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 남성에서 비만과 CRP와의 관련성

        조성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만과 CRP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2006년 5월에서 2006년 12월까지 모 대학병원 종합건강진단센터에서 건강진단을 수검한 2,685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건강진단자료를 수집하였다. 2,685명 중에 CRP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급성 감염(백혈구수치≧10,000 또는 CRP≧10 mg/dL인 경우), 호흡기질환, 심혈관질환, 자가면역성질환, 암 환자, 설문지 무응답자를 제외한 1,31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CRP 증가군(CRP≧0.22, 194명(14.8 %)), CRP 정상군(CRP<0.22, 1,116명(85.2 %))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CRP증가와 관련되어 있는 요인으로는 나이,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공복혈당, 당화혈색소로 조사되었다(p<0.05).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은 CRP 증가군 빈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RP 증가군과 정상군의 생활 습관을 비교한 결과, 흡연 습관, 규칙적 운동여부, 채소 선호도, 음주여부도 CRP 증가군의 빈도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다중로짓회귀분석 결과에서 나이, 당화혈색소, 중성지방, 혈압을 보정한 후에도 체질량지수는 CRP 증가 위험도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체질량지수 25.0 kg/m2 이상군이 23.0 kg/m2 미만군에 비해 CRP 증가에 대한 위험도는 1.577배(95 % 신뢰구간 1.062-2.341)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혈압과 중성지방은 CRP 증가 위험도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성인 남성에서 비만은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배제하더라도 독립적으로 CRP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LCD 배향막의 광학이방성과 비틀린 네마틱 셀 내 액정분자분포의 타원법 연구

        조성용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LCD(Liquid Crystal Display)에서 배향막(alignment layer)은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결정짓는 주요요소이다. 배향막의 표면상태는 액정의 고정(anchoring)정도 및 분자배열과 관련하여 LCD패널의 명암비, 색조범위(color gamut), 시야각, 반응속도와 같은 주요특성들에 큰 영향을 끼친다. 러빙(rubbing)된 폴리이미드(polyimide, PI)는 배향처리가 용이하고 액정분자에 강한 고정 특성을 가져 LCD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배향막이다. 러빙된 PI 표면의 평가는 주로 AFM(Atomic Force Microscopy)과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같은 SPM(Scanning Probe Microscopy)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시료표면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SPM 방식은 측정속도가 느리다는 단점과 측정면적에 제한이 있으며 시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SPM 방식의 측정이 지니는 단점들은 LCD 패널 생산현장에 배향막의 평가가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이 된다. 이에 비해 간접적 측정방법인 광학적인 방법은 이러한 제약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나 광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러빙된 PI의 배향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러빙된 PI의 광학이방성(optical anisotropy)을 측정하여야 한다. 광학적인 측정방법으로 러빙된 PI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원인은 러빙된 PI가 0.1~0.3 nm 정도의 리타데이션(retardation) 즉 매우 작은 광학이방성을 가져 기존의 광학적 측정장비로 이를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2015년 엘립소테크놀러지에서 0.002 nm의 리타데이션 측정 분해능을 가진 개선된 반사형 타원계(ellipsometer)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러빙된 PI의 매우 작은 광학이방성을 측정하기에 충분한 정밀도를 확보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개선된 반사형 타원계를 이용하여 러빙된 PI의 광학이방성을 연구하였다. 러빙조건에 따른 러빙된 PI의 광학이방성을 살펴보았고, 나아가 러빙된 PI를 배향막으로 사용한 비틀린 네마틱(twisted nematic, TN)셀을 제작하여 TN셀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러빙된 PI 배향막의 광학이방성에 따른 TN셀 내 액정분자 배열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러빙된 PI의 광학이방성과 액정분자배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LCD패널 생산에 도입되기에 보다 적합한 러빙된 PI 배향막의 광학적 평가방법을 제시하며 배향막 위 액정분자의 고정 특성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stress distribution of internal implant-abutment connection types : 내부연결형 임플란트의 지대주 체결형태에 따른 3차원 유한요소 응력분석

        조성용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ess distribution of implant-abutment complex with the preloaded abutment screw in 4 different models between 2 different implant-abutment connection types of internal conical connection implant system under 2 kinds of simulated occlusal forces using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Single (S) contact system and double (D) contact system were the internal conical connection implant with the 11-degree interface of implant. For FEA modeling, two implants were intallated human mandible in the first and second molar region and connect FDPs using three types of implant-abutment connections (hexagonal, conical, SCRP). Four types of implant models were assumed. Single implant : single implant – single FDP (three types of abutment) Model P : the prostheses of two (mesial, distal) parallel implants (two types of abutment) Model T : the prostheses of mesial implant and distal implant with mesial tilting about 22-degree (two types of abutment) Model T-B : the prostheses of mesial implant and distal implant with mesial tilting about 22-degree with 1 mm marginal bone loss (two types of abutment) Static axial force of 200 N was applied as the sum of vectors on the top of the prosthetic occlusal surface with the preload of 30 Ncm. To simulate oblique load condition, static oblique force of 200 N with 45-degree angulation from perpendicular axis of the implant-abutment complex was applied on the mesiobuccal cusp tip of the prosthetic occlusal surface.. The von Mises stresses were measured at the implant-abutment, abutment-screw interfaces. Results 1. In single implant model, the stress distribution of both S-hexa and S-SCRP were same, but S-conical exhibited more broad and lower stress distribution. Double contact system showed the stress concentration at lower contact area, D-SCRP especially exhibited a high level of stress. 2. In multiple parallel implants model (model P), the stress distribution of both S-conical and S-SCRP showed stress distribution in which stress was concentrated in the upper contact area whereas the area of stress concentration was lower in the case of S-conical. Double contact system was showed a high stress concentration at low contact area, the stress concentration of D-SCRP showed a locally higher level of stress in the lower contact area compared to D-conical. 3. In the mesial implant of multiple tilted implants model (model T), the three abutments (S-conical, S-SCRP, D-SCRP) excluding D-con showed a pattern of stress distribution similar to those of model P with two parallel implants. D-conical stress concentration than D-conical of model P had higher with a locally high level of stress in the lower contact area. In the distal implant, all four abutm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model P with parallel implants. 4. In the mesial implant of multiple tilted implants with bone loss model (model T-B), in all four abutments, the pattern of stress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ose of model P. In the distal implant, stress distribution of all four abutments showed a pattern similar to those of model P, with only difference be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mplant to the bone due to marginal bone loss. 5. There was a high stress concentration at the inner surface of implant and the outer surface of abutment under oblique loading in comparison with axial loading. Conclusions Within limitation of this FEA, this study clinically implicated that double contact system with single and multiple ICC implants could demonstrate high stress concentration at the lower contact area. To decrease th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the type of contacting surfaces of implant-abutment connectio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nd design a occlusal table to prevent buccal oblique loading developing mechanical failure of the implant and abutment. 목적 2가지 임플란트-지대주 연결형태를 가진 내부연결형 임플란트에서 서로 다른 지대주 형태 및 임플란트 보철물의 연결 유무 (4가지 모델) 를 설정하고, 예하중을 가한 임플란트 복합체에 수직 및 경사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응력 분포를 3차원 유한요소 분석을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내부연결형태인 직경 4.5mm X 11.5mm 의 단일 (S) 접촉시스템과 이중 (D) 접촉시스템, 2가지 임플란트 시스템을 기본 형상으로 설정하고 하악 제 1, 2 대구치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3가지 지대주 (hexa, conical, SCRP)를 연결하는 경우를 연구 모델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4가지 조건을 가정하였다. 1) 단일 임플란트 모델 - 단일 임플란트 보철물 (지대주 3종) 2) 모델 P – 평행한 2개 근,원심 임플란트를 연결한 보철물 (지대주 2종) 3) 모델 T – 근심 임플란트와 22도 경사진 원심 임플란트를 연결한 보철물 (지대주 2종) 4) 모델 T-B – 근심 임플란트와 변연골이 1 mm 흡수된 상태로 22도 경사진 원심 임플란트를 연결한 보철물 (지대주 2종) 임플란트에 연결한 보철물에 30 Ncm 예하중을 가한 후, 임플란트 보철물 교합면 상부에 임플란트 장축과 평행하게 200N의 하중을 가한 경우와 대구치 협측 교두 최상부에 임플란트 장축과 45도 경사하중을 가한 경우로 분류하여, 산출된 응력 값 중 등가응력을 기준으로 각 요소(임플란트-지대주, 지대주-나사계면)에서 나타나는 응력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1. 단일 임플란트 모델에서 S-hexa 와 S-SCRP 응력 분포는 동일하였고, S-conical 은 비교적 고르고 아래 부위에 응력이 분포되었다. 이중접촉 임플란트에서는 하부 접촉부에서 높은 응력 값이 나타났으며 D-SCRP 는 D-conical 에 비해 하부 접촉부에서 더 높은 응력 값을 나타냈다. 2. 모델 P 에서 S-conical, S-SCRP 는 단일 접촉부에 응력이 집중되었고, S-conical 은 S-SCRP 에 비해 낮은 부위에 응력이 분포되었다. D-SCRP 는 D-conical 에 비해 하부 접촉부에서 높은 응력 값을 나타냈다. 3. 모델 T 의 근심 임플란트에서 D-conical 을 제외한 S-conical, S-SCRP, D-SCRP 은 모델 P 와 유사한 응력 분포를 보였고, D-conical 은 모델 P의 D-conical 보다 하부 접촉부에서 높은 응력 값을 나타냈다. 모델 T 의 원심 임플란트는 모델 P 와 유사한 응력 분포를 보였다. 4. 모델 T-B 에서는 근심, 원심 임플란트 모두에서 S-conical, S-SCRP, D-conical, D-SCRP 모두 모델 P 와 유사한 응력 분포를 보였고, 원심 임플란트의 골소실 부분에서 국소적으로 높은 응력 값을 나타냈다. 5. 수직하중에 비해 경사하중에서는 임플란트 내면과 지대주 외면의 협측에 높은 응력 집중현상이 나타났다. 결론 유한요소분석의 한계 내에서 내부연결형 임플란트의 이중 접촉 시스템은 단일 및 연결형 보철물 모두 하부 접촉부에 높은 응력 집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지대주 연결부의 접촉면 유형에 따라 적절한 지대주를 선택하고 지대주 및 임플란트의 기계적 실패를 유발할 수 있는 협측 경사하중을 방지하도록 교합을 설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영구임대아파트 외부공간의 장소만들기 실태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조성용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구임대아파트는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중요한 위치에 있다. 그러나 영구임대아파트의 유지관리 및 거주 성능 등의 물리적 환경은 평균 경과년수가 20년이 가까워진 시점에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과 차별적 장소로 간주되어 왔던 영구임대아파트의 외부공간을 ‘장소만들기’ 관점에서 검토하여, 이용실태분석 및 발전방향을 찾는데 있다. 본 연구는 인천의 대표적인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인 연수·선학영구임대아파트의 외부공간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틀은 매튜 카모나의 지각의 차원 중 ‘The Project for Public Space’에서 제시한 4가지 장소만들기 계획요소(쾌적성, 연계성, 활용성, 사회성)이다. 분석 결과, 영구임대아파트 외부공간의 장소만들기는 쾌적성과 연계성 측면에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영구임대아파트 외부공간의 장소만들기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활용성과 사회성 측면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거주자가 노약자나 장애인임을 고려하여 외부공간에 놀이터가 아닌, 텃밭 및 운동시설 등 적절한 시설이 배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민간의 사회적 활동은 주로 거주자의 집 근처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하며 커뮤니티 의식도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장소만들기 관점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획일적 설계기준을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주자의 특성을 고려해서 영구임대아파트의 경우에는 분양아파트 외부공간의 획일적인 설계를 적용할 것이 아니라,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의 특성을 반영한 이용시설이 구성되어야 한다. 단지내 외부공간을 소형화하고 거주자 주변에 분산 배치하는 것이 영구임대아파트에서 이웃간의 사회적 활동을 증대시키고 이웃간 만남의 기회를 더 많이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영구임대아파트 외부공간을 계획할 때에는 보행중심의 동선 및 시설계획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장소만들기 관점에서 영구임대아파트 외부공간의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장소성 형성, 커뮤니티 활성화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차량탑재용 전방향성 방사패턴을 갖는 HF대역 저자세 안테나 / HF band low-profile antenna with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for vehicle mounting

        조성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HF 대역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은 2MHz ~ 30MHz이며, 원양어선과의 무선통신과 군 통신용, 전리층 관측, 태양풍 관측용, 아마추어 무선(HAM) 등 많은 곳에서 사용된다. HF 대역의 통신을 위해서 주로 모노폴 안테나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지상용 통신을 위한 전방향성 방사 패턴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모노폴 안테나의 경우 4/1 파장의 길이를 갖는데 HF 대역 주파수에 파장의 길이는 10 ~ 100m이기 때문에 안테나의 길이는 6m 이상으로 매우 크다. 이와 같이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차량에 탑재시켜 사용할 경우 안정성과 기동성을 확보하지 못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차량에 안테나를 탑재시키기 위해서 휩 안테나 형태로 소형화 시켜 급전부에 코일을 삽입하여 안테나의 길이를 줄여 차량에 탑재시킨다. 하지만 여전히 모노폴 형태로 되어 있어 안테나의 길이가 1m ~ 3m 이상으로 길며 차량 운행시 이 긴 안테나를 구부려 끈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통신 거리가 감소되는 등의 많은 문제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는 이러한 긴 모노폴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차량탑재용 전방향성 방사 패턴을 갖는 HF 대역 저자세 안테나를 설계하였으며, 안테나의 높이를 5cm로 소형화 시켜 차량 지붕 위에 탑재 가능하도록 하였다. HF 대역에서 안테나를 소형화시키기 위해서 칩 인덕터를 사용하였고 공진 주파수인 20MHz에서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에어 코어 인덕터의 품질계수(Q-Factor)를 최적화 하여 안테나의 패치 아래에 통합시켜 180°위상 천이기로 사용하였다. 패치 안테나와 같은 형태이지만 전방향성 방사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3차원 전자기 시뮬레이션 툴로 설계한 HF 대역 저자세 안테나의 이득은 –8.9dBi이다. 시뮬레이션 상에서 차량 지붕 위에 탑재시킬 경우 이득은 –2.7dBi로 안테나 자체의 이득 보다 6.29dBi 증가하였으며 전방향성 방사 패턴을 유지하였다. 차량 지붕 위에 탑재된 경우에도 안테나는 지상용 통신을 위한 전방향성 방사 패턴을 보이며 차량에 안정성 및 기동성을 확보하였다. The frequency band of the HF band antenna is 2MHz to 30MHz, and it is used in many places such as radio communication with pelagic fishing boats and military communication, ionospheric observation, solar wind observation, and amateur radio (HAM). One of the main reasons for using monopole antennas for HF band communications is that they have an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for terrestrial communications. In the case of a monopole antenna, the wavelength of the HF band having a length of 4/1 wavelength is 10 to 100 m, so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very large, 6 m or more. Due to its extremely large size, stability and maneuverability are not ensured when it is mounted on a vehicle and used. For this reason, in order to mount the antenna on the vehicle, the antenna is miniaturized in the form of a whip antenna, a feeding coil is inserted,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reduced, and the antenna is mounted on the vehicle. However, it is still a monopole type, and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longer than 1 m to 3 m and it is long when the vehicle is operating. Since the antenna is bent and fixed with a string,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a reduction in communication distance. appear. In this pap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occurs with such a long monopole antenna, we designed an HF band modest antenna with an in-vehicle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and reduced the height of the antenna to 5 cm to reduce the height of the antenna to the roof of the car. I made it possible to mount it on the top. A chip inductor is used to reduce the size of the antenna in the HF band, and the quality coefficient (Q-Factor) of the air core inductor is optimized to increase the gain 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20 MHz. Integrated below and used in a 180 ° phase transitioner. It looks like a patch antenna, but shows an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and the gain of the HF band modest antenna designed by the 3D electromagnetic field simulation tool is -8.9dBi. The advantage of mounting it on the roof of the car in the simulation was -2.7dBi, which was 6.29dBi higher than the gain of the antenna itself and maintained the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Even when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the antenna showed an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for ground communications, ensuring stability and maneuverability in the veh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