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길거리 음식에 대한 위험지각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주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treet foods are prevalent,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from all ages and income groups consuming a variety of foods. Moreover, it provides local residents as well as inbound tourists with traditional and cultural sources as a tourist attraction. In spite of these potential benefits, street foods have been reported to be reluctant to purchase with hygienic, social, health problems and the like. Governments frequently attack street food enterprises as unsightly, as causing congestion, and as unsafe; indeed harassment by municipal officers was the greatest impediment for street food vendors. There is currently a very low level of perception about issues of street foods among vendors and consumers. It is necessary for most countries to embark on aggressive vendor and consumer education programmes as a way of mitigating the problem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perceived risk of street foods and drawing attention to consumers' demands to alleviate these problems and enhance sustainable enhancement of the street food industry.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August,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cross tabulation, factor &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theoretical model developed to guide the study using SPSS 15.0 for Window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firstly, that social/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financial risk on street foods are the main risk factors which influence the consumers' purchase belief negatively. Secondly, hygienic, environmental and health risk are the main risk factors which influence the consumers' purchase attitude negatively. Lastly, purchase belief and purchase attitud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as follows: re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 It means that the more negative purchase belief and attitude, the lower percentage of street foods were purchased. In conclusion, an integrated strategy for improving street foods should involve health concern and other regulations; vendors and consumers should address not only food safety, but also environmental health management, including consideration of inadequate sanitation and waste management, possible environmental pollution, congestion and disturbances to traffic. When officials encourage rather than harass, the vendors are more likely to improve their food quality and invest in carts that promote sanitation and attend training sessions. The training should include programs on nutrition, food safety, hazard analysis, preventative measures,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personal hygiene. Public health inspectors need to be more vigilant in monitoring vending sites and to better enforce the regulations governing the sale of street foods. Vendors and those who assist in the preparation of street foods should undergo a regular medical checkup and should possess valid food badges or licences. As stated above, street foods deserve the attention of policy-makers and vendo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situation and develop their enterprises into city food establishments. Consumers should also organize themselves into recognized groups to enable them to be heard in matters affecting them. If confirmed through further empirical research, the finding would necessitate adjustments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used in the current study.

      •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최주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고학년은 초기 사춘기를 경험하는 시기로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며 이에 따라 적절하게 표현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비장애학생 중에서도 사회성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기회가 부족하여 또래, 교사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장애학생의 경우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더 큰 부담과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COVID-19)로 원격수업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이러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도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과제를 수행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통합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환경의 제약 없이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학급 내의 모든 학생들이 다양한 차이를 수용하고 갈등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성 기술 및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의 N 초등학교 5학년 통합학급 학생 82명(장애학생 4명 포함)으로, 이 중 두 학급은 실험집단, 두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학급 차원의 보편적 중재로서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협동학습을 통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한 프로그램으로 총 12회기로 구성하였다.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주 1~2회기씩 총 12회기에 걸쳐 연구자가 진행하였고 장애학생이 학급 프로그램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도록 매회기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지원을 제공하였다.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성 기술 검사와 학급분위기 검사를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고, 장애학생의 변화 정도는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산술적 변화 추이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의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협력, 주장성, 자기조절, 공감)의 점수가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즉,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검사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산술적으로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장애학생이 통제집단 장애학생보다 사회성 기술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에서 점수가 향상되었다. 둘째,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이 지각한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이 지각한 학급분위기 총점이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학급분위기 검사의 하위영역인 친밀감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만족도, 갈등, 곤란도, 경쟁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이 지각한 학급분위기의 총점 및 하위영역 중 친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급분위기 검사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산술적으로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장애학생이 지각한 학급분위기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의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전체 점수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포함된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수업 방식을 활용하고, 담임교사와의 협력교수를 통해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It is very important for a senior elementary students as a period of experiencing early adolescence, to recognize his feelings, expressing them appropriately and receiving positive feedback. However, there is not enough opportunity among students to acquire social skills naturally, So more and more students are having trouble with their peers and teachers. Also,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y experience greater burdens and difficulties in interacting with their peers. Especially, with Corona 19 (COVID-19), The proportion of remote classes is increasing and this growing challenge also call for way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work together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n online learning.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guide all students in the clas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how to accommodate various differences and properly cope with conflicts. In this study,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was conducted for student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to find out impact on social skills and class climat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2 students(including 4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with two classes participating as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lasses as control groups.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consists of a total of 12 sessions of programs reconstructed by researcher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using online learning platforms as a universal intervention of class.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by researcher using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ime of classes. In addition, Individual support was provid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ach session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class programs. The pre-po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social skills test and class climate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ega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xamined through the arithmetic variation of the pre-post-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experimental groups and scores of all sub-regions (cooperation, assertiveness, self-regulation and empathy)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control groups. In other words,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s a result of an arithmetic examination of the social skill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otal score of social skills and scores in all sub-reg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than those with control group disabilities. Second, The total score of class climat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led group.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imacy, which is a sub-section of class climate t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conflict, difficulty and competitiveness. In other words,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class climate perceived b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intimacy among a sub-section of class climate. As a result of an arithmetic examination of the class climate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otal score of the class climate and all sub-regions perceived by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But the overall scor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control group decreased. In conclusion,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positively affected the social skills and class clim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utilized the online environment. Subsequent research recommend utilizing various online and offline teaching methods and carrying out programs through cooperative teaching with teachers in inclusive classes.

      • 모성애의 윤리적 이해

        최주원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모성애의 윤리적 이해 최 주 원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문교육전공 (지도교수 심 성 보) 모성은 자녀의 성장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최초의 사회적 환경을 만든다. 어머니의 자궁 안에서 가장 먼저 관계를 맺는 어머니와 자녀라는 관계는 모성이라는 본래 가지는 생물학적 본성이 사랑으로 발현될 때 모성애라고 말할 수 있다. 모성은 부모와 자식이라는 인연 속에서 모성의 역할은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과정에서 아동의 성장발달과 자아형성, 인간관계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자녀가 최초로 접하는 공동체 안에서 어머니의 역할은 한 인간에게 가장기본적인 가치관을 가르치는 구심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사회에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아동학대와 폭력, 경악을 금치 못하는 영유아 살해, 청소년 문제 등의 비윤리적인 무서운 범죄가 터져 나오면서 오늘날 사회는 모성애의 위기를 맞음으로써 모성애의 의심을 품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본고는 진정한 가정의 실현을 위해서 모성의 정체성과 모성애의 대한 올바른 인식과 교육을 체득하여 모성윤리가 개인에서 나아가 사회적 관심을 가짐으로써 모성윤리가 바로 설수 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모성의 다양한 장르를 통해서 모성의 양상을 신화, 민담, 성서, 문학, 영화, 대중매체를 통해서 어머니 역할에 함의된 모성애의 윤리를 살펴봄으로써 척박한 현대사회에서 어머니의 역할은 한 생명을 잉태하고 양육하는 긴 여정 속에서 억압되고 수동적이며 희생적은 모성이 아니라 능동적인 주체적 모성으로 자아를 잃지 않고 어머니와 자녀라는 경계선상에서 각자가 성장해야 할 것이다. Ⅱ장에서는 모권신화의 원형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의 모녀관계에서 딸을 찾는 데메테르의 모성애는 어떤 장애가 와도 자식을 지켜내는 자식 사랑 앞에는 모든 질서도 무너진다는 것이다. 민담에서 백설공주, 숲속의 난쟁이는 모성은 실제 어머니와 다른 초개인적인 모성으로 보편적 문제를 다루었으며 모성원형은 파괴적 모성을 나타내기도 하며 운명을 새롭게 변환하여 삶을 생산하는 원리로 작용하기도 한다. 성서에 나타난 마리아의 모성애는 다른 모성애보다 순결하고 믿음으로 순종하고 자애로움과 전 인류의 존경이 되는 진정한 어머니다. 문학에 나타난 박완서, 오정희 소설에서 모성경험을 통하여 급속한 70년대 산업화 시대를 거쳐 물질문명의 현대에 이르러 가족이 해체되고 생존적 가족주의와 출세 위주의 이기적 모성으로 모성애의 기본질서가 무너지고 관계의 단절감을 보여준다. 윤홍길의 작품에서는 한국전쟁으로 인한 분단된 아픔에서 두 어머니의 대립된 이데올로기 앞에서도 자식의 안위만을 걱정하며 하염없이 기다리는 어머니라는 공감대는 애틋한 모성애로 나타난다. 영화에서는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애니메이션‘늑대아이’를 통해서 어머니의 본질의 물음과 싱글맘의 모성경험을 통하여 끝까지 자식을 버리지 않고 사랑으로 보살피는 지극한 모성애를 보여준다. 그리고 현대사회의 전통적인 가족붕괴에 비관적 전망에도 낙관적 희망을 시사해 준다. 영화 한준희 감독의 차이나타운은 소외된 누아르적 새로운 모성을 다루었으며 차이나타운이라는 모계사회의 공간속에 생물학적 모성이 아닌 유사모성 관계를 가지면서 도덕적 모호함과 모성권력이 되물림 받는 양상을 살펴 볼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모성애 윤리의 현대적 고찰로 보살핌/돌봄의 모성 윤리에서 문화적 페미니스트들은 모성을 핵으로 여성적 정체성을 보살핌의 윤리로 보았으며 즉 어머니와 자녀와의 관계 지향적으로 보았다. 보살핌/돌봄의 배려의 윤리는 폭력적인 현대사회에서 자기를 발견하고 자기를 반성하게 되는 것이며 정의의 윤리와 융합하여 공동체적 민주시민 교육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어머니라는 역할을 통해서 우리는 행위 주체 속에서 타자를 발견할 수 있는 관계를 통한 자기인식을 자각해야 한다. 현사회의 이슈가 되고 아동폭력, 살인의 비윤리적 모성도 결국은 자녀의 돌봄에서 어머니로서 행복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특히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에서 오는 자녀와의 잘못된 애착관계를 배제할 수 없다.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머니 자신의 심리적 안정과 자아를 잃지 않고 자존감을 회복하는 것이며 좋은 어머니가 되기의 강박증에서 벗어나 자녀와의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어머니 역할을 실천함과 동시에 자신의 욕구를 잘 들여다 볼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 보육 정책과 모성 보호에서는 본 연구자의 논의에 근거하여 정책적 대안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모성을 보호하고 보육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가족, 친척, 지역 공동단체에서 충분한 신뢰와 책임을 지고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예비 부모 역할 워크샆, 고립된 미혼모들의 양육환경개선과 보조금 개선, 어머니들의 잠재력 계발을 위하여 아이를

      • 경산시 노인들의 건강행위 요인 평가에 관한 연구

        최주원 경산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산시 노인의 건강행위 요인을 평가하여 다양한 건강문제를 가진 노인의 건강을 유지·증진시키기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북 경산시에 거주하는 60세이상 노인정과 노인대학에 나오는 남·여 노인 28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0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였다. 조사방법은 훈련된 조사원이 노인정과 노인대학을 직접 방문하여 직접면접법에 의거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최영희 등(1997)이 개발한 노인의 건강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건강행위 정도를 측정하였고(Cronbach' Alpha=.9127)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강행위 점수중 문항별 건강행위 점수에서 3.5점이상의 평균을 나타낸 문항은 '내일은 내가 한다', '마음에 맞는 친구를 만난다', '이웃과 교분을 갖는다', '동네 노인과 가깝게 지낸다', '상대방을 이해하며 산다', '밥을 거르지 않고 먹는다', '적당량을 먹는다', '고르게 음식을 먹는다', '잠을 잘 잔다', '몸을 따뜻하게 한다', '순리대로 산다', '나에게 걸맞게 산다'였고 요인별 건강행위 점수에서는 적당한 식생활이 3.9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친구 사귐 3.86점, 적절한 활동·노인다운 생활 3.40점, 관계망 형성 3.22점, 편안한 마음가짐 3.04점, 신앙생활 3.00점, 체력유지 2.89점 순이였으며 전체 건강행위 점수는 3.35점이였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에서 유의성이 있는 변수는 교육정도, 결혼상태, 종교, 과거직업이었으며 특성별로는 성별에서 남자가 3.41점으로, 연령에서 70대가 3.36점으로, 교육정도에서 전문대졸이상이 3.78점으로, 결혼 상태에서 기혼이 3.46점으로, 종교에서 천주교가 3.62점으로, 가족 수에서 9명 이상이 3.41점으로, 과거직업에서는 교사가 3.89점으로, 소득수준에서는 50만원 이상이 3.66점으로 가장 높았다. 3. 건강행위 요인별 상관관계에서 노인다운 생활은 적절한 활동(r=0.564)과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편안한 마음가짐은 관계망 형성(r=0.576)과, 관계망 형성은 적절한 활동(r=0.608), 적절한 활동은 관계망 형성(r=0.608)과, 체력유지는 노인다운 생활(r=0.536)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적당한 식생활은 관계망 형성(r=0.482)과 양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신앙생활은 노인다운 생활(r=0.216)과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친구사귐은 적절한 활동(r=0.474)과 양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건강을 위해서는 실제적인 건강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참여를 촉진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노인의 삶을 긍정적이고 통합적인 차원에서 발전지향적인 방향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ealth behavior factors of the elderly in Kyungsan City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old people who have various health problems. Data were collected from 282 old people from March 1, 2000 to March 30, 2000. The trained interviewers visited senior centers and senior academies in order to have face-to-face interview. The extent of health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measuring method of old people's health behavior developed by Young-Hee Choi (Cronbath' Alpha = 0.912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ropor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through using S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points for health behavior, following items displayed average point or more(≥3.5): 'I do my own works by myself', 'I meet my friends whom I like', 'I have intimacy with my neighbors', 'I enjoy a close friendship with old people living nearby', 'I understand others well', 'I have meals. regularly', 'I have adequate amount of meal', 'I have a balanced diet', 'I sleep sound', 'I make my body warm', 'I live my life rationally', 'I live within my means'. Among points for health behavior by factors related to health, the point of adequate amount of meal was the highest (3.96 points), while the point for maintenance of physical strength was lowest (2.89). The points for making friends was 3.86 and the point for adequate activity was 3.40. The points for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 network, easy mind, and religious life were 3.22, 3.04, and 3.00 respectively. The average point for health behavior by factors related to health was 3.35. 2.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ligion, and occupation in the past display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ealth behavior. The point of male (3.41)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he points of following values of the variables were highest: 'seventies of age (3.36)', 'above college graduate (3.78)', 'married (3.46)', 'Catholic (3.62), more than nine family members (3.41), teacher in the past (3.89), monthly 'income of more than five hundred thousand won (3.66)'. 3.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and factors related to health, life fitting old people's place showed strongest relationship with adequate activity (r=0.564). Easy mind displayed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 network (r=0.576), while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 network revealed strong relationship with adequate activity (r=0.608). Adequate activity displayed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 network(r=0.608) and maintenance of physical strength showed strong relationship with life fitting old people's place (r=0.536). Adequate amount of meal reveale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 network (r=0.216), while religious life showed weak relationship with life fitting old people's place (r=0.216). Making friends displaye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adequate activity (r=0.474).

      • 코로나 19와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 : 2019, 2020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여

        최주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코로나 19는 다양한 변이바이러스의 생성과 돌파감염에 의해 빠르게 확산되는 바이러스이며, 전파력이 강해 사람들의 감염 불안 심리를 고조시킨다. 2019년에 비해 2020년도에 의료서비스 이용량이 감소했다는 사실은 이미 다수의 국가 행정자료를 통해 공개된 바 있으며 대표적으로 2020년 의료서비스 경험조사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은 59.1%로 1년 전(2019년 상반기)에 비해 9.8%포인트 감소하였다.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의료서비스 이용이 감소한 데에는 코로나 19의 영향이 있다는 사실이 여러 통계 자료와 인식조사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코로나 19 대유행 전,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으로 건강상태 인식, 지불능력의 제한, 물리적 접근성 등의 요인이 밝혀진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코로나 대유행 시기였던 2020년의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9,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Community Health Survey)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역사회건강조사 데이터는 「지역보건법」 제 4조(지역사회 건강실태조사) 및 동법시행령 제2조(지역사회 건강실태조사 방법 및 내용)에 근거하여 근거 중심의 보건사업 수행의 기반 마련을 위해 수집된 자료이며, 질병관리청에서 17개 시도 및 255개 보건소·34개 책임대학교 간 기관 협력 하에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모집단은 통·반/리의 주거용 주택(아파트, 일반주택)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이며, 표본 추출은 통·반/리 내 주택유형별 가구 수를 기준으로 가구 수 크기를 고려하여 추출확률이 비례하도록 1차 추출을 시행한 후, 표본지점으로 선정된 통·반/리의 가구 수를 파악하여 계통추출법으로 2차 추출을 시행하였다(질병관리청, 2020). 2019, 2020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정신건강 요인, 만성질환 요인, 경제·교육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후 2019, 2020 연구대상자의 미충족 의료 여부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2019 연구대상자의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코로나 감염 불안에 대한 변수를 포함하여 2020년 연구대상자의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세부 분석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2019, 2020년도의 미충족 의료 이유를 분석하였고 2020년 연구대상자의 만성질환 보유 빈도와 코로나 염려에 대한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2019년도와 2020년도에 세 연령 그룹 모두에서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으로 확인된 변수는 주관적 건강수준,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 우울감 경험여부, 당뇨병 진단 경험 여부, 교육 수준이었다. 주관적 건강수준의 경우 ‘좋음’군에 비해 ‘보통’군과 ‘나쁨’군이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높았으며,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의 경우 ‘거의 느끼지 않는 군’에 비해 ‘조금 느끼는 군’과 ‘많이 느끼는 군’이 미충족 의료 경험을 할 오즈비가 높았다. 우울감 경험 여부의 경우 ‘아니요’에 속하는 그룹에 비 해 ‘예’에 속하는 그룹이 미충족 의료 경험을 할 오즈비가 높았으며, 당뇨병 진단 경험 여부에서는 ‘예’에 속하는 그룹에 비해 ‘아니요’에 속하는 그룹이 미충족 의료 경험을 할 오즈비가 높았다. 교육 수준의 경우 공통적으로 ‘무학’에 속하는 군이 ‘대학교 이상 졸업’에 속하는 군보다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높았다. 2020년도 자료에서는, 75세 이상에서 ‘염려하지 않는 군’에 비해 ‘조금 염려하는 군’과 ‘확실히 염려하는 군’이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낮았다. 세부 분석 결과 2020 년도에 75세 이상에서 만성질환 보유율이 높고 경제활동 여부가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는 점이 코로나 감염 염려와 미충족 의료 경험 여부 오즈비가 상대적으로 낮게 확인된 원인 중 하나로 생각된다. 결론주관적 건강수준,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 우울감 경험여부, 당뇨병 진단 경험 여부, 교육 수준은 개인이 처한 사회적 환경과 경제적 환경, 심리적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사회·경제적으로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의료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관련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다소 주관적일 수 있는 응답을 이용하였으므로 객관화된 자료를 이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모집단 특성 상 해당 자료는 고령에서의 인구집단의 건강상태나 심리적 상태를 적절하게 반영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에 거주하는 모든 고령의 인구를 포함하는 모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2020년도에 75세 이상 연령을 제외하고 코로나 감염 염려가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에 해당하지 않았으나 2020년도의 미충족 의료 이유로‘기타’라고 응답한 분율이 급증하였으므로 ‘기타’에 대한 세부 분석이 필요하다.

      •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어휘 교육 연구 : 정(情)의 의미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최주원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어 문화어휘 정(情)의 교육이 의미론적 해석을 바탕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몇 가지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고찰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어휘란 문화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어휘를 사용하는 사회의 배경을 이해해야 습득 가능한 어휘이다. 이러한 문화어휘는 모국어 화자들의 문화와 경험의 산물로서, 문화적 요소로 인해 타 외국어로 직역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문화어휘는 그것을 사용하는 하나의 사회를 드러내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논의에 따르면 언어는 사고를 담는 그릇이다. 언어와 사고 중 무엇이 선행하는지 가리긴 어려지만, 말과 글이 사람의 가치관을 고스란히 담아낸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Humboldt(1822)는 언어와 정신 활동은 상호 밀접한 연관을 가지기 때문에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존재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모든 언어는 각각의 고유한 세계관이 있으며, 언어가 서로 다른 것은 단순히 두 언어의 소리나 기호가 다른 것이 아니라 세계관 자체가 다른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의 상이성은 소리나 기호의 상이성이 아니라 세계관의 상이성이라는 해석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한국어는 한국인의 사고가 담긴 언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한국인의 오랜 가치관과 세계관이 한국어라는 언어를 통해 표현되며, 반대로 한국어를 사용함으로써 한국인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더욱 견고해지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어와 한국인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운명을 가지고 있으며, 쌍방향적인 관계를 가진다. 비단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세계의 다양한 언어들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긴밀하게 상호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한국어 어휘에는 한국인의 생활습관과 가치관 등을 반영하는 것이 다수 존재한다. ‘정(情), 한(恨), 원(願), 혼(魂), 흥(興), 체면, 손맛, 감칠맛, 신명’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어휘들은 한국의 문화적 요소와 배경을 껴안고 있기 때문에 타 외국어로 직역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특히 한국인의 대표적인 정서로 가장 먼저 꼽히는 정(情)에 대해 명쾌한 설명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한국인조차 한국인의 대표 정서인 정(情)이 무엇인지 선명하게 정의내릴 수 없는 상황에서, 그것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외국인 학습자가 얼마나 될지 회의적인 시각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까지 이해해야 습득 가능한 문화어휘 정(情)의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김수현(2004: 52)와 황인교(2011: 241)을 토대로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어휘 정(情)의 교육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내포하는 문화어휘 정(情)을 결합적 어휘장과 개념적 은유를 사용하여 의미론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어휘 정(情)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 중급 학습자는 문화어휘 정(情)을 의미론적으로 해석하고 배우는 과정을 통해 정(情)을 둘러싼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한국과 한국인이라는 공동체 차원에서의 정(情)이 아닌, 각각의 개인 차원에서의 정(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 명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워킹맘의 가사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최주원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artistry on housekeeping stress and resilience. The subjects were pre-screened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July 2, 2018 at study cafe in S city G district. The research period is from July 10, 2018 to November 2, 2018, and total 20 sessions 1 or 2 times a week for 90 minutes.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of housework stress, the research tool used housework stress scale and person test in the rain, and resilience measure and dynamic family picture test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resilience change analysis. In addition, we analyzed qualitatively the changes of client 's behavior and painting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program by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artistry on housekeeping stress of housewives, housework stress scale and person test of rain were pre post - test. As a result, the housework stress score was decreased in the post - test compared to the pre - test, and the score of the human figure in the rain was also decreased in the post - test compared to the pre - test. In the results of the person painting in the rain, the intensity of the rain was strong in the dictionary and the expression of the family was not good, but in the post test, the amount of rain de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the family brightened. As a result, art therapy using artistry positively affected working mom's housework stress. Second,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artwork on the recovery elasticity of Walkingmoth, As a result, the score of resilience was improved in the post test. In the dynamic family planning, the pre - test showed lack of family interaction and expressionless expression, but in the post - test, family interactions increased, facial expressions brightened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mproved. As a result, art therapy using ar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very elasticity of Walkingmam. Third, we analyzed the paintings and behaviors of the workshop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of housework stress and resilience in art therapy using art. As a result, the client had a positive effect on housework stress and resilience. Therefore, it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rt therapy using artifacts on the working stress and resilience of Walkingmam.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useful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to working mothers in similar situations. 본 연구는 명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워킹맘의 가사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S시 G구에 스터디 카페에서 2018년 7월 2일 사전검사와 정보를 수집 했고, 연구기간은 2018년 7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이며 사전∙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20회기로 주 1-2회 90분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가사스트레스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가사스트레스 척도와 빗속의 사람 검사를, 회복탄력성 변화를 분석하기위해 회복탄력성 척도와 동적 가족화 그림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또한 회기별 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내담자의 행동과 그림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워킹맘의 가사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가사스트레스 척도와 빗속의 사람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사스트레스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감소되었고 빗속의 사람그림 검사 점수 역시 사전검사에 비교하여 사후 검사에서 감소되었다.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 결과에서도 사전에서 비의 세기가 강하고 가족의 표정이 좋지 않았으나 사후검사에서는 비의 양이 줄고 가족의 표정도 밝아졌다. 이로 인해 명화를 활용한 미술치료는 워킹맘의 가사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명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워킹맘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복탄력성 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회복탄력성의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향상되었다. 동적 가족화에서도 사전검사에서는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하고 무표정한 모습이 표현되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늘어나고 표정이 밝아졌고 대인관계가 향상되었다. 이로 인해 명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워킹맘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명화를 활용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워킹맘의 가사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회기별 그림과 행동을 질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내담자의 가사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합하여 볼 때 명화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워킹맘의 가사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유사한 상황에 있는 워킹맘들에게 적용되어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인공지능기반 스마트양식시스템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주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수산업은 급격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2015년 세계 수산양식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연간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59.9Kg으로 전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연간 1인당 육류 소비량 51.8Kg보다 더욱 많은 소비가 발생하고 있다. 반면 국내 수산물의 생산은 ①어족자원의 한계, ②해양환경오염, ③불법남획, ④어촌 공동화·노령화에 따른 기반 약화로 전통적인 어로어업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 잡는 방식인 어로어업을 대신하여 기르는 방식의 양식어업이 대안으로 제시되었고, 국내 수산물 총생산량 3,740,000t 중 양식업 생산량이 2,310,000t으로 총생산량의 62%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2017년 기준). 이러한 수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속에 4차산업혁명 기술이 등장하면서 다시 한번 양식어업 분야 내부에서도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주로 어민들의 생산활동을 통해 이뤄지는 노동집약적 1차산업 기반 양식산업에 ICT기술이 융복합되면서 생산성, 관리성, 안정성 측면에서 모두 우수한 스마트양식장으로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초기 모바일 기기를 통한 원격 모니터링 및 수동적인 제어 기반의 서비스에서 최근에는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후 최적의 생산 환경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인공지능기반의 자동화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재래식 양식업자, 신규로 양식업에 진입하려는 귀어귀촌인, 그리고 추후 어촌마을로 은퇴하여 노년을 보내고자 귀어에 관심 있는 대국민들이 인공지능기반 스마트양식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스마트양식시스템의 고도화 방향성을 도출하고 양식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인공지능기반 스마트양식시스템의 수용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둘째, 인공지능기반 스마트양식시스템의 수용의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독립변수, 매개변수 등으로 수립하고 측정 항목을 도출하였다. 셋째, 학력, 경험, 연령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수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총 5단계로 수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인공지능기반 스마트양식시스템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의 목적과 수행하는 절차 등 논문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이 3개 분야로 나누어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①인공지능기반 스마트양식시스템의 정의, 구성, 이론적 배경과 거시환경분석기법인 PEST기법을 통해 정책, 경제, 사회, 기술 측면의 환경 특성 및 미래 발전 방향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②인공지능 서비스와 관련한 수용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③연구모형을 구축하기에 앞서 TAM, UTAUT, IS Success Model, ServQual 등의 선행연구모형을 분석하고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 등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모형 구축단계에서는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고, 직접효과, 간접효과, 조절효과 등에 대한 가설 수립 및 조작적 정의,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실증분석에서는 사전 도출된 측정항목을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고 2020년 1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총 457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 후, 불성실한 답안 42명을 제외한 415명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SPSS 26과 AMOS 26을 사용하여 가설검증과 매개변수의 간접효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을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①신뢰성, 전문성, 가용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반응성, 보안성은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었다. 투자가치, 사회적영향은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었다. ②신뢰성-지각된 용이성-지각된 유용성 경로와 전문성-지각된 용이성-지각된 유용성 경로, 가용성-지각된 용이성-지각된 유용성 경로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고, 지각된 용이성-지각된 유용성-수용의도 경로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③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에서는 성별, 연령, 서비스경험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분석하면 정책적으로 서비스 및 시스템의 표준화를 통한 품질제고, 관련 법제도적 방안 수립에 기여와 학술적으로는 스마트 팜, 스마트 축산 등 타 1차산업의 인공지능화 스마트시스템의 수용의도 관련 연구에 하나의 참조사례로서 가치를 제공할 수 있겠다. 추후에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등 최신기술 및 양식업 관련 특수 환경요인 등을 반영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인공지능기반 스마트양식기술의 헤게모니 선점이 필요하다. Fishing industry is currently facing a rapid paradigm shift. According to the 2015 world aquaculture status report, the annual per capita seafood consumption in South Korea was 59.9 kg, which was the highest worldwide and was much larger than the annual per capita meat consumption of 51.8 kg. In contrast, domestic traditional fishing has decreased due to ①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he fishery resources, ②pollu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 ③illegal overfishing, and ④weakening of the foundation due to hollowing out and aging of fishing villages. Therefore, aquaculture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the traditional fishing; aquaculture production accounts for 2,310,000 tons, which is 62% of the total domestic fishery production of 3,740,000 tons (as of 2017). In addition to this paradigm shift in the fishing industry,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emerging, which has resulted in a paradigm shift in the aquaculture field as well. Owing to the fu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th the aquaculture industry based on the labor-intensive primary industry through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fishermen, smart farms that possess excellent productivity, manageability, and stability are being developed. Initially, technologies were based on remote monitoring and passive control through mobile devices. However, they recently developed in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automation system, which can control and manage the optimal production environment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big dat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pgrade the smart aquaculture system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quaculture industry by identify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fish farmers, urban-to-fishing, and rural migrants, who want to enter the aquaculture industry, as well as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fishing after their retirement and want to spend old age in a fishing village by accepting the AI-based smart aquaculture system. The proposed study deals with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a research problem to examine the intention to accept the AI-based smart aquaculture system was constructed. Second, factor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to accept the AI-based smart aquaculture system we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and the metrics were derived. Third,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experience, and age, on the intention of accepting the AI-based smart aquaculture system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ive steps. In the first step,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study such as the objective and procedure of research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accept the AI-based smart aquaculture system was presented. In the second step,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three fields: ①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definition, structure,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AI-based smart aquaculture system 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in terms of policy, economy, society, and technology were analyzed using the PEST technique, which is a macro-environment analysis technique. ②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intention to accept the AI-based services were analyzed. ③Previous research models, such as TAM, UTAUT, IS Success Model, and ServQual, were analyzed before constructing a research model, and the metrics, such as independent variables, parameter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derived. In the third step,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he hypotheses for direct, in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were established, and the operational definitions and metrics were derived. In the fourth step for empir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was created based on the derived metric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57 participants from December 2020 to February 2021, and the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415 participants, excluding 42 persons who did not answer the questionnaire sincerely. The hypotheses were then verified, and the indirect effects of paramete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SPSS 26 and AMOS 26. The survey findings were as follows: ①Reliability, expertise, and avail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easy of use. In addition, reactivity and secu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fulness. Investment value and social impa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accepting AI-based technologies. ②The reliability-perceived easiness-perceived usefulness path, expertise-perceived easiness-perceived usefulness path, and availability-perceived easiness-perceived usefulness path had full mediation effects, whereas the perceived easiness-perceived usefulness-acceptance intention path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③ Concer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AI service experience had a moderating effect. Finally, to analyze the implications from the viewpoint of polic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quality through standardization of services and systems, as well as establishment of related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Academically, this study can provide a value as a reference case to studies related to the intention to accept AI-based smart systems in other primary industries such as smart farms and smart livestock. In the future, we need to preoccupy the hegemony of global AI-based smart aquaculture technology among exper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reflecting the latest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twin and special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aquaculture.

      • 도쿄 스미다구의 어패럴 중소제조기업 사례연구 : 동대문 패션특구의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제안

        최주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해 서울을 방문한 1,148만 외국인 관광객 중 650만 여명은 국내패션의 중심지인 동대문을 찾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늘어나는 관광객 수에도 불구하고 동대문은 지금 역신장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현대식 쇼핑몰과 전통적 재래시장이 공존하고 있는 동대문 시장은 소매지역 상권의 무리한 부동산 개발과 상가간 출혈경쟁, 해외 저가의류의 범람 등 급격히 변화하는 의류소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어패럴 중소제조기업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한편 이와 유사한 환경을 경험한 도쿄의 어패럴 중소제조지역이 밀집한 스미다구에서는 전통과 제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살리기 위해 Made In Japan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도쿄 스미다구 지역 어패럴 중소제조기업들의 생존전략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보고, 동대문시장에 적용 가능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례 분석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도쿄의 스미다구에 소재한 어패럴 중소제조기업을 방문하여 인터뷰하였다. 1차 자료로는 스미다구에 소재한 도쿄 국제패션센터 및 어패럴 중소제조기업들의 인터뷰 자료와 스미다구 홈페이지(sumida-brand.jp)와 사례 기업들의 홈페이지를 이용하였으며, 2차 자료로는 국내외 선행논문과 연구기관 보고서 등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사용하였다. 1차 자료 중 사례기업 자료로는 인더스타일 브랜드의 마루와 섬유공업 주식회사 홈페이지(maruwa-tex-ind.co.jp)와 이키지 브랜드의 홈페이지(www.ikiji.jp)를 활용하였다. 인더스타일은 산학협력을 통해 외부와 자사의 기술력을 접목시킨 사례로 선정하였고, 이키지는 외부의 창의적인 디자인 기술력과 각자 고유한 전문기술을 가진 4개의 어패럴 중소제조기업들의 협력을 활용한 사례로 선정하였다. 2차 자료를 통해 동대문지역의 현황 및 경쟁력과 문제점을 알아보았으며, 어패럴 중소제조업의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를 집중 분석하였다. 또한 일본 어패럴 브랜드 사례 및 일본 어패럴 제조업의 극복방안 사례연구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부분은 어려움에 처한 동대문 도소매 상권의 활성화를 위해 경쟁력을 점검하고 정책적인 지원 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본질적으로 동대문 유통을 지탱하고 있는 어패럴 중소제조기업의 활성화에 대한 접근과 직접적인 전략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인더스타일의 경우 기존 제품, 기존 기술, 기존 시장과는 전혀 다른 비즈니스 모델로써 새로운 고객에게 어필하는 복합적 전략을 활용하였고, 이키지는 기존 제품의 생산 시설, 기존 기술, 기존의 유통채널로 접근하여 새로운 고객을 창출하는 집중적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스미다구의 어패럴 중소제조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사례를 통하여, 동대문 어패럴 중소제조기업의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하이테크 기술과 스토리텔링이 융합된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