in South Africa and hopefully can adopt such strategy in Korea and get a better results of urban regeneration.

      •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기반 구축방향

        최지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위한 기술기반 (문화기술 포함) 구축에 대한 고찰이다. 현대 사회 및 사람들은 그들의 삶의 질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문화는 인간의 삶의 있어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문화는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중의 하나가 되었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산업은 향후 국가의 경제적 발전을 선도하는 신 성장동력 및 핵심산업이 될 것이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위해 문화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기술에 중점을 두어 국내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위한 방법을 고찰하였으며, 한국이 세계시장에서 문화콘텐츠 강국이 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제언을 한다. 첫째, 문화기술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전문연구기관의 설립이다. 현재국내에는 문화기술을 연구하는 전담연구원이 없는 실정이다.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진흥을 위해 연구원은 다양한 문화기술들, 즉 창작기술, 보조기술 및 예술표현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진흥을 위해 한국정부의 문화기술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주요 선진국과 비교를 했을 때, 한국의 문화기술에 대한 투자는 타 산업의 투자에 비해 현저히 낮은 편이다. 이에,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의 창출·발전 및 유지를 위해 범 정부차원의 실질적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다. 셋째, 전문인력 양성이 우선 되어져야 한다. 위에 제시한 두 가지 과제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인력의 교육 및 훈련이다. 문화기술의 특성상 과거의 시스템으로 교육을 하기에는 불가능하다. 이에 가장 이상적인 방안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독자적인 교육시스템의 운영이라 할 수있겠다. 나아가 전반적인 과정을 관리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 경영인도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법제도의 개선과 연구시스템의 구축도 요구되는 바이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시사점을 가진다. 이에, 정부의 정책책임자 혹은 학술적 목적으로 거시적 및 미시적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첫번째 시사점은 학술적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문화기술에 대해 연구를 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선행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는 정책적 측면이다. 즉, 정부의 정책책임자가 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한 새로운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 how to establish technology base (including Culture Technology) in order to promote Korea's nation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modern society and people put their emphasis on the quality of their life. Thus, culture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n human's life and it i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that determine human's quality of life. So, cultural contents industry will be a core industry and be a leading growth engine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the near future. To promote nation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 in-dept research on Culture Technology is necessarily important.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ay how to develop Korea's cultural contents industry, mainly focused on Culture Technology. Based on this research, we suggests the following points so that Korea would become one of the world leading countries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First, we suggest to establish a research institute for Culture Technology because there have been no institutes that has exclusive responsibility in Culture Technology. In order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intended institute should develop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creative technology, supporting technology, expressive technology and so on. Second, the government needs substantial investment in Culture Technology to promote nation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Korea's investment in Culture Technology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investment in other industries. In order to create, develop and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in global markets, it is necessarily required a government-level investment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ird, an effective 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a prerequisite. What is mentioned above is important, but the more thing is educating and training students. In the characteristics dealt by culture technology, it is not possible to teach them with the past system. The most desirable teaching is realized by operating the independent education system. Furthermore, a professional executive who can create new value and control whole processes of management is also required. As a result, som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types of implications are derived for academicians and government policy-makers. The first implication relates to academic purpos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ood academic reference for students those who wish to undertake a research on Culture Technology. Second the result would contribute to the government policy-makers so that they can establish an effective new policy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 Outcome after endovascular treatment of ruptured brain arteriovenous malformations in the acute and subacute phase of hemorrhage : single institution clinical experience

        최지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뇌동정맥기형 파열은 재출혈의 중요한 예측 변수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터진 뇌동정맥기형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터진 뇌동정맥기형의 급성기와 아급성기의 혈관 내 치료 방법과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7년 12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터진 뇌동정맥기형으로 혈관 내 치료를 받은 총 19명의 환자 (남자 8명, 여자 11명; 연령범위 9-71세; 평균연령 33.2세)의 총 21번의 혈관 내 색전술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19명의 환자는 초기에 전산화단층촬영 (CT) 또는 자기공명영상 (MRI)을 통해 뇌동정맥기형과 연관되어 발생한 두개내출혈을 확인하였다. 디지털감산혈관조영술 (DSA)를 시행하여 Flow-related 와 intranidal동맥류를 평가하였고 Spetzler-Martin grade를 측정하였다. 환자의 임상정보는 병원의무기록에서 인구통계자료, 색전술까지의 시간, 미세수술까지의 시간, 그리고 결과에 대한 자료를 얻었다. 폐색율은 색전술 전과 후의 DSA상 동정맥기형핵 부피 차이로 측정하였고, near-complete (≥95%) 폐색군과 incomplete (<95%) 폐색군으로 나누었다. 출혈성 뇌졸중의 중증도는 입원 시 Glasgow Coma Scale (GCS)로, 임상적 치료 결과는 퇴원 시 modified Rankin Scale (mRS)로 측정하였다. 결과 : 8명 (42.1%)의 9번의 시술이 Near-complete (≥95%), 11명 (57.9%)의 12번의 시술이 incomplete (<95%) 폐색 결과를 나타냈다. 동정맥기형 연관 동맥류는 7명 중 5명의 환자에서 N-butyl cyanoacrylate (NBCA)를 통해 완전히 폐색되었다. 색전술의 합병증으로는 NBCA cast의 이동 (n=2)과 소뇌경색 (n=2)이 있었지만, 시술과 관련된 증상 악화나 사망은 없었고, 혈관 내 시술이나 미세수술 전까지 재출혈이 발생한 환자도 없었다. 잔여 동정맥기형핵은 16명의 환자 (84.2%)에서는 바로 이어서 미세수술을 시행하였고, 1명의 환자 (5.3%)는 전원 후 방사선 수술을 통해서 제거하였다. 퇴원 또는 전원 시 13명의 환자는 mRS≤2, 6명의 환자는mRS >2로 측정되었다. 17명 환자 (1명의 전원, 1명의 사망)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24.7개월로, 이 기간 동안 모두 재출혈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미세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두 명의 환자에서 극소의 동정맥기형 재발이 발생하였고 최근까지 경과관찰 중이다. 결론 : 터진 뇌동정맥기형은 혈관 내 색전술과 색전술 후 즉각적인 미세수술의 복합적 치료방법을 통해 뇌동정맥기형의 재출혈과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 Objective : Brain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rupture i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 of future hemorrhage. There is controversy about treatment methods in patients with ruptured brain AVM.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our methods and outcome of endovascular treatment of ruptured AVM in the acute and subacute phases.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December 2007 and November 2013, 19 patients (8 men, 11 women; age range, 9?71 years; mean age, 33.2 years) with a ruptured AVM underwent a total of 21 endovascular embolization sessions. In all 19 patients, intracranial hemorrhages related to the AVM were initially demonstrated on either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low-related and intranidal aneurysms and Spetzler-Martin grade was evaluated on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The clinical information of patients obtained from hospital records included demographics, time to embolization, time to microsurgery, and outcomes. The occlusion rate was stratified into near-complete (≥95%) and incomplete (<95%) occlusion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AVM nidus volume between pre- and post-embolization DSA. Hemorrhagic stroke severity was measured using the Glasgow Coma Scale (GCS) at arrival and clinical outcome was measured using the modified Rankin Scale (mRS) at discharge. Results : Near-complete occlusion (≥95%) was achieved in 9 sessions for 8 patients (42.1%), while incomplete occlusion (<95%) was achieved in 12 sessions for 11 patients (57.9%). AVM-related aneurysms were completely obliterated with N-butyl cyanoacrylate (NBCA) in 5 of 7 patients. Complication of the embolization were NBCA cast migration (n=2) and cerebellar infarction (n=2). There were no cases of procedure-related symptom aggravation or mortality and no cases of rebleeding until endovascular embolization or microsurgery. Treatment of residual nidus of AVM was achieved by subsequent microsurgery in 16 patients (84.2%) and radiosurgery (transfer) in 1 patient (5.3%). Thirteen patients had an mRS ≤2 and 6 had an mRS >2 at discharge or transfer. During mean follow up of 24.7 months in 17 patients (one transfer, one death), no repeat hemorrhage occurred, however, two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microsurgery showed minimal recurrence of the AVM as of the latest follow-up. Conclusions : The combined treatment of endovascular embolization and prompt postembolization microsurgery is a feasible modality for the treatment of ruptured brain AVM, with the prevention of rebleeding and AVM recurrence.

      • 시간의 흐름에 의한 상처와 치유의 풍경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최지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mes from the process of seek..ing the flow from Creation to Extinction. It describes the journey to discover the meaning of Creation and Extinction in the flux of time and shapes it to the white scenery of wound and healing. It notates how the formative language expresses the subject by analyzing works’ creation background, the rationale behind their creation processes, their formative properties and their expression method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reates lives repeating creating and extinction. Creation is extinguished and another creation occurs on the top of its residue. The world repeats itself repeating its creation and extinction. Works began as a mean to look at myself in the reality of life, a continuum of suffering, and to think of beauty as a way of understanding this world and to see the world with love and understanding.  Looking at beauty, it has ugliness, and ugliness has beauty. The conflicting concept of beauty and ugliness cannot exist alone. Beautiful things are near to young and fresh lives, and ugly things are near to old and dying ones. We praise the value of beauty because we are trying to be afraid of and avoid from aging and dying. Beauty has been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in each era. The standard of human beauty, for example, pursues a beautiful well-proportioned figure in modern times, but 100 years ago, the most beautiful was the woman who could fertilize. From the standards of beautiful figures, the beauty is the obvious reflection of the times. But in more fundamental point of view, it is doubt that it would be the ultimate beauty that is the one that goes through the boundaries that can be easily broken down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time. It is thought that the beauty that is sublimated into true one is truly deep. Early on, in his book, “The Problems of Philosophy”, Bertrand Russell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and reality when you see things. Observing an object, it always made of a dual structure of phenomena and essence. The phenomenon is what can change, and the essence is what does not change. If you see only the phenomenon when you look at an object, you are deceived by each one and can have fun and suffering at the same time. As the tendency to pursue the beauty of youth is stronger, it cannot escape from the pain of aging. On the other hand, however, from the fundamental point of view, youth is beautiful since it is a temporary, time-limited, unsustainable and anxious state and before long youth would disappear. That is to say, it is so valuable and precious because the time of youth is as short as the moment. If life is infinite, nobody knows its value. But this moment is precious because it is a time-limited life. All living things undergoes birth-stay-change-and-destruction. Among them, human beings suffer from birth-oldness-sickness-and-death. And all objects experiences creation-existence-destruction-and-extinction. Therefore life, man, and things are worthy. I defined these changes themselves as beauty and seek to create such beauty as an artwork.  I wanted to bring that moment of beauty of creation and extinction to the instant. Extinction and creation are not in vertical relationship but horizontal one. They coexist on the horizon of time and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is revived. In the time of the oppression, we are a momentary being and with many pain, joy and sadness in it, trying to express our presence. But as we disappear in near future, the equality of all beings appears. There is nothing that I can actually catch in the repetition of life and death, but the positive power manifested in my mind creates a reality of life. From the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the principle of natural circulation is expressed by choosing subject of landscape. The reason why I painted the picture with mountains is because many living thing and creatures live in the mountains. The mountain has the enormous vitality. It is filled with various kinds of animals, trees, plants, stones and earth. However, actually in this work, rather than filling a lot of things in the mountains, all the creatures and objects are constantly in the transformation of birth-stay-change-and-destruction, so they are expressed with the principle of blankness in the way of emptying mountains. In addition, I thought that it is essentially faithful for the expression of creation and extinction to draw the winter mountains where the branches are bare rather than the mountains where the green is rich. All creatures disappear someday in the transformation of birth-stay-change-and-destruction. As they disappear, new ones are filled. I thought the more spatial expression can the more accurately express the flow of birth-stay-change-and-destruction of creatures or objects. The mind of such space was concluded into the restoration of purity and the landscape of healing. The innocence of childhood is not a mind hidden in a framework but one that is infinitely wide and has no end so that it encompasses the sky above the mountain. The mind is so wide and deep that can contain creatures and objects that change. It is mind that is like air without any obstacles so that If you are glad, you are smiling, and if you are sad, you are crying.  This landscape of healing approaches the essential aspect of nature. It is not pretentious or artificial, but accepts the external appearance of life without any filtering. It is faithful to the essential aspect beyond the phenomenal one of the beauty which constantly changes according to the social situation. It doesn’t argue over right and wrong in its own frame but embraces all external objects. It is a state of mind that can be fully immersed in the present with perfect embracement of external objects. This is the right landscape of healing. 본 연구는 ‘생성(生成)과 소멸(消滅)’의 흐름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시간의 흐름 안에서 생성(生成)과 소멸(消滅)이 지닌 의미를 발견하는 여정을 다루었고 상처와 치유의 하얀 풍경으로 형상화하였다. 작업의 창작배경과 창작과정에서 나타난 이론적 근거, 작품의 조형적 특성과 표현 기법 등을 분석하여 조형언어가 주제를 어떤 식으로 표현하는지 기록하였다. 과거, 현재 , 미래의 모습들은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며 삶을 창조해나간다. 생성이 소멸되고 잔흔의 위에 다른 생성이 일어나고 소멸과 생성을 반복하며 이 세계는 순환한다. 고난의 연속인 삶의 현실에서 나 자신을 돌아보며 아름다움이 이 세계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 세계를 사랑과 이해의 마음으로 바라보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작품은 시작되었다. 아름다움을 살펴보면 아름다움에는 추악함이 있고 추악함이 있기에 아름다움이 있다. 아름다움과 추악함의 상반되는 개념은 홀로 존재할 수 없다. 아름다운 것은 젊고 싱싱한 생명에 가깝고 추한 것은 늙고 죽어가는 것에 가깝다. 우리가 늙음과 죽어가는 것을 회피하고 두려워하기 때문에 아름다움의 가치를 예찬하는 것이다.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각 시대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변천되어 왔다. 인간의 미의 기준을 예로 들면 현대에는 팔등신 미인을 추구하지만 100년 전 만해도 미의 가장 큰 기준은 다산을 할 수 있는 여인이 가장 미인에 속했다. 미인의 기준에서 보자면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을 여실히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본질적으로 보자면 시대적인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언제든지 허물어 질 수 있는 경계를 오가는 아름다움이라는 것이 과연 궁극적인 아름다움이 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참된 아름다움(眞美)으로 승화시킨 아름다움이 진정한 깊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일찍이 버틀란트 러셀은 철학의 문제들이라는 책에서 사물을 볼 때 현상(appearance)과 본질(reality)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어떠한 사물을 관찰해보면 항상 현상과 본질의 이중구조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현상은 변화할 수 있는 부분이고 본질은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란 것이다. 어떠한 사물을 볼 때 현상만 보게 되면 각각의 모습에 현혹 되서 즐거움과 동시에 괴로움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마치 젊음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할수록 늙음에 대한 괴로움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본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젊음이 아름다운 것은 잠정적이고 한시적이며 지속 불가능한 불안한 어떤 상태에 불과한 것이어서 머지않아 젊음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그만큼 젊음이라는 시간이 찰나와 같이 짧기 때문에 값지고 소중하다는 것이다. 인생이 무한하다면 그 가치를 알지 못한다. 그러나 한시적인 삶이기에 순간이 소중한 것이다. 살아있는 모든 것들은 생주이멸하고 그중에서 인간은 생노병사를 하고 모든 사물은 성주괴공하기 때문에 생명체나 인간, 사물이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 자체가 바로 아름다움이라고 정의했고 그러한 아름다움을 예술 작품으로 창작하고자 노력했다. 생성과 소멸의 아름다움의 그 순간을 찰나로 이끌어 오고자 했다. 소멸과 생성은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관계이다. 서로 시간이라는 수평선 위에 서로 공존하면서 그 존재의 의미가 살아난다. 억겁의 시간 속에 우리들은 잠시 스쳐가는 존재이고 그 속에서 많은 고통과 기쁨과 슬픔을 가지며 자신의 존재감을 나타내려 하지만 머지않아 소멸로서 모든 존재의 평등성이 나타난다. 삶과 죽음의 반복 속에 실제로 잡을 수 있는 것은 없으며 단지 나의 마음속에서 나타난 긍정의 힘은 하나의 생명의 실상을 창조한다. 방법론적 측면에서 자연의 순환의 원리를 산수라는 소재로 선택해서 표현한다. 산이라는 소재로 그림을 그린 이유는 산속에는 많은 생명체와 생물들이 살아 숨쉬기 때문이다. 산에는 어마어마한 생명력이 있다. 다양한 산짐승이나 나무와 여러 식물과 돌, 흙들이 가득 채워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작품에서는 산속에 무언가 많은 것들을 채우기 보다는 모든 생명체나 사물들이 끊임없이 생주이멸의 변화 속에 있기 때문에 오히려 비우는 방식의 여백의 원리로 생주이멸을 표현했다. 더 나아가 초록이 울창한 산보다는 나뭇가지가 앙상한 겨울의 산을 표현하는 것이 생성과 소멸을 표현하는데 본질에 충실한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작품을 그렸다. 모든 생명체는 생주이멸이라는 변화 속에서 언젠가는 사라진다. 없어지기 때문에 또한 새로운 생명체가 채워진다. 공간적 표현이 많을수록 생명체나 사물의 생주이멸의 흐름을 더욱 더 정확하게 표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공간의 마음을 순수성 회복, 치유의 풍경으로 귀결 지었다. 동심의 마음은 틀 속에 숨은 마음이 아니라 산 위의 하늘을 포괄하는 광대무변한 마음이다. 그 마음 안에는 변화되는 생명체나 사물을 다 포함할 수 있는 넓고 깊은 마음이 담아 있다. 기쁘면 웃고 슬프면 우는 무언가에 걸림 없는 허공과 같은 마음이다. 이와 같은 치유의 풍경은 자연의 본질적인 측면에 접근해있다. 무언가를 가식적이나 인위적이지 않고 삶의 외부적 모습을 여과 없이 받아들인다. 사회적인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미의 현상적 측면을 넘어서 본질적인 측면에 충실하다. 무언가를 자신의 틀 속에서 시시비비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외부적 대상을 포용한다. 외부적 대상에 대한 완전한 포용으로 자신이 서있는 현재에 완전히 몰입할 수 있는 마음의 상태이다. 이러한 부분이 바로 치유의 풍경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