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餘暇活動 類型 및 餘暇活動 參與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에 관한 硏究

        정지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재까지 이루어진 여가관련 연구의 동향을 보면, 여가의식, 특정 여가시설의 이용정도, 여가활동 모형, 여가참여 실태나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논문은 건전한 여가활동 참여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참여 정도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가활동유형과 여가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요인분석 하였다. 그 결과 여가활동유형은 근린활동, 관광활동, 스포츠·오락활동, 관람·취미활동, 기타활동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여가활동참여 영향요인은 여가시설 및 관리요인, 심리적 요인, 개인적 요인, 물리적 환경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이러한 여가활동참여 영향요인이 실제 여가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여가시설 및 관리요인, 심리적 요인, 개인적 요인, 경제적 요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 변수가 포괄적이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여가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변수에 따라 세부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re have been the leisure awareness, the utilization level of the specific leisure facilities, the model of the leisure activit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eisure participation and the leisure activities mainly studied so far concerning the research related to the leisure. This study aimed to build up the sound leisure activity and participant environment and examined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leisure activity pattern and participation depending the participating level. To fulfill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tudy analyzed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leisure activity pattern and participation. It identified that the leisure activity pattern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such as the adjacent activities to the dwelling, the tourism activities, sports the recreation activities, viewing the hobby activities and other activities and the main factors of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into the leisure facilities and the management factor, the psychology factor, individual factor,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 and the economic factor. In addition, the study realized that the leisure facilities and the management factor, individual factor and the economic factor affected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more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leisure activity pattern and participation in the exiting research have been applied to this study and it was found that the designation of the attribute was general. For the possible areas for the future research, it is suggested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leisure activity pattern and participation should be researched into the particular attributes.

      • 관현악곡 「파(破)」 작곡 및 분석

        정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관현악곡 「파(破)」의 작곡 및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은 제목의 의미를 작곡자의 주관적인 관점으로 이미지화한 곡이다. 본 분석에서는 이 작품의 형식과 중심음 및 음정, 음계, 주제선율, 화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정지은의 관현악곡 「파(破)」를 분석함으로써 주관점이 관점을 어떻게 음악적으로 표현하였는지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곡은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분은 단락 A와 단락 B와 단락 C와 단락 A'로 나누어지는데 단락 A에서 제시된 중심음 F음은 단락 B에서 G음과 E음과 F?음으로 변하고 단락 C에서 12음을 사용하고 단락 A'에서 E♭음과 G?음까지의 클러스터와 C음을 사용함으로써 중심음을 깨뜨린다. 이로써 제목의 의미를 이미지화하였다. 곡 전체적으로 단 2도, 단 3도, 장 3도, 완전 5도를 주요 음정으로 하여 이를 바탕으로 음계와 화성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부분별 분석에서는 각 단락의 하위 단락별로 중심음 및 음정, 음계, 주제선율, 화성, 리듬, 짜임새 및 관현악 편성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중심음의 변화 및 주요 음정을 중심으로 한 음계와 화성을 사용함으로써 작곡자의 주관적인 이미지를 관현악 매체로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This thesis consist of composition and analysis of "Broken" for orchestra. This work means by composer's point. This thesis deals with the form, tonal centers and interval, scale, harmony, rhythm, texture and orchestration. This thesis has been focused on how to image "Broken" for orchestra by Jung, Ji-Eun. This work consists of four sections. Sections is consist of section A, section B, section C, section A', tonal center F present at section A changed G and E and F? at section B and it broken tonal center by used it cluster from E♭ to G? and C at section C. Composer imaged with like this way. Center interval is minor 2nd, minor 3rd, major 3rd, perfect 5th. It based of scale and harmony. Rhythm changed by contrast between 4/4 beat and 3+3+2/8 beat. These a variety of elements disclose tonal center and interval, scale, harmony, rhythm, texture and orchestration. As a result, the work presents it that changed of tonal center and scale and harmony based of tonal interval.

      • 엑셀을 활용한 통계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정지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 방대한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통계 단원이 쉽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소프트웨어 중의 하나인 엑셀을 통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현재 7차 교육과정의 통계 영역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각 단계별 통계 영역 중 엑셀을 활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부분의 예시를 들었다. 그리고 엑셀을 이용하여 자료 정리·분석 능력과 통계적 추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몇 가지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자기효능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정지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사회적 자기효능감,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사립 D 대학교, K 대학교, 국립 B 대학교를 선정, 총 35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사회적 자기효능감, SNS 중독경향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7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사회적 자기효능감, SNS 중독경향성은 서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 내현적 자기애과 SNS 중독경향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SNS 중독경향성에서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착취/자기중심성, 과민/취약성, 인정욕구/거대자기환상이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상호작용 효능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는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내현적 자기애는 SNS 중독경향성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다소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대학기관 및 대학 내 학생상담센터 등에서 SNS 중독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SNS 중독경향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내현적 자기애 하위요인인 착취/자기중심성에 대해 다루고, 대인관계 훈련이나 동아리 활동, 사회적 기술훈련 등으로 도와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social self-efficacy on the sns addi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covert narcissism personality, social self-efficacy and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what effect does the sub factor of university student's covert narcissism have on sns addiction? Third, what effect does the sub factor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self-efficacy have on sns addiction? Fourth, what effect does the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ocial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have on sns addiction? Private D, K, and B universities in Busa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 total of 350 people were examined for test of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social self-efficacy, sns addiction. Finally, the data of 279 people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to conduct 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research and conclusions obtained by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social self–efficacy and sns addiction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There was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ns addiction. But, there was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elf-efficacy and sns addiction. Second, the exploitation/self-centeredness, hypersensitiveness/weakness, the desire of recognition/giant self-illusion among sub-factors of the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had a meaningful effect on sns addiction. Third, social interaction efficacy which is a sub-factor of social self-efficacy had the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on sns addiction. Fourth, although the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had the meaningful effect on sns addiction, social self-efficacy had no effect on sns addiction. Taken together the above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y verifying that the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ocial self-efficacy has the meaningful effect on sns addiction, the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has had a high impact on sns addiction, but has had little effect on the social self-efficacy. Therefore, when planning a counsel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ain about difficulties with sns addiction at the university institutions and student counseling centers in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exploitation/self-centeredness among sub-factors of the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sns addiction, and to us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aining, club activities, social skills training for help.

      • 국내 창의성 교육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한 창의성 교육 연구의 동향 및 의미 탐색

        정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Creativity has been suggested as a prime educational objective by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nd research on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since 2000s. How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and approaches creativity affects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of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by studying the method and subject of the research and analyzing its approach toward concept of creativity and its education. For such research goals, this study establishes three research problems which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ypes,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of studies on creativity education. Second, what perspective do studies on creativity education have on definition, focus, and level of creativity? Third, what perspectives do studies on creativity education approach to creativity education? This study gathered creativity researches which have been done on student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ver the past ten years through Korean academic search database and came to a final selection of 378 studies. Analysis criteria of research method, creativity, creativity education was established by precedent study and literature review on creativity. Conclusion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a has been actively undertaken during the past decade. As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and quantitative research are most used,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are shown to be less but have tendency to increase gradually. In regard of subjects of research, over half of the entire research, dealt with elementary students. In comparison, little portion is occupi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how to approach creativity was analyzed by definition, focus, and level. It shows that studies with a definition of creativity are more than without it but the former has been decreasing and the latter increasing little by little. Studies which focus on person, cognitive or emotional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And process, environment, and product follow. Regarding the level of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most was done on little-c creativity level, on the other hand, studies which identify the creativity in educational context showed little. Studies having an interest in mini-c creativity level were hardly found. Third, this study analyzes toward creativity education by three dimensions. Results shows ‘creativity education integrated with subject’ is ranked top as most implemented and ‘direct creativity education separated from subject’, which is done during extra curricular hour, is followed. ‘ Indirect support for creativity education’ including study on theory, policy, teacher, and environment as least done. Among ‘direct creativity education separated from subject’, the largest portion goes to education through particular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followed by direct teaching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n contrast,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field trip takes little. Among ‘creativity education integrated with subject’, the ranks are as follows; 1) integrative education with contents of subject and creativity 2) education which applied principles and teaching aids to promote creativity 3) particular practice which emerges creativity 4) education which used creative thinking skills. Among ‘ indirect support for creativity education’, over the half is about theory of creativity and around 20 % is research about policy and teacher. The finding shows only one for research of classroom environment and nothing for research of home environment. From abov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to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and the field of creativity education are suggested. First, the qualitative research at actual school setting need to be done more. And some efforts needed to get higher reliability, triangulation. Moreover, subjects of research should be extended beyond only elementary students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researchers should identify the perspectives of definition, focus and level to creativity. And focus of creativity definition should be undertaken not only in the aspects of cognitive but also in emotional, integral, and domain-specific aspects. On top of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ntegrated creativity should be increased and researcher should identify the concept of creativity which he(she) based on. And Conceptualization of level of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education is necessary and field research on mini-c creativity should be conducted more frequently. Third, research which intend to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s of creativity education integrated with subject. Additionally, more study should be done on other subjects not just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nd practical arts and on a creativity field trip on which students can go outside of their schools. 현재 창의성은 국가교육과정에서 교육의 주요 목표로 제시되고 있으며, 2000년대 들어 창의성 교육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창의성 교육 연구에서 연구자가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접근하는가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발달 중에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을 다루고, 창의성 교육을 할 때에는 그 접근이 일반적인 창의성과는 달라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의 연구 유형 및 연구 대상은 어떠하며,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에서 창의성의 정의, 범주 및 수준은 어떠한지, 그리고 창의성 교육을 어떠한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는지 살펴봄을 통해 현재 창의성 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현재 창의성 교육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및 보완해야 할 점들을 찾아본 뒤 이를 통해 향후 창의성 교육 연구들이 고려해야 할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들의 연구 유형 및 연구 대상은 어떠한가? 둘째,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들은 창의성의 정의, 범주 및 수준을 어떤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는가? 셋째,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들은 창의성 교육을 어떤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10년간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의성 교육 연구들을 학술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집한 뒤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39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을 선정한 뒤에 창의성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창의성 교육 연구에 대한 방법과,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분석 기준을 세웠으며, 창의성 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창의성 교육 관련 연구들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년간 창의성 교육 연구는 비교적 고른 분포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연구의 유형별로 볼 때 문헌 연구와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질적 사례 연구와 혼합 연구는 적었으나 조금씩 증가하는 동향을 보였다. 연구 대상을 살펴보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절반이 넘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었다. 둘째, 창의성을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를 창의성 개념의 정의, 범주, 수준으로 각각 분석해 본 결과, 창의성을 정의하고 있는 연구는 정의하고 있지 않은 연구보다 더 많았으나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었고, 정의를 하지 않는 연구가 조금씩 증가하고 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이 떨어지고, 창의성의 개념이 오도될 가능성이 있었다. 창의성의 범주를 무엇으로 보는가를 살펴보면 개인적 특성(인지․정의)으로 조망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과정, 환경, 범주의 통합 순이었으며 산출물로 본 연구는 가장 적었다. 창의성의 수준을 어떻게 보았는가를 살펴보면 연구들이 대부분 개인적 수준에서의 작은 창의성으로 보았지 이론적 배경에서 교육적 맥락에서의 창의성 수준에 대하여 논의하는 연구는 적었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니 창의성 수준에 관심을 기울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셋째, 창의성 교육 접근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교과 시간에 이루어지는 ‘교과와 통합된 창의성 교육’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교과와 분리된 독립적 창의성 교육’, ‘창의성 교육의 간접적 지원’ 순이었다. 하지만 교과와 창의성이 정말 잘 통합되었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고, 대부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거나 이론적 수준의 제언에 그치고 있었다. ‘교과와 통합된 창의성 교육’으로 접근한 연구들 중에는 ‘교과 내용과 창의성의 통합적 교육’과 ‘창의성을 촉진시키는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하거나 교구를 활용한 교육‘이 가장 많았고, ’특정 수업을 통해 창의성을 발현시키는 교육‘과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교육이 그 뒤를 이었다. ‘교과와 분리된 독립적 창의성 교육’ 접근의 연구들 중에는 별도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창의적 사고기법을 직접적으로 교육하는 접근이 그 뒤를 따랐으며, 별도의 체험활동을 통한 창의성 교육은 매우 적었다. ‘창의성 교육의 간접적 지원’ 관련 연구는 절반이 넘는 연구가 창의성 교육의 개념에 관한 연구였으며, 정책적인 지원과 교사 지원이 약 20%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실환경 지원과 관련된 연구는 한 편뿐이었으며 가정환경에 대한 지원과 관련된 연구는 단 한편도 없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창의성 교육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양적 연구와 문헌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창의성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실제적인 수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질적인 연구가 더욱 많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연구 대상이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되었는데 중․고등학교에서의 창의성 연구도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창의성의 개념이 다양해질수록 연구자는 창의성을 무엇으로 조망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창의성의 범주는 인지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정의적, 통합적, 영역 특수적 측면에서도 이루어져야 하며, 심리측정적 검사뿐만이 아닌 여러 창의성 관련 평가 관련 연구가 늘어나야 할 필요가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의 창의성 정의와 연구 내용에서 다루어진 창의성 범주는 일관성이 필요하다. 더하여 교육 맥락 안에서 창의성 수준에 대한 개념화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과정적․잠재적․개인적 창의성인 미니 창의성 수준에 대한 현장 연구가 더 이루어지고, 중․고등학생이나 영재 학생을 위해서는 전문적 창의성으로서의 수준 확대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창의성 교육 연구는 교과 통합과 분리를 연속선상에서 보고 현장에 실효성 있게 창의성 교육이 실행되도록 돕는 것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또한 창의성 교육 연구가 몇몇 과목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는데, 다양한 과목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으며, 더 많은 연구들이 교과와 연계되어 영역 특수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가정 및 지역 사회와 연관하여 체험할 수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에서의 연구도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그린커피 수확시기에 따른 조성과 볶음도에 의한 변화가 관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지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커피 열매의 성숙도는 커피의 품질을 식별할 수 있는 일차적 기준이다. 통상적으로 커피재배 지역에서 열매를 수확할 때 잘 익은 붉은 색깔을 보면서 일일이 손으로 따야만 완숙 커피 열매의 씨앗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직접 커피 재배를 하지 않고 소비하는 커피 수입 국가에서는 이미 가공 된 커피만을 접하기 때문에 그린커피의 품질을 가늠할 수 있는 평가기준이 사실상 애매모호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커피상식으로는 빨간색 커피체리가 가장 좋은 커피라고 하지만 단순히 열매의 색깔만으로 품질을 정의하기에는 커피가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성분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변수들이 존재 한다. 좋은 품질의 그린커피 뿐만 아니라 자체 성분들을 잘 살려주는 볶음기술, 그 외에 향미를 증가시키는 추출기술등도 그 변수들 가운데 하나이다. 실제로 수확시기가 다른 그린커피를 가지고 이화학적 성분들을 분석한 후 관능평가를 진행한 논문들이 존재하지만, 성분 간의 관련성이 커피 맛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논문들은 엄밀히 말해 그 정확성이 떨어지며 기준도 분명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다른 나라에서 적용되어진 기술을 제대로 검증하거나 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학습 및 실제 산업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이 아쉽다. 본인은 이 논문에서 커피의 성숙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식물 방어체제 물질인 카페인, 트리고넬린, 클로로겐산 및 커피의 향미를 좌우하는 주요 비휘발성 물질인 유기산, 유리당, 아미노산등을 구체적으로, 또한 총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일단 수확되어 세척한 커피는 그 볶는 과정에서 무수한 화학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통은 2-3가지 정도로 단순한 볶음도의 기준을 가지고 평가한 자료들만 있기 때문에 좀 더 많은 단계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실제 커피 볶음 기술에 접목될 수 있는 온도별 6가지 볶음단계를 설정하여 각각 미숙, 적숙, 혼합 그린커피를 구체적으로 다루어 다소 가공 면에서 부족한 면이 있는 그린커피가 소비자에게 주어지더라도 품질을 보완할 수 있는 볶음 기술을 접목시킨다면 그 커피 또한 가치 있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뿐만 아니라 볶음 정도에 따라 비율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향미 증진 요소 및 생리활성 물질들을 파악하여 수확상태가 다른 그린커피들을 위한 개별적 로스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이 논문의 집필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또한 미래를 향한 커피의 학문적 발전과 진일보된 대중들의 커피에 대한 인식 및 바른 소비와 향유를 불러일으키는데 작은 보탬이 되고자 이러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연구 분석의 방법으로는 케냐 그린 커피의 미숙, 적숙, 혼합커피의 일반 성분 및 특수 성분을 분석 한 후 각각 다른 온도를 설정해 6단계로 볶은 후에 일어나는 성분 변화를 다시 측정하였다. 이 후 커피 관련 전문 집단 및 비전문 집단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커피 성분 조성 차이에 따른 관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연구함으로서 수확시기에 따른 커피의 품질 차이를 포괄 화 하였다. 연구 결과 생산지가 같은 커피라 할지라도 커피의 수확상태는 커피의 여러 가지 화학성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또한 커피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볶음 정도에 따라서 성분들의 감소 혹은 변화하는 폭이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며 성분들의 유기적 상호 관계에 따라 자체 성분의 변화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 취향이나 기호가 작용할 수 있다는 여지를 염두에 두고 시행한 관능평가에서는 연령별로, 또한 커피를 접해 본 경험 정도에 따라 각각의 선호도를 보였는데 미숙 커피콩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평가를 했던 40-50대 연령 집단에 비해, 20대 초반 위주의 비전문 패널 들은 약하게 볶은 미숙커피의 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단, 초기 볶음 단계에서만 미숙커피의 향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으며, 두 패널 집단 모두 미숙과 혼합 커피들 보다 적숙 커피가 맛과 향의 면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ffee beverage is consumed so much in South Korea, it is surprising that chemicals of green coffee as well as roasted coffee have been so little studied. It is well known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een coffee and thus the final coffee quality are specifically determined by the degree of maturation when coffee cherries have ripen. Phytochemicals are chemical compounds that occur naturally in plants (phyto means "plant" in Greek). The phytochemicals of green coffee beans are existed as a very broad range of catalogue; mostly, three major components are known to be significant for flavor of coffee brew, which are chlorogenic acids, trigonelline and caffeine. These minor compounds are of particular interest in these days, because they are important source of coffee aroma. In addition, sensory attributes of coffee brews are also affected by other chemical constituents such as organic acids, carbohydrates, and amino acids; these are other non-volatile materials that greatly influence coffee quality. In health, this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antioxidants are useful to have certain amount; however, in the aspects of flavor, the amounts and composition of flavor precursors in green coffee can have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final roasted product, if it is not properly handled. The aim of this study was about the influence of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ffee, when it is grown in different maturity and different harvesting conditions; especially it will be focused on organic acids, carbohydrates, amino acids, trigonelline, chlorogenic acids (CGA), and caffeine that are produced from the development of green coffee beans. After comparing the green beans that are harvested in different time conditions; which are early harvesting, prevalent harvesting, and late harvesting as three groups, each will be roasted as 6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After then they are quantitatively compared the amounts of all non-volatile substances. In this thesis, the regular experiments followed by AOAC standard were conducted for the three groups of green beans and roasted beans as 6 different roasting degrees. Also non-volatile substance of coffee were evaluated from these samples including green coffee beans. Green coffee beans a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first, and then marked as following UB= Unriped beans that were harvested ealier time than usual harvesting periods for the specific plantation MB= Mostly matured beans that were harvested at the usual time of harvesting periods OB= Over-timed beans that were harvested at the late time without careful handling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amounts of organic acids, free sugar, amino acids, trigonelline, Chlorogenic acids, and caffeine in all 6 differentiated roasting conditions, as well as green coffee beans. After these experiments, sensory analysis was held to find out whether these changes affect the sensorial properties of coffee brew. The relations between sensory criteria and certa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ffees were investigated to try and ga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the factors studied. When the professional panel and amateur panel took the sensory test for this kenya sample of different harvesting and roasting conditions, various outcomes revealed. Most of the panel members chose the riped coffee samples of light roasting conditions to be positively tasting, while they chose dark roasting conditions of mixed coffee to be positively tasting. However, coffee samples from unriped cherries were not enough chosen to be used in the real commercial environment. This investig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harvesting time and conditions of the cherries when they are picked,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roasting conditions and handling that would be taken to be served.

      •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그릿과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정지은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성취목표, 학업지연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취목표가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학업지연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성취목표는 학업지연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성취목표는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학업지연 사이를 어떻게 매개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의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274명(남학생 137명, 여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성취목표, 학업지연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다중병렬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한 결과 자료는 모형에 잘 부합되었으며 완전매개모형보다는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경로를 살펴보면 미래지향시간관은 능동지연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그릿은 수동지연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수행접근목표는 수동지연을 부적으로, 수행회피목표는 수동지연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그릿이 수동지연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변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다른 변인에 비해 학업지연과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의 수가 적은 편이므로 지연행동을 막아주는 변인으로 그릿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미래지향시간관과 그릿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릿→수행회피목표→수동지연 경로에서의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그릿과 수동지연의 관계에서 수행회피목표가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릿, 수행회피목표, 지연행동의 매개 관계를 통해, 학습자의 수동지연을 낮추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열정과 인내를 가지도록 하는 것과 목표추구에 있어서 적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지연이 동기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가능하다는 관점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업지연과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목표 관련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최근 학업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기질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환경적 요인이나 동기적 요인들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학업지연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한 수동지연과 더불어 지연에 있어 개인의 조절적 특성과 관련되는 능동지연과의 비교 연구는 학업지연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그릿과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유의한 매개효과는 그릿-수행회피목표-수동지연의 경로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미루는 행동을 줄이는 데 있어서 그릿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초등학생에게 있어 장기적인 목표의 설정과 목표를 위해 열정과 끈기를 가지는 학습 태도가 중요함을 뜻한다. 특히 본 연구에 쓰인 그릿 척도는 장기적인 수행에 걸리는 기간(6개월 이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더 긴 시간 동안 해야 하는 프로젝트나 과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장기적인 목표와 관련된 것임을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도왔다. 셋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회피 기제를 낮추고, 수동지연행동을 줄이기 위해서 초등학생에게 장기적인 목표 설정과 과제 수행의 경험을 늘려줄 필요성이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초등학생들은 중학교급 이상의 학생들에 비해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에 익숙하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학업지연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적어도 한 학기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장기적인 학습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학생들 각자가 프로젝트 성공에 필요한 단기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 나타난 몸철학의 교육적 의의

        정지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메를로-퐁티는 심신이원론의 전통 철학을 반대하고 이원화되기 이전의 몸에 주목하였다. 그는 『지각의 현상학』에서 지각의 주체로서 몸을 등장시키며, 인간이 몸을 가지고 세계와 관계한다는 것을 실존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렇게 인간의 몸을 새로운 관점으로 해석한다는 점에서,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은 교육현장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철학적 단초를 제공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몸의 철학자 혹은 몸의 현상학자라고 불리는 메를로-퐁티의 저서 『지각의 현상학』에 나타난 몸철학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과 몸철학을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지각의 현상학』에 나타난 몸을 이해하고, 실존적으로 분석한 후 교육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지각의 현상학』에 나타난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의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서, 메를로-퐁티의『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1945)을 류의근(2013)이 번역한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학술논문 등의 문헌 자료를 분석하고 활용하였으며, 몸의 실존적 분석은 반 매넌(van Manen)의 실존체 개념에 근거하였다. 메를로-퐁티는 『지각의 현상학』에서 세계를 지각하는 데에 있어 몸의 원초적인 방식에 대해 주목하고 인간이 몸으로 세계와 관계하는 존재임을 밝히고 있다. 『지각의 현상학』에 나타난 몸은 세계와 감각적으로 관계 맺으면서 세계의 의미를 단번에 드러내는 현상적 몸이며, 주체와 세계에 분리되지 않은 체험된 몸이며, 객관화되기 이전의 있는 그대로의 고유한 몸이다. 이러한 몸은 세계, 시간, 공간 그리고 타자와 관계하며 실존한다. 이렇게 실존적으로 분석한 몸은 세계를 직접적으로 만나는 몸, 세계와 관계하는 몸, 시간을 용출하는 몸, 공간에 거주하는 몸, 타자와 소통하는 몸으로 교육과 관계한다. 이러한 『지각의 현상학』에 나타난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첫째, 메를로-퐁티의 몸에 대한 이해는 학습자가 몸으로 실존하며 능동적이고 개방된 존재임을 깨닫게 함으로써 학습자를 온전히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둘째,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에서 지식은 개인의 체험 속에서 지각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통적 인식론과 객관주의적 지식관을 넘어설 수 있게 한다. 셋째, 메를로-퐁티의 몸에 대한 이해는 몸을 가진 교사 자신이 학습자에게 단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존재가 아닌 학습자와 세계를 이어주는 존재임을 깨닫게 한다. 넷째,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에서 주체성을 의미하는 시간은 학습자가 고유한 삶을 실현하는 존재임을 깨닫게 하여 표준화된 전통적 시스템을 넘어설 수 있게 한다. 다섯째,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에서 몸과 체험적 관계를 맺고 있는 공간은 학습자의 실존적 삶과 관계한다는 점에서 공간의 교육적 의미와 학교 공간의 교육적 중요성을 시사한다. 여섯째,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에서 타자는 몸을 기반으로 소통하는 상호주관성을 가지므로 교육에서 타자는 서로 함께 성장 하는 교육적 주체를 의미한다.

      •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인식조사

        정지은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Ji-Eun Jeo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oon-Rim ,Suh)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environment of it's connected departments, patient safety culture in dental hospital, and medical error reporting. The acquired factors through thi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s result would provide basic data for building up patient safety culture in dental hospita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dental hygienist's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appeared normal level. And among the three sub-areas('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within department',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in dental hospital', 'medical error reporting system awareness') which related with patient safety, the most high positive awareness was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within department'.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was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in dental hospital'. In the areas of 'general patient awareness' and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within department', the under 24 age group showed more higher awareness than other age groups. And under 1 year working experience group showed more higher awareness than other working experience group. In working department, orthodontics showed lowest awareness. Subjects' age, work experience department, position, department working the entire patient safety culture to recogniz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of the work department in the entire patient safety, cultural awareness was the biggest influence , titl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that can be seen. Of those surveyed recognized patient safety culture within the department and the hospital's patient safety culture to recognize the subjective safety of patien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were different. When compared to the siz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patient safety culture within the department of those surveyed recognize the subjective patient safety that affect the largest can be seen. From this study, First, the necessity of definite formed tool for the gathering information about patient's present safety condition. Second, the necessity of following study not only about secondary hospital but also primary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tertiary health institutions too. Because there can be awareness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culture by characteristic of each medical institutions. Third, the necessity of gathering information about general present condi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from dentist, dental hygienist, dental technicians for building up more safe environment and making active discussion culture in hos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