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암환자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간호사의 인지와 수행

        정지숙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인간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 ·심리적 요소와 함께 영적인 요소가 통합되어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독특한 존재이다. 현대 간호는 전인간호를 지향하고 있으며, 영적간호는 신체적, 정신적 간호와 더불어 간호의 필수 차원이다. 암환자들은 의미의 추구, 신과의 연결을 추구, 용서 등의 다양한 영적요구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영적요구에 대해 의료인으로부터 영적간호를 제공받기를 원하지만 실제적으로 영적간호를 제공받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행 정도 및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의 1개 대학병원과 U광역시의 1개 대학병원에서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134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로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측정도구는 지기순(1995)이 암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영적간호요구 사정도구를 인지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수행 측정도구는 지기순(1995)이 암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영적간호요구 사정 도구를 수행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 20일부터 동년 11월 12일 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먼저 U 대학병원 임상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의 K대학병원과 U광역시 U대학병원의 간호부를 방문하여 연구목적 및 방법을 설명하여 자료수집의 허가를 얻었다. 이어 연구보조원이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에게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기록케 한 다음 회수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heffe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는 평균이 167.48±22.96(도구범위:42-210), 평균평점이 3.99±0.54(척도범위:1-5)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사랑과 관심에 대한 영역은 평균평점이 4.33±0.5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의지 및 인정받고 싶은 영역이 평균평점이 4.20±0.54, 종교적 영역이 평균평점이 3.75±0.77 의 순서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수행 정도는 평균이 130.53±25.02(도구범위:42-210), 평균평점이 3.11±0.60(척도범위:1-5)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사랑과 관심에 대한 영역이 평균평점이 3.50±0.5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의지 및 인정받고 싶은 영역이 평균평점이 3.30±0.60점, 종교적 영역이 평균평점이 2.53±0.80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총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행 정도의 비교에서는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가 수행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2.595, p=<.001). 대상자의 영역별 인지 정도와 수행정도의 비교에서 사랑과 관심에 대한 영역(t=12.213, p=<.001), 의지 및 인정받고 싶은 영역(t=12.595, p=<.001) 및 종교적 영역(t=15.043, p=<.001) 등 세 영역 모두 인지 정도가 수행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문항별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행 정도의 비교에서는 모든 문항에서 인지 정도가 수행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총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는 연령(F=3.291, p=.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총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는 암환자 간호경력(F=3.662, p=.014)과 직위(t=-2.274,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종교관련 특성에 따른 총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는 종교(F=10.271, p<.001), 삶에 종교의 영향 정도(F=4.884, p=.001), 신앙생활 기간(F=4.71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총 영적간호요구 수행 정도는 어느 특성(인구사회학적, 근무관련, 종교관련 특성)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 간호사의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수행 정도의 관계는 중간정도의 정 상관관계(r=.40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암환자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간호사의 인지 정도는 높았으나 수행 정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영적간호 인지 정도와 수행 정도의 관계는 중간정도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행정도는 여러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전인간호를 추구하는 현대간호에서 간호사의 암환자 영적간호 인지와 수행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고려하여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가 수행으로 까지 나타날 수 있도록 영적간호의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지숙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Purposes: In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beauty industry, the competence of manpower is needed to meet the creative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customers. The beauty industry is highly dependent on human resources such as technology and service due to its management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beauty industry workers by categorizing the character strength,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identifying the effects and pathways that affect job performance of beauty industry workers through research.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449 subjects who are engaged in the beauty field such as beauty salons, nail salons and skin care shops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 The survey using a self-questionnaire was conducted between 15 April and 10 May 2021.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 .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gender, 321 women (71.5%) responded higher than men 128(28.5%), and inters of age, 198 people (44.1%) aged 30 to 39 responded the most. In the case of marital status, 241 people (53.7%) were single,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208 people (46.3%) who were married. In the case of educational status, those who attended a collage of less t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213(47.4%), and in the case of work experience, those with 1 to 5 years or less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143(31.8%). In this case, managers (leaders)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180 people(40.1%). In the case of salary level, those with more than 2 million won anad less that 3 million won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148 people(33.0%), and for the number of days off, 4~5 days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221 people (49.2%). Also, skin care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146 people (32.5%). Second,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love and humanity, sense of justice, self-control,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score of character strength is high,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at self-efficacy,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lso increas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s on cosmetology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job performance, the six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love and humanity, sense of justice, self-control,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00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job performance under 95% confidence level. All of the sub-factors for character strength have positive values of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so it can be said that they all have a positive effect. Among the sub-factors for character strength,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 = 0.345), which have the highes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values, and the order of influence is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 sense of justice > self-control> wisdom and knowledge> love and humanity> courag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s on cosmetology worker’s job satisfaction to job performance, the six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love and humanity, sense of justice, self-control,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00 on job satisfaction under 95% confidence level. All of the sub-factors for character strength have positive values of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so it can be said that they all have a positive effect. Among the sub-factors for character strength,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 = 0.316), which have the highes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values, and the order of influence is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 sense of justice > courage > love and humanity> self-control> wisdom and knowledge .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smetologist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wisdom and knowled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tep 1, step 2 and step 3 of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ste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parameter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in step 3,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0.305, it can be seen that it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job satisfaction of beauty industry worker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wisdom and knowledge and job satisfaction. In step 1, step 2 and step 3 of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ste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parameter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in step 3,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0.749, it can be seen that it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Conclusions: In conclus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mediation effect on character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among character strengths,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ly through self-efficacy. Since it has a direct impact, it can be seen that self-efficacy improvement is essential in order to link the abilities of cosmetologists (curiostiry, enthusiasm for learning, judgment, creativity, sociability and foresight) to job performance. Although the personality strengths of beauty industry worker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job performance can be further enhanced if self-regulation and self-esteem are improved and self-efficacy is improved. 연구목적: 미용종사자의 직무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조사대상은 부산 및 경남지역에서 미용실, 네일샵 및 피부관리실 등 미용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대상자 500명으로 4월 15일에서 5월 10일까지 총 26일에 거쳐 온라인,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되었으며 총 5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449부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 자기효능감, 직무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지혜·지식, 용기, 사랑·인간애, 정의감, 절제력, 영성과 초월은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성격강점의 점수가 높으면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도 높아지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자기효능감은 성격강점의 모든 하위요인,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 역시 성격강점 및 자기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지혜·지식, 용기, 사랑·인간애, 정의감, 절제력, 영성과 초월성)이 직무성과의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중 조직몰입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영성과 초월성(=0.345)이고 정의감, 절제력, 지혜·지식, 사랑·인간애, 용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이 직무성과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지혜·지식, 용기, 사랑·인간애, 정의감, 절제력, 영성과 초월성)이 직무성과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중 직무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표준화 계수 값이 가장 높은 영성과 초월성(=0.316)이고 정의감, 용기, 사랑·인간애, 절제력, 지혜·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조직몰입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과 직무성과의 조직몰입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변수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지혜·지식과 조직몰입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역할 분석 결과, 매개효과 검증 단계의 1단계, 2단계, 3단계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및 매개 변수의 관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결과 유의확률 값이 0.3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과 직무성과의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 역할에 대한 분석 결과 지혜·지식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매개효과 검증 단계의 1단계, 2단계, 3단계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및 매개 변수의 관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결과 유의확률 값이 0.749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기효능감은 성격강점과 직무성과(조직몰입 및 직무만족도)에 직·간접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격강점 중 지혜와 지식은 자기효능감을 통해서만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미용종사자의 능력(호기심, 학구열, 판단력, 창의성, 사회성 및 예견력)을 직무성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 향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이 직무성과(조직몰입 및 직무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스스로 자기를 조절하고 자신의 존재감을 만들어 가면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면 직무성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 급식환경에 따른 학교급식의 만족도 조사 : 배식방법을 중심으로

        정지숙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요약 급식환경에 따른 학교급식의 만족도 조사 - 배식장소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중학교 급식의 배식장소에 따른 학생의 급식 만족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경기도 S지역에 위치한 중학교를 중심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급식환경 및 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향후 학교급식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급식배식 방법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 배식장소(교실배식과 식당배식)에 따른 급식 환경 만족도 비교 배식장소에 따른 학교급식 환경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교실배식에 비해 식사장소, 식사분위기, 배식시간의 적정성에서 교실배식이 식당배식에 비해 만족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러나 교실배식 집단(2.76)이 식당배식 집단(2.60)보다 식판정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급식에 대한 불만을 표시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중 동일교내에서 식단이 같지만 배식장소가 다른 학생을 대상으로 교실배식 집단과 식당배식 집단의 학교급식 환경의 만족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식사장소(교실배식 3.97, 식당배식 2.90)와 식사분위기(교실배식 3.48, 식당배식 2.91), 배식시간의 적당함(교실배식 3.45, 식당배식 2.66)에서 교실배식 집단이 식당배식 집단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만족도 점수가 나타났다(p<0.001). 2. 잔식정도에 따른 급식 환경 만족도 비교 학교급식에서 음식을 남기는 정도에 따라 잔식 없이 거의 다 먹는 집단(A집단), 가끔 남기는 집단(B집단), 항상 남기는 집단(C집단)으로 나누었다. A, B, C 세집단의 학교급식 환경에 대한 만족도 비교 결과 배식온도의 적정성에서 A집단(3.62)이 B집단(3.45)과 C집단(3.34)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식사장소 만족도에서도 A집단(3.58)과 B집단(3.44)이 C집단(3.12)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식사분위기의 안정성에서 A집단(3.41)과 B집단(3.24)이 C집단(3.03)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배식시간의 적당성에서는 A집단(3.22)이 B집단(3.01)과 C집단(2.86)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식사환경의 청결에 대해서는 A집단(3.03)이 C집단(2.79)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성별에 따른 급식 환경 만족도 비교 성별에 따른 급식 환경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남자(3.69)가 여자(3.37)보다 배식온도에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배식시간에서는 여자(3.19)가 남자(2.80)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식사 후 수업에 지장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남자(2.67)가 여자(2.49)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급식에 대한 불만을 표시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해서는 여자(2.35)가 남자(2.15)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배식장소에 따른 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 비교 교실배식 집단과 식당배식 집단의 학교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교실배식 집단(3.40)이 식당배식 집단(3.16)보다 음식의 양에 대해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생 만족 정도에 대해서는 식당배식 집단(3.03)이 교실배식 집단(2.7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식단의 영양균형성이나 국의 다양성, 반찬의 적정염도, 반찬의 다양성, 음식의 맛, 식단 만족 정도, 음식 색의 조화, 급식비 적당성, 후식제공 횟수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사 대상자 중 같은 식단을 제공받지만 배식장소가 다른 학생을 대상으로 교실배식 집단과 식당배식 집단의 급식 음식 만족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음식의 양에 대한 만족도는 교실배식 집단(3.57)이 식당배식 집단(3.19)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국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는 교실배식 집단(3.15)이 식당배식 집단(2.87)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1), 반찬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 또한, 교실배식 집단(3.08)이 식당배식 집단(2.8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5. 잔식 정도에 따른 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 비교 조사대상자를 학교급식에서 음식을 남기는 정도에 따라 잔식없이 거의 다 먹는 집단(A집단), 가끔 남기는 집단(B집단), 항상 남기는 집단(C집단)의 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음식의 양에 대한 만족도는 A집단 3.49, B집단 3.29, C집단 3.05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식단의 영양균형성에 대한 만족도는 A집단(3.41)이 B집단(3.18)과 C집단(3.05)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국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도 A집단(3.40)이 B집단(3.03)과 C집단(2.89)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반찬의 적정염도에 대한 만족도는 A집단(3.27), B집단(3.07), C집단(2.89)순으로 유의적인 높게 나타났다(p<0.001). 반찬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도 A집단(3.36), B집단(3.05), C집단(2.75)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01), 음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A집단(3.27), B집단(2.95), C집단(2.71)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식단만족 정도에서도 A집단(3.27), B집단(2.88), C집단(2.61) 순으로 나타났다(p<0.001). 위생 만족 정도는 A집단(3.05)이 B집단(2.80)과 C집단(2.70)보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승강장의 BIM 기반 설계

        정지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건설 산업에서 신설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 공기에 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빠르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PC(Precast Concrete) 공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 공법은 부품을 규격화시킴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며, 기존의 공법들과는 달리 사전에 공장에서 부재를 대량 생산하기 때문에 품질이 안정됨과 동시에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철도 역사의 경우에도 PC 부재를 사용하여 승강장을 신설하거나 재건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철근배근 및 부재 조립 시 오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설계 비용의 부담으로 활성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PC 부재의 설계 프로세스에 BIM 기술을 도입하여 재설계를 줄이고 프로세스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승강장의 설계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파라메트릭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모델을 구축한 후, 3D 모델의 파라미터를 구조계산서와 연동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은 설계 변동에 따른 재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물량 등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 설계 단계에서 모델의 경제성을 검토하고 대안을 선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더불어 구축된 모델을 간섭 검토 및 4D simulation에 적용해봄으로써 승강장의 정보모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사회법' 단원의 재구성

        정지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대부분의 민주국가는 복지사회를 지향함에 따라 이를 규정한 사회법의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복지사회에서의 사회법의 확대는 이제 사회법이 우리들의 일상생활과 분리될 수 없을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고, 사회법과 관련된 법적 분쟁과 갈등도 급증하고 있으며, 그 양태도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는바 중등 교육과정에서 사회법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회법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는 대조적으로 중등학교에서의 사회법 교육은 매우 홀대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 예로서 우리나라 중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살펴보았을 때, 사회법 교육의 비중이 계속 축소되어 왔으며, 최근 고시된 개정교육과정의 「법과 사회」과목에서도 사회법 단원의 주제 및 내용이 크게 축소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사회법 교육이 더욱 소홀해질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심화선택과정으로 「법과 사회」과목의 신설은 정치교육의 한 영역으로 다루어지던 법교육이 독자적 영역을 확보하며 체계적인 법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며 법교육 발전을 위한 큰 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의 크다. 또한 실용적 생활법 교육을 지향하며 생활영역과 관련된 주제 및 법적 사례를 많이 다루어 내용조직 방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는 등 과거의 법교육과는 크게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법과 사회」과목에 대한 비판도 성과만큼이나 많이 따르고 있다. 「법과 사회」과목에 대한 기존연구의 비판을 종합해보면, 여전히 법교육이 ‘법적 지식’을 중시하는 법실증주의 논의구조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어, 현대사회와 같이 복잡하게 이해관계가 얽히며 전개되는 법적 분쟁 및 법적 갈등에 대하여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과 법교육의 목표 체계의 하나로 ‘법적 사고력’이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의 성문법계 법학 풍토가 사회과 법교육을 개별학문 중심의 ‘법학 교육’으로 이끌면서 실정법 체계의 이해를 강조하는 ‘법적 지식’ 중심의 법교육이 지배적으로 행해진 결과로 볼 수 있다. 「법과 사회」교육과정에서 법교육의 목표로 가치명료화를 전면에 부상시킨 것은, 법학 고유의 사고방식(Legal Mind)을 초월하여 종합적․포괄적 사고로서 ‘법적 사고력(Legal Thinking)’을 신장하는 것이 법교육의 목표임을 분명히 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최근 개정교육과정이 고시된 시점에 즈음하여, 복지사회에서의 사회법 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비중이 크게 축소된 점과 현행 법교육에 있어 비판받고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개정교육과정에서의 사회법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사회법 단원의 재구성을 시도해 보았다.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가장 먼저 현행 제7차 「법과 사회」교과서의 사회법 단원 ‘Ⅲ. 사회생활과 법’ 중 개정교육과정에도 존치되는 ‘3. 소비자의 권리보호’와 ‘4. 근로자의 권리와 법’, 2개 중단원의 내용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단위로는 ‘학습목표의 영역’, ‘본문내용의 서술방식’, ‘탐구활동에서의 법적 사례’ 및 ‘본문내용과 탐구활동 간의 결합방식’ 등 4개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서에 반영된 논의 구조가 ‘법적 지식’ 중심의 법교육이 반영된 것인지, 아니면 ‘법적 사고력’ 중심의 법교육이 반영된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법과 사회」의 사회법 단원은 ‘법적 지식’ 중심의 법실증주의 법인식 논의 체계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현행 사회법 단원은 개별 실정법의 체계적 이해와 기존의 법문화를 수용하여 전수하는 등 지식습득과 가치주입 위주의 수범형법교육을 지향하고 있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학습자가 법적사태에 직면하였을 때, 근본적 문제해결을 위한 실마리로서 가치․태도의 명료화 과정이 배재되어 있고 법적 사고력도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작동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오늘날 세계화․정보화 사회에서의 법적 관계가 확대되고 복잡화되어 간다는 점, 법적 분쟁과 갈등이 증폭되고 첨예화되어 가는 시점에서 현실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을 제시해줄 수 없다는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결론적으로 앞으로 법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법적 사고력’ 신장에 두어야 함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이상의 법교육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사회법 단원의 재구성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목표는 학생을 법행위의 주체로 인식하고 진술한다. 학습목표는 법교육 목표와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지식적 목표로 법의 필요성과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기능적 목표로서 법적 문제에 대한 법적 사고의 과정이 강조되어야 하며, 가치․태도면의 목표에 있어서도 다양한 가치의 검토 및 선택을 통한 가치명료화 과정이 포함되도록 한다. 둘째, 본문내용은 학생이 학습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으로 구성한다. 법주제 및 개념 서술에 있어 법학 개론식, 사전적 풀이나 난해한 용어 사용에서 벗어나 실생활과 연계된 일상적인 사례를 통해 이해를 돕도록 한다. 현행 실정법도 간학문적․종합적 접근을 통해 개방적 입장에서 검증하고 비판하는 기회를 갖고 보다 발전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탐구활동은 법적 사례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사고의 과정이 보다 구체적․단계적으로 안내되고 적절한 발문이 마련되도록 한다. 탐구활동은 그 자체로서 구체적인 사례 학습의 효과, 혹은 다양한 정보의 제공, 탐구과제를 통한 법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본문내용과 탐구활동 간의 단원조직을 사고력 신장을 위해 연관성을 높이고, 활동경험을 제공하도록 한다. 법적사례는 학습자가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어 관련 개념이나 원리를 추출해 가는데 활용되는 촉매이자 수업의 출발점으로 작용해야 한다. 탐구활동이 본문 뒤에 제시되는 현 교과서 같은 상황이라면 본문의 실정법 내용을 탐구활동에서 법적 쟁점으로 제시하여 이를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분쟁 해결 방법의 습득을 위한 방안으로 법적추론(Legal Reasoning)의 원리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현행 사회법 단원은 대부분 형식 연역적 삼단논법의 추론방식이 지배적이다. 보다 복잡한 법적 상황에서 법적문제와 법적갈등을 포함하여 찬반논쟁에 이르기까지 활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법적추론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학교 교육에 있어 교과서는 교육과정이 최종적으로 구체화된 것으로서, 교수-학습 과정에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주요 도구이다. 개정교육과정이 고시된 현 시점에서 새로운 사회법 교재를 개발해보는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본다. 특히 법교육 발전에 획기적 전환점을 마련한 「법과 사회」과목의 중요성과 복지국가의 시민으로서 사회법에 대한 이해 및 법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함께 고려해 본 연구의 결과가 보다 의미 있길 기대해 본다. According as Recently Most democratic nations are welfare society-oriented, fields of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tend to expand more. The expansion of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in a welfare society has become as significant as it can't be separated from every-day life, legal disputes and conflicts involved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eir aspects are becoming complicated. So education on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a secondary curriculum. Education on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in a secondary curriculum is treated insignificantly contrast to social requirement of education on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For example, observed history of Korean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mportance of education on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keeps decreasing. As themes and qualities of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units in ‘Law & Society' of revision curriculum have been decreased, education on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will be more possible to be neglected than ever before. Creating of ‘Law & Society' as a deepen selective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has made law education, which has been treated as a field of politics education, so meaningful in ensuring a separate field, raising the possibility to be realized systematic education of law, and getting a chance for the development of law education . Also, it is different from past law education in aiming at education of the realistic living law and dealing much with themes and legal cases involved fields of every life and bringing on many changes in how to organize learning contents. But, despite these outcomes, ‘Law & Society' is being criticized as much as its outcomes. Put together criticisms of preceding researches concerning ‘Law & Society', law education has been reflected a discussion structure of positivism-reasoning which considers legal knowledge to be important yet. Therefore, it hasn't presented reasonable and legal solutions for legal disputes and conflicts that develop and are involved in complex interests like modern societies. Although 'legal thinking', one of the objective systems in the law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s so significant, it can be because a laws circumstance of a Korean written law leads the law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o be 'laws education' which centers a particular study and the law education that centers legal knowledge and emphasizes the comprehension of the positive law system has been conducted mainly. Focusing on value definiteness, the objective of law education in ‘Law & Society' curriculum is for manifesting that the development of 'Legal Thinking' as total and expansive thinking to transcend 'Legal Mind' is the objective of law education. This research points out that its amount of contents has decreased in a revision curriculum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n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in welfare societies and has tried reorganization of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units to develop 'Legal Thinking' in the process to fi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n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in a revision curriculum based contents which have being criticised in current law education. This research has analyzed two midium units such as 3. Protecting Consumers' Right and 4. Workers' Right and Law among Ⅲ. Social Life and Law, a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unit in the 7th ‘Law & Society' curriculum, existing in a revision curriculum. Four factors like 'the Region of Learning Objectives', 'the Way of Describing Contents', 'Legal Cases in Research Activities' and 'The Way of Combining Contents and Research Activities' are set as factors for analysis.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at the structure of discussions reflected in a text book is reflected law education which centers 'Legal Knowledge' or 'Legal Thinking'. As a result,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discussion system on law perception of legal positivism-reasoning which centers 'Legal Knowledge' has considerably been reflected in the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unit in ‘Law & Society'. That is, the current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unit aims at knowledge acquisition and value infusion-centered law education conforming criterion which understands a distinct positive law systematically, and accepts and hands down a previous law culture. Accordingly, it has eliminated the process to manifest value? attitude for overcoming a situation involving legal problems learners are faced with and it contains the problem that legal thinking works in a limited range. Also, it reveals the limits which can't present the way or the alternative to resolve realistic problems when legal relationships in a globalization?information-oriented society expand and become complex, and legal disputes and conflicts increase and are becoming acute nowadays. To conclusion, it supports that the objective of law education should be to develop 'Legal Thinking'. To develop 'Legal Thinking', the way of reorganizing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units as follows, based on the discussions concerning law education above. First, learning objectives must be stated for a student to be perceive as a master of a legal act. To correspond with objectives of law education, intellectual objectives are to perceive the necessity and availability of law, functional objectives are to learn the process of legal thinking when faced with legal problems, and objectives of value and attitude are to manifest values which criticize various values and choose what are reasonable. Second, contents should be stated as the center of learners who are subjects in learning and avoid being stated like an introduction to law and using difficult terms. And they should help learners understand everyday cases related with their real lives. The existing positive laws should have chances to be analyzed and verified as liberal positions through synthetic examinations. Third,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that learners themselves can be able to learn by studying legal cases presented. The process of thought and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more specific and in order, and adequate questions should be asked at each sequence. Fourth, the organizing system of units should be composed of activities-centered which can increase the relation between main texts and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Legal cases should encourage learners to participate the process of learning actively and to find out legal concepts and principles. And they should work as the start of learning. If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are to be presented behind the main texts like current textbooks, the contents of the positive laws in main texts should be presented as legal issues in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which learners analyze then find out new alternatives. Lastly, the principle of 'Legal Reasoning' should be utilized educationally so that learners develop to solve legal disputes reasonably. The units of existing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are described dominantly as a reasoning way, a deductive syllogism. A variety of 'Legal Reasoning' can be used in complicated legal situations or pros and cons disputes will have to be examined. Until now, textbooks are main instruments which are given directly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education. It seems that developing new 'Social Law Related Education's teaching materials is opportune this time when revision curriculum are presented. Especial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hich takes account of the importance of ‘Law & Society' to supply an epoch-making turning point in development of law education, and understanding and the importance of 'Legal Thinking' on 'Social Law Related Education' as a citizen of a welfare state,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REBT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지숙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선별하여 예비실시한 후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주요구성 요인은 인지적 변인으로 신념 변화시키기와 행동적 변인과 정서적 변인의 구성요인으로 문제해결기술훈련과 사회기술훈련을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에 따라 접목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초기단계에서는 REBT의 이해와 신념변화 시키기에 대한 심리교육에 중점을 두고, 전개단계에서는 문화․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신념변화 시키기와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한 문제해결훈련 그리고 의사소통 기술을 포함한 사회기술훈련을 적용하였으며 매 회기마다 역할극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참여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종결단계에서는 모든 영역의 내용을 종합하여 인지적 예행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C지역 S대학교의 프로그램 홍보를 통해 지원했거나 교수에 의해 추천된 중국인 유학생을 선별하였는데 프로그램 사전에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SACQ), 우울 척도(BDI), 불안 척도(STAI), 비합리적 신념 척도(IBT)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이 중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의 결과가 140점 이상이며, 우울 척도(BDI)에서 중정도 우울 수준인 20점 이상과 불안 척도(STAI)에서 55점 이상의 중복 기준에 해당하는 9명을 대상자로 1차 선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TOPIK:Test of Proficiency on Korean)에서 중급 4급 이상을 취득하여 한국어로 일상적인 대화와 자기표현이 가능한 대상자를 최종적으로 8명 선별하였다. 통제집단은 C지역 S대학교와 W지역 S대학교의 교내 게시판을 통해 개별 지원하였거나 친구 또는 교수를 통해 추천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동일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8명의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2010년 4월 5일부터 6월 4일까지 매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전산 처리하였다. 프로그램 사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프로그램 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프로그램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와 실험집단 사전-2개월 추후검사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2년 추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에서 나타난 검증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자가 작성한 워크시트와 과제 기록지, 연구자의 회기별 평가 및 기록지, 보조연구자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실험집단 참여자의 비합리적 신념 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BT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즉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지각된 미움, 두려움, 문화적 충격, 기타요인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EBT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학업적응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대학생활 적응 전체 점수와 학업적응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학업적응 전체 점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참여자 모두 학업적응과 관련된 비합리적 신념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REBT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사회적응 즉, 대인관계 적응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대학생활 적응 전체 점수와 대인관계 적응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적응 전체 점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참여자 모두 대인관계 적응과 관련된 비합리적 신념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REBT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우울 및 불안의 하위요인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비교에서도 우울․불안의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초기 사전검사에서 참여자의 우울(BDI) 지수는 19점 이상으로 중정도 우울 수준을 보였고, 불안(STAI)은 평균 47점대로 불안수준이 약간 높음의 정도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우울(BDI) 지수 10점 초반대로 떨어졌고, 불안(STAI)은 37점대로 사전에 비해 10점이 낮아져 상당한 감소폭을 보였다. 다섯째, 프로그램 종료 2개월 추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학업적응, 대인관계적응, 우울 및 불안, 비합리적 신념의 모든 변인의 전체 점수에서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명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종료 2년 추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학업적응, 대인관계적응, 우울 및 불안, 비합리적 신념의 모든 변인에서 전체 점수와 하위변인 각각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거나 증가하여 전반적으로 REBT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종료 2년 추후검사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지각된 미움, 기타요인(사회적 고립, 열등감, 불신, 의사소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두려움과 문화적 충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에서는 대인관계 적응은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업 적응에서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비합리적 신념은 문제회피와 의존성에서 프로그램 종료 2년 추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과 불안은 프로그램 2년 추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실험집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비합리적 신념이 대안적이고 적응적인 사고로 대체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프로그램 초기단계에서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을 찾아 경험적 진술을 하고 문제해결훈련과 사회기술훈련을 통한 행동적 변화의 시도에 어려움을 나타냈던 실험집단이 REBT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점점 비합리적 신념의 자기진술이 구체화되고, 다양한 적응 영역에서 인식의 전환 또는 수용의 적절한 대처방식이 유도될 수 있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 대상의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지 않았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을 함께 연구 목적으로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들이 유학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놓여 문화적응과 함께 심리사회적응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비롯되는 개인의 비합리적 신념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REBT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비합리적 신념의 변화 내용을 내용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의 본질을 규명함과 동시에 문제해결에 보다 적절한 개입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법으로 REBT를 활용하였다. 이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가지고 유학생으로서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비합리적 신념 또는 왜곡된 사고를 적응적 신념 및 행동으로 변화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방법적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 과정에서 생성된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REB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였다는데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프로그램 실시 후 2개월과 2년이 지난 시점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을 위한 REBT 프로그램의 추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의 변인에서 2개월과 2년 추후검사의 효과성이 지속되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이는 기존의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적응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연구결과의 효과성과 결과의 지속 여부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들의 적응 양상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conduct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for the cultural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verify its effect. For this purpose, a survey on the demand related to the program development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 result, a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In order to construct a final therapy program, a preliminary therapy, which was tried on selected Chinese students in Korea,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for the main components, the program integrated changing beliefs as the cognitive variable and problem-solving skills train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as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variable, according to the goal of each session. The initial stage of the program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education for understanding REBT and changing beliefs. The development stage concentrated on changing beliefs concerning acculturatio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problem-solving techniques using brainstorm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s; to help participants have better understanding, every session was composed of role play. The final stage aimed to help the participants put all the contents together to promote a cognitive rehearsal. Selected subjects included Chinese students who applied through the advertisement of S University in C region or recommended by professors. In the first screening process, students received a pre-therapy test composed of acculturative stress scal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depression index (BDI), anxiety index (STAI) and irrational belief index (IBT). Of those students, 9 students who received more than 140 on acculturative stress scale, 20 on depression index (BDI) and 55 on anxiety index (STAI) were first selected. In the second screening process, of those 9 students, 8 students who were able to communicate and express their opinions in Korean language by receiving Level 4 in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Chinese students who applied through the bulletin of S University in C region and S University in W region or those recommended by professors or friends. Of those students, 8 students were selected by the same screening process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he program was offered once a week in 10 120-minute sessions from April 5 to June 4, 2010.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on SPSS WIN 12.0. Mann-Whitney U Test (non-parametric)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pre-therapy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difference in the post-therapy scor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lcoxon Signed-Rank Test (non-parametric)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herapy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2-month post-therapy scor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2-year post-therap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lso,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more specifically,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irrational belief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rticipants’ worksheet and task records, the researcher's assessment and records and the assistant researcher's repor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REBT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overall score on the acculturative stres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other words, a significant reduction was marked in all the sub-fa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which included perceived sense of discrimination, homesickness, perceived hatred, fear, cultural shock, etc. Second, it was found that after receiving the REB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hoolwork adaptation associated with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cores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olwork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overall score on schoolwork adapt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all the participants were marked with significant reduction in their irrational beliefs associated with schoolwork adaptation. Third, after receiving the REB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adaptation, in other wor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associated with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cores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the scor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overall scor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all the participants were marked with significant reduction in their irrational belief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Fourth, after the REBT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sub-factors of depression and anxie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e-therapy test, participants received higher than 19 in depression index (BDI) which indicates a mid-level depression, and 47 on average in anxiety (STAI) which indicates a moderately high level of anxiety, but according to the result of post-therapy test, depression (BDI) dropped to near 10, and anxiety (STAI) dropped to 37, sharply down by 10. Fifth, according to the 2-month post-therapy test taken by the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was found to be maintained as shown in the overall scores of all variables of acculturative stress, schoolwork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rrational beliefs. Sixth, according to the 2-year post-therapy test taken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REBT program was found to be maintained in general, as the overall scores and each and every sub-factor score of all the variables - acculturative stress, schoolwork adapa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rrational belief – were marked by significant increase or redu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2-year post-therapy test taken by the control group,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marked in some of the sub-factors - sense of discrimination, homesickness, perceived hatred and other factors (social isolation, inferiority, disbelief, communication) - of acculturative stres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ear and cultural shock. Among the sub-factors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schoolwork adap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irrational belief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voidance of problems and dependence was marked. However,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Seventh,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positive change was marked as their irrational beliefs were replaced by alternative and adaptive thoughts. Even 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gram, had difficulty identifying irrational beliefs and making experiential statements, as well as making changes through problem-solv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with further participation in the REBT, they began to express statements of irrational beliefs, and gradually made positive changes such as making cognitive change and adopting proper coping strategies of acceptance in various area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current trend of increase in the influx of Chinese students, the issues related to those students should no longer be overlooked but discussed with great importance. Second, for acculturation and psychosoci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used REBT. This can be explained as a methodological aspect cohering with the study to help the students change their irrational beliefs or distorted though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a new culture with their national identity.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way that it developed and used REBT program to help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hange their irrational beliefs, which had been formed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and psychosocial adaptation, into rational beliefs. Thirds, this study conducted a 2-month and a 2-year post-REBT test for Chineses students’ acculturation and psychosocial adaptation in Korea, and what is significant is that its effectiveness was proven to be maintained as revealed the test results.

      • 내적 자아를 형상화한 도자표현 연구

        정지숙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Modern society pursuits diversity and individuality in our society, however, this might be a paradox coming from awareness of absence. Each individual stands at a crossroads where there’s a choice of either following society’s requirements or personal desires, realizing both ways are painful after all. Questions are thrown at this point. ‘what is humans’ nature? These kinds of questions lead an individual into deeper thoughts and he/she asks once more. Then ‘ Who am I?’ This study started from questions about ‘Who am I’ and the process of the study itself has been a journey to seek the answer for it. Understanding and accepting inevitable pain for imperfect human through the study of self and human nature made my own work, which has intention to become a communication bridge to draw world’s emotional sympathy. The study of human nature leads to another study of essence of art which is the product of human activities. Thus, this study intended to seek intrinsic psychology why men do the art through psychoanalytic consideration done by Sigmund Freud and Jacques Lacan. And dream, which is a product of human unconsciousness, has been studied as well. The purpose of it was to know, through observation on dream, aspects of human unconscious activities because men are influenced by unconsciousness easily. Also I looked into surrealism paintings embodying unconsciousness and searched for the possibility whether unconsciousness can be used. Based on these, I used the dirt to build my own work, simply according to my subjective sensibility as a primary material for my work. My work through this study materialized inner world that is abstract, thus, it has simple and curved lines as if it is seen in dreams rather than detailed expression.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a communication bridge and serves as a momentum for others to listen to their inner voices and to discover their own values within them so that more people could walk along their own ways of life with personality. 현대사회는 다양성의 사회, 개성이 존중되는 사회의 지향을 표명하지만 이는 그것이 현재 부재하다는 인식에서 나오는 역설일지도 모른다. 현실 앞에서 개인은 사회의 요구에 순응할 것인가, 개인의 욕망을 따를 것인가라는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되고 이내 두 가지 길 모두 고통이 따름을 깨닫게 된다. 여기서 개인은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된다.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가?’ 나아가 이러한 질문을 던지며 고민할 수밖에 없는 개인은 또 한 번 질문한다. 그렇다면, ‘나는 누구인가?’ 본 연구는 이처럼 인간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고 연구 작업의 과정 자체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성찰의 시간이었다. 이처럼 자아와 인간본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불완전한 인간이 겪을 수밖에 없는 고통을 이해하고 인정하며 이러한 탐구의 산물인 본 연구자의 작품이 부드러운 소통의 장이 되어 세계와의 감성적 공감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는 인간 행위의 산물인 예술의 본질에 대한 탐구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이트와 라캉에 의한 예술의 정신분석적 고찰을 통해 인간이 예술을 하는 본질적 심리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인간 무의식의 산물인 꿈에 대해 탐구하였는데, 이는 의식 상태에서 인간은 무의식의 영향을 강하게 받으므로 꿈 관찰을 통해 인간 무의식의 활동 양태를 알고자 한 의도였다. 여기서는 또한 무의식을 형상화한 초현실주의 회화에 대해 알아보고 무의식의 예술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탐구를 바탕으로 본인의 주관적 감성에 따라 흙을 주된 재료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 작품은 내면의 모습이라는 추상적 소재를 형상화 하였기에 구체적 묘사보다는 단순화된 모습을 띄며 전체적으로 꿈속에서 보는 듯이 이완된 곡선으로 이뤄진 덩어리형상이다. 이러한 본 연구가 소통의 도구가 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계기가 되고, 삶에 있어 진정 중요한 가치를 발견하여 개인의 고유한 개성으로 다르게 사는 삶이 많아지기를 바란다.

      • Modification of Natural Zeolite and Its Application to Non-woven Textile Interior Materials for Indoor Air Quality Control

        정지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application of VOC-free materials for building interior is the first step to reduce the contamination level, however, it is practically unavoidable to find a way to eliminate existing pollutants from house furnishing, adhesives, and coatings etc. As a active way of controlling indoor air, air conditioner may be applied with high functional filter, which use electricity for compulsory air circulation. As an alternative,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various materials for the removal of formaldehyde and VOCs. Zeolites are one of very well known adsorptive materials with micro pores, which is related to their unique characteristic such as ion exchange, gas adsorption, fertilizer efficiency. This leads their wide applications in interior material, catalyst and separation N2/O2. We have modified Korean natural zeolite powder by successive ion exchange to produce H- and Ag- exchanged natural zeolite. After ion exchange, deodorization of the natural zeolite improved toward nonpolar molecules such as benzene. It was further modified by addition of TiO2 photo-catalyst on the surface of the modified zeolite to produce themultifunctional powder to contribute on controlling indoor air quality. The TiO2 coated zeolite was checked for it photo-catalyst activity, which seemed to be very efficient with small amount of TiO2 well dispersed on the surface of zeolite particles. The modified zeolites were applied on the interior non-woven polypropylene sheet with ethylene vinyl acetate or acryl binder, and the resultant textile were expected to reduce indoor air pollutants not only by adsorption mechanism but also by decomposition mechanism. We have compared the deodorization of the multi-functional powders and also their coating on non-woven textiles by Gastec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