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의 의료이용 영향요인

        조안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의료이용 및 미충족의료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비장애인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해보자 한다.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3개년도의 건강 설문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장애인 129명, 비교집단으로 비장애인 1975명을 대상으로 그룹 별로 분석하였다.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Andersen 모형을 참고하여 소인성요인, 가능요인, 질병요인으로 분류하고, 건강행태요인을 추가하여 적용하였다. 의료이용 및 미충족의료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은 의료이용의 경우는 의료이용여부와 의료이용량을 나누어 분석하는 two-part 모형을 이용하였다. 의료이용 양상은 외래이용, 입원이용, 약국이용의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미충족의료의 경우에는 미충족의료의 원인 분석 및 미충족의료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은 비장애인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의 유무, 스트레스 인지, 우울증상 경험과 같은 건강지표가 낮아 건강하지 않았으며 사회경제적 지위도 낮았다. 의료이용에 있어서는 활동제한이 있는 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외래이용 경험과 횟수, 약국이용 경험과 횟수의 비율이 모두 낮았으며, 입원이용 경험과 입원기간의 비율이 높았다. 의료 이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외래이용의 경우, 장애인은 우울증상 경험이 있을 경우, 건강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 이용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비장애인은 손상발생이 있을 경우, 우울증상 경험이 있을 경우 이용 확률이 높았다. 입원 이용에서는 장애인의 경우, 의료급여 대상자일수록, 손상발생이 있을 경우에 이용할 확률이 증가하였으며, 비장애인의 입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소인성요인부터 건강행태요인까지 네 가지 요인 모두 골고루 분포하였다. 약국 이용의 경우, 장애인의 경우 혼인여부와 건강검진 수진여부가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비장애인의 경우 경제활동여부, 소득수준, 손상발생여부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의료이용량의 경우는 두 집단 모두 외래, 입원, 약국이용량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영향요인은 없었으며, 범주별로 볼 때 장애인의 입원이용량에서만 가능요인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의료의 경우, 장애인의 의료 미충족률은 31.0%으로 비장애인의 의료 미충족률인 18.8%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의료의 발생 원인으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장애인은 경제적인 이유를, 비장애인은 시간적 이유를 미충족의료의 원인으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또한 미충족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두 집단이 서로 다른 양성을 보였다. 장애인의 경우 소인성 요인과 가능요인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비장애인의 경우에는 소인성 요인, 질병요인, 건강행태요인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장애인의 미충족의료의 영향요인에 가능요인(소득수준)이 작용함으로써 이는 미충족의료의 발생 원인이 되는 경제적인 이유와 연관성이 있다고 보여 진다. 결과적으로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건강상태가 많이 나쁘며, 의료이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의료 미충족률을 통해 다시 한번 건강과 보건의료 취약계층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의료 접근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학습이론에 기초한 수학교육지도방안 : 행동주의와 인지주의를 중심으로

        조안나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에 있어서 학습만큼 중요한 활동도 없을 것이다. 학습활동의 본질이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인지에 관한 연구는 학습을 견고하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연구 된 학습이론들은 우리의 학교교육에서의 학습활동을 보다 잘 형성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학습이론들과 교육의 실제 현장 사이의 다리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학습이론의 장점들을 잘 활용하여 수업을 이루어가는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가 학습이 이루어지는 토대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사람들이 배우고자 하는 것과 행한다는 것에 있어서의 변화를 돕기를 원하는 상황들에서 중요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학습이론들은 다양한 교수방법을 통하여 수업을 보다 풍요롭고 알차게 만들고 더 잘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기술들을 제공한다. 아직 많은 수업들은 제한된 이론의 배경아래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각각의 이론들에서 현재 우리가 학습활동에서 겪게 되는 혼란이나 문제들을 해결하는 기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각 이론을 토대로 수학과 지도모형을 제시하여 실제로 접할 수 있는 수업에서 이 이론이 어떻게 수업에 적용되어 지도할 수 있나 알아보고자 한다. 각각의 이론들은 서로 대립되는 면도 있지만 우리는 그들의 장점들을 조화롭게 맞추어 실제 교육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학습 방안들을 모색하려한다. There would be nothing more important thing than leaning in education. Researches about efficiency or essence, studies about cognition is about to search methods which can make learning firmer and with which we can learn efficiently. The former learning theories make a foundation in order to form learning activities in our school education better. In this point of view we need connection between the learning theories and the real. For this reason, I will suggest some methods which we can apply to the real educating efficiently. To think what is a foundation in learning for us has close relationship with what people want to learn and the situation which people want to change. The learning thoeries make lessons more productive and offer skills to make learning more facile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Still, many lessons have been done under some limited theories. Hence, in this study, I will survey the theories mainly about behaviorism and cognitivism and willing to make a foundation which can solve many problems or confusion that we can go through in learning activities. Moreover, in the basis of each theory, I will offer a teaching plan in mathmatics and look into how these theories can apply to real lessons. Although each theory has opposit view, I am willing to solve many problems we face in real class through matching their good points reconciliationally and search efficient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기본심리욕구와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안나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dolescents' fandom cultur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ir lives, which is known as the culture of adolescent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set fandom activities, basic psychological needs, sense of commun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as its variables, measuring fandom activities in terms of frequency and satisfaction. It also examined whethe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nse of community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and satisfaction of fandom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fandom activ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eigh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After the exclusion of questionnaires of students that said they "engaged in no fandom activities at all" and, at the same time, "had no favorite popular stars" in the fandom activities items, total 59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For analysis, the investigator checked correlations among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and satisfaction with fandom, basic psychological needs, sense of commun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tested a research model with a structural equation and also mediating effects with bootstrapping.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fandom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re were, however, no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fandom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Secondly, the frequency of fandom activiti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school life with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But satisfaction of fandom activities only direct effect on their school life. That is, their increasing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improved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thu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Sense of community, however, had no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fandom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findings confirm that adolescents' satisfaction with fandom activities had direct effects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also positive effects with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t suggests that fandom activities offer adolescents chances to relieve their stress including the expression of desire, outburst of energy, and escape from daily life, thus having positive impacts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assisting them in their school life. Secondly, the higher frequency of their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promoted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natural group formation and participa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fandom activities, helps adolescents form a social relation naturally and that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allows them to have various social experiences including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us promote their sense of community. The present study has it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f adolescent-led fandom culture and proposed a need for a balanced viewpoint of their fandom culture. It also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and satisfaction with fandom activities had different impacts and suggested that fandom activities could hold significance as adolescent activities. Secondly, the study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fandom activities met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creased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accordingly proposed a couple of intervention plans for the supports needed to help their fandom activities claim their value as adolescent activities. Follow-up study needs to take the followings into consideration: first, there is a need to divide further the mediating variables of the present stud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nse of community, and its dependent variable, adjustment to school life since fandom activities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entire variables but different effects on individual factors. Researchers will be able to figure out the impacts of fandom activities in more details by investigating influential relations among the subvariable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including adjustment to teachers, adjustment to lessons, and adjustment to peers. Secondly,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restricted to adolescents attending a middle or high school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which means that there are limitations with the generalization of its findings to the entire adolescents. Follow-up study needs to reduce errors related to sample limitations through various sampling methods. The scope of subjects should thus be expanded to adolescents across all the regions of the nation in addition to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with the age and gender ratio set at the same level. 본 연구는 청소년문화라고 알려져 있는 청소년의 팬덤문화를 이해하고, 팬덤문화가 청소년의 삶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팬덤활동과 기본심리욕구,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을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이때 팬덤활동은 팬덤활동빈도와 팬덤활동만족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팬덤활동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첫째, 팬덤활동빈도와 팬덤활동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팬덤활동빈도와 팬덤활동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8개 중ㆍ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에는 팬덤활동을 묻는 문항에서 팬덤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로 응답하는 동시에 좋아하는 대중스타가 ‘없다’로 응답한 경우를 제외하여 총 592명의 자료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팬덤활동빈도, 팬덤활동만족도, 기본심리욕구,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뒤, 구조방정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의 팬덤활동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팬덤활동빈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팬덤활동빈도는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팬덤활동에 참여가 증가할수록 공동체의식이 향상되면서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팬덤활동의 만족도는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팬덤활동만족이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팬덤활동의 만족이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를 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통해 팬덤활동이 청소년에게 욕구표현, 에너지 분출, 일상생활에서의 탈출감 등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학교생활을 돕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팬덤활동의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의 향상을 돕고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팬덤활동 만족은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팬덤활동의 특성으로 꼽히는 집단의 형성과 참여가 청소년으로 하여금 사회적 관계형성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북돋는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팬덤활동의 참여가 사회참여 활동 등 다양한 사회 경험을 가능케 하여 공동체 의식을 향상을 돕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청소년이 주도하는 팬덤문화가 가지는 긍정적 영향을 밝혀, 청소년의 팬덤문화에 대해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팬덤활동의 참여빈도와 팬덤활동 만족도가 다른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 팬덤활동이 청소년활동으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밝혔다. 둘째, 청소년의 팬덤활동의 참여와 만족도는 참여하는 청소년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하고 공동체의식을 높일 수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청소년팬덤활동이 청소년활동으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매개변인인 기본심리욕구와 공동체의식 그리고 종속변인인 학교생활적응에 세부변인을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팬덤활동이 전체 변인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세부요인에 따라서는 영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학교생활적응의 세부변인인 교사적응, 수업적응, 또래적응 등과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팬덤활동의 영향들을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 소재 중ㆍ고등학교 청소년을 그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전체 청소년에게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표본의 한계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다양한 표집방법으로 줄일 필요가 있다. 이에 서울과 수도권지역뿐만이 아니라 전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연령과 성별 비율을 같은 수준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 청소년의 성(性) 상담자로 살아가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화자원상담자를 중심으로

        조안나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into what experiences telephone counseling volunteers pass through while working as long-serving counselors at sexual counseling organizations, and what kind of development process they experience. The main research problem is about what experience sexual counselors for adolescents have while working, and what kind of meaning that experience gives to the counselors. To complete this research, a method based on analytical phenomenology of van Manen is applied to the research. Research participants are composed of 6 seasoned volunteer counselors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7 years at a Youth Center for Sex Education in Seoul. From Oct. 26th, 2015 to Jan. 28th, 2016,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have been conducted for more than two times per person. The research has been progressed with four research steps being completed as follows: selec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pre-interviews and data analysis, data colle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data analysis & paperwork. In addition, daily records and photo materials of research participants are included to the subject of analysis. The research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sexual counseling volunteers for adolescents, 4 pieces of themes and 12 pieces of sub-themes are derived. It is proved that sexual counseling volunteers for adolescents are experiencing 4 fundamental themes, ‘staying alive in the world of unfamiliarity and discomfort’, ‘resting on a firm basis by getting together’, ‘escaping from a stereotyped frame of thinking’, ‘ making a living as a volunteer expert.’ These four themes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sub-themes respectively, ‘sex issues that look like movie stories’, ‘walking on the border line between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counseling’, ‘escaping me from a rigid conceptual box’, ‘a road too tough for one to walk on alone’, ‘a faceless assistant’, ‘accompanying adolescents as a supporter’, ‘a slight difference between normality and ideal state’, ‘becoming more strengthened by shedding my skin’, ‘a broader place for mutual communication’, ‘having a mind of a long-serving volunteer’, ‘the work of a sexual counseling volunteer becomes a part of my life’, ‘ leading a life of accompanied growth while enjoying learning.’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press with counselors own terminology the general and intrinsic structure of experiential phenomenon that they have been confronted with as a sexual counseling volunteers for adolescents. The core themes that are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implying the meaning of identity development within relational experiences, which resulted from the process of change in sexual counselors’ perception and attitude to sexualit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actual lives of sexual counseling volunteers for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 성상담기관에서 성전화자원상담자로서 장기근무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며, 어떠한 발달과정을 경험했는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문제는 ‘청소년 성전화자원상담자로 근무하며 무엇을 경험하였고, 그러한 경험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였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6명으로 서울시 소재 청소년성문화센터에서 7년 이상 근무해 온 장기자원상담자들로 선정하였고, 2015년 10월 26일부터 2016년 1월 28일까지 각 참여자와 2회 이상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선정 및 예비 면담을 통한 자료 분석, 인터뷰에 의한 자료 수집, 자료 분석과 글쓰기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참여자의 일지 및 사진도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 성전화자원상담자 경험에 관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12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청소년 성전화자원상담자가 경험하는 본질적 주제는 ‘낯설고 불편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함께함으로 공고해짐’, ‘옥죄었던 틀을 벗고 자유함으로’, ‘봉사하는 전문가로 살아가기’ 로 드러났다. 이러한 대주제는 각각 3개의 소주제로 세분화되었는데, ‘영화 속 이야기만 같은 성’, ‘성희롱과 성상담의 경계에서’, ‘경직된 나 깨우기’, ‘혼자가기엔 버거운 길’, ‘얼굴 없는 조력자’, ‘버팀목이 되어 동행하기’, ‘정상과 이상은 종이 한 장 차이’, ‘나를 벗고 강인해 진 나’, ‘넓어진 소통의 장’, ‘장기 봉사자의 마음’, ‘내 삶의 일부가 된 성 자원상담’, ‘배움을 즐기며 더불어 성장하는 삶’으로 모두 12개의 소주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참여자 개개인이 청소년 성전화자원상담자로서 경험하는 현상에 대한 보편적이고 고유한 본질구조를 살아있는 그들의 언어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핵심 주제들은 성상담전문가들의 sexuality와 관련된 인식과 태도의 변화과정에 따른 정체성의 발달과 관계적 경험 안에서 가지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본 연구가 청소년 성전화자원상담자들의 생활세계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제공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 아레나스 미술 감상법을 통한 대화중심 그룹지도방안 연구

        조안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21세기에는 많은 정보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미술 분야에서도 이루어졌다. 다양해진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시각이 필요해졌고, 이는 현 교육현장에서의 문제점과 많은 한계점들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이 학습자 위주의 수용자적 교육방향을 많이 지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최근의 미술동향을 살펴보면 작가와 작품의 관계보다 작품과 관람자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경향으로 변화되면서 미술 작품을 보는 감상방법에서도 수용자적 관점을 중요시하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미술 감상수업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주입식과 강의식의 미술 감상 수업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에 학생들은 미술 감상 수업이 어렵고 재미없다고 인식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다양해진 정보와 시각적 이미지들만큼이나 미술 감상법에서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차별적인 정보 수용이 아닌 자신만의 비판적 시각과 미적안목이다. 이러한 선별적인 자세로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감상을 수용할 수 있는 미술 감상수업과 학생들의 미적가치 판단 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육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에 필요한 수용자적 중심의 대화중심 감상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고 미술 감상에 있어서 다양하고 발전적인 수업방식을 모색한다. 그 방법의 하나로 대화중심의 그룹지도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대화중심 그룹지도는 심도 있는 대화를 통해 능동적인 자세로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적극적이며 수용적인 자세를 갖게 한다. 시각적 이미지를 글로 표현할 수 있으며 대화로써 수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킨다. 이러한 수업방향을 통해 학생들은 미술적 심미안을 기르고 자신의 감상을 타인에게 표현할 수 있으며, 선별적 수용의 자세를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레나스의 미술 감상법에서 제시된 대화를 중심으로 하는 미술 감상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그룹지도를 통하여 학생들 간의 자유로운 대화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력과 자신감을 회복 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된 대화중심 그룹지도 방안연구를 통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한 수업 지도 결과물의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 감상 수업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던 학생들이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미술작품에 대한 느낌을 나누며 교류하였다. 또한 대화중심의 그룹지도를 통한 미술 감상의 과정을 이해하고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미술 감상법을 제안하여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하고자 하였으며 발전 가능성에 대해 도모하였다.

      • 지류 문화재 보존처리 시 습식세척 방법에 따른 종이 물성 변화

        조안나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search, I tested physical properties of aging Hanji according to the methods(Immersion Wet Cleaning(IWC) and Spray Wet Cleaning(SWC) which are used widely in the paper conservation) through measuring folding endurance and tensile strength, IWC time and the number of cleaning.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easuring the basis weight, 1-time-for 10-minutes IWC showed the highest reduction rate, because paper fibers could not absolve enough water resulting in extending pores of fibers, so this phenomena makes Hanji thin. the similar tendency also can be founded on density. But, over 2-times-for-30-minutes IWC, the basis weight increased, because there is hysteresis resulting of shrinking of fibers by the movements of water in Hanji. This means that weight loss occurred from the loss of fibers. Second, I investigated chromaticity to measure cleaning power. With aging Hanji, I calculated the △E*ab value which represent alteration of color. The biggest △E*ab value was gained in 2-times-for-10-minutes IWC, and the lowest value was in the 1-time SWC, so I could anticipate that the more times of IWC don't mean the more cleaning power. In view of the result, I could get that the L* value which represent the brightness decreases by th too much IWC time and the number of conservation processing. Third, 2-times-for-30-minutes IWC showed the biggest value of folding endurance and 2-times-for-60-minutes IWC did the lowest value. These phenomenons are quite similar to the density, and this means that in the early parts of experience, the strength of papers increases with hysteresis, but the more loss of fiber was revealed resulting in decreasing of the strength of papers according to the more cleaning times and the number of IWC. When comparing the folding endurance in cases of Mechanical Direction(MD) and Cross Direction(CD), SWC showed similar values in each case, but IWC did not. However, comparatively, 2-times-for-10-minutes IWC showed the similar values in MD and CD cases. By measuring the change of folding endurance according to the directions, which means that there is a transition in direction physical properties, I could find that SWC which showed similar values in each situations, is more stable than IWC, because Hanji has the directional feature. Fourth, tensile strength was stable than folding endurance, 2-times-for-10-minutes showed the lowest values of it, and each case of MD and CD presented similar phenomenons difference with folding endurance. The tensile strengh decreased in MD case except SWC, and in CD case, over 2-times-for-30-minutes IWC, the tensile strenth increased rewulting of straight of fibers. Comparing the folding endurance and tensile strength in MD and CD cases, SWC shows the similar characters, so the physical properties is more stable in SWC. By measuring folding endurance and tensile strength in IWC, 2-times-for-30-minutes IWC was the most stable methods, and whiteness and color difference which represent cleaning power was the highest value. Furthe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rayon, chemical, and synthetic paper whic are reinforcement papers used in paper conservation need to be verified by the scientific experience, and the physical property change of the papers with ink, glue and paste according to the wet cleaning methods also need to be proved, because the paper properties(Hanji) are complex-material artifacts.

      • 느린학습자의 오인오독 최소화를 위한 기능성 폰트 개발

        조안나 국민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oject with PeachMarket, as a nonprofit corporation where produced contents for slow learner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functional fonts for slow learners with difficulty in visual and perceptual cognition so that they could read writing and acquire various information without misreading. The functional font was named ‘PeachMarket font’ that was developed and finally made after going through the primary test based on legibility to minimize misreading and the secondary test that focused on readability. ‘PeachMarket font’ which can help slow learners to recognize letters could be a tool to enable them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Prior to the test, the literature review and observation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ir cognitive, learning, verbal, social,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basic disposition. “Slow learners are calle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erein a person has below average borderline intelligence, not intellectual disability (Hankook Ilbo, March 4, 2021)”. They often confuse similar letters, directions; right and left, top and bottom and find it difficult to draw and trace as suggested; also, they can concentrate on for relatively shorter time than general children and are vulnerable in selective attention, which makes them easily distracted. These attributes set a limitation on the test to present 15 questions only and also, easy-to-read, familiar sentences from the textbooks for slow learners were chosen and reflected into the questions for the readability tes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fonts and how to develop them by searching and exploring actual cases of making functional fonts in South Korea and overseas. It’s quite rare to develop personalized functional fonts for minorities who are socially disadvantaged in South Korea. It’s required to find out and consider characteristics of slow learners and perform scientific, reasonable experiments to improve legibility and readability, not just to develop fonts in the same way we have done to develop general fonts. Systematic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partnership with UIT Center i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and eventually, coming up with significant quantitative findings. ‘PeachMarket font (Regular)’ in only one type was made after the primary and secondary tests for 11 month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tests,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and analyze evaluation items for functional fonts designed for slow learners: physical (eye-tracking), behavioral & scientific (misreading), and subjective & emotional (survey, in-depth interview). It turned out PeachMarket font could be characterized by functional grapheme formats which reflect numerical data-driven results and emotional grapheme formats based on conventional or familiar formats for slow learners through the primary and secondary tests. In addition, the font was design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from cognitive aspect under the theme of ‘the single letter design with no misreading’. ‘PeachMarket font (Regular)’ in only one type consisted of 2,780 letters of Hangul, 10 numbers, and 324 punctuation marks. Since the slow learners have not taken English lesson for their cognitive issues, Latin alphabet version was not made. ‘PeachMarket font’ designed in this study will be distributed to special classes at 800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PeachMarket font (Bold)’ will be further developed. It’s expected to see that ‘PeachMarket font’, which is actual functional font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country, could minimize misreading and help slow learners for their cognition and learning, and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본 연구는 느린학습자를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비영리 사단법인 피치마켓과 함께 진행하는 산학공동 프로젝트로, 시지각 인지에 문제가 있는 느린학습자가 오인오독 없이 글을 읽고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폰트를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오인오독을 최대한 줄이는 판독성을 기반으로 한 1차실험과, 가독성을 기반으로 한 2차실험을 통해 개발, 최종 완성된 기능성 폰트는 ‘피치마켓체’라고 명명하였다. 느린학습자의 글자인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치마켓체’는 그들이 세상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도구가 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실험 진행에 앞서 문헌연구와 관찰을 통해 느린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적, 언어적, 사회 및 정서적, 행동적 특성과 기본 성향을 이해하였다. 이지선(2021.03.04)에 따르면 “느린학습자는 지적장애는 아니지만 평균 지능보다는 낮은, 경계선의 지능을 가진 ‘경계성지적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이라고도 불린다(한국일보, 2021.03.04).” 비슷한 글자를 자주 혼동하거나, 상하좌우를 혼동하거나, 제시된 모양을 보고 그대로 따라 그리기 어려워한다. 일반아동과 비교하면 주의집중 시간이 비교적 짧고 강도가 약하며, 선택적 주의집중이 약하기 때문에 산만해지기 쉬운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실험 설계 시 항목은 15문항으로 제한하였고, 가독성 실험지문 또한 느린학습자의 교재에 사용하고 있는 쉽고 익숙한 문장을 채택하였다. 국내와 해외의 기능성 폰트 개발 사례를 파악하여 기능성 폰트의 특징과 폰트 개발방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경우 사회적 약자인 소수를 위한 맞춤형 기능성 폰트를 개발하는 프로젝트가 드물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폰트 개발과 동일한 방법으로 폰트를 개발하는 것이 아닌, 느린학습자만의 특성을 파악하고 고려하여 판독성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험을 진행해야 한다.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내 UIT센터와 협업하여 체계적인 실험을 진행하였고, 유의미한 정량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 2차 실험을 거쳐 11개월이라는 기간을 통해 ‘피치마켓체’ 레귤러(Regular) 한 종이 완성되었다. 1, 2차실험은 세 차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선정된 느린학습자를 위한 기능성 폰트 평가항목을 토대로 물리적(아이트래킹), 행동·과학적(오인오독), 주관·감성적(설문조사, 심층인터뷰)으로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피치마켓체는 1, 2차 실험을 통해 수치화된 데이터 중심의 결과치를 반영한 기능형 자소형태와 느린학습자 특유의 익숙한 혹은 친근한 형태에 기반한 감성형 자소형태가 공존한다는 큰 특징이 있다. 또한, 인지적 측면에서 혼동을 줄이는 폰트 디자인으로 ‘오인오독이 없는 낱자 디자인’이라는 명제를 세우고 폰트를 디자인하였다. ‘피치마켓체’ 레귤러(Regular) 1종의 구성은 한글 2,780자, 숫자 10자, 문장부호 324자가 포함된다. 인지가 어려운 영어교육은 이루어지지 않아 라틴 알파벳은 개발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피치마켓체’는 전국 800여 기관 특수학급에 보급할 예정이다. 추후 ‘피치마켓체’ 볼드(Bold)도 개발할 계획을 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개발된 진정한 의미의 기능성 폰트인 ‘피치마켓체’로 오인오독을 최소화하여 느린학습자들의 인지와 학습에 도움이 되고 교육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마을만들기 주민활동가들의 확장학습경험 : '마주넷' 사례를 중심으로

        조안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민활동가들이 마을만들기 활동을 통해 학습하고, 변화하며 성장하는 과정의 특성을 확장학습의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마을만들기, 마을공동체 현장의 주민활동가들은 다양한 배경과 중층적 관계로 얽혀있는 마을공동체 구성원들과 지속적 상호작용을 하며 일상의 많은 경험을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성장하고 있다. 또한, 주민활동가가 속한 활동체계가 주민활동가와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현장의 현상을 이해하고 탐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 마을만들기 주민활동가들의 활동 경험에 나타난 확장학습 과정의 특성 및 양상은 어떠한가? 첫째, 주민활동가들의 활동과정에 드러난 경험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그들은 어떤 변화와 성장을 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마을 활동의 전개과정을 통해 탐구된 확장학습의 특성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주민활동가들의 활동에 나타난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체계와 목표, 각 요소들의 전환적 확장이 일어났다. 마을만들기 주민활동가들이 처음 활동을 시작했을 때와는 역할, 생각, 태도 목표가 전환적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확장된 역할과 관계는 더 큰 역할수행과 관계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지역의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의 극복을 위해 공동체 상호관계를 활용하는 매듭 엮기(knot working)가 활발하게 나타났다. 서로 다른 영역의 활동가들은 경계 넘기를 통해 수평적 관계에서 필요에 따라 결합하고 분리하고 공유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협력적이고 창발적인 문제해결 과정으로 매듭 엮기가 발현되었다. 이는 활동과정에서 새로운 관계망이 형성되었고 신뢰를 바탕으로 형성된 관계망을 통해 기존 활동을 유지, 발전시키고 새로운 활동체계를 만드는 협력적 기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서로 이끌어 주며 마을 활동을 잘 할 수 있도록 서로 돕는 줄탁동시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있었다. 마을만들기 활동을 통하여 새로운 경험과 마주할 때 서로 응원하고 새로운 경험으로의 확장을 지원하는 상호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함께 학습하고 마을 활동에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하는 형태를 보였다. 필요의 충족과 성장을 위한 어미 닭의 헌신하는 마음처럼 친밀한 관계 형성을 기반으로 서로를 배려하고 있었으며 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었다.

      • 엘리엇의 ‘음악하기’를 적용한 다문화교육 교수-학습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조안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rapi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we are now facing a new era of the global world.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inflow of information and influences from different cultures of the world, we need to develop a new and broader educational paradigm. The theory of cultural pluralism in education is one of the many forms of such a new paradigm. Koreans have historically maintained a cultural homogeneity which tended to reject, rather than accept, inputs from outer cultural influences.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his attitude can result in national isolation. Thus we need to shift our ways of thinking to suit this new age of cultural relativism. With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s, foreign laborers, and North-Korean refugees, we desperately need an environment which can embrace multiplicity of cultures. Cultural pluralism in education aims to nurture in students an attitude that acknowledges pluralism in terms of ethnicity, religion, age, and gender and helps them learn to respect the value of foreign cultures. Music is an especially important tool for learning cultural pluralism. It should allow students to accept a variety of cultures and understand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The content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cultural pluralism in music education' and provide specific lesson plans based on the activistic educational theory proposed by Eliot. For this end, the basic concepts of cultural pl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examined, as well as the concept and purpo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Present study will examine activistic music educational theory of Eliot applied to real class situation, based on which some lesson plans can be devised. Cultural pluralism in education is difficult for actual application, due to lack of case-examples and field data. As globalism is becoming more and more universal, it is advisable that students today learn to acknowledge cultural pluralism, for which studies on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 methodolog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re will be more and more interactions occurring between cultures. Therefore students, who are responsible for constructing the future, should develop the ability to acknowledge and accept such pluralism in order to create a truly global and harmonious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