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구 헤파린 투여에 따른 암혈류량 증가 및 항암제 효능 증진 연구

        최정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고형 암에서 관측되는 혈류량 감소는 약물의 전달량과 분포 악화로 이어져 항암 효과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암 내부 저산소증을 심화시켜 암 면역성을 떨어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암 혈류량의 감소는 비정상적인 암 혈관 생성, 높은 암 조직 내 압력, 과밀도 세포외기질 등 다양한 약물 전달 장벽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임상적으로도 적용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약물 및 전략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암 혈전 생성으로 인한 암 혈관의 부분 또는 전체 막힘이 암 혈류량 감소에 크게 기여함을 처음으로 밝혀 내었으며 이러한 암 혈전 생성이 약물 수송 장애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역으로, 지속적 항 혈전제의 투여는 이러한 암 혈전 생성을 예방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암 혈전 생성의 예방은 암 혈류량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실에서는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항 혈전제 투여를 위해 경구 헤파린 (STP3725)을 개발하여 경구 흡수율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저 분자량 헤파린과 동등 수준의 항 혈전 효능을 보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경구 헤파린을 제목스 요법 (젬시타빈과 옥살리플라틴의 병용투여)과 병용 투여할 시에 B16F10, Aspc-1 마우스 항암 모델에서 각각 단독으로 투여할 때 보다 월등히 좋은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가 암 혈전 예방으로 인한 혈류량 및 약물의 전달량 증가에 기인한 것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경구 헤파린의 투여는 4T1 orthotopic 항암 모델에서 항전이 효과를 보임을 입증하였고 제목스 요법과 병용 투여 시 이러한 항 전이 효과가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병용 투여의 항암 효능은 K-Ras 유전자 변이로 인한 자연발생종양 모델에서도 대조군 대비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경구 헤파린으로 증가된 암 혈류량에 의해서 산소 전달량이 증가함에 따라 암 조직 내 저산소증도 크게 경감시킬 수 있음을 입증 하였다. 또한 이러한 저산소증의 경감은 암 조직 내로의 유효면역세포의 침윤 상승에 기여하고 면역억제 시토카인들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암 면역 환경을 항암 치료에 유리한 쪽으로 개선 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경구 헤파린과 항PD-1 항체의 병용투여 시 B16F10, CT26, Pan02 암 모델에서 각각의 단독 투여보다 항암효과가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항암 효과 증진은 경구 헤파린을 처리함에 따라 암 조직 내로의 항체 전달량이 증가하고 면역세포의 수와 기능 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에 기인함을 형광 세기 측정과 유세포분석으로 입증하였다. 특히 경구 헤파린 처리에 따른 저산소증의 경감은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세포독성 T세포 등의 수 및 기능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면역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골수유래억제세포(MDSC) 수의 감소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경구 헤파린과 항PD-1 항체의 병용 투여 시 더욱 크게 증가함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경구 헤파린 투여에 따른 저산소증 경감은 다른 항암 면역 제제와의 병용투여에서도 좋은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경구 헤파린의 지속적 투여는 암 혈류량과 약물의 전달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그 효능을 크게 증진 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암 조직 내 저산소증을 경감시킴에 따라 암 면역 환경을 개선하여 항암 면역 제제의 효능 또한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적으로 많은 암 환자들이 항 혈전제를 투여 받을 필요성이 있음을 고려할 때 본 연구 전략은 암 혈전을 예방함과 동시에 병용 투여하는 약물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이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Limited tumor perfusion results in restricted drug delivery and accelerates hypoxia, which is detrimental to overall antitumor immunity. Here, we demonstrated that cancer associated thrombosis (CAT) could be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significantly limits tumor perfusion while facilitates hypoxia by partially or completely blocking the tumor blood vessels. Reversely, we also verified that prevention of CAT by administering orally available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STP3725) substantially improved tumor perfusion and alleviated hypoxia. We confirmed that treating STP3725 significantly potentiated the efficacy of oxaliplatin and gemcitabine by enhancing the drug delivery and distribution in the tumor tissue in B16F10 and Aspc-1 tumor models. Furthermore, we identified that administering STP3725 altered tumor microenvironment into immuno-supportive one by augmenting effector lymphocytes population, decreasing hypoxia related immunosuppressive cytokines and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s (MDSCs) in B16F10 and CT26 xenograft tumor models. By treating STP3725 together with anti-PD-1 antibody in the same models, we discovered that these favorable changes markedly benefited the anti-tumor efficacy of anti-PD-1 antibody by both promoting the population of tumor infiltrated effector lymphocytes and ameliorating the function of cytotoxic T lymphocytes. Collectively, our findings establish the rationale for a new potential combination strategy, which could be broaden to a combination of anticoagulation therapy with other chemotherapeutic and immunotherapeutic agents.

      • 상수도 시스템의 지진피해 복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 국내 상수도 시스템 적용 사례

        최정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지진피해는 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지만, 최근 지진발생 빈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사회기반 시설물의 지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진에 대한 사전 대책은 시설물 계획단계에서의 내진설계와 기존 시설물의 내진보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사전대책은 피해경감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자연재해의 특성상 지진 피해 발생 이후의 복구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장기적인 손실이 초래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국내의 경우, 지진에 대비하기 위해 전력, 도로 및 교량 시스템 등과 같이 지상에 설치된 라이프라인 시스템(Lifeline system)의 내진설계에 대한 기준 및 연구는 점차 강화, 보완되고 있으나, 대부분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관망 시스템의 내진설계 및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이다. 더불어, 사후복구 차원에서의 복원력 향상을 위한 연구 및 대책 수립은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지진 발생 후 상수관망 시스템의 복구방안을 모델링하고, 이를 국내 대규모 상수관망 시스템에 적용한 첫 번째 사례이며, 이를 통해 신속한 복구와 피해저감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에 대한 지진 피해 및 복구상황을 모의하고, 정밀한 수리해석을 통해 실제 지진 발생 후 신속하고 효율적인 지진 피해 복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복구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의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미국 환경청(US EPA)에서 개발한 관망 수리해석 모형인 EPANET과 Mathwork사의 공학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MATLAB을 사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실제 지진 피해 상황을 모의하고 관망 수리해석을 통해 시스템의 취약도 및 시간에 따른 시스템의 복구 진행상황을 정량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해당 시뮬레이션 모형을 통해 지진 피해에 따른 복구 소요시간 예측, 복구 소요자원 산출, 사후복구 과정 및 절차, 그리고 시・공간적 복구 양상 등을 제시하고 해당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가장 효과적인 복구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의사결정 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상수관망의 지진 피해 사후 복구와 관련한 실무자의 교육 및 훈련에 활용할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긴급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한 반전성 유두종의 임상적 분석

        최정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과 목적 : 반전성 유두종은 높은 재발률, 국소적 침습성, 악성 종양과의 연관성 등으로 특징되는 질환이다. 과거에는 재발을 줄이기 위하여 광범위한 외비 접근법이 최선의 치료법으로 생각되어져 왔으나 최근 내시경을 이용한 절제술이 흔히 이용되고 있으며 고식적인 수술의 경우와 유사한 치료성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2년간 치료한 환자들의 병기와 수술 방법에 따른 치료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반전성 유두종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2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반전성 유두종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하였던 101예의 환자들중 총 8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연령 및 성별 분포, 임상증상, 비수술의 과거력, 침범부위, 수술방법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54세로 80%가 남자였다. 환자들은 대부분 코막힘을 주소로 내원하였고 가장 흔한 침범부위는 비강의 측벽이었으며, 부비동 침범은 사골동, 상악동, 접형동순으로 많았다. 진단시 병기분류는 Krouse stage T3(49.4%)가 가장 많았으며 편평상피암이 동반된 경우도 5예(6.2%) 있었다. 수술 후 평균 27.1개월간의 추적관찰 중 전체적인 재발률은 16%, 병기에 따른 재발률은 T1 33.3%, T2 14.3%, T3 10%, T4 50% 였다. 전체적으로 내시경 수술군과 외비접근법 병용군, 외비접근법 단독 시행군의 재발률은 각각 4예(8.3%), 1예(25%), 8예(27.6%) 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73). 결론 : 반전성 유두종의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단순 병기 분류보다는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료는 가능하면 덜 침습적인 내시경으로의 접근을 고려하여야 하며 내시경 접근법에 의해 종양의 완전한 제거가 어려운 경우 보조적인 외비 접근법이 추천된다. 특히 과거의 수술 기왕력, 높은 stage, 악성암과 동반된 경우는 보조적인 방법을 더욱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철근 콘크리트 무량판 구조의 횡하중 해석 모델

        최정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개의 글 철근 콘크리트 무량판 구조는 슬래브를 기둥이 직접 지지하는 시스템으로 층고가 낮기 때문에 골조 및 설비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단순한 거푸집 공사 및 공기 단축으로 인하여 매우 경제적인 시스템이다. 또한 내부 공간구성이 자유로우므로 건축 계획에 있어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고 추후 리노베이션에 대한 제약이 적기 때문에 주거용 또는 교육용 건물에 매우 효과적인 구조시스템이다. 콘크리트 무량판 건물의 구조설계는 전형적으로 강도 및 처짐 등에 대하여 구조 해석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구조체의 내력과 변위를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해석모델이 필요하다. 중력하중에 관한 해석 모델은 오랜 세월에 거쳐 연구되어 왔으며 그 결과로써 우리나라의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과 ACI Building Code에서는 등가골조법(equivalent frame method)을 규정하고 이에 관한 적용 방법론을 상세히 명기하고 있다. 그러나 횡하중 해석의 모델링 방법에 관한 사항은 아직 명확치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횡하중에 대한 무량판 골조의 강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이러한 특성을 구조 모델링에 효율적으로 반영한 횡하중 해석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횡하중이 작용하는 무량판 골조는 거동 및 해석에 있어 몇 가지 불확실한 점이 있다. 이 중에서 보다 주요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1) 횡하중 해석에 관한 기존 골조해석 모델들은 모두 2차원 해석 모델로써 이를 이용한 3차원 건물의 완전한 해석은 대단히 복잡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건물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야 하는데, 이때 어떠한 해석 모델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인지가 명확치 않다. (2) 무량판 슬래브에 작용하는 모멘트 분포는 보 요소와 달리 기둥 주위에서 가장 크고 기둥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현상을 보인다. 이것은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영향인데, 이에 관련한 기존 연구는 연구의 대상 및 형상 변수 정의에 있어 부족함이 있다. (3) 슬래브는 작용하중과 건조수축 및 온도변화 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강성이 감소된다. 슬래브의 강성감소 현상을 해석에 반영하기 위한 모델들이 몇 가지 제시되어 있으나 실용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모델이 적합한지가 명확치 않다. (4) 슬래브의 강성 변화를 해석모델에 어떻게 정의하고 구조 설계에 있어 이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가 불확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언급한 주요 사안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 연구의 범위는 철근 콘크리트 무량판 구조의 전반적인 거동에 관한 것으로 응력 집중 등의 국부적인 현상에 관한 사항은 고려치 않았다. 연구 내용 및 결과 횡하중 해석 모델에 관한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존 횡하중 해석 모델 중에서 보 해석 모델(beam analogy model)과 등가골조 모델(equivalent frame model)은 비틀림 부재의 모델링으로 인하여 3차원 모델링이 번거롭다. 유효보폭 모델(effective beam width model)은 유효보를 이용하여 보-기둥 골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모델링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3차윈 모델링이 쉽고 실용적이다. (2)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유효보폭 계수를 유한요소 기법을 이용하여 구하고 이를 분석하여 유효보폭 계수 계산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3층 규모의 예제 건물을 대상으로 제안식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여기서, 제안식을 이용한 유효 보폭 모델의 해석 결과는 유한요소 모델의 해석 결과를 기준으로 5.4% 이하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제안식은 상대적으로 비교 가능한 Banchik의 세안식(21% 이하) 그리고 Luo와 Durrani의 제안식(내부골조에 대해서만 9.9% 이하)에 비하여 더욱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모든 타입을 대상으로 수행한 것이기 때문에 내부 접합부만을 대상으로 수행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3) 슬래브의 강성감소 계수에 관한 연구는 해석적인 방법, 기존 실험결과 분석 그리고 실험적인 방법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에서 제시하는 유효강성 계산식을 이용하여 중력 및 횡하중에 따른 슬래브 강성감소의 경향을 분석하고 ACI Building Code에서 제시하는 강성감소 계수 1/2∼1/4 적용이 범위를 정의하는데 있어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3 경간을 갖는 Hwang과 Moehle의 실험 결과를 층간변위비 0.5% 기준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접합부 타입에 따라 슬래브의 강성감소 크기가 차이를 보였고 Vanderbilt와 Corley가 제시한 강성감소 계수 1/3 적용이 해석에 있어 안전측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주거용 건물을 대상으로 무량판 구조 실험을 수행한 결과 강성감소 계수 1/3의 적용은 매우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 유효보폭 계수와 강성감소 계수를 이용하여 정의한 슬래브 휨강성의 상·하 한치는 해석 결과의 양 극한값을 제공한다. 물론 무량판 건물의 실제 거동은 극한값 사이의 특정한 수치를 보일 것이나 이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므로 구조 설계에 있어 접합부 모멘트와 건물의 변위 예측에 대하여 보다 안전측의 해석 결과를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15층의 일자형 예제 아파트를 대상으로 해석을 수행한 결과, 접합부 모멘트에 대해서는 상한치 강성을 그리고 변위에 대해서는 하한치 강성을 적용하는 것이 안전측의 해석 결과를 제공하였다. 결론 철근 콘크리트 무량판 구조의 내력과 변위를 합리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횡하중 해석에 관한 모델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모델은 유효보폭 개념을 이용하였는데, 유효보의 폭을 결정하기 위하여 유효보폭 계수 계산식과 강성감소 계수 1/3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효보폭 모델은 전단벽이 조합된 일반적인 무량판 구조뿐만 아니라 가새 또는 아웃트리거 및 벨 트러스 등의 횡저항 요소가 조합된 구조시스템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Introductory Remarks A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 structure is a structural system with solid slabs supported directly on columns. From the construction viewpoint, the flat plate frame has proved economical because it utilizes the simplest possible form work, achieves the minimum story height and reduces period of works. Furthermore, this framing provides less impediment to the placement of utilities which allows more flexibility for architectural treatments. Because of these considerations, the flat plate structure is one of the most practical systems for multistory residential and institutional construction. The structural design of a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ypically requires that a structural analysis be made to complete actions and displacements. To meet this requirement, a suitable analysis model is need. Gravity load performance of flat plate structures has been studied and proved to be reliable through several decades of research and service. However, several aspects of structural performance of flat plate structures under lateral loads remain in question. Among these are (1) lateral load stiffness of the complete structures, and (2) structural modeling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will suggest the useful analysis model related to lateral load response. Statement of the Problem Several uncertainties currently exist regarding the behavior and analysis of flat plate structures under lateral loads. Among the more prominent issues, and those that are of interest in the current study, are : (1) The analytical models recommended by ACI building code for flat plate structures are two-dimensional approach. However, it is very complicated for a complete building analysis. To improve this, the above approach should be extended to a three-dimensional approach. (2) The moment distribution of the plate along the transverse column center line is not constant, and is maximum adjacent to the column. To explain this phenomenon, geometries of slab-column connections are considered. However, the geometrical variables are insufficiently defined in previous research. (3) Cracking of the slab is a likely consequence due to several loads,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The models that account for cracking have been suggested but it is uncertain as to which model could be the best for applications. (4) Defining the stiffness variation of slabs and its impact on the structural design is still uncertain. Summary and Conclusions A combined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was undertaken to propose a lateral load analysis model of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 struct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 (1) Among the previous frame analysis model, beam analogy model and equivalent frame model are complicated in order to approach a three dimensional extension because of its torsional members. An effective beam width model treated in the same manner with beam-column frames is useful and easy in practice. (2) Theoretical effective beam width coefficients are calculated by using a finite elements technique for a wide range of geometry of slab-column connections. The simple formulae is suggested and verified with respect to the three-story building example. The results of the effective beam width model by using the proposed formulae show less 5.4%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the finite element model which is more accurate tha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formulae by Banchik(less 21%) and Luo and Durrani(less 9.9% about interior frame only). (3) Analytical and experimental study was undertaken to estimate the stiffness reduction of slabs. In the analytical approach, the trend of slab stiffness reduction related to gravity and lateral loads is found and the stiffness reduction factor ranged from a half to a quarter in ACI building code is reasonable when defining range. Analyzing results of the test by Hwang and Moehle for 0.5% drift show that the differences of rotational stiffness on the connection types is found and good results of lateral stiffness using the value of one-third is obtained. To evaluate the stiffness reduction factor of one-third for residential building in domestic regions, the Choi's test is performed. (4) The defined upper and lower bounds of a slab bending stiffness can give the extreme limits of analysis results thus the prediction of actual behavior for flat plate buildings can lie between the extremes. The lateral analysis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fteen-story building example and it is shown that if the slab stiffness of the upper bounds is used, the results can lead to a safe structural design for the actions of the connections, whereas to have a safe structural design for the displacements of building, the slab stiffness of the lower bounds can be used. Recommendations The modeling method using the three dimensional approach in lateral load analysis to predict the actions and displacements of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 structures is recommended. This approach employs an effective beam width concept in which the formulae for the effective beam width coefficients and stiffness reduction factor of one-third are proposed. The lateral load analysis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is simpler and more accurate than the previous frame analysis models in practical object. Especially, it can be useful for the analysis of the flat plate structures combining lateral resistant components such as structural walls or brace members.

      • 창조기사의 과학적 접근에 대한 비평 : 홍수설화를 중심으로

        최정욱 牧園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치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하늘로 쫓아 나타나나니 이는 하나님을 알만한 것이 저희속에 보임이라 하나님께서 이를 저희에게 보이셨느니라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게 되나니 그러므로 저희가 핑계치 못할지니라"(롬1:18-20) 하나님의 진노하심이 하나님에 대한 불경건과 사람들에 대한 불의한 행위에 대하여 나타난다는 이 말은 우리들이 바로 이 두 죄악에 빠져 있어 하나님의 심판과 진노하심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전제하는 말이라고 볼 수 있다. 바로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에 대하여 쫓아 나므로 우리에게는 구원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행위는 불의할 뿐이고 하나님은 그 불의에 대하여 필히 진노하심으로 보용하실 수밖에 없으므로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진노를 피하게 하는 구원이 필요한 것이다. 복음이 복음이 되는 것은 우리에게 이 진노를 피할 길을 열어 주겠다고 하므로 복음이 되는 것이다. 진노하심이 없다면 복음도 없고 구원도 없는 것이다. 하나님의 진노에 대하여 우리가 몰랐다고 변명하거나 피할 수 없음을 말하고 있다. 이미 피조 세계에 하나님의 능력과 신성을 존재케 하셔서 민간으로 하여금 하나님에 대한 경외감을 가질만한 능력을 나타내 보이셨으며, 또한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할 때, 이를 알 만한 지각을 허락하셨음을 말하고 있다. 이미 피조세계 안에는 하나님의 능력과 신성이 분명하게 잠재해 있으며, 그것을 알 수 있는 지각(하나님을 알만한 것, τò ννω οτòν τοû θεοû)이 우리에게 있음을 성서는 분명히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더 이상의 어떠한 증명을 필요치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과학적 접근을 추구하는 자들의 신앙적 열정이 대단히 뜨거운 것을 알고 있다. 또한 그들의 경건함과 하나님을 향한 열심이 그 누구에게도 결코 뒤지지 않음을 익히 알고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러한 고귀한 열정과 열심히 있다 할지라도 그것이 오늘날 교회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앞서 여러 가지 성서에 대한 접근들을 소개해 보면서 그것들이 주는 신앙적 영향을 생각해 보았다. 과연 어떠한 것이 성서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자세인지는 지극히 자명할 것이다. J. Lindblom 의 주장을 소개 한다. 현대과학이 우리에게 준 것으로 전적으로 변화된 세계관을 지적해 보자. 창세기에 있는 창조관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세상과 천체의 모양과 기완에 대해서 아무 것도 모를 때 인간이 원인과 결과의 관계에 대해서 또 진화과정의 법칙에 대해서 아무것도 알지 못할 때 여하튼 과학적 사유를 하는 인간들이 일반적 상식으로 아직 보편화되지 않았던 고대에서는 잘 통할 수 있었다. 자연과학의 발전을 통해서 오늘날 우리가 세상에 내해서 알게된 자연사 이상의 사설들이 성서의 창조설화를 재평가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우리들은 성서가 포함하고 있는 종교적 가치를 발견하도록 노력해야만 한다. 그 가치들은 대단히 많다. 즉, 유일신론, 모든 전제의 뒤에 있는 신비스러운 힘을 가진 하나님, 그 하나님의 세상인 세상, 그런 세상 속에서 인간의 힘 둥 다양하다. 과학자들이 반대하는 내용, 즉 창조설화를 그대로 집착해서 연구하는 일들은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비과학적인 성서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떤 기본적인 방침과 반대가 된다. 본 연구는 사실 상당히 조심스러웠다. 마치 바다와 육지를 나누고 있는 애매한 경계인 백사장을 가리켜 ‘육지이다’ 혹은 ‘바다이다’라고 규정짓는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며 또 하나는 그 백사장이 분명 ‘육지’라고 믿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것이 아니라고 말함으로 인해 발생 활 수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바라기는 이 분야에 대한 보다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연구들이 신학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그럼으로 인해 성서가 다시 본연의 가능과 가치관으로 회복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자기조립을 이용한 금속-유기 복합 골격체의 합성

        최정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part Ⅰ, the hexanuclear manganese metallamacrocycle [Mn_(6)(Haahz)_(6)(dmso)_(6)] was prepared in dimethylsulfoxide (dmso) using a new pentadentate ligand, N-acetylaminobenzhydrazide (H4aahz), and a manganese ion as primary building blocks. Under identical conditions but in the presence of 1,2-bis(4-pyridyl)ethane (bpea) as an exo-bidentate linker in dimethylformamide (dmf), the 2-D layered metal-organic framework (MOF) [Mn_(6)(Haahz)_(6)(bpea)₂(dmf)₂]_(n) was obtained, where the hexanuclear manganese metallamacrocycle served as a supramolecular building block. The network topology of [Mn_(6)(Haahz)_(6)(bpea)₂(dmf)₂]_(n), a 3-connected 4.8² topology, i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OFs obtained from a similar pentadentate ligand, N-acylsalicylhydrazide, although the same hexanuclear manganese metallamacrocycles have been used as supramolecular building blocks and the bpea has been used as the same linker ligand. Although the layers of [Mn_(6)(Haahz)_(6)(bpea)₂(dmf)₂]_(n) are stagger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network has quite a large solvent cavity between the layers because of the corrugated nature of the layer. In part II, the microporous 3D MOF [Mn₃(2,7-ndc)₃(dmf)₂]_(n) based on a trinuclear manganese cluster unit as a secondary building unit was prepared. I synthesized a new porous 3D MOF using 2,7-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H₂2,7-ndc), as a rigid and bent ditopic ligand and a manganese ion as a metal source. The trinuclear manganese unit is connected to adjacent trinuclear units by two bridging μ₂-carboxylates, which lead to an infinite 1D columnar structure. The 1D columns is further connected to four adjacent 1D columns to form the microporous 3D MOF through the naphthalene moiety of 2,7-ndc. When the ligated solvent molecule at the metal center is removed, the metal site with reduced coordination number could be generated exposed metal site. This metal site can serve as a potential exposed metal site for gas sorption and catalysis. Part Ⅰ에서는, 새로운 5 배위 리간드인 N-acetylaminobenzhydrazide (H4aahz)와 일차 조립 단위체인 망간 이온을 이용하여 dimethylsulfoxide (dmso) 용매에서 육핵 망간 거대고리착물 [Mn_(6)(Haahz)_(6)(dmso)_(6)]을 만들었다. 유사한 반응 조건이지만 dimethylformamide (dmf) 용매에서 그리고 exo-bidentate 연결 리간드인 1,2-bis(4-pyridyl)ethane (bpea)가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육핵 망간 거대고리착물이 초분자 조립단위체로 작용하는 2차원 판상 망상 구조물이 얻어졌다. 3-connected 4.8² 위상을 가진 2차원 판상의 이 망상 구조체는 비슷한 리간드인 N-acylsalicylhydrazide로부터 얻어지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위상과는 완전히 다르다. 비록 같은 구조의 육핵 망간 거대고리착물을 초분자 조립단위체로 이용하며 연결 리간드로 같은 bpea 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얻어지는 두 금속-유기 골격체의 위상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 구조체에서 2차원의 판상구조는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열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판상구조가 울퉁불퉁하게 비틀려 있어서 판 사이에 상당히 커다란 동공을 가지고 있다. Part Ⅱ에서는, 단단하고 굽은 형태의 리간드인 2,7-naphthalene dicarboxylic acid(H₂2,7-ndc)와 망간을 이용하여 삼핵 망간 클러스터 단위체를 이차조립단위체로 하는 다공성 3차원 금속-유기 구조체 [Mn₃(2,7-ndc)₃(dmf)₂]_(n)를 만들었다. 삼핵 망간 클러스터 단위체는 인접한 삼핵 망간 클러스터 단위체에 두 개의 μ₂-카르복실레이트에 의해서 연결되어 무한의 1차원 기둥구조를 만든다. 이 1차원 기둥은 2,7-ndc의 naphthalene 부분에 의해서 주위의 인접한 4개의 1차원 기둥에 다시 연결되어 다공성 3차원 금속-유기 구조체를 만든다. 이 다공성 금속-유기 구조체의 금속이온에 배위된 용매분자를 제거하면 금속이온의 배위수가 줄어든 열린 금속 자리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열린 금속 자리는 기체흡착과 촉매반응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 Cloning and expression of lip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in E. coli

        최정욱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 ABSTRACT Bacillus licheniformis의 lipase gene sequence를 바탕으로 primer 한 쌍을 제작하여 PCR 을 이용하여 얻은 lipase gene을 Escherichia coli에 cloning하여 발현시켰다. B. licheniformis로부터 secretion signal sequence를 제외한 lipase gene을 pGEM-T Easy에 삽입하여 pGnll이라 명명한 재조합 plasmid를 제작하였다. pGnll에 삽입된 lipase gene을 BamHI과 Pst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pRSET B에 삽입하였으며 이를 pRnll이라 명명하였다. pRnll 재조합 vector가 transformation된 E. coli BL21(DE3)pLysS로부터 얻은 lipase는 soluble form보다는 insoluble form으로 expression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Cell로부터 lipase를 정제하여 활성도를 시험한 결과 반응온도가 30℃일 때 가장 활성도가 높았으나 30℃보다 온도가 높아지면 활성도가 급격하게 낮아졌다. pNPB, pNPC, pNPL, pNPP를 각각 substrate로 하여 실험하여 substrate로는 pNPC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활성도가 높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pH 7-8 범위 안에 있을 때 특히 활성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