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역권 장소마케팅의 로컬거버넌스 : 전라북도 해외관광객 유치 마케팅을 중심으로

        정인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conditions and operational mechanism on local governance of place marketing in the metropolitan region which has been applied to overseas tourism marketing of Jeollabuk-do provincial governmen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ccess of place marketing results from adopting local governance as a working mechanism, this study verifies the logical validity of previous researches. As a result, four critical components of local governance such as collaboration, participation,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were catergorized. Indicators and their sub-components foor those critical components employed in research frame work are as follows; collaboration ① recognition as a partner(previous experience of cooperation), ② trust and cooperation(equity of power) ; participation ①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articipation(incentives), ② participation of the interested parties(level of participation) ; accountability ① capability of participating agents(the expertise of participating agents), ② sharing of accountability ; transparency ① sharing information(communication through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organization, sharing the aim and vision), ② transparency of policy over the making and operating procedure(result management system, reflux system).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nd in-depth study over Jeollabuk-do's overseas tourism marketing,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Jeollabuk-do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ir recognition toward their partners need to be changed as a collaborator to run its local governance harmoniously. Second, the scope of participation needs to be extended with incentives encouraging more variety of participating agents take part in Jeollabuk-do's overseas tourism marketing. Third, in case of extending the scope of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setting down the restraint for their accountability is prerequisites. Fourth, establish the new metropolitan collaboration model by increasing the communi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organization. 본 연구에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사회 통합을 추구하는 장소마케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그 운영의 기제로 지방정부와 다양한 행위주체 간의 공동협력과 참여를 중시하는 로컬거버넌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고 선행연구 탐색하여 도출한 로컬거버넌스의 주요요소와 분석지표를 본 연구가 장소마케팅 성장사례로 선정한 전라북도의 해외관광객 유치 마케팅에 대입하여 요소별 로컬거버넌스 운영과정을 탐색하여 시사점과 제도적 정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로컬거버넌스의 주요요소로는 협력성, 참여성, 책임성, 투명성 등의 네가지가 도출되었다. 협력성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는 ① 동반자로서의 인정(협력사업의 경험) ② 신뢰와 상호협력(권한의 형평성)을, 참여성 지표로는 ① 참여의 제도화(유인체계) ② 주체들 간의 참여(참여의 수준과 정도)를, 책임성 지표로는 ① 주체들의 역량(참여주체들의 전문성) ② 주체간 책임의 공유(주체들의 책임성있는 업무수행)를, 투명성 지표로는 ① 정보의 공유(조직 내외부의 의사소통, 비전과 목표의 공유) ② 정책결정과 집행의 투명성(결과 관리 체계, 환류체계) 등이 도출되어 이들을 중심으로 연구분석틀이 설정되었다. 이와 같은 지표들을 토대로 전라북도의 해외관광객 유치 마케팅의 로컬거버넌스 운영과정을 분석한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로컬거버넌스를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협력 파트너들에 대한 지방정부의 인식과 역할에 변화가 필요하며, 전라북도의 협력자(collaborator)로서의 역할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전라북도 해외관광객 유치 마케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로컬거버넌스에 참여하는 이해당사자들의 참여의 범위와 유형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인센티브 지급 대상과 방법을 다양화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참여 범위의 다양화와 로컬거버넌스 범위의 확대는 업무의 효과성을 낮출 수 있는 위험요소를 동반할 수도 있으므로, 민간 부문의 참여를 확대할 시에는 제도적으로 이들의 책임을 제고할 방안이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조직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목표의 공유를 통해 현재 확보하고 있는 기회자원들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광역적 협력 모델을 마련해 나갈 것 등을 제안하였다.

      • 관련성 이론에 근거한 영한 영상번역연구

        정인희 세종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f English-Korean Film Translation Based on Relevance Theory Jung, Inhe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This thesis is a study of English-Korean film transl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Relevance Theory, a general cognitive theory proposed by Sperber and Wilson(1986). It advocates relevance- oriented research in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in film translation from English into Korean. One of the major functions of movies is to provoke the audiences’ emotion in the source language. The audiences of the target language want to have the truest possible feel of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ource text. Film translators must, therefore, try to deliver source text author's intended meaning to the target language audiences close as the original source text does to the source language audiences. Translating films is more a matter of relativity than a matter of absoluteness and it is different from translating printed texts since film audiences follow stories with visual images shown in front of their eyes whereas book readers have to figure out everything only through verbal information in written texts. As one type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the film translation would be more difficult for the translator as he or she has to deal with implicit information through both the shown image and the written scripts. The implicit information has characteristics such as graded communicability, context-dependence, and the correlation among the information, text, and context. These characteristics restrict the communicability of the film script, causing the film translator’s difficulties in translation. To explain English-Korean film translation more efficiently, this thesis relies on Relevance Theory. The theory sheds new light on the translation phenomena in general. Encouraged by Gutt's proposal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and the relevance principle and his recent findings in translation study, this study adopts a theoretical relevance approach to all kinds of cases appeared in film translations from English into Korean. This study discusses the notion of Relevance Theory and its relationship to film translation in general and explains two major methods of film translation, subtitling and dubbing. Then it categorizes and examines various kinds of conversational examples from more than ten film scripts from both English source texts and Korean target texts. In so doing excerpted data from both languages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find out how well the relevance principle is applied in translating processes. In order to produce optimal contextual effects with minimum processing efforts, English-Korean film translators should strive to overcome the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and express the intended meaning of the source text author in such forms as are natural to the target text audience. By closely examining the film translation texts from English into Korean, this study deals with various issues mainly related to the image shown and other factors such as culture and language. The thesis concludes by showing that various translation strategies such as picture-corresponding translation, substitution, foreignization, domestication, and deletion are useful to deliver relevant information in film translation. However, what matters in film translation is not what kinds of strategies are applied when translating English films into Korean but how well optimal relevance is carried out using those strategies. In other words, English-Korean film translational phenomena can be well accounted for within the framework of Relevance Theory without applying any other specific translation theory for each excerpted example in film translation. Film translation is an ac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text authors and the target text audiences. Translators should reveal the source text author's intention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target text view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original meaning in context with minimal processing effort. We can assume a film translator has carried out a successful translation providing optimal relevance when the translated film makes the equivalent resultant impression on the audience as the original does on its audience.

      • 라이프니츠의 수학적 사고에 대한 고찰

        정인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Mathematics is the works of human activity. The real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is that we live better lives by establishing logical ways of thought and recognizing mathematical principles in our lives, cultures and learning. But our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only teaches the accomplishment of mathematicians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is rells that we only teach the formulas how to solve problems. Moreover students have not ligical thoughts to solve problems y himself. Thus,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will reconsider how leibnitz's mathematics thoughts has extracted from his philosophical thought. By means of it, we will show the importance of mathematical thoughts and the real meaning of mathematics by studying mathematical thoughts of leibniz and his achievements. And I want this paper to make students recognize the stage of 'process' by considering fundamental principles of calculus analysis. So we expect but also mathematical thoughts to them. In conclusion I hope this paper will be a useful textbook to understand the need of mathematical thoughts and the meaning of mathematics.

      • 모시를 활용한 니트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정인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textile fashion industries have rapidly grown due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to produce garments suitable for the consumers' life style and their social attitude. In particular, because the demand of knitwears is getting stronger, it is necessary for the textile fashion industries to develop a variety of knit materials. Ramie fabric naturally is rough. It makes us feel clean and cool when we wear ramie cloth. After washing, it also keeps a clear and refreshful color. It is, however, hard, wrinkly, and not elastic. The worst is that it is uncomfortable to handle ramie fabric after washing. Moreover, its production processes are not only complicated but also handmade. It has been only produced by making ramie string and by crossing the yarn of warp and weft.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strong points of ramie and to make up for its weak point, this paper aims at four kinds of textile materials such as ramie, cotton, wool, and acrylic fiber. They were mixed and produced each other for this study. This dissertation analysed the influence of these knit materials on durability, and aesthetics, compared dyeing properties and color fastness through natural inorganic dyeing and silver nano processes, and reviewed economical efficiency, productivity and suitability through hand evaluation. It examined the bursting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pilling, drapability and crease recovery. To study dyeing properties, through silver nano technology, this dissertation tested color fastness, bacterial decline dyeing ramie fabric with the natural inorganic dyes such as ocher, charcoal, and volcanic rock. It measured the various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hearing, bending, surface, compressional, weight, and thickness property using Kawabata Evaluation System(KES-FB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alculated KOSHI, SHARI, FUKURAMI, and HARI, among hand value items using KN-403-KTU, and computed total hand value(T.H.V) applying KN-301-SUMMER.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esting the properties. First, in order to test the influence of the kinds of materials upon durability, the bursting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were tested. In general, when cotton was mixed with ramie, it became strong due to the bursting strength. When weak wool and acrylic were mixed with strong ramie, they became strong due to durability. When comparing the bursting strength to the short of knitting, milano rib stitch showed the highest rupture. Full cardigan stitch showed medium, plain stitch and rib stitch showed similar to each other. Milano rib stitch is composed of entirely dense texture by welt stitch, which means the bursting strength is the highest. It is higher than the standard in terms of abrasion resistance compared with other knit texture except plain stitch. Secon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sorts of materials and knitting on aesthetics, after the results of testing pilling, drapability, crease recovery, when ramie was mixed with cotton, wool, and acrylic fiber, its pilling decreased, its drapability and crease recovery had improved. Generally, ramie has a low crease recovery property. The crease recovery property increases when each mixed rate such as cotton, wool, and acrylic becomes strong, which implies the wrinkles in ramie can be ameliorated. Aesthetics can be brought into relief making up for the weak point.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dyeing. First, as for knitted fabrics produced with each different mixing rate such as cotton, wool, and acrylic, to get moderate temperature for dyeing, the most effective dyeing time was 15 minutes, the most effective temperature was 50℃, the most effective dyeing concentration was 100g/ℓwhen ramie 100%, cotton 100%, wool 100%, and acrylic 100% were dyed with the natural inorganic dyes such as ocher, charcoal, and volcanic rock, Second, as the influence of the materials upon dyeing properties, dye-uptake had improved by mixing wool that has a good dyeing property on ramie. Third, brightness showed by color effect and chrominance analysis takes wool < ramie < acrylic after being dyed with ocher, charcoal and volcanic rock, which implies wool was dyed with strong color. Fourth, after being dyed with the natural inorganic dyes, most ramie take silver nano processing, Their color fastness improved by four~five degree. At the same time its antifungal percentage was 99.9. It is considere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be proceeded by taking silver nano processes for the practical and industrial use.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hand. First, KOSHI, SHARI, and HARI showed declining due to the increase of mixing rate when cotton, wool, acrylic were mixed with ramie. On the contrary, FUKURAMI had a tendency to increase, which means ramie became soft, and flexible when cotton and wool were mixed, although it has naturally a hard and stiff propert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amie can be used variously. Second, regarding the value of comprehensive hand, ramie knit materials produced by mixing ramie two plies, and wool one ply(ramie 67%/wool 33%) keep the highest quality for an outer summer garment. Wool is material in which we can wear during winter. Because of its elasticity and drapery, wool is suitable to outer summer garment in silhouette when wool is mixed with other materials. When considering the mixed rate of textile materials, most of the knit materials produced by mixing cotton, wool, and acrylic show better designs and forms than 100 percent of ramie itself. Unlike the weaved ramie, it is comfortable to handle knit materials mixed by using cotton, wool, acrylic after washing. The ramie material is suitable for us to be used as knit materials in terms of comfortableness and usefulness. Lastly, it is thought that ramie industries are able to grow rapidly when studies on ramie material are kept by researchers and scholars or products made with ramie become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섬유패션산업은 급속히 변화하는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과 의식구조에 적합한 의류제작 방식의 기술적인 발달에 힘입어 크게 활성화 되고 있으며, 특히 전세계적으로 니트웨어에 대한 수요가 강세를 보이면서 다양한 니트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모시는 촉감이 깔깔하여 시원한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여러 번 세탁해도 천연광택이 있어 맑고 상쾌한 빛으로 항상 새 옷 같은 느낌을 주는 우수한 직물이다. 그러나 모시는 뻣뻣하여 신축성이 부족하고 구김이 잘 가며, 세탁 후 손질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제작과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수공예적인 생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모시껍질을 째어 모시굿을 만들어 경사와 위사를 교차하는 제직 직물위주로만 생산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모시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모시와 면, 양모, 아크릴의 3가지 섬유소재를 합사하여 편성하였다. 이렇게 편성한 니트소재에 대하여 기본 물성실험으로 내구성과 심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천연무기물 염색 및 은나노가공을 통하여 염색성 및 견뢰도를 비교ㆍ분석하여 산업화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태 평가를 통하여 용도의 적합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물성실험으로 파열강도와 마모강도, 필링성, 드레이프성, 방추성을 실험하였다. 그리고 염색성을 알아보기 위해 천연무기물 염재인 황토, 숯, 화산석으로 염색한 후 은나노가공을 통하여 견뢰도의 향상을 살펴보았고, 항균성 실험에 의해 정균감소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태 평가에서는 Kawabata Evaluation System, 즉 KES-FB System을 사용하여 역학적 특성치인 인장특성, 전단특성, 굽힘특성, 표면특성, 압축특성, 무게와 두께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감각평가치(hand value) 산출식인 KN-403-KTU를 사용하여 감각평가치 항목의 KOSHI, SHARI, FUKURAMI, HARI 값을 계산하고 종합 태 값 산출식인 KN-301-SUMMER용을 적용하여 종합 태(T.H.V : total hand value)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물성실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종류와 편성조직이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파열강도와 마모강도를 시험한 결과 전반적으로 모시에 면을 합사한 경우 편성물의 파열강도가 강해졌으며, 강도가 강한 모시에 강도가 약한 양모와 아크릴을 합사함으로써 합사한 소재의 내구성이 강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편성조직별로 파열강도를 비교하는 경우, 밀라노편의 파열강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카디건편, 그리고 평편과 리브편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밀라노편의 경우 웰트편에 의해 조직이 매우 조밀하게 편성됨에 따라 파열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마모강도에 있어서는 다른 조직에 비해 두께가 얇은 평편의 몇 가지 소재를 제외하고 기준점을 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물성실험 중 소재종류와 편성조직이 외관적 심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필링성과 드레이프성, 방추도를 실험한 결과 모시에 면, 양모, 아크릴소재를 합사함으로써 필링성이 감소되었고, 드레이프성과 방추성이 향상되었다. 일반적으로 모시는 방추성이 낮은 섬유이기 때문에 면, 양모, 아크릴의 합사율이 커짐에 따라 방추도가 증가한 것으로 모시의 주된 결점인 구김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주어 모시의 장점은 유지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외관상 심미성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염색실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시에 면, 양모, 아크릴의 합사율을 달리한 니트소재 대해서 염색의 적정온도를 찾아내고자 모시100%, 면100%, 양모100%, 아크릴100%의 4가지 소재에 대해서 황토, 숯, 화산석 염료에 대한 염색 최적조건을 살펴본 결과 염색온도는 50℃, 염색시간은 15분, 염색농도는 100g/ℓ가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재종류가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모시에 염색성이 우수한 양모와 면 소재를 합사함으로써 염착량이 낮은 모시의 염색성이 향상되었다. 셋째, 염색의 색차분석 및 색 효과에 나타난 명도지수는 황토, 숯, 화산석 모두 양모<모시<아크릴 순으로 나타나 양모가 가장 진한 색으로 염색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천연무기물 염료인 황토, 숯, 화산석으로 염색한 후 은나노가공을 한 대부분의 모시 니트소재의 염색견뢰도가 4~5등급으로 향상되었으며, 항균성 분석에서도 99.9%의 정균 감소율을 나타내어 산업화 적용을 위해서는 은나노가공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태 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의 감각평가치는 모시에 면, 양모, 아크릴섬유의 합사율이 증가함에 따라 KOSHI와 SHARI, HARI는 감소하였으며, FUKURAMI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는데 모시는 원래 강직하고 뻣뻣했으나 면, 양모, 아크릴소재를 합사함으로써 유연하고 부드러워져 다양한 형태의 모시제품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종합 태 값의 경우 모시2올과 양모1올(모시 67%/양모 33%)을 합사하여 평편으로 편성한 모시 니트소재가 하절기 외의용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양모는 원래 겨울용 소재이지만 신축성과 드레이프성이 좋아 다양한 실루엣의 효과로 심미성을 높일 수 있어 적은 양을 합사하여 사용하는 경우 하절기 외의용 니트소재로써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섬유소재의 합사율을 고려할 때, 모시 100%보다 면, 양모, 아크릴섬유를 합사하여 편성한 대부분의 니트소재는 종합 태 값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모시에 면, 양모, 아크릴의 3가지 섬유소재를 합사하여 편성한 니트소재는 제직한 직물모시와 달리 세탁 후 손질이 간편할 것으로 보이며, 편안함과 실용성의 향상으로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알맞은 섬유제품을 제작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모시를 활용한 니트소재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지속되어 모시제품의 다양화와 고부가가치를 이루게 된다면 모시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매복치 치근 만곡의 유병률 및 총생과의 연관성

        정인희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 론 : 치근 발육이 완성된 매복치 환자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살펴보면 치근첨이 휘는 현상인 치근 만곡을 종종 발견하게 된다. 매복치의 견인 치료 시 치근 만곡의 존재는 치료의 난이도를 상승시키는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매복치 치료 과정 중 치근 만곡에 대한 이해와 분석은 필수적이다. 재료 및 방법 : 2012년부터 2018년 까지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매복치 환자 63명의(남성 32명, 여성 31명), 치근 형성이 완료된 상악 전치, 견치, 소구치를 대상 치아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매복치의 치근 만곡 정도를 3D C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악궁 총생량 및 매복치 가용공간은 환자의 초진 모델상에서 측정하였다. 결 과 : 치근 형성이 완료된 상악 매복치에서는 높은 비율로 (54.7%) 20°이상의 치근 만곡이 발생하며, 성별과 매복치 치근 만곡의 발생은 관련이 없었다. (p value=0.396) 악궁 내 치열 총생 및 매복치 가용공간과 매복치 치근 만곡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r=-0.012, -0.12) 결 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치근 형성이 완료된 매복치의 치근 만곡이 높은 비율로 발생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임상가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1. 매복치 환자의 치료 시 3차원 CT 촬영은 필수적이며, 정확한 분석을 통해 치근 만곡의 유무 및 그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2. 매복치 치근이 발육함에 따라 만곡이 높은 비율로 발생하므로 치근 발육 완료 이전 매복치에 대한 교정적 개입이 추천되는 바이다.

      • Formation of InN through nitridation of In2O3

        정인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N nanoshells were fabricated by using nitridation of In grains sputtered on sapphire substrates.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ies of the sputtered In grains measured before and after nitridation show that In grains were seemingly transformed directly to InN, but further microstructur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nsformation of In to InN involved In2O3 as an intermediate phase. Our result illustrates that the oxidation of the In grains at low temperatures was more favored than the nitridation process and that the fabrication of InN from the pure In grains under an atmospheric thermal process might inevitably follow this two-step pathway.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는 직접 천이형 밴드갭 구조를 가지고 있어 광 발 광 소자 및 광 검출 소자 등과 같은 광전자소자에 널리 응용되고 있는 재료 이다. 그 중 InN는 질화물 중에서 가장 작은 에너지 밴드갭을 갖고 있어서 InGaN 혹은 AlInGaN의 형태로 제작될 경우 넓은 범위의 파장을 낼 수 있 는 자기 발광 소자로서 매우 촉망받고 있는 물질이다. 최근 InN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케리어 농도와 높은 전자이동도를 가진다는 연구보고가 발 표된 후 InN에 대한 학문적 또는 기술적 관심은 매우 빠르게 증폭되고 있 다. 가시 광 및 적외선 영역의 광 발생 특성에 따른 높은 관심에 기인하여 고품질의 InN를 성장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Ⅲ-Ⅴ족 화합물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동종 기판의 부재라고 말 할 수 있 는데 Ⅲ족 질화물 중에서 가장 큰 격자 상수를 가진 InN는 epitaxy 성장에 있어서 가장 큰 격자 결함을 갖고 있어 성장 가능한 조건의 범위가 타 Ⅲ족 질화물에 비해 좁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양질의 박막을 얻기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Sputtering을 이용하여 사파이어 기판 위 에 In을 먼저 증착 시킨 후 암모니아를 흘려줌으로써 InN 박막 및 나노 구 조체를 사파이어 위에 성장시켰고 그 성장 매커니즘을 x-선 산란, 주사전자 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In이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바로 InN이 되는 것이 아니라, 상압에서 이루어지는 nitiridation 과정에서 In의 산화가 진행되어 In2O3가 우선적으로 생성되고, In2O3가 암모 니아와 반응하여 InN가 되는 2단계의 과정을 확인하였다.

      • 유아 성교육에 관한 교사의 의식조사 연구 :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중심으로

        정인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사회는 급격한 사회·경제·문화의 변화로 인한 대중매체의 발달과 개방화된 문화양식의 영향으로 성 문화의 범람을 가져옴으로써 성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한 교육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성의 발달은 출생시부터 시작되어 일정한 순서를 따라 평생동안 지속된다. 그리고 성에 관한 기초는 어렸을 때부터 형성되므로 성교육은 태어날 때부터 실시하여야 하며 발달 단계마다 적절한 성교육의 지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유아 교육기관의 성교육 현황을 파악 검토하여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성교육 방향과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 교육기관에서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성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성교육 지도 방법 및 현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내에 위치한 유아 교육기관에 재직중인 교사 280명을 무작위로 표집하여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280부 중 최종 219부를 연구자료로 삼았다. 자료 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에 의해 통계 처리하여 빈도수에 따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성교육 필요성에 대해서 절대 다수의 교사가 유아 성교육은 필요하다고 반응하였고, 유아 성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이성에 대한 올바른 태도 함양’,‘성교육을 통한 인간·인격교육’이라고 응답해 대부분의 유아 교사들은 바람직한 인간형성을 위해 유아 성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유아 교사들이 유아들로부터 받는 성에 대한 질문으로는‘출생과정’,‘아기의 기원’,‘남녀의 신체적 차이’,‘결혼에 관한 것’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유아의 성에 관한 행동이나 놀이에는‘소꼽놀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치마 들치기’,‘병원놀이’, 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하고 있는 기관에서는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의 질문에 대해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기관에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거나 앞으로 실시할 예정이라고 응답했다(81.2%). 성교육을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실시한다, 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시한다 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유아 교육기관의 성교육 자료에 대한 조사에서는 절대 다수의 교사들이 불충분하다고 응답했고, 성교육을 실시할 때 사용하는 교육자료에 대해서는 그림책, 비디오, 그림자료 등의 순으로 응답했으며, 성교육 활동을 할 때는 이야기나누기, 동화 들려주기, 비디오·슬라이드 보여주기 등으로 활동한다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성교육은 누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 절대 다수의 교사들이 부모, 교사, 전문가가 함께 담당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교사의 성교육 연수에 대해서 절대 다수의 교사는 연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성교육 연수 경험에 대해서는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교육기관 교사가 유아 성교육에 대하여 지식을 획득한 방법은 매스컴(TV. 라디오. 잡지. 신문)을 통해서가 대부분 이였고 서적, 성교육 연수 등 순 이었다. 유아가 성에 대해 질문할 때 적당히 넘어가는 이유는 많은 수의 교사가 지식이 부족해서라고 응답하였고 그 다음이 대답할 방법을 몰라서라고 응답해 유아에게 성교육을 실시할 때의 문제점으로 교사들은 성교육 자료의 부족과 교사 자신의 지식부족 또 기관의 사정 등 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 연구기관과 전문가의 연구제작 참여로 이루어진 유아 성교육 자료개발이 요청되며, 적극적인 교사교육이 시급하다고 본다. In recent days,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has been seriously emerged as task of education since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s well as open pattern of culture mode due to rapid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nge brought up over-flowing of sex culture in our society. The development of sex starts from the birth and continues during lifetime in a certain order. Besides, the base of sex forms since infant-hood, consequently the sex education shall be instructed with relevant sex education per each state of development from the day of birth. From this a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direction and method of sex education by identifying current state of sex education operated in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e. For accomplishing objectives of research, the tasks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ing. Research task 1. How i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to necessity of sex education in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e? Research task 2. How i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to contents of sex education in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e? Research task 3. How i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to instruction methodology and existing state of sex education in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e? The study has been operated in the matter that I distributed question papers targeting at 280 random teachers in office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e located in Kyongki Province, Korea. 219 papers out of 280 were finally made as research materials. The analysis of materials was processed through SPSS/PC+ programs, statistics and percentage according to a frequency lev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1. A majority of teachers in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e responded that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of infants is required. The major reasons for sex education were proved to be: 'Nurturing of appropriate attitude to other sex', 'Education of human being and characteristics through sex education'; which showed that the sex education of infants seemed to be rather required for the purpose of desirable human being formation targeting at most of infants. 2. The questions about sex delivered from infants to infant teachers were proved to be: 'Courses of birth', 'Origin of a baby', 'Physical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Marriage, etc' in the question paper order. 3. The plays and acts for instructing sex to infants took most of percentage with 'Mud play', 'Lifting skirts', and 'Hospital play' in the order. Furthermore, most of teachers in office of the sex education institute answered that they were operating sex education or are scheduled to operate it in reply to the question "Is your institute operating sex education to infants (81.2%). With regards to method of sex education, most of teachers replied that it operates sex education in related to instruction activities and it operates sex education based upon instruction plans. In light of materials investigation of sex education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e, most of teachers answer that they found it insufficient and answered that they used picture books, videos, and picture materials regarding to education materials at the time of sex education. They answered that they host sex education activities in an order of talking to each other, fairy tales reading, video and slides presentation when they would like to make sex education activities. In light of the following question "Who should be in charge of sex education in a desirable way?", a majority of teachers answered that the parents, teachers, and specialists should be in charge of that. A majority of teachers answered that they would not feel the necessity of training regarding training of sex education. However, they were proved to have no experience in sex education training. The teachers in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e could obtain sex education knowledge through mass communication (TV, radio, magazines, newspapers) in an order of paper materials and sex education training. A majority of teachers replied that they could not answer the infant's sex-related questions because of their lack in knowledge. The second answer was that they could not express how. The troubles that the teachers confront in the course of sex education delivery were proved to be lack in sex education materials, teachers' lack in knowledge, and reasons from institutes. Accordingly, materials development of infant sex education with a participation of specialists as well as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hall be urgingly required with affirmative education provision to the teachers.

      • 야생버섯 근권 토양의 미생물 상 분석 및 왕송이 버섯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 조사

        정인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버섯은 맛과 풍미가 좋은 건강식품이면서 기능성 소재로서 식의약 및 화장품 제조 등에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동시에 버섯균은 난분해성 물질분해, 바이오펄핑, 리그닌 분해, 효소 생산 등 생명공학을 이용한 경제적 이익 창출이 높은 귀중한 유전자원이다. 전 세계적으로 1,600여 종이 존재하며 식용 가능한 버섯은 100종이며 이중 재배가 가능한 종은 33 여종이다. 버섯의 인공적 재배는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산업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경제적으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국내의 버섯 산업은 재배종이 다양하지 않아 산업 발전이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야생버섯 자원의 확보와 더불어 버섯 근권에 대한 생태적 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야생버섯에 대한 생태적 기초정보를 얻기 위하여 8종의 야생버섯의 근권토양을 채집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종 다양성 및 군집을 분석하였다. 버섯 근권토양 시료는 지리산 (달걀버섯, 투구버섯), 제주도의 제주시 (뽕나무버섯, 왕송이버섯), 서귀포시 (곰보버섯, 가송이버섯, 털붓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에서 확보하였다. 더불어 제주도에서 새로운 소재로 이용이 기대되는 왕송이버섯에 대하여 균사체를 이용하여 생리‧화학적 특성 조사를 진행하였다. 버섯 근권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달걀버섯, 뽕나무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은 사질양토, 투구버섯, 왕송이버섯, 털붓버섯은 양질사토, 곰보버섯은 사토이었다. 가송이버섯은 토양 성분이 적고 유기물함량이 높아 토성 분석이 불가하였다. 토양 산도는 왕송이버섯 근권의 경우 산성, 나머지 7종 버섯근권의 경우는 약산성에 가까웠다. 미생물의 종 다양성은 배양법과 비 배양법으로 진행한 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8종의 야생버섯 근권토양에서 직접 분리 동정된 세균은 총 14속 29종이었다. 진균은 14속 27종이 분리 동정 되었다. 세균은 Pseudomonas 속이 우점이었고 진균은 Trichoderma 속이 우점을 차지 하였다. 비배뱡법으로 진행한 Microbiome 분석 결과 세균의 경우는 속 수준에서 Bradyrhizobium 속이 투구버섯, 달걀버섯, 곰보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 근권에서 우점 세균으로 나타났다. 진균의 경우는 뽕나무버섯, 곰보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 근권에서 Mortierella 속이 우점으로 나타났다. Simpson과 Shannon 지수로 볼 때 세균 다앙성은 곰보버섯 근권토양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가송이버섯 근권토양이 이었다. 진균 다양성 또한 곰보버섯이 근권토양에서 가장 높았다. 왕송이버섯 2균주를 대상으로 생리‧생화학적 특성 주사를 진행하였을 때 두 균주는 pH 5 ~ 6 조건에서 균사 생장이 좋았다. 광 조건과 암 조건에서 배양시 암 조건에서 균사생장이 더 좋았다. 발색배지를 이용한 세포외효소 활성 조사에서는 Avicelase, pectin, Xylanase, protease, CM-cellulase, amyalse 활성을 나타내었다. Tricoderma 4종과 대치배양을 진행하였을 때 모두 길항 능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야생버섯의 근권 환경에 대한 과학적 정보는 향 후 인공재배의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