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암세포 AGS세포에서 Triptolide에 의한 urokinas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 발현조절

        장희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Overexpression of uPAR has been known to correlate closely with tumor cell invasion and strategies to down-regulate their expression may ultimately be of clinical util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iptolide, a diterpenoid triepoxide extracted Chinese herb Tripterygium wilfordii Hook f., on the uPAR induction in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s. Triptolide inhibited the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 induced uPAR mRNA and protein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riptolide treatment was found to reduce the uPAR transcriptional activity. The stability of uPAR transcripts was not altered by triptolide treatment. To study the mechanisms for the triptolide-mediated regulation of uPAR, the signals involved in uPAR induction by PMA were investigated. The inhibitors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1 and 2 (Erk-1/2, PD98059), c-Jun N-terminal kinases (JNK, SP600125) and NF-kB (BAY11-7082) are inhibited the PMA-induced uPAR expression suggesting that PMA induced uPAR via multiple signals. Triptolide suppressed the PMA-induced the NF-κB activation but not the activation of Erk-1/2 and JNK. The suppression of NF-kB activation by triptolide was confirmed by NF-kB-dependent luciferase, dominant negative NF-kB mutants and I-kB degradation studies. Triptolide also abrogated the PMA-induced production of ROS, which are known to upstream modulator for NF-kB ac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iptolide may exert at least part of its anti-invasive effect in gastric cancer by controlling uPAR expression through the suppression of NF-kB activation and the production of ROS.

      • 달리기와 중량운동 순서를 달리 한 운동프로그램이 영양소별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

        장희정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운동프로그램은 건강과 관련되어 지방소비의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달리기와 중량운동의 운동순서를 달리한 운동프로그램이 영양소별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운동중 지방 소비의 효율성을 높이고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인천소재 I대학교 체육학부에 재학중인 남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같은 양의 운동을 운동 순서를 달리하여 중량운동 후 달리기와 달리기 후 중량운동을 실시하였다. 달리기 후 중량운동시와 중량운동 후 달리기시 운동순서에 따라 산소 섭취량과 이산화탄소 생성량을 토대로 호흡교환률을 이용하여 탄수화물과 지방이 소비되는 비율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가지 운동방법 모두 산소 소비량과 총 칼로리 소비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탄수화물의 경우 달리기 후 중량운동을 하는 운동형태에서 탄수화물 소비량이 더 높게 나타났고, 지방의 경우에는 중량운동 후 달리기를 하는 운동 형태에서 지방소비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운동중 휴식기에는 달리기 후 중량운동에서 산소 소비량, 탄수화물 소비량, 지방 소비량, 칼로리 소비량이 더 높게 나타났고, 회복기에는 중량운동 후 달리기에서 산소 소비량, 탄수화물 소비량, 지방 소비량, 칼로리 소비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Since any exercise program is related with health, we cannot bu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efficiency of fat consumption.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effects of the exercise programs combining jogging and weight training on nutrient-wise energy consumption in order to facilitate consumption of fat during exercise. To this end, 10 male students attending department of sports science of 'I'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exercise programs combining jogging and weight training. The subjects were urged to do weight training before jogging or vice versa. Then, intake of oxygen and output of carbon dioxide were measured after each session to analyze the amount of carbohydrate and fat based on the breathing exchange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oxygen and calorie consumption between two exercise programs, but carbohydrate was more consumed by weight training after jogging, while fat was more consumed by jogging after weight training. During rest after exercise, more oxygen, carbohydrate, fat and calorie were consumed when weight training followed jogging, and during recovery time, more oxygen, carbohydrate, fat and calories were consumed when jogging followed weight training.

      • 영성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동사섭(同事攝)을 중심으로

        장희정 연세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과 사회 전반에 걸쳐 더욱 영향력 있는 역적 리더쉽이 요구되는 오늘날, 삶의 5 대 원리라는 가치관 영역의 보강된 새로운 의미의 영성적 상담 프로그램으로 발전한 시점의 동사섭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와 영성 요인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독립 변인은 2001년 이후 가치관 영역과 웹 사이트 그리고 지역별 지지 모임, 고급 조력자 과정의 4 가지 영역이 보강된 보다 영향력 있는 새로운 영성적 의미로 발전한 동양적·본성적·영성적 의미의 동사섭 집단상담 프로그램이고, 종속 변인은 자아 존중감의 하위 척도별 효과로 보았다. 본 연구의 질적 조사는 2001 3월 웹사이트 개원부터 2003년 4월1일까지 사이트를 방문한 정회원 780명과 그리고 고정적 방문자 120명과 175회 소감문을 작서한 회원들에게 사이트를 통해 참여자들의 이해와 양해를 구하여 얻어진 89,790매의 소감문 중에서 영성과 관련된 소감문을 발췌하여, Westgate의 4 가지 영성 요인과 자아 존중감 요인 중 사회적 자아와 관련 있는 책임감·양심성·그리고 자기 수용성과 관련 있는 자기 표현·자기 신뢰의 하위 척도별 요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영성적 의미의 동사섭 프로그램 실시 후 자아 존중감과 관련된 영성 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양적 조사는 2003. 1. 6 ∼ 1. 11.에 실시된 새로운 의미의 영성적 프로그램의 실시 시기인 1975기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석 기법으로는 실시 집단과 비교 집단의 자아 존중감의 사전 - 사후검사 차이를 하위 척도별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영성적 의미의 동사섭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내적 가치·삶의 목적·초월적 경험·공동체 관계의 영성 요인을 모두 갖추고 있었고, 자아 존중감의 하위 요인인 자기 신�p·자기 표현·양심성·책임감에서 모두 높은 유의미성을 보였다. 몇 가지 제한성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가 의미있는 것은 첫째로 내담자들의 일상의 일부를 차지하는 영성·종교의 문제를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오늘날 새로운 영성적 의미의 동사섭 프로그램을 통한 자아 존중감과 하위 요인의 높은 유의미성을 살펴보는 작업이 상담 심리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해 볼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로 우리의 정서와 실정에 맞는 동양적·본성적·영성적 의미의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는 새로운 의미의 동사섭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영성 상담의 요인별로 질적 고찰을 통해 정리해 보면서, 현대 사회가 바라는 더욱 영향력 있는 영성적 상담이 오늘날 우리 사회가 바라는 영성적·종교적 상담의 합일점을 시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세째로 우리나라 상황에서 더욱 발전되어 갈 집단상담의 과정과 역동, 집단상담의 성과에 대한 표준적인 측정 방법 등을 프로그램이 발전해 가는 한 시점에서 모색해 보는 노력이 있었다는 점이다. 넷째로 동사섭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체험이 상담가 나름의 이론을 정립해 볼 기회가 될 수 있었고 개개인의 그 만큼의 성장드을 정리하여 볼 수 있었다는 점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pritual Factors in our whole life through Dong-Sa-Sub, New spiritual group counseling program added the five principal of values to demand for out spritual leadership today.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Dong-Sa-Sub, New Spritual·Oriental·Buddhistic group counseling program added the five principal of values, web site, spiritual community, and traning cource of professional helper and then, The Dependant variable was the effects of the four sub-factors of self-esteem. In this qualitative stduy, we considerd The Westigates' four spritual factors and 4 sub-factors of the self-esteem with the transcribed spritual passage from the 780 memberships', 120 fixed participants' in web site and 17th Dong-Sa-Sub groups' 89,790 impressions in 2001. 3. ∼ 2003. 4. 1 In this quantitative study, The participants of the 175th New spritual Dong-Sa-Sub group counseling program in 2003. 1. 6. ∼ 1. 11. To measuers the traning effect, Self-Esteem Test have been conducted as each a pre-test, post-test in 54 participants experimental group and 59 participants compared group. There are spritual 4 factors; An Aim in Life·Value of the Mind·Superiority·Community Relations through Dong-Sa-Sub, new spritual group counseling program. To see the effects, we put them into t-test of 4 sub-factors. Study Question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nence of Self-Esteem, four factors; Self-Confidence·Self-Expression·Responsibility·Conscientiousness through Dong-Sa-Sub, new spritual gorup counseling program.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ng-Sa-Sub, new spirtual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for Self-Esteem, four factors; Self-Confidence·Conscientiousness The spritual 4 factors are existed; An Aim in Life·Value of the Mind·Superiority·Community Relations in the transcrbed impressins through Dong-Sa-Sub, new spritual group counseling program. In spite of limit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ollowing facts.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cess to find out high reliabilities between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new spiritual Dong-Sa-Sub program can give an altrnative idea as spiritual and religious issues in clients' daily lives becomes unavoidable. Second, this study introduce new spritual Dong-Sa-Sub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has Spiritual·Oriental·Buddhistic meanings. In addition to, it shows that spiritual factors have a strong effect on modern society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Third, this study try to find the standards to measure the process and the outputs of the dynamin group counseling as Dong-Sa-Sub program proceeds. Fourth, Dong-Sa-Sub program gives an opportunity to organize research's own thoughts and to develop a personal growth as well.

      • 지지면 변화에 따른 curl-up 운동 시 복부 할로잉 운동이 체간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장희정 인제대학교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curl-up 운동 시 체간근육의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또한 curl-up 운동 시 복부 할로잉 운동의 적용이 체간 근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건강한 성인 14명(남성 9명, 여성 5명)으로 본 연구에 자발적인 참여를 하였다. 대상자는 curl-up 운동을 수행하며 각각 안정된 지지면, 불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복부 할로잉 운동을 동반한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하였다. 복부 할로잉 운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 생체피드백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 순서는 무작위로 진행되었다. 통계분석은 각 변수들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지면의 변화에 따른 근활성도의 변화는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2) 복부 할로잉 운동의 유무에 따라서는 복직근, 내복사근, 복횡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복부 할로잉 운동을 동반한 curl-up 운동 시 복직근의 근활성도는 줄어들고 내복사근과 복횡근의 근활성도는 증가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curl-up 운동 시 체간 근육은 불안정한 지지면보다 복부 할로잉 운동의 적용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자를 대상으로 curl-up 운동 시 장기적인 근활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

        장희정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 태도,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 이 연구는 어머니의 변인에 따라 부모의 양육 태도나 양육 스트레스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특히 사회적 지지에 따른 양육 태도와 양육 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어머니의 자녀수, 연령, 직업유무, 학력, 가계소득에 따라 어머니 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의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는 어떠 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3>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 가? 이 연구를 위해 어머니 185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에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자료한 자료는 SPSS 18을 활용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사회적 지원의 차이가 있는지 차이 검증을 실시하고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며, 상대적 영향력이 있는지 회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우선,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자녀수, 연령, 직업유무, 학력, 가계소득에 따라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인 일상스트레스, 역할스트레스에 사회적지지가 가장 상대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s parenting stresses, child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s. For this, three questions were asked. 1) Is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numbers of kids, mother’s ages, job existence, academic backgrounds and household incomes? 2) Is there any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s? 3) What factors relatively influence to mothers' parenting stresses? 185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SS 18 was used for analyzing the survey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numbers of kids, mother’s ages, job existence, academic backgrounds and household incomes. 2) Generall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rearing attitudes,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s. 3) Social support had a relatively high impact on daily stress and role- stress.

      • 도예작업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장희정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점토를 사용하여 도예작업의 전 과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은 경기도 A시 소재 A중학교의 교육복지 투자사업 대상 저소득층 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는 2010년 5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매 주 1회, 80분씩 총 18회기로 진행되었다.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측정은 프로그램 진행 첫회기 전에 사전검사, 종결회기에 사후검사,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과 검사 시기에 따른 반복측정 변량분석, 단순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예작업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의 수준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예작업이 갖는 특성 중 천연점토의 유연한 촉감성, 가소성과 더불어 점토작품을 가마소성 과정을 거쳐 완성된 도자기로 접해본 성공적인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예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변화하는 외부 환경과 심리·정서적 갈등상황에서의 적응적 대처를 돕는 개인내적 특성인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if group art therapy utilizing a whole process of clay ceramic work could cause effects on the self resilience of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adolescents under educational welfare program at A middle school in city A, Gyeonggi Provinc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8 and the control group of 8, receiving a total of 18 sessions of the therapy program, once a week, 80 minutes a session from May 20th, 2010 to September 15th, 2010. The participants' self resilience was measured at a pre-test before the first session, at a post-test at the last session, and at a follow-up test, one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rom the tests were compare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simple main effects were computed on SPSS 18.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eramic work-centered group art therapy yielded positive effect on the self resilience of the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Sub-categorie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Vitality, Emotional control, Curiosity, and Optimism also showed positive effect. These findings are attributed to the participants' successful experience of seeing clay being a complete ceramic through kiln firing, feeling the suppleness and plasticity of cla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inding that ceramic work-centered group art therapy yielded positive effect on the adolescents' self resilience, a personal trait which helps the person's ment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a changing and conflicting environment.

      •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경험

        장희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어린이집 원장이 경험한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가?” 이다. 이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해서 원장경력 5년 이상의 어린이집 원장 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인증제 또는 평가제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원장. 둘째, 원장의 업무를 수행한 현장 경험이 5년 이상인 원장. 셋째, 이전에 동일한 연구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원장. 이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코딩 과정을 통해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경험에 대해 고유 직무스트레스와 기타 직무스트레스의 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고유 직무스트레스는 ‘행정 및 재정, 시설관리’, ‘교육자’, ‘리더’의 범주로 나타났으며, 기타 직무스트레스는 ‘대인관계’, ‘업무지원’, ‘직무소진’의 범주로 나타났다. 그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 및 재정 시설 관리의 직무스트레스 경험이다. 어린이집에 구 비해야 하는 서류가 많고 보관의 어려움, 다양한 행정 및 회계관리로 인한 시스템 적응 기간 소요, 시설 개보수비와 원아 감소로 인한 재정문제, 안전을 위해 항상 신경을 신경 써야 하는 시설관리에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이다. 개정된 표준보육과정과 평가제의 1영역인 보육과정을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워했으며 이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리더의 직무스트레스 경험이다. 보육교사에게 전문성 향상을 위해 비젼을 제시한 경험에서는 교사는 자신의 권리만 찾으려고 전문성 향상에 노력을 하지 않은 점에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운영하면서 느꼈던 책임감의 경험에서는 운영에 관련된 직무를 처리하는 모든 과정에서 책임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그 중 영유아와 관련된 일에 더 많은 책임감의 직무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넷째, 대인관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경험이다.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책임감 회피, 불성실한 근무태도, 공감능력 부족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했으며, 부모와의 관계에서는 문제 상황을 어린이집에서 모두 해결해 주길 바라는 부모의 태도, 불만 사항만 이야기 하는 부모의 태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지역사회와의 관계에서는 민원 발생의 문제에 직무스트레스 경험이 나타났다. 다섯째, 업무지원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경험이다. 보육교직원의 공백 시 업무를 대신하여, 원장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직무 과중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여섯째, 직무소진의 대한 경험이다. ‘어린이집 일과를 마친 후 나의 모습’과 ‘원장으로 근무하면서 나에게 일어난 변화’ 로 정신적 육체적 피로감,무기력함, 긴장감, 두통, 수면장애, 위장장애, 우울증, 회의감 등의 직무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방안으로 현실적인 교육지원과 인력지원, 교육과정의 올바른 실행을 위한 정책적 마련, 원장의 복리후생과 처우개선의 필요성, 소신 있는 운영 철학이 반영될 수 있는 제도와 원장의 소통 능력, 보조교사의 현실성 있는 배치, 마지막으로 자존감 회복을 위한 내적 동기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job-related stress of the principal of daycare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job-related stress experienced by the principal of the daycare center?" In order to explore this research problem, a study was conducted on five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and the selection criteria were as follows. First, directors who have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an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or an evaluation system. Second, directors with at least five years of field experience in performing director's work. Third, directors with no previous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a same study.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the contents through co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ience of job-related stress by the director of the daycare center was categorized into the of unique job-related stress and other job-related stress. Unique job-related stress appeared in the categories of 'administration, finance, and facility management', 'educator', and 'leader', and other job-related stress appeared in the categories of 'personal relationship', 'work support', and 'job burnout'. The according contents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e job-related stress from administration, finance, and facility management. The job-related stress were many documents needed at daycare centers and difficulties in storage, time spent on adapting to the system due to various administrative and accounting management, financial problems due to facility renovation costs and reduction of daycare children, and facility management that must always be cared for the safety of children and teachers. The second is the job-related stress as an educator. It was difficult to apply the daycare-curriculum which is the area of revised daycare standards and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y were experiencing job-related stress accordingly. The third is job-related stress as a leader. In the experience of presenting a vision to improve professionalism to daycare teachers, teachers only sought their rights and did not make efforts to improve professionalism which led to job-related stress. In the experience of responsibility felt during the operation of business, responsibility was felt in all processes of handling tasks related to operation, and among them, more stress was felt due to tasks related to infants. The fourth is job-related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ere was stress from avoiding responsibility, lethargic work attitude and lack of empathy, an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re was stress from parents' attitudes that anticipate all problems to be solved at daycare centers, and parents' attitudes to only talk about complaints. In relation to the local community, job-related stress was experience in the problem of civil complaints. The fifth is job-related from work support. Job-related stress was felt from work overloa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director's work in place of the daycare staff's absence. The sixth is an experience of job burnout. They experienced job burnout such as mental and physical fatigue, lethargy, tension, headache, sleep disorders, gastrointestinal disorders, depression, and skepticism as "me after finishing my day at daycare center" and "change that happened to me while working as a director." As a result, realistic educational support and manpower support, policy for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the necessity for welfare and treatment improvement of directors and teachers, a system that can reflect the principles of operation, the director's communication ability, realistic arrangement of office workers or assistant teachers, and finally, the necessity of internal motivation to restore self-esteem were proposed as solutions.

      •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정신분열병환자를 대상으로

        장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사회생활을 해 나가는데 중요한 대인관계에서 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즉, 정신분열병환자들은 사회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거나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개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을 경험한다. 특히 대인관계 문제를 잘 해결하지 못함으로 인해 생기는 스트레스는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적응을 방해하고 증상을 악화시켜 재입원을 반복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사회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주로 모델링, 역할시연, 피드백, 사회적 강화 등의 절차로 이루어지는 행동주의 모형의 훈련방법이 사용되었는데, 근래에는 이러한 행동주의 훈련모형의 효과에 대한 일반화와 지속성의 제한점이 보고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인지적 과정에 대한 훈련이 포함된 문제해결 모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처리 과정에서 의미 있는 결손을 보이는 정신분열병환자의 경우에는 인지적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신분열병환자들이 배우기에는 매우 복잡한 과정으로 진행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사회기술을 훈련시키기 위해 개발된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을 정신분열병환자들에게 실시해 봄으로써, 정신분열병환자의 훈련 및 재활을 위한 새로운 훈련 도구로서 가상현실기법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기술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에 입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팀(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의 협의를 거쳐 병동에서 환자들과의 대화가 매우 적거나 거의 없으며 대인관계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여 치료팀에 의해 사회기술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지는 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20~45세로 제한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변수로는 성별, 나이, 발병연령, 유병기간, 학력, 결혼상태, 종교 등이 있다. 집단은 폐쇄집단으로 구성하여 2005년 10월 31일부터 11월 25일까지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5주 동안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방법으로는 단일집단 사전ㆍ사후 실험설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시작 3일 전과 프로그램 종료 직후에 동일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평가도구는 사회행동수준, 대인관계변화, 자기주장성,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첫째, [가설1]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사회행동수준이 향상될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환자들은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하여 한 회기의 주제와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역할연기 상황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적절한 사회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난 후 집단 안에서 다른 환자와 비슷하거나 혹은 다른 상황에 대한 역할연기를 경험하게 되며 마지막으로는, 가상현실을 통해 제공된 다양한 사회적 상황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이러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도록 하므로써 배운 사회기술을 일반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반복적이면서도 단계적인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회기술훈련의 과정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대화 내용의 적절성과 관련된 사회행동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가설2]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정신분열병환자들의 대인관계수준이 향상될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못하였다.즉, 정신분열병환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대인관계에서의 만족감,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 셋째, [가설3]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자기주장능력이 향상될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에서는 가상의 아바타와의 통제된 상호작용을 통해 상대적으로 불안 수준이 낮은 상태에서 필요한 사회기술을 충분히 학습 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반복한 후, 실제 상황에서 재경험하고 또한 예측할 수 없는 다른 상황들에 대해서도 대처하는 연습하고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는 정신분열병환자들로 하여금 불안 수준이 낮은 상태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환자 스스로 자신이 좀 더 주장적으로 말하고 행동할 수 있는 자신감이 생겼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프로그램이 끝난 뒤 환자들의 소감에서도 “실제 사람이랑 이야기하는 것 보다 덜 긴장되서 말을 좀 더 잘 할 수 있었어요.”, “좀 더 사람들한테 자신감있게 말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제 다른 사람한테 싫다고 거절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라는 등의 소감을 들을 수 있었다. 넷째, [가설4]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에서는 훈련의 내용을 소리, 글, 시각의 통합적인 형태로 제시하고 이를 실제와 비슷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지적 결손을 가진 정신분열병환자들에게 학습내용에 대한 기억향상과 주의집중, 프로그램 내용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훈련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 대처기술에 대한 단계적이고 반복적인 연습과 긍정적인 경험의 반복은 환자들로 하여금 어떠한 사회적 문제 상황에 대처하는 자기 확신이나 신념을 향상시켜 줄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프로그램에 참여 후의 소감에서도 환자들은 “이제는 제가 먼저 말을 걸어볼 수 있을 것 같아요.”라는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가설5]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사회기능 회복의 주요 동기가 될 수 있는 자아존중감의 변화에서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은 정신분열병환자들로 하여금 자신감과 함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정신분열병환자들은 재활에 대한 동기부여와 재활치료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신의 자발적이고 잠재적인 힘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회기술훈련이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시사해 준 결과라 생각된다. 프로그램 참여 후의 소감에서도 환자들은 “대인관계를 잘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사람들과 인사할 때, 밝은 모습으로 하는게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라는 반응들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사회사업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기술훈련의 기본 훈련모델인 사회학습행동모델에서의 제기된 훈련의 지속성과 일반화의 문제점, 그리고 문제해결모델의 인지적 손상을 가진 정신분열병환자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도구를 추가하는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많은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성에 관한 제언에서, 사회기술훈련을 위한 다양한 기자재와 도구의 활용은 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즉, 구체적 기술영역에 관한 video자료나 기타 시청각자료를 만들어 치료자로 하여금 프로그램 진행 및 교육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 사항들이 보고 되어 왔다. 이에 최근에는 프로그램 도구 개발과 관련하여 만화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교수방법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현실기법의 학습매체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정신분열병환자들로 하여금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프로그램 진행과 관련하여 주의력, 집중력, 기억력 등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정신분열병환자들의 훈련 및 교육에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정신분열병환자들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흥미 및 동기와 관련하여,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프로그램에 참석하는 환자들이 방송을 하지 않거나 찾아가지 않아도 프로그램 시간에 맞춰서 오는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신분열병환자들의 경우 음성증상으로 인하여 대인관계에 대한 욕구는 물론이며, 동기, 활력, 의욕 등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며 그로 인해,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거나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즐기려는 동기나 활력이 감퇴하게 된다. 따라서 사회기술훈련을 실시하여 지속적인 외적 강화를 통해 긍정적인 행동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이러한 외적인 강화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직접적인 흥미와 욕구를 높임로써 내적인 강화를 높이고 학습에 대한 동기를 고양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었을 거라고 생각된다. 넷째, 사회사업사의 실천적 개입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대상자의 변화를 치료자 혹은 정신분열병환자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 이외에 또 다른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하면 정신분열병환자들의 눈맞춤, 거리, 반응시간, 대화의 길이, 목소리의 톤 등과 관련된 변화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측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상현실기법이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함의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에 입원중인 정신분열병환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증상과 사회적 기능, 개인적 특성을 지닌 정신분열병환자들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추후조사 하는 과정을 통해 장기적인 효과까지 검증하려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집단의 연령과 수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집단의 경우도 20대에서 40대 후반까지 분포되어져 있어 자칫 지루할 수도 있고, 공감대나 친밀감이 형성되지 않아 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집단 구성원의 연령은 가능한 한 비슷한 연령대로 구성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은 새로운 훈련 도구로서 활용가능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상현실기법의 인지적, 언어적, 행동적, 내용적 특성 등을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본 프로그램을 진행함에 있어서 정신분열병환자의 특성과 관련된 혹은 가상현실기법의 특성과 관련하여 세부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정신분열병환자의 특성과 관련된 나이, 증상, 유병기간, 과거 사회적 경험 등의 요인에 따라, 그리고 프로그램 진행단계에서 사용되는 가상현실기법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 등에 따른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후속연구를 통해 정신분열병환자들 중 어떤 특성을 가진 환자군에게 어떤 가상현실기법의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상현실기법을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의 진행도구로 활용함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진행과 개입에 대한 경제적인 효과, 프로그램의 진행자로서 사회복지사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가상현실기법을 정신분열병환자에게 적용하는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이나 부작용과 같은 부정적인 효과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들을 함께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ave severe deficits in making and maintai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ue to these deficits,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ir role socially required as well as fulfilling their desire. Particularly, the stress from solving problem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important factor which repeatively disturbs social adaptation, make symptom severe, and then make them rehospitalize. Therefore, there have been many method used in order to improve social skill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Recently, conventional method conducting under a procedure having modelling, role playing, feedback, reinforcement is reported to have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and continuanc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training program including cognitive rehabilitation has been proposed. However, in cas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ing deficits in information processing, the training program including cognitive rehabilitation has weak points that patients could be hard to be trained due to the very complex process.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to train them with virtual reality program developed for social skills training and to investigate how the social skills of them would improve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As results, the group trained with virtual reality showed the improvement in social behavior, assertiveness, and self-efficacy, self-esteem, but did not show any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a new technique, virtual reality which is capable to measure social behavior objectively, was applied in social skills training and positive outcomes in the training by evoking patients' interest were shown. As a conclusion, I would like to make few remark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due to short-term and not repetitive training, wide range of subjects so that it could evoke unfamiliarity among subjects, lack of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to patients' symptom severity. In the future study, studies that could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at investigate the cognitiv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during virtual reality training, and that investigate the effects in economically saving and to the social workers, as well as the side effects or difficulties in using virtual reality should be conducted.

      • 거시 및 미시구조로 본 학령기 아동의 내러티브 쓰기 발달 연구

        장희정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은 학령기에 이르러 학교와 교실이라는 탈맥락적 환경에서 본격적으로 쓰기를 시작하게 된다. 쓰기에서의 문제는 장기적으로 학령기 후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학습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매체로 쓰기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내러티브 장르에 나타난 학령기 일반 아동의 쓰기 발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2, 4, 6학년 각 40명, 총 120명을 대상으로 ‘생일에 있었던 일’을 주제로 개인적 이야기 쓰기, 생일과 관련된 내용의 글자 없는 그림책을 보고 허구적 이야기 쓰기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쓰기 샘플은 내러티브의 거시구조 분석과 미시구조 분석을 통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내러티브의 거시구조는 내러티브 점수 체계(Narrative Scoring Scheme, NS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내러티브의 미시구조는 산출성(총 C-unit 수, 전체 단어 수(NTW)), 구문 복잡성(평균 C-unit 길이(MLC-w)), 어휘 다양성(서로 다른 단어 수(NDW)), 철자 정확성(철자 정확률 및 철자 오류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적 이야기에서 나타난 쓰기 특징을 살펴보면 거시구조에 해당하는 NSS 총점과 NSS의 도입, 심리 상태, 참조, 갈등 해결, 응집성 항목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수가 높아졌으며,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시구조에 해당하는 산출성(총 C-unit 수, NTW), 어휘 다양성(NDW)은 6학년이 2학년, 4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구문 복잡성(MLC-w)과 철자 정확률은 4학년과 6학년이 2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철자 오류 유형의 경우 모든 학년에서 음운 오류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표기 오류가 많았고 형태소 오류가 가장 적었다. 그 중 음운 오류율과 표기 오류율은 2학년이 4학년과 6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음으로 허구적 이야기 쓰기에서는 거시구조에 해당하는 NSS 총점과 NSS의 도입, 심리 상태, 참조, 갈등 해결, 응집성 항목에서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적 이야기의 결과와 일치한다. 다만 허구적 이야기에서는 심리 상태, 응집성 항목에서 모든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시구조에 해당하는 산출성(총 C-unit 수, NTW)과 어휘 다양성(NDW)은 6학년이 2, 4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구문 복잡성(MLC-w)과 철자 정확률은 4학년과 6학년이 2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철자 오류 유형의 경우 모든 학년에서 음운 오류가 가장 많았다. 허구적 이야기의 미시구조 분석 결과도 개인적 이야기의 미시구조 분석 결과와 학년 간 차이가 유사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거시 구조 분석 기준(NSS 총점)과 미시구조 분석기준(총 C-unit 수, MLC-w, NTW, NDW, 철자 정확률)의 6가지 항목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거시구조인 내러티브 점수 체계는 미시구조인 총 C-unit 수, NTW, NDW와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구조 항목 간에서는 총 C-unit 수 와 NTW, NDW가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었다. 또한 NTW는 NDW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총 C-unit 수와 MLC-w는 중등의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개인적 이야기와 허구적 이야기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철자 정확률은 허구적 이야기에서만 NSS총점, 총 C-unit 수, NTW, NDW와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개인적 이야기와 허구적 이야기 과제를 통하여 학령기 아동의 내러티브 쓰기 발달을 탐색하였다. 내러티브 쓰기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의 각 항목의 발달에는 학년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적 이야기와 허구적 이야기 쓰기에서 나타난 학년 간 차이의 결과는 유사했다. 일반 아동의 쓰기발달 양상을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일반 아동뿐만 아니라 언어 장애 아동의 쓰기 평가와 중재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When children attain the school age, they start writing in earnest in a de-contextualized environment called school and classrooms. In the long run, writing problems may constantly cause learning difficulty until their late school age. Besides, children more often communicate with others by writing through various mediums in their daily lives. Thu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ypically-developing school-age children’s writing development in the narrative writing, while realizing the importance of writing.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120 students, 40 second graders, fourth graders and sixth graders each, and had them write personal narratives about ‘Event on My Birthday’ and fictional narratives while reading birthday-related picture books without letters. The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ed writing samples by analyzing the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narrative. The macrostructure of narratives was assessed by using NSS (Narrative Scoring Scheme), and the microstructure of narratives was analyzed being divided into productivity (the number of C-units and NTW (the number of total words)), syntactic complexity (MLC-w (mean length of C-units in words)), lexical diversity (NDW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spelling accuracy (percentage of correctly spelled words and types of spelling errors). Firstly, when it comes to the writing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personal narratives, the NSS total score and the scores of NSS introduction, mental states, referencing, conflict resolution and cohesion in the macrostructure became higher as students were higher grade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of graders. The scores of productivity (the number of C-units and NTW), lexical diversity (NDW) in the microstruct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ixth graders than both the second and fourth graders. The scores of syntactic complexity (MLC-w)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ly spelled wor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urth and sixth graders than the second graders. Out of all types of spelling errors, all the graders showed phonological errors most, followed by orthographic errors, and morphological errors least. Particularly, the rates of phonological errors and orthographic err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cond graders than both the fourth and sixth graders. Secondly, as for the writing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fictional narrativ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NSS score and the scores of NSS introduction, mental states, referencing, conflict resolution and cohesion in the macrostructure between all the graders. The results of fictional narratives were the same as those of personal narratives, but in fictional narrativ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states and cohesion between all the graders. In the microstructure, the scores of productivity (the number of C-units and NTW), lexical diversity (NDW)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ixth graders than both the second and fourth graders. The scores of syntactic complexity (MLC-w) and percentage of correctly spelled wor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urth and sixth graders than the second graders. Out of all the types of spelling errors, all the graders showed phonological errors mo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icrostructure of fictional narrative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icrostructure of personal narratives between all the graders. Lastly, this study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the macrostructure analysis standard (total NSS score) and 5 items (the number of C-units, MLC-W, NTW, NDW and percentage of correctly spelled words) of the microstructure analysis standar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SS (narrative scoring scheme) of macrostructure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C-units, NTW and NDW of microstructure. Out of all the microstructure item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units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NTW and NDW, and NTW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DW. However, the number of C-units showed a medium negative correlation with MLC-w. Such a trend appeared in both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However, the percentage of correctly spelled words showed weak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total NSS score, the number of C-units, NTW and NDW in fictional narratives only. This study explored school-age children’s narrative writing development through assignments of writing personal narratives and fictional narratives. In the macrostructure of narratives, such items as metal states, conflict resolution and cohesion were found to develop in earnest in the late elementary school age, and the scores of such items as character development and conclusion were higher as students were in higher grad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he grad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icrostructure of narratives, this study found out that all the indicators became higher as students were in higher grades. In consideration of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the graders, however, it seems that productivity and lexical diversity are constantly developed until the late elementary school age, while syntactic complexity and spelling accuracy are greatly developed in the early school age. Besides, even though all the graders were made to carry out different assignments from each other, all the differences in both pers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were not really large between all the graders.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ypically-developing school-age children’s narrative writing develop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foundation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