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뇌중풍 Cohort에서의 NINJ2유전자 조절부위의 유전적 변이와 뇌중풍과 연관성

        조해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 뇌중풍은 뇌허혈 또는 출혈로 인하여 발생하는 국소 또는 전반적인 뇌기능의 소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편마비, 언어장애, 의식장애 등의 후유증이 나타난다. 가족력, 쌍둥이 연구 등에 의하면 여러 유전자들이 복합적으로 뇌중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나, 아직 정확한 유전인자 및 유전적 변이와의 연관성이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방병원에서 뇌중풍으로 진단된 환자군을 대상으로 최근 뇌중풍에 연관성이 아주 높은 유전자로 보고된 NINJ2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2개 부위를 한국인 뇌중풍 환자에서 재확인한 후, 이 유전적 변이와 뇌중풍과의 연관성 및 한국인에서의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실험 : 타겟으로하는 2개의 SNP (rs11833579, rs12425791)는 NINJ2 유전자의 조절부위 및 인접한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이다. 환자의 혈액에서 추출한 DNA를 이용하여 TaqMan genotyping의 방법으로 각 개인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유전자형을 진단별로 출혈성과 허혈성으로 분류된 집단 및 TOAST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 분류로 세분화한 집단과의 연관성 분석하였다. 결과 : 우선 본 연구에서 한국인 정상인 및 뇌중풍 환자들에서는 NINJ2 유전자의 rs11833579와 rs12425791의 경우, 낮은 빈도로 나타나는 minor allele인 rs11833579 (G/A)에서 A와 rs12425791 (G/A)에서 A의 빈도가 각각 0.343 (34.3%), 0.270 (27.0%)로 나타났다. 이러한 빈도는 최근 대규모 백인과 흑인에서의 연구결과에서 발표된 빈도인 0.23, 0.1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한편, NINJ2 유전자의 rs11833579와 rs12425791에서의 유전적 변이와 뇌중풍과의 연관성 분석결과, 뇌중풍 환자군과 정상군에서 두 개의 SNP와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p > 0.05). 그러나, 두 개의 SNP간의 유전될 때의 근접성을 나타내는 연관불일치 (Linkage disequilibrium, LD) 분석결과, 두 개의 SNP는 매우 가깝게 위치하여 개별적으로 무작위로 유전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유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가적인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허혈성 환자를 TOAST 분류에 의하여 큰 동맥 죽상경화 (LAA), 심장-대동맥 색전 (CE), 작은 동맥 폐쇄 (SVO)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나,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p > 0.05), 뇌중풍 환자 및 허혈성 환자 중에서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도 역시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p > 0.05). 결론 : 본 연구결과에서는 한국인 정상인 및 뇌중풍 환자에서 NINJ2 유전자의 rs11833579와 rs12425791의 유전자형 변이 빈도가 최근 보고된 백인과 흑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연관성 분석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혹은 아시아 인종이 유전적으로 다른 요인에 의해 뇌중풍의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두 개의 SNP간에 유전적으로 연관불일치를 보여주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 뇌중풍, TOAST 분류, NINJ2, 단일염기다형성 (SNP), LD Objective : Stroke is affected by genetic factors as well as other diseases including hypertension and arteriosclerosis. Although, the distinctive association with genetic variations is not discovered, SNP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of rs11833579, rs12425791 near NINJ2 gene have recently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stroke. This study examined the replication study of these two SNPs in Korean stroke patients to investigate its association. Methods : In this study, 674 strok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rom the oriental medicine and 267 normal controls. According to the diagnosis and TOAST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auses and symptoms of stroke, 674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hemorrhagic, ischemic and subgroups from ischemic by TOAST classification. TaqMan method was analyzed for genotyping using genomic DNAs which were extracted from patients and controls. Results : The genotype analysis of rs11833579 and rs12425791 SNPs in Korean population and stroke patients showed about 1.5 folds of high minor allele frequency (MAF) compared to public data. However, in association study, stroke, hemorrhagic and ischemic showed no association with rs11833579 and rs12425791 SNPs when compared with controls. However, rs11833579 and rs12425791 showed linkage disequilibrium (LD), which were confirmed by the general pattern of A allele of rs12425791 following A allele of rs11833579 in most samples. In additional analysis, subgroups of large artery atherosclerosis (LAA), cardioembolism (CE), and small vessel occlusion (SVO) by TOAST classification also showed no association. Also,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ffect no susceptibility to stroke. Conclusion : The MAFs of rs11833579 and rs12425791 in Korean and stroke patients were higher than White and Black populations. In addition, LD was found between rs11833579 and rs12425791, indicating that they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genetic recombination.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these SNPs and stroke in Korean population. This replication study was first investigation of rs11833579 and rs12425791 in Korean stroke patients, suggesting that further studies of systematic analysis for genetic variation in NINJ2 gene or using large sample number are needed.

      • 종분포모형 도입을 통한 멸종위기 맹금류의 서식지 분석 및 관리방안 : 참매, 수리부엉이, 올빼미를 중심으로

        조해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eservation plan for endangered raptorial, which have highly ecological preservation value, based on its habit analysis and prediction.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First, I identified 21 endangered raptorial species’ distribution condi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ⅰ)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ⅱ)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ⅲ) Korean National Research Information System(NARIS) data and I researched habitat’s decision factors with delphi survey. Second, I analyzed 3 emphasized research subject species (Goshawk, Eagleowl, Tawnyowl) habitat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es that has its own typical behaviors of selecting its breeding sites. Third, I performed by selecting variables and predicting the potential breeding site by using MaxEnt modeling based on analyzed results. In conclusion, I drew an emphasized research subject specie’s Preservation zone, Conservation plan, and etc.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1) Based on endangered raptorial species’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species that breed and possibly breed in the Korean Peninsula,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habitat selection and forests, except for the species that depend on water systems. Wintering site selection was highly correlated among large farmland, grassland, and coast mud flat areas. An abundance of food resource seems to have an impact on habitat selection for wintering raptorial since the areas are relatively close to the largest habitat for migratory birds in the Korean Peninsula. Findings on delphi survey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breeding site selection are breeding site environment(4.9±0.3) and prey species’ inhabitation density(4.8±0.4), whereas important obstruction factor was breeding site damage(4.9±0.3). The maximum value of the 5.0 2) Goshawk habitat was influenced by the area and distance of coniferous forests and mixed stand forest, based on the analyzation of the emphases research subject’s habitat. Using the MaxEnt modeling, prediction of breeding site was frequent in the Central Region’s forest zone except for the alpines, whereas wintering site was frequent in the southwest seashore’s reclaimed land and near the interior water system. For instance, eagleowls use cutting and cliff areas for breeding. Analyzing habitat elements within the Home range using breeding site surroundings and wild animal tracking device (WT-100); important factors were whether or not the region area had an amnesty cutting area or a cliff area that can be used as a foraging area such as; farmland, grassland, bare soil, and etc. Analyzing potential habitat using MaxEnt modeling, it shows that the prediction area has a national distribution except for alpine zones, especially high prediction ratio for habitat possibility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area. Another example, Tawnyowl prefers old big broadleaf tree such as zelkova trees, breeding environment relates to whether or not big old tree or breeding tree hole exists. It breeds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inside village, forest edge, inside forest, and etc.; and prefers large area of grassland and farmland. There was a low correlation as a result of MaxEnt modeling, this is due to the Tawnyowl’s various breeding habitat environment and the model could not reflect the Tawnyowl’s habitat characteristic into a parametric space. 3) Endangered species raptorial’s breeding preservation zone should be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Core zone for goshawk, eagleowl, and Tawnyowl should be 300m, 50-100m, and 50-100m; respectively. Buffer zones should be set a range (radius 0.5-1km) considering each specie’s home range that can determine its main foraging area. Wintering site does not have a certain scope of influence, therefore a specie’s protection area should be expanded due to the variability of food source and climate.

      • 결합과 해체를 통한 트로피형상 식기디자인 연구

        조해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quality of life of modern people is getting better, residential space and food culture have diversified, and the standard of tableware selection is changing. The tableware has also served to meet our aesthetic needs and provide a positive experience in our lives, beyond the practical purpose of simply putting food on the tableware. For example, When you see a day, you have more time to keep the tableware rather than to use it. Therefore, this researcher tried to maximize the aesthetic elements when storing the tableware and to design it to serve as an interior decoration. So, it surveyed the tableware design applying the principle of combination and disassembly and studied potential for expansion while examining the cases of tableware design applying the principle of combination and disassembly. Especially, it was intended to develop the design by focusing on a vertical combination method which is convenient for movement and stor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et the aesthetic desires of modern people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tableware in various way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vertical combination method. This researcher focused on the design of shaping the tableware as a trophy by combining it vertically. It found a design meaning in that there is a beautiful formativeness that the curve and the straight line of a trophy, it provides positive elements such as victory and glory in people's lives, and is not simple consumer goods, but can be symbolically appreciated. In this paper, six worked were produced by applying the combination and disassembly, and casting methods that can mass-produce were used. The significant points and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emphasized the practical function, the basics of the tableware. It tried to expand the aesthetic elements by the principle of combination and disassembly, but it was careful not to lose the original functionality of the tableware. Second, it studied the method of combination and disassembly in consideration of artistry and ornamentality. Third, it expanded the pleasure of using and storing the tableware by designing it for users to randomly do the vertical combination. Fourth,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time required to separate the substrate from the mold in order to adjust the shape and diameter of the tableware and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its shape at the time of production. This researcher designed the tableware to meet the aesthetic elements of the modern people, without leaving the essence of the tableware as a container, by using the principle of combination and disassembly. It tried to develop modern ceramics tableware by studying the sign which satisfies the artistry of trophy shape and the practicality of the tableware at the same time. 현대인들의 삶의 질이 점차 높아지면서 주거공간과 식문화가 다양해졌고 식기 선택 기준 또한 변화하고 있다. 식기는 단순히 음식을 담는 실용적 목적을 넘어 우리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생활에 긍정적인 요소를 가져다주는 역할도 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하루를 보았을 때 식기를 사용하는 시간 보다 오히려 보관하고 있는 시간이 더 길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식기 보관 시에 미적 요소를 극대화하고 인테리어 장식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디자인 하고자 하였다. 이에 결합과 해체의 원리를 적용한 식기디자인에 관해 조사하였고 그 원리의 확장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특히 이동과 보관에 편리하도록 수직적 결합방식에 중점을 두어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수직적 결합방식의 응용을 통해 식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현대인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식기들을 수직적으로 결합하여 트로피모양으로 형상화하는 것에 디자인적 초점을 두었다. 트로피의 곡선과 직선이 균형을 이루는 아름다운 조형성, 사람들의 생활에 승리와 영광과 같은 긍정적인 요소를 제공한다는 점, 그리고 단순한 소비재가 아닌 상징성으로 감상된다는 점 등에 디자인적 의미를 찾았다. 본 논문에서는 결합과 해체를 응용하여 총 6개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였다. 제작과정을 통해 유의한 점들과 얻은 결론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기의 기본인 실용적 기능을 중요시하였다. 결합과 해체의 원리로 미적요소의 확장을 시도하였지만 식기 본연의 기능성을 잃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둘째, 예술성과 장식성을 고려하여 결합과 해체의 방법을 연구하였다. 셋째, 사용자가 임의로 수직적 결합을 할 수 있게 디자인함으로써 식기의 사용과 보관 시의 즐거움을 확장하였다. 넷째,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작 시에는 식기의 굽 형태와 직경을 맞추고 형태의 변형을 최소화하고자 몰드에서 소지를 분리하는 시간에 유의하였다. 본 연구자는 결합과 해체의 원리를 이용하여 식기가 용기라는 본질을 벗어나지 않되 현대인의 미적요소 또한 충족하도록 디자인하였다. 트로피형상의 예술성과 식기의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현대 도자식기 개발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 스쿼트시 무릎 정렬 상태와 무릎 위치에 따른 하지와 체간 근활성도 비교

        조해진 대구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comparison of the trunk and lower limb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knee position and alignment during the squat. Total 30 subjects (male 9, female 21)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genu varum (N=10), genu valgum (N=10), control (N=10). Each group performed 2 variations of parallel squats. Either the knees were permitted to move anteriorly past the toes (unrestricted) or a wooden barrier prevented the knees from moving anteriorly past the toes (restricted). Results indicate that in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knee alignment, genu valgum group showed more muscle activity while undergoing unrestricted squat at EO (external oblique), TFL (tensor fascia lata), AM (adductor magnus), VL (vastus lateralis), RF (rectus femoris) than the control group. Genu varum group showed more muscle activity while undergoing unrestricted squat at AM, VL, TA (tibialis anterior) than the control group. While undergoing restricted squat, genu valgum group showed more muscle activity of RA (rectus abdominis) than genu varum group. And genu valgum group showed more muscle activity of RA, IO (internal oblique), EO, TFL, AM, VL, RF, TA than control group. Genu varum group showed more muscle activity of AM, VL, TFL tha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people with valgus and varus knee need a rehabilitation program to selectively the trunk and lower limb muscles. And also, a squat rehabilit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knee will be needed.

      • 자녀 비동거 노인과 자녀 사이 도움교환유형과 자기건강인식에서 우울의 조절효과 : 노인독거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비교분석

        조해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이 단순 부양의 대상이 아닌 자녀와 도움을 교환하는 대상으로 변화하는 사회적 변화 현상을 반영하여 노인과 자녀 사이의 상호간 정서, 도구, 신체, 경제적 영역에서 도움교환이 어떤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도움교환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도출된 도움교환유형과 자기건강인식, 우울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노인-자녀 도움교환유형에 따른 건강완화방안을 모색하고 돌봄체계로의 진입을 지연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녀 비동거 가구가 늘어나는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노인독거가구와 노인부부가구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각 가구특성별로 더욱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노인독거가구와 노인부부가구 중 비동거 자녀는 있으나 동거자녀는 없다고 응답한 7,88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사회교환이론, 형평성이론을 근거로 노인가구 형태별 정서, 도구, 신체, 경제적 영역에서의 노인-자녀 사이 도움교환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도움교환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ANOVA)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각 집단의 예측요인을 확인하였으며, 노인-자녀 사이 도움교환유형이 자기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우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녀 비동거 노인의 가구특성별 노인과 자녀 사이 도움교환유형, 우울, 자기건강인식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자녀 사이 도움교환유형은 노인독거가구는 ‘도구·경제교환형(3.8%)’, ‘상호교환형(17.6%)’, ‘일방적수혜형(21.2%)’, ‘정서·경제교환형(27.7%)’. ‘경제교환형(29.8%)’의 총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노인부부가구는, ‘정서·도구·경제교환형(5.7%)’, ‘정서·경제교환/신체수혜형(9.3%)’, ‘일방적수혜형(10.0%)’, ‘상호교환형(12.7%)’, ‘정서·경제교환형(30.8%)’, ‘경제수혜형(31.6%)’의 총 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간 일반적 특성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노인독거가구는 거주지역을, 노인부부가구는 흡연을 제외한 모든 일반적 특성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노인가구 형태별로 도출된 도움교환유형이 자기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노인독거가구는 상호교환형에 비해 일방적수혜형이 자기건강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부부가구는 도움교환유형 중 자기건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은 노인독거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모두 우울이 높을수록 자기건강인식은 낮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두 유형 모두 우울이 자기건강인식에 대하여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독거가구는 모든 유형에서, 노인부부가구는 정서·도구·경제교환형을 제외하고 모든 유형에서 노인-자녀 도움교환유형이 자기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자녀 도움교환 유형에 따른 정책적·실천적 함의는 첫째, 노인들이 자녀들과의 다양한 교환관계에 응할 수 있는 자원의 유지·확장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며, 둘째, 남성독거가구를 위한 일상생활 역량강화를 위한 실천적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독거가구의 ‘경제교환형’을 대상으로 부모와 자녀와의 상호관계 증진을 위한 개입이 필요하며, 넷째, 노인부부가구의 ‘정서·도구·경제교환형’을 대상으로 손자녀를 돌보고 있는 노인들에 대한 우울 관리를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경제적으로 취약한 ‘경제수혜형’의 비중을 줄여나가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노인가구 유형에 따른 정책적·실천적 함의는 첫째, 고령 노인부부가구의 공적 돌봄영역에서의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며, 둘째, 노인독거가구의 ‘일방적수혜형’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증진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독거노인 대상의 상담 및 의사소통 개선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자녀 비동거 가구의 우울 예방에 특화된 서비스 확대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노인독거가구와 노인부부가구별 도출된 도움교환유형, 우울, 자기건강인식의 관계를 규명하였음에도 다음과 같은 제한점들을 가진다. 우선, 자녀 비동거 노인과 자녀의 관계는 욕구의 다양성만큼이나 상황적 다양성도 고려되어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정서·도구·신체·경제적 영역에 대한 도움여부에 따라 유형구분을 실시하였다는 한계를 갖는다. 둘째, 노인과 자녀의 도움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면적이기 때문에 상호교환의 주체인 노인과 자녀 모두의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으나. 2차 자료의 분석이라는 한계로 노인 중심의 일방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셋째, 노인과 자녀 사이의 도움의 수준과 중복에 대한 부분이 면밀하게 구분되지 못하였다. 넷째, 노인의 연령, 성별 등 노인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도움교환의 내용과 방향에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노인을 하나의 집단으로 보고 노인과 자녀사이 도움교환 유형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노인과 자녀사이 도움교환유형을 횡단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후속연구에서는 노인과 자녀사이 도움교환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추적하는 연구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ategorized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to determine what type of support exchange is made in mutual emotional, instrumental, physical, and economical areas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by reflecting the phenomenon of social change in which the elderly are changing to the target of exchanging support with their adult children, not a simple target of being supported. In suppor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rived support exchange type, self-health awareness, and depression, it attempted to seek a health alleviation plan according to the support exchange type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and fi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that could delay the entry into the care system. In particular, we wanted to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preparing more specific and effective policies for each household characteristic by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number of elderly parents living separately from their adult children is increasing and so examining elderly singles and elderly couples in priority.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2020 National Survey of Korean Elderly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as utilized, and 7,880 participants including the elderly singles and the elderly couples who answered that they had their adult children not living together were analyzed.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in emotional, instrumental, physical, and economical areas by the type of the elderly households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and Equity Theory.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derived support exchange, the predictive factors of each group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on self-health awar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separately from their adult children, depression, and self-health awarenes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five types such as ‘instrumental, economical exchange type(3.8%)’, ‘mutual exchange type (17.6%)’, ‘unilateral benefit type(21.2%)’, ‘emotional, economical exchange type(27.7%)’, and ‘economical exchange type(29.8%)’, elderly couple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six types such as ‘emotional/instrumental/economical exchange type(5.7%)’, ‘emotional, economical exchange/physical benefit type(31.6%)’, ‘unilateral benefit type(10.0%)’, ‘mutual exchange type(12.7%)’, ‘emotional, economical exchange type(30.8%)’, and ‘economical benefit type(31.6%)’,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differences in all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for elderly singles except for residential area and elderly couples except for smoking.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derived for each type of elderly household on self-health awareness showed that the self-health awareness was low in the type of unilateral benefit compared to the type of mutual exchange for elderly singles while none of the support exchange types had no effect on self-health awareness for elderly coupl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lower the self-health awareness in both elderly singles and elderly couples. In particular, depression had the relatively highest effect on self-health awareness for both types. Fourth,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had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effect that self-health awareness had, in all types for elderly singles and in all types except the emotional, instrumental, economical exchange type for elderly couples.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are 1) social support is needed for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resources that enable the elderly to respond to various exchange relationships with their adult children, 2) practical interventions are necessary for elderly-man singles to increase their capacity of daily life, 3) interventions are needed to promot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for the type of ‘economical exchange’ of elderly singles, 4)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caring their grandchildren in case of the type of ‘emotional, instrumental, economical exchange’ of elderly couples, and finally 5) a policy is necessary to reduce the proportion of economically vulnerable ‘economical benefit type’.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elderly households are 1) it is necessary to expand services in the public caring area for elderly couples, 2) multifaced supports must be provided to improve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falling within ‘unilateral benefit type’ in elderly singles,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unseling and communic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elderly singles, and 4) it is required to expand services specialized in preventing depression for the elderly not living without their adult children. Lastl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although it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depression, and self-health awareness derived for elderly singles and elderly couples. Firs of all, although situational diversity should be considered as much as diversity of need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not living together with any adult children and their adult children,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classified the types simp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was support in emotional, instrumental, physical, and economical areas. Second, it conducted the analysis from a one-sided perspective focusing on the elderly due to the limitations of secondary data analysis, although it needed to take an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since the factors affecting the exchange of support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are multifaceted. Third, the level and overlap of support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was not clearly distinguished. Fourth, despite differences in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support exchange according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uch as age, gender, etc., this study derived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by viewing the elderly as one group. Fifth, in a follow-up study, as a study analyzing cross-sectionally the type of support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research to track how the exchange of support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changes over time.

      •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조해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현재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전체인구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고령층에서 유병율이 높은 치매노인의 수 역시 증가하였으나,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에 따른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여 가족의 부양기능이 약화되여 가고 있어 치매노인의 보호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부양자가 겪는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치매에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치매노인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이를 돌보는 부양자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치매노인을 돌보는 부양자를 대상하는 연구에서도 부양에 대한 부정적 측면인 부양부담, 부양 스트레스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부양의 긍정적 측면, 즉 부양자의 안녕감, 만족감은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1차적 부양자들의 생활만족감을 살펴보고, 치매노인 관련특성과 부양자 관련 특성, 자존감,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때 사회적 지지가 어떻게 각 변수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부양의 긍정적인 측면을 고양하여 치매노인 부양가족원들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자로, 1개 병원 이상에서 치매판정을 받은 60세 이상 노인의 간호 및 수발 등을 하고 있는 1차적인 책임을 지닌 주부양자들로 하였다. 노인 부양자를 확보하는데 따르는 어려움으로 인해 치매주간·주간보호센터를 2001년 10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치매노인의 부양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01년 10월 20일부터 11월 17일까지 약 4주간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설문지는 140부를 배포하여 106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치매노인 관련 특성과 생활만족도 일상생활동작능력, 인지기능장애정도, 치매 유병기간으로 이루어진 치매노인 관련 특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19.5%로 나타났으며 세하위변수 모두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노인의 일상생활동작능력수준이 높을수록, 인지기능장애 수준이 낮을수록 부양자의 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매노인의 유병기간이 길수록 부양자의 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양자 관련 특성과 생활만족도 부양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여가참여빈도, 1일 평균 치매노인 간호시간의 하부항목으로 이루어진 부양자관련 특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28.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부양자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부양자의 건강상태와 여가참여 빈도만이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매노인 간호시간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하였다. 3. 자존감과 생활만족도 자존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27.6%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부양자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4. 대처전략과 생활만족도 대처전략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4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회피/도피대처전략과 퇴행적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생활만족의 수준은 낮아지며, 재구성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제중심 대처전략은 생활만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사회적 지지는 지지제공자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도움을 받고 있는 사회복지사, 가정봉사원, 사회복지전문요원 등이 제공하는 공식적 지지와 가족, 친척, 친구 등 평소에 가까이 지내는 사람으로부터 받는 비공식적 지지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이 10.5%로 다소 낮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공식적 지지와 비공식적 지지를 포함한 전체 사회적 지지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7%로 비교적 낮았다. 6. 각 변수들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앞에서 살펴본 각 변수들이 전체적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Backward를 사용한 Reduced Model 방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 중 비공식적 지지가 치매노인 관련 특성, 부양자의 특성, 부양자의 대처전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난 반면 부양자의 자존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사회사업적 분석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양자의 사회적 지지의 향상 및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부양자들이 치매노인을 간호하는데 있어 겪게 되는 상황에 대한 이해, 가정내 역할분담 등의 측면에서 부양자의 대처반응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부양자의 심신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여가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부양자의 치매노인의 보호 및 간호에 대한 책임을 공유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의 확충이 필요하다. Korea is currently witnessing a drastic rise in the proportion of the aged in the total population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elongates.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n Korea, in particular, has risen noticeably. However, due to nuclearization of families and a rise i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both of the couple working triggered by women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no longer is the family carrying out the care-giving function. To the demented, this poses a great challenge as they are always in need of protection from others. Most of the studies that were conducted until recently focused merely on patients with dementia albeit the fact that care-giving family members were going through a serious hardship. In addition, even those few studies that did focus on the caregivers, they fell limited to offering an overall picture related to providing cares to the demented. To elaborate, the studies ended up focusing on the negative aspect of care giving such as stress and hardship largely ignoring the positive aspect such as satisfaction and well-being. For these reasons,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scuss the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the demented. Second, uniqu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dementia and the caregivers. Third, impact of self-esteem, support strategy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Lastly,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each of the above-mentioned variables. By shedding more lights to the positive aspect of providing cares to the demented in the paper, I would like seek ways to come up with better ways to bring up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care givers of the demented par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primary caregivers residing in Seoul that provide support to their demented parents aged over 60. All of the demented surveyed were diagnosed as such at more than one hospital. Due to difficulty entailed in reaching the care providers, the scope of the survey was confined to those who paid visits to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emented as of October 2001 to provide treatments to their demented parents. The survey lasted around four weeks from October 20th to November 17th of 2001. Among the 140 survey questionnaires distributed, 106 were used as final materials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utilized various methods to compile and analyze the statistics includ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based on SPSS 10.0. The following are a summary of major outcomes of the research after verifying research goals and hypothesis. 1.Characteristics of the demented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ented ar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clud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and period of ailment. According to the surve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ented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strong with the impact of the former on the latter being 19.5%. To elaborate, the higher the level of ADL and the lower the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became. Moreover, the longer the period of ailment,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turned out to be. 2.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s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s ar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cluding,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caregivers, the frequency in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and a daily average of care-giving hour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re-givers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by the survey with the former influencing the latter by 28.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the caregivers characteristics, only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care-givers and the frequency in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were turned out to be viable with the daily average of care-giving hours being meaningless. 3. Self-Esteem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self-esteem factor was found to explain 27.6% of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on the part of the care-provider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4. Coping Strategies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Coping strategies impa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recorded a high of 44.1%. To elaborate, the more one resorts to avoidance/evasive and regressive coping strategies, the low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ile, on the other hand, the more one uses the reframing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But, as for coping strategies centered on problems, they did not have a serious statistical impa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5.Social Support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re are two types of social support-formal and informal-depending on who provides such support. Social support consisted of formal support and informal support explains life satisfaction about 10.5%. 6.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Each of the Above Variables A reduced model based on backward was used to obtain an overall impact of the above-mentioned variabl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inform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ented and the caregivers, coping strategies of the supporter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ile having nearly no impact on the level of self-esteem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care provid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followings: First, programs which increase and widespread care-givers social support are needed. Second, educational programs for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care-givers, coping reactions to be in line with family members role are needed. Third, recreation programs to keep care-giver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re needed.

      • 상수도에서 소독부산물 저감이 가능한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장치에 관한 실증연구

        조해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A low concentration (0.8%) sodium hypochlorite disinfection facility, introduced to reduce the risk of chlorine gas and improve operational convenience, has become popular with small water purification plants. However, it has not been possible to apply this facility to large-scale water purification plants because disinfection by-products exceed water quality standards or excessive investment cos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designed and manufactured high concentration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and applied it to large-scale water treatment plants. The membrane cell in the electrolytic module used for the production of high concentration of hypochlorit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igh concentration sodium hypochlorite was maintained within 25℃, the concentration could be secured up to 27 days within 10% deviation of 12%.  Analysis of disinfection by-products of hypochlorite produced in high concentration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showed that chlorate reduced by more than 50% compared to low concentration sodium hypochlorite, and also the amount of bromate significantly reduced by using rock salt.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perate the disinfection process of sodium hypochlorite safe and stable in a large water purification plant. The chlorate concentration of the produced sodium hypochlorite wa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after production. As the high concentration sodium hypochlorite was produced and stored at 18℃, the quality of the sodium chloride can be secured up to 13 days when kept at 20℃ in the storage tank. The change of residual chlorine was less than that of using liquefied chlorine and more stable to residual chlorine equaliz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high concentration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can apply to large-scale water purification plants 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as well as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sodium hypochlorite. This study will remove the risk of chlorine gas leaks that can occur due to the location of large-scale water purification plants in the city center, increase the operational convenience of water purification plant operators operating high-pressure gas, reduce the gener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 한국영화산업 발전방안 연구 : 판타지영화의 제작과 활용을 중심으로

        조해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문화산업이 핵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세계 각국은 저마다의 경쟁력 있는 장점을 무기로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각축을 벌이고 있다. 문화산업의 세계적인 추세를 인식한 한국정부도 2009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을 설립하고 문화산업 전반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 문화산업의 영역으로는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방송, 영화, 뮤지컬, 게임 뿐 만 아니라 그 외에도 여러 분야가 포함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타 장르에 비해 제작과 소비가 비교적 용이한 영화는 국가와 문화권을 막론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적인 문화산업으로 인식되어 저마다 영화를 진흥하는데 힘쓰고 있다. 영화를 가능성 있는 산업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한국영화는 질적, 양적 성장을 이루게 되는데 이른바 기획영화의 생산이 시작되어 창작자보다는 관객의 관람욕구에 맞춰 영화가 제작되었고 점차 제작비가 상승되면서 영화기술 또한 점점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서 영화산업은 점차 기업으로서의 시스템을 갖춰왔고 오늘날 거대 영화기업들의 탄생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는데 그건 바로 영화산업의 혁신적인 변모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는 영화들은 공교롭게도 모두 ‘판타지영화’라는 점이다. 이런 사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발견할 수 있는 보편적인 영화산업의 특징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면서 판타지영화가 한국영화산업에서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먼저 한국을 비롯한 세계적으로도 판타지영화는 영상기술의 발달을 견인해 왔고 영화를 대형산업으로 자리매김하는데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 한국영화산업에서 판타지영화의 제작과 활용의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 영화산업의 구조적 변화, 영화와 타문화콘텐츠와의 높은 연계 가능성 그리고 풍부한 소재 등이 판타지영화의 제작과 활용에 매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판타지영화를 활용한 한국영화산업의 발전방안을 다섯 부분으로 제시할 수 있었는데 첫째 우리에게 풍부한 고전서사를 활용한 글로벌콘텐츠 창작소재의 개발이다. 고전서사는 <반지의 제왕>에서 보여지듯 신화적 내용이 주를 이루는데 이는 우리에게도 풍부한 문화자원으로서 판타지영화의 제작에 소재를 제공함과 동시에 낮은 문화할인율로 인해 글로벌콘텐츠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는 통합시나리오 모델을 활용한 인접 문화콘텐츠 장르로의 확산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테마파크인데 스토리텔링의 부재로 인해 쇠퇴일로를 걷는 국내 테마파크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는 MMORPG 같은 게임과의 연계를 통해 부가시장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판타지영화가 가진 모험과 대전의 모습은 MMORPG의 형식과 매우 유사하다. 그리고 한국의 첨단 인터넷 환경으로 인해 세계적 수준의 MMORPG 게임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판타지영화는 게임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음과 동시에 영화산업과의 동반성장도 예상할 수 있다. 네 번째는 선도적 CT기술로 영화의 관람환경을 높여 디지털, 3D, 4D 환경에서 타 매체보다 비교우위를 차지해 영화산업의 분야 중 상영부문, 즉 극장의 차별화를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지원분야에서 연관산업, 특히 영화제작의 후반작업분야인 ‘포스트 프러덕션’ 분야의 클러스터화를 통해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경쟁력있는 산업으로 도약해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할 당위성을 밝혔다. 아울러 현재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한국영화진흥위원회로 이원화된 지원체계를 일원화해야 함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거의 부재한 영화산업과 특정 장르와의 연계를 통한 발전방안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일정부분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