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놀이기반미술치료가 자해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은옥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s for improving self-elasticity and reducing daily stress, to examine youth's self-elasticity, daily stress, and stress response, and to verify their impact on self-elasticity, stress and behavior. Five specific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First of all, what about the self-elasticity and the daily stress of adolescents? Ig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Is the group applying the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 better self-elastic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third research problem is, does the group that applies the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 reduce the daily stress of teenage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is: Are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 applicants better at coping with stress than control groups? Igo, fifth, does the research question reduce the self-harm behavior of groups applying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s? Ida. The program development of this study established goals and goals by restructuring the literature analysis and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s (Jeong Eun-ok, Cho Kyung-deok, 2019) on the self-elasticity, daily stress, stress response, self-harm behavior, and art therapy of adolescents. The program was structured in the early, mid-term, late-term, and final stages. In the beginning, it was composed mainly of Lapo Formation and Tensewan, focusing on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understanding in the middle, focusing on emotional acceptance and self-acceptance in the latter, and self-integration and self-support at the end. For this study, four structured surveys were conducted on 15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mmissioned counseling with self-harm behavior and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ong-gu area of Daejeon City, where they are attending.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to distribute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500 individuals.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480 copies after 500 copies were distributed, but a total of 466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14 questionnaires with missing values due to double selection and insincere responses. Fifteen teenagers who express stress through self-harm behavior were set up as experimental groups, and 15 students with similar average were randomly selected as control group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our questionnaires. The self-inflicted behavior questionnaire was further investigated only by experimental groups for protection due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n order to improve self-elasticity, reduce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 once a week, 90 minutes each time, and a total of 12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and collective average analysis using the SPSS Ver.21 statistical program, scoring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by pre-post examination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test, aptitude correlation, and positive factor analysi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I was able to check the self elasticity and stress of teenagers. The self-elasticity of teenagers is high when they are composed of parents, when siblings are more than four, when friendship is more than seven, and when grades are better. The stress of teenagers is high when they are in grandparents' homes, when brothers are only children, when there are more than seven friends, and when grades are hig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lasticity and stress response of teenagers who express their stress with self-harm actions were lower than the average of teenagers and that the daily stress was higher. Second,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s for adolescents have shown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elasticity of adolescents. He showed signs of flexibility in solving problems with the belief that he can control his emotions in stress situations. Third,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s for adolescents have shown significant effects in reducing the daily stress of adolescents. Stress was relaxed and lowered by expressing suppressed emotions and thoughts through language, body and art media. Fourth,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s for teenagers have shown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ing stress response for teenagers. Expressing self-emotion, he/she formed his/her own way of dealing with stress in term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nd improved his/her positive ability to control behavior. Fifth, the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 for teenagers has shown significant effects in reducing self-harm behavior among teenagers.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were reduced as they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the stress situations they felt during their daily lives by expressing their emotions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and controlling their perceptions, emotions, and behavior.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eenagers who express their stress with self-harm actions were lower in self-elasticity and stress response than their peers, and that daily stress was higher. Play-based art therapy programs conducted on teenagers who express stress with self-harm behavior improved the self-elasticity of teenagers and reduced daily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by forming their ability to cope with stress. Therefore, self-harm behavior was also reduced when efforts were made to improve the self-elasticity of adolescents, as well as efforts to reduce stress. In order to improve the self-elasticity of adolescents, Lee Ji-young and Kwon Seok-man (2006) can be divided into physiological, cognitive, behavioral, and empirical methods. Physiological aspects include breathing and meditating, cognitive acceptance, planning, positive thinking, positive re-evaluation and perspective, behavioral aspects include listening to music, playing musical instruments, watching movies, exercising, walking, and cooking. Experiential aspects include laughter, shouting, feeling, pleasant imagination, and happy memories to express emotions. By utilizing these methods, you can have positive results, experience, and emotional changes as well. Key words: Self-elasticity, youth daily stress, stress response, self-inflicted behavior, play-and-play anti-art therapy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향상과 일상적 스트레스감소를 위한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를 살펴보며, 자해행동으로 스트레스를 표출하는 청소년 대상으로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시킨 후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향상과 스트레스 및 자해행동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섯 가지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문제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이고, 둘째 연구문제는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탄력성이 향상하는가? 이며, 셋째 연구문제는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청소년 일상적 스트레스가 감소하는가? 이다. 넷째 연구문제는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대처가 향상하는가? 이고, 다섯째, 연구문제는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집단의 자해행동이 감소하는가? 이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자해행동, 미술치료에 대한 문헌분석과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정은옥, 조경덕, 2019)을 재구성하여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후기, 마무리단계로 구조화하였다. 초기에는 라포형성과 긴장이완을 중심으로, 중기에는 감정표출과 자기이해를 중심으로, 후기에는 감정수용과 자기수용을 중심으로, 마무리에는 자기통합과 자기응원하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자해행동으로 상담을 의뢰한 중학생 15명과 그들이 재학 중인 학교 및 대전시의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4개의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연구대상자 500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500부 배부 후 480부를 회수하였으나 이중선택과 무성의한 응답으로 결측값이 존재하는 1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46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해행동으로 스트레스를 표출하는 청소년 15명은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4개의 설문지 분석결과 비슷한 평균을 보이는 학생 15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자해행동 설문지는 청소년의 발달특성상 보호차원으로 실험집단에게만 추가 조사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향상과 스트레스 및 자해행동감소를 위해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1회, 매회 90분, 총 12주 동안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 통계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집단평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로 점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 적률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은 부모구성일 때, 형제는 4명이상일 때, 친구관계는 7명이상일 때, 성적은 상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는 조부모가정일 때, 형제는 외동일 때, 친구관계는 7명이상일 때, 성적은 상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해행동으로 스트레스를 표출하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는 또래청소년들의 평균보다 낮고, 일상적 스트레스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을 위한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스트레스상황에서 자기감정을 조절하며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문제해결을 위해 유연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을 위한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억압했던 감정과 사고를 언어와 신체, 미술매체로 표출함으로써 스트레스가 이완되고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청소년을 위한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를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자기감정을 표출하면서 인지·정서·행동 측면에서 자신만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형성하고 긍정적인 행동조절능력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다섯째, 청소년을 위한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해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자기이해와 탐구를 통해 감정을 표출하고 인지·정서·행동을 조절함으로써 일상생활경험 중 느꼈던 스트레스상황에 보다 긍정적으로 대처하면서 스트레스와 자해행동이 감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자해행동으로 스트레스를 표출하는 청소년이 또래청소년들보다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가 낮고 일상적 스트레스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해행동으로 스트레스를 표출하는 청소년에게 실시한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형성함에 따라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해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과 동시에 스트레스감소를 위한 노력이 수반될 때 자해행동 또한 감소되는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스트레스 대처방법으로 이지영과 권석만(2006)의 생리적·인지적·행동적·체험적 측면으로 구분한 방법들을 활용할 수 있다. 생리적 측면으로는 호흡하기와 명상하기가 있고, 인지적 측면으로는 수용하기, 계획하기, 긍정적인 생각하기, 긍정적인 재평가와 관점 맞추기가 있으며, 행동적 측면으로는 음악듣기, 악기연주하기, 영화보기, 운동하기, 산책하기, 요리하기가 있다. 체험적 측면으로는 정서체험과 표현하기로 웃기, 소리 지르기, 느낌적기, 즐거운 상상하기, 행복한 기억하기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활용함으로써 긍정적결과 경험은 물론 정서적 변화도 가질 수 있다. 주요어 : 자아탄력성, 청소년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자해행동, 놀이기반미술치료 프로그램

      • 심리적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정은옥 전북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탄력성 척도를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연구에서는 심리적 탄력성을 번안하고 대학생 244명(M=20.9세)에게 심리적 탄력성 척도를 실시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미래지향성, 감정조절,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신뢰도는 α = .739~.899였다. 본 연구에서 심리적 탄력성과 준거관련 척도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생 626명(M=20.5세)에게 심리적 탄력성 척도, 자존감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탄력성 각 하위 요인은 자존감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스트레스 전체와 심리적 탄력성 전체 점수간의 상관의 경우, 장래, 가치관, 친구와의 문제에서 역상관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과의 상관의 경우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은 장래문제에서만 역상관을 보였으며, 나머지 요인 간에는 부분적으로 역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탄력성과 SCL-90-R의 관계를 살펴보면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은 우울에서만 역상관을 보였으나, 나머지 요인 간에는 높은 역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심리적 탄력성, 자존감, 생활스트레스, 간이정신진단검사, 타당화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정은옥 순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that affect in order to reduce infant problem behavior and improve mental health,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in infant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he relevant variabl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to make positive changes i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to help with parental education,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data for establishing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systems. For the purpose of in this research Let's look at the following issues. IS Research issues 1 What is the status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infant problem bchavior? Research issues 2 Are there differences in Parent's Parenting attitudesand infant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 issues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Research issues 4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Research issues 5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infant problem behaviors of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Subject to the main study were father. mother, and homeroom teacher of 202 infant aged 3 to 5 years old who go to a national public nursery and kindergarten in Yeos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the state of the infant problem behavior, Parent's parenting attitude is has been shown that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are higher than controlled parenting attitudes. The infant s problem behavior was shown in the order of hyperactivity. anxiety and hostile aggression understatement, and the most common of infant s problem actions was hyperactivity Second,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was shown to be positive for in the infant's birth order the third person than for the only child and the first child, and positive for the mother when she was unemployed rather than when she was empioyed. In the very intimate group of couples and in the temperament of infants, the father's upbringing attitude was positive in infant gentle temperament Third,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ant’s age. It was positive for infants aged 5 years older than those aged 3 or 4 years ol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under 4 million won Fourth, Infants problem behavior was Boys were higher than girls in gender of infants. when the father's academic background is a graduate of a technical college, Problem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high school and college graduation. My mother's academic background is that the group that graduated from high school was problem behavior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that graduated from technical college and university Fifth, The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of the mother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father's. the controlling parenting attitude of the father was higher than the mother's. In terms of overall parenting, the father's attitude was high and positive. Sixth, Infant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it was not very correlated with h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Though the perception of father's parenting attitude has changed, it still suggests that the mother's upbringing attitude is important. Seventh, The type of problem behavior of infantile hyperactivity, significantly anxiety, and antagonistic atrophy in infant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ag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temperament of the infant, the types of problem behavior showed a high difference in hyperactivity than other behavioral types. Eighth, The type of problem behavior of the infa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other s affectionate and controlled upbringing The type of hyperactivity problem behavior in infa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controlled Parenting attitude While father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is increasing, the mother's attitude to provide the most basic framework for the child's birth and growth is still very important, according to this study. However, given that the mother's affectionate attitude has increased the infant's hyperactivity disorder typ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ther's upbringing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infant, as the increasing number of working mothers causes stress and role conflicts to change the upbringing attitude. Therefore, we believe that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o expand the work-home compatibility system for working women so that mothers’ attitude toward raising their children can be positively reflected in their child's upbringing

      •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정은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생활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예측 변인으로 선정하고 그 변인들이 어떠한 직·간접적인 효과를 보이는지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교수-학생의 상호작용 경험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둘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하위요인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성별, 학년별, 계열별로 차이를 가지는가? 연구의 대상은 충북에 있는 4년제 대학생으로, 편의표본 추출법을 활용하여 259명의 설문자료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IBM SPSS/WIN Ver.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각 하위요인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별, 학년별, 계열별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를 실시해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에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모든 하위 요인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게 나왔다. 그러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상호작용의 하위 요인 중 일반적 상호작용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학년별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1, 2학년의 경우에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3개 각각의 하위 요인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3, 4학년의 경우에는 일반적 상호작용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 계열별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문사회계열의 경우에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3개의 각각의 하위 요인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공계열과 예체능계열에서는 개인적 및 일반적 상호작용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늘려 활발한 학습 참여를 유도하고 성취경험, 대리경험, 정서적 상태, 언어적 설득의 경험으로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남학생과 1,2학년, 인문사회계열의 경우에 상호작용의 3가지 하위요인 모두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학업적, 개인적 상호작용이, 이공계 및 예체능계는 학업적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방법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셋째, 대학 차원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수가 학생의 학습 질과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정책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앞서 제시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대학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연구 설문 대상이 K 대학에 한정적이어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주의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척도를 상호작용의 경험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종합적 이해를 위한 상호작용의 질에 대한 추가적 탐색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학생들 개개인의 학습몰입 형태와 수준에 대해서는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심층 인터뷰와 같은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을 혼합하여 연구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flow in universities and derive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and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ly, we considered the faculty–student interaction that affects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flow a predictive variabl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effects. In addition, we used academic self-efficacy as a medium to analyze the faculty–student interaction experience’s impact on learning flow. The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academic self-efficacy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Second, doe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differ by gender, grade, and maj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They were sampl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with grade and series. Subsequent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study variables and, finally, the data of 259 individuals we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WIN Ver. 27.0 program. Results revealed that faculty–student interaction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but also partially affects academic self-efficacy. Further, we examined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differed by gender, grade level, and maj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As a result of conducting a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personal, and general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which are th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ccording to gender,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for male students. However, for femal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among the interaction subfactors was not significant. Subsequent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by grade level. For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all the mediating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among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However,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was not significant. Then, we investigated academic self-efficacy’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by major. For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nd general interaction and learning flow was not significant in the science and arts departments.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faculty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students,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students’ learning flow. Second, for male students, first and second graders, an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all the three interaction sub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On the other hand, since female stud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nd personal interactions and academic interactions in science, engineering,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flow,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method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s to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professors’ learning quality and learning performance by establishing a system that can promote university-level faculty–student interaction. Fourth, our findings necessitate devising ways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to encourage positive faculty–student interactions. The first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survey are limited to K University, due to which caution must be exercised in generalizing research results. Second, this study focused the faculty–student interaction scale on the experience of interaction; hence, further examination of interaction quality is required. Third, since this study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detail the type and level of learning flow for each student. Fourth, further research us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is required.

      • 초등학생들의 비만도 변화추이 분석

        정은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nsitions of obesity and to analyze the obesity-related factors for improving the health guidance and controlling the rate of obesity in elementary school.A total of 615 students from third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er were studied from August 27 to September 5th in 2007. A retrospective study was applied to analyze the transitions of obestiy and the obesity-related factors. For data collection student health examination record and questionnaire were used.For data analysis, SPSS/PC(Version 12.0) has been used and McNemar test and χ²-test were utilized.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incidence rate of obesity became higher as students got old. (e.g. 4.9% in third grade, 5.3% in fourth grade, 7.2% in fifth grade, 9.9% in sixth grade)2. The consciousness for obesity in each student and mother's obesity were very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obesity.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terview with six students from normal group who were in obese group before, their obesity was improved by changing of exercise, diet, habit of life style and growth of hight.The rate of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is increasing rapidly as students grow. Among many factors, mother's obes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refore, it is very effective strategy for parents to participate in the obesity-care program for their children. 비만인구의 증가는 초등학생에게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율은 1970년대 2~3%정도에서 1980년대 7~9%, 1990년대 14~15%, 2002년에는 28.8%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비만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이들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비만관리와 보건교육지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개 초등학교 3, 4, 5, 6학년 남녀 아동 615명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8월 27일부터 9월 5일까지로 총 10일에 걸쳐 학생건강기록부의 비만도 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추가로 비만에서 정상이 된 군의 아동 6명은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연구방법은 학교 내부자료인 학생건강기록부를 활용한 후향적 조사연구로서 현재 학년의 비만도를 1학년 때 체중과 비교하여 정상유지군, 정상에서 비만이 된 군, 비만지속군 세 그룹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비만도 변화추이 및 연구대상자의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관적 인지 특성, 건강생활 실천정도, 식습관 특성)에 따른 비만도 변화 차이를 분석하였다.자료분석방법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구체적 목표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고, McNemar test와 χ²-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비만도 변화추이 분석에서 초등학교 1학년 때는 정상체중이었던 아동들이 학년이 증가할수록 비만이 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고학년일수록 비만으로 되는 증가 폭이 커졌다. 즉, 3학년 때는 4.9%, 4학년 때는 5.3%, 5학년 때는 7.2%, 6학년 때는 9.9%로 증가하였다.둘째, 연구대상자의 특성별 비만도 변화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인지 특성인 비만인식과 어머니 비만이 비만도 변화의 매우 유의한 변인이었다(p=.000).셋째, 개인 면담결과 비만에서 정상이 된 군 6명의 아동은 운동 및 식사조절, 생활습관 교정, 신장증가 등으로 비만상태가 개선되었다.이상과 같이 초등학생의 비만도 추이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정상에서 비만이 된 아동이 증가되었고, 비만도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 비만이었다. 따라서 가정에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중요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아동 비만관리를 위해서는 부모를 참여시키는 전략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삶의 만족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정은옥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실제-이상자기불일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삶의 만족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매개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20세 이상 일반인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0.0 및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는 자료를 활용하여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는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삶의 만족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삶의 만족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삶의 만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삶의 만족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삶의 만족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경로를 통해 완전매개 하였다. 이상의 연구가 함의 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이 삶의 만족으로 나아가는데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완전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상담개입의 목표로 삼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변화시키기 쉽지 않은 변인인 개인의 성향 자체를 바꾸려고 하기 보다는 변화가 가능한 무조건적 자기수용에 초점을 두고 상담에서 내담자를 돕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지닌 내담자가 자신의 성과에 관계없이 있는 그대로 자신을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고, 안정적이고 일관된 자기개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면 이들이 좀 더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on self-discrepanc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300 office workers include college students in entire country. Th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the data obtained through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ual-ideal discrepancy showe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on actual-ideal discrepancy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ediated completely through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pathways. The implications of these study is as follow.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leads to life satisfaction. It is suggested that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should be the goal of counseling intervention in the counseling scene by verifying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It means that it is effective to help the client in counseling by focusing on the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which can be changed rather than changing the tendency of the individual which is not easy to change. In other words, if a client with a fear of negative evaluation develops an attitude acceptable to him regardless of his or her achievement and helps them to have a stable and consistent self-concept, they will be able to live a happier lif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업가치관, 일의 의미, 돌봄행위에 대한 세대 차이

        정은옥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병원 간호사의 세대 간 직업가치관, 일의 의미, 돌봄행위의 차이를 파악하고 각 세대별로 돌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남 J 시와 C 시에 있는 2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총 249명(X세대 125명, Z세대 124명)이며, 자료수집은 2021년 8월 16일 부터 2021년 9월 25일까지 시행되었다. 직업가치관은 임언 등(2001)이 개발한 직업가치관 검사 도구를 정윤경 등(2014) 수정하여 2014년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조사에 사용한 도구, 일의 의미는 Steger 등(2012)이 개발한 Working as Meaning Inventory를 김수진(2014)이 번안한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 돌봄행위는 Wolf 등(1994)이 개발한 Caring Behaviors Inventory 를 Wu 등(2006)이 수정하고 이를 김나연(2017)이 국문 번역한 돌봄행위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간호사의 세대별 일반적 특성, 직업가치관, 일의 의미, 돌봄행위 정도에 대한 서술 통계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직업가치관, 일의 의미, 돌봄행위의 세대차이는 t–test, χ2-test로 분석하였으며, 간호사의 세대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 일의 의미, 돌봄행위 정도의 차이는 t-test, ANOVA,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세대별 직업가치관, 일의 의미, 돌봄 행위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간호사의 세대별 돌봄행위에 대한 영향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업가치관에 대한 세대차이 (1) X세대 간호사의 직업가치관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경제적 보상 6.15±.74점이며 가장 낮은 문항은 사회적 기여 5.12±.99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최종학력(F=3.08, p=.049), 총 임상경력(t=-3.31, p=.001), 현부서 경력(F=3.92, p=.010), 직위(F=5.36,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Z세대 간호사의 직업가치관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경제적 보상 6.21±1.03점이며 가장 낮은 문항은 사회적 기여 4.80±1.26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현부서 경력(F=3.09, p=.030), 근무부서(F=3.21, p=.026)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X세대가 Z세대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직업가치관은 능력 발휘(t=-3.96, p<.001), 사회적 인정(t=-4.23, p<.001), 자유재량권(t=-6.27, p<.001), 사회적 기여(t=-2.24, p=.026), 승진기회(t=-3.24, p=.001), 일의 흥미(t=-2.71, p=.007)이었다. 반면 시간적 여유(t=2.19, p=.030)는 Z세대가 X세대보다 점수가 높았다. 쾌적한 근무환경, 경제적 보상, 고용안정성, 자아실현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일의 의미에 대한 세대차이 (1) X세대 간호사의 일의 의미는 평균 3.68±.38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의 의미는 종교(t=2.93, p=.004), 총 임상경력(t=-3.02, p=.003), 현부서 경력(F=3.33, p=.022), 근무유형(t=-2.39, p=.018)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Z세대 간호사의 일의 의미는 평균 3.32±.58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의 의미는 총 임상경력(t=2.86, p=.005), 현부서 경력(F=2.94, p=.036), 멘토의 지지정도(F=2.83, p=.005), 직무스트레스 정도(F=-2.34, p=.021)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의 의미는 X세대가 Z세대 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t=-5.80, p<.001). 일의 의미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일에서의 긍정적인 의미(t=-4.62, p<.001), 일을 통한 의미 만들기(t=-3.31, p=.001), 공공의 선을 위한 동기(t=-7.61, p<.001)에서도 X세대 간호사가 Z세대 간호사보다 높았다. 3) 돌봄행위에 대한 세대차이 (1) X세대 간호사의 돌봄행위는 평균 5.04±.44점으로 나타났다. 돌봄행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없었다. (2) Z세대 간호사의 돌봄행위는 평균 4.55±.50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행위는 멘토의 지지정도(t=2.69, p=.008), 동료의 지지정도(t=2.44, p=.016)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돌봄행위 정도는 X세대가 Z세대 보다 높았다(t=-8.25, p<.001). 하위영역에서는 돌봄확신(t=-8.76, p<.001), 전문적 지식과 기술(t=-11.09, p<.001), 존중(t=-4.61, p<.001), 유대감(t=-3.21, p=.002)에서 X세대 간호사가 Z세대 간호사보다 돌봄행위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4) 돌봄행위에 대한 영향요인 (1) X세대 간호사의 돌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의 의미 하위 요인 중 일에서의 긍정적인 의미(β=.28, p<.001), 직업가치관의 쾌적한 근무환경(β=.23, p=.008)이며 이들 변수는 돌봄행위를 17.5% 설명하였다. (2) Z세대 간호사의 돌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의 의미 하위 요인 중 일에서의 긍정적인 의미(β=.29, p=.001), 직업가치관의 고용안정성(β=.23, p=.008)과 능력발휘(β=.22, p=.01), 동료의 지지정도(β=.16, p=.034)이며 이들 변수는 돌봄행위를 28.0%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X세대 간호사와 Z세대 간호사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직업가치관은 경제적 보상이고 가장 중요도가 낮은 요인은 사회적기여로 나타났다. 그러나 X세대 간호사는 경제적 보상 다음으로 일의 흥미, 능력발휘였으나 Z세대 간호사는 경제적 보상 다음으로 시간적 여유, 쾌적한 근무환경으로 나타나 Z세대 간호사가 X세대 간호사 보다 직업생활에서 외적인 요소를 더 중요시 한다고 볼 수 있다. 일의 의미와 돌봄행위 정도는 X세대 간호사가 Z세대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X세대 간호사와 Z세대 간호사 모두에서 돌봄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의 의미로 나타났다. 돌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은 X세대 간호사는 직업가치관 중 쾌적한 근무환경이었으며, Z세대 간호사는 직업가치관 중 고용안정성과 능력발휘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조직의 세대 차이를 인식하며 세대 간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대학병원 간호사의 돌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간호사의 일의 의미를 높이고, X세대 간호사에게는 쾌적한 근무환경 제공을 위해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Z세대 간호사에게는 고용안정성, 능력발휘, 동료의 지지를 증진시키는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적극 권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neration gap in the job values, meaning of work, and caring behaviors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aring behaviors for each generation of nurses. The subjects were 249 nurses (X generation nurses: 125, Z generation nurses: 124)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in J and C cities in Gyeongsangnam-do.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6, to September 25, 202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heffe test, Chi 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SPSS/WIN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tional gap of job value 1) In the generation X nurses, the most important item was economic compensation of 6.15±0.74 point (range 1–7 point), and the lowest item was social contribution of 5.12±0.99 poi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job value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F=3.08, p=.049), total clinical experience (t=-3.31, p=.001),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F=3.92, p=.010), and position (F=5.36, p=.002)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2) In the generation Z nurses, the most important item was economic compensation of 6.21±1.03 point (range 1–7 point), and the lowest item was social contribution of 4.80±1.26 poi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job value according to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F=3.09, p=.030) and the work department (F=3.21, p=.026)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3) The mean score of generation X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tion Z in the ability performance (t=-3.96, p<.001), social recognition (t=-4.23, p<.001), discretionary powers (t=-6.27, p<. 001), social contribution (t=-2.24, p=.026), promotion opportunity (t=-3.24, p=.001), and interest in work (t=-2.71, p=.007) among the job values. The mean score of generation Z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tion X in the free time (t=2.19, p=.030) among the job valu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economic compensation, job security, and self-realization among the job values. 2. Generational gap of the meaning of work. 1) The mean score of meaning of work in generation X nurses was 3.68±0.38 point (range 1–5 poi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eaning of work according to religion (t=2.93, p=.004), total clinical experience (t=-3.02, p=.003),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F=3.33, p=.022), type of work (t=-2.39, p=.018). 2) The mean score of meaning of work in generation Z nurses was 3.32±.58 point (range 1–5 poi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eaning of work according to total clinical experience (t=2.86, p=.005),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F=2.94, p=.036), and mentor's support level (F=2.83, p=.005), job stress (F=-2.34, p=.021). 3) The mean score of generation X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tion Z in total (t=-5.80, p<.001) and in a positive meaning of work (t=-4.62, p<.001), meaning making through work (t=-3.31, p=.001), and greater good motivations (t=-7.61, p<.001) among the sub-factors. 3. Generational gap in caring behaviors. 1) The mean score for the caring behaviors of Generation X nurses was 5.04±0.44 point (range 1–6 point). There were no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ing behaviors. 2) The mean score of Generation Z nurses was 4.55±0.50 point (range 1–6 poi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aring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were mentor's support level (t=2.69, p=.008) and peer support level (t=2.44, p=.016). 3) The mean score of generation X was higher than generation Z in caring behaviors (t=-8.25, p<.001) and in assurance of caring (t=-8.76, p<.001), knowledge and skills (t=-11.09, p<.001), respectful (t=-4.61, p<.001), connectedness (t=-3.21, p=.002) among the sub-factors. 4. Influencing factors on caring behaviors. 1) Factors influencing the caring behaviors of generation X nurses were positive meaning at work (β=.28, p<.001) among sub-factors of the meaning of work, and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of among job values (β=.23, p= .008), which together explained 17.5% of the variables in caring behaviors. 2) Factors influencing the care behaviors of generation Z nurses were positive meaning at work (β=.29, p=.001) among sub-factors of the meaning of work and job security(β=.23, p=. 008), ability performance (β =.22, p=.01) among job values and peer support (β=.16, p=.034), which together explained 28% of the variables in caring behavior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job value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by generation X and generation Z nurses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s were economic compensation, and the least important factor was social contribution. Generation X nurses showed interest of work and demonstration of ability in work after economic compensation, but generation Z nurses showed free time and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after economic compensation, indicating that generation Z nurses place more importance on external factors in their job than generation X nurses The level of meaning of work and caring behaviors were higher in generation X nurses than generation Z nurses. For both generation X and generation Z nurses,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aring behaviors was found to be the meaning of work. Other factors influencing caring behaviors were that the generation X nurses had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among the job values, and the generation Z nurses showed employment stability and demonstration of ability in work among the job values and support from collegue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generation gap in nursing organizations and strengthen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caring behaviors of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the meaning of work should be raised first in both generation. And then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to provide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for generation X nurses, and to develop and apply strategies to increase employment stability, demonstration of ability in work, and support from colleagues for generation Z nurses.

      • 암환아의 어머니가 받은 퇴원교육과 퇴원후 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정은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Pediatric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form of childhood malignancy and 12% of childhood mortality is attributed to cancers. But more than 75 percent of the children diagnosed with cancer survive longer than 5 years after treatment and pediatric cancer is considered as a chronic disease because the treatment usually takes 2 to 3 years. Due to this long term treatment, there is a demand for education for mothers to provide quality care for pediatric cancer patients This study i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on development of systematic discharge educational programs for discharging cancer pati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 to February 28, 2005.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2 mothers whose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cancer and being treated at 3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previous literatures and researcher's clinical experiences. Using SPSS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core for education at the time of discharge from hospital was 2.38 in average, measured with the 4-Rating Scale. Among sub-areas of the education, infection management was scored highest, 2.57, followed by medication. 2)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were high in score for educational demand after the children's discharge from hospital, or 3.44 in average, measured with the 4-Rating Scale. Specifically, educational demand for dietary treatment was highest in score, or 3.63, followed by symptom management and medication in order. 3) The degree of education at the time of discharge from hospit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ducational demand after the discharge. 4) Such demand significantly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period passed after the discharge. 5) Mother's educational dem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her child with cancer, especially the first period of hospitalization(F=3.167, p=.016) and change in weight(F=3.752. p=.014) In conclusio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were higher in educational demand after the child's discharge from hospital than in education provided at the time of the discharge. Such demand wa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period passed after the child's discharge from hospital.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substantial actions that continuously provid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cancer who need special treatment and care over a long time after their discharge from hospital,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period passed after the discharge.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선호도

        정은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ell-dying means comfortable death, good death, happy death, and quality death and its culture has spread as many people have begun to think that quality of death is as important as quality of life. To respect patients' rights to make decisions for themselves,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ct (concern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for patients in hospice care or dying process) has been legislated for dying patients to decide whether to stop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act will be effective from February 2018 after three months of pilot peri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local community seniors' attitude toward and preference of advance directives to check how ready Korean seniors are to accept the advance directives and provide basic resources to systemize and spread the advance directives. The subjects were 200 65-year-old or older seniors using one senior college, one welfare center, and five senior centers in Seoul and they were surveyed from August 4, 2017 through September 4, 2017. Among the 192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12 quit before completion and 180 completed the survey. For the study tool, the Korean version of the 13 questions developed by Akabayashi, Slingsby & Kai (2003) on the attitude toward and preference of advance directives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Eun Sook Yoon (2009) was used. The data were processed on the SPSS WIN 21.0 program to find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analyzed using χ² and Fisher's exact test.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1. The subjects responded as follows in regards to the advance directives: 39.4% said they have heard of the advance directives and 6.7% have written the advance directives. Also, 86.7% agreed to the advance directives and 68.5% responded that it is because they ‘do not want leave the decision-making a burden for the family.’ Among those who were against it, 63.6% responded that ‘the family will decide what to do in such a case.’ The information to include in the advance directives was mostly about ‘whether to receive life-sustaining treatment at the terminal stage of disease and most of them preferred general directives, such as pain control or rejection to CPR. They wanted the advance directives to be followed as much as possible and 53.2% preferred documentation of the directives. In regards to the consent to life-sustaining treatment, 83.9% subjects said they would want to suppress pain and reject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80.5% wanted to be informed about the symptoms and prognosis. Also, 70.6% said they want to write the advance directives. 2. Considering the subjects' general demographics, the perception of advance directiv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χ2=7.814, p=.020), education (χ2= 17.093, p=.002), and monthly income (χ2=10.015, p=.040). 3. Considering the subjects' general demographics, the consent to advance directiv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χ2 =8.361, p=.039), marital status (χ2=14.029, p=.003), monthly income (χ2= 9.303 p=.010), co-residence with family (χ2=13.466, p=.004), and final decision-maker (χ2=8.906, p=.031). 4. Considering the subjects' general demographics, the determination to write the advance directiv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χ2=14.218, p=.027) and subjective condition of health (χ2=1.014, p=.040). In sum, the local community seniors' perception of advance directives was low, but their preference and determination to write it were high. The term 'advance directives' is still unfamiliar to both the general public and the medical practitioner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train people and promote the concept to spread the use of advance directives. Also, seniors should receive personalized training, individual counseling, and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so they can have accurate knowledge about the advance directives and make decisions about their condition and treatment close to death. The attitude toward and preference of advance directives according to the general demographics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but it was because there were not many studies in Korea to compare and the preceding studies of other countries showed different results because of difference in viewpoints and culture.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study to identify the related variables. This study discussed the seniors' attitude toward and preference of advance directives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systemized and active use of advance directives. 웰다잉(well-dying)은 편안한 죽음, 좋은 죽음, 행복한 죽음, 품격 높은 죽음을 의미하며, 삶의 질도 중요하지만 죽음에 질도 중요하다는 새로운 인식이 시작되면서 웰다잉(well-dying)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한다는 의미에서 임종기 환자가 자기결정에 따라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 할 수 있도록 연명의료결정법(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3개월의 시범 사업을 실시한 후 오는 2018년 2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선호도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노인들이 사전의료의향서를 수용할 준비가 어느 선 까지 와있는지 확인함과 동시에 이와 관련된 특성을 확인하여 사전의료의향서의 제도화와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1개 노인대학과 1개 복지관, 5개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2017년 8월 4일부터 9월 4일까지 총 200명에게 연구를 시행하였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192명 중 12명이 중도 포기하여 최종 180명에게 설문지를 완료하였다. 연구 도구는 Akabayashi와 Slingsby 그리고 Kai (2003)가 개발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선호도에 대한 설문항목 13문항을 윤은숙(2009)이 한국어로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χ²,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해 39.4%가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6.7%가 작성 경험이 있었다. 86.7%가 사전의료의향서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찬성하는 이유로는 ‘가족들에게 의사결정에 대한 부담감을 주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68.5%가 응답하였으며, 반대하는 이유로는 ‘그러한 상황이 왔을 경우, 가족들이 판단해 줄 것이다’라고 63.6%가 응답하였다.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 포함하고 싶은 내용으로는 ‘질환의 말기 상황이 되었을 경우 생명연장치료를 받을 것인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가장 많았으며, 작성 수준은 통증 조절, 심폐소생술 거부 등 일반적인 정도를 가장 선호하였다. 사전의료의향서 이행정도는 가능한 많이 일치하길 원했으며, 작성 방법으로는 문서화가 53.2%로 가장 많았다. 생명연장치료 동의여부에서는 통증만 억제하고 생명연장치료는 거부하겠다는 대상자가 83.9%였으며, 본인에게 증상, 예후 등 정보를 알려주길 원하는 대상자는 80.5%였다.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에는 70.6%가 작성의도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χ2=7.814, p=.020), 최종 학력(χ2= 17.093, p=.002), 월 소득(χ2=10.015, p=.040)에 따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지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종교(χ2=8.361, p=.039), 결혼 상태(χ2=14.029, p=.003), 월 소득(χ2=9.303 p=.010), 가족 동거 유형(χ2=13.466, p=.004), 최종 의사 결정자(χ2=8.906, p=.031)에 따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찬성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종교(χ2=14.218, p=.027), 주관적 건강 상태(χ2 =1.014, p=.040)에 따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작성의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약해보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지정도는 낮으나 실제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선호도와 작성의지가 높은 수준이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사전의료의향서 용어 자체가 일반인뿐만 아니라 의료진에게도 매우 생소한 개념이다. 이를 위해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 사전의료의향서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죽음이 실제적인 문제로 다가왔을 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본인의 상태와 치료에 대해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노인을 대상으로 한 맞춤식 교육과 개별 상담 및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의 태도 및 선호도가 선행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국내에서의 연구가 부족하여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고, 국외 선행연구들도 가치관이나 문화적 차이로 인해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고 사료된다. 관련변수의 확인을 위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무엇보다 본 연구를 통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선호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사전의료의향서의 제도화와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